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32. 제견교(三十二猘犬咬 범견교부(凡犬咬附))
메뉴닫기 메뉴열기

32. 제견교(三十二猘犬咬 범견교부(凡犬咬附))


猘犬咬第三十二凡犬咬附
千金方
凡春末夏初犬多發狂必誡小弱持杖以預防之防而不免者莫出於灸百日之中一日不闕者方得免難

大땡凡뼘 주001)
대범(大凡)디:
무릇.
디   주002)
:
-[終] + (명사 접미사). 마침. 끝.

하66ㄱ

녀 처메 가히 주003)
가히:
개[犬].
미치니 주004)
미치니:
미치니[狂].
모로매 주005)
모로매:
모름지기.
아 警誡갱야 막다히 주006)
막다히:
막대기.
 가져 미리 마고 주007)
마고:
막-[防] + -오(연결어미). 막되.
막다각 주008)
막다각:
막-[防] + -다가(연결어미) + -ㄱ(강세 첨사). 막다가.
免면티 몯닌 주009)
몯닌:
못한 사람은.
메셔 주010)
메셔:
[灸] + -에셔(비교격 조사). 뜸보다.
더은 주011)
더은:
더으-[益] + -ㄴ(관형사형 어미). 더한. 더 나은. 더 좋은.
거시 업스니 一百 낤 예 도 闕티 주012)
궐(闕)티:
闕- + -디(보조적 연결어미). 궐하지. 빠뜨리지.
아니야 難난애 버서 나리라

무릇 봄이 끝날 때와 여름이 시작될 때에 개가 많이 미치는데, 모름지기 아이를 살피면서 지키고 막대기를 가지고 미리 막되 막다가 개에게 물림을 당한 사람은 뜸을 뜨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없으니 백일 동안 하루도 빠뜨리지 않아야 고통에서 벗어날 것이다.

治猘犬毒 頭髮猬皮各等分右燒灰水和飮一杯口噤者折齒內藥

미친 가 毒독 고툐 머리터럭과 고솜도 주013)
고솜도:
고솜돝[猬] + -(관형격 조사). 고슴도치의.
가 주014)
가:
갗[皮] + -(목적격 조사). 가죽을.
게 호아 두 것 론  므레 프러  잔 머규 이비 주015)
이비:
입[口]이.
마구 므니란 주016)
마구 므니란:
마구믈-[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란(보조사). (입을) 다문 사람은.
니 주017)
니:
니[齒] + -(목적격 조사). 이를.
것고 주018)
것고:
-[折] + -고(연결어미). 꺾고.
藥약 녀흐라

미친 개에게 물린 독을 고치려면 머리털과 고슴도치의 가죽을 똑같게 나누어 두 가지를 불살라 얻은 재를 물에 풀어 한 잔을 먹이되 입을 꽉 다물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를 꺾고 약을 넣으라.

又方
擣地楡絞取汁塗瘡無生者可取乾者以水煮汁飮之亦可爲末服方寸匕

하66ㄴ

日三兼傅上過百日止

地띵楡 주019)
지유(地楡):
부록 참조.
허 주020)
허:
-[擣] + -어(연결어미). 찧어. ‘딯다’가 여기서는 ‘다’로 경음화된 표기를 하고 있다.
汁집을  헌  로 生니 주021)
생(生)니:
생 것이.
업거든 닐 주022)
닐:
마른 것을.
므레 글혀 汁집을 머기며   주023)
:
가루를.
라 方寸촌만 수를 머구  세 적곰 고 우희 조쳐 로 一百 나리 디나거든 말라

또 지유를 찧어 즙을 짜서 상처입은 데에 바르되 생것이 없거든 마른 것을 물에 끓여 즙을 먹이며 또 가루를 만들어 한 술 정도 먹되 하루 세 번씩 먹고 앞에서처럼 바르되 백일이 지나거든 하지 말라.

又方
擣韭絞取汁飮一升日三瘡愈止亦治愈後復發者

韭菜 주024)
구채(韭菜):
부록의 ‘염교’ 참조.
 허 汁집을   되 머구  세 적곰 야 헌  됴커든 말라  됴 後에 다시 發닐 주025)
발(發)닐:
발생한 사람을.
고티니라

또 부추를 찧어 즙을 짜서 한 되를 먹되 하루 세 번씩 먹어 상처입은 데가 좋거든 먹지 말라. 또 좋아진 후에 다시 발생한 사람도 고친다.

又方
刮虎牙若骨服方寸匕

 버믜 어미어나 주026)
어미어나:
엄[牙] + -이거나(보조사). 어금니이거나.
어나 주027)
어나:
[骨] + -ㅣ거나 (보조사). 뼈이거나.
가 주028)
가:
-[刮] + -아(연결어미). 갉아.
方寸촌만 수를 머그라

또 범의 어금니나 뼈를 갉아 한 술을 먹으라.

