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십현담요해언해

  • 역주 십현담요해 언해
  • 입제(立題)
  • 7. 파환향곡(破還鄕曲)
메뉴닫기 메뉴열기

7. 파환향곡(破還鄕曲)


십현담요해언해:29ㄱ

破還鄕曲이라

本鄕애 주001)
본향(本鄕)애:
본향(本鄕)에. ‘애’는 부사격조사. ‘본향’은 본디 살던 고장이니, 여기서는 불교적 인식의 범위에서 말하는 무생경계(無生境界)를 이른다.
가 주002)
가:
감을. 가는 것을. 가-[行]+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03)
헌:
헐어버린. 무너뜨린. 흩어 버린. 헐-[破]+ㄴ(관형사형어미).
놀애라 주004)
놀애라:
놀래다. 놀애[曲]+∅(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본향(本鄕)에 가는 것을 무너뜨린 노래이다.

返本還源이 事亦差니 本來無住ㅣ라 不名家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本鄕애 도라가며 주005)
도라가며:
돌아가며. 도라가-[返]+며(대등적 연결어미).
根源에 도라가려 주006)
도라가려:
돌아가려. 도라가-[還]+려(연결어미).
주007)
혼:
한.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일도  외니 주008)
외니:
그릇되니. 외-[差]+니(연결어미).
本來 이숄 주009)
이숄:
있을. 이시-[住]+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히 주010)
히:
곳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업손 디라 주011)
업손 디라:
없는지라. 없는 것이다. 없-[無]+오/우(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지비랏 주012)
지비랏:
집이라는. 집[家]+이(서술격조사)+랏(연결어미).
일훔도 주013)
일훔도:
이름도. 일훔[名]+도)보조사).
몯리로다 주014)
몯리로다:
못하겠도다. 못하겠구나.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로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본향(本鄕)에 돌아가며 근원(根源)에 돌아가려 한 일도 또 그릇되니, 본래 있을 곳이 없는지라, 집이라는 이름도 붙이지 못하겠구나.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擬欲還家야 南鄰北舍애 結鷄豚社야 唱巴歌고 中村醪慶快平生다니 及乎到家얀 無地可托이로다 從前錯計런 抛在一邊이어니와 如何是今時예 無肯底消息고 家破人亡야 音信斷니 空餘明月옷 照梨花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너교 주015)
너교:
여기되. 생각하되. 너기-[擬]+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지 주016)
지:
집에. 집[家]+ᄋᆡ(부사격조사).
도라가 주017)
도라가:
돌아가. 도라가-[還]+아(연결어미).
주018)
앏:
앞. 앒[前](명사).
이옷 주019)
이옷:
이웃. 이옷[隣](명사).
뒷 집 주020)
뒷집:
뒷집. 뒷집[北舍](명사).
야 鷄豚社 주021)
계돈사(鷄豚社):
한 마을 사람들이 계(契)를 결성하여 친목을 도모하는 것을 이른다.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 한유(韓愈)의 글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무 주022)
무:
묶어. 결사(結社)하여. 무ᇫ-[結]+어(연결어미).
【鷄豚社 스골 주023)
스골:
시골. 스골[鄕](명사).
사 香徒 주024)
향도(香徒):
불교 신행활동을 위해 결성한 신도들의 단체이다. 원래는 ‘향을 피우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무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거시라】
 놀애 주025)
 놀애:
상(常) 노래. 일상에서 부르는 노래. 유행가(流行歌).
브고 주026)
브고:
부르고. 브ᄅᆞ-[唱]+고(대등적 연결어미).
스곬 濁酒 醉야 平生 즐거이 노로려 주027)
노로려:
놀려고. 놀-[遊]+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다니 주028)
다니:
했는데. 했더니. ᄒᆞ-+더(회상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지 가 주029)
가:
가서는. 가-[到]+아(연결어미)+ᄂᆞᆫ(보조사).
依據홀 주030)
의거(依據)홀:
의거(依據)할. 의거(依據)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의거(依據)’는 의지한다는 뜻이다.
히 주031)
히:
곳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업도다 아 주032)
아:
예전의. 아ᄅᆡ[前日]+ㅅ(관형격조사).

