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입제(立題)
  • 8. 회기(廻機)
메뉴닫기 메뉴열기

8. 회기(廻機)


廻機ㅣ라

조각 주001)
조각:
기(機)ᄅᆞᆯ.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근기(根機)이다. ‘근기(根機)’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능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능력을 이른다.
도다 주002)
도다:
돌리다. 도ᄅᆞ-[廻]+다(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근기(根機)를 돌리다.

[요해]

십현담요해언해:31ㄴ

洞山이 云호 機不離位ㅣ면 墮在毒(海)ㅣ라니 知有那邊消息고 便須捨却야 如金翅鳥ㅣ 飛騰虛空야 自在翶翔호 而不墮落며 雖依空以戱나 而不據空야 亦不爲空之所拘礙야 名曰廻機ㅣ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洞山 주003)
동산(洞山):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년)를 이른다. 그는 9세기 무렵에 활동했던 중국 당나라의 승려이다. 21세에 숭산의 소림사에서 구족계를 받아 출가했으며, 선가오종 최초로 조동종(曹洞宗)을 열어 개조(開祖)가 되었다.
닐오 주004)
닐오:
말하되. 니ᄅᆞ-[云]+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조각 位예 주005)
위(位)예:
위에서. 위(位)+예(부사격조사). ‘위(位)’는 바른 자리, 또는 제자리, 곧 정위(正位)를 이른다.
여디 주006)
여디:
떼어 놓지. 분리하지. 여ᄒᆡ-[離]+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면 모딘 바래 주007)
바래:
바다에. 바ᄅᆞᆯ[海]+애(부사격조사).
디리라 주008)
디리라:
떨어질 것이다. 디-[墮]+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니 뎌 고댓 주009)
고댓:
곳의. 곧[邊]+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아 주010)
아:
까닭을. 사정을. 앛[消息]+ᄋᆞᆯ(목적격조사).
알오 주011)
알오:
알고. 알-[知]+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즉재 모로매 주012)
모로매: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려 주013)
려:
버려. ᄇᆞ리-[捨]+어(연결어미).
金翅鳥 주014)
금시조(金翅鳥):
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이다. 용을 잡아먹고 산다고 한다. 가루라(迦樓羅).
ㅣ 虛空애 라 주015)
라:
날라. ᄂᆞᆯ-[飛騰]+아(연결어미).
自在히 주016)
자재(自在)히:
마음대로. 자재(自在)하게. ‘자재(自在)’는 구속 받지 않고 저절로, 또는 마음대로라는 뜻임.
노녀 주017)
노녀:
노닐어. 노니-[翶翔]+어(연결어미).
러디디 아니며 비록 虛空 依據나 주018)
의거(依據)나:
의거(依據)하지만. ‘의거’는 사실에 근거하거나 힘을 빌려 의지함을 이른다.
虛空애 依據티 아니야  虛空애 료미 주019)
료미:
걸림이. 거리낌이. ᄀᆞ리-[拘礙]+옴/움(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외디 주020)
외디:
되지. ᄃᆞ외-[爲]+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홈 주021)
아니홈:
아니함. 않는 것. 아니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
야 주022)
야:
같아야.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일후 주023)
일후:
이름을. 일훔[名]+ᄋᆞᆯ(목적격조사).
조각 주024)
조각:
기(機). 근기(根機).
도다 주025)
도다:
돌린다. 도ᄅᆞ-[廻]+다(평서형 종결어미).
니라 주026)
니라:
하는 것이다. ᄒᆞ-[爲]+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동산(洞山)이 말하되 “기(機)를 위(位)에서 떼어 놓지 않으면 험한 바다에 떨어질 것이다.”라고 했으니, 저 곳의 사정을 알고 즉시 모름지기 버려, 금시조(金翅鳥)가 허공(虛空)을 날아 자재(自在)하게 노닐어 떨어지지 않으며, 비록 허공을 의거하나 허공에 의거하지 않아 또 허공에 걸림이 되지 않는 것과 같아야 이름을 기(機) 돌린다고 하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涅槃城裏ㅣ도 尙猶危어 驀路相逢이 沒了期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涅槃城 주027)
열반성(涅槃城):
열반은 진리를 깨치고 생사를 해탈한 불·보살이 거주하는 곳이므로 궁성에 비유하여 열반성이라 한다. 또는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서방정토(西方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으로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고 한다. 이 열반성에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고 불생불멸의 진리와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이치를 깨친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다고 전한다.
소개도 주028)
소개도:
속에도. 안쪽도. 속[裏]+애(부사격조사)+도(보조사).
오히려 어렵거 주029)
어렵거:
어렵거늘. 위험하거늘. 어렵-[危]+거ᄂᆞᆯ(연결어미).
믄득 주030)
믄득:
문득. 믄득[驀](부사).
길헤 주031)
길헤:
길에서. 길ㅎ[路]+에(부사격조사).
서 맛보미 주032)
맛보미:
만남이. 맞보-[逢]+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젼혀 긔역이 주033)
긔역(약)이:
기약(期約)이. 긔역(약)[期約]+이(주격조사).