又方
刮狼牙或虎骨末服

하67ㄱ

已發狂如猘犬者服卽愈

일희 주029)
일희:
일히[狼] + -의(관형격 조사). 이리의. ‘일히’와 ‘일’ (하 64ㄱ)가 함께 쓰이고 있다.
어미어나 버믜 어나 가  머그라 마 미쳐 모딘 가히 니도 머그면 즉재 됻니라

또 이리의 어금니나 범의 뼈를 갉아 가루를 먹으라. 이미 미쳐서 사나운 개 같은 경우도 먹으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燒虎骨傅瘡及熨又微熬杏仁擣硏取汁服之良又取燈盞油灌瘡口此皆禁酒猪肉魚生菜

 버믜 를 라 헌  브티며 지지라 주030)
지지라:
지지-[熨] + -라(명령법 어미). (뜨거운 것으로) 지지라.
곳  주031)
곳 :
살구씨[杏仁]를.
간 봇가 허 라 汁집을 머구미 됴니라  燈盞잔앳 기르믈 헌  브라 주032)
브라:
부으라.
이 다 술와 도 고기와 믌고기와 生菜 禁금止징홀디니라

또 범의 뼈를 불살라 상처입은 데에 붙이며 지지라. 또 살구씨를 잠깐 볶아 찧어서 갈아 만든 즙을 먹음이 좋다. 또 등잔에 있는 기름을 상처입은 데에 부으라. 이 때는 모두 술과 돼지고기와 물고기와 생나물을 금해야 한다.

又方
用韭根故梳二枚以水二升煮取一升頓服

 韭

하67ㄴ

菜ㅅ불휘와  주033)
:
-[故] + -(관형사형 어미). 낡은.
주034)
빗:
빗[梳].
두 나 믈 두 되  되 외에 글혀 다 머그라

또 부추의 뿌리와 낡은 빗 두 낱을 물 두 되가 한 되 되도록 끓여 다 먹으라.

又方
桃東南枝白皮一握水二升煮取一升分二服吐出犬子

복화 주035)
복셩화:
복숭아.
나모 東南남녁 가지  주036)
것:
겇[皮]. 껍질.
우후믈 주037)
우후믈:
우훔[握] + -을(목적격 조사). 움큼을.
믈 두 되  되 외에 글혀 두 저게 주038)
두 저게:
두[二] + 적[時] + -에(처격조사). 두 번에.
호아 머그면 강아질 吐통니라

또 복숭아 나무 동남쪽 가지의 흰 껍질 한 움큼을 물 두 되가 한 되 되도록 끓여 두 번에 나누어 먹으면 강아지를 토한다.(‘개의 독을 토한다’는 뜻이다.)

又方
蝦蟆灰粥飮服之

두터비 주039)
두터비:
두꺼비.
론  粥쥭 므레 머그라

또 두꺼비를 불사른 재를 죽물에 타서 먹으라.

又方
梅子末酒服之

 梅花황ㅅ  주040)
:
[種]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씨의 가루를.
수레 머그라

또 매화씨의 가루를 술에 타서 먹으라.

葛氏肘後方
療猘犬咬人仍殺所咬犬取腦傅之後不復發

미친 가히 사 므러든 주041)
므러든:
믈-[咬] + -거든(연결어미). 물거든.
고티고 믄 가히 주겨 骨

하68ㄱ

髓
주042)
골수(骨髓):
뼈의 중심부인 골강에 가득 차 있는 결체질의 물질. 뼛골.
 내야 브티면 後에 다시 發티 아니니라

미친 개가 사람을 물거든 고치고 물었던 개를 죽여 골수를 내어서 붙이면 후에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

又方
豆醬淸塗之日三四

醬ㅅ 므를 주043)
장(醬)ㅅ 므를:
장물을. 간장을.
로  서너 적곰 라

또 간장을 바르되 하루 서너 번씩 바르라.

狂犬囓人蛇脯一枚去頭擣末服五分匕日三

미친 가히 사 므러든 얌 주044)
얌:
뱀.
니  나 머리 앗고 디허  라 五分분 수를 주045)
수를:
술[匙] + -을(목적격 조사). 술을. ‘술’은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를 가리킨다.
머고  세 적곰 라

미친 개가 사람을 물거든 뱀 말린 것 한 낱을 머리 제거하고 찧어 가루를 만들어서 다섯 푼을 한 술에 먹되 하루 세 번씩 먹으라.