십현담요해언해:29ㄴ

그 주033)
그:
잘못. 그ᄅᆞ[錯誤](부사).
혜던 주034)
혜던:
생각했던. 헤아렸던. 혜-[量]+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혜요런 주035)
혜요런:
헤아림은. 혜-[量]+옴/움(명사형어미)+ᄋᆞ런(보조사).
녀긔 주036)
녀긔:
녘에. 녁[邊]+의(부사격조사). ‘녁’은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리려니와 주037)
리려니와:
버리겠거니와. ᄇᆞ리-[抛]+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어늬 주038)
어늬:
무엇이. 어느것이. 어느[何]+ㅣ(주격조사).
이제 즐겁디 아니 주039)
아니:
않은. 아니ᄒᆞ-[無]+ㄴ(관형사형어미).
앗고 주040)
앗고:
까닭인가. 앛(의존명사)+고(‘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헐오 주041)
헐오:
헐고. 헐-[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사 업서 소 주042)
소:
소식이. 소ᄅᆡ[音信]+∅(주격조사).
그니 주043)
그니:
끊어지니. 긏[斷]+ᄋᆞ니(연결어미).
쇽졀업슨 주044)
쇽졀업슨:
속절없는. 쇽졀없-[空]+은(관형사형어미).
옷 주045)
옷:
달만. ᄃᆞᆯ[月]+곳/옷(단독 보조사).
고 주046)
고:
배꽃에. ᄇᆡ[梨]+ㅅ(사이소리)+곶[花]+ᄋᆡ(부사격조사).
비취옛도다 주047)
비취옛도다:
비추고 있도다. 비추었도다. 비취-[照]+어(연결어미)#잇-[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생각하되 집에 돌아가 앞 이웃 뒷집 더불어 계돈사(鷄豚社)를 결사(結社)하여 【계돈사(鷄豚社)는 시골 사람의 향도(香徒) 같은 것이다.】 유행가 부르고, 시골의 탁주에 취하여 평생을 즐거이 놀려고 했는데, 집에 가서는 의거할 곳이 없도다. 예전의 잘못 생각했던 헤아림은 한 녘에 버리겠거니와, 무엇이 지금 즐겁지 않은 까닭인가? 집 헐고 사람 없어 소식이 끊어지니, 속절없는 달만 배꽃을 비추고 있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萬年松徑엔 雪深覆고 一帶峰巒앤 雲更遮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萬年 주048)
솘:
소나무의. 솔의. 솔[松]+ㅅ(관형격조사).
길헨 주049)
길헨:
길에는. 길ㅎ[徑]+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눈이 기피 더폣고 주050)
더폣고:
덮여 있고. 덮였고. 덮-[覆]+이(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잇-[在]+고(연결어미).
두 주051)
두:
(빙) 두른. 두ᄅᆞ-[一帶]+ㄴ(관형사형어미).
묏부리옌 주052)
묏부리옌:
산봉우리에는. 묏부리[巒]+예(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구루미  리옛도다 주053)
리옛도다:
가리어 있도다. ᄀᆞ리-[遮]+어(연결어미)#잇-[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만년(萬年) 소나무의 길에는 눈이 깊이 덮여 있고, 빙 두른 산봉우리에는 구름이 또 가리고 있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旣離這邊야 生死已斷고 又到那邊니 涅槃이 如夢이로다 進步無門이오 退身無路ㅣ라 可謂雪深百尺 松徑이 犖确이오 雲遮萬重 層巒이 崒嵂이로다 到這裏얀 十聖三賢도 望崖而退이니 五果四向이 那聽音耗ㅣ리오 且道라 如何是境고 自是不歸언 歸便得리니 五湖烟景 有誰爭고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마 주054)
마:
이미. ᄒᆞ마[旣](부사).
이 곧 주055)
이 곧:
이곳을. 이[這](지시관형사)#곧[邊](명사).
여야 주056)
여(ᄒᆡ)야:
떠나. 이별하여.
살며 주고미 주057)
주고미:
죽음이. 죽는 것이. 죽-[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마 긋고 주058)
긋고:
끊어지고. 긏-[斷]+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59)
:
또. 다시. ᄯᅩ[又](부사).
뎌 고대 주060)
뎌 고대:
저 곳에. 뎌[那]#곧[邊]+애(처소부사격조사).
가니 주061)
가니:
가니. 가-[到]+니(종속적 연결어미).

