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6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6
  • 12. 오공교(蜈蚣咬)
메뉴닫기 메뉴열기

12. 오공교(蜈蚣咬)


蜈蚣咬
蜈蚣蛇蝎傷須用眞雄黃 셕우 生薑汁調貼此病自安康

지네 믈이니
지네 주001)
지네:
가늘고 긴 몸뚱이가 여러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마디마다 한 쌍의 다리가 달린 청록색의 벌레. 절지동물. 부록의 <용어사전 id="">‘지네’ 참조.
얌과 젼갈 주002)
젼갈(全蠍):
몸은 가재와 비슷하며 꼬리 끝에 독침이 있는 사막 지대에 사는 벌레.
와 믈여 헌  모로매 주00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진짓 주004)
진짓:
진짜. 참.
셕우 주005)
셕우:
웅황. 웅황은 삼류화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이다. 산의 양지 쪽에서 캔 것은 웅황(雄黃)이고, 음지 쪽에서 캔 것은 자황(雌黃)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웅황’ 참조.
을  즛두드려  므레 라 브티면 이 이 히 주006)
히:
자연히. 저절로.
됴리라

지네에게 물린 것
지네와 뱀과 전갈에게 물려 상처 난 데에는 모름지기 참 웅황을, 생강을 짓두드려 짠 즙에 개어서 붙이면 이 병이 저절로 좋아질 것이다.

蜈蚣咬 膩粉 분 一分 生薑汁相和調塗咬處

구급간이방언해 권6:59ㄴ

立效

지네 믈인  됴 분 두 돈 반을  즛두드려  므레 섯거 라 믄  면 즉재 됴리라

지네에게 물린 데는 좋은 분 두 돈 반을, 생강을 짓두드려 짠 즙에 섞어 개어서 물린 데에 바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蜘蛛 거믜 一枚 咬處安當自飮其毒蜘蛛死痛不止更着生者

거믜 주007)
거믜:
거미. 몸에서 끈끈한 줄을 뽑아 그물을 만들어 먹이를 잡아먹고 사는 작은 동물.
 나 지네 믄  노하 주008)
노하:
놓아.
절로 그 모딘 긔운을 에 주009)
에:
-[吸]+-게(부사형 어미). 빨게. 빨아내게.
라 거믜 죽고 알포미 긋디 주010)
긋디:
긏-[止]+-디(보조적 연결 어미). 그치지.

구급간이방언해 권6:60ㄱ

아니커든 다시 산 거믜를 두라

거미 한 마리를 지네가 문 곳에 놓아 저절로 그 독기(毒氣)를 빨아내게 하여라. 거미는 죽었는데 아프기가 그치지 않거든 다시 산 거미를 갖다 놓아라.

胡葱 파 一握搗如泥죠핏 여름 一合 以水煮椒汁洗之後封胡葱泥於咬處卽差

주011)
파:
푸른 잎이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고 길며,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어 양념으로 자주 쓰이는 채소.
주012)
줌:
한 주먹 안에 쥘 수 있을 만큼의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냄.
을 디허 즌 주013)
즌:
진흙. ‘즐다〉질다’(전설모음화).
게 고 죠핏 주014)
죠핏:
조피나무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조피나무’ 참조.
여름  홉 달힌 믈로 믄  시슨 후에 디흔 파로 믄  면 주015)
면:
-[包]+-아(연결 어미)+-[繫]+-면(종속적 연결 어미). 싸매면. ‘다’는 동사 ‘-’와 동사 ‘-’가 어미 ‘-아’를 매개로 하여 형성된 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즉재 됴리라

파 한 줌을 찧어서 진흙 같게 해 놓고, 조피나무 열매 한 홉을 달인 물로 물린 데를 씻은 후에 찧어 놓은 파로 물린 데를 싸매어 두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蝸牛 이 捺取汁滴入咬處須臾自差

이 주016)
이:
달팽이. 나선형의 껍데기 속에서 살며 그것을 지고 다니며, 머리에 까만 두 더 듬이가 있는 연체동물.
 소로 눌러 므를  믄  처디

구급간이방언해 권6:60ㄴ

주017)
처디여:
떨어뜨려.
들에 주018)
들에:
들-[入]+-게(부사형 어미). 들어가게.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어미 ‘-게’의 ㄱ이 탈락하였다.
면 이고 됴리라

달팽이를 손으로 눌러 즙을 짜서 물린 데에 떨어뜨려 들어가게 하면 얼마 있다가 곧 좋아질 것이다.