治凡犬囓人熬杏仁五合令黑碎硏成膏傅之

녯 주046)
녯 가히:
녜(常例) + -ㅅ(관형격 조사) + 가히[犬] + ø(주격조사). 보통의 개가.
가히 사 므러든 고툐 곳  닷 호블 주047)
닷 호블:
닷[五] + 홉[合] + -을(목적격 조사). 다섯 홉을.
봇가 검게 야 아 주048)
아:
-[碎] + -아(연결어미). 부수어. 빻아. 이 동사의 기본형은 훈민정음 초기부터 ‘다’와 ‘다’가 혼용되었고, 이에 따라 이 문헌에서도 혼용되고 있다. 상권(19ㄱ)에는 ‘아’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라 주049)
골:
고(膏) + -ㄹ(목적격 조사). 고를. ‘고(膏)’는 식물이나 과일 따위를 곤 즙을 말한다.
라 브티라

보통의 개가 사람을 물거든 이를 고치되 살구씨 다섯 홉을 검게 볶아서 빻고 갈아 고(膏)를 만들어 붙이라.

又方
取竃中熱灰以粉瘡中帛裹繫之

브븻 주050)
브븻:
브[廚]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부엌에 있는.
더운  헌  코 주051)
코:
-[撒] + -고(연결어미). 뿌리고.
기브

하68ㄴ

주052)
기브로:
깁[帛] + -으로(도구격 조사). 비단으로.
라 주053)
매라:
-[包] + -아(연결어미) + 매-[繫] + -라(명령법 어미). 싸매라.

또 부엌에 있는 뜨거운 재를 헌데에 뿌리고 비단으로 싸매라.

又方
鼠屎爲末以臘月猪膏和傅之

 쥐  라 臘랍月ㅅ 도 주054)
납월(臘月)ㅅ 도:
臘月 + -ㅅ(관형격 조사) + 돝[猪] + -(관형격 조사).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르메 라 브티라

또 쥐똥을 가루로 만들어 섣달에 잡은 돼지의 기름에 개어 붙이라.

外臺云用鼠一枚猪膏煎傅之

쥐  나 도 기르메 煎젼야 주055)
전(煎)야:
달여.
브티라

쥐 한 낱을 돼지의 기름에 달여 붙이라.

又方
飮生薑汁一升

 生薑 汁집  되 마시라

또 생강즙 한 되를 마시라.

又方
燒犬尾爲末傅瘡日三

 가 릴 주056)
릴:
꼬리를.
라  라 헌  브툐  세 적곰 라

또 개꼬리를 불살라 가루로 만들어서 상처입은 데에 붙이되 하루 세 번씩 붙이라.

又方
以頭垢少少內瘡中

 머리  주057)
:
때[垢]를.
젹젹 주058)
젹젹:
조금씩.
헌  녀흐라

또 (사람의) 머리에 있는 때를 조금씩 상처난 데에 넣으라.

又方
炙蠟以灌瘡中

미 주059)
미:
밀[蠟] + -(목적격 조사). 밀을.
브레 야 주060)
야:
-[熏] + -아(연결어미). 쬐어.
헌  브라

또 밀을 불에 쬐어 녹여 상처난 데에 부으라.

又方
以熱牛屎塗之佳

 더운 

하69ㄱ

로 됴니라

또 더운 쇠똥을 바르면 좋다.

又方
以苦酒和灰塗瘡中

 수레 주061)
 수레:
쓴 술에. 쓴 술은 독한 술을 말한다.
 프러 헌  라

또 쓴 술에 재를 풀어 상처난 데에 바르라.

聖惠方
治猘犬咬毒氣入腹心頭悶亂腹內㽲痛 桃白皮 三兩 甘草半兩炙微赤剉桂心一兩杏仁三十枚湯浸去皮尖雙麩炒微黃硏成膏右細剉以水三大盞煎取一盞去滓入杏仁膏攪均分爲二服良久再服

미친 가히 므러 毒독氣킝 예 드러 미 닶가와 주062)
닶가와:
닶갑-[悶] + -아(연결어미). 답답하여.
어즈럽고  안히 알거든 고툐 복셩화 나모  것 석 兩과 甘감草 半반 兩

