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오파원류도
메뉴닫기 메뉴열기

오파원류도


십현담요해언해:2ㄴ

五派源流圖

십현담요해언해:3ㄱ

序曰 夫玄談妙句ㅣ 逈出三乘야 旣不混緣며 亦非獨立이라

序야 주001)
서(序)야:
서(序)하여. 서문(序文)으로.
닐오 기픈 주002)
기픈:
깊은. 깊-[玄]+은(관형사형어미).
말과 주003)
말과:
말씀과. 말ᄉᆞᆷ[談]+과(접속조사).
微妙 주004)
미묘(微妙):
미묘(微妙)한.
句ㅣ 주005)
구(句)ㅣ:
구(句)가. 글귀가. ‘ㅣ’는 주격조사.
로 주006)
로:
따로. ᄠᅩ로[逈](부사).
三乘에 주007)
삼승(三乘)에:
삼승(三乘)에서. ‘삼승(三乘)’은 중생을 수레에 태워 열반의 언덕으로 실어 나른다는 뜻으로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 세 가지 교법을 이르는 말이다.
주008)
나:
나와. 나-[出]+아(연결어미).
【三乘은 聲聞 주009)
성문(聲聞):
성문승(聲聞乘)을 이른다. 성문의 목적인 아라한(阿羅漢)의 깨달음을 얻게 하는 교법(敎法)을 말한다. 곧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이를 관조하여 해탈을 얻는 교법이다.
緣覺 주010)
연각(緣覺):
연각승(緣覺乘)을 이른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깨달음을 얻는 지위, 곧 연각의 지위에 이르는 교법을 말한다. 스승에게 의지하지 않고 이치를 관조하여 깨달음을 얻는 교법이다.
菩薩왜라 주011)
보살(菩薩)왜라:
보살이다. 보살(菩薩)+와(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보살(菩薩)’은 ‘보살승(菩薩乘)’을 이르는 말로, 스스로 부처가 됨과 아울러 남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교법(敎法)이다. 보살이 육바라밀 법문에 의해 스스로 해탈하고 남까지 해탈시켜 성불에 이르게 한다는 교법이다.
마 주012)
마:
이미. ᄒᆞ마[旣](부사).
因緣 주013)
인연(因緣):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섯디 주014)
섯디:
섞이지. 서ᇧ-[混]+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15)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오 주016)
오:
홀로. ᄒᆞ오ᅀᅡ[獨](부사).
셔디 주017)
셔디:
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논 주018)
아니논:
아니하는. 않는. 아니ᄒᆞ-[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라 주019)
디라:
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서문으로 이르되, 깊은 말씀과 미묘(微妙)한 글귀가 따로 삼승(三乘)에서 벗어나, 【삼승(三乘)은 성문(聲聞)과 연각(緣覺)과 보살(菩薩)이다.】 이미 인연에 섞이지 않으며, 또한 홀로 서지 않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不混緣故로 其言이 灑落고 非獨立故로 其語ㅣ 平常니 只在人人脚跟下애 照顧ㅣ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因緣에 주020)
인연(因緣)에:
인연(因緣)에. ‘에’는 부사격조사.
섯디 주021)
섯디:
섞이지. 서ᇧ-[混]+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주022)
아니:
아니하므로. 아니ᄒᆞ-[不]+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말미 주023)
말미:
말이. 말씀이. 말ᄉᆞᆷ[言]+이(주격조사).
灑落고 주024)
쇄락(灑落)고:
쇄락하고. 쇄락(灑落)ᄒᆞ-+고(대등적 연결어미) ‘쇄락’은 마음이 상쾌하고 시원함을 이른다.
【灑落  주025)
:
깨끗한. ᄀᆞᆺᄀᆞᆺᄒᆞ-[淸]+ㄹ(관형사형어미).
시라 주026)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오 주027)
오:
홀로. ᄒᆞ오ᅀᅡ[獨](부사).
셔디 주028)
셔디:
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주029)
아니:
아니하므로. 아니ᄒᆞ-[非]+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마리 주030)
마리:
말이. 말[語]+이(주격조사).
平常니 주031)
평상(平常)니:
범상(凡常)하니. 심상(尋常)하니.
젼혀 주032)
젼혀:
오로지. 다만. 젼혀[專](부사).
사미 주033)
사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脚跟 주034)
각근(脚跟):
발뒤꿈치. 발뒤축.
아래 주035)
아래:
아래[下]. 아래를.
【脚跟 밧 뒤츠기니 주036)
밧뒤츠기니:
발뒤축이니. 밠뒤측[脚跟]+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本來 주037)
본래(本來):
본디. 처음부터.
논 주038)
논:
하는. ᄒ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이리니 주039)
이리니:
일이니. 일[事]+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話頭ㅣ라 주040)
화두(話頭)ㅣ라:
화두(話頭)이다. ‘화두(話頭)’는 참선(參禪) 수행자(修行者)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참구(參究)하는 문제이다. 공안(公案)이라고도 한다.
펴 주041)
펴:
살펴. ᄉᆞᆯ피-[察]+어(연결어미).
보매 주042)
보매:
봄에. 보는 것에. 보-[顧]+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잇니라 주043)
잇니라:
있느니라. 있는 것이다. 잇-[在]+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인연에 섞이지 아니하므로 그 말이 쇄락하고 【쇄락은 깨끗한 것이다.】, 홀로 서지 않으므로 그 말이 범상(凡常)하니, 오로지 사람이 다 각근(脚跟) 아래를 【각근(脚跟)은 발뒤축이다. (이는 선승이) 본래 하는 일이니 화두이다.】 살펴봄에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當臺應用호미 如朗月以晶空이오 轉影泯機ㅣ 似明珠而隱海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臺예 주044)
대(臺)예:
대(臺)에. ‘대(臺)’는 경대를 이르고, ‘예’는 부사격조사.
【臺 鏡臺ㅣ라 주045)
경대(鏡臺)ㅣ라:
경대(鏡臺)이다. ‘경대(鏡臺)’는 거울을 달아서 세운 화장대를 이른다.
연저 주046)
연저:
얹어. 엱-[當]+어(연결어미).
두고셔 주047)
두고셔:
두고서. 두고. 두-[置]+고(연결어미)+셔(보조사). ‘고셔’는 한 동작에서 다른 동작으로 이어가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마초 주048)
마초:
맞추어. 맞게. 마초[應](부사).
미 주049)
미:
씀이. 쓰는 것이. ᄡᅳ-[用]+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주050)
:
맑은. ᄆᆞᆰ-[朗]+ᄋᆞᆫ(관형사형어미).
리 주051)
리:
달이. ᄃᆞᆯ[月]+이(주격조사).
虛空애 주052)
허공(虛空)애:
허공(虛空)에. ‘애’는 부사격조사.
빗남 주053)
빗남:
빛남과. 빛나는 것과. 빗나-[晶]+옴/움(명사형어미).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빗·나-(거성+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빗׃남]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이처럼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고 주054)
고:
같고. ᄀᆞᇀ-[如]+고(연결어미).
그르메 주055)
그르메:
그림자를. 그르메[影]+ᄅᆞᆯ(목적격조사).
옮기며 주056)
옮기며:
옮기며. 옮기-[轉]+며(연결어미).
조가 주057)
조가:
기틀을. 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업게 주058)
업게:
없게. 없-[泯]+게(연결어미).
호미 주059)
호미:
함이. 하는 것이.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주060)
:
맑은. ᄆ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구스리 주061)
구스리:
구슬이. 구슬[珠]+이(주격조사).
바래 주062)
바래:
바다에. 바ᄅᆞᆯ[海]+애(부사격조사).
수멧 주063)
수멧:
숨어 있는. 숨은. 숨-[隱]+어(보조적 연결어미)#잇-[在]+ᄂᆞᆫ(관형사형어미).
니라 주064)
니라:
듯하니라. 듯하다. ᄃᆞᆺᄒᆞ-[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대(臺)에 【대(臺)는 경대이다.】 얹어 두고서 맞게 쓰는 것이 맑은 달이 허공에 빛나는 것과 같고, 그림자를 옮기며 기(機)를 없게 하는 것이 맑은 구슬이 바다에 숨어 있는 듯하니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십현담요해언해:3ㄴ

當臺 如鏡之當臺也ㅣ라 應用 如明鏡이 當臺야 胡來胡現며 漢來漢現也ㅣ라 明珠 即蚌珠ㅣ라 自心印느로 至正位前一色히 皆在當人受用야 歷歷然無隱也ㅣ니라 轉影 泯機 言雖在當人受用이나 然而心體無相며 境本虛假ㅣ라 擡搦吹拍을 不可思議리니 三贒十聖이 不可窺覬ㅣ어니 愽地凡夫ㅣ 何能擬議리오 故로 古德이 云호 鴛鴦을 繡出從君看이언 不把金鍼야 度與人이니라 도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臺예 주065)
대(臺)예:
대(臺)에. ‘대(臺)’는 경대를 이르고, ‘예’는 부사격조사.
연젯다 주066)
연젯다:
얹었다. 얹었다고. 엱-[當]+어(보조적연결어미)#잇-[在]+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주067)
호:
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거우뢰 주068)
거우뢰:
거울이. 거우로[鏡]+ㅣ(주격조사).
臺예 연저숌 주069)
연저숌:
얹어져 있음과. 얹어져 있는 것과. 엱-[當]+어(보조적 연결어미)#이시-[在]+옴/움(명사형어미).
다 주070)
다:
같다. 같다고. ᄀᆞᇀ-[如]+다(평서형 종결어미).
호미라 주071)
호미라:
함이다. 하는 것이다.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마초 주072)
마초:
맞추어. 맞게. 마초[應](부사).
다 주073)
다:
쓴다. 쓴다고. ᄡᅳ-[用]+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 주074)
:
맑은. ᄆᆞᆰ-[朗]+ᄋᆞᆫ(관형사형어미).
거우뢰 臺예 연저숌 야 주075)
야:
같아서.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주076)
되:
오랑캐가. 되[胡]+∅(주격조사).
오나 주077)
오나:
오면. 오거든. 오-[來]+나ᄃᆞᆫ(종속적 연결어미).
나며 주078)
나며:
나타나며. 낱-[現]+ᄋᆞ며(연결어미).
江南 주079)
강남(江南):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中國)’을 ‘강남(江南)’이라고 불러 왔다.
사미 주080)
사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따라서 ‘강남(江南) 사람’은 중국인(中國人)을 이른다. 이 요해(要解) 당시에는 ‘한인(漢人)’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오나 江南 사미 나 주081)
나:
나타나는. 낱-[現]+ᄋᆞᆯ(관형사형어미).
시라 주082)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구스른 주083)
구스른:
구슬은. 구슬[珠]+은(보조사).
죠개 주084)
죠개:
조개. 진주. 죠개[蚌珠].
구스리라 주085)
구스리라:
구슬이다. 구슬[珠]+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心印르로 주086)
심인(心印)르(으)로:
심인(心印)으로. 심인(心印)+으로(부사격조사). 조사 ‘으로〉르로’는 중철 표기한 ‘느로’를 ‘르로’로 오기(誤記)한 것임.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써 왔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브터셔 주087)
브터셔:
부터. 브터셔[自](조사).
正位前 주088)
정위전(正位前):
정위전(正位前). ‘정위전’은 십현담(十玄談) 중 제일 마지막에 편철되어 있는 현담(玄談)의 이름이다.
一色애 주089)
일색(一色)애:
일색(一色)에. ‘애’는 부사격조사. 십현담(十玄談) 중 제일 마지막에 편철되어 있는 현담(玄談)의 이름이다. 대부분의 판본에서는 ‘일색(一色)’이라 하였는데, 극히 일부에서 정위전(正位前)이라 하기도 했다.
니르리 주090)
니르리:
이르기까지. 이르게. 이르도록. 니르리[至](부사).
다 그 사 주091)
사:
사람이.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주어에 주격조사가 아닌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受用호매 주092)
수용(受用)호매:
수용함에. 받아서 씀에. 수용(受用)ᄒᆞ-+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십현담요해언해:4ㄱ

