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3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3
  • 9. 단독(丹毒)
메뉴닫기 메뉴열기

9. 단독(丹毒)


丹毒
宜服和劑方千金漏蘆湯五香連翹湯

단독
화졔 주001)
화졔:
화제방. 이는 중국 송나라 진사문(陳士文)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의서(醫書).
쳔금루로 주002)
쳔금루로:
천금누로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오련효 주003)
오련효:
오향련교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과 머고미 맛니라

단독
『화제방』에 나오는 천금누로탕과 오향련교탕을 먹는 것이 마땅하다.

丹者惡毒之瘡五色無常又發足踝者擣蒜마 厚傅之乾卽易之

단독 주004)
단독(丹毒):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모딘 긔 주005)
긔:
종기(腫氣). 피부가 곪으면서 생기는 큰 부스럼을 말한다.
디[니] 다 가짓 비치 주006)
비치:
빛이.
여러

구급간이방언해 권3:51ㄴ

가지로 외며  밠 듸[뒤]츠게 주007)
밠 뒤츠게:
발[足]+ㅅ(사이시옷)+뒤측[跟]+-에(처격 조사). 발의 뒤축에.
나거든 마 주008)
마:
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디허 주009)
디허:
찧어.
두터이 주010)
두터이:
두텁-[厚]+-이(부사 접미사). 두껍게.
브툐 주011)
브툐:
붙이되.
거든 라 브티라

단독(丹毒)은 악성 종기니, 다섯 가지의 빛이 여러 가지로 변하며, 또 발의 뒤축에 〈종기가〉 나거든 마늘을 찧어 두껍게 붙이되 마르면 바꿔서 붙여라.

一切丹毒流腫 地龍糞위  水和塗之

대도 주012)
대도:
온갖. 모든.
단독이 두루 녀 주013)
녀:
-[走]+니-[行]+-어(연결 어미). 다녀. 니다〉니다〉니다〉다니다.
븟거든 주014)
븟거든:
붓거든.
위 주015)
위:
지렁이.
을 므레 라 라

온갖 단독이 두루 퍼져 붓거든 지렁이 똥을 물에 개어서 발라라.

鼠粘草根 우 불휘 勿使見風洗去土 搗爛貼之絞取汁飮之亦良

구급간이방언해 권3:52ㄱ

주016)
:
-[苦]+-ㄴ(관형사형 어미). 〈맛이〉 쓴.
우 주017)
우:
우엉의. ‘우엉’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  디 주018)
디:
-[見風]+-디(보조적 연결 어미). 〈바람을〉 쐬지.
말오  업시 시시[서] 므르디허 주019)
므르디허:
흠씬 찧어. 무르게 찧어.
브티라 즙을 주020)
:
〈즙을〉 짜서.
머거도 됴니라

쓴 우엉의 뿌리를 바람 쐬지 말고 흙이 없도록 씻어서 무르게 찧어 붙여라. 즙을 짜서 먹어도 좋다.

生地黃擣取汁塗之

디 주021)
디:
생지황(生地黃)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지황’ 참조.
불휘 디허 즙을 라

생지황의 뿌리를 찧어서 즙을 발라라.

浮萍草爛擣傅之

부초 주022)
부초: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므르디허 라

부평초를 무르게 찧어서 발라라.

젼국 擣羅爲末以水調塗之

구급간이방언해 권3:52ㄴ

젼국 주023)
젼국:
약전국. 약전국은 콩을 삶아 쪄서 소금과 생강 따위를 넣고 방안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약으로서 상한(傷寒), 두통, 학질 등에 쓴다.
을 디허 주024)
처:
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서.
 라 므레 라 라

약전국을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 다음 물에 개어 발라라.

川大黃擣羅爲末以水調塗之

도[됴] 대 주025)
대:
대황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대황’ 참조.
불휘 디허 처  라 므레 라 라

좋은 대황의 뿌리를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 다음 물에 개어 발라라.

