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신선태을자금단
  • 처방의 구성과 제법
메뉴닫기 메뉴열기

처방의 구성과 제법


신선태을자금단:1ㄱ

神仙太乙紫金丹신션태을금단
陳自明 遂江李迅寶 皆名神仙追毒元 又名聖授丹 又名神仙解毒萬病元 大明玄洲道人涵虛子臞仙謂之玉樞丹 止謙道人王應䄎作今名 唐人謂之錠子藥
今按唐人凡作錠藥 皆謂之錠子藥 東人不知以此名爲錠子藥 可笑
山茨菰去皮淨焙二兩

신선태을자금단:1ㄴ

本草云 山慈菰根有小毒主癰腫瘡痿瘰癧結核等醋摩傅之 又剝人面皮除䵟䵳生山中濕地 一名金燈籠 一名鹿蹄草 葉似車前根如慈菰零陵間 又有團慈菰根似小蒜所主籅此畧同
臞仙云 山茨菰人皆不識以老鴉蒜爲之故藥不效其山茨菰者俗名金燈籠其葉似韭花似燈籠其色白上有黑點結子三稜二月長苗三月開

신선태을자금단:2ㄱ

花四月葉枯空址得之其茨菰上有白毛包褁人不可識可於有苗時記其地至秋採之此藥中其山茨菰不眞則藥不效
今按老鴉蒜鄕名가마귀물옷 多生山野間卽今民家烹食者以其根小者相似而漢人誤用之已失矣 今 本國醫家更以馬蒜用之尤可笑也 馬蒜者 葉大如帶長可一二尺 根大如拳小者如鴉頭二

신선태을자금단:2ㄴ

三月長苗至六月葉枯七月開紅花高數尺與臞仙所云者絶不相類世醫非但用以劑藥以誤一時而已又筆之於書救急簡易方山慈菰下諺書물옷 以誤後人莫有辨之者甚可嘆也余於嘗藥之暇披閱本草及外科精要活人心方等書知其舛僞搜索山野而得之乃卽今田野兒所謂鵲蒜가마 而採以生食者甚類小蒜而

신선태을자금단:3ㄱ

味不辣有粗皮和毛褁數重自長苗至開花結子葉枯毛包一如臞仙之言然後依方取之劑藥以試隨證輒驗於是自信余不妄乃始傳之也然本草云葉如車前根如慈菰則與余所得根如小蒜葉如韭者異乃知臞仙所云者與余同而亦爲本草所謂零陵團茨菰無疑矣但其花上黑點或有或無亦豈風土之異乎姑待博物者辨之

신선태을자금단:3ㄴ

千金子一名續隨子去赧硏去油取霜秤一兩〇斗門方云去殼硏以紙褁用物壓出油重硏末
本草云 味辛溫有毒主婦人血結月閉癥瘕痃癖瘯血蠱毒鬼疰心腹痛冷氣脹滿利大小腸除痰飮積聚下惡滯物莖中白汁剝人面皮去䵟䵳處處有之苗如大戟採無時
今按一名聯步一名菩薩豆花亦類大戟初生一莖莖端生葉葉中

신선태을자금단:4ㄱ

復出數莖相續故云續隨子秋種冬長春秀夏實 故又名拒冬然都下氣寒多不活 嶺南湖南海邊有之扳實甚少得之甚難余試秋種數十粒盆養之 冬月多凍死 又蠐螬好食其根須覓殲之收入土宇得活者僅六七條葱翠可愛 至秋收子亦尠一兩去殼重不過六七錢去油則僅三錢一劑所入當用實者三兩五錢去殼油乃得一兩

신선태을자금단:4ㄴ

重去油甚難去殼硏褁以紙隔以生布絞余試以數法 又試古人紙褁物壓 皆不及此
文蛤一名五倍子搥破洗焙淨秤三兩
本草云 味苦酸平無毒療齒宣疳䘌肺藏風毒流溢皮膚作風溫癬瘡瘙痒膿水五痔下血不止小兒面鼻疳瘡九月採暴乾生津液者最佳
今按一名百蟲倉生膚木鄕名븕나무 葉上大者如拳揀取色靑至