주093)
이셔:
있어서. 이시-[在]+어(연결어미).
야 주094)
야:
환하여. 뚜렷하여, ᄆᆞᆯᄀᆞᆺᄆᆞᆯᄀᆞᆺᄒᆞ-[歷然]+야(연결어미).
그호미 주095)
그호미:
그윽함이. 은근함이. 그ᅀᅳᆨᄒᆞ-[隱]+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수미니라 주096)
업수미니라:
없음이다. 없는 것이다. 없-[無]+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그르메 주097)
그르메:
그림자를. 그르메[影].
옮기며 주098)
옮기며:
옮기며. 옮기-[轉]+며(대등적 연결어미).
조가글 주099)
조가글:
기틀을. 기(機)를. 조각[機]+을(목적격조사).
업게 주100)
업게:
없게. 없-[泯]+게(보조적 연결어미).
다 주101)
다:
한다고.
호 주102)
호:
하는 것은. 함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비록 그 사 주103)
사:
사람의.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受用애 주104)
수용(受用)애:
수용(受用)에. 받아씀에.
이시나 주105)
이시나:
있으나. 이시-[在]+나(종속적 연결어미).
 주106)
:
마음과. ᄆᆞᅀᆞᆷ[心].
얼구리 주107)
얼구리:
얼굴이. 형체가. 몸이. 얼굴[體]+이(주격조사).
 주108)
:
형상(形相)이. 양자(樣子)가. 양ᄌᆞ[樣子]+ㅣ(주격조사).
업스며 주109)
업스며:
없으며. 없-[無]+으며(대등적 연결어미).
境이 주110)
경(境)이:
경(境)이. ‘이’는 주격조사. ‘경(境)’은 경계(境界), 또는 인식 작용의 대상이다. 외적 세계의 존재, 사물, 현상 등을 뜻하며, 감각 기관과 마음에 의해 지각되고 생각되는 대상을 통틀어 이른다.
本來 거즛 주111)
거즛:
거짓. 헛된. 거즛[虛假](명사).
거시라 주112)
거시라:
것이라. 것이라서.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들며 주113)
들며:
들며. 들어올리며. 들-[擡]+며(대등적 연결어미).
누며 주114)
누며:
누르며. 누ᄅᆞ-[搦]+며(대등적 연결어미).
불며 주115)
불며:
불며. 불-[吹]+며(대등적 연결어미).
튜믈 주116)
튜믈:
치는 것을. 침을. 티-[拍]+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들며 누며 불며 튜 주117)
튜:
치는 것은. 침은. 티-[拍]+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류 주118)
류:
음악(音樂)할. 풍류(風流)할.
주119)
젯:
때의. 적의. 제[時]+ㅅ(관형격조사).
이리라 주120)
이리라:
일이다. 일[事]+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어로 주121)
어로:
가히. 어로[可](부사).
짐쟉 몯호 주122)
몯호:
못함을. 못하는 것을. 몯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니니 주123)
니니:
이르니. 말하니. 니ᄅᆞ-[謂]+니(종속적 연결어미).
三贒 주124)
삼현(三贒):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 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11위(位)에서 40위(位)까지인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이른다.
十聖이 주125)
십성(十聖)이:
십성(十聖)이. ‘이’는 주격조사.
三賢 주126)
삼현(三贒)ᄂᆞᆫ:
삼현(三賢)은. ‘ᄂᆞᆫ’은 선행명사 말음에 따른 중철 표기.
十住 주127)
십주(十住):
대승불교 보살 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11위에서 제2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십신(十信)을 지나서 마음이 진제(眞諦), 곧 진리에 안주(安住)하는 단계라는 뜻에서 십주(十住)라고 한다.
十行 주128)
십행(十行):
대승불교 보살 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21위에서 제3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이 닦는 열 가지 행(行)이나 그 행을 닦는 보살의 계위를 가리킨다.
十廻向이오 주129)
십회향(十迴向)이오:
십회향(十迴向)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십회향’은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31위부터 4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회향(迴向), 또는 십회향심(十迴向心)이라고도 하고, 줄여서 십향(十向)이라 하기도 한다. 회향(廻向)은 대비심(大悲心)으로 일체 중생을 구호한다는 뜻이다
十聖 주130)
십성(十聖):
십성(十聖)은. ‘ᄋᆞᆫ’은 보조사. ‘십성’은 십지보살(十地菩薩)을 이른다.
十地菩薩이라 주131)
십지보살(十地菩薩)이라:
십지보살(十地菩薩)이다. ‘십지보살’은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분이다.
어로 주132)
어로:
가(可)히. 어로(부사).
엿오디 주133)
엿오디:
엿보지. 엿오-[窺覬]+디(보조적 연결어미).
몯거니 주134)
몯거니:
못하거니. 몯ᄒᆞ-+거니(연결어미).
미혹 주135)
미혹:
미혹한. 어리석은.
凡夫ㅣ 주136)
범부(凡夫)ㅣ:
범부(凡夫)가. ‘ㅣ’는 주격조사. ‘범부’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을 이른다.
엣디 주137)
엣디:
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짐쟉리오 주138)
짐쟉리오:
짐작하겠느냐. 짐쟉ᄒᆞ-[擬議]+리(추측법선어말어미)+고/오(설명의문형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번영한 표기.
그럴 주139)
그럴:
그러므로. 그러ᄒᆞ-[故]+ㄹᄉᆡ(연결어미).
古德이 주140)
고덕(古德)이:
고덕(古德)이. ‘이’는 주격조사. ‘고덕’은 덕행(德行)이 높은 옛적의 승려를 이른다.
닐오 주141)
닐오:
이르되. 말하기를. 니ᄅᆞ-[云]+오ᄃᆡ(연결어미).
鴛鴦 【鴛鴦 새라 주142)
새라:
새이다. 새[鳥]+∅(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繡 주143)
수(繡):
수(繡)떠서. 수놓아. 수ᄯᅳ-[綉]+어(연결어미).
내야 주144)
내야:
내어. 내-[出]+야(연결어미).
그 주145)
그:
그대를. 그대에게. 그ᄃᆡ[君]+ᄅᆞᆯ(목적격조사).
보욜디언 주146)
보욜디언:
보일지언정. 보-[看]+이(사동접미사)+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디언뎌ᇰ(연결어미).
쇠바 주147)
쇠바:
쇠바늘을. 쇠바ᄂᆞᆯ[金鍼].
자바 주148)
자바:
잡아. 잡아서. 잡-[把]+아(연결어미).
사 주149)
사:
사람에게. 남에게. 사ᄅᆞᆷ[人]+ᄋᆞᆯ(목적격조사).
주디 주150)
주디:
주지. 주-[與]+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라 주151)
몯리라:
못할 것이다. 못하리다.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도다 주152)
도다:
하였도다. 하도다. ᄒᆞ-+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대(臺)에 얹었다고 하는 것은, 거울이 대(臺)에 얹어져 있는 것과 같다고 하는 것이다. 맞게 쓴다고 하는 것은, 맑은 거울이 대에 얹어져 있는 것 같아서, 오랑캐가 오면 오랑캐가 나타나며 한인(漢人)이 오면 한인이 나타나는 것이다. 맑은 구슬은 조개 구슬[진주]이다. 심인(心印)으로부터 정위전(正位前)·일색(一色)에 이르기까지 다 그 사람이 수용(受用)함에 (달려) 있어서 뚜렷하여 그윽함이 없음이다. 그림자를 옮기며 기틀[機]을 없게 한다고 하는 것은, 비록 그 사람의 수용에 (달려) 있으나 마음과 몸이 형상(形相)이 없으며, 경(境)이 본래 거짓된 것이라서, 들고, 누르고, 불고, 치는 것을 【들고, 누르고, 불고, 치는 것은 음악 연주할 때의 일이다.】 가히 짐작 못함을 이른다. 삼현(三賢) 십성(十聖)이 【삼현(三賢)은 십주(十住)와 십행(十行)과 십회향(十廻向)이고, 십성(十聖)은 십지보살(十地菩薩)이다.】 가히 엿보지 못하거니, 미혹한 범부가 어찌 짐작하겠는가? 그러므로 고덕(古德)이 이르되, “원앙(鴛鴦)을 【원앙은 새이다.】 수놓아 내어 그대에게 보일지언정 쇠바늘을 잡아 남에게 주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且學徒ㅣ 有等고 妙理 無窮야 達事者ㅣ 稀고 迷源者ㅣ 衆이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홀 주153)
홀:
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무리 주154)
무리:
무리가. 사람들이. 무리[徒]+∅(주격조사).
差等이 주155)
차등(差等)이:
등급의 차이가. 차등(差等)이. ‘이’는 주격조사. ‘차등(差等)’은 차이가 나는 등급(等級)이나 등급(等級)의 차이를 이른다.
잇고 주156)
잇고:
있고. 잇-[有]+고(대등적 연결어미).
微妙 주157)
미묘(微妙):
미묘(微妙)한. 미묘(微妙)ᄒᆞ-+ㄴ(관형사형어미). ‘미묘(微妙)’는 섬세하고 묘(妙)하다는 뜻이다. 또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理 주158)
이(理):
이(理)는. 이치(理致)는. ‘ᄂᆞᆫ’은 보조사. ‘이(理)’는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다업서 주159)
다업서:
다함이 없어. 다ᄋᆞ-[窮]+ㄹ(동명사어미)#없-[無]+어(연결어미).
주160)
일:
일을. 일[事](명사).
 주161)
:
꿰뚫어. 사뭇. ᄉᆞᄆᆞᆺ[철저(徹底)](부사).
알리 주162)
알리:
아는 이가. 알-[達]+ㄹ(관형사형어미)#이+∅(주격조사).
드믈오 주163)
드믈오:
드물고. 드믈-[稀]+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根源에 주164)
근원(根源)에:
근원(根源)에. ‘근원(根源)+에(처소부사격조사)’. ‘근원(根源)’은 사물이 생겨나는 본바탕을 이른다.
어즐리 주165)
어즐리:
혼미(昏迷)한 이가. 어두운 사람이. 어즐ᄒᆞ-[昏迷]+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한 디라 주166)
한 디라:
많은 것이다. 하-[多]+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배우는 무리가 차등(差等)이 있고 미묘한 이(理)는 다함이 없어, 일을 꿰뚫어 아는 이가 드물고 근원(根源)에 혼미한 이가 많은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雲峯이 云호 設有十箇五箇ㅣ라도 走上走下며 半靑

십현담요해언해:4ㄴ

半黃호 惣道我會了也호라 야 各各自謂握龍虵之寶호라 니 孰肯知非ㅣ리오 及乎編辟挨拶將來건댄 直是萬中無一리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雲峯이라 주167)
운봉(雲峯)이라:
운봉(雲峯)이라고. 운봉(雲峯)+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운봉(雲峯)’은 중국 북송(北宋) 때의 승려 운봉문열(雲峯文悅 : 998~1062)을 가리킨다. 대우수지(大愚守芝)스님의 법을 이었으며, 남악회양(南嶽懷讓)의 11세손이다.
주168)
홀:
하는.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祖師ㅣ 주169)
조사(祖師)ㅣ:
조사(祖師)가. ‘ㅣ’는 주격조사. ‘조사(祖師)’는 한 종파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서 주장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니샤 주170)
니샤:
이르시되. 니ᄅᆞ-[云]+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혀 주171)
혀:
행여. 설사.
열 낫 주172)
열 낫:
열 낱[十箇]. 열 개. ‘낫[箇]’은 ‘낯’ 또는 ‘낱’으로도 썼다.
다 주173)
다:
다섯. 다ᄉᆞᆺ[五](수사).
낫치라도 주174)
낫치라도:
낱이라도. 개(箇)라도. 낫[箇]+이(서술격조사)+라도(종속적 연결어미). ‘치’는 선행명사의 말음이 ‘낫’ 또는 ‘낯’으로 실현된 데서 오는 혼철 표기임.
【열 낫과 다 낫 주175)
낫:
낱은. 개(箇)는. 낫[箇]+ᄋᆞᆫ(보조사). ‘ᄎ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이 ‘낫’ 또는 ‘낯’으로 실현된 데서 오는 혼철 표기임.
조심 주176)
조심:
조심하는. 조심(操心)ᄒᆞ-+ㄹ(관형사형어미).
사미라 주177)
사미라:
사람이다. 사ᄅᆞᆷ[人]+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노  주178)
노 :
높은 데. 높은 데로. 높-[上]+ᄋᆞᆫ(관형사형어미)#ᄃᆡ(의존명사).
며 주179)
며:
달리며. ᄃᆞᄅᆞ-[走]+며(대등적 연결어미).
가온  주180)
가온 :
낮은 데. 낮은 데로. ᄂᆞᆺ가ᇦ-[低]+ᄋᆞᆫ(관형사형어미)#ᄃᆡ(의존명사).
며 【노 와 가온  다 주181)
다:
달린다. 달린다고. ᄃᆞᆮ-[走]+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주182)
호:
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믿귿 주183)
믿귿:
밑끝을. 본말(本末)을.
모닷 주184)
모닷:
모른다는. 모른다고 하는. 모ᄅᆞ-[不知]+닷(연결어미).
마리라 주185)
마리라:
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半만 주186)
반(半)만:
반(半)만. 반(半)은. 반(半)쯤.
프르며 주187)
프르며:
푸르며. 프르-[靑]+며(대등적 연결어미).
半만 누르로 주188)
누르로:
누르되. 누른데도. 누를-[黃]+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菓實이 주189)
과실(菓實)이:
과일이.
半만 설오 주190)
설오:
설고. 덜 익고. 설-+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半만 니근 주191)
니근:
익은. 닉-[熟]+은(보조사).
라 주192)
라:
모습이다. 야ᇰᄌᆞ(樣子)+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93)
다:
다. 모두. 다[惣](부사).
닐오 주194)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ᄅᆞ-[道]+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195)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아노라 주196)
아노라:
안다. 알-[會了]+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야 各各 龍虵 주197)
용사(龍虵):
용(龍)과 뱀[虵]의. 용사(龍虵)+ᄋᆡ(관형격조사).
보 주198)
보:
보배를. 보ᄇᆡ[寶]+ᄅᆞᆯ(목적격조사).
자뱃노라 주199)
자뱃노라:
잡았다. 잡았노라. 잡-[握]+아(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니 주200)
니:
하느니. 말하느니. ᄒᆞ-[謂]+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龍虵 보 貴 보라】 주201)
뉘:
누가. 누[孰]+ㅣ(주격조사).
주202)
왼:
그른. 외-[非]+ㄴ(관형사형어미).
주 주203)
주:
줄을. 것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알리오 주204)
알리오:
알겠는가. 알겠느냐.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205)
혀:
잡아끌어. 혀-[引]+어(연결어미).
서러 주206)
서러:
거두어. 걷어치워. ᄌᆡ설-[辟]+어(연결어미).
주207)
텨:
쳐. 치고. 밀치어. 티-[挨]+어(연결어미).
다와다 주208)
다와다:
다그쳐. 다왇-[拶]+아(연결어미).
오매 주209)
오매:
옴애. 오-[來]+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혀 서러 텨 다왇다 호 實 주210)
:
곳. 곳을.
徵問 주211)
징문(徵問):
징문(徵問)하는. 징문(徵問)ᄒᆞ-+ㄹ(관형사형어미). ‘징문(徵問)’은 따지듯이 하는 질문(質問)을 이른다.
시라 주212)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젼혀 一萬애 나토 주213)
나토:
하나도. 하나ㅎ[一]+도(보조사).
업도다 주214)
업도다:
없-[無]+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시다 주215)
시다:
하시다. 하셨다.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운봉(雲峯)이라고 하는 조사(祖師)가 이르시되, “행여 열 낱[名] 다섯 낱이라도 【열 낱과 다섯 낱은 조심하는 사람이다.】 높은 데 달리며 낮은 데 달리며, 【‘높은 데와 낮은 데 달리다.’라고 하는 것은 밑과 끝[本末]을 모른다는 말이다.】 반(半)만 푸르고 반만 누른데도, 【과일이 반은 설고 반은 익은 모습이다.】 모두 이르되, ‘내가 안다’고 하여 각각 용과 뱀의 보배를 잡았다고 하니 【용과 뱀의 보배는 귀한 보배이다.】 누가 그른 줄 알겠는가? 잡아끌고 거두어 치고 다그쳐 옴에, 【‘잡아끌고 거두어 치고 다그친다.’고 하는 것은 실(實)한 곳 따져 질문하는 것이다.】 전혀 일만(一萬)에 하나도 없도다.”라고 하셨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森羅萬象物物上明이언마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森羅萬象 주216)
삼라만상(森羅萬象):
삼라만상(森羅萬象). ‘삼라만상’은 우주 속에 존재하는 온갖 사물과 모든 현상을 이른다.
物物 주217)
물물(物物):
물물(物物)들. 온갖 사물(事物)들.
우희 주218)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처소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갯건마 주219)
갯건마:
밝았건마는. 밝아 있건마는. ‘ᄇᆞᆯ갯건마ᄅᆞᆫ’이 올바른 표기이다. ᄇᆞᆰ-[明]+아(연결어미)#잇-[有]+건마ᄅᆞᆫ(연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삼라만상(參羅萬像) 온갖 사물들 위에 밝았건마는,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只在世間上逆順境界야 人人이 各自受用이언마 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십현담요해언해:5ㄱ

