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조주삼문(趙州三門)
  • 1. 문수 면목(文殊面目)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문수 면목(文殊面目)


文殊面目이라

文殊 주001)
문수(文殊)ㅅ:
문수(文殊)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이른다.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라 주002)
라:
모습이다. 야ᇰᄌᆞ(樣子)+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문수(文殊)의 모습이다.

欲識文殊貌댄 頭頭에 路不阿ㅣ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文殊ㅅ  주003)
:
낯을. 얼굴을. ᄂᆞᆾ[貌]+ᄋᆞᆯ(목적격조사).
알오져 주004)
알오져:
알고져. 알려고. 알-[識]+고져/오져(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오져’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홀딘댄 주005)
홀딘댄:
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곧곧마다 주006)
곧곧마다:
곳곳마다. 곧곧[頭頭]+마다(보조사).
길히 주007)
길히:
길이. 길ㅎ[路]+이(주격조사).
굽디 주008)
굽디:
굽지. 굽-[阿]+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라 주009)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하다. 아니ᄒᆞ-[不]+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문수(文殊)의 낯을 알고자 할진댄, 곳곳마다 길이 굽지 아니하니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東林은 靑鬱密고 南嶽 碧嵯峨ㅣ로다 天際옌 懸空月ㅣ오 庭前넨 帶雨莎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東녁 주010)
동(東)녁:
동쪽. 동녘.
수플른 주011)
수플른:
수풀은. 수플[林]+은(보조사). ‘른’은 선행명사 말음을 거듭 표기한 형태이다.
퍼러야 주012)
퍼러야:
퍼렇게. 퍼러ᄒᆞ-[靑]+야(연결어미).
거츨오 주013)
거츨오:
거칠고. 거츨-[鬱密]+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南녁 주014)
남(南)녁:
남쪽. 남녘.
묏부리 주015)
묏부리:
산꼭대기는. 산봉우리는. 묏부리[嶽]+ᄂᆞᆫ(보조사).
퍼러야 놉도다 주016)
놉도다:
높도다. 높구나. 높-[嵯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하 주017)
하:
하늘가에는. 하ᄂᆞᆯ[天]+ㅅ(사잇소리)#ᄀᆞᇫ[際]+ᄋᆡ(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虛空애 리 주018)
리:
달이. ᄃᆞᆯ[月]+이(주격조사).
옛고 주019)
옛고:
달려 있고. 달렸고. 걸려 있고. ᄃᆞᆯ이-[被懸]+어(보조적 연결어미)#잇-[在]+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0)
:
뜰. 뜰의. ᄠᅳᆯ[庭].
앏 주021)
앏:
앞에는. 앒[前]+ᄋᆡ(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마 주022)
마:
맞은. 맞-[帶]+ᄋᆞᆫ(관형사형어미).
莎ㅣ로다 주023)
사(莎)ㅣ로다:
사(莎)이로다. 향부자(香附子)이로다. 사(莎)+ㅣ(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향부자(香附子)’는 해변에서 주로 나는 사초과(莎草科)의 여러 해 살이 풀이름이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동쪽 수풀은 퍼렇게 거칠고, 남쪽 산꼭대기는 퍼렇게 높도다. 하늘가에는 허공(虛空)에 달이 달려 있고, 뜰 앞에는 비를 맞은 향부자(香附子)이로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莎 莖葉에 周匝多毛니 今之香附子ㅣ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莎 주024)
사(莎):
사(莎)는. ‘ᄂᆞᆫ’은 보조사.
줄기와 닙페 주025)
닙페:
잎에. 닢[葉]+에(부사격조사). 명사말음의 ‘ㅍ’을 중철 표기한 형태이다.
감로 주026)
감로:
감듯이 빙 돌아서. 빙 둘러서. 가ᇝ돌-[周匝]+오(부사파생 접미사).
터리 주027)
터리:
털이. 털[毛]+이(주격조사).
주028)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프리니 주029)
프리니:
풀이니. 풀인데. 플[草]+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이졧(젯) 주030)
이졧(젯):
이제의. 지금의. 이졔[今]+ㅅ(관형격조사).
香附子ㅣ라 주031)
향부자(香附子)ㅣ라:
향부자(香附子)이다. ‘향부자(香附子)’는 해변에서 주로 나는 사초과(莎草科)의 여러 해 살이 풀이름이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사(莎)는 줄기와 잎에 빙 둘러서 털이 많은 풀인데, 지금의 향부자(香附子)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此四句 文殊面目이 頭頭에 彰露시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주032)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33)
네:
네. 네[四](수관형사).
句 주034)
구(句):
구(句)는. 구절(句節)은. ‘ᄂᆞᆫ’은 보조사.