업도다 주034)
업도다:
없도다. 없-[沒]+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열반성(涅槃城)의 안쪽도 오히려 위험하거늘, 문득 길에서 서로 만남이 전혀 기약이 없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經애 云호 如來ㅣ 以方便力로 化作一城야 導諸疲

십현담요해언해:32ㄱ

衆샤 而告之言샤 今此大城에 可於中止리니 若入是城면 快得安隱리라 若能前至寶所면 亦可得去리라 시니 是知호리라 如來ㅣ 權設涅槃샤 以待下劣이어시 非實有涅槃이 可以休歇之場일 故로 危也ㅣ니 危 不可久住也ㅣ라 上句 不住涅槃也ㅣ오 下句 言不住尊貴位니 故로 閙市예 相逢야도 無有㝎期ㅣ니 言亦不住生死니 二邊에 不住ㅣ어니 中道애 那捿ㅣ리오 所以廻機也ㅣ라 恁麽則向什麽處야 安身고 陋巷애 不騎金色馬ㅣ라 行於異類야 且輪廻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經에 닐오 뿌(부)톄 方便 주035)
방편(方便):
보살(菩薩)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일체 중생의 기류근성(機類根性)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편의적인 수단을 이른다. 여기에서 일반화하여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이르는 말로 확대되었다.
힘로 주036)
힘로:
힘으로. 힘[力]+ᄋᆞ로(도구 부사격조사).
어려온 길헤  자 주037)
자:
성(城)을. 잣[城]+ᄋᆞᆯ(목적격조사).
라 주038)
라:
만들어. ᄆᆡᇰᄀᆞᆯ-[作]+아(연결어미).
 주039)
:
고단한. 지친. ᄀᆞᆺᄇᆞ-[疲]+ㄴ(관형사형어미).
사 주040)
사:
사람을. 사ᄅᆞᆷ[人]+ᄋᆞᆯ(목적격조사).
引導호리라 주041)
인도(引導)호리라:
인도(引導)할 것이다. 인도(引導)ᄒᆞ-+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샤 告야 니샤 이 큰

십현담요해언해:32ㄴ

주042)
자새:
성(城)에서. 잣[城]+애(부사격조사).
어로 주043)
어로:
가(可)히. 어로[可](부사).
쉬리니 주044)
쉬리니:
쉴 수 있을 것이니. 쉬-[休]+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이 자새 들면 주045)
들면:
들면. 들-[入]+면(연결어미).
장 주046)
장:
가장. 매우. ᄀᆞ자ᇰ[最](부사).
便安리라 주047)
편안(便安)리라:
편안(便安)할 것이다. 편안(便安)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주048)
앏:
앞의. 앒[前](명사).
보 잇 해 주049)
해:
곳에. ᄯᅡㅎ[所]+애(부사격조사).
가면  어로 수이 주050)
수이:
쉽게. 수이[易](부사).
가리라 주051)
가리라:
갈 수 있을 것이다. 가-[去]+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시니 그럴 뿌톄 부러 주052)
부러:
일부러. 부러(부사).
涅槃 주053)
열반(涅槃):
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고,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높은 경지를 이른다. 이런 연유로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해탈(解脫).
샤 주054)
샤:
만드시어. ᄆᆡᇰᄀᆞᆯ-[設]+ᄋᆞ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下劣 주055)
하열(下劣):
인품이나 행동이 저급하고 비열함을 이른다.
根機 주056)
근기(根機):
교법(敎法)을 듣고 닦는 중생의 능력. 곧,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여 부처나 성자가 될 근성(根性)을 이른다.
기오시건 주057)
기오시건:
기다리실지언정. 기ᄃᆞᆯ오-[待]+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건뎌ᇰ(연결어미).
眞實로 涅槃이 어로 주058)
쉴:
쉴. 쉬-[休歇]+ㄹ(관형사형어미).
히 주059)
히:
곳이. ᄯᅡㅎ[場]+이(주격조사).
아닐 주060)
아닐:
아니므로. 아니-[非]+ㄹᄉᆡ(연결어미).
어럽(렵)다 주061)
어럽(렵)다:
어렵다. 위태롭다. 어렵-[危]+다(평서형 종결어미).
니 주062)
니:
하였으니. ᄒᆞ-+니(연결어미).
어럽(렵)다 호 주063)
호:
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오래 잇디 몯 히라 주064)
히라:
곳이다. ᄯᅡㅎ[場]+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웃 句 涅槃애 잇디 아니탓 주065)
아니탓:
아니하다는. 아니ᄒᆞ-[不]+닷(연결어미).
마리오 주066)
마리오:
말이고. 말[言]+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아랫 주067)
아랫:
아랫. 아래의. 아래[下]+ㅅ(관형격조사).
句 尊貴 位예 주068)
위(位)예:
위(位)에. 자리에.
잇디 주069)
잇디:
있지. 잇-[有]+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타 주070)
아니타:
아니하다고. 않다고. 아니ᄒᆞ-+다(평서형 종결어미).
호미니 주071)
호미니:
함이니. 하는 것이니.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그럴 져젯 주072)
져젯:
저자의. 져제[市]+ㅅ(관형격조사).
가온 맛봄도 주073)
맛봄도:
만남도. 맛보-[相逢]+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一定 긔역이 주074)
긔역(약)이:
기약(期約)이. 긔약(期約)+이(주격조사).
업다 니 주075)
니:
하였으니.
 주그며 살며 호매 잇디 아니니 두 고대 잇디 아니커니 주076)
아니커니:
아니하거니. 아니ᄒᆞ-+[不]+거니(연결어미).
中道 주077)
중도(中道):
유(有)나 공(空)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또는 고락(苦樂)의 양편을 떠난 올바른 행법(行法)을 이른다.
