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입제(立題)
  • 1. 심인(心印)
메뉴닫기 메뉴열기

1. 심인(心印)


심인(心印)이라

 주001)
:
마음의. ᄆᆞᅀᆞᆷ[心](명사)
印이라 주002)
인(印)이라:
인(印)이다. 인(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선가(禪家)에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쓴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마음[心] 인(印)이다.

[요해]達摩ㅣ 西來샤 不立文字시고 單傳心印샤 直指人心샤 見性成佛이라 시니 此印 不可以語言文字로

십현담요해언해:8ㄴ

形容이라 於日用事物上動靜語默時예 文彩全彰야 當處歷然이론 故로 曰心印이라 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達摩ㅣ 주003)
달마(達摩)ㅣ:
달마(達摩)가. ‘ㅣ’는 주격조사. ‘달마(達摩)’는 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西고로셔 주004)
서(西)고로셔:
서쪽으로부터. 서(西)+ㅅ(사이글자)+녁+오로셔(부사격조사).
오샤 주005)
오샤:
오시어. 오-[來]+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文字 주006)
문자(文字):
문자(文子)를. ‘ᄅᆞᆯ’은 목적격조사.
셰디 주007)
셰디:
세우지. 셔-[立]+ㅣ(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시고 주008)
아니시고:
아니하시고. 아니ᄒᆞ-[不]+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다 주009)
다:
다만. 다ᄆᆡᆫ[單](부사)
 주010)
:
마음. ᄆᆞᅀᆞᆷ[心](명사).
印 주011)
인(印):
인(印)을. 인(印)+ᄋᆞᆯ(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가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명사 말음인 ‘ㄴ’을 거듭 적은 형태임.
傳샤 주012)
전(傳)샤:
전(傳)하시어. 전(傳)ᄒᆞ-+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바 주013)
바:
바로. 바ᄅᆞ[直](부사).
사 주014)
사:
사람의.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 주015)
:
마음을. ᄆᆞᅀᆞᆷ[心]+ᄋᆞᆯ(목적격조사).
치샤 주016)
치샤:
가리키시어. ᄀᆞᄅᆞ치-[指]+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性 주017)
성(性):
성(性)을. 본성(本性)을. ‘ᄋᆞᆯ’은 목적격조사. ‘성(性)’은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곧 기성(機性). 사물의 자체, 또는 본체를 이르는 말이다.
보아 주018)
보아:
보아. 보-[見]+아(연결어미). ‘성(性)ᄋᆞᆯ 보아’는 견성(見性)이다.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을 깨달아 아는 것이다.
뿌(부)텨 주019)
뿌(부)텨:
부처가.
도리라 주020)
도리라:
될 것이다. 도ᄋᆡ-[成]+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부텨 도ᄋᆡ리라’는 ‘성불(成佛)’을 말한다. ‘성불(成佛)’은 모든 번뇌에서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이룸. 곧, 부처가 됨을 이르는 것이다.
시니 주021)
시니:
하시니.
이 印 주022)
이 인(印):
이 인(印)은. ‘ᄂ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거듭 적은 형태이다. ‘인(印)’은 부처님으로부터 보증(保證)을 받는다는 뜻이다.
어루 주023)
어루:
가(可)히.
말 文字로 얼굴 주024)
얼굴:
형용(形容)을.
몯홀 주025)
몯홀:
못할. 몯ᄒᆞ-[不]+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디라 주026)
디라:
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日用 주027)
일용(日用):
일용(日用). ‘일용’은 날마다 이용함을 이른다.
事物 주028)
사물(事物):
사물(事物). ‘사물’은 물질세계에 있는 모든 구체적이며 개별적인 존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29)
웃:
위의. 웃[上](관형사).
뮈며 주030)
뮈며:
움직이며. 뮈-[動]+며(대등적 연결어미).
괴외며 주031)
괴외며:
고요하며. 괴외ᄒᆞ-[靜]+며(대등적 연결어미).
말며 주032)
말며:
말하며. 말ᄉᆞᆷᄒᆞ-[語]+며(대등적 연결어미).
얫 주033)
얫:
잠잠하게 있는. ᄌᆞᆷᄌᆞᆷᄒᆞ-[黙]+야(보조적 연결어미)#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時節 주034)
시절(時節):
시절(時節)에. 때에. ‘ᄋᆡ’는 부사격조사. ‘시절(時節)’은 이른바 특이처격어임.
文彩ㅣ 주035)
문채(文彩)ㅣ:
문채(文彩)가. ‘ㅣ’는 주격조사. ‘문채(文彩)’는 글이 빛이 난다고 하여 그렇게 불러 왔다.
오로 주036)
오로:
온전히. 오로[全](부사).
나타 주037)
나타:
나타나. 낱-[彰]+아(연결어미).
그 고대 주038)
그 고대:
그 곳에. 그[當]#곧[處]+애(부사격조사).
