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신선태을자금단
  • 증상과 복용법
  • 증상과 복용법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과 복용법 4


陰陽二毒傷寒心悶狂言亂語胸腸壅滯邪毒未發及四時溫疫感冒風寒頭風寒熱悶亂鼓脹浮腫急喉閉纏喉風用涼水入薄荷一小葉同硏下
Ⓒ 저자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음  주001)
음(陰症) (陽症):
질병의 변증(辨症)에서 음에 속하는 병증과 양에 속하는 병증. 부록의 ‘음증’, ‘양증’ 참조.
과 주002)
:
-[冷]+-ㄴ(관형사형 어미). 찬.
긔운으로 발 주003)
발:
발(發熱)+-ㅅ(사이시옷)+(病). 열이 많이 나는 병.

신선태을자금단:11ㄴ

야 미 주004)
미:
[心]+-이(주격 조사). 마음이.
답답며 가 주005)
가[胸]:
가슴.
안히 주006)
안히:
안ㅎ[內]+-이(주격 조사). 안이. 속이. ‘안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바[마?]가 주007)
바가:
‘마가’(막아)의 오각인 듯. 언해문의 “바가 걸인 야”에 해당하는 한문 원문이 壅滯(옹체)로 되어 있는데, 옹체의 뜻은 쌓이고 막혀 통하지 않고 걸리는 것을 가리키므로 여기서의 ‘바가’는 ‘마가’(막아)의 오각일 것으로 판단된다.
걸인 주008)
걸인:
걸이-[滯]+-ㄴ(관형사형 어미). 걸린.
야 샤독 주009)
샤독(邪毒):
나쁜 기운이 있는 독.
발티 주010)
발티:
발-[發]+-디(보조적 연결 어미). 발하지. 나가지.
몯여신 적과 주011)
적과:
적[時]+-과(접속 조사). 때와.
시옛 주012)
시옛:
시(四時)+-옛(처소 관형격 조사). 사철엣.
덥단 주013)
덥단:
덥-[暑]+달-[熱]+-ㄴ(관형사형 어미). 덥고 달아오르는. 열이 몹시 나는. ‘덥달다’는 ‘덥다’[暑]와 ‘달다’[熱]의 각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시긧 주014)
시긧:
시긔(時氣)+-ㅅ(사이시옷)+(病). 때에 따라 유행하는 상한병(傷寒病)이나 전염성 질환.
과 과  긔운으로 곳블 주015)
곳블:
고ㅎ[鼻]+-ㅅ(사이시옷)+블[火]. 고뿔. 코에 불났다는 말로서 감기(感氣)를 이르는 고유어이다.
며 여러 가짓 머리 주016)
머리[頭風]:
머리 아픈 것이 오랫동안 치유되지 않고 수시로 발작하는 증상.
알며 주017)
알며:
앓-[痛]+-며(대등적 연결 어미). 앓으며. 아프며.
며 더워  답답며 주018)
:
배[腹].
부러 주019)
부러:
붇-[脹]+-어(연결 어미). 불어나. ‘붇다’는 ㄷ불규칙 동사로서 어간 ‘붇-’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불-’로 교체된다.
만 주020)
만(脹滿):
배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속이 그득한 감이 있는 증상.
야 브며 주021)
브며:
븟-[腫]+-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부으며. 동사 ‘븟다’는 ㅅ불규칙 동사로서 어간 ‘븟-’ 다음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 ‘븟-’은 ‘-’으로 교체된다. ‘븟다〉붓다’(원순모음화).
과글이 주022)
과글이:
갑자기. 문득. 이 낱말은 중세 국어에서 ‘과글이, 과이, 과리, 과글리’ 등의 여러 표기 형태로 사용되었다.
리브며 주023)
리브며:
리-[蔽]+븟-[腫]+-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막혀 부으며. 언해문의 “목 리브며”에 해당하는 말이 한문 원문에는 喉閉(후폐)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목구멍 속에 종기가 나거나 목 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 감이 있는 병을 이른다. ‘리븟다’는 ‘리다’[蔽]와 ‘븟다’[腫]의 각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목 안히 브  주024)
목 안히 브 :
한문 원문에는 纏喉風(전후풍)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전후풍은 목젖이 붓는 급성 염증을 가리킨다.