엣디 주078)
엣디:
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이시리오 주079)
이시리오:
있겠는가. 이시-[在]+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그럴 주080)
그럴:
그러므로. 그럴ᄉᆡ[所以](부사).
조각 돌오미라 주081)
돌오미라:
돌림이다. 돌오-[使廻]+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이러면 주082)
이러면:
이러면. 이러면[恁](부사).
어느 고대 모 두리오 주083)
두리오:
둘리오. 둘 것인가. 두-[安]+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더러온 주084)
더러온:
누추한. 더러ᇦ-[陋]+ᄋᆞᆫ(관형사형어미).
지 주085)
지:
집에서. 집[家]+ᄋᆡ(부사격조사).
金色  주086)
:
말을. ᄆᆞᆯ[馬]+ᄋᆞᆯ(목적격조사).
디 주087)
디:
타지. ᄐᆞ-[騎]+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주088)
몯야:
못하여. 몯ᄒᆞ-[不]+야(연결어미).
다 주089)
다:
다른. 다ᄅᆞ-[異]+ㄴ(관형사형어미).
주090)
유(類):
종류. 부류. 출생에 따라 규정이 되어 있는 상태.
녀 주091)
녀:
다니어. 가서. ᄃᆞᆫ니-[行]+어(연결어미).
輪迴니라 주092)
윤회(輪廻)니라:
윤회(輪廻)하는 것이다. 윤회(輪廻)는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의 세계를 끊임없이 돌고 도는 것을 말한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경(經)에 이르되 “부처께서 방편(方便)의 힘으로 험한 길에 한 성(城)을 만들어 고단한 사람을 인도(引導)할 것이라 하시고 고(告)하여 말씀하시되, ‘이 큰 성(城)에서 가히 쉴 수 있을 것이니, 이 성(城)에 들면 가장 편안할 것이다. 만약 앞의 보배가 있는 곳에 가면 또 가히 쉽게 갈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셨다. 그러므로 부처가 일부러 열반(涅槃)을 만들어 하열(下劣)한 근기(根機)를 기다리실지언정, 진실로 열반(涅槃)이 가히 쉴 만한 곳이 아니므로 위태롭다고 하였으니, 위태롭다고 하는 것은 오래 있지 못할 곳이다. 윗 구[上句]는 열반(涅槃)에 있지 아니하다는 말이고, 아랫 구[下句]는 존귀한 자리에 있지 않다고 함이다. 그러므로 저자[市]의 가운데서 만남도 일정한 기약이 없다고 하였다. 또 죽으며 살며 하는 것에 있지 않으니, 두 곳에 있지 않은데 중도(中道)에 어찌 있겠는가? 그러므로 기(機) 돌림이다. 이러면 어느 곳에 몸을 둘 것인가? 누추한 집에서 금색 말을 타지 못하여 다른 유(類)에 가서 윤회(輪廻)하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權掛垢衣를 云是佛이어니와 却裝珎御런 復名誰오 珎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부러 주093)
부러:
일부러. 부러[權](부사).
더러온 주094)
더러온:
더러운. 때 묻은. 더러ᇦ-[垢]+ᄋᆞᆫ(관형사형어미).
옷 주095)
옷:
옷을. 옷[衣]+ᄋᆞᆯ(목적격조사).
니브니란 주096)
니브니란:
입은 이는. 걸친 이는. 닙-[掛]+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뿌(부)톄라 려니와 주097)
려니와:
하겠거니와.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보 주098)
보:
보배의. 보배로운. 보ᄇᆡ[珎]+ㅅ(관형격조사).
옷 니브니란  누리라 주099)
누리라:
누구라. 눌[誰]+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리오 주100)
리오:
할 것인가. 하리오.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일부러 때 묻은 옷을 입은 이는 부처라 하겠거니와, 곧 보배로운 옷을 입은 이는 또 누구라 할 것인가?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拖泥帶水者런 假立名狀이라 已許尊貴ㅣ어니와 其迢迢金殿에 長年不出者런 作什麽名狀고 且道라 名狀

십현담요해언해:33ㄱ

底是佛耶아 沒名狀底是佛耶아 佛之一字 吾不喜聞노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며 주101)
며:
끌며. ᄭᅳᅀᆞ-[拖]+며(대등적 연결어미).
가지니란 주102)
가지니란:
가진 이는. 가지-[帶]+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假借야 주103)
가차(假借)야:
빌려. 가차(假借)ᄒᆞ-+야(연결어미).
얼구리 주104)
얼구리:
모습이. 얼굴[狀]+이(주격조사).
이숀 디라 주105)
이숀 디라:
있는 것이라. 있는지라. 이시-[有]+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마 尊貴타 려니와 주106)
려니와:
하겠거니와.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그 먼 金殿에 주107)
금전(金殿)에:
금전(金殿)에서. ‘금전(金殿)’은 황금색으로 장식한 궁궐이나 절, 또는 큰 집을 이른다.
長年에 주108)
장년(長年)에:
오랜 기간. 오래도록. ‘장년(長年)’은 긴 세월을 이른다.
나디 주109)
나디:
나오지. 나-[出]+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란 주110)
아니니란:
않은 이는. 아니-[不]+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므스기라 주111)
므스기라:
무엇이라. 므슥[什麽]+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일훔리오 주112)
일훔리오:
이름을 붙일 것인가. 일훔ᄒᆞ-[名]+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니라 주113)
니라:
말하라. 이르라. 니ᄅᆞ-[道]+라(명령형 종결어미).