십현담요해언해:30ㄱ

涅槃 주062)
열반(涅槃):
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고,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높은 경지를 이른다. 이런 연유로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해탈(解脫).
이  도다 【涅槃 西天 주063)
서천(西天):
서역국(西域國)을 이른다. 중국 불교계에서는 인도가 중국의 서쪽에 있다고 해서 이렇게 불러 왔다.
마리니 주064)
마리니:
말이니. 말[語]+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여기서는 산스크리트어(語)인 ‘nirvāna’를 가리킨다.
예셔 주065)
예셔:
여기에서. * ‘예(여기)’는 ‘서천(西天)’에 대(對)가 되는 중국과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언해본의 저본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년)의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와 그에 앞서 주(註)를 단 청량문익(淸凉文益, 885~958년)의 입장에서 사용한 표현이다.
닐오맨 주066)
닐오맨:
이름에는. 니ᄅᆞ-[謂]+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圓寂이라 주067)
원적(圓寂)이라:
원적(圓寂)이다. ‘원적’은 열반의 다른 이름이다. 번뇌 망상의 세계를 떠나 청정(淸淨)한 열반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라는 뜻이다. 모든 덕(德)이 원만(圓滿)하고, 모든 악(惡)이 적멸(寂滅)한다는 뜻에서 원적이라 한다. 곧 원만한 적정(寂靜)이다. 점차 스님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변했다.
德이 아니 좀 주068)
좀:
가짐이. ᄀᆞᆽ-[具]+옴/움(명사형어미).
업슬  주069)
업슬 :
없는 것을. 없-[無]+을(관형사형어미)#ᄉ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圓이오 障礙 아니 다옴 주070)
다옴:
다함이. 다ᄋᆞ-[盡]+옴/움(명사형어미).
업슬  寂이니 小乘 주071)
소승(小乘):
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解脫)을 얻고자 하는 불교의 양대(兩大) 유파 중 하나.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둘이 있다.
 涅槃애 가면 마 다 가도다 주072)
가도다:
갔도다. 가-[到]+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주073)
:
하므로. ᄒᆞ-+ㄹᄉᆡ(연결어미).
有餘涅槃 주074)
유여열반(有餘涅槃):
소승(小乘)에서 자기의 수행으로 이승의 번뇌는 끊었으나, 아직도 과거의 업보로 받은 신체까지는 멸(滅)하지 못한 열반을 이른다. 번뇌는 다했지만 육체는 아직 남아 있어서 번뇌를 지닌 육신에 의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오 뿌(부)텨 이 涅槃이 眞實이 아닌 주 주075)
주:
줄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아실 주076)
아실:
아시므로. 알-[知]+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ㄹᄉᆡ(연결어미).
無餘涅槃 주077)
무여열반(無餘涅槃):
모든 것이 아주 없어진 회신멸진(灰身滅眞)의 상태를 말한다.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방편으로 의지하고 있던 육신을 벗어나 인간으로서의 삶을 마치고 법신의 상태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이라】
나갈 주078)
나갈:
나아갈. 나ᅀᅡ가-[進]+ㄹ(관형사형어미).
門도 업고 믈러올 주079)
믈러올:
물러날. 믈러오-[退]+ㄹ(관형사형어미).
길히 업순 주080)
업순:
없는. 없-[無]+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디라 주081)
디라:
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어로 닐오 눈 一百 자 기픈 솘 길히 어렵고 주082)
어렵고:
어렵고. 험하고. 어렵-[确]+고(대등적 연결어미).
구룸 一百 주083)
:
겹. 겹[重](명사).
린 주084)
린:
가린. ᄀᆞ리-[遮]+ㄴ(관형사형어미).
層層인 묏부리 주085)
묏부리:
산봉우리가. 묏부리[峰]+∅(주격조사).
놉도다 이 고대 다란 주086)
다란:
다다른. 다다라서는. 다ᄃᆞᆮ-[到]+아(연결어미)+ㄴ(보조사).
十聖 주087)
십성(十聖):
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41위(位)에서 50위(位)까지를 이른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境地)에 도달한 지위(地位)이다. 이 10위(位)가 온갖 중생을 짊어지고 교화하여 이익이 되게 하는 것이, 마치 대지(大地)가 만물을 싣고 이를 윤택하게 하는 것과 같다고 하여 십지보살(十地菩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三賢 주088)
삼현(三賢):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 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11위(位)에서 40위(位)까지인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이른다.
애 주089)
애:
벼랑을. 낭떠러지를. 비ᇰ애[崖]+ᄅᆞᆯ(목적격조사).
라고 주090)
라고:
바라보고. ᄇᆞ라-[望]+고(대등적 연결어미).
믈러나거니 주091)
믈러나거니:
물러나거니. 물러나는데. 므르-[退]+어(연결어미)#나[出]+거니(연결어미).
五果 주092)
오과(五果):
‘과(果)’는 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法)을 이른다. ‘오과(五果)’는 예류과(預流果), 불래과(不來果), 일래과(一來果), 무학과(無學果), 유여열반과(有餘涅槃果) 등이다.
四向이 주093)
사향(四向)이ᅀᅡ:
사향(四向)이야. 사향(四向)+이ᅀᅡ(보조사). ‘향(向)’은 수행의 출발점. 또는 과(果)를 향하여 수행하고 있는 기간이다. ‘사향(四向)’은 예류향(預流向), 불래향(不來向), 일래향(一來向), 무학향(無學向) 등이다.
어느 주094)
어느:
어느. 어느[那](관형사).
소 주095)
소:
소ᄅᆡ[音]+ ㄴᄃᆞᆯ(연결어미).
드리오 주096)
드리오:
들으리오. 듣겠느냐. 듣-[聽]+ᄋ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니라 주097)
니라:
이르라. 말하라. 니ᄅᆞ-[道]+라(명령형 종결어미).
어늬 주098)
어늬:
무엇이. 어느[何]+ㅣ(주격조사).
곧고 주099)
곧고:
곳인가. 경계(境界)인가. 곧[境]+고(의문보조사).
젼혀 아니 가란 만 주100)
가란 만:
갈 망정. 가-[歸]+란ᄃᆡ(연결어미)#만뎌ᇰ(의존명사).
가면 보리니 五湖 주101)
오호(五湖):
옛적 중국 오(吳)나라와 월(越)나라 지방에 있던 호수(湖水) 이름이다.
ㅅ 景体 주102)
뉘:
누가. 누[誰]+ㅣ(주격조사).
토리오 주103)
토리오:
다투겠는가. ᄃᆞ토-[爭]+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이미 이 곳 떠나 살고 죽는 것이 이미 끊어지고, 또 저 곳에 가니 열반(涅槃)이 꿈과 같도다. 【열반(涅槃)은 서천(西天) 말이니, 여기에서 이름에는 원적(圓寂)이다. 덕(德)이 아니 가짐이 없는 것을 원(圓)이라 하고, 장애(障礙)가 다하지 않음이 없는 것을 적(寂)이라 하니, 소승(小乘)은 열반(涅槃)에 가면 이미 다 ‘갔도다’ 하므로 유여열반(有餘涅槃)이라 하고, 부처는 이 열반(涅槃)이 진실이 아닌 줄을 아시므로 무여열반(無餘涅槃)이라 한다.】 나아갈 문(門)도 없고 물러날 길이 없는 것이다. 가히 이르기를 “눈이 100자로 깊은 솔 길이 험하고, 구름이 100겹으로 가린 층층인 산봉우리가 높도다.” 이곳에 다다라서는 10성 3현도 벼랑을 바라보고 물러나는데, 5과 4향이야 어느 소리인들 듣겠는가? 말하라. 무엇이 그 경계인가? 전혀 아니 갈망정 가면 볼 것이니, 오호(五湖)의 경치를 누가 다투겠는가?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賓主穆時도 純是妄이오 君臣合處도 正中邪ㅣ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손과 주104)
손과:
손님과. 손[賓]+과(접속조사).
主人괘 주105)
주인(主人)괘:
주인이. 주인(主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다음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서 주106)
서:
서로. 서ᄅᆞ[相](부사).
 주107)
:
마음을. ᄆᆞᅀᆞᆷ[心](명사).
이대 주108)
이대:
잘. 이대[善](부사).
가죰도 주109)
가죰도:
가짐도. 가지는 것도. 가지-[持]+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젼혀 주110)
젼혀:
순전히. 젼혀[純](부사).
거 주111)
거:
거짓. 거ᄌᆞᆺ[僞](명사).
이리오 주112)
이리오:
일이고. 일[事]+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임.
님굼과 臣下와 주113)
신하(臣下)와:
신하(臣下)가.
마 주114)
마:
만나는. 맞-[逢]+ᄋᆞᆫ(관형사형어미).
곧도 주115)
곧도:
곳도. 곧[處]+도(보조사).
正 中엣 주116)
중(中)엣:
가운데의. 중(中)+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邪法이로다 주117)
사법(邪法)이로다:
삿된 법(法)이로다. 바르지 못한 법이구나.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손님과 주인이 서로 마음을 좋게 가지는 것도 순전히 거짓된 일이고, 임금과 신하가 만나는 곳도 바른 가운데 삿된 법(法)이로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賔主ㅣ 雍和며 君臣이 際會호미 即是當家앳 標格이니