얫 주039)
얫:
맑게 있는. 환하게 있는. ᄆᆞᆯᄀᆞᆺᄆᆞᆯᄀᆞᆺ하-[歷然]+야(연결어미)#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젼로 주040)
젼로:
까닭으로.
닐오 주041)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ᄅᆞ-[曰]+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 주042)
:
마음. 마음의.
印이라 주043)
인(印)이라:
인(印)이라고.
다 주044)
다:
한다. 한 것이다.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달마가 서쪽으로부터 오시어 문자(文字)를 세우지 않으시고 다만 마음 인(印)을 전하시며,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키시어, 성(性)을 보아 부처 될 것이라고 하셨다. (따라서) 이 인(印)은 가히 말이나 문자로 형용을 못할 것이다. 일용(日用) 사물(事物) 위의 움직이며 고요하며 말하며 잠잠하게 있는 때에 문채(文彩)가 온전히 나타나 그 곳에 환하게 있는 까닭으로 인해 이르되, 마음 인(印)이라고 한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問君노라 心印 作何顔고 心印늘 何人이 敢授傳리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그려 주045)
그려:
그대더러. 그대에게. 그ᄃᆡ[君]+ᄃᆞ려(부사격조사).
묻노라 주046)
묻노라:
묻는다. 묻노라. 묻-[問]+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印 주047)
인(印):
인(印)은. 인(印)+ᄋᆞᆫ(보조사). 보조사가 ‘ᄂᆞᆫ’이 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 ‘ㄴ’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엇던 주048)
엇던:
어떤. 엇던[何](의문 관형사)
오 주049)
오(고):
양자인가. 모습인가. 얼굴인가. 야ᇰᄌᆞ(樣子)+고/오(의문보조사).
 印 어 주050)
어:
어느. 어ᄂᆞ[何](의문관형사).
사미 주051)
사미:
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구여 주052)
구여:
감히. 구태여. 구ᄐᆡ여[敢](부사).
주거니 주053)
주거니:
주거니. 주고. 주-[授]+거니(종속적 연결어미)
받거니 주054)
받거니:
받거니. 받고. 받-[傳]+거니(종속적 연결어미).
리오 주055)
리오:
하겠는가. 하리오.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그대더러 묻노라. 마음 인(印)은 어떤 모습인가? 마음 인(印)을 어느 사람이 감히 주거니 받거니 하겠는가?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達摩ㅣ 不將心印而來시며 二祖ㅣ 不求心印而往시니 授个什摩ㅣ며 傳个什摩오 畢竟作麽生道오 寒

십현담요해언해:9ㄱ

時예 向火고 熱時예 乘凉이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達摩 주056)
달마(達摩):
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心印 주057)
심인(心印):
심인(心印)을. 심인(心印)+ᄋᆞᆯ(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가 ‘ᄂᆞᆯ’이 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인 ‘ㄴ’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가져 주058)
가져:
가져. 가지어. 가지-[將]+어(연결어미).
오디 주059)
오디:
오지. 오-[來]+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시며 주060)
아니시며:
아니하시며. 않으시며.
二祖ㅣ 주061)
이조(二祖)ㅣ:
이조(二祖)가. ‘이조(二祖)’는 중국 선종(禪宗)의 제2대 조사인 혜가(慧可) 대사를 이른다.
心印 求야 주062)
구(求)야:
구(求)하여. 구(求)하러.
가디 주063)
가디:
가지. 가-[往]+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시니 므스글 주064)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麽]+을(목적격조사).
주시며 주065)
주시며:
주시며. 주-[授]+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므스글 바뇨 주066)
바뇨:
받았느냐. 받았단 말인가. 받-[傳]+ᄋᆞ뇨(의문형 종결어미).
내애 주067)
내애:
나중에. 결국에. 내죠ᇰ[畢竟]+애(부사격조사).
엣디 주068)
엣디:
어찌. 어떻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니르리오 주069)
니르리오:
이를 것인가. 말할 것인가. 니르-[道]+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치온 제 주070)
치온 제:
추운 때에. 치ᇦ-[寒]+ᄋᆞᆫ(관형사형어미)#제[時].
주071)
블:
불을. 블[火](명사).
고 주072)
(ᄧᅬ)고:
쬐고. ᄧᅬ-[曝/焙]+고(대등적 연결어미).
더온 주073)
더온:
더운. 더ᇦ-[熱]+ᄋᆞᆫ(관형사형어미).
 주074)
:
바람을. ᄇᆞᄅᆞᆷ[風](명사).
