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3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3
  • 3. 면상생창(面上生瘡)
메뉴닫기 메뉴열기

3. 면상생창(面上生瘡)


面上生瘡
面上瘡煮柳葉버듨 닙 若皮洗之亦可內少塩소곰

 헐므 

구급간이방언해 권3:6ㄴ

주001)
:
낯. 얼굴. 원형은 ‘’이지만 8종성 제한 규칙으로 휴지(休止) 앞에서 ‘’으로 받침이 교체되었다.
헐므 주002)
헐므:
헐믓-[瘡]+-은(관형사형 어미). 헌. 부스럼이 난. 동사 어간 ‘헐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 주003)
:
[所]+-(목적격 조사). 데를. 곳을.
버듨 니피어나 주004)
버듨 니피어나:
버들[柳]+ㅅ(사이시옷)+닢[葉]+-이거나(선택 보조사). 버드나무 잎이거나. i, j 모음 아래에서 ㄱ이 탈락하는 현상에 의해 ‘-이거나〉-이어나’로 되었다.
거프리어나 주005)
거프리어나:
거플[皮]+-이거나(보조사). 꺼풀이거나. 껍질이거나.
달혀 주006)
달혀:
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시스라 져고매 소고 주007)
소고:
소곰[塩]+-(목적격 조사). 소금을.
조쳐 주008)
조쳐:
조치-[加, 兼]+-어(연결 어미). 더하여. 함께. 아울러.
녀허도 주009)
녀허도:
녛-[內]+-어도(종속적 연결 어미). 넣어도.
됴니라 주010)
됴니라:
둏-[好]+-니라(평서형 어미). 좋으니라. 좋다.

얼굴이 허는 병
얼굴의 헌 데를 버드나무 잎이나 껍질을 달인 물로 씻으라. 적은 양의 소금을 함께 넣어도 좋다.

鏊子底黑煤사 미틧 거믜 於所油기름 中以匙打成膏子攤在紙上瘡上貼之

새 주011)
새:
새옹. ‘새옹’은 놋쇠로 만든 작은 솥을 가리킨다.
미틧 주012)
미틧:
밑[底]+-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붙은. 밑엣.
거믜의 주013)
거믜[黑煤]의:
검댕에. ‘검댕’은 그을음이나 연기가 엉겨 생기는 검은 물질을 가리킨다.
기르믈 주014)
기르믈:
기름[油]+-을(목적격 조사). 기름을.
져기 주015)
져기:
적게. 조금.
드려 주016)
드려:
들여. 넣어.
주017)
술:
숟가락.
주018)
텨:
티-[打]+-어(연결 어미). 쳐서. 저어.
주019)
골:
반고체. 기름. 원문을 보면 ‘골’에 해당하는 한자로 ‘膏’를 쓴 것으로 보아 ‘골’은 고약(膏藥)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라 주020)
라:
만들어.
죠예 주021)
죠예:
죠[紙]+-예(처격 조사). 종이에. 중세 국어에서 처격 조사 ‘-예’는 모음 i, j로 끝나는 명사에만 연결되었다.
펴 헌 브티라 주022)
브티라:
븥-[附着]+-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붙여라.

작은 솥 밑에 붙은 검댕에 기름을 조금 섞어 숟가락으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 다음 종이에 펴서 헌데 붙여라.

水調平胃散塗之

구급간이방언해 권3:7ㄱ

평위산 주023)
위산:
약 이름.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을 므레 라 주024)
라:
말아. 개어.
라

평위산을 물에 개어 발라라.