십현담요해언해:30ㄴ

然而向上一著 千聖이 不立이라 當機薦取야도 早是錯了ㅣ니 畢竟에 作麽生是不妄不邪底風光고 擬欲與君로 閑說夢이언마 恐君이 傳話야 落人間일가노라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손과 主人과 和同며 【손 偏位 주118)
편위(偏位):
치우친 자리[位], 곧 현실을 이른다.
ㅣ니 事門에 주119)
사문(事門)에:
사문(事門)에서.
내 주120)
내:
내달은. 벗어난. 내ᄃᆞᆮ-[突出]+ᄋᆞᆫ(관형사형어미).
히오 주121)
히오:
경지(境地)이고. ᄯᅡㅎ[地]+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主人 正位 주122)
정위(正位):
바른 자리[位], 곧 본래를 이른다.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이다.
ㅣ니 젼혀 事門에 나디 주123)
나디:
나오지. 나-[出]+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주124)
아니:
않은. 아니한. 아니ᄒᆞ-[不]+ㄴ(관형사형어미).
고디라 주125)
고디라:
경지이다. 곧[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事門과 理門괘 서 回互 주126)
회호(回互):
상호(相互) 순회하여 갈마들어 서로 회피한다는 뜻이다.
야 맛디 주127)
맛디:
맞닥뜨리지. 맛ᄃᆞᆮ-[逢]+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주128)
아니야:
아니하여야. 않아야.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眞實ㅅ 맛로미라 주129)
맛로미라:
맞닥뜨림이다. 맛ᄃᆞᆮ-[逢]+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님굼과 臣下와 맛로미 곧 그 고댓 주130)
고댓:
곳의. 곧[所]+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格式이니 【님굼 尊貴 고디니 주131)
고디니:
경지이니. 곧[地]+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正位ㅣ라 臣下 第二機ㅣ니 偏位ㅣ라 님구미 貴시나 져젯 주132)
져젯:
저자의. 시장의. 져제[市](명사)+ㅅ(관형격조사).
거리예 주133)
거리예:
거리에서. 거리[街]+예(부사격조사).
맛보와 주134)
맛보와:
만나보아야. 맛보-[逢]+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ᅀᅡ(보조사).
正 님구미시고 臣下ㅣ니 이리야 님굼과 臣下왜 내로랏 주135)
내로랏:
내로라하는. 내[我]+∅(서술격조사)+오/로(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미 업서 正 고디라】
그러나 주136)
:
맨. ᄆᆞᆺ[最](관형사).
주137)
웃:
위의. 웃[上](관형사).
 고 一千 聖人이 셔디 주138)
셔디:
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몯홀 디라 주139)
몯홀 디라:
못할 것이라. 몯ᄒᆞ-[不]+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그 고대 아라도 주140)
아라도:
알아도.
셔 외니 주141)
외니:
그릇되니. 외-[錯]+니(연결어미).
내애 주142)
내애:
결국. 내죠ᇰ애[畢竟](부사).
어느 고디 외디 주143)
외디:
망령되지. 마ᇰ랴ᇰ(妄靈)ᄃᆞ외-+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邪티 주144)
사(邪)티:
삿되지. 나쁘지. 사(邪)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곧고 주145)
곧고:
곳인가? 곧[地]+고(의문보조사).
너교 주146)
너교:
여기되. 너기-[擬]+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그려 주147)
그ᄃᆡᄃᆞ려:
그대에게. 그대더러. 그ᄃᆡ[君]+ᄃᆞ려(부사격조사).
쇽졀업시 엣 주148)
엣:
꿈속의. ᄭᅮᆷ[夢]+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마 주149)
마:
말을. 말[說]+ᄋᆞᆯ(목적격조사).
니고져 주150)
니고져:
이르고자. 니ᄅᆞ-[謂]+고져(연결어미).
간마 주151)
간마:
했건마는. ᄒᆞ-+거(확인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마ᄅᆞᆫ(접속조사).
그듸 이 말 傳야 人間애