일훔리 주114)
일훔리:
이름 붙일 이가. 일훔ᄒᆞ[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뿌(부)텨아 주115)
뿌(부)텨아:
부처인가. 부텨[佛]+가/아(의문보조사).
일훔 몯리 주116)
몯리:
못할 이가. 몯ᄒᆞ-[沒]+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뿌(부)텨아 뿌(부)텨라 주117)
뿌(부)텨라:
부처라. 부텨[佛]+(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18)
혼:
한. 하는. ᄒᆞ-+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19)
:
한. ᄒᆞᆫ[一](관형사).
字 주120)
자(字):
글자를. 자(字)+ᄅᆞᆯ(목적격조사).
주121)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깃거 주122)
깃거:
기꺼이. 기ᇧ-[喜]+어(연결어미).
몯 듣노라 주123)
몯 듣노라:
못 듣노라. 몯[不](부사)#듣-[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흙 끌며 물가진 이는 빌려서 모습이 있는 것이라 이미 존귀하다고 하겠거니와, 그 먼 금전(金殿)에서 오랜 기간 나오지 않는 이는 무엇이라 이름을 붙일 것인가? 말하라. 이름 붙일 이가 부처인가, 이름 붙이지 못할 이가 부처인가? 부처라고 하는 한 글자를 내가 기꺼이 듣지 못하노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木人이 夜半애 穿靴去고 石女ㅣ 天明에 戴帽歸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나모 사미 주124)
나모 사미:
나무 사람이. 목우(木偶)가. ‘나무 사람’은 나무로 만든 사람의 형상, 곧, 목인(木人), 목상(木像)을 이른다. 흔히 목우(木偶)라고 한다. 여기서는 비유적으로 쓴 것이다.
밤에 주125)
밤에:
밤중에. 밤[夜]+ㅅ(사잇소리 표기)#듀ᇰ[半]+에(부사격조사).
주126)
훠:
신. ‘훠’는 목이 있는 신발로 수혜자(水鞋子)나 목화(木靴) 등의 신을 이른다.
시너 주127)
시너:
신고. 신-[着靴]+어(연결어미).
가고 돌겨지비 주128)
돌겨지비:
돌계집이. 돌[石]#겨집[女]+이(주격조사). ‘돌계집[石女]’은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여인을 이른다.
새배 주129)
새배:
새벽. 새배[晨](명사).
곳갈 주130)
곳갈:
고깔. 곳갈[帽](명사).
쓰고 주131)
쓰고:
쓰고. 쓰-[戴]+고(대등적 연결어미).
가도다 주132)
가도다:
갔도다. 가-[歸]+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나무 사람이 밤중에 신 신고 가고, 돌계집이 새벽에 고깔을 쓰고 갔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此 無語中에 有語也ㅣ라 雖不可名狀이나 而大機大用이 煥然呈露야 有不可藏匿者니 如云호 泥牛ㅣ 含月去고 木馬ㅣ 火中嘶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 주133)
이:
이것은. 이[此](대명사)+ᄂᆞᆫ(보조사).
말 업슨 에 말 이쇼미라 주134)
이쇼미라:
있음이다. 있는 것이다.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비록 수이 주135)
수이:
쉽게. 수이[易](부사).
일훔 몯 지나 주136)
지나:
붙이나. 짛-[狀]+ᄋᆞ나(연결어미).
조각과 주137)
조각과:
기(機)와. 조각[機]+과(접속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138)
용(用):
사물의 운용 및 활동, 또는 어떤 현상과 행동을 일으키는 작용(作用)이나 공용(功用)을 이른다. 곧 물건에 갖추어진 기능이다.
번시 주139)
번시:
뚜렷이. 분명하게. 번ᄃᆞ시[煥然](부사).
나타 주140)
나타:
나타나. 낱-[露呈]+아(연결어미).
수이 갊디 주141)
갊디:
숨기지. 감추지. 갊-[藏匿]+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니 주142)
몯리니:
못할 것이니.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닐오   주143)
 :
흙 소가. ᄒᆞᆰ[泥]#쇼[牛]+ㅣ(주격조사).
 주144)
: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므러 주145)
므러:
물어. 물고. 믈-[含]+어(연결어미).
가며 나모

십현담요해언해:33ㄴ

리 주146)
나모 리:
나무 말이. 나모[木]#ᄆᆞᆯ[馬]+이(주격조사).
주147)
븘:
불의. 불. 블[火]+ㅅ(관형격조사).
가온 우다 주148)
우다:
운다. 울-[嘶]+다(평서형 종결어미).
니라 주149)
니라:
하듯 한 것이다. 한 것과 같다. ᄒᆞ-+ᄃᆞᆺ#ᄒ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것은 말 없는 가운데 말 있는 것이다. 비록 쉽게 이름은 못 붙이나, 큰 기(機)와 큰 용(用)이 뚜렷이 나타나 쉽게 숨기지 못할 것이니, 이르되 “흙 소가 달을 물고 가며, 나무 말이 불 가운데서 운다.”고 한 것과 같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萬古碧潭애 空界月를 再三撈摝야 始應知아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오란 주150)
오란:
오래된. 오라-[久]+ㄴ(관형사형어미).
프른 주151)
프른:
푸른. 프르-[碧]+ㄴ(관형사형어미).
모새 주152)
모새:
못에. 못[潭]+애(부사격조사).