놋다 주075)
놋다:
쏘이는구나. ᄡᅬ-[熏]+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옷(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달마(達摩)가 심인(心印)을 가져 오지 않으셨으며, 이조(二祖)가 심인(心印)을 구하러 가지 않으셨으니, 무엇을 주시며 무엇을 받았단 말인가? 결국에는 어떻게 말할 것인가? 추운 때에 불을 쬐고 더운 때에 바람을 쐬는구나.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歷刦에 然야 無異色이어 呼爲心印이라면 早虛言이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歷刦에 주076)
역겁(歷刦)에:
오랜 동안에. 기나긴 시간에.
훤츨야 주077)
훤츨야:
훤칠하여. 넓고 커서. 훤하여. 훤츨ᄒᆞ-[豁然]+야(연결어미).
다 주078)
다:
다른. 다ᄅᆞ-[異]+ㄴ(관형사형어미).
비치 주079)
비치:
빛이. 빛[色]+이(주격조사).
업거 주080)
업거:
없거늘. 없었는데. 없-[無]+거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心印이라 주081)
심인(心印)이라:
심인(心印)이라고. 심인(心印)+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니면 주082)
니면:
이르면. 말하면. 니ᄅᆞ-[呼]+면(종속적 연결어미).
셔 주083)
셔:
벌써. 이미. ᄇᆞᆯ셔[早](부사).
거마리라 주084)
거마리라:
거짓말이다. 거ᄌᆞᆺ말[虛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오랜 동안에 훤하여 다른 빛이 없었는데, 심인(心印)이라고 말하면 벌써 거짓말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亘古亘今애 妙體ㅣ 如如야 聖不能增며 凡不能減니 若論奇特事댄 自己ㅣ 却成魔리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녜록 주085)
녜록:
예로부터. 녜[古]+록(보조사).
이져록 주086)
이져(제)록:
이제도록. 이제까지. 이제[今]+록(보조사).
微妙 얼구리 주087)
얼구리:
형상(形相)이. 형체(形體)가. 얼굴[形相]+이(주격조사).
뮈디 주088)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聖人도 주089)
성인(聖人)도:
성인(聖人)께도. 성인(聖人)+ᄭᅴ(부사격조사)+도(보조사). ‘성인(聖人)’은 지덕(智德)이 뛰어나 세인으로부터 숭상을 받을 만한 사람을 이른다. 불교에서는 불교의 최고경지인 열반과 해탈에 든 이, 또는 중생제도를 위해 출현한 성자(聖者)를 이르는 말이다.
더으디 주090)
더으디:
더하지. 더으-[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凡夫의게도 주091)
범부(凡夫)의게도:
범부(凡夫)에게도. 범부(凡夫)+의게(부사격조사)+도(보조사). ‘범부(凡夫)’는 평범한 사람을 이른다. 불교에서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한 이를 이른다.
더디 주092)
더디:
덜하지. 덜ᄒᆞ-[減]+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 다가 奇特 주093)
기특(奇特):
기이(奇異)하고 특이(特異)한.
이 주094)
이:
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조사).
議論홀딘댄 주095)
-홀딘댄:
-할진댄. -한다면.
주096)
제:
자기가. 저[自]+ㅣ(주격조사).
外道ㅣ 주097)
외도(外道)ㅣ:
외도(外道)가. ‘외도(外道)’는 불교(佛敎) 이외의 다른 종교를 이른다. ‘ㅣ’는 보격.
도리라 주098)
도리라:
될 것이다. 도ᄋᆡ-[爲]+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예로부터 이제도록 미묘(微妙)한 형상(形相)이 움직이지 아니하여, 성인(聖人)께도 더하지 아니하며 범부에게도 덜하지 않으니, 만약 기이(奇異)하고 특이(特異)한 일을 의론(議論)하게 되면, 자기가 곧 외도(外道)가 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須知호리라 本自靈空性이 將喩紅爐火裏蓮이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모로매 주099)
모로매:
모름지기. 마땅히. 모로매[須](부사).

십현담요해언해:9ㄴ

로리라
주100)
아로리라:
알아야 할 것이다. 알-[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本來 스스로 靈고 주101)
영(靈)고:
신령(神靈)하고. ‘신령(神靈)’은 신통(神通)하고 영묘(靈妙)함을 이른다.
업슨 주102)
업슨:
없는. 공(空)한. 없-[空]+은(관형사형어미). ‘공(空)’은 실체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는 것. 곧 공무(空無)를 이른다.
性이 주103)
성(性)이:
성품이. ‘성(性)’은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性品). 곧 기성(機性)을 이른다.
(쟈ᇰ) 주104)
단:
달아오른. 달-[熱]+ㄴ(관형사형어미).
火爐ㅅ 블 주105)
화로(火爐)ㅅ 블:
화롯불. 화로(火爐)+ㅅ(사잇소리)#블[火].
소갯 주106)
소갯:
속의. 속에 있는.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통합형 조사임.