雄雞冠血 수 벼셋 피 塗之立效

수 주019)
수:
수탉의.
벼셋 주020)
벼셋:
볏[鷄冠]엣.
피 면 즉재 됴리라

수탉의 볏엣 피를 바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燒雞屎   酒和傅之佳又取雞屎和醋傅之

 을 라 수레 라 브툐미 됴니라   을 초애 라 브티라

닭의 똥을 불살라 술에 개어서 붙이는 것이 좋다. 또 닭의 똥을 식초에 개어서 붙여라.

將筆管 붇 대 坐所咬處鎔蠟 滴向管內令

구급간이방언해 권6:61ㄱ

到瘡上三四滴便止

주021)
붇:
붓[筆].
을 주022)
을:
[柄]+-을(목적격 조사). 자루를. 명사 ‘’는 그 다음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로 교체된다.
믈인  셰오 주023)
셰오:
세우고.
주024)
밀:
밀랍. 꿀벌이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
노겨 붇 안해 처디여 헌 가게 호 서너 번만 처디면 곧 됴리라

붓자루를 물린 데에 세우고 밀랍을 녹여 붓자루의 안에 떨어뜨려서 헌데에 이르게 함을 서너 번 정도 하면 곧 좋아질 것이다.

麻鞋履底炙以揩之卽差

메트릿 주025)
메트릿:
미투리의. ‘미투리’는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을 말한다.
바 주026)
바:
바닥.
을 브레 여 츠면 주027)
츠면:
-[擦]+-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문지르면. 비비면. 어루만지면.
즉재 됴리라

미투리의 바닥을 불에 쬐어 문지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生地龍 산 위 挹之卽愈

구급간이방언해 권6:61ㄴ

위 주028)
위:
지렁이.
 츠면 즉재 됴리라

산 지렁이로 문지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井口蚯蚓糞 위  濕傅瘡上以物包定卽愈

우믈 이펫 주029)
이펫:
잎[入口]+-엣(처소 관형격 조사). 어귀엣.
위  저즈니 주030)
저즈니:
젖-[濕]+-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목적격 조사). 젖은 것을.
헌 브티고 아모거스뢰나 주031)
아모거스뢰나:
아모것+-으로(조격 조사)+-ㅣ나(보조사). 아무것으로나.
면 즉재 됴리라

우물 어귀에 있는 지렁이의 똥 젖은 것을 헌데에 붙이고 아무것으로나 싸매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杏仁 고 솝 去皮尖 同馬蘭根 붇곳 불휘 硏細先以葱湯 파 글힌 믈 洗瘡然後塗之

고 솝 주032)
고 솝:
살구씨 속. 여기서는 ‘행인’(杏仁)을 가리키는데, ‘행인’은 살구씨의 껍데기 속 알맹이를 말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을 거플와 부리 주033)
부리:
끄트머리. 즉 뾰족 나온 부분을 가리킨다.
와 앗고 붇곳 주034)
붇곳:
붓꽃. 붓꽃과의 다년초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붓꽃’ 참조.
불휘  리 주035)
리:
가늘게. 곱게.
라 두고 몬져 파 글힌 주036)
글힌:
끓인.

구급간이방언해 권6:62ㄱ

믈로 헌 싯고 라

살구씨의 속을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없애고 난 것과 붓꽃의 뿌리를 한데 곱게 갈아 두고는 먼저 파를 끓인 물로 헌데를 씻고 나서 발라라.

桑白皮 나못 불휫  거플 搗碎傅之卽愈

나못 주037)
나못:
뽕나무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뽕나무’ 참조.
불휫  거프를 브디허 주038)
브디허:
브-[碎]+딯-[搗]+-어(연결 어미). 찧어 바수어. ‘브디허’는 두 동사 어간 ‘브-’와 ‘딯-’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브티면 즉재 됴리라

뽕나무 뿌리의 흰 껍질을 찧어 바수어 붙이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大蒜塗效桑汁 나못 즙 白塩  소곰 塗亦效

마 주039)
마:
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부록의 <용어사전 id="">‘마늘’ 참조.
면 됴리라 나못 즙이어나  소고미어나 라도 주040)
라도:
-[塗]+-아도(종속적 연결 어미). 발라도. 동사 어간 ‘-’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ㄹ-’로 교체된다.
됴리라

큰 마늘을 바르면 좋아질 것이다. 뽕나무의 즙이나 흰 소금을 발라도 좋아질 것이다.