신선태을자금단:5ㄱ

熟而黃勿用痿黑者然輕甚當用生者一斗餘可得淨秤三兩重須趂一二次經霜後多採收之
紅牙大戟去蘆洗淨焙乾秤一兩半
本草云 味苦甘大寒有小毒主蠱毒十二水腫滿急痛積聚中風皮膚疼痛吐逆頸㬵癰腫頭痛發汗利大小腸藥性論云味苦辛有大毒破新陳下惡血癖塊腹內雷鳴通月水善治瘀血能墮胎孕瀉毒芽油天行黃病

신선태을자금단:5ㄴ

□搥破癥結十二月採根陰乾□經云二八月採根
今按爾雅一名蕎鉅邛治癮疹風及風毒脚腫余試斬臘雪取之軟牙紅嫩可愛八月採者亦紅牙然不如臘月者之良二月似晩今藥丁自便於有苗時採得之易不依月取是以藥不效甚可嘆也凡使揀去附生者勿用
麝香三錢別硏

신선태을자금단:6ㄱ

本草云 味辛溫無毒主辟惡氣殺鬼精物溫瘧蠱毒癎痓去三蟲蛇毒療諸凶邪鬼氣中惡心腹暴痛脹急痞滿風毒婦人産難墮胎去面䵳目中膚翳久服除邪不夢寤魔寐春分取之生者益良味性論云除百邪魅鬼疰心痛小兒驚癎客忤鎭心安神又殺鬼毒蠱氣瘧疾催生墮胎殺臟腑蟲制蛇蠶咬沙□溪瘴毒此物極難得之蛮人採得以一子香刮取皮膜

신선태을자금단:6ㄴ

雜內餘物褁以西足膝皮共作五子而土人買得又復分襙一爲二三其僞可知 惟生得之乃當全眞耳僞者 不如不用 凡使並用子日開之 不用苦細硏篩用之也
今按漢兒分襙之僞久矣 余嘗赴
燕京 收買於來王㺚子部 乃是眞者然亦不如 本國産者之良山石嶮岨處處有之性不驚奔見則必獲卽以細繩堅結臍根割取之酒

신선태을자금단:7ㄱ

浸三日堀抗二尺許泥塗其內熾桑柴去火乘熱橫十字木於坑口懸繫垂下以瓦盆覆之經宿待乾取出以蛇蛻皮褁藏之香殊勝西北界尤多産香有三種第一生香麝子夏食蛇蟲多至寒則香滿入春急痛自以瓜剔出之着屎溺中覆之皆有常處人有遇得乃至一斗五升也用此香乃勝殺取者落處遠近草木皆焦黃此極難得其

신선태을자금단:7ㄴ

次臍香乃捕得殺取者又其次心結香麝彼大獸捕逐驚畏失心狂走顚墜崖谷而斃人有得之破心見血流出作塊者是也此香乾燥不可用
右除千金子麝香外三味爲細末却入硏藥令勻用糯米煮濃飯爲糊於木臼內杵千餘下分爲四十粒合時宜用端午七夕重陽日或遇天德月德日亦佳要在淨室焚香至誠修製

신선태을자금단:8ㄱ

母令婦人雞犬見之
今按 주001)
지금까지 저자 자신의 경험과 지식으로 기술한 ‘今按’(이제 보니) 부분은 매행 두 자를 띄우고 쓰는 13자 배자를 하였는데, 여기서는 한 자 들여서 편집하였다.
合末重七兩八錢然爲飛羅所欠不過七兩五錢每劑可用糯米二合淨淘作濃飯重六兩六錢合糊重十四兩强杵後重十四兩三四錢盖擣時或粘着乾燥則添水故也 陳自明臞仙王應䄎皆以一劑分爲四十粒余恐人不度氣之强弱老幼槩服一粒也今分爲八十粒王應䄎所謂每服半粒亦

신선태을자금단:8ㄴ

此意也 故余之一粒當古之半粒陰乾一粒重一錢一劑八兩此其大畧也 今之醫家旣誤用山茨菰復以雄黃朱砂添入以亂其眞 又與本方銖兩頓殊 故藥專不效 其無稽甚矣 噫 以僞亂眞以誤人者 如柳子厚之茯神多矣 豈但如此而已耶