蓮이로다 주107)
연(蓮)이로다:
연꽃이로다. 연(蓮)+이(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모름지기 알아야 할 것이다. 본래 스스로 신령(神靈)하고 비어 있는 성품이, 장차(將次) 달아오른 화롯불 속의 연꽃이로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這个心印이 如火裏蓮花야 看之似有나 取之不可ㅣ니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주108)
이:
이. 이[這](지시관형사).
心印이 주109)
심인(心印)이:
심인(心印)이. ‘이’는 주격조사.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선가(禪家)에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쓴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주110)
블:
불. 블[火].
소갯 주111)
소갯:
속의. 속에 있는.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통합형 조사임.
蓮지 주112)
연(蓮)지:
연꽃이. 연꽃과. 연(蓮)+ㅅ(사잇소리)#곶[花]+이(비교 부사격조사).
야 주113)
야:
같아서.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보매 주114)
보매:
보는 것은. 볼 때는. 보-[看]+옴/움(명사형어미)+애(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잇 주115)
잇:
있는. 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나 주116)
나:
듯하나. ᄃᆞᆺᄒᆞ-[似]+나(종속적 연결어미).
가죠 주117)
가죠:
가짐은. 가지지는. 가지-[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몯리라 주118)
몯리라:
못할 것이다. 몯ᄒᆞ-[不可]+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 심인이 불 속의 연꽃과 같아서, 볼 때는 있는 듯하나, 가지지는 못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莫以無心을 云是道ㅣ라 라 無心이라 야도 猶隔一重關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無心을 주119)
무심(無心)을:
무심(無心)을. 세속에 마음이 없음을. ‘을’은 목적격조사. ‘무심(無心)’은 물욕(物慾)과 속세(俗世)에 전현 관심이 없게 된 경지(境地)를 이른다.
道ㅣ라 주120)
도(道)ㅣ라:
도(道)라고. 도(道)+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 깊이 깨달은 지경(地境). 곧,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디 주121)
디:
하지. 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주122)
말라:
말아라. 말라. 말-[云]+라(명령형 종결어미).
無心이라 주123)
무심(無心)이라:
무심(無心)이라. 무심(無心)이라고.
야도 주124)
야도:
하여도. ᄒᆞ-+야(연결어미)+도(보조사).
주125)
:
한. ᄒᆞᆫ[一](수관형사).
주126)
:
겹. ᄀᆞᆲ[重](명사).
關이 주127)
관(關)이:
관(關)이. 통과해야 하는 것이. ‘이’는 주격조사. ‘관(關)’은 관문(關門), 또는 조사가 되는 문이다. 곧, 조사관(祖師關)을 이른다.
리리라 주128)
리리라:
가릴 것이다. 가리리다. ᄀᆞ리-[隔]+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關 주129)
관(關):
관(關)은. 관(關)+ᄂᆞᆫ(보조사). 보조사 ‘ᄂ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 ‘ㄴ’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에 거듭 적은 것이다.
어려온 주130)
어려온:
어려운. 험난한. 어려ᇦ-[難]+ᄋᆞᆫ(관형사형어미).
해 주131)
해:
땅에. 곳에. 땅에. ᄯᅡ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리고 주132)
리고:
가리어 쌓고. ᄀᆞ리ᄊᆞ-[隔築]+고(대등적 연결어미).
사 몯 니게 주133)
니게:
다니게. ᄃᆞᆫ니-[行]+게(보조적 연결어미).
주134)
혼:
한.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히라 주135)
히라:
곳이다. 땅이다. ᄯᅡㅎ[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무심(無心)을 도(道)라고 하지 말라. 무심(無心)이라고 해도 한 겹 관문(關門)이 가릴 것이다. 【관(關)은 험난한 곳에 성(城)을 가리어 쌓고 사람을 못 다니게 한 곳이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自初句로 至六句히 極論忘情絕慮야 模索不得底消息니 宛是無心이로다마 然이나 一向忘情絕慮면 怕落空去야 不能進步리니 須知호리라 事在無事裏야

십현담요해언해:10ㄱ

 始得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첫 句로 주136)
첫 구(句)로:
여기서 말하는 첫 구(句)는 십현담(十玄談) 중 첫 번째 현담이면서 게송(偈頌)으로 되어 있는 ‘심인(心印)’의 여덟 구 중 첫 번째 구를 이른다.
브터셔 주137)
브터셔:
부터. 부터서. ‘로 브터셔[自]’는 문법화(조사화)하여 ‘로부터’, 또는 ‘부터’로 쓰인다.
여 句에 주138)
여 구(句)에:
여섯 번째 구(句)에.
니르리 주139)
니르리:
이르기까지.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파생 접미사).
 주140)
ᄀᆞ자ᇰ:
가장. 매우. 심히. ᄀᆞ자ᇰ[極](부사).
들 주141)
들:
뜻을. ᄠᅳᆮ[情]+을(목적격조사).