皂莢小片鑽孔着螫上艾炙三五壯

구급간이방언해 권6:62ㄴ

조협 주041)
조협(皂莢):
쥐엄나무 열매. 부록의 <용어사전 id="">‘조협’ 참조.
죠고맛 주042)
죠고맛:
조그마한.
주043)
편(片):
조각.
을 구무 들워 주044)
들워:
듧-[鑽]+-어(연결 어미). 뚫어. ‘듧다’는 ㅂ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의 끝소리 ㅂ이 모음의 어미를 만나면 ‘오/우’로 교체된다.
믄 우희 노코 으로 세 붓기나 다 붓기나 주045)
붓기나:
[壯]+-이나(보조사). ‘’은 한 번 뜸뜨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라

쥐엄나무 열매의 조그마한 조각에 구멍을 뚫어서 물린 곳 위에 놓고 쑥으로 세 번 내지 다섯 번 뜸을 뜨라.

소곰 封瘡上卽愈

소고 헌 우희 면 즉재 됴리라

소금으로 상처 위를 싸매면 즉시 좋아질 것이다.

竈中黃土 가마 믿 마촘 아랫 누른  和苦酒 塗之

가마 주046)
가마:
가마솥.
믿 마촘 주047)
마촘:
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가까운 곳. 바로 맞닿은 곳.
아랫 누른  주048)
누른 :
황토(黃土). 이 책(1:25ㄱ)에는 ‘황토(黃土)’에 대하여 ‘누런 ’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보아 ‘황(黃)’을 나타내는 용언의 기본형으로 ‘누러다(누렇다)’와 ‘누르다’의 두 가지가 쓰였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을 초애 라 라

가마솥 밑 바로 아래의 누런 흙을 식초에 개어서 발라라.