別具湯使于後 이후 각별히 주002)
각별히
유달리. 특별히. 15세기 국어에서 형용사 ‘각별-’가 쓰였고 이의 부사로서 ‘각별히’가 쓰였다. 15세기에는 한자를 써서 ‘各別히’로 쓰이다가 그 이후로는 한글로 ‘각별이’ ‘각벼리’로 표기되었다.
므레 주003)
므레
믈[水]+-에(처격 조사). 물에. ‘믈’은 원순모음화 현상에 의거 오늘날의 ‘물’로 되었다.
프러 주004)
프러
플-[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원순모음화).
주005)
-[用]+-우-(삽입 모음)+-ㄹ(관형사형 어미). 쓸. 사용하는. 중세 국어에서 용언의 선어말 어미로 퍽 생산적이었던 삽입 모음 ‘-오/우-’에 대한 문법적인 실체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우-’가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낸다든지, 관형사형 어미와 결합되면 그 뒤의 명사가 관형사형의 목적어가 된다든지, 1인칭 주어와의 호응 관계를 나타낸다든지 하는 주장들이 있다. 삽입 모음 ‘-오/우-’는 근대 국어에 와서 쇠퇴하였고 그 이후 현대 국어에 와서는 더 이상 삽입 모음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현대어로 역주할 때 삽입 모음은 배제된다. 그리고 훈민정음 초기에 관형사형 어미 ‘-ㄹ’에는 다음에 오는 말의 어두 경음화 표시로 ‘ㆆ’이 덧붙어 ‘-ᇙ’로 표기되었다. 즉 훈민정음 초기의 표기법이라면 ‘’은 ‘’로 표기된다.
법을 초 주006)
초
갖추. ‘초’는 중세 국어의 동사 ‘초다’[全備]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인 경우이다. 이처럼 중세 국어에서 부사와 동사 어간이 일치된 예들이 제법 있다. ‘외’[更], ‘밋’[及], ‘하’[多], ‘일’[早], ‘바’[直], ‘그르’[誤], ‘브르’[飽] ‘’[如] 등을 들 수 있다.
내노라 주007)
내노라
내-[出]+-노라(1인칭 평서형 어미). 낸다.
Ⓒ 언해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이후로는 특별히 〈자금단을〉 물에 풀어서 사용하는 법을 갖추어 낸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금까지 저자 자신의 경험과 지식으로 기술한 ‘今按’(이제 보니) 부분은 매행 두 자를 띄우고 쓰는 13자 배자를 하였는데, 여기서는 한 자 들여서 편집하였다.
주002)
각별히유달리. 특별히. 15세기 국어에서 형용사 ‘각별-’가 쓰였고 이의 부사로서 ‘각별히’가 쓰였다. 15세기에는 한자를 써서 ‘各別히’로 쓰이다가 그 이후로는 한글로 ‘각별이’ ‘각벼리’로 표기되었다.
주003)
므레믈[水]+-에(처격 조사). 물에. ‘믈’은 원순모음화 현상에 의거 오늘날의 ‘물’로 되었다.
주004)
프러플-[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원순모음화).
주005)
-[用]+-우-(삽입 모음)+-ㄹ(관형사형 어미). 쓸. 사용하는. 중세 국어에서 용언의 선어말 어미로 퍽 생산적이었던 삽입 모음 ‘-오/우-’에 대한 문법적인 실체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오/우-’가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낸다든지, 관형사형 어미와 결합되면 그 뒤의 명사가 관형사형의 목적어가 된다든지, 1인칭 주어와의 호응 관계를 나타낸다든지 하는 주장들이 있다. 삽입 모음 ‘-오/우-’는 근대 국어에 와서 쇠퇴하였고 그 이후 현대 국어에 와서는 더 이상 삽입 모음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므로 현대어로 역주할 때 삽입 모음은 배제된다. 그리고 훈민정음 초기에 관형사형 어미 ‘-ㄹ’에는 다음에 오는 말의 어두 경음화 표시로 ‘ㆆ’이 덧붙어 ‘-ᇙ’로 표기되었다. 즉 훈민정음 초기의 표기법이라면 ‘’은 ‘’로 표기된다.
주006)
초갖추. ‘초’는 중세 국어의 동사 ‘초다’[全備]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인 경우이다. 이처럼 중세 국어에서 부사와 동사 어간이 일치된 예들이 제법 있다. ‘외’[更], ‘밋’[及], ‘하’[多], ‘일’[早], ‘바’[直], ‘그르’[誤], ‘브르’[飽] ‘’[如] 등을 들 수 있다.
주007)
내노라내-[出]+-노라(1인칭 평서형 어미). 낸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