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입제(立題)
  • 6. 환향곡(還鄕曲)
메뉴닫기 메뉴열기

6. 환향곡(還鄕曲)


還鄕曲이라

本鄕로 주001)
본향(本鄕)로:
본향(本鄕)으로. ‘ᄋᆞ로’는 부사격조사. ‘본향’은 본디 살던 고장이니, 여기서는 불교적 인식의 범위에서 말하는 무생경계(無生境界)를 이른다.
도라가 주002)
도라가:
돌아가는. 도라가-[還]+ᄂᆞᆫ(관형사형어미).
놀애라 주003)
놀애라:
노래이다. 놀애[曲]+∅(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本鄕 주004)
본향(本鄕):
본향(本鄕)은. ‘ᄋᆞᆫ’은 보조사.
無生境界ㅣ라 주005)
무생경계(無生境界)(ㅣ)라:
무생경계(無生境界)이다. 무생경계(無生境界)+(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반모음 [j] 다음에 서술격조사 ‘ㅣ’ 표기를 한 것은 선행명사가 한자로 적혔기 때문일 것이다. ‘무생(無生)’은 태어남이 없다는 뜻이다. 또한 남이 없으므로 멸(滅)도 없다고 하여 무생무멸(無生無滅)이라고도 한다. ‘경계(境界)’는 인식 작용의 대상. 곧 ‘대경(對境)’이다. 따라서 ‘무생경계(無生境界)’는 인식으로써 ‘무생무멸(無生無滅)’의 상태를 이른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본향(本鄕)으로 돌아가는 노래이다.【본향은 무생경계(無生境界)이다.】

勿於中路애 事空王고 策杖야 咸須達本鄕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가온 주006)
가온:
가운데의. 가운데. 가온ᄃᆡ[中]+ㅅ(관형격조사).
길헤 주007)
길헤:
길에서. 길ㅎ[路]+에(처소부사격조사).
주008)
뷘:
비어있는. 빈. 공연(空然)히. 뷔-[空]+ㄴ(관형사형어미).
님구 주009)
님구:
임금을. 님굼[王]+ᄋᆞᆯ(목적격조사).
셤기디 주010)
셤기디:
섬기지. 셤기-[事]+디(보조적 연결어미).
말오 주011)
말오:
말고. 말-[勿]+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막대 주012)
막대:
막대기를. 막대[杖](명사).
디퍼 주013)
디퍼:
짚어. 딮-[策]+어(연결어미).
本鄕로 주014)
본향(本鄕)로:
본향(本鄕)으로. ‘ᄋᆞ로’는 부사격조사.
차 주015)
차:
꿰뚫어. 득달같이. 막힘없이 빠르게. ᄉᆞᄆᆞᆾ-[透]+아(연결어미).
가라 주016)
가라:
가라. 가-[行]+라(명령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가운데 길에서 공연(空然)히 임금을 섬기지 말고, 지팡이 짚고 모두 본향(本鄕)으로 득달같이 가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說妙談玄도 猶是中路ㅣ며 趣向菩提도 即事空王이니 大凡디 學人이 橫拈柱杖며 倒握吹毛야 牙如劒樹며 口似血盆야 佛祖性命 一刀애 截斷야도 猶是

십현담요해언해:27ㄱ

鈍漢이온 況掠虛摸空야 佇思停機ㅣ녀 所以道호 登山須到頂이오 入海須到底ㅣ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微妙 주017)
미묘(微妙):
섬세하고 묘(妙)하다는 뜻이다. 또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 말 니며 주018)
니며:
이르며. 니ᄅᆞ-[說]+며(대등적 연결어미).
玄妙 주019)
현묘(玄妙):
도리(道理) 등이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微妙)함을 이른다.
 말도 올히려 주020)
올(오)히려:
오히려. 오히려[猶](부사).
가온 주021)
가온:
가운데의. 가온ᄃᆡ[中]+ㅅ(관형격조사).
길히며 주022)
길히며:
길이며. 길ㅎ[路]+이(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가온 길 本鄕애 몯 갯 주023)
갯:
가 있는. 가는. 가-[行]+아(연결어미)#잇-[在]+ᄂᆞᆫ(관형사형어미).
라 주024)
라:
사이이다. ᄉᆞᅀᅵ[間]+∅(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菩提예 주025)
보리(菩提)예:
보리(菩提)에. ‘예’는 부사격조사. ‘보리(菩提)’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를 말한다.
나감도 주026)
나감도:
나아감도. 나ᅀᅡ가-[趣]+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나·ᅀᅡ·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곧 뷘 님굼 셤교미니 주027)
셤교미니:
섬김이니. 섬기는 것이니. 셤기-[事]+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大凡디 주028)
대범(大凡)디:
무릇.
홀 주029)
홀:
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사미 막대 주030)
막대:
막대기. 지팡이. 막대[柱杖].
빗기 주031)
빗기:
비스듬히. 빗기[橫](부사).
자며 주032)
자며:
잡으며. 잡-[拈]+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吹毛釼 주033)
취모검(吹毛釼):
입김에 날아온 털 하나마저 칼날에 닿으면 단박에 베어질 정도로 잘 든다고 해서 지어진 칼의 이름이다. 여기서는 번뇌라는 무명초(無名草)마저 베어버릴 정도로 날카로운 칼이라는 비유로 썼다.
갓고로 주034)
갓고로:
거꾸로. 갓고로[倒](부사).
자바 주035)
자바:
잡아. 잡-[握]+아(연결어미).
【吹毛釼 터리 주036)
터리:
털을. 터리[毛]+ᄅᆞᆯ(목적격조사).
해 주037)
해:
날에. ᄂᆞᆯㅎ[刃]+애(부사격조사).
다히고 주038)
다히고:
대고. 다히-[觸]+고(대등적 연결어미).
부러 주039)
부러:
불면. 불-[吹]+어ᄃᆞᆫ(연결어미).
벋 주040)
벋:
베는. 벋-[割]+ᄂᆞᆫ(관형사형어미).