젼혀
주220)
젼혀:
전(全)혀. 전적으로. 오로지. 젼혀(부사).
世間ㅅ 주221)
세간(世間)ㅅ:
세간(世間)의. ‘ㅅ’은 관형격조사.
구며 주222)
구며:
궂으며. 궂-[逆]+으며(대등적 연결어미).
됴 주223)
됴:
좋은. 둏-[順]+ᄋᆞᆫ(관형사혀어미).
境界예 주224)
경계(境界)예:
경계(境界)에.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경계’는 자기 세력이 미치는 범위, 또는 과보(果報)에 의하여 각자에게 주어진 지위(地位)나 처지를 이른다.
이셔 주225)
이셔:
있어. 이시-[在]+어(연결어미).
사마다 주226)
사마다:
사람마다. 사ᄅᆞᆷ[人]+마다(보조사).
各各 주227)
제:
스스로. 제[自](부사).
受用건마 주228)
수용(受用)건마:
받아서 쓰지만. 수용(受用)ᄒᆞ-+건마ᄅᆞᆫ(연결어미).
주229)
혼:
하는.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마리라 주230)
마리라:
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다만 세상의 궂고 좋은 지위나 처지에 있어 사람마다 각각 스스로 수용(受用)하건마는 하는 말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或理事늘 雙祛야 名言이 俱喪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주231)
이(理):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주232)
사(事):
일체 차별의 모양, 곧, 현상계를 이른다.
둘 주233)
둘:
둘을. 둘ㅎ[二]+ᄋᆞᆯ(목적격조사).
으리와다 주234)
으리와다:
벌리어. 벌어지게 해서. 버ᇰ으리왇-[祛]+아(연결어미).
일홈과 주235)
일홈과:
이름과. 일홈[名]+과(접속조사).
말괘 주236)
말괘:
말이. 말ᄉᆞᆷ[言]+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당시의 문법에서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에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하였다.
업슬 주237)
업슬:
없으므로. 없-[喪]+을ᄉᆡ(종속적 연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혹 이(理)와 사(事) 둘을 벌리어 이름과 말이 모두 없으므로,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理事雙祛 言善能回互시오 名言俱喪 言不可名狀시니 此法이 太近而彌遠이라 雖在眼前이나 爭奈不見가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理와 事와 둘 으리왇다 주238)
으리왇다:
벌린다. 벌린다고. 버ᇰ으리왇-[祛]+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주239)
호:
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이대 주240)
이대:
잘. 좋게. 이대[善](부사).
수이 주241)
수이:
쉽게. 수이[能](부사).
回互호 주242)
회호(回互)호:
회호(回互)함을. 회호(回互)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회호(回互)’는 상호(相互) 순회하여 갈마들어 서로 회피한다는 뜻이다.
니고 주243)
니고:
이르고. 말하고. 니ᄅᆞ-[言]+고(대등적 연결어미).
【回互 서 주244)
서:
서로. 서ᄅᆞ[互](부사).
回避 주245)
회피(回避):
회피(回避)하는. 회피(回避)ᄒᆞ-+ㄹ(관형사형어미).
시니 주246)
시니:
것이니.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247)
이(理):
이(理)가. 이(理)+∅(주격조사).
나 주248)
나:
나타난. 낱-[現]+ᄋᆞᆫ(관형사형어미).
해 주249)
해:
곳에. ᄯᅡ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事ㅣ 주250)
사(事)ㅣ:
사(事)가. ‘ㅣ’는 주격조사.
숨고 주251)
숨고:
숨고. 숨-[隱]+고(대등적 연결어미).
事 나 해 理 수믈 주252)
수믈:
숨는. 숨-[隱]+을(관형사형어미).
시라 주253)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일홈과 말괘 다 업다 주254)
업다:
없다고. 없-[喪]+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어로 주255)
어로:
가히. 어로[可](부사).
일홈 주256)
일홈:
이름지어. 일홈[名].
얼굴 주257)
얼굴:
형상(形狀). 형상(形狀)을.
몯 주258)
몯:
못하는. 몯ᄒᆞ-[不]+ㄹ(관형사형어미).
시니 이 法이 주259)
법(法)이:
법(法)+이(주격조사). ‘법(法)’은 범어로 ‘dharma’라고 한다.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가리킨다.
 주260)
:
가장. 매우. ᄀᆞ자ᇰ[太](부사).
갓가오 주261)
갓가오:
가깝되. 갓가ᇦ-[近]+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 머러 주262)
머러:
멀어서. 멀-[遠]+어(연결어미).
비록 눈 알 주263)
눈 알:
눈앞에. 눈 앒[眼前]+ᄋᆡ(부사격조사). ‘앒[前]’은 부사격조사로 ‘ᄋᆡ’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이셔도 주264)
이셔도:
있어도. 이시-[在]+어도(종속적 연결어미).
아니 몯 보녀 주265)
보녀:
보느냐. 보는가. 보-[見]+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녀(의문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理)와 사(事) 둘을 벌린다고 하는 것은 잘 쉽게 회호(回互)함을 말하고, 【회호(回互)는 서로 회피하는 것이니, 이(理)가 나타난 곳에 사(事)가 숨고, 사가 나타난 곳에 이理)가 숨는 것이다.】 이름과 말이 다 없다고 하는 것은 가히 이름 지어 형상(形狀) 못하는 것이니, 이 법(法)이 매우 가깝되 매우 멀어 비록 눈앞에 있어도 못 보지 않느냐?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是以로 殷勤指月노니 莫錯端倪어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럴 주266)
이럴:
이러므로. 이러ᄒᆞ-+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是故](부사).
브즈러니 주267)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러니[勤](부사).
 주268)
: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치노니 주269)
치노니:
가리키니. 가리키느니. ᄀᆞᄅᆞ치-[指]+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그틀 주270)
그틀:
끝을. 끝[端]+을(목적격조사).
그 주271)
그:
잘못. 그릇. 그ᄅᆞ[錯](부사).
아디 주272)
아디:
알지. 알-[識]+디(보조적 연결어미).
마롤디어다 주273)
마롤디어다:
말지어다. 말아야 할 것이다. 말-[莫]+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디어다(당위성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러므로 부지런히 달을 가리키느니, 끝을 잘못 알지는 말지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십현담요해언해:5ㄴ

指月 以指로 示月이니 如世間慈母ㅣ 敎小兒호 以指로 示月다가 及乎見月면 便忘示指논디 如善知識이 以言語文字로 指示眞法다가 及乎深造면 便知此法이 非言語文字시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치다 주274)
치다:
가리키다. 가리킨다고. ᄀᆞᄅᆞ치-[指]+다(평서형 종결어미).
호 주275)
호:
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쏜(손)라고로 주276)
쏜(손)라고로:
손가락으로. 소ᇇ가락[指]+오로(도구 부사격조사).
 주277)
: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쵸미니 주278)
쵸미니:
가리킴이니. 가리키는 것이니. ᄀᆞᄅᆞ치-[指]+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世間에 子息  주279)
:
사랑하는. ᄉᆞ라ᇰᄒᆞ-[慈]+ᄂᆞᆫ(관형사형어미).
어미 주280)
어미:
어미가. 어미[母]+∅(주격조사).
아 주281)
아:
아이를. 아ᄒᆡ[兒]+ᄅᆞᆯ(목적격조사).
쵸 주282)
쵸:
가르치되. ᄀᆞᄅᆞ치-[敎]+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쏜라로  치다가 주283)
치다가:
가리키다가. ᄀᆞᄅᆞ치-[指]+다가(연결어미).
옷 주284)
옷:
달만. 달만을. ᄃᆞᆯ[月]+곳/옷(보조사). ‘옷’은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보면 믄득 치던 주285)
치던:
가리키던. ᄀᆞᄅᆞ치-[指]+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여기서 진실한 법을 ‘지시(指示)’하는 것은 ‘가르치는’ 것을 뜻한다.
쏜(손)라 주286)
쏜(손)라:
손가락을. 소ᇇ가락[指]+ᄋᆞᆯ(목적격조사).
닛논 주287)
닛논:
잊는. 잊어버리는. 닛-[忘]+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288)
디:
것이. ᄃᆞ(의존명사)+ㅣ(주격조사).
善知識이 주289)
선지식(善知識)이:
선지식(善知識)이. ‘이’는 주격조사. ‘선지식’은 불타(佛陀)의 교법(敎法)을 설(說)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덕이 높은 승려를 이른다.
말과 文字로 眞實 法블 치다가 외 주290)
외:
깊이. ᄉᆞ외[深](부사).
알면 주291)
알면:
알면. 깨달으면. 알-[識/覺]+면(종속적 연결어미).
곧 이 法이 말 文字ㅣ 아뇨 주292)
아뇨:
아님을. 아닌 것을. 아니-[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아롬 주293)
아롬:
아는 것과. 깨닫는 것과. 알-[知]+옴/움(명사형어미).
 주294)
:
같은. ᄀᆞᆮᄒᆞ-[如]+ㄹ(관형사형어미).
시라 주295)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달을 가리킨다고 하는 것은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 것이니, 세간(世間)에 자식을 사랑하는 어미가 아이를 가르치되,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다가 달만을 보면 문득 가리키던 손가락을 잊어버리는 것이 선지식(善知識)이 말과 문자로 진실한 법(法)을 가르치다가 깊이 깨달으면, 곧 이 법이 말과 문자가 아님을 깨닫는 것과 같은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不迷透水之鍼야 可付開拳之寶ㅣ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므레 주296)
므레:
물을. 물에. 믈[水]+에(처소부사격조사).
 주297)
:
꿰뚫은. 속에 들어가 있는. ᄉᆞᄆᆞᆾ-[透]+ᄋᆞᆫ(관형사형어미).
바 주298)
바:
바늘에. 바늘을. 바ᄂᆞᆯ[鍼]+ᄋᆞᆯ(목적격조사).
어즐티 주299)
어즐티:
흔들리지. 미혹(迷惑)되지. 어즐ᄒᆞ-[迷]+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주300)
아니야:
아니하여야. 않아야.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어로 주301)
어로:
가히. 어로[可](부사).
쏜(손) 주302)
쏜(손):
손을. 손[手](명사).
주303)
편:
편. 펴-[開]+ㄴ(관형사형어미).
보 주304)
보:
보배를. 보ᄇᆡ[寶]+ᄅᆞᆯ(목적격조사).
맛디리라 주305)
맛디리라:
맡길 것이다. 맡길 수 있을 것이다. 마ᇨ-[付]+이(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물속에 들어가 있는 바늘
(=모습)
에 흔들리지 않아야, 가히 손을 편 보배를 맡길 수 있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第十五祖伽那提婆ㅣ 謁龍樹大士야시 龍樹ㅣ 知

십현담요해언해:6ㄱ

是智人인고 以滿鉢水로 示之신대 伽那提婆ㅣ 即以一鍼으로 投之시고 欣然契會시니 上句 言學人이 於此言下애 豁然契悟시라 又 二十四祖師子比丘ㅣ 遇一長者ㅣ 引一子 曰 此子ㅣ 名曰斯多ㅣ니 當生애 便拳左手니 願聞宿因노다 師即以手로 提接曰 還我珠來라 신대 童子遽開手야 奉珠야 衆皆驚異대 師曰 吾ㅣ 前爲僧時예 有童子ㅣ 名이 婆舍ㅣ러니 吾ㅣ 赴西海齋야 受嚫珠야 付之호니 今還吾珠ㅣ 理固然矣니라 야시 長者ㅣ 遂捨其子야 出家대 師ㅣ 即 授具戒시고 以前緣故로 名 婆舍斯多ㅣ라 샤