虛空앳 주153)
허공(虛空)앳:
허공(虛空)의. 허공(虛空)+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 주154)
: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다시곰 주155)
다시곰:
다시금. 다시[再]+곰(보조사).
세 번 거려 주156)
거려:
건져야. 거리-[撈]+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비르서 알리아 주157)
알리아:
알겠는가. 알겠느냐.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가/아(‘ᄒᆞ라’체의 판정의문형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오랜 푸른 못에서 허공의 달을 두 번 세 번 건져야 비로소 알겠는가?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郞月ㅣ 懸空야 下照澄潭야 萬古千秋에 宛然如昨이어니 何必再三撈摝而後어 知乎리오 以喩大機大用인 杷柄이 在手야 橫拈倒用애 無有不是니 廻機轉位도 猶是兒戱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 리 虛空애 여 주158)
여:
달려. ᄃᆞᆯ이-[被懸]+어(연결어미).
 주159)
:
맑은. ᄆᆞᆰ-[澄]+ᄋᆞᆫ(관형사형어미).
모새 비취여 주160)
비취여:
비치어. 비취-[照]+어(연결어미).
萬古千秋 주161)
만고천추(萬古千秋):
한 없이 오랜 세월을 이른다.
애 젼혀 어제 야 주162)
야:
같아서. 같이.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잇거니 주163)
잇거니:
있거니. 있는데. 잇-[有]+거니(연결어미).
엣디 구여 다시 세 번 거린 주164)
거린:
건진. 거리-[撈]+ㄴ(관형사형어미).
後에 주165)
후(後)에:
후(後)에야. 뒤에야. 후(後)+에(부사격조사)+ᅀᅡ(보조사).
알리오 주166)
알리오:
알 것인가. 알겠는가.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큰 조각과 큰 用인 이 주167)
이:
자루가. ᄌᆞᄅᆞ[柄]+이(주격조사).
소내 주168)
소내:
손에. 손[手]+애(부사격조사).
이셔 주169)
이셔:
있어. 이시-[在]+어(연결어미).
빗기 주170)
빗기:
비스듬히. 비ᇧ-[橫]+이(부사파생접미사).
자며 주171)
자며:
잡으며. 잡고. 잡-[拈]+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갓고로 주172)
갓고로:
거꾸로. 갓고로[倒](부사).
매 주173)
매:
씀에. 사용함에. ᄡᅳ-[用]+ㅁ(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174)
왼:
그릇된. 외-[不是]+ㄴ(관형사형어미).
히 주175)
히:
곳이. 땅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업스니 주176)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연결어미).
조각 돌옴과 주177)
돌옴과:
돌림과. 돌리는 것과. 돌오-[使廻]+옴/움(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돌·오-’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돌:옴]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位(ㅣ) 주178)
위(位)(ㅣ):
위(位). 명사의 끝소리가 [j]임에도 주격조사 ‘ㅣ’를 굳이 표기한 것은 이 책에서 ‘위’ 자를 한자 ‘位’로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몸도 주179)
올몸도:
옮김도. 옮-[轉]+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오히려 아 주180)
아:
아이의. 아ᄒᆡ[兒]+∅(관형격조사).
노시로다 주181)
노시로다:
장난이로다. 노ᄅᆞᆺ[戱]+이(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넷(녯) 註에 닐오 學人 주182)
학인(學人):
불가에서 도(道)를 배우는 과정에 있는 승려를 이르는 말이다.
이 虛空 잡디 주183)
잡디:
잡지. 잡-[把]+디(보조적 연결어미).
말오 주184)
말오:
말고. 말-[莫]+고/오(대등적 연결어미).
모로매 子細히 라 주185)
ᄒᆞ라:
하라. ᄒᆞ-+라(명령형 종결어미).
니 주186)
니:
하였으니.
데 주187)
데:
뜻에. 뜻에서. ᄠᅳᆮ[意]+에(부사격조사).
맛다 주188)
맛다:
맞다. 맞는다. 맞-[是]+다(평서형 종결어미).
커니와 주189)
커니와:
하거니와. 하겠거니와. ᄒᆞ-+거니와(연결어미).
맛디 주190)
맛디:
맞지. 맞-[是]+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타 주191)
아니타:
아니하다. 아니ᄒᆞ-[非]+다(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밝은 달이 허공에 달려서 맑은 못에 비치어 만고천추(萬古千秋)에 완전히 어제 같이 있는데, 어찌 구태여 두 번 세 번 건진 후에야 알겠는가? 큰 기(機)와 큰 용(用)인 자루가 손에 있어 비스듬히 잡고 거꾸로 씀에 그릇된 곳이 없으니, 기(機) 돌림과 위(位) 옮김도 오히려 아이의 장난이로다. 【옛 주(註)에 이르되 “학인(學人)은 허공을 잡지 말고 모름지기 자세히 하라.”고 하였으니, 큰 뜻에서는 맞다고 하겠거니와, (엄밀히는) 맞지 않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각:기(機)ᄅᆞᆯ.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근기(根機)이다. ‘근기(根機)’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능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능력을 이른다.
주002)
도다:돌리다. 도ᄅᆞ-[廻]+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03)
동산(洞山):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년)를 이른다. 그는 9세기 무렵에 활동했던 중국 당나라의 승려이다. 21세에 숭산의 소림사에서 구족계를 받아 출가했으며, 선가오종 최초로 조동종(曹洞宗)을 열어 개조(開祖)가 되었다.
