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6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6
  • 5. 침자절육중(針刺折肉中)
메뉴닫기 메뉴열기

5. 침자절육중(針刺折肉中)


針刺折肉中
針入皮膚 酸棗 예초 燒灰存性 溫酒送下在上食前服在下食後服覺額痒卽從元入處出

바리어나 가어나 해 드러 것그니

구급간이방언해 권6:21ㄱ

바리 갓과 주001)
갓과:
갗[皮]+-과(접속 조사). 살갗과. 피부와. ‘갗’[皮]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갓’이 되었다.
해 주002)
해:
ㅎ[肉]+-애(처격 조사). 살에.
드렛거든 주003)
드렛거든:
들-[入]+-어(연결 어미)+잇-(완료의 보조 용언)+-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 있거든. 박혀 있거든.
예초 주004)
예초:
멧대추나무의 열매. 멧대추[酸棗]. 부록의 <용어사전 id="">‘멧대추나무’ 참조.
디 주005)
디:
-[燒]+-디(보조적 연결 어미). 사위지. ‘사위다’는 불이 다 타서 재가 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아니케 론   주006)
:
-[溫]+-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수레 프러 머그라 가 주007)
가:
가시. ‘가〉가싀〉가시’
허리록 주008)
허리록:
허리[腰]+-로(조격 조사)+-ㄱ(강세 첨사). 허리로부터.
우희 잇거든 밥 아니 머거셔 먹고 허리록 아래 잇거든 밥 머근 후에 머그라 니마히 주009)
니마히:
니마ㅎ[額]+-이(주격 조사). 이마가. ‘니마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라오면 주010)
라오면:
랍-[痒]+-면(종속적 연결 어미). 가려우면. 형용사 ‘랍다’는 ㅂ불규칙 용언이어서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 ‘랍-’이 ‘라오-’로 교체된다.
즉재 처 주011)
처:
처음.
주012)
든:
들-[入]+-ㄴ(관형사형 어미). 든. 들었던.
로 나리라

바늘이거나 가시거나 살에 들어가 꺾인 것
바늘이 살갗과 살에 박혀 있거든, 멧대추를 다 타서 재가 되지 않게 불사른 재를 따뜻한 술에 풀어서 먹어라. 가시가 허리로부터 위에 있거든 밥 먹기 전에 먹고, 허리로부터 아래에 있거든 밥 먹은 후에 먹어라. 이마가 가려우면 즉시 처음 들어갔던 데로 나올 것이다.

雙杏仁 어우 고 擣爛以車脂 술위앳 기름 調勻貼在針瘡上其針自出

구급간이방언해 권6:21ㄴ

어우 주013)
어우:
두 쪽으로 된 것, 즉 ‘두알들이’를 말한다. 살구의 꽃이 다섯 잎이지만 만일 여 섯 잎이면 그것은 ‘두알들이’로 된다. 두 알이 들어 있는 것은 음양의 원리를 벗어난 것이기 때문에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고 주014)
고:
살구씨. 여기서는 ‘행인’(杏仁)을 가리키는데, ‘행인’은 살구씨의 껍데기 속 알맹이를 말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므르디허 주015)
므르디허:
므르-[爛]+딯-[搗]+-어(연결 어미). 무르게 찧어. 많이 찧어.
술위 주016)
술위:
굴대통. 수레바퀴의 한가운데 굴대를 끼우는 부분.
앳 기르메 라 주017)
라:
-[水調]+-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바 든 우희 브티면 주018)
브티면:
븥-[附着]+-이-(사동 접미사)+-면(종속적 연결 어미). 붙이면. ‘븥다〉붙다’(원순모음화).
그 바리 절로 나리라

두 쪽으로 된 살구씨를 무르게 찧어서 수레바퀴의 굴대통에 있는 기름에 개어 바늘이 들어 있는 그 위에 붙이면 그 바늘이 저절로 나올 것이다.

生薑 橘皮 귨 거플 解塩 소곰 等分 硏爲膏塗上以帛札定卽自出

 주019)
:
생강[薑]. 부록의 <용어사전 id="">‘생강’ 참조.
과 귨 거플와 소곰과 게 주020)
게:
-[同]+-게(부사형 어미). 같게. ‘-’도 원형 ‘-’을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표기한 형태이다.
화 라 주021)
골:
반고체. 기름. 원문을 보면 ‘골’에 해당하는 한자로 ‘고(膏)’를 쓴 것으로 보아 ‘골’은 고약(膏藥)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라 고 주022)
고:
-[塗]+-고(대등적 연결 어미). 바르고.
헌거스로 주023)
헌거스로:
헌것[帛]+-으로(조격 조사). 헝겊으로.
면 주024)
면:
-[包]+-아(연결 어미)+-[繫]+-면(종속적 연결 어미). 싸매면.
즉재 절로 나리라