십현담요해언해:6ㄴ

以爲法嗣시니 下句 言若於此言下애 契悟則은 便能印可야 以爲嫡子矣리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열다잿 주306)
열다잿:
열다섯째의. 열다ᄉᆞᆺ재[第十五]+ㅅ(관형격조사).
祖師 주307)
조사(祖師):
불교에서 한 종파(宗派)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 주장한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伽那提婆 주308)
가나제바(伽那提婆):
‘가나제바(伽那提婆)’는 범어 카나데바를 음사(音寫)하여 쓴 것. 성(姓)은 비사라(毘舍羅)이다. 남인도 출생. 한쪽 눈이 장애를 입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한쪽 시각 장애라는 뜻의 ‘가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의 제15대 제자로, 스승 용수(龍樹) 조사와 함께 삼론종(三論宗)의 시조에 해당된다. 외도들과 논쟁하여 이들을 개종시킨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백론(百論)』 등의 저서가 있다. 처음에는 복업(福業)을 구하여 변론을 즐겼으나, 용수에게서 불교를 배워 공종(空宗)의 오의를 깨닫고 전등사법(傳燈嗣法)이 되었다고 한다.
龍樹 주309)
용수(龍樹):
원래 이름은 나가르주나(Nāgārjuna)다. ‘nāga’는 용(龍)이고 ‘arjuna’는 나무의 일종이기에 중국에서 용수(龍樹)로 옮겼고, 우리나라에서도 그렇게 불러왔다. 남인도 출생이지만, 북인도로 가서 당시 인도의 사상(思想)을 공부하고, 『반야경』, 『화엄경』 등 대승(大乘) 경전의 사상을 간결하게 잘 정리해서 대승불교의 기초를 놓았다고 전한다.
大士ㅅ 주310)
대사(大士)ㅅ:
대사(大士)께. 대사로부터. ‘ᄭᅴ’는 높임의 부사격조사인데, ‘ㅅ’을 겹쳐 적었다. ‘대사(大士)’는 불법(佛法)에 귀의하여 신심(信心)이 두터운 사람을 이른다.
뵈와 주311)
뵈와:
뵈었거늘. 뵈었는데. 뵈-[謁]+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ᄂᆞᆯ(연결어미).
龍樹ㅣ 智慧로왼 주312)
지혜(智慧)로왼:
지혜(智慧)로운. 지혜(智慧)로외-+ㄴ(관형사형어미).
사민  주313)
사민 :
사람인 것을. 사ᄅᆞᆷ[人]+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아시고 주314)
아시고:
아시고. 알-[知]+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바리예 주315)
바리예:
바리에. 발우에. 바리[鉢]+예(처소부사격조사).
 주316)
:
가득한. 가ᄃᆞᆨᄒᆞ-[滿]+ㄴ(관형사형어미).
므를 주317)
므를:
물을. 믈[水]+을(목적격조사).
뵈신대 주318)
뵈신대:
보이시니. 보이신즉. 보-[示]+이(사동접미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伽那提婆ㅣ 즉재 주319)
즉재:
즉시. 즉재[卽](부사).
 바로 주320)
 바로:
한 바늘로. ᄒᆞᆫ[一](수관형사)#바ᄂᆞᆯ[鍼]+로(도구부사격조사).
더디시고 주321)
더디시고:
던지시고. 더디-[投]+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깃거 주322)
깃거:
기뻐하여. 기ᇧ-[欣然]+어(연결어미).
아시니 주323)
아시니:
아시니. 깨달으시니. 알-[會]+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24)
웃:
위의. 웃[上](관형사).
句 홀 주325)
홀:
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사미 주326)
사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이 十玄談애 훤히 아로 주327)
아로:
아는 것을. 앎을. 알-[悟]+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니시니라 주328)
니시니라:
이르신 것이다. 이르시니라. 니ᄅᆞ-[言]+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스믈넷잿 주329)
스믈넷잿:
스물넷째의. 스믈넷재[二十四]+ㅅ(관형격조사).
祖師 師子 比丘 주330)
사자비구(師子比丘):
불교 선종(禪宗)의 제24대 조사(祖師)의 이름이다. 중인도(中印度) 사람이며 성은 바라문이다. 학륵나(鶴勒那)에게 전법을 받았고, 파사사다에게 의발(衣鉢)을 전하였다고 한다.
주331)
비구(比丘):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성 승려를 이른다.
ㅣ  長者 주332)
장자(長者):
덕망(德望)이 있고 경험이 많아 세상의 일에 밝은 어른을 이른다. 또는 부처님 당시에 상공업에 종사하며 부를 축적한 이를 그렇게 불렀다.
맛나니 주333)
맛나니:
만나니. 만났는데. 맛나-[遇]+니(종속적 연결어미).
 아 더브러 주334)
더브러:
데리고 와서. 함께 와서. 더블-[引]+어(연결어미).
와셔 오 주335)
오:
사뢰되. 말씀드리되. ᄉᆞᇕ-[白]+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이 子息이 일호미 주336)
일호미:
이름이. 일홈[名]+이(주격조사).
斯多 주337)
사다(斯多):
불교 선종(禪宗)의 제25대 조사(祖師)의 이름이다. 갖은 이름은 바사사다(婆舍斯多)이다. 인도 계빈국(罽賓國) 사람으로 성(姓)은 바라문(婆羅門)이다.
ㅣ니 주338)
날:
태어날. 나-[生]+ㄹ(관형사형어미).
주339)
제:
때부터. 제. 제[時].
곧 왼녁 소 주340)
소:
손을. 손-[手]+ᄋᆞᆯ(목적격조사).
주옛니 주341)
주옛니:
쥐었느니. 쥐고 있으니. 주이-[拳]+어(보조적 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아 주342)
아:
전생(前生)의. 예전의. 아ᄅᆡ[前]+ㅅ(관형격조사).
因緣 주343)
인연(因緣):
인연(因緣)을. 목적격조사. ‘ᄋᆞᆯ’이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거듭 적은 것이다. ‘인연(因緣)’은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듣와지이다 주344)
듣와지이다:
듣고 싶습니다. 듣-[聞]+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지이다(보조형용사).
야 주345)
야:
하거늘. ᄒᆞ-+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祖師ㅣ 즉재 쏘노로 주346)
쏘(소)노로:
손으로. 손[手]+오로(도구 부사격조사).
자바 주347)
자바:
잡아. 잡-[握]+아(연결어미).
니샤 주348)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ᄅᆞ-[曰]+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349)
내: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구쓸(슬) 주350)
구쓸(슬):
구슬을. 구슬[珠].
도로 달라 주351)
달라:
달라. 달라고. 달-[來]+라(명령형 종결어미).
신대 주352)
신대:
하시니. 하신즉. ᄒᆞ-+시(주체존대선어말어미)+ㄴ대(종속적 연결어미).
그 아기 즉재 쏜(손) 주353)
쏜(손):
손을. 손[手](명사).
주354)
펴:
펴서. 펴. 펴-[開手]+어(연결어미).
구쓸(슬) 받와 주355)
받와:
바치거늘. 받-[奉]+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모다 놀라 荒唐히 너긴대 주356)
너긴대:
여기니. 여긴즉. 너기-+ㄴ대(종속적 연결어미).
祖師ㅣ 니샤 주357)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前네 주358)
전(前)네:
전(前)에. 부사격조사가 ‘네’가 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 ‘ㄴ’을 거듭 적은 것이다.
주359)
:
중이. 쥬ᇰ[僧].
도외여실 제 주360)
도외여실 제:
되어 있을 때. 도외-[爲]+어(보조적 연결어미)#(이)시-[在]+ㄹ(관형사형어미)#제[時].
아 이쇼 주361)
이쇼:
있되. 이시-[有]+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일호미 주362)
일호미:
이름이. 일홈[名]+이(주격조사).
婆舍ㅣ러니 주363)
바사(婆舍)ㅣ러니:
바사(婆舍)이더니. 바사(婆舍)였는데. 바사(婆舍)+ㅣ(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西ㅅ녁 주364)
서(西)ㅅ녁:
서녘. 서쪽. ‘ㅅ’은 사잇소리 표기.
바 주365)
바:
바다의. 바ᄅᆞᆯ[海]+ㅅ(관형격조사). ‘바ᄅᆞᆳ’에서 ‘ㅅ’ 앞의 ‘ㄹ’이 탈락된 형태.
僧齋예 주366)
승재(僧齋)예:
승재(僧齋)에. ‘승재(僧齋)’는 승려를 초청하여 음식을 접대하는 불교의 종교의례 중 하나이다.
施與혼 주367)
시여(施與)혼:
시여(施與)한. 거저 준. 시여(施與)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시여(施與)’는 남에게 물건을 거저 준다는 뜻이다.
구쓸(슬) 바다 주368)
바다:
받아. 받-[受]+아(연결어미).
맛됴니 주369)
맛됴니:
맡겼으니. 맛디-[付]+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이제 내 구쓸(슬) 도로 주미 주370)
주미:
줌이. 주는 것이. 주-[還]+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주-(거성)’의 어간 말음이 /ㅜ/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줌]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理예 주371)
이(理)예:
이치(理致)에. 사리(事理)에. ‘예’는 부사격조사.
올니라 주372)
올니라:
옳으니라. 옳다. 옳-[然/是]+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야시 주373)
야시:
하시거늘. 하시니. ᄒᆞ-+야시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長者ㅣ 즉재 그 子息글 주374)
자식(子息)글:
자식(子息)을. 목적격조사에 ‘글’이 쓰인 것은 선행명사 말음인 ‘ㄱ’을 거듭 적은 형태임.
내야 주375)
내야:
내어. 내-[出]+야(연결어미).
出家대 주376)
출가(出家)대:
출가(出家)시키니. 출가(出家)시킨즉. 출가(出家)ᄒᆞ-+ㄴ대(종속적 연결어미).
祖師ㅣ 즉재  주377)
:
갖은. ᄀᆞᆽ-[具]+ᄋᆞᆫ(관형사형어미).
戒法블 주378)
계법(戒法)블:
계법(戒法)을. ‘계법(戒法)’은 계율(戒律)의 법칙(法則)이다. ‘블’은 선행명사 말음인 ‘ㅂ’을 거듭 적은 형태임.
맛디시고 주379)
맛디시고:
맡기시고. 맛디-[付]+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前因 주380)
전인(前因):
전생(前生)의 인연(因緣)을 이른다.
젼로 일호 婆舍斯多ㅣ라 샤 法嗣 주381)
법사(法嗣):
법통(法統)을 이어받은 제자(弟子)를 이른다.
사시니 주382)
사시니:
삼으시니. 삼-[爲]+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法嗣 法 니 주383)
니:
이은. 니ᇫ-[嗣]+ᄋᆞᆫ(관형사형어미).
弟子ㅣ라】
아랫 주384)
아랫:
아래의. 아래[下]+ㅅ(관형격조사).

십현담요해언해:7ㄱ

句 다가 이 十玄談애 알면 주385)
알면:
알면. 깨달으면. 알-[悟]+면(종속적 연결어미).
즉재 印可야 주386)
인가(印可)야:
인가(人家)하여. ‘인가(印可)’는 스승이 제자의 깨친 마음이나 설법(說法)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계보를 증명하는 중요한 인증(認證) 수단이 되기도 한다.
【印可 善知識 주387)
선지식(善知識):
불타(佛陀)의 교법(敎法)을 설(說)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덕이 높은 승려를 말한다.
올타 주388)
올타:
옳다고.
 시라 주389)
 시라:
하는 것이다.
親 子息이 도외리라 주390)
도외리라:
될 것이다. 도외-[爲]+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열다섯째의 조사(祖師)인 가나제바(伽那提婆)가 용수대사(龍樹大士)를 뵈었는데, 용수께서 (가나제바가) 지혜로운 사람인 것을 아시고, 바리에 가득한 물을 보이셨다. 가나제바가 즉시 하나의 바늘을 (그 물 속에) 던지시고 기뻐하며 깨달으시니, 위의 구(句)는 배우는 사람이 이 십현담에 대해 훤히 아는 것을 이르신 것이다. 또 스물넷째의 조사(祖師)인 사자(師子) 비구가 한 장자(長者)를 만났는데, (그 장자가) 한 아이를 데리고 와서 사뢰되, “이 자식이 이름이 사다(斯多)인데, 태어날 때부터 왼쪽 손을 쥐고 있으니, 전생의 인연을 듣고 싶습니다.”라고 하였다. 조사가 즉시 손을 잡고 이르시되, “내 구슬을 도로 달라.”고 하시니, 그 아이가 즉시 손을 펴서 구슬을 바쳤다. 모두 놀라 황당하게 여기니, 조사가 이르시되, “내가 전에 중이 되어 있을 때, 아이가 있되 이름이 바사(婆舍)였는데, 내가 서쪽 바다의 승재(僧齋)에 가서 시여(施與)한 구슬을 받아 (바사에게) 맡겼으니, 이제 내 구슬을 도로 주는 것이 이치에 옳으니라.”라고 하셨다. 장자가 즉시 그 자식을 내어 출가시키니, 조사가 즉시 갖은 계법(戒法)을 맡기시고, 전생의 인연(因緣) 까닭으로 이름을 바사사다(婆舍斯多)라 하시어 법사(法嗣)로 삼으셨다. 【법사(法嗣)는 법(法)을 이은 제자이다.】 아래의 구(句)는 만약 이 십현담(十玄談)에 대해 깨달으면 즉시 인가(印可)하여 【인가(印可)는 선지식(善知識)이 옳다고 하는 것이다.】 친자식[嫡子]이 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略序微言야 以彰事理노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잠간 주391)
잠간:
조금. 잠간. 간략히. 잠간(暫間)(부사).
그 주392)
그:
그윽한. 그ᅀᅳᆨᄒᆞ-[微]+ㄴ(관형사형어미).
마 주393)
마:
말을. 말[言]+ᄋᆞᆯ(목적격조사).
베퍼 주394)
베퍼:
베풀어. 베프-[施]+어(연결어미).
事와 주395)
사(事)와:
사(事)와. ‘와’는 접속조사. ‘사(事)’는 현상계에서 각기 다르게 보이는 모양, 곧, 현상계를 이른다.
理와 주396)
이(理)와:
이(理)를.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 ‘과/와’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시켰다. ‘이(理)’는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나토노라 주397)
나토노라:
나타내노라. 낱-[彰]+오(사동접미사)+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간략히 그윽한 말을 베풀어 사(事)와 이(理)를 나타내노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微言 隱密之言이니 千聖不傳之宗旨也ㅣ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그 마 주398)
마:
말은. 말[言]+ᄋᆞᆫ(보조사).
隱密 주399)
은밀(隱密):
은밀(隱密)ᄒᆞ-+ㄴ(관형사형어미). ‘은밀(隱密)’은 생각이나 행동을 숨겨서 행적이 드러나지 않는 것을 이른다.
말미니 주400)
말미니:
말이니. 말ᄉᆞᆷ[言]+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千聖 주401)
천성(千聖):
역대(歷代)의 제대조사(諸大祖師) 등 많은 수의 선사(禪師)들을 가리킨다.
傳티 주402)
전(傳)티:
전(傳)하지. 전(傳)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샨 주403)
아니샨:
않으신. 아니하신. 아니ᄒᆞ-[不]+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리라 주404)
리라:
으뜸이다. 종지(宗旨)이다. ‘종지(宗旨)’는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이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그윽한 말은 은밀한 말이니, 천성(千聖)이 전하지 않으신 으뜸 가르침[宗旨]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辨題目이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題目 주405)
제목(題目):
제목(題目)을.
야 주406)
야:
가리어. 가려서. ᄀᆞᆯᄒᆡ-[辨]+아(연결어미).
닐오미라 주407)
닐오미라:
이르는 것이다. 말하는 것이다. 니ᄅᆞ-[謂]+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제목(題目)을 가리어 말하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須分明見心印而後에 知祖意고 知祖意而後에 悟玄機고 悟玄機而後에 辨塵異고 辨塵異 則佛敎늘 可審고 審佛敎 則便能還鄕고 還鄕而後에 須知非住ㅣ니 須知非住ㅣ나 不能廻機면 亦是滲漏ㅣ론 故로 廻機之後에 須