갈히니 주041)
갈히니:
칼이니. 갈ㅎ[刀]+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學人이 一切 情量 주042)
정량(情量):
분별하는 마음, 상대에 맞추는 방편(方便)을 뜻하며, 인연에 이끌리어 제대로 볼 줄 모르는 것을 비판적으로 본 견해이다. 이것이 다한 곳에 도(道)가 있다고 한다.
 그 로 주043)
로:
모습으로. 야ᇰᄌᆞ[樣子]+로(부사격조사).
베텨 주044)
베텨:
베어버려야. 베티-[斬]+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受用 주045)
수용(受用):
받아서 쓰는 것이다.
올니라 주046)
올니라:
옳게 되느니라. 옳-[是]+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어미 주047)
어미:
어금니가. 엄[牙]+이(주격조사).
즘게 주048)
즘게:
큰 나무. 즘게[樹](명사).
며 주049)
며:
같으며. ᄀᆞᆮᄒᆞ-[如]+며(연결어미).
이비 주050)
이비:
입이. 입[口]+이(주격조사).
핏  주051)
핏 :
피 동이. 피[血]+ㅅ(사잇소리)#도ᇰᄒᆡ[盆].
야 이 주052)
이ᄂᆞᆫ:
이것은. 이[此]+ᄂᆞᆫ(보조사).
미 世間ㅅ 情量애 업닷 주053)
업닷:
없다는. 없-[無]+닷(연결어미).
마리라 주054)
마리라:
말이다. 말[語]+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뿌(부)텨와 祖師ㅅ 목수  갈해 베텨도 올히려 鈍 모디온 주055)
모디(미)온:
몸인데. 몸[漢]+이(서술격조사)+곤/온(연결어미). ‘-온’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 이 역주서의 저본인 『십현담요해』 언해본에서는 한자 ‘漢’을 이 예에서 보듯 ‘몯’으로 옮겼는데, 그 무렵에 간행된 어떤 책에서도 이런 어휘를 찾을 수 없다. 한 글자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에서 ‘몯’으로 옮긴 점을 감안하면 원고본 작성자의 언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목판본이어서 탈획(脫劃)된 글자가 아닌가 하는 점과 의미의 상관성에 무게를 실어 여기서는 ‘몸’으로 바꾸어 역주했다.
며 업슨 것 아며 주056)
아며:
앗으며. 빼앗으며. 아ᇫ-[掠]+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虛空 자바 주057)
자바:
잡아. 잡-[摸]+아(연결어미).
머추며 주058)
머추며:
멈추며. 머추-[停]+며(대등적 연결어미).
조각 주059)
조각:
기(機)를. 으뜸을.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두미녀 주060)
두미녀:
둠이겠느냐. 두-[佇]+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ᄯᆞ녀(반어적 의문형 종결어미).
그럴 주061)
그럴:
그러므로. 그럴ᄉᆡ[所以](부사).
닐오 주062)
닐오:
이르되. 니ᄅᆞ-[道]+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뫼헤 주063)
뫼헤:
산에. 뫼ㅎ[山]+에(부사격조사).
올올덴(뎬) 주064)
올올덴:
오를진댄. 오를 때는. 올오-[登]+ㄹ덴(연결어미).
모로매 수개 주065)
수개:
꼭대기에. 정상(頂上)에. 수ᄂᆞᆯ개[頂].
오고 바래 드롤덴(뎬) 주066)
드롤덴:
들진댄. 들[入]+오/우(선어말어미)+ㄹ덴(연결어미).
모로매 며(미) 주067)
며(미):
맨 밑에. ᄆᆞᆺ[最](관형사)#밑[底]+ᄋᆡ(부사격조사). ‘밑’은 부사격조사에 ‘ᄋᆡ/의’를 쓰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갈 디니라 주068)
갈 디니라:
갈지니라. 갈 것이니라. 가-[到]+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미묘(微妙)한 말 이르며 현묘(玄妙)한 말 하는 것도 오히려 가운데 길이며, 【가운데 길은 본향(本鄕)에 가지 못한 사이이다.】 보리에 나아감도 곧 공(空)한 임금을 섬기는 것이다. 무릇 배우는 사람이 지팡이를 비스듬히 잡고 취모검(吹毛釼)을 거꾸로 잡아, 【취모검(吹毛釼)은 털을 날에 대고 불면 (털이) 베어지는 칼이니, 학인(學人)이 일체의 정량(情量)을 그 모양으로 베어 버려야 수용(受用)이 옳게 된다.】 어금니가 칼 나무 같으며 입이 피 동이 같아서, 【이것은 마음이 세간의 정량(情量)에 없다는 말이다.】 부처와 조사(祖師)의 목숨을 한 칼에 베어 버려도 오히려 둔(鈍)한 몸인데, 하물며 없는 것 빼앗으며 허공을 잡아 뜻 멈추며 기(機)를 멈춰 둠이겠느냐! 그러므로 이르되 “산에 오를진댄 모름지기 꼭대기에 오르고, 바다에 들진댄 모름지기 밑바닥에 갈지니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雲水隔時예 君莫住라 雪山深處에 我非忙호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구룸과 믈와 린  주069)
린 :
가린 곳에. 나뉜 곳에. ᄀᆞ리-[隔]+ㄴ(관형사형어미)#ᄃᆡ[時].
그 주070)
그:
그대. 그ᄃᆡ[君](2인칭 대명사).
잇디 주071)
잇디:
있지. 잇-[住]+디(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눈 주072)
딘:
내린. 디-[降]+ㄴ(관형사형어미).
기픈  주073)
기픈 ᄃᆡ:
깊은 곳에서. 깊-[深]+은(관형사형어미)#ᄃᆡ[處].