니며 주142)
니며:
잊으며. 닞-[忘]+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혜아료미 주143)
혜아료미:
헤아림이. 혜아리-[慮]+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그처 주144)
그처:
끊어져. 긏-[絶]+어(연결어미).
잡디 주145)
잡디:
잡지. 잡-[得]+디(보조적 연결어미).
몯홀 주146)
몯홀:
못하는. 몯ᄒᆞ-[不]+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아 주147)
아:
까닭을. 소이(所以)를. 앛(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議論니 젼혀 無心 도다마 주148)
도다마:
듯하도다마는. 듯하지마는. ᄃᆞᆺᄒᆞ-+도다(감탄형종결어미)+마ᄅᆞᆫ(연결어미).
그러나 티 주149)
티:
한결같이. ᄒᆞᆫᄀᆞᆯᄀᆞ티〉ᄒᆞᆫᄀᆞᆯᄋᆞ티[一](부사).
주150)
:
뜻을. ᄠᅳᆮ[情].
닛고 주151)
닛고:
잊고. 닛-[忘]+고(대등적 연결어미).
혜요미 주152)
혜요미:
헤아림이. 생각이. 혜-[慮]+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그츠면 주153)
그츠면:
끊어지면. 긏-[絶]+으면(종속적 연결어미).
虛空애 주154)
허공(虛空)애:
허공(虛空)에.
딜가 주155)
딜가:
떨어질까. 디-[落]+ㄹ가(의문형 종결어미).
야 저푼 주156)
저푼:
두려운. 저프-[怕]+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라 주157)
디라:
것이라. 것이라서.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수이 주158)
수이:
쉽게. 수이[能](부사).
나가디 주159)
나가디:
나아가지. 나ᅀᅡ가-[進步]+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리니 주160)
몯리니:
못할 것이니.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모로매 아로리라 주161)
아로리라:
알아야 할 것이다. 알 것이다. 알-[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이리 주162)
이리:
일이. 일[事]+이(주격조사).
업 주163)
업:
없는. 없-[無]+ᄋᆞᆫ(관형사형어미).
해 주164)
해:
곳에. ᄯᅡㅎ[裏]+애(부사격조사).
이셔 주165)
이셔:
있어야. 이시-[在]+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올타 주166)
올타:
옳다. 옳다[是](형용사).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첫 구(句)부터 여섯째 구에 이르도록 가장 뜻을 잊으며 헤아림이 끊어져 잡지 못하는 까닭을 의론(議論)하니, 전혀 무심(無心)한 듯하도다마는, 그러나 한결같이 뜻 잊고 생각이 끊어지면 허공에 떨어질까 하여 두려운 것이라 쉽게 나아가지 못하리니, 모름지기 알아야 할 것이다. 일이 일 없는 곳에 있어야 옳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음의. ᄆᆞᅀᆞᆷ[心](명사)
주002)
인(印)이라:인(印)이다. 인(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선가(禪家)에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쓴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주003)
달마(達摩)ㅣ:달마(達摩)가. ‘ㅣ’는 주격조사. ‘달마(達摩)’는 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주004)
서(西)고로셔:서쪽으로부터. 서(西)+ㅅ(사이글자)+녁+오로셔(부사격조사).
주005)
오샤:오시어. 오-[來]+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6)
문자(文字):문자(文子)를. ‘ᄅᆞᆯ’은 목적격조사.
주007)
셰디:세우지. 셔-[立]+ㅣ(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8)
아니시고:아니하시고. 아니ᄒᆞ-[不]+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9)
다:다만. 다ᄆᆡᆫ[單](부사)
주010)
:마음. ᄆᆞᅀᆞᆷ[心](명사).
주011)
인(印):인(印)을. 인(印)+ᄋᆞᆯ(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가 ‘ᄂᆞᆯ’로 표기된 것은 명사 말음인 ‘ㄴ’을 거듭 적은 형태임.
주012)
전(傳)샤:전(傳)하시어. 전(傳)ᄒᆞ-+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3)
바:바로. 바ᄅᆞ[直](부사).
주014)
사:사람의. 사ᄅᆞᆷ[人]+ᄋᆡ(관형격조사).
주015)
:마음을. ᄆᆞᅀᆞᆷ[心]+ᄋᆞᆯ(목적격조사).
주016)
치샤:가리키시어. ᄀᆞᄅᆞ치-[指]+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7)
성(性):성(性)을. 본성(本性)을. ‘ᄋᆞᆯ’은 목적격조사. ‘성(性)’은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곧 기성(機性). 사물의 자체, 또는 본체를 이르는 말이다.
주018)
보아:보아. 보-[見]+아(연결어미). ‘성(性)ᄋᆞᆯ 보아’는 견성(見性)이다.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을 깨달아 아는 것이다.
주019)
뿌(부)텨:부처가.