십현담요해언해:7ㄴ

識轉位ㅣ오 轉位之後에 一色이 泠然야 無可比方일 須明一色야 乃可和座子撞倒야 荆棘林中에 恬然下脚며 夜明簾外예 脫體朝君리니 明了一色면 卽見心印이라 一玄談裏예 各具十門야 總持無窮리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모로매 주408)
모로매: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子細히 心印 본 後에 주409)
후(後)에:
후(後)에야. 후(後)+에(처소부사격조사)+ᅀᅡ(보조사).
祖師ㅅ 주410)
조사(祖師)ㅅ:
조사(祖師)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조사(祖師)’는 불교에서 한 종파(宗派)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 펼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여기서 가리키는 조사는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인 달마(達摩) 대사를 이른다.
들 주411)
들:
뜻을. ᄠᅳᆮ[意]+을(목적격조사).
알오 주412)
알오:
알고. 알-[知]+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祖師 達摩ㅣ라 주413)
달마(達摩)ㅣ라:
달마(達摩)이다. ‘달마’는 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祖師ㅅ 들 안 後에 玄妙 주414)
현묘(玄妙):
도리(道理) 등이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微妙)함을 이르는 말이다.
조가 주415)
조가:
기틀을. 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알오 玄妙 조가 안 後에 듣글와 주416)
듣글와:
티끌과. 듣글[塵]+와(부사격조사).
달오 주417)
달오:
다름을. 다른 것을. 다ᄅᆞ-[異]+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오 주418)
오:
가리고. 분별하고. ᄀᆞᆯᄒᆡ-[辨]+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반모음 ‘ㅣ’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듣그 世間 니니라】 듣글와 달오 면 뿌(부)텻 주419)
뿌(부)텻:
부처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부처’는 바른 진리를 깨달은 이라는 뜻이다.
敎文 주420)
교문(敎文):
교문(敎文)을. 종지와 교지의 가르침을. 목적격조사가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교문(敎文)’은 종교의 종지와 교리 등이 실려 있는 글, 여기서는 부처의 가르침이 담긴 경전 등을 이른다.
子細히 알오 뿌(부)텻 敎文 子細히 알면 곧 수이 주421)
수이:
쉽게.
本鄕으로 도라가고 주422)
도라가고:
돌아가고. 도라가-[還]+고(대등적 연결어미).
本鄕으로 도라간 後에 모로매 주423)
몯:
못. 몯[非](부사).
이수(슈) 주424)
이수(슈):
있음을. 잇-[住]+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아롤 디니 주425)
아롤 디니:
알 것이니. 알-[知]+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비록 몯 이술(슐) 주426)
이술(슐):
있을. 잇-[住]+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 주427)
주:
줄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아롤 주428)
아롤:
알. 알-[知]+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디나 주429)
디나:
것이나.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나(종속적 연결어미).
조가 쑤(수)이 주430)
쑤(수)이:
쉽게. 능히. 수이[易/能](부사).
도디 주431)
도디:
돌리지. 돌이키지. 도ᄅᆞ-[廻]+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면 주432)
몯면:
못하면. 몯ᄒᆞ-[不]+면(종속적 연결어미).
그도 주433)
그도:
그것도. 그도. 그(대명사)+도(보조사).
스믜여 주434)
스믜여:
스미어. 스믜-[滲]+어(보조적 연결어미).
디 주435)
디:
떨어지는. 디-[漏/落]+ᄂᆞᆫ(관형사형어미).
고딘 주436)
고딘:
것인. 곧[所]+이(서술격조사)+ㄴ(보조사).
젼로 주437)
젼로:
까닭으로. 젼ᄎᆞ[故]+로(도구 부사격조사).
【스믜여 듀 주438)
듀:
떨어짐은. 떨어지는 것은. 디-[漏/落]+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眞如 주439)
진여(眞如):
우주 만유에 보편하는 상주불변의 본체(本體). 체성이 평등하여 일체의 법에 두루 가득히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
잇디 주440)
잇디:
있지. 잇-[有]+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주441)
몯야:
못하여. 몯ᄒᆞ-[不]+야(연결어미).
情見느로 주442)
정견(情見)느로:
정견(情見)으로. ‘으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으로’가 ‘느로’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조사에 거듭 적은 표기. ‘정견(情見)’은 진실과 일치하지 않은 분별(分別)이나 판단(判斷)을 이른다. 곧 범부(凡夫)의 생각이다.
모게 주443)
모게:
모르게. 모ᄅᆞ-[不知]+게(보조적 연결어미).
내 주444)
내:
내닫는. 내달리는. 내ᄃᆞᆮ-[走]+ᄋᆞᆯ(관형사형어미).
시라 주445)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조가 횟도 주446)
횟도:
돌이킨. 휘도는. 횟돌-[廻]+ᄋᆞᆫ(관형사형어미).
後에 모로매 位(ㅣ) 주447)
위(位)(ㅣ):
위(位)가. * 명사의 끝소리가 [j]임에도 주격조사 ‘ㅣ’를 굳이 표기한 것은 이 책에서 ‘위’ 자를 주로 한자 ‘位’로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모ᄆᆞᆯ 주448)
올모ᄆᆞᆯ:
옮음을. 옮는 것을. 옮-[轉]+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알오 주449)
알오:
알고. 알-[識]+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位 正位(ㅣ)라 주450)
정위(正位)(ㅣ)라:
정위(正位)이다. ‘정위(正位)’는 소승(小乘)에서 말하는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이다. 곧 자기 하나의 수행, 또는 자기 형성을 이른다.
位(ㅣ) 올 주451)
올:
옮긴. 옮-[轉]+ᄋᆞᆫ(관형사형어미).
後에  비치 주452)
비치:
빛이. 빛[色]+이(주격조사).
가 주453)
가:
맑아. ᄆᆞᆰ-[冷然]+아(연결어미).
어로 주454)
어로:
가히. 어로[可](부사).