文殊ㅅ 주035)
문수(文殊)ㅅ:
문수(文殊)의. 문수보살(文殊菩薩)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가리킨다. ‘문수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 주036)
:
모습이. 양자(樣子)가. 야ᇰᄌᆞ[樣子]+ㅣ(주격조사).
귿귿마다 주037)
귿귿마다:
구구절절이. 각 수(首)마다. 귿귿[頭頭]+마다(보조사).
나 주038)
나:
나타나는. 낱-[彰露]+ᄋᆞᆯ(관형사형어미).
시라 주039)
시라:
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 네 구(句)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의 모습이 구구절절(句句節節)이 나타나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更尋玄妙相인댄 箭已過新羅리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가야 주040)
가야:
다시. 가ᄉᆡ야[更](부사).
玄妙 얼구 주041)
얼구:
형상(形相)을. 모습을. 얼굴[形相]+ᄋᆞᆯ(목적격조사).
조려 주042)
조려:
찾으려. 찾으려고. ᄎᆞᆽ-[尋]+오/우(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홀딘댄 주043)
홀딘댄:
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십현담요해언해:42ㄱ

주044)
사리:
화살이. 살[箭]+이(주격조사).
셔 주045)
셔:
벌써. 이미. ᄇᆞᆯ셔[已](부사).
新羅애 주046)
신라(新羅)애:
신라(新羅)에. 신라(新羅)를. ‘애’는 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 ‘신라(新羅)’는 아주 먼 곳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디나도다 주047)
디나도다:
지났도다. 지났구나. 디나-[過]+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다시 현묘한 모습을 찾으려 할진댄, 화살이 벌써 신라를 지났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箭已過新羅 言此外예 欲求文殊面目인댄 遠之遠矣리라 新羅 國名이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사리 셔 新羅애 디나 주048)
디나:
지남은. 지났다는 것은. 디나-[過]+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디·나-(상성+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디:남]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49)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外예 주050)
외(外)예:
외(外)에.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文殊ㅅ 주051)
문수(文殊)ㅅ:
문수(文殊)의. 문수보살(文殊菩薩)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가리킨다. ‘문수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 주052)
ᄌᆞᄅᆞᆯ:
모습을. 양자(樣子)를. 양ᄌᆞ[樣子]+ᄅᆞᆯ(목적격조사).
求코져 주053)
구(求)코져:
구(求)하고자. 구(求)ᄒᆞ-+고져(의도형 연결어미).
홀딘댄 주054)
홀딘댄:
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어멀리라 주055)
어멀(머)리라:
아주 멀리라고, 많이 멀리라고. 어머리[遠]+∅(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닐오미라 주056)
닐오미라:
이르는 것이다. 말함이다. 니ᄅᆞ-[言]+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新羅 주057)
신라(新羅):
신라(新羅)는. ‘ᄂᆞᆫ’은 보조사. ‘신라(新羅)’는 당시 중국에서 아주 먼 곳이라는 비유적 의미로 쓰였다.
나랏 주058)
나랏:
나라의. 나라[國]+ㅅ(관형격조사).
일호미라 주059)
일호미라:
이름이다. 일홈[名]+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화살이 벌써 신라를 지났다는 것은, 이 외(外)에 문수(文殊)의 모습을 구하고자 할진댄 ‘아주 멀리’라고 이르는 것이다. 신라(新羅)는 나라의 이름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문수(文殊)ㅅ:문수(文殊)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이른다.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주002)
라:모습이다. 야ᇰᄌᆞ(樣子)+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3)
:낯을. 얼굴을. ᄂᆞᆾ[貌]+ᄋᆞᆯ(목적격조사).
주004)
알오져:알고져. 알려고. 알-[識]+고져/오져(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오져’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05)
홀딘댄: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주006)
곧곧마다:곳곳마다. 곧곧[頭頭]+마다(보조사).
주007)
길히:길이. 길ㅎ[路]+이(주격조사).
주008)
굽디:굽지. 굽-[阿]+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9)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하다. 아니ᄒᆞ-[不]+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0)
동(東)녁:동쪽. 동녘.
주011)
수플른:수풀은. 수플[林]+은(보조사). ‘른’은 선행명사 말음을 거듭 표기한 형태이다.
주012)
퍼러야:퍼렇게. 퍼러ᄒᆞ-[靑]+야(연결어미).
주013)
거츨오:거칠고. 거츨-[鬱密]+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4)
남(南)녁:남쪽. 남녘.
주015)
묏부리:산꼭대기는. 산봉우리는. 묏부리[嶽]+ᄂᆞᆫ(보조사).