밧디 주074)
밧디:
바쁘지. 밧ᄇᆞ-[忙]+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호라 주075)
아니호라:
아니하다. 아니ᄒᆞ-[非]+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구름과 물이 막힌 곳에 그대 있지 말라. 눈 내린 산 깊은 곳에서 나는 바쁘지 아니하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

십현담요해언해:27ㄴ

一切語言知見聖賢位次 謂之雲水ㅣ오 如是諸法情量見解 蕩盡無餘야 一色이 全彰야 無可比方 謂之雪山이니 聖賢位次 妙語玄談애 君莫停機ㅣ어다 一色이 孤危야 魔外ㅣ 難窺야 得到大休歇田地라도 我亦不肯호리라 所以道호 依倚一物이면 便不中이라도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一切ㅅ 말과 見解와 聖賢 주076)
성현(聖賢):
성인(聖人)과 현인(賢人)을 아울러 이른다.
位次 주077)
위차(位次):
위상(位相)과 품계(品階)에 따른 차례를 이른다.
 구룸과 믈왜라 고 【구룸 믈와 닷 주078)
닷:
꺼림칙하다는. ᄭᅥᆲ-[難澁]+닷(연결어미).
마리라】
이러 주079)
이러:
이렇듯 한. 이러하듯 한. 이러ᄐᆞᆺᄒᆞᆫ[如此](관형사).
諸法 주080)
제법(諸法):
우주 사이에 있는 유형, 무형의 온갖 사물. 인연에 따라 발생하고 존재하는 차별의 현상을 이른다.
情量 주081)
정량(情量):
분별하는 마음, 상대에 맞추는 방편(方便)을 뜻하며, 인연에 이끌리어 제대로 볼 줄 모르는 것을 비판적으로 본 견해이다. 이것이 다한 곳에 도(道)가 있다고 한다.
見解 주082)
견해(見解):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이른다.
조히 주083)
조히:
깨끗하게. 깨끗이. 좋-[淨]+이(부사파생접미사).
러 주084)
러:
쓸어. ᄡᅳᆯ-[掃]+어(연결어미).
더뎌 주085)
더뎌:
던지어. 더디-[投棄]+어(연결어미).
나 주086)
나:
남은. 남-[餘]+ᄋᆞᆫ(관형사형어미).
거시 업게 야  비치 주087)
비치:
빛이. 빛[色]+이(주격조사).
젼혀 주088)
젼혀:
전혀. 온전히. 젼혀[全](부사).
나타 주089)
나타:
나타나. 낱-[彰]+아(연결어미).
가빌 주090)
가빌:
비유할. 비교할. ᄀᆞᄌᆞᆯ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
히 업수 눈 딘 뫼히라 니 【눈 딘 뫼 싁싁 시라 주091)
싁싁 시라:
웅장한 것이다. 늠름한 것이다. 싁싁ᄒᆞ-[凜凜]+ㄹ(관형사형어미)#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聖賢 位次 微妙 말와 주092)
말와:
말과. 말[語]+과/와(접속조사). 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玄微 마래 주093)
마래:
말에. 말[談]+애(부사격조사).
그 주094)
그:
그대는. 그대가. 그듸[君]+∅(주격조사).
조각 주095)
조각:
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두디 주096)
두디:
두지. 두-[停]+디(보조적 연결어미).
마롤 디어다 주097)
마롤 디어다:
말 지어다. 말-[莫]+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비치 孤絶코 주098)
고절(孤絶)코:
고절(孤絶)하고. ‘고절(孤絶)’은 고고(孤高)한 절개가 더할 수 없이 뛰어남을 이른다.
어려워 주099)
어려워:
어려워. 위태로워. 어려ᇦ-[危]+어(연결어미).
外道ㅅ 주100)
외도(外道)ㅅ:
외도(外道)의. ‘ㅅ’은 관형격조사. ‘외도’는 불교(佛敎) 이외의 다른 종교를 이른다.
거시 주101)
거시:
것이. 것(의존명사)+이(주격조사). ‘외도(外道)의 것이’는 외도(外道)가.
엿우디 주102)
엿우디:
엿보지. 엿우-[窺]+디(보조적 연결어미).
몯야  주103)
:
크게. ᄀᆞ자ᇰ[대](부사).
쉴 해 갈 디라도 주104)
갈 디라도:
갈지라도. 가-[到]+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도(연결어미).
내 즐기디 아니호리라 주105)
아니호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ᄒᆞ-[不]+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그럴 닐오  거 주106)
 거:
한 것에. 하나에.
븓들이면 주107)
븓들이면:
붙들리면. 븓들이-[被依]+면(연결어미).
맛디 주108)
맛디:
맞지. 맞-[適]+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리라 주109)
아니리라:
않을 것이다. 아니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일체의 말씀과 견해와 성현(聖賢)의 위차(位次)를 구름과 물이라 하고, 【구름과 물은 꺼림칙하다는 말이다.】 이와 같은 제법(諸法) 정량(情量) 견해(見解)를 깨끗이 쓸어 던져서 남은 것이 없게 하여, 한 빛이 온전히 나타나 비교할 곳이 없는 것을 눈 내린 산이라 한다. 【눈 내린 산은 웅장한 것이다.】 성현(聖賢)의 위차(位次)인 미묘한 말과 현묘한 말에 대해 그대는 기(機)를 두지 말지어다. 한 빛이 고절(孤絶)하고 위태로워 외도(外道)가 엿보지 못하여, 크게 쉴 곳에 갈지라도 나는 즐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르되 “하나에 붙들리면 맞지 않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십현담요해언해:28ㄱ

堪嗟去日레 顔如玉이러니 却歎廻來예 鬢似霜이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슬험 직다 주110)
슬험 직다:
슬퍼함 직하다. 슳-[悲]+엄(명사형어미)#직ᄒᆞ-(보조형용사)+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11)
갈:
간. 가-[去]+ㄹ(관형사형어미).
나랜 주112)
나랜:
날에는. 날[日]+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 주113)
:
모습이. 야ᇰᄌᆞ[樣子]+ㅣ(주격조사).
졈더니 주114)
졈더니:
젊더니. 졈-[少]+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애다 주115)
애다:
애달다. 애달프다. 애ᄃᆞᆲ-[歎]+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16)
젠:
때는. 제[時]+ㄴ(보조사).