胡椒蒜薑皆可硏碎擦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구급간이방언해 권6:63ㄱ

고어나 주049)
고어나:
고쵸[胡椒]+-ㅣ어나(보조사). 고추이거나.
마리어나 이어나 라  주050)
:
-[碎]+-아(연결 어미). 바수어. 15세기 중엽까지는 ‘아’로 표기되었었다.
븨요미 주051)
븨요미:
븨-[擦]+-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비비는 것이. 문지르는 것이. 이 책의 권2에는 어두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비븨여’가 많이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녹둣낫만 케 비븨여(2:28ㄱ). 비븨여 (2:71ㄱ).
다 됴니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고추나 마늘이나 생강을 갈아 바수어서 문지르는 것이 다 좋다.
Ⓒ 역자 | 김문웅 / 2008년 11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네:가늘고 긴 몸뚱이가 여러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마디마다 한 쌍의 다리가 달린 청록색의 벌레. 절지동물. 부록의 <용어사전 id="">‘지네’ 참조.
주002)
젼갈(全蠍):몸은 가재와 비슷하며 꼬리 끝에 독침이 있는 사막 지대에 사는 벌레.
주00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004)
진짓:진짜. 참.
주005)
셕우:웅황. 웅황은 삼류화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이다. 산의 양지 쪽에서 캔 것은 웅황(雄黃)이고, 음지 쪽에서 캔 것은 자황(雌黃)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웅황’ 참조.
주006)
히:자연히. 저절로.
주007)
거믜:거미. 몸에서 끈끈한 줄을 뽑아 그물을 만들어 먹이를 잡아먹고 사는 작은 동물.
주008)
노하:놓아.
주009)
에:-[吸]+-게(부사형 어미). 빨게. 빨아내게.
주010)
긋디:긏-[止]+-디(보조적 연결 어미). 그치지.
주011)
파:푸른 잎이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고 길며,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어 양념으로 자주 쓰이는 채소.
주012)
줌:한 주먹 안에 쥘 수 있을 만큼의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냄.
주013)
즌:진흙. ‘즐다〉질다’(전설모음화).
주014)
죠핏:조피나무의. 부록의 <용어사전 id="">‘조피나무’ 참조.
주015)
면:-[包]+-아(연결 어미)+-[繫]+-면(종속적 연결 어미). 싸매면. ‘다’는 동사 ‘-’와 동사 ‘-’가 어미 ‘-아’를 매개로 하여 형성된 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주016)
이:달팽이. 나선형의 껍데기 속에서 살며 그것을 지고 다니며, 머리에 까만 두 더 듬이가 있는 연체동물.
주017)
처디여:떨어뜨려.
주018)
들에:들-[入]+-게(부사형 어미). 들어가게. 어간의 끝소리 ㄹ 아래에서 어미 ‘-게’의 ㄱ이 탈락하였다.
주019)
수:수탉의.
주020)
벼셋:볏[鷄冠]엣.
주021)
붇:붓[筆].
주022)
을:[柄]+-을(목적격 조사). 자루를. 명사 ‘’는 그 다음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로 교체된다.
주023)
셰오:세우고.
주024)
밀:밀랍. 꿀벌이 벌집을 만들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
주025)
메트릿:미투리의. ‘미투리’는 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을 말한다.
주026)
바:바닥.
주027)
츠면:-[擦]+-으면(종속적 연결 어미). 문지르면. 비비면. 어루만지면.
주028)
위:지렁이.
주029)
이펫:잎[入口]+-엣(처소 관형격 조사). 어귀엣.
주030)
저즈니:젖-[濕]+-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목적격 조사). 젖은 것을.
주031)
아모거스뢰나:아모것+-으로(조격 조사)+-ㅣ나(보조사). 아무것으로나.
주032)
고 솝:살구씨 속. 여기서는 ‘행인’(杏仁)을 가리키는데, ‘행인’은 살구씨의 껍데기 속 알맹이를 말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주033)
부리:끄트머리. 즉 뾰족 나온 부분을 가리킨다.
주034)
붇곳:붓꽃. 붓꽃과의 다년초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붓꽃’ 참조.
주035)
리:가늘게. 곱게.
주036)
글힌:끓인.
주037)
나못:뽕나무의. 부록의 <용어사전 id="">‘뽕나무’ 참조.
주038)
브디허:브-[碎]+딯-[搗]+-어(연결 어미). 찧어 바수어. ‘브디허’는 두 동사 어간 ‘브-’와 ‘딯-’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주039)
마:마[蒜]+-(목적격 조사). 마늘을. 부록의 <용어사전 id="">‘마늘’ 참조.
주040)
라도:-[塗]+-아도(종속적 연결 어미). 발라도. 동사 어간 ‘-’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ㄹ-’로 교체된다.
주041)
조협(皂莢):쥐엄나무 열매. 부록의 <용어사전 id="">‘조협’ 참조.
주042)
죠고맛:조그마한.
주043)
편(片):조각.
주044)
들워:듧-[鑽]+-어(연결 어미). 뚫어. ‘듧다’는 ㅂ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의 끝소리 ㅂ이 모음의 어미를 만나면 ‘오/우’로 교체된다.
주045)
붓기나:[壯]+-이나(보조사). ‘’은 한 번 뜸뜨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주046)
가마:가마솥.
주047)
마촘:마초-[適]+-옴(명사형 어미). 맞춤. 가까운 곳. 바로 맞닿은 곳.
주048)
누른 :황토(黃土). 이 책(1:25ㄱ)에는 ‘황토(黃土)’에 대하여 ‘누런 ’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보아 ‘황(黃)’을 나타내는 용언의 기본형으로 ‘누러다(누렇다)’와 ‘누르다’의 두 가지가 쓰였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주049)
고어나:고쵸[胡椒]+-ㅣ어나(보조사). 고추이거나.
주050)
:-[碎]+-아(연결 어미). 바수어. 15세기 중엽까지는 ‘아’로 표기되었었다.
주051)
븨요미:븨-[擦]+-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비비는 것이. 문지르는 것이. 이 책의 권2에는 어두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비븨여’가 많이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녹둣낫만 케 비븨여(2:28ㄱ). 비븨여 (2:71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