십현담요해언해:8ㄱ

가빌 주455)
가빌:
비(比)할. 가ᄌᆞᆯ비-[比]+ㄹ(관형사형어미).
히 주456)
히:
곳이. 데가. ᄯᅡㅎ[方]+이(주격조사).
업슬 주457)
업슬:
없으므로. 없-[無]+을ᄉᆡ(종속적 연결어미).
모로매  비 주458)
비:
빛을. 빛[色]+ᄋᆞᆯ(목적격조사).
겨 주459)
겨:
밝혀야. ᄇᆞᆰ-[明]+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 비 주460)
 비:
한 빛은[一色]. ᄒᆞᆫ(관형사)#빛[色]+ᄋᆞᆫ(보조사).
正位(ㅣ) 주461)
정위(正位)(ㅣ):
정위(正位)가. 바른 위치가. 정위(正位)는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를 뜻한다.
알 주462)
알:
앞의. 앒[前]+ᄋᆡ(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ᄋᆡᆺ’은 통합형조사.
一色이라 주463)
일색(一色)이라:
일색(一色)이다. 일색(一色)+이(서술격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어로 안 주464)
안:
자리. 방석. 포자(胞子). 안ᄭᅢ[座子](명사).
조쳐 주465)
조쳐:
좇아. 따라. 겸하여. 조치-[和]+어(연결어미).
두의텨 주466)
두의텨:
번드치어. 바꾸어. 뒤집어. 두의티-[撞倒]+어(연결어미).
가 주467)
가:
가시. 가ᄉᆡ[荊棘].
숨픐 주468)
숨(숩)픐:
수풀. 수풀의. 숩플[林]+ㅅ(관형격조사).
가온 주469)
가온:
가운데. 가온ᄃᆡ[中]
便安히 거며 주470)
거며:
걸으며. 걷-[步]+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바 주471)
바:
밤에. 밤[夜]+ᄋᆡ(처소부사격조사). ‘밤[夜]’은 처소부사격조사로 ‘ᄋᆡ’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 주472)
:
밝은. ᄇ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473)
발:
발의. 주렴의. 발[簾](명사).
밧긔 주474)
밧긔:
밖에서. 밖에. 바ᇧ[外]+의(처소부사격조사)
모 주475)
모:
몸을. 몸[體]+ᄋᆞᆯ(목적격조사).
버서 주476)
버서:
벗어. 벗-[脫]+어(연결어미).
님굼 주477)
님굼:
임금께. 님굼[君]+ᄭᅴ(격조사).
뵈오리니 주478)
뵈오리니:
뵐 것이니. 배알할 것이니. 뵈-[朝]+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 비 외 주479)
외:
심히. 매우. 철저히.
기면 주480)
기면:
밝히면. ᄇᆞᆰ-[明]+이(사동접미사)+면(종속적 연결어미). 어근 ‘ᄇᆞᆰ-’의 말음 ‘ㄱ’을 사동접미사 ‘이’ 앞에 거듭 적었다.
心印 주481)
심인(心印):
심인(心印)을. ‘ᄂᆞᆯ’은 명사 말음 ‘ㄴ’을 목적격조사의 첫소리에 거듭 적은 형태이다.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써 왔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볼 디라 주482)
볼 디라:
볼 것이다. 보-[見]+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玄談 주483)
 현담(玄談):
하나의 현담(玄談). ‘현담(玄談)’은 경론(經論)을 강의하기 전에 그 유래(由來)와 대의(大意)를 설명하는 말을 이른다.
소개 주484)
소개:
속에.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
열 法門이 주485)
열 법문(法門)이:
열 가지 법문(法門)이. ‘법문(法門)’은 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자 주486)
자:
갖추어져. 구비하여. ᄀᆞᆽ-[具]+아(연결어미).
모도자보미 주487)
모도자보미:
모아 가지는 것이. 모도잡-[摠持]+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그지업스리라 주488)
그지업스리라:
끝이 없을 것이다. 그지없을 것이다. 그지없-[無窮]+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모름지기 자세히 심인(心印)을 본 후에야 조사(祖師)의 뜻을 알고, 【조사는 달마이다.】 조사의 뜻을 안 후에야 현묘한 기(機)를 알고, 현묘한 기(機)를 안 후에야 티끌과 다름을 가릴 수 있을 것이다. 【티끌은 세상을 말한다.】 티끌과 다름을 가리면 부처의 교문(敎文)을 자세히 알고, 부처의 교문을 자세히 알면 곧 쉽게 본향(本鄕)에 돌아가고, 본향에 돌아간 후에 모름지기 못 있음을 알 것이니라. 비록 못 있을 줄을 알 것이나 기(機)를 쉽게 돌이키지 못하면, 그것도 스미어 떨어지는 것이므로, 【스미어 떨어진다는 것은 진여(眞如)에 있지 못하여 정견(情見)으로 모르게 내닫는 것이다.】 기(機)를 돌이킨 후에 모름지기 위(位)가 옮아가는 것을 알고, 【위(位)는 정위(正位)이다.】 위를 옮긴 후에 한 빛이 맑아 가히 비할 곳이 없으므로, 모름지기 한 빛을 밝혀야, 【한 빛은 정위(正位) 앞의 일색(一色)이다.】 가히 자리[座子]를 좇아 뒤집어 가시 수풀 가운데 편안히 걸으며, 밤에 밝은 발[簾]의 밖에서 몸을 벗어 임금을 뵐 것이다. 한 빛을 철저히 밝히면 곧 심인(心印)을 볼 것이다. 하나의 현담(玄談) 속에 열 가지 법문(法門)이 갖추어져 모아 가지는 것이 그지없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서(序)야:서(序)하여. 서문(序文)으로.
주002)
기픈:깊은. 깊-[玄]+은(관형사형어미).
주003)
말과:말씀과. 말ᄉᆞᆷ[談]+과(접속조사).
주004)
미묘(微妙):미묘(微妙)한.
주005)
구(句)ㅣ:구(句)가. 글귀가. ‘ㅣ’는 주격조사.
주006)
로:따로. ᄠᅩ로[逈](부사).
주007)
삼승(三乘)에:삼승(三乘)에서. ‘삼승(三乘)’은 중생을 수레에 태워 열반의 언덕으로 실어 나른다는 뜻으로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 세 가지 교법을 이르는 말이다.
주008)
나:나와. 나-[出]+아(연결어미).
주009)
성문(聲聞):성문승(聲聞乘)을 이른다. 성문의 목적인 아라한(阿羅漢)의 깨달음을 얻게 하는 교법(敎法)을 말한다. 곧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이를 관조하여 해탈을 얻는 교법이다.
주010)
연각(緣覺):연각승(緣覺乘)을 이른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깨달음을 얻는 지위, 곧 연각의 지위에 이르는 교법을 말한다. 스승에게 의지하지 않고 이치를 관조하여 깨달음을 얻는 교법이다.
주011)
보살(菩薩)왜라:보살이다. 보살(菩薩)+와(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보살(菩薩)’은 ‘보살승(菩薩乘)’을 이르는 말로, 스스로 부처가 됨과 아울러 남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교법(敎法)이다. 보살이 육바라밀 법문에 의해 스스로 해탈하고 남까지 해탈시켜 성불에 이르게 한다는 교법이다.
주012)
마:이미. ᄒᆞ마[旣](부사).
주013)
인연(因緣):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주014)
섯디:섞이지. 서ᇧ-[混]+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5)
아니며:아니하며. 아니ᄒᆞ-[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6)
오:홀로. ᄒᆞ오ᅀᅡ[獨](부사).
주017)
셔디: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8)
아니논:아니하는. 않는. 아니ᄒᆞ-[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19)
디라: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0)
인연(因緣)에:인연(因緣)에. ‘에’는 부사격조사.
주021)
섯디:섞이지. 서ᇧ-[混]+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2)
아니:아니하므로. 아니ᄒᆞ-[不]+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주023)
말미:말이. 말씀이. 말ᄉᆞᆷ[言]+이(주격조사).
주024)
쇄락(灑落)고:쇄락하고. 쇄락(灑落)ᄒᆞ-+고(대등적 연결어미) ‘쇄락’은 마음이 상쾌하고 시원함을 이른다.
주025)
:깨끗한. ᄀᆞᆺᄀᆞᆺᄒᆞ-[淸]+ㄹ(관형사형어미).
주026)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7)
오:홀로. ᄒᆞ오ᅀᅡ[獨](부사).
주028)
셔디: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9)
아니:아니하므로. 아니ᄒᆞ-[非]+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주030)
마리:말이. 말[語]+이(주격조사).
주031)
평상(平常)니:범상(凡常)하니. 심상(尋常)하니.
주032)
젼혀:오로지. 다만. 젼혀[專](부사).
주033)
사미: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034)
각근(脚跟):발뒤꿈치. 발뒤축.
주035)
아래:아래[下]. 아래를.
주036)
밧뒤츠기니:발뒤축이니. 밠뒤측[脚跟]+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37)
본래(本來):본디. 처음부터.
주038)
논:하는. ᄒ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39)
이리니:일이니. 일[事]+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40)
화두(話頭)ㅣ라:화두(話頭)이다. ‘화두(話頭)’는 참선(參禪) 수행자(修行者)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참구(參究)하는 문제이다. 공안(公案)이라고도 한다.
주041)
펴:살펴. ᄉᆞᆯ피-[察]+어(연결어미).
주042)
보매:봄에. 보는 것에. 보-[顧]+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43)
잇니라:있느니라. 있는 것이다. 잇-[在]+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종결어미).
주044)
대(臺)예:대(臺)에. ‘대(臺)’는 경대를 이르고, ‘예’는 부사격조사.
주045)
경대(鏡臺)ㅣ라:경대(鏡臺)이다. ‘경대(鏡臺)’는 거울을 달아서 세운 화장대를 이른다.
주046)
연저:얹어. 엱-[當]+어(연결어미).
주047)
두고셔:두고서. 두고. 두-[置]+고(연결어미)+셔(보조사). ‘고셔’는 한 동작에서 다른 동작으로 이어가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48)
마초:맞추어. 맞게. 마초[應](부사).
주049)
미:씀이. 쓰는 것이. ᄡᅳ-[用]+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50)
:맑은. ᄆᆞᆰ-[朗]+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51)
리:달이. ᄃᆞᆯ[月]+이(주격조사).
주052)
허공(虛空)애:허공(虛空)에. ‘애’는 부사격조사.
주053)
빗남:빛남과. 빛나는 것과. 빗나-[晶]+옴/움(명사형어미).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빗·나-(거성+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빗׃남]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이처럼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54)
고:같고. ᄀᆞᇀ-[如]+고(연결어미).
주055)
그르메:그림자를. 그르메[影]+ᄅᆞᆯ(목적격조사).
주056)
옮기며:옮기며. 옮기-[轉]+며(연결어미).
주057)
조가:기틀을. 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주058)
업게:없게. 없-[泯]+게(연결어미).
주059)
호미:함이. 하는 것이.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60)
:맑은. ᄆ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61)
구스리:구슬이. 구슬[珠]+이(주격조사).
주062)
바래:바다에. 바ᄅᆞᆯ[海]+애(부사격조사).
주063)
수멧:숨어 있는. 숨은. 숨-[隱]+어(보조적 연결어미)#잇-[在]+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64)
니라:듯하니라. 듯하다. ᄃᆞᆺᄒᆞ-[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5)
대(臺)예:대(臺)에. ‘대(臺)’는 경대를 이르고, ‘예’는 부사격조사.
주066)
연젯다:얹었다. 얹었다고. 엱-[當]+어(보조적연결어미)#잇-[在]+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67)
호: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068)
거우뢰:거울이. 거우로[鏡]+ㅣ(주격조사).
주069)
연저숌:얹어져 있음과. 얹어져 있는 것과. 엱-[當]+어(보조적 연결어미)#이시-[在]+옴/움(명사형어미).
주070)
다:같다. 같다고. ᄀᆞᇀ-[如]+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71)
호미라:함이다. 하는 것이다.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72)
마초:맞추어. 맞게. 마초[應](부사).
주073)
다:쓴다. 쓴다고. ᄡᅳ-[用]+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74)
:맑은. ᄆᆞᆰ-[朗]+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75)
야:같아서.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주076)
되:오랑캐가. 되[胡]+∅(주격조사).
주077)
오나:오면. 오거든. 오-[來]+나ᄃᆞᆫ(종속적 연결어미).
주078)
나며:나타나며. 낱-[現]+ᄋᆞ며(연결어미).
주079)
강남(江南):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中國)’을 ‘강남(江南)’이라고 불러 왔다.
주080)
사미: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따라서 ‘강남(江南) 사람’은 중국인(中國人)을 이른다. 이 요해(要解) 당시에는 ‘한인(漢人)’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주081)
나:나타나는. 낱-[現]+ᄋᆞᆯ(관형사형어미).
주082)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3)
구스른:구슬은. 구슬[珠]+은(보조사).
주084)
죠개:조개. 진주. 죠개[蚌珠].
주085)
구스리라:구슬이다. 구슬[珠]+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6)
심인(心印)르(으)로:심인(心印)으로. 심인(心印)+으로(부사격조사). 조사 ‘으로〉르로’는 중철 표기한 ‘느로’를 ‘르로’로 오기(誤記)한 것임.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써 왔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주087)
브터셔:부터. 브터셔[自](조사).
주088)
정위전(正位前):정위전(正位前). ‘정위전’은 십현담(十玄談) 중 제일 마지막에 편철되어 있는 현담(玄談)의 이름이다.
주089)
일색(一色)애:일색(一色)에. ‘애’는 부사격조사. 십현담(十玄談) 중 제일 마지막에 편철되어 있는 현담(玄談)의 이름이다. 대부분의 판본에서는 ‘일색(一色)’이라 하였는데, 극히 일부에서 정위전(正位前)이라 하기도 했다.
주090)
니르리:이르기까지. 이르게. 이르도록. 니르리[至](부사).
주091)
사:사람이.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이나 관형절의 주어에 주격조사가 아닌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092)
수용(受用)호매:수용함에. 받아서 씀에. 수용(受用)ᄒᆞ-+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093)
이셔:있어서. 이시-[在]+어(연결어미).
주094)
야:환하여. 뚜렷하여, ᄆᆞᆯᄀᆞᆺᄆᆞᆯᄀᆞᆺᄒᆞ-[歷然]+야(연결어미).
주095)
그호미:그윽함이. 은근함이. 그ᅀᅳᆨᄒᆞ-[隱]+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96)
업수미니라:없음이다. 없는 것이다. 없-[無]+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97)
그르메:그림자를. 그르메[影].
주098)
옮기며:옮기며. 옮기-[轉]+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99)
조가글:기틀을. 기(機)를. 조각[機]+을(목적격조사).
주100)
업게:없게. 없-[泯]+게(보조적 연결어미).
주101)
다:한다고.
주102)
호:하는 것은. 함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103)
사:사람의.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주104)
수용(受用)애:수용(受用)에. 받아씀에.
주105)
이시나:있으나. 이시-[在]+나(종속적 연결어미).
주106)
:마음과. ᄆᆞᅀᆞᆷ[心].
주107)
얼구리:얼굴이. 형체가. 몸이. 얼굴[體]+이(주격조사).
주108)
:형상(形相)이. 양자(樣子)가. 양ᄌᆞ[樣子]+ㅣ(주격조사).
주109)
업스며:없으며. 없-[無]+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10)
경(境)이:경(境)이. ‘이’는 주격조사. ‘경(境)’은 경계(境界), 또는 인식 작용의 대상이다. 외적 세계의 존재, 사물, 현상 등을 뜻하며, 감각 기관과 마음에 의해 지각되고 생각되는 대상을 통틀어 이른다.
주111)
거즛:거짓. 헛된. 거즛[虛假](명사).
주112)
거시라:것이라. 것이라서.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13)
들며:들며. 들어올리며. 들-[擡]+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14)
누며:누르며. 누ᄅᆞ-[搦]+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15)
불며:불며. 불-[吹]+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16)
튜믈:치는 것을. 침을. 티-[拍]+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117)
튜:치는 것은. 침은. 티-[拍]+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118)
류:음악(音樂)할. 풍류(風流)할.
주119)
젯:때의. 적의. 제[時]+ㅅ(관형격조사).
주120)
이리라:일이다. 일[事]+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21)
어로:가히. 어로[可](부사).
주122)
몯호:못함을. 못하는 것을. 몯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123)
니니:이르니. 말하니. 니ᄅᆞ-[謂]+니(종속적 연결어미).
주124)
삼현(三贒):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 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11위(位)에서 40위(位)까지인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이른다.
주125)
십성(十聖)이:십성(十聖)이. ‘이’는 주격조사.
주126)
삼현(三贒)ᄂᆞᆫ:삼현(三賢)은. ‘ᄂᆞᆫ’은 선행명사 말음에 따른 중철 표기.
주127)
십주(十住):대승불교 보살 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11위에서 제2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십신(十信)을 지나서 마음이 진제(眞諦), 곧 진리에 안주(安住)하는 단계라는 뜻에서 십주(十住)라고 한다.
주128)
십행(十行):대승불교 보살 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21위에서 제3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이 닦는 열 가지 행(行)이나 그 행을 닦는 보살의 계위를 가리킨다.
주129)
십회향(十迴向)이오:십회향(十迴向)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십회향’은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31위부터 4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회향(迴向), 또는 십회향심(十迴向心)이라고도 하고, 줄여서 십향(十向)이라 하기도 한다. 회향(廻向)은 대비심(大悲心)으로 일체 중생을 구호한다는 뜻이다
주130)
십성(十聖):십성(十聖)은. ‘ᄋᆞᆫ’은 보조사. ‘십성’은 십지보살(十地菩薩)을 이른다.