面上風毒惡瘡 硫黃셔류 半分細硏 杏仁고 솝 一分湯浸去皮尖 胡粉됴 분 一分 都爛硏令勻以臘月猪脂섯래 자 도 기름 調勻日二三度塗之

치 주025)
치:
낯이. 얼굴이.
독 주026)
독:
바람에 상하여 부스럼이 나는 병.
으로 만히 주027)
만히:
만-[多]+-이(부사 접미사). 많이. ‘만다〉많다’.
헐어든 셔류 주028)
셔류:
유황(硫黃). ‘유황’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돈 두 눈 반 주029)
두 눈 반:
반(半)의 반(半) 즉 4분의 1 분량을 가리킨다. 원문에 쓰인 ‘一分’에 대해서 언해문은 ‘두 돈 반’으로, ‘半分’에 대해서는 ‘ 돈 두 눈 반’으로 각각 번역하고 있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두 돈 반’의 절반을 나타낸 말이 곧 ‘ 돈 두 눈 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두 돈 반’이라고 할 때의 ‘반’은 ‘반 돈’을 가리키는 말인데, 이러한 ‘반 돈’의 절반을 ‘두 눈 반’이라고 했으니 ‘두 눈 반’은 결과적으로 ‘반 돈’ 즉 ‘0.5돈’의 절반인 ‘0.25돈’을 가리키는 말이다.
에 주030)
에:
-[細]+-게(부사형 어미). 가늘게. 잘게. 곱게. 부사형 어미 ‘-게’의 ㄱ이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로니와 주031)
로니와:
-[磨]+-오-(삽입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간 것과.
고 주032)
고:
고[杏]+[種]. 살구씨.
주033)
솝:
속[內].
두 돈 반 더운 므레 마 주034)
마:
-[浸]+-아(연결 어미). 담가.
거플와 부리 주035)
부리:
가장자리. 끄트머리. 뾰죽 나온 부분.
업게 니와 주036)
니와:
-[爲]+-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한 것과.
됴 분 주037)
됴 분:
좋은 분(粉). 부록의 <용어사전 id="">‘호분’ 참조.
두 돈 반과  주038)
:
한데. 한 곳에.
므르라 주039)
므르라:
므르-[爛]+-[磨]+-아(연결 어미). 곱게 충분히 갈아. ‘므르-’와 ‘-’의 두 동사 어간이 통합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3:7ㄴ

거든
주040)
고거든:
고-[均]+-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고르게 되거든.
섯래 주041)
섯래:
섯[十二月]+-애(처격 조사). 섣달에. 한자어 ‘납월(臘月)’은 음력 섣달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자 주042)
자:
잡-[捕]+-(관형사형 어미). 잡은.
도 주043)
도:
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기르메 주044)
기르메:
기름[油]에.
라  주045)
:
하루.
두 번곰 주046)
두 번곰:
두어 번씩.
라

얼굴이 풍독으로 부스럼이 많이 나거든 유황 한 돈하고 반의 반을 곱게 간 것과, 살구씨 속 두 돈 반을 더운 물에 담가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없게 한 것과, 좋은 분 두 돈 반을 모두 한데 섞어 곱게 갈아 고르게 되거든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하루 두세 번씩 발라라.

面上有熱毒惡瘡 胡粉됴 분 炒 大栢炙黃連等分爲末面脂고지 調傅猪脂도 기름 亦可

치 독 주047)
독:
열독(熱毒). 열 때문에 생기는 발진(發疹). 열독증의 증상은 심한 붉은 기, 열감, 부어오름, 통증, 황색으로 된 끈끈함이 많은 진물 등이 나타난다. 화농, 황색 부스럼 딱지, 붉은 혀, 황색 태의 증상이 수반된다.
으로  주048)
:
가장. 매우. 크게.
헐어든 됴 분 주049)
됴 분:
좋은 분(粉). 부록의 <용어사전 id="">‘호분’ 참조.
봇그니와 주050)
봇그니와:
-[炒]+-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볶은 것과.
대 주051)
대:
잣나무의 열매인 잣.
구으니와 주052)
구으니와:
구운 것과.
련 주053)
련:
황련(黃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과 티 화  주054)
:
가루를.
라 고지예 주055)
고지예:
지방(脂肪)에.
라 주056)
라:
말아. 개어. 여기서는 두 가지 이상을 적절히 조합(調合)하는 것을 말한다.
라 도 주057)
도:
돼지의.
기르메 라도 됴니라

얼굴이 열로 부스럼이 나서 크게 헐거든 좋은 분(粉)을 볶은 것과 잣 열매를 구운 것과 황련 등을 똑같이 나누어 가루로 만들고 이를 지방(脂肪)에 개어 발라라. 돼지의 기름에 개어도 좋다.

구급간이방언해 권3:8ㄱ

面上細瘡常出黃水 桃花복홧곳 陰乾加當歸암촛 불휘 或杏花곳곳 作末洗面

치 횩게 주058)
횩게:
횩-[小]+-게(부사형 어미). 작게. 잘게. 자잘하게.
허러 녜 주059)
녜:
항상. 늘.
누른 주060)
누른: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 누런.
므리 나거든 복홧 고 주061)
복셩홧 고:
복화[桃]+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복숭아의 꽃을.
해 주062)
해:
ㅎ[陰]+-애(처격 조사). 그늘에.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외오 주063)
외오:
-[乾]+-외-(사동 접미사)+-고(대등적 연결 어미). 말리고. 동사 어간 ‘-’의 끝모음 ‘’가 모음의 사동 접미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어미 ‘-고’는 ㄱ이 사동 접미사의 반모음 j 아래에서 탈락하여 ‘-오’가 되었다. 동사 ‘다’의 사동형은 ‘오다’(구급방언해, 하:85ㄱ)로도 쓰였고 여기서처럼 ‘외다’로도 쓰였다.
암촛 불휘 주064)
암촛 불휘:
승암초[草名]+ㅅ(사이시옷)+불휘[根]+-(목적격 조사). 승검초의 뿌리를. 당귀(當歸)를. ‘승검초’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당귀’ 참조.
조쳐 주065)
조쳐:
더하여. 겸하여. 아울러.
달혀 주066)
달혀:
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시스며  곳 고 주067)
곳 고:
고[杏]+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살구꽃을.
라 주068)
라:
갈아서[磨].
 주069)
:
낯을. 얼굴을.
시스라