생강과 귤껍질과 소금을 똑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갈아서 고약을 만들어 바르고 헝겊으로 싸매면 즉시 저절로 나올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6:22ㄱ

硫黃 셔류 硏細貼以紙花 죠 貼定覺痒時其針卽出

셔류 주025)
셔류:
유황(硫黃). 부록의 <용어사전 id="">‘유황’ 참조.
을 리 라 브티고 그 우희 죠 주026)
죠:
종이. ‘죠〉죠희〉죠히〉죠이〉종이’.
브텨 라오면 그 바리 즉재 나리라

유황을 곱게 갈아서 붙이고 그 위에 종이를 붙여 가려우면 그 바늘이 즉시 나올 것이다.

箭鏃及針折在咽喉胸膈不出 鼠肝 쥐 간 及腦 골슈 塗之自出

삸믿 주027)
삸믿:
살[箭]+ㅅ(사이시옷)+밑[底, 本]. 화살촉. ‘화살촉’은 화살 끝에 박은 뾰족한 쇠를 일컫는 말이다.
과 바리 것거 주028)
것거:
-[折]+-어(연결 어미). 꺾어. 꺾여.
목나 가매나 주029)
가매나:
가[胸]+-애(처격 조사)+-나(보조사). 가슴에나.
이셔 나디 아니커든 쥐 간과 머리옛 골슈 주030)
골슈:
골수(骨髓). 뼈의 중심부인 골강(骨腔)에 가득 차 있는 결체질(結締質)의 물질.

구급간이방언해 권6:22ㄴ

면 절로 나리라

화살촉과 바늘이 꺾여서 목에나 가슴에 박혀 있어 나오지 아니하거든 쥐의 간과 머리의 골수를 바르면 저절로 나올 것이다.

赤小豆 블근  和醋塗後以瓢葉 박 닙 裹之

블근 주031)
블근:
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 주032)
: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부록의 <용어사전 id="">‘팥’ 참조.
초애 주033)
초애:
식초에.
라  후에 주034)
박:
여름에 흰 꽃이 피는 덩굴. 부록의 <용어사전 id="">‘박’ 참조.
니프로 주035)
니프로:
닢[葉]+-으로(조격 조사). 잎으로.
라

붉은 팥을(=팥 가루를) 식초에 개어 바른 후에 박 덩굴의 잎으로 싸매어라.

箭幷針折在肉中 葀蔞根 하랫 불휘 擣爛傅之日三易自出

사리어나 바리어나 것거 주036)
:
ㅎ[肉]+ㅅ(사이시옷). 살의.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지만 ㅎ이 ㅅ(사이시옷) 앞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가온 잇거든 하랫 주037)
하랫:
하래[葀蔞]+ㅅ(사이시옷). 하눌타리의. ‘하래’의 ‘하’도 ㅎ끝소리 명사이지만 ㅅ(사이시옷) 앞에서 ㅎ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눌타리’는 박과의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하눌타리’ 참조.
불휘 므르디허 브툐

구급간이방언해 권6:23ㄱ

 세 번곰 면 주038)
면:
-[換]+-면(종속적 연결 어미). 갈면. 바꾸면.
절로 나리라

화살이나 바늘이 꺾여서 살의 가운데에 박혀 있거든 하눌타리 뿌리를 무르게 찧어서 붙이되 하루 세 번씩 바꿔 붙이면 저절로 나올 것이다.