梔子仁지지  搗羅爲末以水調塗之

지지 주026)
지지:
치자(梔子). 부록의 <용어사전 id="">‘치자’ 참조.
 디허 처  라 므레 라 라

치자 씨를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 다음 물에 개어 발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53ㄱ

黃芩솝서근 주027)
솝서근:
솝[內]+석-[朽]+-은(관형사형 어미). 속이 썩은.
픐 불휘
擣羅爲末以水調塗之

솝서근픐 주028)
솝서근픐:
속 썩은 풀의. ‘속 썩은 풀’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황금(黃芩)’ 참조.
불휘 디허 처  라 므레 라 라

속 썩은 풀의 뿌리를 찧어 〈체로〉 쳐서 가루를 만든 다음 물에 개어 발라라.

赤小豆블근  末鷄子淸 알 소뱃  믈 調傅

블근 주029)
블근:
붉은.
 주030)
: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라  알 소뱃 주031)
소뱃:
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 므레 라 라

붉은 팥을 갈아서 달걀 속의 흰자위에 개어 발라라.

靑澱 즈 汁傅

 주032)
:
청대(靑黛)의. ‘청대’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즈 주033)
즈:
찌꺼기의.
즙을 라

청대 찌꺼기의 즙을 발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53ㄴ

芭蕉根반춋 불휘 取汁傅

반춋 주034)
반춋:
파초(芭蕉)의. ‘파초’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불휘 즛두드려 주035)
즛두드려:
짓두드려.
즙을  라

파초의 뿌리를 짓두드려 즙을 짜서 발라라.

猪糞도  燒灰雞子淸 알 소뱃  믈 調傅

도 주036)
도:
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론 주037)
론:
-[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불사른. 불태운.
  알 소뱃  므레 주038)
 므레:
맑은 물에. 여기서는 달걀의 흰자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라 라

돼지의 똥을 불사른 재를 달걀의 흰자위에 개어 발라라.

蠶沙누에  一升 井水煎溫和密室洗

누에   되 우믌므레 달혀 주039)
달혀:
달여. 이 때의 기본형은 ‘달히다’이다.
시 주040)
시:
따뜻이.
야 기픈 의셔 주041)
의셔:
(房)+-의셔(처격 조사). 방에서.
시스라 주042)
시스라:
씻으라. ‘싯다〉씻다’(경음화 현상).

누에 똥 한 되를 우물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는 깊숙한 방에서 씻어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54ㄱ

靑白丹 竈中黃土가마 믿 마촘 아랫  一分젼국 半分 爲末麻油기름 調傅

비치 프르며  단독 주043)
단독(丹毒):
악성의 종기.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이어든 가마 주044)
가마:
가마솥.
믿 마촘 주045)
마촘:
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여기서는 ‘똑바로’라는 뜻이다.
아랫  두 돈 반과 젼국 주046)
젼국:
약전국. 약전국은 콩을 삶아 쪄서 소금과 생강 따위를 넣고 방안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약으로서 상한(傷寒), 두통, 학질 등에 쓴다.
 돈 두 눈 반 주047)
두 눈 반:
반(半)의 반(半). 원문과 언해문을 대조해 보면, ‘一分’을 ‘두 돈 반’이라 번역했고, ‘半分’을 ‘ 돈 두 눈 반’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로 볼 때 ‘半分’인 ‘ 돈 두 눈 반’은 ‘一分’에 해당하는 ‘두 돈 반’ 즉 2.5돈의 절반을 나타낸 말이다. 2.5돈의 절반이라면 1.25돈이 되는데 바로 이 1.25돈을 ‘ 돈 두 눈 반’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현대어로 표현하면 ‘한 돈하고 반의 반’이 될 것이다.
과 라 기르메 라 브티라

빛이 푸르며 흰 단독이거든 가마솥 밑 바로 아래의 흙 두 돈 반과 약전국 한 돈 반의 반을 갈아서 참기름에 개어 붙여라.

大丹瘡擣紵麻根모싯 불휘와  불휘 傅之

큰 단독이어든 모싯 주048)
모싯:
모시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모시풀’ 참조.
불휘와 주049)
:
삼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삼’ 참조.
불휘와 디허 므[브]티라

큰 단독이거든 모시의 뿌리와 삼의 뿌리를 찧어서 붙여라.