귀미티 주117)
귀미티:
귀밑머리가. 귀밑[鬢]+이(주격조사).
셰도다 주118)
셰도다:
세었다. 하얗구나. 셰-[髮白]+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슬퍼함 직하다고 간 날에는 모습이 젊더니, 애달프다. 올 때는 귀밑머리(살쩍)가 세었구나.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始悟眞源 宛是初機러니 及乎悟了얀 方知本具ㅣ로다 白髮小兒ㅣ 初成正覺고 小兒白髮이 轉妙法輪이로다 法華經애 云호 佛이 出釋氏宮샤 去伽耶ㅣ 不遠샤 坐於道場샤 得阿耨菩提시니 然이나 成佛已來ㅣ 無量百千億那由他刦이라니 爲什麽如是오 古之今之며 今之古之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비서 주119)
비서:
처음에. 처음으로. 비ᄅᆞᆺ-[始]+어(연결어미).
眞實ㅅ 根源 아로려 주120)
아로려:
알고자. 알려고. 알-[悟]+오/우(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 젠 젼혀 주121)
젼혀:
전(專)혀. 젼혀[專](부사).
根機ㅣ러니 주122)
근기(根機)ㅣ러니:
근기(根機)였는데. 근기(根機)+ㅣ(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근기’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중생의 능력이다. 곧,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여 부처나 성자가 될 근성(根性)을 이른다.
조히 주123)
조히:
깨끗이. 명료(明瞭)하게. 좋-[淨]+이(부사파생접미사).
아라 주124)
아라:
알고는. 깨닫고는. 알-[悟]+아(연결어미)+ᄂᆞᆫ(보조사).
젼혀 주125)
젼혀:
온전히. 전(全)혀. 젼혀[全](부사).
本來 잿도다 주126)
잿도다:
갖추고 있도다. 가졌도다. ᄀᆞᆽ-[具]+아(연결어미)#잇-[有]+도다(감탄형 종결어미).
머리 셴 아기 주127)
아기:
아기가. 아기[兒]+∅(주격조사).
처 주128)
처:
처음. 처ᅀᅥᆷ[初](부사).
뿌(부) 주129)
뿌(부)텨:
부처가. 부텨[佛]+∅(보격조사).
도외오 주130)
도외오:
되고. 도외-[成]+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아기 머리 셰니 주131)
셰니:
센 이가. 머리 흰 사람이. 셰-[髮白]+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132)
법(法):
범어로 ‘dharma’라고 한다.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가리킨다.
펴도다 주133)
펴도다:
폈도다. 펴-[輪]+도다(감탄형 종결어미).
法華經 주134)
법화경(法華經):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약칭이다. 대승 불교에서 가장 널리 읽혀져 온 대표적인 경전의 하나이다. ‘대승경전의 꽃’ 또는 ‘모든 경전 중의 으뜸’이라고 한다.
닐오 주135)
닐오:
이르되. 니ᄅᆞ-[云]+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뿌(부)톄 釋氏ㅅ 주136)
석씨(釋氏)ㅅ:
석씨(釋氏)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석씨’는 부처님의 종족인 샤키아족 곧, 석가씨족(釋迦氏族)을 이른다.
王宮 주137)
왕궁(王宮):
여기서의 왕궁(王宮)은 나중에 부처님이 된 시다르타 태자(太子)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하는 고대 인도의 가비라성(迦毘羅城)을 이른다. 히말라야산(山)의 산기슭에 있었다는 나라 궁성(宮城)을 가리킨다.
나샤 주138)
나샤:
나시어. 태어나시어. 나-[生]+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伽耶城 주139)
가야성(伽耶城):
고대 중인도 마갈다국의 도성(都城) 이름. 여기서는 석가모니가 성도한 곳인 불타가야(佛陀伽耶)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현재 인도 비하루주 가야시의 남쪽 약 10km 지점에 있다고 한다.
으로미 주140)
으로미:
떨어짐이. 떨어진 것이. 버ᇰ을-[隔]+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머디 주141)
머디:
멀지. 멀-[遠]+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샤 주142)
아니샤:
아니하시어. 아니하여. 아니ᄒᆞ-[不]+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道場애 주143)
도량(道場)애:
도량(道場)에. ‘도량’은 ‘보리도량(菩提道場)’의 줄임말로 불도(佛道)를 닦는 곳을 이른다. 한자음 ‘도장’을 ‘도량’으로 발음하는 것은 ‘道場’의 중세국어 시기 독음 ‘됴’이 유음화된 것이다. 지금은 주로 사찰을 이른다.
안샤 阿耨菩提 주144)
아뇩보리(阿耨菩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이른다.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의 지혜이다.
어시니 주145)
어시니:
얻으시니. 얻-[得]+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십현담요해언해:28ㄴ

【阿耨菩提 뿌(부)텨 도닷 주146)
도닷:
된다는. 도ᄋᆡ-[成]+닷(연결어미).
마리라】
그러나 뿌(부)텨 외여신 디 주147)
외여신 디:
되신 지. 되신 것이. ᄃᆞ외-[成]+어(연결어미)#(이)시[在]+ㄴ(관형사형어미)#디(의존명사).
無量 주148)
무량(無量):
무량(無量)의. ‘무량’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뜻임.
百千億 那由他 주149)
나유타(那由他):
인도에서 말하는 아주 긴 시간으로 아승기(阿僧祇)의 억(億) 곱절이면서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억(億) 분의 일에 해당한다.
주150)
겁(刦):
겁(劫). 천지(天地)가 한번 개벽(開闢)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란 뜻으로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이라 니 엣디 이러뇨 주151)
이러뇨:
이러하냐. 이러한가. 이러ᄒᆞ-[是]+뇨(‘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52)
녜:
옛날이. 녜[古](명사).
이제며 주153)
이제며:
지금이며. 이제[今]+며(대등적 연결어미).