주004)
닐오:말하되. 니ᄅᆞ-[云]+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05)
위(位)예:위에서. 위(位)+예(부사격조사). ‘위(位)’는 바른 자리, 또는 제자리, 곧 정위(正位)를 이른다.
주006)
여디:떼어 놓지. 분리하지. 여ᄒᆡ-[離]+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7)
바래:바다에. 바ᄅᆞᆯ[海]+애(부사격조사).
주008)
디리라:떨어질 것이다. 디-[墮]+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9)
고댓:곳의. 곧[邊]+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0)
아:까닭을. 사정을. 앛[消息]+ᄋᆞᆯ(목적격조사).
주011)
알오:알고. 알-[知]+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12)
모로매: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13)
려:버려. ᄇᆞ리-[捨]+어(연결어미).
주014)
금시조(金翅鳥):불경에 나오는 상상의 새이다. 용을 잡아먹고 산다고 한다. 가루라(迦樓羅).
주015)
라:날라. ᄂᆞᆯ-[飛騰]+아(연결어미).
주016)
자재(自在)히:마음대로. 자재(自在)하게. ‘자재(自在)’는 구속 받지 않고 저절로, 또는 마음대로라는 뜻임.
주017)
노녀:노닐어. 노니-[翶翔]+어(연결어미).
주018)
의거(依據)나:의거(依據)하지만. ‘의거’는 사실에 근거하거나 힘을 빌려 의지함을 이른다.
주019)
료미:걸림이. 거리낌이. ᄀᆞ리-[拘礙]+옴/움(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주020)
외디:되지. ᄃᆞ외-[爲]+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1)
아니홈:아니함. 않는 것. 아니ᄒᆞ-[不]+옴/움(명사형어미).
주022)
야:같아야.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023)
일후:이름을. 일훔[名]+ᄋᆞᆯ(목적격조사).
주024)
조각:기(機). 근기(根機).
주025)
도다:돌린다. 도ᄅᆞ-[廻]+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26)
니라:하는 것이다. ᄒᆞ-[爲]+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7)
열반성(涅槃城):열반은 진리를 깨치고 생사를 해탈한 불·보살이 거주하는 곳이므로 궁성에 비유하여 열반성이라 한다. 또는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서방정토(西方淨土).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으로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고 한다. 이 열반성에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고 불생불멸의 진리와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이치를 깨친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다고 전한다.
주028)
소개도:속에도. 안쪽도. 속[裏]+애(부사격조사)+도(보조사).
주029)
어렵거:어렵거늘. 위험하거늘. 어렵-[危]+거ᄂᆞᆯ(연결어미).
주030)
믄득:문득. 믄득[驀](부사).
주031)
길헤:길에서. 길ㅎ[路]+에(부사격조사).
주032)
맛보미:만남이. 맞보-[逢]+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33)
긔역(약)이:기약(期約)이. 긔역(약)[期約]+이(주격조사).
주034)
업도다:없도다. 없-[沒]+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35)
방편(方便):보살(菩薩)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일체 중생의 기류근성(機類根性)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편의적인 수단을 이른다. 여기에서 일반화하여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이르는 말로 확대되었다.
주036)
힘로:힘으로. 힘[力]+ᄋᆞ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37)
자:성(城)을. 잣[城]+ᄋᆞᆯ(목적격조사).
주038)
라:만들어. ᄆᆡᇰᄀᆞᆯ-[作]+아(연결어미).
주039)
:고단한. 지친. ᄀᆞᆺᄇᆞ-[疲]+ㄴ(관형사형어미).
주040)
사:사람을. 사ᄅᆞᆷ[人]+ᄋᆞᆯ(목적격조사).
주041)
인도(引導)호리라:인도(引導)할 것이다. 인도(引導)ᄒᆞ-+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2)
자새:성(城)에서. 잣[城]+애(부사격조사).
주043)
어로:가(可)히. 어로[可](부사).
주044)
쉬리니:쉴 수 있을 것이니. 쉬-[休]+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45)
들면:들면. 들-[入]+면(연결어미).
주046)
장:가장. 매우. ᄀᆞ자ᇰ[最](부사).
주047)
편안(便安)리라:편안(便安)할 것이다. 편안(便安)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8)
앏:앞의. 앒[前](명사).
주049)
해:곳에. ᄯᅡㅎ[所]+애(부사격조사).
주050)
수이:쉽게. 수이[易](부사).
주051)
가리라:갈 수 있을 것이다. 가-[去]+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52)
부러:일부러. 부러(부사).
주053)
열반(涅槃):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고,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높은 경지를 이른다. 이런 연유로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해탈(解脫).
주054)
샤:만드시어. ᄆᆡᇰᄀᆞᆯ-[設]+ᄋᆞ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55)
하열(下劣):인품이나 행동이 저급하고 비열함을 이른다.
주056)
근기(根機):교법(敎法)을 듣고 닦는 중생의 능력. 곧,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여 부처나 성자가 될 근성(根性)을 이른다.
주057)
기오시건:기다리실지언정. 기ᄃᆞᆯ오-[待]+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건뎌ᇰ(연결어미).
주058)
쉴:쉴. 쉬-[休歇]+ㄹ(관형사형어미).
주059)
히:곳이. ᄯᅡㅎ[場]+이(주격조사).
주060)
아닐:아니므로. 아니-[非]+ㄹᄉᆡ(연결어미).