주020)
도리라:될 것이다. 도ᄋᆡ-[成]+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부텨 도ᄋᆡ리라’는 ‘성불(成佛)’을 말한다. ‘성불(成佛)’은 모든 번뇌에서 해탈하여 불과(佛果)를 이룸. 곧, 부처가 됨을 이르는 것이다.
주021)
시니:하시니.
주022)
이 인(印):이 인(印)은. ‘ᄂ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을 거듭 적은 형태이다. ‘인(印)’은 부처님으로부터 보증(保證)을 받는다는 뜻이다.
주023)
어루:가(可)히.
주024)
얼굴:형용(形容)을.
주025)
몯홀:못할. 몯ᄒᆞ-[不]+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26)
디라: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7)
일용(日用):일용(日用). ‘일용’은 날마다 이용함을 이른다.
주028)
사물(事物):사물(事物). ‘사물’은 물질세계에 있는 모든 구체적이며 개별적인 존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주029)
웃:위의. 웃[上](관형사).
주030)
뮈며:움직이며. 뮈-[動]+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1)
괴외며:고요하며. 괴외ᄒᆞ-[靜]+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2)
말며:말하며. 말ᄉᆞᆷᄒᆞ-[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3)
얫:잠잠하게 있는. ᄌᆞᆷᄌᆞᆷᄒᆞ-[黙]+야(보조적 연결어미)#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34)
시절(時節):시절(時節)에. 때에. ‘ᄋᆡ’는 부사격조사. ‘시절(時節)’은 이른바 특이처격어임.
주035)
문채(文彩)ㅣ:문채(文彩)가. ‘ㅣ’는 주격조사. ‘문채(文彩)’는 글이 빛이 난다고 하여 그렇게 불러 왔다.
주036)
오로:온전히. 오로[全](부사).
주037)
나타:나타나. 낱-[彰]+아(연결어미).
주038)
그 고대:그 곳에. 그[當]#곧[處]+애(부사격조사).
주039)
얫:맑게 있는. 환하게 있는. ᄆᆞᆯᄀᆞᆺᄆᆞᆯᄀᆞᆺ하-[歷然]+야(연결어미)#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040)
젼로:까닭으로.
주041)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ᄅᆞ-[曰]+오ᄃᆡ/우ᄃᆡ(설명형 연결어미).
주042)
:마음. 마음의.
주043)
인(印)이라:인(印)이라고.
주044)
다:한다. 한 것이다.
주045)
그려:그대더러. 그대에게. 그ᄃᆡ[君]+ᄃᆞ려(부사격조사).
주046)
묻노라:묻는다. 묻노라. 묻-[問]+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7)
인(印):인(印)은. 인(印)+ᄋᆞᆫ(보조사). 보조사가 ‘ᄂᆞᆫ’이 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 ‘ㄴ’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주048)
엇던:어떤. 엇던[何](의문 관형사)
주049)
오(고):양자인가. 모습인가. 얼굴인가. 야ᇰᄌᆞ(樣子)+고/오(의문보조사).
주050)
어:어느. 어ᄂᆞ[何](의문관형사).
주051)
사미:사람이. 사ᄅᆞᆷ[人]+이(주격조사).
주052)
구여:감히. 구태여. 구ᄐᆡ여[敢](부사).
주053)
주거니:주거니. 주고. 주-[授]+거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54)
받거니:받거니. 받고. 받-[傳]+거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55)
리오:하겠는가. 하리오. ᄒ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56)
달마(達摩):달마대사(達磨大師)를 가리킨다.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이십팔조(二十八祖) 중 제이십팔조. 남인도 향지국왕(香至國王)의 셋째 아들이었으나 출가하여 승려가 된 후 중국으로 건너와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에 주석했다.
주057)
심인(心印):심인(心印)을. 심인(心印)+ᄋᆞᆯ(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가 ‘ᄂᆞᆯ’이 된 것은 선행명사 말음인 ‘ㄴ’을 거듭 적었기 때문이다.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주058)
가져:가져. 가지어. 가지-[將]+어(연결어미).
주059)
오디:오지. 오-[來]+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0)
아니시며:아니하시며. 않으시며.
주061)
이조(二祖)ㅣ:이조(二祖)가. ‘이조(二祖)’는 중국 선종(禪宗)의 제2대 조사인 혜가(慧可) 대사를 이른다.
주062)
구(求)야:구(求)하여. 구(求)하러.
주063)
가디:가지. 가-[往]+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4)
므스글:무엇을. 므슥[何/麽]+을(목적격조사).
주065)
주시며:주시며. 주-[授]+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66)
바뇨:받았느냐. 받았단 말인가. 받-[傳]+ᄋᆞ뇨(의문형 종결어미).
주067)
내애:나중에. 결국에. 내죠ᇰ[畢竟]+애(부사격조사).
주068)
엣디:어찌. 어떻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주069)
니르리오:이를 것인가. 말할 것인가. 니르-[道]+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70)
치온 제:추운 때에. 치ᇦ-[寒]+ᄋᆞᆫ(관형사형어미)#제[時].