구급간이방언해 권3:54ㄴ

五色油丹縛母猪枕頭臥甚良

다 비쳇 주050)
비쳇:
빛[色]+-엣(처소 관형격 조사). 빛엣. 색깔의.
단독애 암도 주051)
암도:
암[雌]+돝[猪]+-(목적격 조사). 암퇘지를.
야 주052)
야:
-[縛]+-아(연결 어미). 매어.
두고 머리 볘여 주053)
볘여:
볘-[枕]+-어(연결 어미). 베어.
누어 이쇼미 주054)
이쇼미:
이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있음이. 있는 것이.
 됴니라

다섯 색깔의 단독에는 암퇘지를 매어 두고 〈그 위에〉 머리를 베고 누워 있는 것이 가장 좋다.

牛屎 塗之乾卽易

 주055)
:
쇠똥.
로 주056)
로:
-[塗]+-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바르되. 동사 어간 ‘-’가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거든 라 주057)
라:
-[換]+-아(연결 어미). 갈아. 바꾸어서.
라

쇠똥을 바르되 마르거든 바꾸어서 발라라.

赤流腫丹毒 楡根白皮느릅나못 불휫  거플 爲末雞子白 알 소뱃  믈 和傅之

블커[거] 주058)
블거:
붉어.
두루 니 주059)
니:
다니는. 번지는.
단독이어든 느릅나못 주060)
느릅나못:
느릅나무의. ‘느릅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구급간이방언해 권3:55ㄱ

불휫  거프를 주061)
거프를:
거플[皮]+-을(목적격 조사). 꺼풀을. 껍질을.
라  알 소뱃  므레 라 브티라

붉어지면서 〈여러 부위로〉 두루 옮겨가는 단독이거든 느릅나무 뿌리의 흰 껍질을 갈아서 달걀 속의 흰자위에 개어 붙여라.

搗大麻子열 水和傅之

주062)
열:
삼[麻].
주063)
:
씨[種子].
 디허 므레 라 주064)
라:
-[和]+-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브티라

삼[大麻]의 씨를 찧어서 물에 개어 붙여라.

少小諸腫丹毒 伏龍肝가마 믿 마촘 아랫  不拘多少爲末以鷄子白 알 소뱃  믈 和傅之日三次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효 주065)
효:
횩-[小]+-(관형사형 어미). 작은.
여러 가짓 단독이어든 가마 믿 마촘 주066)
마촘:
맞춤. 똑바로.
아랫 을 하나 져그나 라  알 소뱃