하69ㄴ

 구우 주063)
구우:
굽-[炙] + -우(연결어미). 굽되.
져기 븕게 야 사로니와 주064)
사로니와:
썬 것과.
桂心심 주065)
계심(桂心):
부록 참조.
 兩과 곳  셜흔 나 더운 므레 마 주066)
마:
-[浸] + -아(연결어미). 잠가. (물에) 불려.
거플와 로 주067)
로:
롣-[尖] + -(관형사형 어미). 날카로운. 뾰족한.
귿과 주068)
귿과:
끝과.
어우러 주069)
어우러:
어우러[雙仁] + -ㄹ(목적격 조사). 쌍인을. ‘쌍인’은 두쪽으로 된 씨를 말한다.
앗고 기우레 주070)
기우레:
기울[麩] + -에(처격조사). 밀기울에.
봇고 져기 노게 야 라 고 라 웃 세 가짓 거슬 리 주071)
리:
가늘게.
사라 믈 세 큰 자 달혀  자니 외에 야 즛의 주072)
즛의:
찌꺼기.
앗고 곳 로 론 고 녀허 섯거 고게 야 호아 두 服뽁 라 오라거든 두 번 머그라

미친 개가 물어 독한 기운이 배에 들어와 가슴이 답답하여 어지럽고 배 속이 아프거든 이를 고치되 복숭아 나무의 흰 껍질 석 냥과 감초 반 냥을 굽되 조금 붉게 하여 썬 것과 계심 한 냥과, 살구씨 서른 낱을 뜨거운 물에 불려 꺼풀과 뾰족한 끝과 두 쪽으로 된 씨를 제거하고 밀기울에 볶되 조금 노랗게 하여 갈아 고를 만들어 놓고, 위의 세 가지 것(복숭아 나무 껍질, 감초, 계심)을 가늘게 썰어 물 세 큰 잔으로 달여서 한 잔이 되도록 하고 찌꺼기를 제거해 낸 다음 살구씨로 만든 고를 넣어 섞고 고르게 하여 두 번 복용할 분량으로 나누어 만들고 오래되거든 두 번 먹으라.

又方
治猘犬咬人疼痛不止 豉一合雄鼠糞 杏仁 韭根各一兩右相和爛硏傅被咬處良

 미친 가히 사 므러 알포미 주073)
알포미:
알-[痛] + -옴(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아픔이.
긋디 아니커든 고툐 젼국 주074)
젼국:
부록 참조.
 홉과 수쥐 과 곳 와 韭菜ㅅ 불휘 各

하70ㄱ

각  兩 서르 섯거 니기 라 믄 해 브튜미 됴니라

또 미친 개가 사람을 물어 아픔이 그치지 않거든 고치되 약전국 한 홉과 숫쥐똥과 살구씨와 부추의 뿌리 각각 한 냥을 서로 섞어 무르도록 갈아서 물린 곳에 붙임이 좋다.

又方
治猘犬囓重發用乾薑末以水調下二錢良

 미친 가히 므러 다시 發거든 주075)
발(發)거든:
발생하거든. 나타나거든.
고툐 乾간薑ㅅ 므레 두 도 프러 머구미 됴니라

또 미친 개가 물어 독이 다시 나타나거든 이를 고치되 마른 생강의 가루 두 돈을 물에 풀어 먹음이 좋다.

又方
狂犬咬毒入心悶絶不識人取黑豆煮汁服之甚良

 미친 가히 므론 주076)
므론:
믈-[咬]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문.
毒독이 매 드러 닶가와 사 모거든 거믄 주077)
:
[小豆]. 팥.
글횬 주078)
글횬:
끓인.
汁집을 머구미 주079)
:
가장.
됴니라

또 미친 개에게 물린 독이 가슴에 들어서 답답하고 사람을 알지 못하거든 검은 팥을 끓인 즙을 먹음이 가장 좋다.

急救方
治風狗咬此毒若不急療必致殺人至甚可畏被咬之時便用水洗及用飯擦

하70ㄴ

倉卒無藥且用生葱連白不以多少爛硏先塗傷處然後服藥被咬之人頂心之中有一紅髮卽當急去服藥效快急用斑猫七箇去頭足翅硏爲細末溫酒調服其毒必從小便中出可將穢桶盛淸水令患人尿小便於內停半日見小便中濁氣凝結如狗形狀則毒己出如不見狗形須服七次方可如大小便俱澁不下却用火麻燒