이제 녜로다 주154)
녜로다:
옛날이로다. 녜[古]+∅(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처음에 진실의 근원을 알고자 할 때에는 전(專)혀 첫 근기(根機)였는데, 명료히 깨달은 뒤에는 온전히 본래 갖추고 있도다. 머리 센 아기가 처음 부처 되고, 아기 머리 센 이가 법(法)을 폈도다. 법화경(法華經)에 이르되 “부처께서 석씨(釋氏)의 왕궁에서 나시어 가야성(伽耶城)과 떨어짐이 멀지 아니하여, 도량에 앉아 아뇩보리(阿耨菩提)를 얻으셨다.” 【아뇩보리(阿耨菩提)는 부처가 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부처 되신 지 무량(無量) 백천억(百千億) 나유타겁(那由他劫이라고 하니, 어찌 이러하냐? 옛날이 지금이고, 지금이 옛날이로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撒手야 到家 人不識니 更無一物도 獻尊堂이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쏜(손) 주155)
쏜(손):
손. 손을. 손[手](명사).
러 주156)
러:
놓고. 떨치고. ᄠᅥᆯ-[撒]+어(연결어미).
지 주157)
지:
집에. 집[家]+ᄋᆡ(부사격조사).
가 주158)
가:
감을. 가는 것을. 가-[行]+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사미 주159)
사미:
(다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아디 몯니 다시  것도 주160)
 것도:
한 것도. 한 사물도. ᄒᆞᆫ[一](관형사)#것(의존명사)+도(보조사).
아바님 주161)
아바님:
아버님께. 아버님[父]+ᄭᅴ(상대 부사격조사).
받올 주162)
받올:
받칠. 받[獻]+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ᆯ(관형사형어미).
거시 업도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손 떨치고 집에 가는 것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니, 다시 한 것[事物]도 아버님께 바칠 것이 없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所得諸法이 盡是摸空捉影이며 所到家鄕이 無非撮電捫風이로다 紅顔老爺 將何奉獻고 雲山海月로 爲他供며 無底盃盂로 獻壽觴호리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어돈 주163)
어돈:
얻은. 얻-[得]+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모 法이 다 虛空 자며 주164)
자며:
잡으며. 잡-[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그르메 주165)
그르메:
그림자. 그르메[影](명사).
자본 주166)
자본:
잡은. 잡-[捉]+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거시며 주167)
거시며:
것이며.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간 本鄕이 번게 주168)
번게:
번개. 번게[電](명사).
쥐며 주169)
쥐며:
쥐며. 쥐-[撮]+며(대등적 연결어미).
 주170)
:
바람을. ᄇᆞᄅᆞᆷ[風](명사).
잡 주171)
잡:
잡듯이. 잡듯. 잡-[捫]+ᄃᆞᆺ(연결어미).
호미 주172)
호미:
함이. 하는 것이.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아닔 주173)
아닔:
아님이. 아니-[非]+ㄹ(동명사어미)+ㅅ(격조사).
아니로다 주174)
아니로다:
아니로다. 아니-[無]+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져믄 주175)
져믄:
젊은. 졈-[少]+은(관형사형어미).
늘근 주176)
늘근:
늙은. 늙-[老]+은(관형사형어미).
아비 주177)
아비:
아비를. 아비에게. 아비[爺]+ᄅᆞᆯ(목적격조사).
므스거 주178)
므스거:
무엇을. 므스것[何]+ᄋᆞᆯ(목적격조사).
받오뇨 주179)
받오뇨:
받쳤느냐. 드렸느냐. 받-[奉獻]+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뇨(‘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구룸과 뫼콰 바와 오로 주180)
오로:
달로. ᄃᆞᆯ[月]+오로(도구 부사격조사).
供養 주181)
공양(供養):
불·보살에게 음식이나 재물 등을 바치는 일이다.
사며 주182)
사며:
삼으며. 삼-[爲]+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믿 주183)
믿:
밑이. 밑[底](명사).
업슨 주184)
업슨:
없는. 없-+은(관형사형어미).
잔과 바리로 주185)
바리로:
바리. 바리[盂]+로(도구 부사격조사).
獻壽 주186)
헌수(獻壽):
잔을 바침.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의미로 수연(壽筵) 등의 연회에서 잔을 올리는 일을 말한다.
호리라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얻은 모든 법(法)이 다 허공을 잡으며 그림자를 잡은 것이며, 간 본향(本鄕)이 번개를 쥐며 바람을 잡듯 함이 아닌 것이 아니도다. 젊은 늙은 아비에게 무엇을 바쳤는가? 구름과 산과 바다와 달로 공양(供養)을 삼으며, 밑 없는 잔과 바리로 헌수(獻壽)하리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본향(本鄕)로:본향(本鄕)으로. ‘ᄋᆞ로’는 부사격조사. ‘본향’은 본디 살던 고장이니, 여기서는 불교적 인식의 범위에서 말하는 무생경계(無生境界)를 이른다.
주002)
도라가:돌아가는. 도라가-[還]+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03)
놀애라:노래이다. 놀애[曲]+∅(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4)
본향(本鄕):본향(本鄕)은. ‘ᄋᆞᆫ’은 보조사.
주005)
무생경계(無生境界)(ㅣ)라:무생경계(無生境界)이다. 무생경계(無生境界)+(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반모음 [j] 다음에 서술격조사 ‘ㅣ’ 표기를 한 것은 선행명사가 한자로 적혔기 때문일 것이다. ‘무생(無生)’은 태어남이 없다는 뜻이다. 또한 남이 없으므로 멸(滅)도 없다고 하여 무생무멸(無生無滅)이라고도 한다. ‘경계(境界)’는 인식 작용의 대상. 곧 ‘대경(對境)’이다. 따라서 ‘무생경계(無生境界)’는 인식으로써 ‘무생무멸(無生無滅)’의 상태를 이른다.
주006)
가온:가운데의. 가운데. 가온ᄃᆡ[中]+ㅅ(관형격조사).
주007)
길헤:길에서. 길ㅎ[路]+에(처소부사격조사).