에란 므레  져구맛  니플 조쳐 라 머그라
Ⓒ 언해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음증(陰症) 양증(陽症)의 병과, 찬 기운으로 인한 발열병(發熱病)을 하여 마음이 답답하며 가슴 속이 막혀 통하지 않고 걸린 듯하여 나쁜 독이 나가지 못하고 있을 때와, 사철 따라 유행하는 열이 많은 전염병과, 바람과 찬 기운으로 감기 들며, 여러 가지로 머리가 아프며, 차고 더움에 따라 마음이 답답하며, 배가 불러 올라 몹시 불룩해지고 부으며, 갑자기 목이 막혀 부으며 목젖이 붓는 병에는 찬물에 박하(薄荷)의 조그마한 한 잎을 〈자금단과〉 함께 갈아서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음(陰症) (陽症):질병의 변증(辨症)에서 음에 속하는 병증과 양에 속하는 병증. 부록의 ‘음증’, ‘양증’ 참조.
주002)
:-[冷]+-ㄴ(관형사형 어미). 찬.
주003)
발:발(發熱)+-ㅅ(사이시옷)+(病). 열이 많이 나는 병.
주004)
미:[心]+-이(주격 조사). 마음이.
주005)
가[胸]:가슴.
주006)
안히:안ㅎ[內]+-이(주격 조사). 안이. 속이. ‘안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07)
바가:‘마가’(막아)의 오각인 듯. 언해문의 “바가 걸인 야”에 해당하는 한문 원문이 壅滯(옹체)로 되어 있는데, 옹체의 뜻은 쌓이고 막혀 통하지 않고 걸리는 것을 가리키므로 여기서의 ‘바가’는 ‘마가’(막아)의 오각일 것으로 판단된다.
주008)
걸인:걸이-[滯]+-ㄴ(관형사형 어미). 걸린.
주009)
샤독(邪毒):나쁜 기운이 있는 독.
주010)
발티:발-[發]+-디(보조적 연결 어미). 발하지. 나가지.
주011)
적과:적[時]+-과(접속 조사). 때와.
주012)
시옛:시(四時)+-옛(처소 관형격 조사). 사철엣.
주013)
덥단:덥-[暑]+달-[熱]+-ㄴ(관형사형 어미). 덥고 달아오르는. 열이 몹시 나는. ‘덥달다’는 ‘덥다’[暑]와 ‘달다’[熱]의 각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주014)
시긧:시긔(時氣)+-ㅅ(사이시옷)+(病). 때에 따라 유행하는 상한병(傷寒病)이나 전염성 질환.
주015)
곳블:고ㅎ[鼻]+-ㅅ(사이시옷)+블[火]. 고뿔. 코에 불났다는 말로서 감기(感氣)를 이르는 고유어이다.
주016)
머리[頭風]:머리 아픈 것이 오랫동안 치유되지 않고 수시로 발작하는 증상.
주017)
알며:앓-[痛]+-며(대등적 연결 어미). 앓으며. 아프며.
주018)
:배[腹].
주019)
부러:붇-[脹]+-어(연결 어미). 불어나. ‘붇다’는 ㄷ불규칙 동사로서 어간 ‘붇-’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은 ‘불-’로 교체된다.
주020)
만(脹滿):배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속이 그득한 감이 있는 증상.
주021)
브며:븟-[腫]+-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부으며. 동사 ‘븟다’는 ㅅ불규칙 동사로서 어간 ‘븟-’ 다음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 ‘븟-’은 ‘-’으로 교체된다. ‘븟다〉붓다’(원순모음화).
주022)
과글이:갑자기. 문득. 이 낱말은 중세 국어에서 ‘과글이, 과이, 과리, 과글리’ 등의 여러 표기 형태로 사용되었다.
주023)
리브며:리-[蔽]+븟-[腫]+-으며(대등적 연결 어미). 막혀 부으며. 언해문의 “목 리브며”에 해당하는 말이 한문 원문에는 喉閉(후폐)로 나타나 있는데, 이는 목구멍 속에 종기가 나거나 목 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 감이 있는 병을 이른다. ‘리븟다’는 ‘리다’[蔽]와 ‘븟다’[腫]의 각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주024)
목 안히 브 :한문 원문에는 纏喉風(전후풍)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전후풍은 목젖이 붓는 급성 염증을 가리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