하71ㄱ

灰存性同沒藥末茶少許用溫酒調服引導其毒卽下

미친 가히 믄  고툐 이 毒독氣킝 時急급히 고티디 아니면 덛더디 주080)
덛더디:
떳떳이. 필히.
사 죽게 니 至징極끅히 므여우니 주081)
므여우니:
므엽-[畏] + -으니(연결어미). 무서우니.
믈인 주082)
믈인:
물린.
저긔 즉재 믈로 싯고 바 주083)
바:
밥[飯] + -(연결어미). 밥을.
츠라 주084)
츠라:
문지르라.
時씽急급야 藥약이 업거든 生 파   조닐 하거나 주085)
하거나:
많거나. 많든지.
젹거나 니기 라 몬져 헌 해 브틴 後에 藥약 머그라 믈인 사 머릿 바깃 주086)
바깃:
바기[頂] + -ㅅ(관형격 조사). 정수리의.
가온  블근 터러기 주087)
터러기:
터럭[毛] + -이(주격조사). 털이.
잇거든 즉재 리 혀 주088)
혀:
빼어.
리면 藥약 머곤 効驗이 훤니 주089)
훤니:
훤하니. 뚜렷하니.
리 斑반猫 주090)
반묘(斑猫):
부록 참조.
닐굽 나 머리와 발와 개와 아 리고 아  주091)
:
-[細] + -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고운.
이 외에 야  수레 프러 머그면 그 毒독氣킝ㅣ 小便뼌에 조차 주092)
조차:
좇-[從] + -아(연결어미). 좇아. 따라.
나니 더러

하71ㄴ

운 桶애  므를 담고 病人로 그긔 주093)
그긔:
거기에.
小便뼌 누워 주094)
누워:
누-[泄] + -우-(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대소변을) 누게 해서.
나잘만 주095)
나잘만:
나잘[半日] + -만(보조사). 한나절만.
두면 小便뼌ㅅ 가온 흐린 氣킝分분이 얼의유 주096)
얼의유:
엉기되.
가 골 주097)
가골:
가히[犬] + -(관형격 조사) + 골[形]. 개의 모양.
거든 보면 毒독氣킝 마 나고 가  주098)
:
(樣姿) + -(목적격 조사). 모양을. 모습을.
보디 몯거든 모로매 닐굽 저글 머거 주099)
머거:
먹-[食] + -어(연결어미). 먹어야.
리라 大땡小便뼌이 다 구더 뵈디 아니커든 火황麻망 주100)
화마(火麻):
삼. 부록 참조.
 로 氣킝分분 잇게 야 沒藥약 주101)
몰약(沒藥):
부록 참조.
ㅅ와 차 져고매 주102)
져고매:
조금만.
조쳐  수레 프러 머그면 그 毒독氣킝 주103)
혀:
혀-[引] + -어(연결어미). 끌어내어.
즉재 리니라

미친 개에게 물린 데를 고치되 이 독한 기운을 재빨리 고치지 아니하면 필히 사람을 죽게 하므로 지극히 무서운 것이니 물린 즉시 물로 씻고 밥으로 문지르라. 다급하고 약이 없거든 생파의 흰 밑동 부분을 많든지 적든지 무르게 갈아서 먼저 물린 곳에 붙인 후에 약을 먹으라. 물린 사람의 머리 정수리 가운데에 한 붉은 털이 있거든 즉시 빨리 뽑아 버리면 약을 먹은 효험이 뚜렷해진다. 가뢰 일곱 낱을 머리와 발과 날개를 떼어내고 빻아 고운 가루가 되게 해서 따뜻한 술에 풀어 먹으면 그 독한 기운이 소변에 따라 나오나니 더러운 통에 맑은 물을 담고 아픈 사람에게 거기에 소변을 누게 해서 한 나절만 두었는데 소변 가운데 흐린 기운이 엉겨서 개의 모양 같은 것을 보이면 독한 기운이 이미 나온 것이고 개의 모습을 보지 못하였으면 모름지기 일곱 번을 더 먹어야 할 것이다. 대소변이 다 굳어 나오지 않거든 삼을 불사르되 그 기운이 있도록 해서 몰약 가루와 차를 조금만 더하여 따뜻한 술에 풀어 먹으면 그 독한 기운을 끌어내 즉시 내려오게 한다.

又方
急用斑猫七箇去頭足翅爲末夏閒豆豉四十九粒去皮滴水硏爲膏和斑猫末爲丸如桐子大盡作一服盡下餘依前法

하72ㄱ

如未見狗形亦須服至七次乃獲全安

 리 斑반猫 닐굽 나 머리와 발와 개 아 리고  라 녀 젼국 마 아홉 나 거플 앗고 믈 츳들여 주104)
츳들여:
츳듣-[滴]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떨어뜨려.
라 주105)
골:
고(膏)를.
라 斑반猫ㅅ  섯거 丸 주106)
환(丸):
알약.
로 梧桐子 주107)
오동자(梧桐子):
벽오동나무씨. 부록 참조.
만 야 다  服뽁 라 다 먹고 녀 주108)
녀:
녀[他] + -ㅅ(관형격 조사). 다른.
일란 아 주109)
아:
아[前] + -ㅅ(관형격 조사). 전의.
法법티 호 가  보디 몯거든  모로매 닐굽 저글 머거 便뼌安리라

또 빨리 가뢰 일곱 낱을 머리와 발과 날개를 떼어 버리고 가루로 만들어 여름의 약전국 마흔 아홉 낱을 껍질을 제거하고 물을 떨어뜨려 갈아서 고를 만들어 가뢰의 가루와 섞어서 알약을 만들되 벽오동나무씨만 하게 해서 다 한 번 먹을 분량을 만들어 다 먹고 다른 일일랑 전의 방법과 같이 하되 개의 모습을 보지 못하면 또 모름지기 일곱 번을 먹어야 편안할 것이다.