주008)
뷘:비어있는. 빈. 공연(空然)히. 뷔-[空]+ㄴ(관형사형어미).
주009)
님구:임금을. 님굼[王]+ᄋᆞᆯ(목적격조사).
주010)
셤기디:섬기지. 셤기-[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1)
말오:말고. 말-[勿]+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2)
막대:막대기를. 막대[杖](명사).
주013)
디퍼:짚어. 딮-[策]+어(연결어미).
주014)
본향(本鄕)로:본향(本鄕)으로. ‘ᄋᆞ로’는 부사격조사.
주015)
차:꿰뚫어. 득달같이. 막힘없이 빠르게. ᄉᆞᄆᆞᆾ-[透]+아(연결어미).
주016)
가라:가라. 가-[行]+라(명령형 종결어미).
주017)
미묘(微妙):섬세하고 묘(妙)하다는 뜻이다. 또는 섬세하고 야릇하여 무엇이라고 딱 잘라서 말할 수 없는 상태를 이른다.
주018)
니며:이르며. 니ᄅᆞ-[說]+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9)
현묘(玄妙):도리(道理) 등이 헤아릴 수 없이 깊고 미묘(微妙)함을 이른다.
주020)
올(오)히려:오히려. 오히려[猶](부사).
주021)
가온:가운데의. 가온ᄃᆡ[中]+ㅅ(관형격조사).
주022)
길히며:길이며. 길ㅎ[路]+이(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3)
갯:가 있는. 가는. 가-[行]+아(연결어미)#잇-[在]+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24)
라:사이이다. ᄉᆞᅀᅵ[間]+∅(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5)
보리(菩提)예:보리(菩提)에. ‘예’는 부사격조사. ‘보리(菩提)’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를 말한다.
주026)
나감도:나아감도. 나ᅀᅡ가-[趣]+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나·ᅀᅡ·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27)
셤교미니:섬김이니. 섬기는 것이니. 셤기-[事]+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8)
대범(大凡)디:무릇.
주029)
홀:배우는. ᄇᆡ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030)
막대:막대기. 지팡이. 막대[柱杖].
주031)
빗기:비스듬히. 빗기[橫](부사).
주032)
자며:잡으며. 잡-[拈]+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3)
취모검(吹毛釼):입김에 날아온 털 하나마저 칼날에 닿으면 단박에 베어질 정도로 잘 든다고 해서 지어진 칼의 이름이다. 여기서는 번뇌라는 무명초(無名草)마저 베어버릴 정도로 날카로운 칼이라는 비유로 썼다.
주034)
갓고로:거꾸로. 갓고로[倒](부사).
주035)
자바:잡아. 잡-[握]+아(연결어미).
주036)
터리:털을. 터리[毛]+ᄅᆞᆯ(목적격조사).
주037)
해:날에. ᄂᆞᆯㅎ[刃]+애(부사격조사).
주038)
다히고:대고. 다히-[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39)
부러:불면. 불-[吹]+어ᄃᆞᆫ(연결어미).
주040)
벋:베는. 벋-[割]+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41)
갈히니:칼이니. 갈ㅎ[刀]+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42)
정량(情量):분별하는 마음, 상대에 맞추는 방편(方便)을 뜻하며, 인연에 이끌리어 제대로 볼 줄 모르는 것을 비판적으로 본 견해이다. 이것이 다한 곳에 도(道)가 있다고 한다.
주043)
로:모습으로. 야ᇰᄌᆞ[樣子]+로(부사격조사).
주044)
베텨:베어버려야. 베티-[斬]+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045)
수용(受用):받아서 쓰는 것이다.
주046)
올니라:옳게 되느니라. 옳-[是]+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7)
어미:어금니가. 엄[牙]+이(주격조사).
주048)
즘게:큰 나무. 즘게[樹](명사).
주049)
며:같으며. ᄀᆞᆮᄒᆞ-[如]+며(연결어미).
주050)
이비:입이. 입[口]+이(주격조사).
주051)
핏 :피 동이. 피[血]+ㅅ(사잇소리)#도ᇰᄒᆡ[盆].
주052)
이ᄂᆞᆫ:이것은. 이[此]+ᄂᆞᆫ(보조사).
주053)
업닷:없다는. 없-[無]+닷(연결어미).
주054)
마리라:말이다. 말[語]+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55)
모디(미)온:몸인데. 몸[漢]+이(서술격조사)+곤/온(연결어미). ‘-온’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 이 역주서의 저본인 『십현담요해』 언해본에서는 한자 ‘漢’을 이 예에서 보듯 ‘몯’으로 옮겼는데, 그 무렵에 간행된 어떤 책에서도 이런 어휘를 찾을 수 없다. 한 글자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에서 ‘몯’으로 옮긴 점을 감안하면 원고본 작성자의 언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목판본이어서 탈획(脫劃)된 글자가 아닌가 하는 점과 의미의 상관성에 무게를 실어 여기서는 ‘몸’으로 바꾸어 역주했다.
주056)
아며:앗으며. 빼앗으며. 아ᇫ-[掠]+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57)
자바:잡아. 잡-[摸]+아(연결어미).
주058)
머추며:멈추며. 머추-[停]+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59)
조각:기(機)를. 으뜸을.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주060)
두미녀:둠이겠느냐. 두-[佇]+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ᄯᆞ녀(반어적 의문형 종결어미).
주061)
그럴:그러므로. 그럴ᄉᆡ[所以](부사).
주062)
닐오:이르되. 니ᄅᆞ-[道]+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63)
뫼헤:산에. 뫼ㅎ[山]+에(부사격조사).
주064)
올올덴:오를진댄. 오를 때는. 올오-[登]+ㄹ덴(연결어미).
주065)
수개:꼭대기에. 정상(頂上)에. 수ᄂᆞᆯ개[頂].
주066)
드롤덴:들진댄. 들[入]+오/우(선어말어미)+ㄹ덴(연결어미).