齒垽 닛믜욤 글근 것 和黑虱 머리옛 니 硏傅及治惡刺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닛믜욤 주039)
닛믜욤:
잇몸.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닛므윰’으로 나타난다.
글근 주040)
글근:
긁-[搔]+-은(관형사형 어미). 긁어낸.
거슬 머리옛 주041)
니:
이[虱].
섯거 주042)
섯거:
-[混合]+-어(연결 어미). 섞어.
라 브티라  모딘 주043)
모딘:
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악성의.
가도 고티니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잇몸을 긁어낸 찌꺼기를 머리에 있는 이와 섞어 갈아서 붙여라. 또 모진 가시가 박힌 것도 고친다.
Ⓒ 역자 | 김문웅 / 2008년 11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갓과:갗[皮]+-과(접속 조사). 살갗과. 피부와. ‘갗’[皮]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갓’이 되었다.
주002)
해:ㅎ[肉]+-애(처격 조사). 살에.
주003)
드렛거든:들-[入]+-어(연결 어미)+잇-(완료의 보조 용언)+-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 있거든. 박혀 있거든.
주004)
예초:멧대추나무의 열매. 멧대추[酸棗]. 부록의 <용어사전 id="">‘멧대추나무’ 참조.
주005)
디:-[燒]+-디(보조적 연결 어미). 사위지. ‘사위다’는 불이 다 타서 재가 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주006)
:-[溫]+-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주007)
가:가시. ‘가〉가싀〉가시’
주008)
허리록:허리[腰]+-로(조격 조사)+-ㄱ(강세 첨사). 허리로부터.
주009)
니마히:니마ㅎ[額]+-이(주격 조사). 이마가. ‘니마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10)
라오면:랍-[痒]+-면(종속적 연결 어미). 가려우면. 형용사 ‘랍다’는 ㅂ불규칙 용언이어서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 ‘랍-’이 ‘라오-’로 교체된다.
주011)
처:처음.
주012)
든:들-[入]+-ㄴ(관형사형 어미). 든. 들었던.
주013)
어우:두 쪽으로 된 것, 즉 ‘두알들이’를 말한다. 살구의 꽃이 다섯 잎이지만 만일 여 섯 잎이면 그것은 ‘두알들이’로 된다. 두 알이 들어 있는 것은 음양의 원리를 벗어난 것이기 때문에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주014)
고:살구씨. 여기서는 ‘행인’(杏仁)을 가리키는데, ‘행인’은 살구씨의 껍데기 속 알맹이를 말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행인’ 참조.
주015)
므르디허:므르-[爛]+딯-[搗]+-어(연결 어미). 무르게 찧어. 많이 찧어.
주016)
술위:굴대통. 수레바퀴의 한가운데 굴대를 끼우는 부분.
주017)
라:-[水調]+-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주018)
브티면:븥-[附着]+-이-(사동 접미사)+-면(종속적 연결 어미). 붙이면. ‘븥다〉붙다’(원순모음화).
주019)
:생강[薑]. 부록의 <용어사전 id="">‘생강’ 참조.
주020)
게:-[同]+-게(부사형 어미). 같게. ‘-’도 원형 ‘-’을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표기한 형태이다.
주021)
골:반고체. 기름. 원문을 보면 ‘골’에 해당하는 한자로 ‘고(膏)’를 쓴 것으로 보아 ‘골’은 고약(膏藥)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주022)
고:-[塗]+-고(대등적 연결 어미). 바르고.
주023)
헌거스로:헌것[帛]+-으로(조격 조사). 헝겊으로.
주024)
면:-[包]+-아(연결 어미)+-[繫]+-면(종속적 연결 어미). 싸매면.
주025)
셔류:유황(硫黃). 부록의 <용어사전 id="">‘유황’ 참조.
주026)
죠:종이. ‘죠〉죠희〉죠히〉죠이〉종이’.
주027)
삸믿:살[箭]+ㅅ(사이시옷)+밑[底, 本]. 화살촉. ‘화살촉’은 화살 끝에 박은 뾰족한 쇠를 일컫는 말이다.
주028)
것거:-[折]+-어(연결 어미). 꺾어. 꺾여.
주029)
가매나:가[胸]+-애(처격 조사)+-나(보조사). 가슴에나.
주030)
골슈:골수(骨髓). 뼈의 중심부인 골강(骨腔)에 가득 차 있는 결체질(結締質)의 물질.
주031)
블근:븕-[赤]+-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주032)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부록의 <용어사전 id="">‘팥’ 참조.
주033)
초애:식초에.
주034)
박:여름에 흰 꽃이 피는 덩굴. 부록의 <용어사전 id="">‘박’ 참조.
주035)
니프로:닢[葉]+-으로(조격 조사). 잎으로.
주036)
:ㅎ[肉]+ㅅ(사이시옷). 살의.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지만 ㅎ이 ㅅ(사이시옷) 앞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주037)
하랫:하래[葀蔞]+ㅅ(사이시옷). 하눌타리의. ‘하래’의 ‘하’도 ㅎ끝소리 명사이지만 ㅅ(사이시옷) 앞에서 ㅎ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눌타리’는 박과의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하눌타리’ 참조.
주038)
면:-[換]+-면(종속적 연결 어미). 갈면. 바꾸면.
주039)
닛믜욤:잇몸.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닛므윰’으로 나타난다.
주040)
글근:긁-[搔]+-은(관형사형 어미). 긁어낸.
주041)
니:이[虱].
주042)
섯거:-[混合]+-어(연결 어미). 섞어.
주043)
모딘:모딜[惡]+-ㄴ(관형사형 어미). 모진. 악성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