又方
用生麻油硏豆豉爲膏彈子大常常揩拭所咬傷處却掐開看豉丸內若有狗毛茸茸此毒已出豆揩至無茸毛方痊可

하72ㄴ

 麻油
주110)
생마유(生麻油):
날삼의 씨로 짠 기름. 『구급간이방』(6:41ㄱ)에는 ‘ 기름’으로 주를 달아 놓았다.
젼구 주111)
젼구:
젼국[豆豉] + -(목적격 조사). 약전국을.
라 골 로 탄 주112)
탄:
탄(彈子) + -ㅅ(관형격 조사). 탄자의. ‘탄자’는 엽총 따위에 쓰는 잘게 만든 총알을 말한다.
주113)
킈:
크기.
만 야  주114)
:
늘. 항상.
믄 해 처 슷고 주115)
슷고:
슷-[擦] + -고(연결어미). 문지르고. 스치고. 비비고.
혀 주116)
혀:
-[剖] + -혀-(강세 접미사) + -어(연결어미). 깨뜨려.
젼국 丸 소 주117)
소:
솝[內] + -(목적격 조사). 속을.
보 가 터리 주118)
터리:
털이[毛]. 이 문헌에서는 ‘毛’에 대해서 ‘털’과 ‘터럭’의 두 가지 형태로 대역하고 있다.
솜소미 주119)
솜소미:
더부룩하게. 촘촘히.
이시면 毒독氣킝 마 나니 젼구로 추 솜솜 터리 업도록 야 됻니라

또 생마유에 약전국을 갈아서 고(膏)를 만들되 탄알 크기만하게 해서 항상 물린 곳에 문질러 비비고 알약으로 된 약전국을 깨뜨려 그 속을 보는데 개의 털이 촘촘히 있으면 독한 기운이 이미 나온 것이니 약전국으로 문지르되 촘촘한 털이 없도록 하여야 좋아진다.

又方
用艾於傷處灸一百壯日過得安終身禁食狗肉若食蠶蛹此毒亦發不可救療三年之內亦須忌食一切毒物及房事勞倦常食杏仁以去其毒

그로 주120)
그로:
[艾] + -으로(도구격 조사). 쑥으로.
헌 해 一百 壯 주121)
장(壯):
. 이는 뜸질의 횟수를 세는 말이다.
주122)
:
-[灸] + -어(연결어미). (뜸을) 떠서.
리 주123)
리:
[一日] + -이(주격조사). 하루가. 명사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말음 ‘’가 탈락하여 ‘’로 교체되고, ‘ㄹ’이 조사에 첨가하여 ‘-리’가 되었다. 이와 같이 ‘’는 특수한 교체를 하는 명사이다.
디나 주124)
디나:
디나-[過] + -아(연결어미). 지나야.
便뼌安리니 모미 록 주125)
록:
-[終] + -록(연결어미). 마치도록. 다하도록.
가 고기 먹디 말라 다가 누엣본도기 주126)
누엣본도기:
누에[蠶] + -ㅅ(관형격 조사) + 본도기[蛹]. 누에의 번데기.
 머그면 이 毒독氣킝

하73ㄱ

 發야 고티디 몯니 三삼年년 內뇡예  모로매 믈읫 有毒독 것 머굼과 房事 주127)
방사(房事):
남녀가 성적으로 관계를 맺는 일.
잇부믈 주128)
잇부믈:
잇브-[勞]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피곤함을. 수고로움을.
조심고  곳  머거 그 毒독氣킝 업게 라

또 쑥으로 상처난 곳에 백 번 뜸을 떠서 하루가 지나야 편안할 것이니 목숨이 다할 때까지 개고기를 먹지 말라. 만일 누에의 번데기를 먹으면 이 독한 기운이 또 생겨 고치지 못하나니 삼 년 안에 또 모름지기 모든 유독한 것을 먹거나 성교로 인해 피곤한 것을 조심하고 항상 살구씨를 먹어 그 독한 기운을 없게 하라.