주061)
어럽(렵)다:어렵다. 위태롭다. 어렵-[危]+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62)
니:하였으니. ᄒᆞ-+니(연결어미).
주063)
호:함은. 하는 것은. ᄒᆞ-+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064)
히라:곳이다. ᄯᅡㅎ[場]+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5)
아니탓:아니하다는. 아니ᄒᆞ-[不]+닷(연결어미).
주066)
마리오:말이고. 말[言]+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67)
아랫:아랫. 아래의. 아래[下]+ㅅ(관형격조사).
주068)
위(位)예:위(位)에. 자리에.
주069)
잇디:있지. 잇-[有]+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0)
아니타:아니하다고. 않다고. 아니ᄒᆞ-+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71)
호미니:함이니. 하는 것이니.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72)
져젯:저자의. 져제[市]+ㅅ(관형격조사).
주073)
맛봄도:만남도. 맛보-[相逢]+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주074)
긔역(약)이:기약(期約)이. 긔약(期約)+이(주격조사).
주075)
니:하였으니.
주076)
아니커니:아니하거니. 아니ᄒᆞ-+[不]+거니(연결어미).
주077)
중도(中道):유(有)나 공(空)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또는 고락(苦樂)의 양편을 떠난 올바른 행법(行法)을 이른다.
주078)
엣디: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주079)
이시리오:있겠는가. 이시-[在]+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80)
그럴:그러므로. 그럴ᄉᆡ[所以](부사).
주081)
돌오미라:돌림이다. 돌오-[使廻]+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2)
이러면:이러면. 이러면[恁](부사).
주083)
두리오:둘리오. 둘 것인가. 두-[安]+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84)
더러온:누추한. 더러ᇦ-[陋]+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85)
지:집에서. 집[家]+ᄋᆡ(부사격조사).
주086)
:말을. ᄆᆞᆯ[馬]+ᄋᆞᆯ(목적격조사).
주087)
디:타지. ᄐᆞ-[騎]+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88)
몯야:못하여. 몯ᄒᆞ-[不]+야(연결어미).
주089)
다:다른. 다ᄅᆞ-[異]+ㄴ(관형사형어미).
주090)
유(類):종류. 부류. 출생에 따라 규정이 되어 있는 상태.
주091)
녀:다니어. 가서. ᄃᆞᆫ니-[行]+어(연결어미).
주092)
윤회(輪廻)니라:윤회(輪廻)하는 것이다. 윤회(輪廻)는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육도(三界六道)의 세계를 끊임없이 돌고 도는 것을 말한다.
주093)
부러:일부러. 부러[權](부사).
주094)
더러온:더러운. 때 묻은. 더러ᇦ-[垢]+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95)
옷:옷을. 옷[衣]+ᄋᆞᆯ(목적격조사).
주096)
니브니란:입은 이는. 걸친 이는. 닙-[掛]+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주097)
려니와:하겠거니와.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주098)
보:보배의. 보배로운. 보ᄇᆡ[珎]+ㅅ(관형격조사).
주099)
누리라:누구라. 눌[誰]+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00)
리오:할 것인가. 하리오.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01)
며:끌며. ᄭᅳᅀᆞ-[拖]+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02)
가지니란:가진 이는. 가지-[帶]+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주103)
가차(假借)야:빌려. 가차(假借)ᄒᆞ-+야(연결어미).
주104)
얼구리:모습이. 얼굴[狀]+이(주격조사).
주105)
이숀 디라:있는 것이라. 있는지라. 이시-[有]+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06)
려니와:하겠거니와.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주107)
금전(金殿)에:금전(金殿)에서. ‘금전(金殿)’은 황금색으로 장식한 궁궐이나 절, 또는 큰 집을 이른다.
주108)
장년(長年)에:오랜 기간. 오래도록. ‘장년(長年)’은 긴 세월을 이른다.
주109)
나디:나오지. 나-[出]+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10)
아니니란:않은 이는. 아니-[不]+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란(보조사).
주111)
므스기라:무엇이라. 므슥[什麽]+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12)
일훔리오:이름을 붙일 것인가. 일훔ᄒᆞ-[名]+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13)
니라:말하라. 이르라. 니ᄅᆞ-[道]+라(명령형 종결어미).
주114)
일훔리:이름 붙일 이가. 일훔ᄒᆞ[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115)
뿌(부)텨아:부처인가. 부텨[佛]+가/아(의문보조사).
주116)
몯리:못할 이가. 몯ᄒᆞ-[沒]+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117)
뿌(부)텨라:부처라. 부텨[佛]+(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18)
혼:한. 하는. ᄒᆞ-+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19)
:한. ᄒᆞᆫ[一](관형사).
주120)
자(字):글자를. 자(字)+ᄅᆞᆯ(목적격조사).
주121)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122)
깃거:기꺼이. 기ᇧ-[喜]+어(연결어미).
주123)
몯 듣노라:못 듣노라. 몯[不](부사)#듣-[聞]+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24)
나모 사미:나무 사람이. 목우(木偶)가. ‘나무 사람’은 나무로 만든 사람의 형상, 곧, 목인(木人), 목상(木像)을 이른다. 흔히 목우(木偶)라고 한다. 여기서는 비유적으로 쓴 것이다.
주125)
밤에:밤중에. 밤[夜]+ㅅ(사잇소리 표기)#듀ᇰ[半]+에(부사격조사).
