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신선태을자금단
  • 증상과 복용법
  • 증상과 복용법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과 복용법 16


隨手取應萬無一失
Ⓒ 저자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주001)
:
-[用]+-ㄴ(관형사형 어미). 쓴. 사용한.
조초 주002)
조초:
좇-[隨]+-오(부사 접미사). ~대로. 중세 국어에서 ‘조초’는 그 앞에 목적격 조사를 가진 경우에는 ‘따라’의 뜻으로 쓰이고, 그 밖의 경우에는 ‘대로’의 뜻으로 쓰였다.
즉재 답 주003)
답:
답(對答)-+-ㄹ(종속적 연결 어미). 대답하므로. 여기서 ‘답’은 약을 쓴 다음에 오는 반응을 말한다.
주004)
현:
몇.
버 도  번도 그르 주005)
그르:
그릇[失]. 잘못.
욀 주006)
욀:
외-[爲]+-ㄹ(관형사형 어미). 될.
줄 업스니라
Ⓒ 언해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사용하는 대로 즉시 반응이 오므로 몇 번을 사용해도 한 번도 잘못되는 수가 없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用]+-ㄴ(관형사형 어미). 쓴. 사용한.
주002)
조초:좇-[隨]+-오(부사 접미사). ~대로. 중세 국어에서 ‘조초’는 그 앞에 목적격 조사를 가진 경우에는 ‘따라’의 뜻으로 쓰이고, 그 밖의 경우에는 ‘대로’의 뜻으로 쓰였다.
주003)
답:답(對答)-+-ㄹ(종속적 연결 어미). 대답하므로. 여기서 ‘답’은 약을 쓴 다음에 오는 반응을 말한다.
주004)
현:몇.
주005)
그르:그릇[失]. 잘못.
주006)
욀:외-[爲]+-ㄹ(관형사형 어미). 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