衛生易簡方
治蛇犬及狂狗咬用蚯蚓糞和鹽硏傅神效

얌과 가히와 미친 가히 믄  고튜 것위 주129)
것위:
지렁이.
 소곰 주130)
소곰:
소금.
섯거 라 브티면 至징極끅 됴니라

뱀과 개와 미친 개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지렁이 똥을 소금에 섞어서 갈아 붙이면 아주 좋다.

經驗秘方
治犬傷 天南星 防風右等分爲細末乾貼立效

가히 믄  고튜 天텬南남星 주131)
천남성(天南星):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1:1ㄴ)에는 天南星을 ‘두야 머주저깃 불휘’로 주를 달아 놓았다.
防風 주132)
방풍(防風):
부록 참조.
 게 호아 에  라 닐 주133)
닐:
마른 것을.
브티면 즉재 됻니라

개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천남성과 방풍을 똑같게 나누어 가늘게 가루로 만들어 마른 것을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하73ㄴ

風狗咬 桃核半介野人乾卽人糞也塡滿以楡皮盖定掩於傷處用艾於桃核上灸十四炷卽愈永不發

 미친 가히 믄  고튜 복홧  주134)
복홧 :
복숭아씨.
半반 낫과    기 몃구고 주135)
몃구고:
메우고.
느릅나못 거츠로 주136)
거츠로:
겇[皮] + -으로(도구격 조사). 꺼풀로. 껍질로.
더퍼 헌  리오 주137)
리오:
리-[掩] + -오(연결어미). 가리되.
그로 복홧  우흘 열네 붓글 주138)
붓글:
[壯] + -을(목적격 조사). 뜸을. ‘’은 뜸질의 횟수를 세는 말이다.
면 즉재 됴하 니르리 주139)
니르리:
영원히. 오래도록. 이르도록.
發티 아니니라