주126)
훠:신. ‘훠’는 목이 있는 신발로 수혜자(水鞋子)나 목화(木靴) 등의 신을 이른다.
주127)
시너:신고. 신-[着靴]+어(연결어미).
주128)
돌겨지비:돌계집이. 돌[石]#겨집[女]+이(주격조사). ‘돌계집[石女]’은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여인을 이른다.
주129)
새배:새벽. 새배[晨](명사).
주130)
곳갈:고깔. 곳갈[帽](명사).
주131)
쓰고:쓰고. 쓰-[戴]+고(대등적 연결어미).
주132)
가도다:갔도다. 가-[歸]+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33)
이:이것은. 이[此](대명사)+ᄂᆞᆫ(보조사).
주134)
이쇼미라:있음이다. 있는 것이다.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35)
수이:쉽게. 수이[易](부사).
주136)
지나:붙이나. 짛-[狀]+ᄋᆞ나(연결어미).
주137)
조각과:기(機)와. 조각[機]+과(접속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138)
용(用):사물의 운용 및 활동, 또는 어떤 현상과 행동을 일으키는 작용(作用)이나 공용(功用)을 이른다. 곧 물건에 갖추어진 기능이다.
주139)
번시:뚜렷이. 분명하게. 번ᄃᆞ시[煥然](부사).
주140)
나타:나타나. 낱-[露呈]+아(연결어미).
주141)
갊디:숨기지. 감추지. 갊-[藏匿]+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42)
몯리니:못할 것이니.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43)
 :흙 소가. ᄒᆞᆰ[泥]#쇼[牛]+ㅣ(주격조사).
주144)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주145)
므러:물어. 물고. 믈-[含]+어(연결어미).
주146)
나모 리:나무 말이. 나모[木]#ᄆᆞᆯ[馬]+이(주격조사).
주147)
븘:불의. 불. 블[火]+ㅅ(관형격조사).
주148)
우다:운다. 울-[嘶]+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49)
니라:하듯 한 것이다. 한 것과 같다. ᄒᆞ-+ᄃᆞᆺ#ᄒ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50)
오란:오래된. 오라-[久]+ㄴ(관형사형어미).
주151)
프른:푸른. 프르-[碧]+ㄴ(관형사형어미).
주152)
모새:못에. 못[潭]+애(부사격조사).
주153)
허공(虛空)앳:허공(虛空)의. 허공(虛空)+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154)
:달을. ᄃᆞᆯ[月]+ᄋᆞᆯ(목적격조사).
주155)
다시곰:다시금. 다시[再]+곰(보조사).
주156)
거려:건져야. 거리-[撈]+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157)
알리아:알겠는가. 알겠느냐.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가/아(‘ᄒᆞ라’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주158)
여:달려. ᄃᆞᆯ이-[被懸]+어(연결어미).
주159)
:맑은. ᄆᆞᆰ-[澄]+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60)
비취여:비치어. 비취-[照]+어(연결어미).
주161)
만고천추(萬古千秋):한 없이 오랜 세월을 이른다.
주162)
야:같아서. 같이.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주163)
잇거니:있거니. 있는데. 잇-[有]+거니(연결어미).
주164)
거린:건진. 거리-[撈]+ㄴ(관형사형어미).
주165)
후(後)에:후(後)에야. 뒤에야. 후(後)+에(부사격조사)+ᅀᅡ(보조사).
주166)
알리오:알 것인가. 알겠는가. 알[知]+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67)
이:자루가. ᄌᆞᄅᆞ[柄]+이(주격조사).
주168)
소내:손에. 손[手]+애(부사격조사).
주169)
이셔:있어. 이시-[在]+어(연결어미).
주170)
빗기:비스듬히. 비ᇧ-[橫]+이(부사파생접미사).
주171)
자며:잡으며. 잡고. 잡-[拈]+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72)
갓고로:거꾸로. 갓고로[倒](부사).
주173)
매:씀에. 사용함에. ᄡᅳ-[用]+ㅁ(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174)
왼:그릇된. 외-[不是]+ㄴ(관형사형어미).
주175)
히:곳이. 땅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주176)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연결어미).
주177)
돌옴과:돌림과. 돌리는 것과. 돌오-[使廻]+옴/움(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돌·오-’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돌:옴]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178)
위(位)(ㅣ):위(位). 명사의 끝소리가 [j]임에도 주격조사 ‘ㅣ’를 굳이 표기한 것은 이 책에서 ‘위’ 자를 한자 ‘位’로 썼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179)
올몸도:옮김도. 옮-[轉]+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주180)
아:아이의. 아ᄒᆡ[兒]+∅(관형격조사).
주181)
노시로다:장난이로다. 노ᄅᆞᆺ[戱]+이(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82)
학인(學人):불가에서 도(道)를 배우는 과정에 있는 승려를 이르는 말이다.
주183)
잡디:잡지. 잡-[把]+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84)
말오:말고. 말-[莫]+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185)
ᄒᆞ라:하라. ᄒᆞ-+라(명령형 종결어미).
주186)
니:하였으니.
주187)
데:뜻에. 뜻에서. ᄠᅳᆮ[意]+에(부사격조사).
주188)
맛다:맞다. 맞는다. 맞-[是]+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89)
커니와:하거니와. 하겠거니와. ᄒᆞ-+거니와(연결어미).
주190)
맛디:맞지. 맞-[是]+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91)
아니타:아니하다. 아니ᄒᆞ-[非]+다(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