주071)
블:불을. 블[火](명사).
주072)
(ᄧᅬ)고:쬐고. ᄧᅬ-[曝/焙]+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73)
더온:더운. 더ᇦ-[熱]+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74)
:바람을. ᄇᆞᄅᆞᆷ[風](명사).
주075)
놋다:쏘이는구나. ᄡᅬ-[熏]+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옷(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76)
역겁(歷刦)에:오랜 동안에. 기나긴 시간에.
주077)
훤츨야:훤칠하여. 넓고 커서. 훤하여. 훤츨ᄒᆞ-[豁然]+야(연결어미).
주078)
다:다른. 다ᄅᆞ-[異]+ㄴ(관형사형어미).
주079)
비치:빛이. 빛[色]+이(주격조사).
주080)
업거:없거늘. 없었는데. 없-[無]+거ᄂᆞᆯ(종속적 연결어미).
주081)
심인(心印)이라:심인(心印)이라고. 심인(心印)+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082)
니면:이르면. 말하면. 니ᄅᆞ-[呼]+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83)
셔:벌써. 이미. ᄇᆞᆯ셔[早](부사).
주084)
거마리라:거짓말이다. 거ᄌᆞᆺ말[虛言]+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5)
녜록:예로부터. 녜[古]+록(보조사).
주086)
이져(제)록:이제도록. 이제까지. 이제[今]+록(보조사).
주087)
얼구리:형상(形相)이. 형체(形體)가. 얼굴[形相]+이(주격조사).
주088)
뮈디:움직이지. 뮈-[動]+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89)
성인(聖人)도:성인(聖人)께도. 성인(聖人)+ᄭᅴ(부사격조사)+도(보조사). ‘성인(聖人)’은 지덕(智德)이 뛰어나 세인으로부터 숭상을 받을 만한 사람을 이른다. 불교에서는 불교의 최고경지인 열반과 해탈에 든 이, 또는 중생제도를 위해 출현한 성자(聖者)를 이르는 말이다.
주090)
더으디:더하지. 더으-[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1)
범부(凡夫)의게도:범부(凡夫)에게도. 범부(凡夫)+의게(부사격조사)+도(보조사). ‘범부(凡夫)’는 평범한 사람을 이른다. 불교에서는 번뇌에 얽매여 생사를 초월하지 못한 이를 이른다.
주092)
더디:덜하지. 덜ᄒᆞ-[減]+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93)
기특(奇特):기이(奇異)하고 특이(特異)한.
주094)
이: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조사).
주095)
-홀딘댄:-할진댄. -한다면.
주096)
제:자기가. 저[自]+ㅣ(주격조사).
주097)
외도(外道)ㅣ:외도(外道)가. ‘외도(外道)’는 불교(佛敎) 이외의 다른 종교를 이른다. ‘ㅣ’는 보격.
주098)
도리라:될 것이다. 도ᄋᆡ-[爲]+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99)
모로매:모름지기. 마땅히. 모로매[須](부사).
주100)
아로리라:알아야 할 것이다. 알-[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01)
영(靈)고:신령(神靈)하고. ‘신령(神靈)’은 신통(神通)하고 영묘(靈妙)함을 이른다.
주102)
업슨:없는. 공(空)한. 없-[空]+은(관형사형어미). ‘공(空)’은 실체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는 것. 곧 공무(空無)를 이른다.
주103)
성(性)이:성품이. ‘성(性)’은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性品). 곧 기성(機性)을 이른다.
주104)
단:달아오른. 달-[熱]+ㄴ(관형사형어미).
주105)
화로(火爐)ㅅ 블:화롯불. 화로(火爐)+ㅅ(사잇소리)#블[火].
주106)
소갯:속의. 속에 있는.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통합형 조사임.
주107)
연(蓮)이로다:연꽃이로다. 연(蓮)+이(서술격조사)+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08)
이:이. 이[這](지시관형사).
주109)
심인(心印)이:심인(心印)이. ‘이’는 주격조사. ‘심인(心印)’은 불교 선종(禪宗)의 용어로 선가(禪家)에서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아니하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쓴다. 곧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전하여진 깨달음이나 그 내용을 이른다.
주110)
블:불. 블[火].
주111)
소갯:속의. 속에 있는. 속[裏]+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앳’은 통합형 조사임.
주112)
연(蓮)지:연꽃이. 연꽃과. 연(蓮)+ㅅ(사잇소리)#곶[花]+이(비교 부사격조사).
주113)
야:같아서. ᄀᆞᆮᄒᆞ-[如]+야(연결어미).
주114)
보매:보는 것은. 볼 때는. 보-[看]+옴/움(명사형어미)+애(처소부사격조사)+ᄂᆞᆫ(보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115)
잇:있는. 잇-[有]+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116)
나:듯하나. ᄃᆞᆺᄒᆞ-[似]+나(종속적 연결어미).