주131)
십지보살(十地菩薩)이라:십지보살(十地菩薩)이다. ‘십지보살’은 대승불교 보살수행의 단계인 52위 중 제41위부터 50위까지의 계위(階位)이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한 분이다.
주132)
어로:가(可)히. 어로(부사).
주133)
엿오디:엿보지. 엿오-[窺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34)
몯거니:못하거니. 몯ᄒᆞ-+거니(연결어미).
주135)
미혹:미혹한. 어리석은.
주136)
범부(凡夫)ㅣ:범부(凡夫)가. ‘ㅣ’는 주격조사. ‘범부’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하는 사람을 이른다.
주137)
엣디: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주138)
짐쟉리오:짐작하겠느냐. 짐쟉ᄒᆞ-[擬議]+리(추측법선어말어미)+고/오(설명의문형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번영한 표기.
주139)
그럴:그러므로. 그러ᄒᆞ-[故]+ㄹᄉᆡ(연결어미).
주140)
고덕(古德)이:고덕(古德)이. ‘이’는 주격조사. ‘고덕’은 덕행(德行)이 높은 옛적의 승려를 이른다.
주141)
닐오:이르되. 말하기를. 니ᄅᆞ-[云]+오ᄃᆡ(연결어미).
주142)
새라:새이다. 새[鳥]+∅(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43)
수(繡):수(繡)떠서. 수놓아. 수ᄯᅳ-[綉]+어(연결어미).
주144)
내야:내어. 내-[出]+야(연결어미).
주145)
그:그대를. 그대에게. 그ᄃᆡ[君]+ᄅᆞᆯ(목적격조사).
주146)
보욜디언:보일지언정. 보-[看]+이(사동접미사)+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디언뎌ᇰ(연결어미).
주147)
쇠바:쇠바늘을. 쇠바ᄂᆞᆯ[金鍼].
주148)
자바:잡아. 잡아서. 잡-[把]+아(연결어미).
주149)
사:사람에게. 남에게. 사ᄅᆞᆷ[人]+ᄋᆞᆯ(목적격조사).
주150)
주디:주지. 주-[與]+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51)
몯리라:못할 것이다. 못하리다.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52)
도다:하였도다. 하도다. ᄒᆞ-+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53)
홀: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154)
무리:무리가. 사람들이. 무리[徒]+∅(주격조사).
주155)
차등(差等)이:등급의 차이가. 차등(差等)이. ‘이’는 주격조사. ‘차등(差等)’은 차이가 나는 등급(等級)이나 등급(等級)의 차이를 이른다.
주156)
잇고:있고. 잇-[有]+고(대등적 연결어미).
주157)
미묘(微妙):미묘(微妙)한. 미묘(微妙)ᄒᆞ-+ㄴ(관형사형어미). ‘미묘(微妙)’는 섬세하고 묘(妙)하다는 뜻이다. 또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주158)
이(理):이(理)는. 이치(理致)는. ‘ᄂᆞᆫ’은 보조사. ‘이(理)’는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주159)
다업서:다함이 없어. 다ᄋᆞ-[窮]+ㄹ(동명사어미)#없-[無]+어(연결어미).
주160)
일:일을. 일[事](명사).
주161)
:꿰뚫어. 사뭇. ᄉᆞᄆᆞᆺ[철저(徹底)](부사).
주162)
알리:아는 이가. 알-[達]+ㄹ(관형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163)
드믈오:드물고. 드믈-[稀]+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164)
근원(根源)에:근원(根源)에. ‘근원(根源)+에(처소부사격조사)’. ‘근원(根源)’은 사물이 생겨나는 본바탕을 이른다.
주165)
어즐리:혼미(昏迷)한 이가. 어두운 사람이. 어즐ᄒᆞ-[昏迷]+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166)
한 디라:많은 것이다. 하-[多]+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67)
운봉(雲峯)이라:운봉(雲峯)이라고. 운봉(雲峯)+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운봉(雲峯)’은 중국 북송(北宋) 때의 승려 운봉문열(雲峯文悅 : 998~1062)을 가리킨다. 대우수지(大愚守芝)스님의 법을 이었으며, 남악회양(南嶽懷讓)의 11세손이다.
주168)
홀:하는.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169)
조사(祖師)ㅣ:조사(祖師)가. ‘ㅣ’는 주격조사. ‘조사(祖師)’는 한 종파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서 주장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주170)
니샤:이르시되. 니ᄅᆞ-[云]+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171)
혀:행여. 설사.
주172)
열 낫:열 낱[十箇]. 열 개. ‘낫[箇]’은 ‘낯’ 또는 ‘낱’으로도 썼다.
주173)
다:다섯. 다ᄉᆞᆺ[五](수사).
주174)
낫치라도:낱이라도. 개(箇)라도. 낫[箇]+이(서술격조사)+라도(종속적 연결어미). ‘치’는 선행명사의 말음이 ‘낫’ 또는 ‘낯’으로 실현된 데서 오는 혼철 표기임.
주175)
낫:낱은. 개(箇)는. 낫[箇]+ᄋᆞᆫ(보조사). ‘ᄎ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이 ‘낫’ 또는 ‘낯’으로 실현된 데서 오는 혼철 표기임.
주176)
조심:조심하는. 조심(操心)ᄒᆞ-+ㄹ(관형사형어미).
주177)
사미라:사람이다. 사ᄅᆞᆷ[人]+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78)
노 :높은 데. 높은 데로. 높-[上]+ᄋᆞᆫ(관형사형어미)#ᄃᆡ(의존명사).
주179)
며:달리며. ᄃᆞᄅᆞ-[走]+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80)
가온 :낮은 데. 낮은 데로. ᄂᆞᆺ가ᇦ-[低]+ᄋᆞᆫ(관형사형어미)#ᄃᆡ(의존명사).
주181)
다:달린다. 달린다고. ᄃᆞᆮ-[走]+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82)
호: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183)
믿귿:밑끝을. 본말(本末)을.
주184)
모닷:모른다는. 모른다고 하는. 모ᄅᆞ-[不知]+닷(연결어미).
주185)
마리라: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86)
반(半)만:반(半)만. 반(半)은. 반(半)쯤.
주187)
프르며:푸르며. 프르-[靑]+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88)
누르로:누르되. 누른데도. 누를-[黃]+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189)
과실(菓實)이:과일이.
주190)
설오:설고. 덜 익고. 설-+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191)
니근:익은. 닉-[熟]+은(보조사).
주192)
라:모습이다. 야ᇰᄌᆞ(樣子)+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93)
다:다. 모두. 다[惣](부사).
주194)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ᄅᆞ-[道]+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195)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주196)
아노라:안다. 알-[會了]+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97)
용사(龍虵):용(龍)과 뱀[虵]의. 용사(龍虵)+ᄋᆡ(관형격조사).
주198)
보:보배를. 보ᄇᆡ[寶]+ᄅᆞᆯ(목적격조사).
주199)
자뱃노라:잡았다. 잡았노라. 잡-[握]+아(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200)
니:하느니. 말하느니. ᄒᆞ-[謂]+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201)
뉘:누가. 누[孰]+ㅣ(주격조사).
주202)
왼:그른. 외-[非]+ㄴ(관형사형어미).
주203)
주:줄을. 것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주204)
알리오:알겠는가. 알겠느냐.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205)
혀:잡아끌어. 혀-[引]+어(연결어미).
주206)
서러:거두어. 걷어치워. ᄌᆡ설-[辟]+어(연결어미).
주207)
텨:쳐. 치고. 밀치어. 티-[挨]+어(연결어미).
주208)
다와다:다그쳐. 다왇-[拶]+아(연결어미).
주209)
오매:옴애. 오-[來]+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210)
:곳. 곳을.
주211)
징문(徵問):징문(徵問)하는. 징문(徵問)ᄒᆞ-+ㄹ(관형사형어미). ‘징문(徵問)’은 따지듯이 하는 질문(質問)을 이른다.
주212)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213)
나토:하나도. 하나ㅎ[一]+도(보조사).
주214)
업도다:없-[無]+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215)
시다:하시다. 하셨다. ᄒ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216)
삼라만상(森羅萬象):삼라만상(森羅萬象). ‘삼라만상’은 우주 속에 존재하는 온갖 사물과 모든 현상을 이른다.
주217)
물물(物物):물물(物物)들. 온갖 사물(事物)들.
주218)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 ‘우ㅎ[上]’는 처소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219)
갯건마:밝았건마는. 밝아 있건마는. ‘ᄇᆞᆯ갯건마ᄅᆞᆫ’이 올바른 표기이다. ᄇᆞᆰ-[明]+아(연결어미)#잇-[有]+건마ᄅᆞᆫ(연결어미).
주220)
젼혀:전(全)혀. 전적으로. 오로지. 젼혀(부사).
주221)
세간(世間)ㅅ:세간(世間)의. ‘ㅅ’은 관형격조사.
주222)
구며:궂으며. 궂-[逆]+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223)
됴:좋은. 둏-[順]+ᄋᆞᆫ(관형사혀어미).
주224)
경계(境界)예:경계(境界)에.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경계’는 자기 세력이 미치는 범위, 또는 과보(果報)에 의하여 각자에게 주어진 지위(地位)나 처지를 이른다.
주225)
이셔:있어. 이시-[在]+어(연결어미).
주226)
사마다:사람마다. 사ᄅᆞᆷ[人]+마다(보조사).
주227)
제:스스로. 제[自](부사).
주228)
수용(受用)건마:받아서 쓰지만. 수용(受用)ᄒᆞ-+건마ᄅᆞᆫ(연결어미).
주229)
혼:하는.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230)
마리라: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231)
이(理):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주232)
사(事):일체 차별의 모양, 곧, 현상계를 이른다.
주233)
둘:둘을. 둘ㅎ[二]+ᄋᆞᆯ(목적격조사).
주234)
으리와다:벌리어. 벌어지게 해서. 버ᇰ으리왇-[祛]+아(연결어미).
주235)
일홈과:이름과. 일홈[名]+과(접속조사).
주236)
말괘:말이. 말ᄉᆞᆷ[言]+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당시의 문법에서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에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하였다.
주237)
업슬:없으므로. 없-[喪]+을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주238)
으리왇다:벌린다. 벌린다고. 버ᇰ으리왇-[祛]+다(평서형 종결어미).
주239)
호: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240)
이대:잘. 좋게. 이대[善](부사).
주241)
수이:쉽게. 수이[能](부사).
주242)
회호(回互)호:회호(回互)함을. 회호(回互)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회호(回互)’는 상호(相互) 순회하여 갈마들어 서로 회피한다는 뜻이다.
주243)
니고:이르고. 말하고. 니ᄅᆞ-[言]+고(대등적 연결어미).
주244)
서:서로. 서ᄅᆞ[互](부사).
주245)
회피(回避):회피(回避)하는. 회피(回避)ᄒᆞ-+ㄹ(관형사형어미).
주246)
시니:것이니.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247)
이(理):이(理)가. 이(理)+∅(주격조사).
주248)
나:나타난. 낱-[現]+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249)
해:곳에. ᄯᅡ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250)
사(事)ㅣ:사(事)가. ‘ㅣ’는 주격조사.
주251)
숨고:숨고. 숨-[隱]+고(대등적 연결어미).
주252)
수믈:숨는. 숨-[隱]+을(관형사형어미).
주253)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254)
업다:없다고. 없-[喪]+다(평서형 종결어미).
주255)
어로:가히. 어로[可](부사).
주256)
일홈:이름지어. 일홈[名].
주257)
얼굴:형상(形狀). 형상(形狀)을.
주258)
몯:못하는. 몯ᄒᆞ-[不]+ㄹ(관형사형어미).
주259)
법(法)이:법(法)+이(주격조사). ‘법(法)’은 범어로 ‘dharma’라고 한다.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가리킨다.
주260)
:가장. 매우. ᄀᆞ자ᇰ[太](부사).
주261)
갓가오:가깝되. 갓가ᇦ-[近]+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262)
머러:멀어서. 멀-[遠]+어(연결어미).
주263)
눈 알:눈앞에. 눈 앒[眼前]+ᄋᆡ(부사격조사). ‘앒[前]’은 부사격조사로 ‘ᄋᆡ’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264)
이셔도:있어도. 이시-[在]+어도(종속적 연결어미).
주265)
보녀:보느냐. 보는가. 보-[見]+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녀(의문형 종결어미).
주266)
이럴:이러므로. 이러ᄒᆞ-+ㄹᄉᆡ(종속적 연결어미)[是故](부사).
주267)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러니[勤](부사).
주268)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주269)
치노니:가리키니. 가리키느니. ᄀᆞᄅᆞ치-[指]+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270)
그틀:끝을. 끝[端]+을(목적격조사).
주271)
그:잘못. 그릇. 그ᄅᆞ[錯](부사).
주272)
아디:알지. 알-[識]+디(보조적 연결어미).
주273)
마롤디어다:말지어다. 말아야 할 것이다. 말-[莫]+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디어다(당위성 종결어미).
주274)
치다:가리키다. 가리킨다고. ᄀᆞᄅᆞ치-[指]+다(평서형 종결어미).
주275)
호: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276)
쏜(손)라고로:손가락으로. 소ᇇ가락[指]+오로(도구 부사격조사).
주277)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주278)
쵸미니:가리킴이니. 가리키는 것이니. ᄀᆞᄅᆞ치-[指]+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279)
:사랑하는. ᄉᆞ라ᇰᄒᆞ-[慈]+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280)
어미:어미가. 어미[母]+∅(주격조사).
주281)
아:아이를. 아ᄒᆡ[兒]+ᄅᆞᆯ(목적격조사).
주282)
쵸:가르치되. ᄀᆞᄅᆞ치-[敎]+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283)
치다가:가리키다가. ᄀᆞᄅᆞ치-[指]+다가(연결어미).
주284)
옷:달만. 달만을. ᄃᆞᆯ[月]+곳/옷(보조사). ‘옷’은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285)
치던:가리키던. ᄀᆞᄅᆞ치-[指]+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여기서 진실한 법을 ‘지시(指示)’하는 것은 ‘가르치는’ 것을 뜻한다.
주286)
쏜(손)라:손가락을. 소ᇇ가락[指]+ᄋᆞᆯ(목적격조사).
주287)
닛논:잊는. 잊어버리는. 닛-[忘]+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288)
디:것이. ᄃᆞ(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289)
선지식(善知識)이:선지식(善知識)이. ‘이’는 주격조사. ‘선지식’은 불타(佛陀)의 교법(敎法)을 설(說)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덕이 높은 승려를 이른다.
주290)
외:깊이. ᄉᆞ외[深](부사).
주291)
알면:알면. 깨달으면. 알-[識/覺]+면(종속적 연결어미).
주292)
아뇨:아님을. 아닌 것을. 아니-[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293)
아롬:아는 것과. 깨닫는 것과. 알-[知]+옴/움(명사형어미).
주294)
:같은. ᄀᆞᆮᄒᆞ-[如]+ㄹ(관형사형어미).
주295)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296)
므레:물을. 물에. 믈[水]+에(처소부사격조사).
주297)
:꿰뚫은. 속에 들어가 있는. ᄉᆞᄆᆞᆾ-[透]+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298)
바:바늘에. 바늘을. 바ᄂᆞᆯ[鍼]+ᄋᆞᆯ(목적격조사).
주299)
어즐티:흔들리지. 미혹(迷惑)되지. 어즐ᄒᆞ-[迷]+디(보조적 연결어미).
주300)
아니야:아니하여야. 않아야.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301)
어로:가히. 어로[可](부사).
주302)
쏜(손):손을. 손[手](명사).
주303)
편:편. 펴-[開]+ㄴ(관형사형어미).
주304)
보:보배를. 보ᄇᆡ[寶]+ᄅᆞᆯ(목적격조사).
주305)
맛디리라:맡길 것이다. 맡길 수 있을 것이다. 마ᇨ-[付]+이(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06)
열다잿:열다섯째의. 열다ᄉᆞᆺ재[第十五]+ㅅ(관형격조사).
주307)
조사(祖師):불교에서 한 종파(宗派)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 주장한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이다.
주308)
가나제바(伽那提婆):‘가나제바(伽那提婆)’는 범어 카나데바를 음사(音寫)하여 쓴 것. 성(姓)은 비사라(毘舍羅)이다. 남인도 출생. 한쪽 눈이 장애를 입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한쪽 시각 장애라는 뜻의 ‘가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의 제15대 제자로, 스승 용수(龍樹) 조사와 함께 삼론종(三論宗)의 시조에 해당된다. 외도들과 논쟁하여 이들을 개종시킨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백론(百論)』 등의 저서가 있다. 처음에는 복업(福業)을 구하여 변론을 즐겼으나, 용수에게서 불교를 배워 공종(空宗)의 오의를 깨닫고 전등사법(傳燈嗣法)이 되었다고 한다.
주309)
용수(龍樹):원래 이름은 나가르주나(Nāgārjuna)다. ‘nāga’는 용(龍)이고 ‘arjuna’는 나무의 일종이기에 중국에서 용수(龍樹)로 옮겼고, 우리나라에서도 그렇게 불러왔다. 남인도 출생이지만, 북인도로 가서 당시 인도의 사상(思想)을 공부하고, 『반야경』, 『화엄경』 등 대승(大乘) 경전의 사상을 간결하게 잘 정리해서 대승불교의 기초를 놓았다고 전한다.
주310)
대사(大士)ㅅ:대사(大士)께. 대사로부터. ‘ᄭᅴ’는 높임의 부사격조사인데, ‘ㅅ’을 겹쳐 적었다. ‘대사(大士)’는 불법(佛法)에 귀의하여 신심(信心)이 두터운 사람을 이른다.
주311)
뵈와:뵈었거늘. 뵈었는데. 뵈-[謁]+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ᄂᆞᆯ(연결어미).
주312)
지혜(智慧)로왼:지혜(智慧)로운. 지혜(智慧)로외-+ㄴ(관형사형어미).
주313)
사민 :사람인 것을. 사ᄅᆞᆷ[人]+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314)
아시고:아시고. 알-[知]+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315)