십현담요해언해:31ㄱ

주152)
펼가:
펼까. 펴-[敷]+ㄹ가(‘ᄒᆞ라’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전로라 주153)
전로라:
두려워하노라. 젛-[恐]+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손님과 주인이 화동(和同)하며 【손님은 편위(偏位)이니, 사문(事門)에서 내달은 경지(境地)이고, 주인은 정위(正位)이니, 사문(事門)에서 전혀 나오지 않은 경지이다. 사문(事門)과 이문(理門)이 서로 회호(回互)하여 맞닥뜨리지 아니하여야 진실한 맞닥뜨림이다.】 임금과 신하가 맞닥뜨리는 것이 곧 그 곳의 격식(格式)이다. 【임금은 존귀한 경지이니 정위(正位)이다. 신하는 제2기(機)이니 편위(偏位)이다. 임금이 귀하시나 저잣거리에서 만나보아야 바른 임금이시고 신하이니, 이리하여 임금과 신하가 내로라하는 마음이 없어야 바른 경지이다.】 그러나 맨 위의 한 곳은 일천(一千) 성인(聖人)이 서지 못할 것이라, 그 곳에 대해 알아도 벌써 그릇되니, 결국 어느 곳이 망령되지 않으며 삿되지 않은 곳인가? 여기되 “그대에게 속절없이 꿈속의 말을 이르고자 했건마는, 그대가 이 말을 전하여 세상에 펼까 두려워하노라.”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還鄕曲調를 如何唱고 明月堂前에 枯木華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本鄕애 도라가 주154)
도라가:
돌아가는. 도라가-[還]+ᄂᆞᆫ(관형사형어미).
놀애 주155)
놀애:
노래를. 놀애[曲調]+ᄅᆞᆯ(목적격조사).
엣디 주156)
엣디:
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브리오 주157)
브리오:
부를까. 브ᄅᆞ-[何]+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 주158)
:
밝은. ᄇ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알 주159)
알:
앞에. 앒[前]+ᄋᆡ(부사격조사). ‘앒[前]’은 특이처격어임.
이온 주160)
이온:
시든. 말라 버린. 이올-[枯]+ㄴ(관형사형어미).
남긧 주161)
남긧:
나무의. 나ᇚ[木]+의(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나ᇚ[木]’은 특이처격어임.
고지로다 주162)
고지로다:
꽃이로다. 곶[華]+이(서술격조사)+도다/로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본향(本鄕)에 돌아가는 노래를 어떻게 부를까? 달 밝은 집 앞에 시든 나무의 꽃이로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요해]還鄕曲調ㅣ 不屬宮商이어니 那被管弦이리오 要使石女로 彈箏며 木人로 敲柏야 唱出明月堂前에 九夏煩蒸이오 枯木枝頭에 千花ㅣ 爛熳이로다
Ⓒ 구결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本鄕애 도라가 놀애 주163)
놀애:
노래가. 놀애[曲調]+∅(주격조사).
宮商애 주164)
궁상(宮商)애:
궁상(宮商)에. ‘애’는 부사격조사. ‘궁상(宮商)’은 전통 음악의 오음계(五音階) 중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音)이다.
븓디 주165)
븓디:
속하지. 븥-[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커니 주166)
아니커니:
않거니. 아니ᄒᆞ-[不]+거니(연결어미).
【宮商 五音이라】 어느 주167)
어느:
어찌. 어느[那](부사).
뎌콰 주168)
뎌콰:
저와. 피리와. 뎌ㅎ[笛]+과(접속조사).
비화애 주169)
비화애:
비파에. 비화[琵琶]+애(부사격조사).
올이리오 주170)
올이리오:
올리겠는가. 올이[奏]+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모로매 돌 겨집로 주171)
돌겨집로:
돌계집으로. 돌[石]#겨집[女]+ᄋᆞ로(부사격조사).
주172)
쟁(箏):
국악기(國樂器) 중 현악기(絃樂器)의 하나이다.
이고 주173)
이고:
타게 하고. ᄩᆞ이-[使奏]+고(대등적 연결어미).
【箏 풍륫가시라 주174)
풍륫가시라:
악기이다. 푸ᇰ륫갓[樂器]+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나모 사로 주175)
나모 사로:
나무사람으로. 목우(木偶)로. ‘목우(木偶)’는 나무로 만든 사람의 형상, 곧, 목인(木人), 목상(木像)을 이른다.
주176)
:
박(拍)을. ‘박(拍)’은 국악기(國樂器) 중 타악기(打樂器)의 하나이다.
티여 주177)
티여:
치게 하여. 티이-[使打]+어(연결어미).
블로 주178)
블로:
부르되. 브르-[唱]+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  집 앏 주179)
앏:
앞에. 앒[前]+ᄋᆡ(부사격조사).
녀미 주180)
녀미:
여름이. 녀ᄅᆞᆷ[夏]+이(주격조사).
덥고 이온 나못 가지예 주181)
나못 가지예:
나뭇가지에. 나모[木]+ㅅ(관형격조사)#가지[枝]+예(부사격조사).
고지 주182)
고지:
꽃이. 곶[花]+이(주격조사).
헤드렛도다 주183)
헤드렛도다:
흐드러졌도다. 헤듣-[爛漫]+어(보조적 연결어미)#잇-[有]+도다(감탄형 종결어미).
Ⓒ 언해 | 강화도 정수사 / 1548년(명종 3) 월 일