얼굴이 자잘하게 헐어 늘 누런 진물이 나오거든 복숭아꽃을 그늘에 말리고 승검초의 뿌리를 더하여 달여서 씻으며 또 살구꽃을 갈아서 얼굴을 씻어라.

面上五色瘡用塩湯소곰 글힌 믈 緜浸搨瘡上日五六度易差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구급간이방언해 권3:8ㄴ

치 다 주070)
다:
다섯[五].
가짓 비츠로 주071)
비츠로:
빛[色]+-으로(조격 조사). 빛으로. 색으로.
헐어든 소곰 글힌 주072)
글힌:
끓인.
므레 소오 주073)
소오:
소옴[綿]+-(목적격 조사). 솜을.
저져 주074)
저져:
젖-[潤]+-이-(사동 접미사)+-어(여결 어미). 적시어.
헌 브툐 주075)
브툐:
븥-[附着]+-이-(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종속적 설명 어미). 붙이되.
 다엿 주076)
다엿:
대여섯[五六].
번곰 라 주077)
라:
-[替]+-아(연결 어미). 갈아. 바꾸어. 교체(交替)하여.
브티면 됴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얼굴이 다섯 가지의 색깔이 나면서 헐거든 소금을 〈넣어〉 끓인 물에 솜을 적시어 헌데에 붙이되 하루에 대여섯 번씩 바꿔 붙이면 좋을 것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8년 6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낯. 얼굴. 원형은 ‘’이지만 8종성 제한 규칙으로 휴지(休止) 앞에서 ‘’으로 받침이 교체되었다.
주002)
헐므:헐믓-[瘡]+-은(관형사형 어미). 헌. 부스럼이 난. 동사 어간 ‘헐믓-’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ㅿ으로 교체되었다.
주003)
:[所]+-(목적격 조사). 데를. 곳을.
주004)
버듨 니피어나:버들[柳]+ㅅ(사이시옷)+닢[葉]+-이거나(선택 보조사). 버드나무 잎이거나. i, j 모음 아래에서 ㄱ이 탈락하는 현상에 의해 ‘-이거나〉-이어나’로 되었다.
주005)
거프리어나:거플[皮]+-이거나(보조사). 꺼풀이거나. 껍질이거나.
주006)
달혀: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주007)
소고:소곰[塩]+-(목적격 조사). 소금을.
주008)
조쳐:조치-[加, 兼]+-어(연결 어미). 더하여. 함께. 아울러.
주009)
녀허도:녛-[內]+-어도(종속적 연결 어미). 넣어도.
주010)
됴니라:둏-[好]+-니라(평서형 어미). 좋으니라. 좋다.
주011)
새:새옹. ‘새옹’은 놋쇠로 만든 작은 솥을 가리킨다.
주012)
미틧:밑[底]+-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붙은. 밑엣.
주013)
거믜[黑煤]의:검댕에. ‘검댕’은 그을음이나 연기가 엉겨 생기는 검은 물질을 가리킨다.
주014)
기르믈:기름[油]+-을(목적격 조사). 기름을.
주015)
져기:적게. 조금.
주016)
드려:들여. 넣어.
주017)
술:숟가락.
주018)
텨:티-[打]+-어(연결 어미). 쳐서. 저어.
주019)
골:반고체. 기름. 원문을 보면 ‘골’에 해당하는 한자로 ‘膏’를 쓴 것으로 보아 ‘골’은 고약(膏藥)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주020)
라:만들어.
주021)
죠예:죠[紙]+-예(처격 조사). 종이에. 중세 국어에서 처격 조사 ‘-예’는 모음 i, j로 끝나는 명사에만 연결되었다.
주022)
브티라:븥-[附着]+-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붙여라.
주023)
위산:약 이름.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4)
라:말아. 개어.
주025)
치:낯이. 얼굴이.
주026)
독:바람에 상하여 부스럼이 나는 병.
주027)
만히:만-[多]+-이(부사 접미사). 많이. ‘만다〉많다’.
주028)
셔류:유황(硫黃). ‘유황’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9)
두 눈 반:반(半)의 반(半) 즉 4분의 1 분량을 가리킨다. 원문에 쓰인 ‘一分’에 대해서 언해문은 ‘두 돈 반’으로, ‘半分’에 대해서는 ‘ 돈 두 눈 반’으로 각각 번역하고 있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두 돈 반’의 절반을 나타낸 말이 곧 ‘ 돈 두 눈 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두 돈 반’이라고 할 때의 ‘반’은 ‘반 돈’을 가리키는 말인데, 이러한 ‘반 돈’의 절반을 ‘두 눈 반’이라고 했으니 ‘두 눈 반’은 결과적으로 ‘반 돈’ 즉 ‘0.5돈’의 절반인 ‘0.25돈’을 가리키는 말이다.