주016)
놉도다:높도다. 높구나. 높-[嵯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17)
하:하늘가에는. 하ᄂᆞᆯ[天]+ㅅ(사잇소리)#ᄀᆞᇫ[際]+ᄋᆡ(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주018)
리:달이. ᄃᆞᆯ[月]+이(주격조사).
주019)
옛고:달려 있고. 달렸고. 걸려 있고. ᄃᆞᆯ이-[被懸]+어(보조적 연결어미)#잇-[在]+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0)
:뜰. 뜰의. ᄠᅳᆯ[庭].
주021)
앏:앞에는. 앒[前]+ᄋᆡ(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주022)
마:맞은. 맞-[帶]+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23)
사(莎)ㅣ로다:사(莎)이로다. 향부자(香附子)이로다. 사(莎)+ㅣ(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향부자(香附子)’는 해변에서 주로 나는 사초과(莎草科)의 여러 해 살이 풀이름이다.
주024)
사(莎):사(莎)는. ‘ᄂᆞᆫ’은 보조사.
주025)
닙페:잎에. 닢[葉]+에(부사격조사). 명사말음의 ‘ㅍ’을 중철 표기한 형태이다.
주026)
감로:감듯이 빙 돌아서. 빙 둘러서. 가ᇝ돌-[周匝]+오(부사파생 접미사).
주027)
터리:털이. 털[毛]+이(주격조사).
주028)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주029)
프리니:풀이니. 풀인데. 플[草]+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30)
이졧(젯):이제의. 지금의. 이졔[今]+ㅅ(관형격조사).
주031)
향부자(香附子)ㅣ라:향부자(香附子)이다. ‘향부자(香附子)’는 해변에서 주로 나는 사초과(莎草科)의 여러 해 살이 풀이름이다.
주032)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33)
네:네. 네[四](수관형사).
주034)
구(句):구(句)는. 구절(句節)은. ‘ᄂᆞᆫ’은 보조사.
주035)
문수(文殊)ㅅ:문수(文殊)의. 문수보살(文殊菩薩)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가리킨다. ‘문수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주036)
:모습이. 양자(樣子)가. 야ᇰᄌᆞ[樣子]+ㅣ(주격조사).
주037)
귿귿마다:구구절절이. 각 수(首)마다. 귿귿[頭頭]+마다(보조사).
주038)
나:나타나는. 낱-[彰露]+ᄋᆞᆯ(관형사형어미).
주039)
시라:것이다. 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0)
가야:다시. 가ᄉᆡ야[更](부사).
주041)
얼구:형상(形相)을. 모습을. 얼굴[形相]+ᄋᆞᆯ(목적격조사).
주042)
조려:찾으려. 찾으려고. ᄎᆞᆽ-[尋]+오/우(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주043)
홀딘댄: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주044)
사리:화살이. 살[箭]+이(주격조사).
주045)
셔:벌써. 이미. ᄇᆞᆯ셔[已](부사).
주046)
신라(新羅)애:신라(新羅)에. 신라(新羅)를. ‘애’는 처소부사격조사. 여기서 ‘신라(新羅)’는 아주 먼 곳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주047)
디나도다:지났도다. 지났구나. 디나-[過]+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48)
디나:지남은. 지났다는 것은. 디나-[過]+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디·나-(상성+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디:남]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49)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50)
외(外)예:외(外)에. ‘예’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51)
문수(文殊)ㅅ:문수(文殊)의. 문수보살(文殊菩薩)의. ‘ㅅ’은 높임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문수(文殊)’는 ‘문수보살(文殊菩薩)’을 가리킨다. ‘문수보살’은 보현보살(普賢菩薩)과 짝을 하고 있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의 보처(補處)로, 왼쪽에 있으면서 지혜를 맡은 보살이다.
주052)
ᄌᆞᄅᆞᆯ:모습을. 양자(樣子)를. 양ᄌᆞ[樣子]+ᄅᆞᆯ(목적격조사).
주053)
구(求)코져:구(求)하고자. 구(求)ᄒᆞ-+고져(의도형 연결어미).
주054)
홀딘댄:할진댄. 한다면.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딘댄(종속적 연결어미).
주055)
어멀(머)리라:아주 멀리라고, 많이 멀리라고. 어머리[遠]+∅(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56)
닐오미라:이르는 것이다. 말함이다. 니ᄅᆞ-[言]+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주057)
신라(新羅):신라(新羅)는. ‘ᄂᆞᆫ’은 보조사. ‘신라(新羅)’는 당시 중국에서 아주 먼 곳이라는 비유적 의미로 쓰였다.
주058)
나랏:나라의. 나라[國]+ㅅ(관형격조사).
주059)
일호미라:이름이다. 일홈[名]+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