바리예:바리에. 발우에. 바리[鉢]+예(처소부사격조사).
주316)
:가득한. 가ᄃᆞᆨᄒᆞ-[滿]+ㄴ(관형사형어미).
주317)
므를:물을. 믈[水]+을(목적격조사).
주318)
뵈신대:보이시니. 보이신즉. 보-[示]+이(사동접미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19)
즉재:즉시. 즉재[卽](부사).
주320)
 바로:한 바늘로. ᄒᆞᆫ[一](수관형사)#바ᄂᆞᆯ[鍼]+로(도구부사격조사).
주321)
더디시고:던지시고. 더디-[投]+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322)
깃거:기뻐하여. 기ᇧ-[欣然]+어(연결어미).
주323)
아시니:아시니. 깨달으시니. 알-[會]+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24)
웃:위의. 웃[上](관형사).
주325)
홀: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326)
사미: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327)
아로:아는 것을. 앎을. 알-[悟]+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328)
니시니라:이르신 것이다. 이르시니라. 니ᄅᆞ-[言]+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29)
스믈넷잿:스물넷째의. 스믈넷재[二十四]+ㅅ(관형격조사).
주330)
사자비구(師子比丘):불교 선종(禪宗)의 제24대 조사(祖師)의 이름이다. 중인도(中印度) 사람이며 성은 바라문이다. 학륵나(鶴勒那)에게 전법을 받았고, 파사사다에게 의발(衣鉢)을 전하였다고 한다.
주331)
비구(比丘):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성 승려를 이른다.
주332)
장자(長者):덕망(德望)이 있고 경험이 많아 세상의 일에 밝은 어른을 이른다. 또는 부처님 당시에 상공업에 종사하며 부를 축적한 이를 그렇게 불렀다.
주333)
맛나니:만나니. 만났는데. 맛나-[遇]+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34)
더브러:데리고 와서. 함께 와서. 더블-[引]+어(연결어미).
주335)
오:사뢰되. 말씀드리되. ᄉᆞᇕ-[白]+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336)
일호미:이름이. 일홈[名]+이(주격조사).
주337)
사다(斯多):불교 선종(禪宗)의 제25대 조사(祖師)의 이름이다. 갖은 이름은 바사사다(婆舍斯多)이다. 인도 계빈국(罽賓國) 사람으로 성(姓)은 바라문(婆羅門)이다.
주338)
날:태어날. 나-[生]+ㄹ(관형사형어미).
주339)
제:때부터. 제. 제[時].
주340)
소:손을. 손-[手]+ᄋᆞᆯ(목적격조사).
주341)
주옛니:쥐었느니. 쥐고 있으니. 주이-[拳]+어(보조적 연결어미)#잇-[有]+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42)
아:전생(前生)의. 예전의. 아ᄅᆡ[前]+ㅅ(관형격조사).
주343)
인연(因緣):인연(因緣)을. 목적격조사. ‘ᄋᆞᆯ’이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거듭 적은 것이다. ‘인연(因緣)’은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인 인(因)과 간접적인 원인인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주344)
듣와지이다:듣고 싶습니다. 듣-[聞]+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지이다(보조형용사).
주345)
야:하거늘. ᄒᆞ-+야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주346)
쏘(소)노로:손으로. 손[手]+오로(도구 부사격조사).
주347)
자바:잡아. 잡-[握]+아(연결어미).
주348)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ᄅᆞ-[曰]+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349)
내: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주350)
구쓸(슬):구슬을. 구슬[珠].
주351)
달라:달라. 달라고. 달-[來]+라(명령형 종결어미).
주352)
신대:하시니. 하신즉. ᄒᆞ-+시(주체존대선어말어미)+ㄴ대(종속적 연결어미).
주353)
쏜(손):손을. 손[手](명사).
주354)
펴:펴서. 펴. 펴-[開手]+어(연결어미).
주355)
받와:바치거늘. 받-[奉]+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주356)
너긴대:여기니. 여긴즉. 너기-+ㄴ대(종속적 연결어미).
주357)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358)
전(前)네:전(前)에. 부사격조사가 ‘네’가 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 ‘ㄴ’을 거듭 적은 것이다.
주359)
:중이. 쥬ᇰ[僧].
주360)
도외여실 제:되어 있을 때. 도외-[爲]+어(보조적 연결어미)#(이)시-[在]+ㄹ(관형사형어미)#제[時].
주361)
이쇼:있되. 이시-[有]+오ᄃᆡ/우ᄃᆡ(종속적 연결어미).
주362)
일호미:이름이. 일홈[名]+이(주격조사).
주363)
바사(婆舍)ㅣ러니:바사(婆舍)이더니. 바사(婆舍)였는데. 바사(婆舍)+ㅣ(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64)
서(西)ㅅ녁:서녘. 서쪽. ‘ㅅ’은 사잇소리 표기.
주365)
바:바다의. 바ᄅᆞᆯ[海]+ㅅ(관형격조사). ‘바ᄅᆞᆳ’에서 ‘ㅅ’ 앞의 ‘ㄹ’이 탈락된 형태.
주366)
승재(僧齋)예:승재(僧齋)에. ‘승재(僧齋)’는 승려를 초청하여 음식을 접대하는 불교의 종교의례 중 하나이다.
주367)
시여(施與)혼:시여(施與)한. 거저 준. 시여(施與)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시여(施與)’는 남에게 물건을 거저 준다는 뜻이다.
주368)
바다:받아. 받-[受]+아(연결어미).
주369)
맛됴니:맡겼으니. 맛디-[付]+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70)
주미:줌이. 주는 것이. 주-[還]+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주-(거성)’의 어간 말음이 /ㅜ/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줌]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371)
이(理)예:이치(理致)에. 사리(事理)에. ‘예’는 부사격조사.
주372)
올니라:옳으니라. 옳다. 옳-[然/是]+ᄋ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73)
야시:하시거늘. 하시니. ᄒᆞ-+야시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주374)
자식(子息)글:자식(子息)을. 목적격조사에 ‘글’이 쓰인 것은 선행명사 말음인 ‘ㄱ’을 거듭 적은 형태임.
주375)
내야:내어. 내-[出]+야(연결어미).
주376)
출가(出家)대:출가(出家)시키니. 출가(出家)시킨즉. 출가(出家)ᄒᆞ-+ㄴ대(종속적 연결어미).
주377)
:갖은. ᄀᆞᆽ-[具]+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378)
계법(戒法)블:계법(戒法)을. ‘계법(戒法)’은 계율(戒律)의 법칙(法則)이다. ‘블’은 선행명사 말음인 ‘ㅂ’을 거듭 적은 형태임.
주379)
맛디시고:맡기시고. 맛디-[付]+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380)
전인(前因):전생(前生)의 인연(因緣)을 이른다.
주381)
법사(法嗣):법통(法統)을 이어받은 제자(弟子)를 이른다.
주382)
사시니:삼으시니. 삼-[爲]+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383)
니:이은. 니ᇫ-[嗣]+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384)
아랫:아래의. 아래[下]+ㅅ(관형격조사).
주385)
알면:알면. 깨달으면. 알-[悟]+면(종속적 연결어미).
주386)
인가(印可)야:인가(人家)하여. ‘인가(印可)’는 스승이 제자의 깨친 마음이나 설법(說法)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계보를 증명하는 중요한 인증(認證) 수단이 되기도 한다.
주387)
선지식(善知識):불타(佛陀)의 교법(敎法)을 설(說)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덕이 높은 승려를 말한다.
주388)
올타:옳다고.
주389)
 시라:하는 것이다.
주390)
도외리라:될 것이다. 도외-[爲]+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91)
잠간:조금. 잠간. 간략히. 잠간(暫間)(부사).
주392)
그:그윽한. 그ᅀᅳᆨᄒᆞ-[微]+ㄴ(관형사형어미).
주393)
마:말을. 말[言]+ᄋᆞᆯ(목적격조사).
주394)
베퍼:베풀어. 베프-[施]+어(연결어미).
주395)
사(事)와:사(事)와. ‘와’는 접속조사. ‘사(事)’는 현상계에서 각기 다르게 보이는 모양, 곧, 현상계를 이른다.
주396)
이(理)와:이(理)를.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 ‘과/와’를 두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시켰다. ‘이(理)’는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 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를 이른다. 평등과 차별로 나눌 때는 평등에 속한다.
주397)
나토노라:나타내노라. 낱-[彰]+오(사동접미사)+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98)
마:말은. 말[言]+ᄋᆞᆫ(보조사).
주399)
은밀(隱密):은밀(隱密)ᄒᆞ-+ㄴ(관형사형어미). ‘은밀(隱密)’은 생각이나 행동을 숨겨서 행적이 드러나지 않는 것을 이른다.
주400)
말미니:말이니. 말ᄉᆞᆷ[言]+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401)
천성(千聖):역대(歷代)의 제대조사(諸大祖師) 등 많은 수의 선사(禪師)들을 가리킨다.
주402)
전(傳)티:전(傳)하지. 전(傳)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403)
아니샨:않으신. 아니하신. 아니ᄒᆞ-[不]+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404)
리라:으뜸이다. 종지(宗旨)이다. ‘종지(宗旨)’는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이다.
주405)
제목(題目):제목(題目)을.
주406)
야:가리어. 가려서. ᄀᆞᆯᄒᆡ-[辨]+아(연결어미).
주407)
닐오미라:이르는 것이다. 말하는 것이다. 니ᄅᆞ-[謂]+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408)
모로매: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409)
후(後)에:후(後)에야. 후(後)+에(처소부사격조사)+ᅀᅡ(보조사).
주410)
조사(祖師)ㅅ:조사(祖師)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조사(祖師)’는 불교에서 한 종파(宗派)를 세우고, 그 종지(宗旨)를 열어 펼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여기서 가리키는 조사는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인 달마(達摩) 대사를 이른다.
주411)
들:뜻을. ᄠᅳᆮ[意]+을(목적격조사).
주412)
알오:알고. 알-[知]+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413)
달마(達摩)ㅣ라:달마(達摩)이다. ‘달마’는 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주414)
현묘(玄妙):도리(道理) 등이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微妙)함을 이르는 말이다.
주415)
조가:기틀을. 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416)
듣글와:티끌과. 듣글[塵]+와(부사격조사).
주417)
달오:다름을. 다른 것을. 다ᄅᆞ-[異]+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418)
오:가리고. 분별하고. ᄀᆞᆯᄒᆡ-[辨]+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반모음 ‘ㅣ’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419)
뿌(부)텻:부처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부처’는 바른 진리를 깨달은 이라는 뜻이다.
주420)
교문(敎文):교문(敎文)을. 종지와 교지의 가르침을. 목적격조사가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교문(敎文)’은 종교의 종지와 교리 등이 실려 있는 글, 여기서는 부처의 가르침이 담긴 경전 등을 이른다.
주421)
수이:쉽게.
주422)
도라가고:돌아가고. 도라가-[還]+고(대등적 연결어미).
주423)
몯:못. 몯[非](부사).
주424)
이수(슈):있음을. 잇-[住]+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425)
아롤 디니:알 것이니. 알-[知]+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426)
이술(슐):있을. 잇-[住]+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427)
주:줄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주428)
아롤:알. 알-[知]+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429)
디나:것이나.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나(종속적 연결어미).
주430)
쑤(수)이:쉽게. 능히. 수이[易/能](부사).
주431)
도디:돌리지. 돌이키지. 도ᄅᆞ-[廻]+디(보조적 연결어미).
주432)
몯면:못하면. 몯ᄒᆞ-[不]+면(종속적 연결어미).
주433)
그도:그것도. 그도. 그(대명사)+도(보조사).
주434)
스믜여:스미어. 스믜-[滲]+어(보조적 연결어미).
주435)
디:떨어지는. 디-[漏/落]+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436)
고딘:것인. 곧[所]+이(서술격조사)+ㄴ(보조사).
주437)
젼로:까닭으로. 젼ᄎᆞ[故]+로(도구 부사격조사).
주438)
듀:떨어짐은. 떨어지는 것은. 디-[漏/落]+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439)
진여(眞如):우주 만유에 보편하는 상주불변의 본체(本體). 체성이 평등하여 일체의 법에 두루 가득히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
주440)
잇디:있지. 잇-[有]+디(보조적 연결어미).
주441)
몯야:못하여. 몯ᄒᆞ-[不]+야(연결어미).
주442)
정견(情見)느로:정견(情見)으로. ‘으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으로’가 ‘느로’로 표기된 것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조사에 거듭 적은 표기. ‘정견(情見)’은 진실과 일치하지 않은 분별(分別)이나 판단(判斷)을 이른다. 곧 범부(凡夫)의 생각이다.
주443)
모게:모르게. 모ᄅᆞ-[不知]+게(보조적 연결어미).
주444)
내:내닫는. 내달리는. 내ᄃᆞᆮ-[走]+ᄋᆞᆯ(관형사형어미).
주445)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446)
횟도:돌이킨. 휘도는. 횟돌-[廻]+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447)
위(位)(ㅣ):위(位)가. * 명사의 끝소리가 [j]임에도 주격조사 ‘ㅣ’를 굳이 표기한 것은 이 책에서 ‘위’ 자를 주로 한자 ‘位’로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448)
올모ᄆᆞᆯ:옮음을. 옮는 것을. 옮-[轉]+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주449)
알오:알고. 알-[識]+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450)
정위(正位)(ㅣ)라:정위(正位)이다. ‘정위(正位)’는 소승(小乘)에서 말하는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이다. 곧 자기 하나의 수행, 또는 자기 형성을 이른다.
주451)
올:옮긴. 옮-[轉]+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452)
비치:빛이. 빛[色]+이(주격조사).
주453)
가:맑아. ᄆᆞᆰ-[冷然]+아(연결어미).
주454)
어로:가히. 어로[可](부사).
주455)
가빌:비(比)할. 가ᄌᆞᆯ비-[比]+ㄹ(관형사형어미).
주456)
히:곳이. 데가. ᄯᅡㅎ[方]+이(주격조사).
주457)
업슬:없으므로. 없-[無]+을ᄉᆡ(종속적 연결어미).
주458)
비:빛을. 빛[色]+ᄋᆞᆯ(목적격조사).
주459)
겨:밝혀야. ᄇᆞᆰ-[明]+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460)
 비:한 빛은[一色]. ᄒᆞᆫ(관형사)#빛[色]+ᄋᆞᆫ(보조사).
주461)
정위(正位)(ㅣ):정위(正位)가. 바른 위치가. 정위(正位)는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를 뜻한다.
주462)
알:앞의. 앒[前]+ᄋᆡ(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ᄋᆡᆺ’은 통합형조사.
주463)
일색(一色)이라:일색(一色)이다. 일색(一色)+이(서술격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464)
안:자리. 방석. 포자(胞子). 안ᄭᅢ[座子](명사).
주465)
조쳐:좇아. 따라. 겸하여. 조치-[和]+어(연결어미).
주466)
두의텨:번드치어. 바꾸어. 뒤집어. 두의티-[撞倒]+어(연결어미).
주467)
가:가시. 가ᄉᆡ[荊棘].
주468)
숨(숩)픐:수풀. 수풀의. 숩플[林]+ㅅ(관형격조사).
주469)
가온:가운데. 가온ᄃᆡ[中]
주470)
거며:걸으며. 걷-[步]+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471)
바:밤에. 밤[夜]+ᄋᆡ(처소부사격조사). ‘밤[夜]’은 처소부사격조사로 ‘ᄋᆡ’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472)
:밝은. ᄇ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473)
발:발의. 주렴의. 발[簾](명사).
주474)
밧긔:밖에서. 밖에. 바ᇧ[外]+의(처소부사격조사)
주475)
모:몸을. 몸[體]+ᄋᆞᆯ(목적격조사).
주476)
버서:벗어. 벗-[脫]+어(연결어미).
주477)
님굼:임금께. 님굼[君]+ᄭᅴ(격조사).
주478)
뵈오리니:뵐 것이니. 배알할 것이니. 뵈-[朝]+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479)
외:심히. 매우. 철저히.
주480)
기면:밝히면. ᄇᆞᆰ-[明]+이(사동접미사)+면(종속적 연결어미). 어근 ‘ᄇᆞᆰ-’의 말음 ‘ㄱ’을 사동접미사 ‘이’ 앞에 거듭 적었다.
주481)
심인(心印):심인(心印)을. ‘ᄂᆞᆯ’은 명사 말음 ‘ㄴ’을 목적격조사의 첫소리에 거듭 적은 형태이다.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에서 이렇게 써 왔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주482)
볼 디라:볼 것이다. 보-[見]+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483)
 현담(玄談):하나의 현담(玄談). ‘현담(玄談)’은 경론(經論)을 강의하기 전에 그 유래(由來)와 대의(大意)를 설명하는 말을 이른다.
주484)
소개:속에.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
주485)
열 법문(法門)이:열 가지 법문(法門)이. ‘법문(法門)’은 부처님의 교법(敎法)이, 중생으로 하여금 나고 죽는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인 열반에 들게 하는 문(門)이라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주486)
자:갖추어져. 구비하여. ᄀᆞᆽ-[具]+아(연결어미).
주487)
모도자보미:모아 가지는 것이. 모도잡-[摠持]+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488)
그지업스리라:끝이 없을 것이다. 그지없을 것이다. 그지없-[無窮]+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