주030)
에:-[細]+-게(부사형 어미). 가늘게. 잘게. 곱게. 부사형 어미 ‘-게’의 ㄱ이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탈락하였다.
주031)
로니와:-[磨]+-오-(삽입모음)+-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간 것과.
주032)
고:고[杏]+[種]. 살구씨.
주033)
솝:속[內].
주034)
마:-[浸]+-아(연결 어미). 담가.
주035)
부리:가장자리. 끄트머리. 뾰죽 나온 부분.
주036)
니와:-[爲]+-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한 것과.
주037)
됴 분:좋은 분(粉). 부록의 <용어사전 id="">‘호분’ 참조.
주038)
:한데. 한 곳에.
주039)
므르라:므르-[爛]+-[磨]+-아(연결 어미). 곱게 충분히 갈아. ‘므르-’와 ‘-’의 두 동사 어간이 통합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주040)
고거든:고-[均]+-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고르게 되거든.
주041)
섯래:섯[十二月]+-애(처격 조사). 섣달에. 한자어 ‘납월(臘月)’은 음력 섣달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주042)
자:잡-[捕]+-(관형사형 어미). 잡은.
주043)
도: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주044)
기르메:기름[油]에.
주045)
:하루.
주046)
두 번곰:두어 번씩.
주047)
독:열독(熱毒). 열 때문에 생기는 발진(發疹). 열독증의 증상은 심한 붉은 기, 열감, 부어오름, 통증, 황색으로 된 끈끈함이 많은 진물 등이 나타난다. 화농, 황색 부스럼 딱지, 붉은 혀, 황색 태의 증상이 수반된다.
주048)
:가장. 매우. 크게.
주049)
됴 분:좋은 분(粉). 부록의 <용어사전 id="">‘호분’ 참조.
주050)
봇그니와:-[炒]+-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볶은 것과.
주051)
대:잣나무의 열매인 잣.
주052)
구으니와:구운 것과.
주053)
련:황련(黃連).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54)
:가루를.
주055)
고지예:지방(脂肪)에.
주056)
라:말아. 개어. 여기서는 두 가지 이상을 적절히 조합(調合)하는 것을 말한다.
주057)
도:돼지의.
주058)
횩게:횩-[小]+-게(부사형 어미). 작게. 잘게. 자잘하게.
주059)
녜:항상. 늘.
주060)
누른: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 누런.
주061)
복셩홧 고:복화[桃]+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복숭아의 꽃을.
주062)
해:ㅎ[陰]+-애(처격 조사). 그늘에.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63)
외오:-[乾]+-외-(사동 접미사)+-고(대등적 연결 어미). 말리고. 동사 어간 ‘-’의 끝모음 ‘’가 모음의 사동 접미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어미 ‘-고’는 ㄱ이 사동 접미사의 반모음 j 아래에서 탈락하여 ‘-오’가 되었다. 동사 ‘다’의 사동형은 ‘오다’(구급방언해, 하:85ㄱ)로도 쓰였고 여기서처럼 ‘외다’로도 쓰였다.
주064)
암촛 불휘:승암초[草名]+ㅅ(사이시옷)+불휘[根]+-(목적격 조사). 승검초의 뿌리를. 당귀(當歸)를. ‘승검초’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당귀’ 참조.
주065)
조쳐:더하여. 겸하여. 아울러.
주066)
달혀: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주067)
곳 고:고[杏]+ㅅ(사이시옷)+곶[花]+-(목적격 조사). 살구꽃을.
주068)
라:갈아서[磨].
주069)
:낯을. 얼굴을.
주070)
다:다섯[五].
주071)
비츠로:빛[色]+-으로(조격 조사). 빛으로. 색으로.
주072)
글힌:끓인.
주073)
소오:소옴[綿]+-(목적격 조사). 솜을.
주074)
저져:젖-[潤]+-이-(사동 접미사)+-어(여결 어미). 적시어.
주075)
브툐:븥-[附着]+-이-(사동 접미사)+-오-(삽입 모음)+-(종속적 설명 어미). 붙이되.
주076)
다엿:대여섯[五六].
주077)
라:-[替]+-아(연결 어미). 갈아. 바꾸어. 교체(交替)하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