구급간이방언해 권3:55ㄴ

 믈 섯거 주067)
섯거:
-[混合]+-어(연결 어미). 섞어. 풀어.
로  세 번곰 주068)
-곰:
-씩.
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작은 여러 가지의 단독이거든 가마솥 밑 바로 아래의 흙을 많거나 적거나 간에 갈아서 달걀 속의 흰자위에 섞어 바르되 하루 세 번씩 발라라.
Ⓒ 역자 | 김문웅 / 2008년 6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0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졔:화제방. 이는 중국 송나라 진사문(陳士文)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의서(醫書).
주002)
쳔금루로:천금누로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3)
오련효:오향련교탕.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4)
단독(丹毒):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05)
긔:종기(腫氣). 피부가 곪으면서 생기는 큰 부스럼을 말한다.
주006)
비치:빛이.
주007)
밠 뒤츠게:발[足]+ㅅ(사이시옷)+뒤측[跟]+-에(처격 조사). 발의 뒤축에.
주008)
마: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주009)
디허:찧어.
주010)
두터이:두텁-[厚]+-이(부사 접미사). 두껍게.
주011)
브툐:붙이되.
주012)
대도:온갖. 모든.
주013)
녀:-[走]+니-[行]+-어(연결 어미). 다녀. 니다〉니다〉니다〉다니다.
주014)
븟거든:붓거든.
주015)
위:지렁이.
주016)
:-[苦]+-ㄴ(관형사형 어미). 〈맛이〉 쓴.
주017)
우:우엉의. ‘우엉’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18)
디:-[見風]+-디(보조적 연결 어미). 〈바람을〉 쐬지.
주019)
므르디허:흠씬 찧어. 무르게 찧어.
주020)
:〈즙을〉 짜서.
주021)
디:생지황(生地黃)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지황’ 참조.
주022)
부초: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23)
젼국:약전국. 약전국은 콩을 삶아 쪄서 소금과 생강 따위를 넣고 방안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약으로서 상한(傷寒), 두통, 학질 등에 쓴다.
주024)
처:츠-[篩]+-어(연결 어미). 〈체로〉 쳐서.
주025)
대:대황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대황’ 참조.
주026)
지지:치자(梔子). 부록의 <용어사전 id="">‘치자’ 참조.
주027)
솝서근:솝[內]+석-[朽]+-은(관형사형 어미). 속이 썩은.
주028)
솝서근픐:속 썩은 풀의. ‘속 썩은 풀’에 대해서는 부록의 <용어사전 id="">‘황금(黃芩)’ 참조.
주029)
블근:붉은.
주030)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주031)
소뱃:솝[內]+-앳(처소 관형격 조사). 속엣. 속에 있는.
주032)
:청대(靑黛)의. ‘청대’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33)
즈:찌꺼기의.
주034)
반춋:파초(芭蕉)의. ‘파초’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35)
즛두드려:짓두드려.
주036)
도:돝[猪]+-(관형격 조사). 돼지의.
주037)
론:-[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불사른. 불태운.
주038)
 므레:맑은 물에. 여기서는 달걀의 흰자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주039)
달혀:달여. 이 때의 기본형은 ‘달히다’이다.
주040)
시:따뜻이.
주041)
의셔:(房)+-의셔(처격 조사). 방에서.
주042)
시스라:씻으라. ‘싯다〉씻다’(경음화 현상).
주043)
단독(丹毒):악성의 종기.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44)
가마:가마솥.
주045)
마촘: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여기서는 ‘똑바로’라는 뜻이다.
주046)
젼국:약전국. 약전국은 콩을 삶아 쪄서 소금과 생강 따위를 넣고 방안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시켜 만든 약으로서 상한(傷寒), 두통, 학질 등에 쓴다.
주047)
두 눈 반:반(半)의 반(半). 원문과 언해문을 대조해 보면, ‘一分’을 ‘두 돈 반’이라 번역했고, ‘半分’을 ‘ 돈 두 눈 반’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로 볼 때 ‘半分’인 ‘ 돈 두 눈 반’은 ‘一分’에 해당하는 ‘두 돈 반’ 즉 2.5돈의 절반을 나타낸 말이다. 2.5돈의 절반이라면 1.25돈이 되는데 바로 이 1.25돈을 ‘ 돈 두 눈 반’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현대어로 표현하면 ‘한 돈하고 반의 반’이 될 것이다.
주048)
모싯:모시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모시풀’ 참조.
주049)
:삼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삼’ 참조.
주050)
비쳇:빛[色]+-엣(처소 관형격 조사). 빛엣. 색깔의.
주051)
암도:암[雌]+돝[猪]+-(목적격 조사). 암퇘지를.
주052)
야:-[縛]+-아(연결 어미). 매어.
주053)
볘여:볘-[枕]+-어(연결 어미). 베어.
주054)
이쇼미:이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있음이. 있는 것이.
주055)
:쇠똥.
주056)
로:-[塗]+-오-(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바르되. 동사 어간 ‘-’가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주057)
라:-[換]+-아(연결 어미). 갈아. 바꾸어서.
주058)
블거:붉어.
주059)
니:다니는. 번지는.
주060)
느릅나못:느릅나무의. ‘느릅나무’에 대해서는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61)
거프를:거플[皮]+-을(목적격 조사). 꺼풀을. 껍질을.
주062)
열:삼[麻].
주063)
:씨[種子].
주064)
라:-[和]+-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주065)
효:횩-[小]+-(관형사형 어미). 작은.
주066)
마촘:맞춤. 똑바로.
주067)
섯거:-[混合]+-어(연결 어미). 섞어. 풀어.
주068)
-곰:-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