주117)
가죠:가짐은. 가지지는. 가지-[取]+옴/움(명사형어미)+ᄋᆞᆫ(보조사).
주118)
몯리라:못할 것이다. 몯ᄒᆞ-[不可]+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19)
무심(無心)을:무심(無心)을. 세속에 마음이 없음을. ‘을’은 목적격조사. ‘무심(無心)’은 물욕(物慾)과 속세(俗世)에 전현 관심이 없게 된 경지(境地)를 이른다.
주120)
도(道)ㅣ라:도(道)라고. 도(道)+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 깊이 깨달은 지경(地境). 곧,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주121)
디:하지. 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22)
말라:말아라. 말라. 말-[云]+라(명령형 종결어미).
주123)
무심(無心)이라:무심(無心)이라. 무심(無心)이라고.
주124)
야도:하여도. ᄒᆞ-+야(연결어미)+도(보조사).
주125)
:한. ᄒᆞᆫ[一](수관형사).
주126)
:겹. ᄀᆞᆲ[重](명사).
주127)
관(關)이:관(關)이. 통과해야 하는 것이. ‘이’는 주격조사. ‘관(關)’은 관문(關門), 또는 조사가 되는 문이다. 곧, 조사관(祖師關)을 이른다.
주128)
리리라:가릴 것이다. 가리리다. ᄀᆞ리-[隔]+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29)
관(關):관(關)은. 관(關)+ᄂᆞᆫ(보조사). 보조사 ‘ᄂᆞᆫ’은 선행명사의 말음 ‘ㄴ’을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에 거듭 적은 것이다.
주130)
어려온:어려운. 험난한. 어려ᇦ-[難]+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31)
해:땅에. 곳에. 땅에. ᄯᅡ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132)
리고:가리어 쌓고. ᄀᆞ리ᄊᆞ-[隔築]+고(대등적 연결어미).
주133)
니게:다니게. ᄃᆞᆫ니-[行]+게(보조적 연결어미).
주134)
혼:한.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35)
히라:곳이다. 땅이다. ᄯᅡㅎ[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36)
첫 구(句)로:여기서 말하는 첫 구(句)는 십현담(十玄談) 중 첫 번째 현담이면서 게송(偈頌)으로 되어 있는 ‘심인(心印)’의 여덟 구 중 첫 번째 구를 이른다.
주137)
브터셔:부터. 부터서. ‘로 브터셔[自]’는 문법화(조사화)하여 ‘로부터’, 또는 ‘부터’로 쓰인다.
주138)
여 구(句)에:여섯 번째 구(句)에.
주139)
니르리:이르기까지.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파생 접미사).
주140)
ᄀᆞ자ᇰ:가장. 매우. 심히. ᄀᆞ자ᇰ[極](부사).
주141)
들:뜻을. ᄠᅳᆮ[情]+을(목적격조사).
주142)
니며:잊으며. 닞-[忘]+ᄋᆞ며(대등적 연결어미).
주143)
혜아료미:헤아림이. 혜아리-[慮]+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144)
그처:끊어져. 긏-[絶]+어(연결어미).
주145)
잡디:잡지. 잡-[得]+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46)
몯홀:못하는. 몯ᄒᆞ-[不]+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147)
아:까닭을. 소이(所以)를. 앛(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주148)
도다마:듯하도다마는. 듯하지마는. ᄃᆞᆺᄒᆞ-+도다(감탄형종결어미)+마ᄅᆞᆫ(연결어미).
주149)
티:한결같이. ᄒᆞᆫᄀᆞᆯᄀᆞ티〉ᄒᆞᆫᄀᆞᆯᄋᆞ티[一](부사).
주150)
:뜻을. ᄠᅳᆮ[情].
주151)
닛고:잊고. 닛-[忘]+고(대등적 연결어미).
주152)
혜요미:헤아림이. 생각이. 혜-[慮]+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153)
그츠면:끊어지면. 긏-[絶]+으면(종속적 연결어미).
주154)
허공(虛空)애:허공(虛空)에.
주155)
딜가:떨어질까. 디-[落]+ㄹ가(의문형 종결어미).
주156)
저푼:두려운. 저프-[怕]+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157)
디라:것이라. 것이라서.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58)
수이:쉽게. 수이[能](부사).
주159)
나가디:나아가지. 나ᅀᅡ가-[進步]+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60)
몯리니:못할 것이니.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161)
아로리라:알아야 할 것이다. 알 것이다. 알-[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62)
이리:일이. 일[事]+이(주격조사).
주163)
업:없는. 없-[無]+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64)
해:곳에. ᄯᅡㅎ[裏]+애(부사격조사).
주165)
이셔:있어야. 이시-[在]+어(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166)
올타:옳다. 옳다[是](형용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