주067)
며(미):맨 밑에. ᄆᆞᆺ[最](관형사)#밑[底]+ᄋᆡ(부사격조사). ‘밑’은 부사격조사에 ‘ᄋᆡ/의’를 쓰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68)
갈 디니라:갈지니라. 갈 것이니라. 가-[到]+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9)
린 :가린 곳에. 나뉜 곳에. ᄀᆞ리-[隔]+ㄴ(관형사형어미)#ᄃᆡ[時].
주070)
그:그대. 그ᄃᆡ[君](2인칭 대명사).
주071)
잇디:있지. 잇-[住]+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2)
딘:내린. 디-[降]+ㄴ(관형사형어미).
주073)
기픈 ᄃᆡ:깊은 곳에서. 깊-[深]+은(관형사형어미)#ᄃᆡ[處].
주074)
밧디:바쁘지. 밧ᄇᆞ-[忙]+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5)
아니호라:아니하다. 아니ᄒᆞ-[非]+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76)
성현(聖賢):성인(聖人)과 현인(賢人)을 아울러 이른다.
주077)
위차(位次):위상(位相)과 품계(品階)에 따른 차례를 이른다.
주078)
닷:꺼림칙하다는. ᄭᅥᆲ-[難澁]+닷(연결어미).
주079)
이러:이렇듯 한. 이러하듯 한. 이러ᄐᆞᆺᄒᆞᆫ[如此](관형사).
주080)
제법(諸法):우주 사이에 있는 유형, 무형의 온갖 사물. 인연에 따라 발생하고 존재하는 차별의 현상을 이른다.
주081)
정량(情量):분별하는 마음, 상대에 맞추는 방편(方便)을 뜻하며, 인연에 이끌리어 제대로 볼 줄 모르는 것을 비판적으로 본 견해이다. 이것이 다한 곳에 도(道)가 있다고 한다.
주082)
견해(見解):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이른다.
주083)
조히:깨끗하게. 깨끗이. 좋-[淨]+이(부사파생접미사).
주084)
러:쓸어. ᄡᅳᆯ-[掃]+어(연결어미).
주085)
더뎌:던지어. 더디-[投棄]+어(연결어미).
주086)
나:남은. 남-[餘]+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87)
비치:빛이. 빛[色]+이(주격조사).
주088)
젼혀:전혀. 온전히. 젼혀[全](부사).
주089)
나타:나타나. 낱-[彰]+아(연결어미).
주090)
가빌:비유할. 비교할. ᄀᆞᄌᆞᆯ비-[譬喩]+ㄹ(관형사형어미).
주091)
싁싁 시라:웅장한 것이다. 늠름한 것이다. 싁싁ᄒᆞ-[凜凜]+ㄹ(관형사형어미)#ᄉ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92)
말와:말과. 말[語]+과/와(접속조사). 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93)
마래:말에. 말[談]+애(부사격조사).
주094)
그:그대는. 그대가. 그듸[君]+∅(주격조사).
주095)
조각:기(機)를. 조각[機]+ᄋᆞᆯ(목적격조사). ‘기(機)’는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96)
두디:두지. 두-[停]+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7)
마롤 디어다:말 지어다. 말-[莫]+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98)
고절(孤絶)코:고절(孤絶)하고. ‘고절(孤絶)’은 고고(孤高)한 절개가 더할 수 없이 뛰어남을 이른다.
주099)
어려워:어려워. 위태로워. 어려ᇦ-[危]+어(연결어미).
주100)
외도(外道)ㅅ:외도(外道)의. ‘ㅅ’은 관형격조사. ‘외도’는 불교(佛敎) 이외의 다른 종교를 이른다.
주101)
거시:것이. 것(의존명사)+이(주격조사). ‘외도(外道)의 것이’는 외도(外道)가.
주102)
엿우디:엿보지. 엿우-[窺]+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03)
:크게. ᄀᆞ자ᇰ[대](부사).
주104)
갈 디라도:갈지라도. 가-[到]+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도(연결어미).
주105)
아니호리라:아니할 것이다. 아니ᄒᆞ-[不]+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06)
 거:한 것에. 하나에.
주107)
븓들이면:붙들리면. 븓들이-[被依]+면(연결어미).
주108)
맛디:맞지. 맞-[適]+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09)
아니리라:않을 것이다. 아니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10)
슬험 직다:슬퍼함 직하다. 슳-[悲]+엄(명사형어미)#직ᄒᆞ-(보조형용사)+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11)
갈:간. 가-[去]+ㄹ(관형사형어미).
주112)
나랜:날에는. 날[日]+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113)
:모습이. 야ᇰᄌᆞ[樣子]+ㅣ(주격조사).
주114)
졈더니:젊더니. 졈-[少]+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15)
애다:애달다. 애달프다. 애ᄃᆞᆲ-[歎]+다(평서형 종결어미).
주116)
젠:때는. 제[時]+ㄴ(보조사).
주117)
귀미티:귀밑머리가. 귀밑[鬢]+이(주격조사).
주118)
셰도다:세었다. 하얗구나. 셰-[髮白]+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19)
비서:처음에. 처음으로. 비ᄅᆞᆺ-[始]+어(연결어미).
주120)
아로려:알고자. 알려고. 알-[悟]+오/우(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주121)
젼혀:전(專)혀. 젼혀[專](부사).
주122)
근기(根機)ㅣ러니:근기(根機)였는데. 근기(根機)+ㅣ(서술격조사)+더/러(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근기’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중생의 능력이다. 곧,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여 부처나 성자가 될 근성(根性)을 이른다.
주123)
조히:깨끗이. 명료(明瞭)하게. 좋-[淨]+이(부사파생접미사).
주124)
아라:알고는. 깨닫고는. 알-[悟]+아(연결어미)+ᄂᆞᆫ(보조사).
주125)
젼혀:온전히. 전(全)혀. 젼혀[全](부사).
주126)
잿도다:갖추고 있도다. 가졌도다. ᄀᆞᆽ-[具]+아(연결어미)#잇-[有]+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27)
아기:아기가. 아기[兒]+∅(주격조사).