본향(本鄕)에 돌아가는 노래가 궁상(宮商)에 속하지 않거니 【궁상(宮商)은 오음(五音)이다.】 어찌 피리와 비파에 올리겠는가? 모름지기 돌계집으로 하여금 쟁(箏)을 타게 하고 【쟁(箏)은 악기이다.】 나무 사람으로 하여금 박(拍)을 치게 하여 부르되, 달 밝은 집 앞에 여름이 덥고 시든 나뭇가지에 꽃이 흐드러졌도다.
Ⓒ 역자 | 김무봉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본향(本鄕)애:본향(本鄕)에. ‘애’는 부사격조사. ‘본향’은 본디 살던 고장이니, 여기서는 불교적 인식의 범위에서 말하는 무생경계(無生境界)를 이른다.
주002)
가:감을. 가는 것을. 가-[行]+옴/움(명사형어미)+ᄋᆞᆯ(목적격조사). 이 책에 성조(聲調) 표시인 방점(傍點)이 없지만, ‘·가-(거성)’의 어간 말음이 /ㅏ/여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감]은 성조(聲調)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ㅏ, ㅓ, ㅗ, ㅜ/ 다음에 선어말어미나 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聲調)만 상성(上聲)으로 바뀌었다.
주003)
헌:헐어버린. 무너뜨린. 흩어 버린. 헐-[破]+ㄴ(관형사형어미).
주004)
놀애라:놀래다. 놀애[曲]+∅(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5)
도라가며:돌아가며. 도라가-[返]+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6)
도라가려:돌아가려. 도라가-[還]+려(연결어미).
주007)
혼:한. 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8)
외니:그릇되니. 외-[差]+니(연결어미).
주009)
이숄:있을. 이시-[住]+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10)
히:곳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주011)
업손 디라:없는지라. 없는 것이다. 없-[無]+오/우(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2)
지비랏:집이라는. 집[家]+이(서술격조사)+랏(연결어미).
주013)
일훔도:이름도. 일훔[名]+도)보조사).
주014)
몯리로다:못하겠도다. 못하겠구나. 몯ᄒᆞ-[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15)
너교:여기되. 생각하되. 너기-[擬]+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016)
지:집에. 집[家]+ᄋᆡ(부사격조사).
주017)
도라가:돌아가. 도라가-[還]+아(연결어미).
주018)
앏:앞. 앒[前](명사).
주019)
이옷:이웃. 이옷[隣](명사).
주020)
뒷집:뒷집. 뒷집[北舍](명사).
주021)
계돈사(鷄豚社):한 마을 사람들이 계(契)를 결성하여 친목을 도모하는 것을 이른다.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 한유(韓愈)의 글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주022)
무:묶어. 결사(結社)하여. 무ᇫ-[結]+어(연결어미).
주023)
스골:시골. 스골[鄕](명사).
주024)
향도(香徒):불교 신행활동을 위해 결성한 신도들의 단체이다. 원래는 ‘향을 피우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무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주025)
 놀애:상(常) 노래. 일상에서 부르는 노래. 유행가(流行歌).
주026)
브고:부르고. 브ᄅᆞ-[唱]+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7)
노로려:놀려고. 놀-[遊]+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려(연결어미).
주028)
다니:했는데. 했더니. ᄒᆞ-+더(회상법 선어말어미)+오(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9)
가:가서는. 가-[到]+아(연결어미)+ᄂᆞᆫ(보조사).
주030)
의거(依據)홀:의거(依據)할. 의거(依據)ᄒᆞ-+오/우(대상표시법 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의거(依據)’는 의지한다는 뜻이다.
주031)
히:곳이. ᄯᅡㅎ[地]+이(주격조사).
주032)
아:예전의. 아ᄅᆡ[前日]+ㅅ(관형격조사).
주033)
그:잘못. 그ᄅᆞ[錯誤](부사).
주034)
혜던:생각했던. 헤아렸던. 혜-[量]+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35)
혜요런:헤아림은. 혜-[量]+옴/움(명사형어미)+ᄋᆞ런(보조사).
주036)
녀긔:녘에. 녁[邊]+의(부사격조사). ‘녁’은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37)
리려니와:버리겠거니와. ᄇᆞ리-[抛]+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니와(연결어미).
주038)
어늬:무엇이. 어느것이. 어느[何]+ㅣ(주격조사).
주039)
아니:않은. 아니ᄒᆞ-[無]+ㄴ(관형사형어미).
주040)
앗고:까닭인가. 앛(의존명사)+고(‘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41)
헐오:헐고. 헐-[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042)
소:소식이. 소ᄅᆡ[音信]+∅(주격조사).
주043)
그니:끊어지니. 긏[斷]+ᄋᆞ니(연결어미).
주044)
쇽졀업슨:속절없는. 쇽졀없-[空]+은(관형사형어미).
주045)
옷:달만. ᄃᆞᆯ[月]+곳/옷(단독 보조사).
주046)
고:배꽃에. ᄇᆡ[梨]+ㅅ(사이소리)+곶[花]+ᄋᆡ(부사격조사).
주047)
비취옛도다:비추고 있도다. 비추었도다. 비취-[照]+어(연결어미)#잇-[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48)
솘:소나무의. 솔의. 솔[松]+ㅅ(관형격조사).
주049)
길헨:길에는. 길ㅎ[徑]+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50)
더폣고:덮여 있고. 덮였고. 덮-[覆]+이(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잇-[在]+고(연결어미).
주051)
두:(빙) 두른. 두ᄅᆞ-[一帶]+ㄴ(관형사형어미).
주052)
묏부리옌:산봉우리에는. 묏부리[巒]+예(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53)
리옛도다:가리어 있도다. ᄀᆞ리-[遮]+어(연결어미)#잇-[在]+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54)
마:이미. ᄒᆞ마[旣](부사).
주055)
이 곧:이곳을. 이[這](지시관형사)#곧[邊](명사).
주056)
여(ᄒᆡ)야:떠나. 이별하여.
주057)
주고미:죽음이. 죽는 것이. 죽-[死]+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58)
긋고:끊어지고. 긏-[斷]+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59)
:또. 다시. ᄯᅩ[又](부사).
주060)
뎌 고대:저 곳에. 뎌[那]#곧[邊]+애(처소부사격조사).
주061)
