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신선태을자금단
  • 증상과 복용법
  • 증상과 복용법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과 복용법 11


登高墜下打撲傷損用炒松節無灰酒

신선태을자금단:14ㄴ

下如無松節酒以炒松節入酒湯用 만일 졀 주001)
졀쥬:
송절주(松節酒). 소나무의 마디를 넣어서 빚은 술. 부록 참조.
업거든 솘 디[]를 달혀 라
Ⓒ 저자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노 주002)
노:
높-[高]+-(관형사형 어미). 높은.
셔 려디니와 주003)
려디니와:
려디-[墮]+-ㄴ(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떨어진 사람과.
다티니 주004)
다티니:
다티-[衝]+-ㄴ(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 부딪친 사람. 중세 국어에서 ‘다티다’가 쓰인 다음의 예를 보면 오늘날의 ‘다치다’와는 좀 다른 뜻을 가졌던 말임을 알 수 있다. “다틸 쵹:觸”(신증유합 하:34ㄴ). “思에 다티면(衝思)”(능엄경 언해 8:101ㄴ).
업더디거나 주005)
업더디거나:
업더디-[顚]+-거나(선택형 연결 어미). 엎어지거나. 엎드러지거나.
니란 브레 봇곤 주006)
봇곤:
-[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볶은.
솘  주007)
솘:
솔[松]+-ㅅ(사이시옷)+[節]. 소나무의 마디.
조쳐 비준 주008)
비준:
빚-[釀]+-우-(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빚은.
긔 업슨 수레 주009)
긔 업슨 수레:
잿물의 기운이 없는 술에. 잿물을 쓰지 아니한 술에. ‘긔 업슨 술’을 한문 원문에서는 無灰酒(무회주)라 하였는데, 무회주는 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순주(醇酒)를 가리킨다.
라 머기라
Ⓒ 언해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높은 데서 떨어진 사람과 부딪친 사람과 엎어지거나 한 사람은 불에 볶은 소나무의 마디를 넣어서 빚은, 그러면서 잿물을 쓰지 아니한 술에 〈자금단을〉 갈아서 먹여라.【만일 송절주(松節酒)가 없거든 소나무의 마디를 달여 사용하여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졀쥬:송절주(松節酒). 소나무의 마디를 넣어서 빚은 술. 부록 참조.
주002)
노:높-[高]+-(관형사형 어미). 높은.
주003)
려디니와:려디-[墮]+-ㄴ(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떨어진 사람과.
주004)
다티니:다티-[衝]+-ㄴ(관형사형 어미)+이(人, 의존 명사). 부딪친 사람. 중세 국어에서 ‘다티다’가 쓰인 다음의 예를 보면 오늘날의 ‘다치다’와는 좀 다른 뜻을 가졌던 말임을 알 수 있다. “다틸 쵹:觸”(신증유합 하:34ㄴ). “思에 다티면(衝思)”(능엄경 언해 8:101ㄴ).
주005)
업더디거나:업더디-[顚]+-거나(선택형 연결 어미). 엎어지거나. 엎드러지거나.
주006)
봇곤:-[炒]+-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볶은.
주007)
솘:솔[松]+-ㅅ(사이시옷)+[節]. 소나무의 마디.
주008)
비준:빚-[釀]+-우-(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빚은.
주009)
긔 업슨 수레:잿물의 기운이 없는 술에. 잿물을 쓰지 아니한 술에. ‘긔 업슨 술’을 한문 원문에서는 無灰酒(무회주)라 하였는데, 무회주는 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순주(醇酒)를 가리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