주128)
처:처음. 처ᅀᅥᆷ[初](부사).
주129)
뿌(부)텨:부처가. 부텨[佛]+∅(보격조사).
주130)
도외오:되고. 도외-[成]+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131)
셰니:센 이가. 머리 흰 사람이. 셰-[髮白]+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132)
법(法):범어로 ‘dharma’라고 한다.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여기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가리킨다.
주133)
펴도다:폈도다. 펴-[輪]+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34)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약칭이다. 대승 불교에서 가장 널리 읽혀져 온 대표적인 경전의 하나이다. ‘대승경전의 꽃’ 또는 ‘모든 경전 중의 으뜸’이라고 한다.
주135)
닐오:이르되. 니ᄅᆞ-[云]+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136)
석씨(釋氏)ㅅ:석씨(釋氏)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석씨’는 부처님의 종족인 샤키아족 곧, 석가씨족(釋迦氏族)을 이른다.
주137)
왕궁(王宮):여기서의 왕궁(王宮)은 나중에 부처님이 된 시다르타 태자(太子)가 태어난 곳이라고 전하는 고대 인도의 가비라성(迦毘羅城)을 이른다. 히말라야산(山)의 산기슭에 있었다는 나라 궁성(宮城)을 가리킨다.
주138)
나샤:나시어. 태어나시어. 나-[生]+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139)
가야성(伽耶城):고대 중인도 마갈다국의 도성(都城) 이름. 여기서는 석가모니가 성도한 곳인 불타가야(佛陀伽耶)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현재 인도 비하루주 가야시의 남쪽 약 10km 지점에 있다고 한다.
주140)
으로미:떨어짐이. 떨어진 것이. 버ᇰ을-[隔]+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141)
머디:멀지. 멀-[遠]+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42)
아니샤:아니하시어. 아니하여. 아니ᄒᆞ-[不]+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143)
도량(道場)애:도량(道場)에. ‘도량’은 ‘보리도량(菩提道場)’의 줄임말로 불도(佛道)를 닦는 곳을 이른다. 한자음 ‘도장’을 ‘도량’으로 발음하는 것은 ‘道場’의 중세국어 시기 독음 ‘됴’이 유음화된 것이다. 지금은 주로 사찰을 이른다.
주144)
아뇩보리(阿耨菩提):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이른다.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미혹(迷惑)함을 여의고 깨달음과 지혜(智慧)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眞相)을 모두 아는 부처의 경지(境地), 최상(最上)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의 지혜이다.
주145)
어시니:얻으시니. 얻-[得]+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46)
도닷:된다는. 도ᄋᆡ-[成]+닷(연결어미).
주147)
외여신 디:되신 지. 되신 것이. ᄃᆞ외-[成]+어(연결어미)#(이)시[在]+ㄴ(관형사형어미)#디(의존명사).
주148)
무량(無量):무량(無量)의. ‘무량’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뜻임.
주149)
나유타(那由他):인도에서 말하는 아주 긴 시간으로 아승기(阿僧祇)의 억(億) 곱절이면서 불가사의(不可思議)의 억(億) 분의 일에 해당한다.
주150)
겁(刦):겁(劫). 천지(天地)가 한번 개벽(開闢)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란 뜻으로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주151)
이러뇨:이러하냐. 이러한가. 이러ᄒᆞ-[是]+뇨(‘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52)
녜:옛날이. 녜[古](명사).
주153)
이제며:지금이며. 이제[今]+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54)
녜로다:옛날이로다. 녜[古]+∅(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55)
쏜(손):손. 손을. 손[手](명사).
주156)
러:놓고. 떨치고. ᄠᅥᆯ-[撒]+어(연결어미).
주157)
지:집에. 집[家]+ᄋᆡ(부사격조사).
주158)
가:감을. 가는 것을. 가-[行]+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159)
사미:(다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160)
 것도:한 것도. 한 사물도. ᄒᆞᆫ[一](관형사)#것(의존명사)+도(보조사).
주161)
아바님:아버님께. 아버님[父]+ᄭᅴ(상대 부사격조사).
주162)
받올:받칠. 받[獻]+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ᆯ(관형사형어미).
주163)
어돈:얻은. 얻-[得]+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64)
자며:잡으며. 잡-[摸]+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65)
그르메:그림자. 그르메[影](명사).
주166)
자본:잡은. 잡-[捉]+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67)
거시며:것이며.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68)
번게:번개. 번게[電](명사).
주169)
쥐며:쥐며. 쥐-[撮]+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70)
:바람을. ᄇᆞᄅᆞᆷ[風](명사).
주171)
잡:잡듯이. 잡듯. 잡-[捫]+ᄃᆞᆺ(연결어미).
주172)
호미:함이. 하는 것이. ᄒᆞ-+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173)
아닔:아님이. 아니-[非]+ㄹ(동명사어미)+ㅅ(격조사).
주174)
아니로다:아니로다. 아니-[無]+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75)
져믄:젊은. 졈-[少]+은(관형사형어미).
주176)
늘근:늙은. 늙-[老]+은(관형사형어미).
주177)
아비:아비를. 아비에게. 아비[爺]+ᄅᆞᆯ(목적격조사).
주178)
므스거:무엇을. 므스것[何]+ᄋᆞᆯ(목적격조사).
주179)
받오뇨:받쳤느냐. 드렸느냐. 받-[奉獻]+ᄌ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ᄋᆞ뇨(‘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80)
오로:달로. ᄃᆞᆯ[月]+오로(도구 부사격조사).
주181)
공양(供養):불·보살에게 음식이나 재물 등을 바치는 일이다.
주182)
사며:삼으며. 삼-[爲]+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83)
믿:밑이. 밑[底](명사).
주184)
업슨:없는. 없-+은(관형사형어미).
주185)
바리로:바리. 바리[盂]+로(도구 부사격조사).
주186)
헌수(獻壽):잔을 바침.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의미로 수연(壽筵) 등의 연회에서 잔을 올리는 일을 말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