가니:가니. 가-[到]+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62)
열반(涅槃):일체의 번뇌에서 벗어나고, 생사를 초월해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을 체득한 높은 경지를 이른다. 이런 연유로 부처나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해탈(解脫).
주063)
서천(西天):서역국(西域國)을 이른다. 중국 불교계에서는 인도가 중국의 서쪽에 있다고 해서 이렇게 불러 왔다.
주064)
마리니:말이니. 말[語]+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여기서는 산스크리트어(語)인 ‘nirvāna’를 가리킨다.
주065)
예셔:여기에서. * ‘예(여기)’는 ‘서천(西天)’에 대(對)가 되는 중국과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언해본의 저본인 김시습(金時習, 1435~1493년)의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와 그에 앞서 주(註)를 단 청량문익(淸凉文益, 885~958년)의 입장에서 사용한 표현이다.
주066)
닐오맨:이름에는. 니ᄅᆞ-[謂]+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67)
원적(圓寂)이라:원적(圓寂)이다. ‘원적’은 열반의 다른 이름이다. 번뇌 망상의 세계를 떠나 청정(淸淨)한 열반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이라는 뜻이다. 모든 덕(德)이 원만(圓滿)하고, 모든 악(惡)이 적멸(寂滅)한다는 뜻에서 원적이라 한다. 곧 원만한 적정(寂靜)이다. 점차 스님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변했다.
주068)
좀:가짐이. ᄀᆞᆽ-[具]+옴/움(명사형어미).
주069)
업슬 :없는 것을. 없-[無]+을(관형사형어미)#ᄉ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70)
다옴:다함이. 다ᄋᆞ-[盡]+옴/움(명사형어미).
주071)
소승(小乘):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解脫)을 얻고자 하는 불교의 양대(兩大) 유파 중 하나.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둘이 있다.
주072)
가도다:갔도다. 가-[到]+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73)
:하므로. ᄒᆞ-+ㄹᄉᆡ(연결어미).
주074)
유여열반(有餘涅槃):소승(小乘)에서 자기의 수행으로 이승의 번뇌는 끊었으나, 아직도 과거의 업보로 받은 신체까지는 멸(滅)하지 못한 열반을 이른다. 번뇌는 다했지만 육체는 아직 남아 있어서 번뇌를 지닌 육신에 의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주075)
주:줄을. 줄(의존명사)+ᄋᆞᆯ(목적격조사).
주076)
아실:아시므로. 알-[知]+ᄋᆞ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ㄹᄉᆡ(연결어미).
주077)
무여열반(無餘涅槃):모든 것이 아주 없어진 회신멸진(灰身滅眞)의 상태를 말한다.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방편으로 의지하고 있던 육신을 벗어나 인간으로서의 삶을 마치고 법신의 상태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주078)
나갈:나아갈. 나ᅀᅡ가-[進]+ㄹ(관형사형어미).
주079)
믈러올:물러날. 믈러오-[退]+ㄹ(관형사형어미).
주080)
업순:없는. 없-[無]+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81)
디라:것이다. ᄃᆞ(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2)
어렵고:어렵고. 험하고. 어렵-[确]+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83)
:겹. 겹[重](명사).
주084)
린:가린. ᄀᆞ리-[遮]+ㄴ(관형사형어미).
주085)
묏부리:산봉우리가. 묏부리[峰]+∅(주격조사).
주086)
다란:다다른. 다다라서는. 다ᄃᆞᆮ-[到]+아(연결어미)+ㄴ(보조사).
주087)
십성(十聖):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41위(位)에서 50위(位)까지를 이른다. 보살로서는 최고의 경지(境地)에 도달한 지위(地位)이다. 이 10위(位)가 온갖 중생을 짊어지고 교화하여 이익이 되게 하는 것이, 마치 대지(大地)가 만물을 싣고 이를 윤택하게 하는 것과 같다고 하여 십지보살(十地菩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088)
삼현(三賢):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 보살 수행의 52단계 중 11위(位)에서 40위(位)까지인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이른다.
주089)
애:벼랑을. 낭떠러지를. 비ᇰ애[崖]+ᄅᆞᆯ(목적격조사).
주090)
라고:바라보고. ᄇᆞ라-[望]+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91)
믈러나거니:물러나거니. 물러나는데. 므르-[退]+어(연결어미)#나[出]+거니(연결어미).
주092)
오과(五果):‘과(果)’는 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法)을 이른다. ‘오과(五果)’는 예류과(預流果), 불래과(不來果), 일래과(一來果), 무학과(無學果), 유여열반과(有餘涅槃果) 등이다.
주093)
사향(四向)이ᅀᅡ:사향(四向)이야. 사향(四向)+이ᅀᅡ(보조사). ‘향(向)’은 수행의 출발점. 또는 과(果)를 향하여 수행하고 있는 기간이다. ‘사향(四向)’은 예류향(預流向), 불래향(不來向), 일래향(一來向), 무학향(無學向) 등이다.
주094)
어느:어느. 어느[那](관형사).
주095)
소:소ᄅᆡ[音]+ ㄴᄃᆞᆯ(연결어미).
주096)
드리오:들으리오. 듣겠느냐. 듣-[聽]+ᄋ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97)
니라:이르라. 말하라. 니ᄅᆞ-[道]+라(명령형 종결어미).
주098)
어늬:무엇이. 어느[何]+ㅣ(주격조사).
주099)
곧고:곳인가. 경계(境界)인가. 곧[境]+고(의문보조사).
주100)
가란 만:갈 망정. 가-[歸]+란ᄃᆡ(연결어미)#만뎌ᇰ(의존명사).
주101)
오호(五湖):옛적 중국 오(吳)나라와 월(越)나라 지방에 있던 호수(湖水) 이름이다.
주102)
뉘:누가. 누[誰]+ㅣ(주격조사).
주103)
토리오:다투겠는가. ᄃᆞ토-[爭]+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04)
손과:손님과. 손[賓]+과(접속조사).
주105)
주인(主人)괘:주인이. 주인(主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다음에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106)
서:서로. 서ᄅᆞ[相](부사).
주107)
:마음을. ᄆᆞᅀᆞᆷ[心](명사).
주108)
이대:잘. 이대[善](부사).
주109)
가죰도:가짐도. 가지는 것도. 가지-[持]+옴/움(명사형어미)+도(보조사).
주110)
젼혀:순전히. 젼혀[純](부사).
주111)
거:거짓. 거ᄌᆞᆺ[僞](명사).
주112)
이리오:일이고. 일[事]+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임.
주113)
신하(臣下)와:신하(臣下)가.
주114)
마:만나는. 맞-[逢]+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15)
곧도:곳도. 곧[處]+도(보조사).
주116)
중(中)엣:가운데의. 중(中)+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117)
사법(邪法)이로다:삿된 법(法)이로다. 바르지 못한 법이구나.
주118)
편위(偏位):치우친 자리[位], 곧 현실을 이른다.
주119)
사문(事門)에:사문(事門)에서.
주120)
내:내달은. 벗어난. 내ᄃᆞᆮ-[突出]+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21)
히오:경지(境地)이고. ᄯᅡㅎ[地]+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주122)
정위(正位):바른 자리[位], 곧 본래를 이른다. 지혜로 열반을 깨달아 얻는 자리이다.
주123)
나디:나오지. 나-[出]+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24)
아니:않은. 아니한. 아니ᄒᆞ-[不]+ㄴ(관형사형어미).
주125)
고디라:경지이다. 곧[地]+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26)
회호(回互):상호(相互) 순회하여 갈마들어 서로 회피한다는 뜻이다.
주127)
맛디:맞닥뜨리지. 맛ᄃᆞᆮ-[逢]+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28)
아니야:아니하여야. 않아야. 아니ᄒᆞ-[不]+야(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129)
맛로미라:맞닥뜨림이다. 맛ᄃᆞᆮ-[逢]+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30)
고댓:곳의. 곧[所]+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131)
고디니:경지이니. 곧[地]+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132)
져젯:저자의. 시장의. 져제[市](명사)+ㅅ(관형격조사).
주133)
거리예:거리에서. 거리[街]+예(부사격조사).
주134)
맛보와:만나보아야. 맛보-[逢]+ᅀᆞᇦ(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ᅀᅡ(보조사).
주135)
내로랏:내로라하는. 내[我]+∅(서술격조사)+오/로(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연결어미).
주136)
:맨. ᄆᆞᆺ[最](관형사).
주137)
웃:위의. 웃[上](관형사).
주138)
셔디: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39)
몯홀 디라:못할 것이라. 몯ᄒᆞ-[不]+오/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
주140)
아라도:알아도.
주141)
외니:그릇되니. 외-[錯]+니(연결어미).
주142)
내애:결국. 내죠ᇰ애[畢竟](부사).
주143)
외디:망령되지. 마ᇰ랴ᇰ(妄靈)ᄃᆞ외-+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44)
사(邪)티:삿되지. 나쁘지. 사(邪)ᄒ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45)
곧고:곳인가? 곧[地]+고(의문보조사).
주146)
너교:여기되. 너기-[擬]+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147)
그ᄃᆡᄃᆞ려:그대에게. 그대더러. 그ᄃᆡ[君]+ᄃᆞ려(부사격조사).
주148)
엣:꿈속의. ᄭᅮᆷ[夢]+에(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149)
마:말을. 말[說]+ᄋᆞᆯ(목적격조사).
주150)
니고져:이르고자. 니ᄅᆞ-[謂]+고져(연결어미).
주151)
간마:했건마는. ᄒᆞ-+거(확인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마ᄅᆞᆫ(접속조사).
주152)
펼가:펼까. 펴-[敷]+ㄹ가(‘ᄒᆞ라’체의 판정의문형어미).
주153)
전로라:두려워하노라. 젛-[恐]+ᄂᆞ(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화자표시법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54)
도라가:돌아가는. 도라가-[還]+ᄂᆞᆫ(관형사형어미).
주155)
놀애:노래를. 놀애[曲調]+ᄅᆞᆯ(목적격조사).
주156)
엣디:어찌. ‘엣디[何](부사)’는 ‘엇디’ 또는 ‘엇뎨’의 다른 표기임.
주157)
브리오:부를까. 브ᄅᆞ-[何]+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58)
:밝은. ᄇᆞᆰ-[明]+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159)
알:앞에. 앒[前]+ᄋᆡ(부사격조사). ‘앒[前]’은 특이처격어임.
주160)
이온:시든. 말라 버린. 이올-[枯]+ㄴ(관형사형어미).
주161)
남긧:나무의. 나ᇚ[木]+의(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나ᇚ[木]’은 특이처격어임.
주162)
고지로다:꽃이로다. 곶[華]+이(서술격조사)+도다/로다(감탄형 종결어미).
주163)
놀애:노래가. 놀애[曲調]+∅(주격조사).
주164)
궁상(宮商)애:궁상(宮商)에. ‘애’는 부사격조사. ‘궁상(宮商)’은 전통 음악의 오음계(五音階) 중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音)이다.
주165)
븓디:속하지. 븥-[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66)
아니커니:않거니. 아니ᄒᆞ-[不]+거니(연결어미).
주167)
어느:어찌. 어느[那](부사).
주168)
뎌콰:저와. 피리와. 뎌ㅎ[笛]+과(접속조사).
주169)
비화애:비파에. 비화[琵琶]+애(부사격조사).
주170)
올이리오:올리겠는가. 올이[奏]+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ᄒᆞ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171)
돌겨집로:돌계집으로. 돌[石]#겨집[女]+ᄋᆞ로(부사격조사).
주172)
쟁(箏):국악기(國樂器) 중 현악기(絃樂器)의 하나이다.
주173)
이고:타게 하고. ᄩᆞ이-[使奏]+고(대등적 연결어미).
주174)
풍륫가시라:악기이다. 푸ᇰ륫갓[樂器]+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175)
나모 사로:나무사람으로. 목우(木偶)로. ‘목우(木偶)’는 나무로 만든 사람의 형상, 곧, 목인(木人), 목상(木像)을 이른다.
주176)
:박(拍)을. ‘박(拍)’은 국악기(國樂器) 중 타악기(打樂器)의 하나이다.
주177)
티여:치게 하여. 티이-[使打]+어(연결어미).
주178)
블로:부르되. 브르-[唱]+오ᄃᆡ/우ᄃᆡ(연결어미).
주179)
앏:앞에. 앒[前]+ᄋᆡ(부사격조사).
주180)
녀미:여름이. 녀ᄅᆞᆷ[夏]+이(주격조사).
주181)
나못 가지예:나뭇가지에. 나모[木]+ㅅ(관형격조사)#가지[枝]+예(부사격조사).
주182)
고지:꽃이. 곶[花]+이(주격조사).
주183)
헤드렛도다:흐드러졌도다. 헤듣-[爛漫]+어(보조적 연결어미)#잇-[有]+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