미친 개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복숭아씨 반 낱과 사람의 마른 똥으로 가득히 메우고 느릅나무의 껍질로 덮어 상처입은 데를 가리되 쑥으로 복숭아씨의 위를 열네 번 뜸을 뜨면 즉시 좋아 오래도록 (독이) 생기지 아니한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범(大凡)디:무릇.
주002)
:-[終] + (명사 접미사). 마침. 끝.
주003)
가히:개[犬].
주004)
미치니:미치니[狂].
주005)
모로매:모름지기.
주006)
막다히:막대기.
주007)
마고:막-[防] + -오(연결어미). 막되.
주008)
막다각:막-[防] + -다가(연결어미) + -ㄱ(강세 첨사). 막다가.
주009)
몯닌:못한 사람은.
주010)
메셔:[灸] + -에셔(비교격 조사). 뜸보다.
주011)
더은:더으-[益] + -ㄴ(관형사형 어미). 더한. 더 나은. 더 좋은.
주012)
궐(闕)티:闕- + -디(보조적 연결어미). 궐하지. 빠뜨리지.
주013)
고솜도:고솜돝[猬] + -(관형격 조사). 고슴도치의.
주014)
가:갗[皮] + -(목적격 조사). 가죽을.
주015)
이비:입[口]이.
주016)
마구 므니란:마구믈-[噤]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란(보조사). (입을) 다문 사람은.
주017)
니:니[齒] + -(목적격 조사). 이를.
주018)
것고:-[折] + -고(연결어미). 꺾고.
주019)
지유(地楡):부록 참조.
주020)
허:-[擣] + -어(연결어미). 찧어. ‘딯다’가 여기서는 ‘다’로 경음화된 표기를 하고 있다.
주021)
생(生)니:생 것이.
주022)
닐:마른 것을.
주023)
:가루를.
주024)
구채(韭菜):부록의 ‘염교’ 참조.
주025)
발(發)닐:발생한 사람을.
주026)
어미어나:엄[牙] + -이거나(보조사). 어금니이거나.
주027)
어나:[骨] + -ㅣ거나 (보조사). 뼈이거나.
주028)
가:-[刮] + -아(연결어미). 갉아.
주029)
일희:일히[狼] + -의(관형격 조사). 이리의. ‘일히’와 ‘일’ (하 64ㄱ)가 함께 쓰이고 있다.
주030)
지지라:지지-[熨] + -라(명령법 어미). (뜨거운 것으로) 지지라.
주031)
곳 :살구씨[杏仁]를.
주032)
브라:부으라.
주033)
:-[故] + -(관형사형 어미). 낡은.
주034)
빗:빗[梳].
주035)
복셩화:복숭아.
주036)
것:겇[皮]. 껍질.
주037)
우후믈:우훔[握] + -을(목적격 조사). 움큼을.
주038)
두 저게:두[二] + 적[時] + -에(처격조사). 두 번에.
주039)
두터비:두꺼비.
주040)
:[種]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씨의 가루를.
주041)
므러든:믈-[咬] + -거든(연결어미). 물거든.
주042)
골수(骨髓):뼈의 중심부인 골강에 가득 차 있는 결체질의 물질. 뼛골.
주043)
장(醬)ㅅ 므를:장물을. 간장을.
주044)
얌:뱀.
주045)
수를:술[匙] + -을(목적격 조사). 술을. ‘술’은 음식물을 숟가락으로 떠 그 분량을 세는 단위를 가리킨다.
주046)
녯 가히:녜(常例) + -ㅅ(관형격 조사) + 가히[犬] + ø(주격조사). 보통의 개가.
주047)
닷 호블:닷[五] + 홉[合] + -을(목적격 조사). 다섯 홉을.
주048)
아:-[碎] + -아(연결어미). 부수어. 빻아. 이 동사의 기본형은 훈민정음 초기부터 ‘다’와 ‘다’가 혼용되었고, 이에 따라 이 문헌에서도 혼용되고 있다. 상권(19ㄱ)에는 ‘아’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주049)
골:고(膏) + -ㄹ(목적격 조사). 고를. ‘고(膏)’는 식물이나 과일 따위를 곤 즙을 말한다.
주050)
브븻:브[廚]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부엌에 있는.
주051)
코:-[撒] + -고(연결어미). 뿌리고.
주052)
기브로:깁[帛] + -으로(도구격 조사). 비단으로.
주053)
매라:-[包] + -아(연결어미) + 매-[繫] + -라(명령법 어미). 싸매라.
주054)
납월(臘月)ㅅ 도:臘月 + -ㅅ(관형격 조사) + 돝[猪] + -(관형격 조사). 섣달에 잡은 돼지의.
주055)
전(煎)야:달여.
주056)
릴:꼬리를.
주057)
:때[垢]를.
주058)
젹젹:조금씩.
주059)
미:밀[蠟] + -(목적격 조사). 밀을.
주060)
야:-[熏] + -아(연결어미). 쬐어.
주061)
 수레:쓴 술에. 쓴 술은 독한 술을 말한다.
주062)
닶가와:닶갑-[悶] + -아(연결어미). 답답하여.
주063)
구우:굽-[炙] + -우(연결어미). 굽되.
주064)
사로니와:썬 것과.
주065)
계심(桂心):부록 참조.
주066)
마:-[浸] + -아(연결어미). 잠가. (물에) 불려.
주067)
로:롣-[尖] + -(관형사형 어미). 날카로운. 뾰족한.
주068)
귿과:끝과.
주069)
어우러:어우러[雙仁] + -ㄹ(목적격 조사). 쌍인을. ‘쌍인’은 두쪽으로 된 씨를 말한다.
주070)
기우레:기울[麩] + -에(처격조사). 밀기울에.
주071)
리:가늘게.
주072)
즛의:찌꺼기.
주073)
알포미:알-[痛] + -옴(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아픔이.
주074)
젼국:부록 참조.
주075)
발(發)거든:발생하거든. 나타나거든.
주076)
므론:믈-[咬]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문.
주077)
:[小豆]. 팥.
주078)
글횬:끓인.
주079)
:가장.
주080)
덛더디:떳떳이. 필히.
주081)
므여우니:므엽-[畏] + -으니(연결어미). 무서우니.
주082)
믈인:물린.
주083)
바:밥[飯] + -(연결어미). 밥을.
주084)
츠라:문지르라.
주085)
하거나:많거나. 많든지.
주086)
바깃:바기[頂] + -ㅅ(관형격 조사). 정수리의.
주087)
터러기:터럭[毛] + -이(주격조사). 털이.
주088)
혀:빼어.
주089)
훤니:훤하니. 뚜렷하니.
주090)
반묘(斑猫):부록 참조.
주091)
:-[細] + -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고운.
주092)
조차:좇-[從] + -아(연결어미). 좇아. 따라.
주093)
그긔:거기에.
주094)
누워:누-[泄] + -우-(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대소변을) 누게 해서.
주095)
나잘만:나잘[半日] + -만(보조사). 한나절만.
주096)
얼의유:엉기되.
주097)
가골:가히[犬] + -(관형격 조사) + 골[形]. 개의 모양.
주098)
:(樣姿) + -(목적격 조사). 모양을. 모습을.
주099)
머거:먹-[食] + -어(연결어미). 먹어야.
주100)
화마(火麻):삼. 부록 참조.
주101)
몰약(沒藥):부록 참조.
주102)
져고매:조금만.
주103)
혀:혀-[引] + -어(연결어미). 끌어내어.
주104)
츳들여:츳듣-[滴]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떨어뜨려.
주105)
골:고(膏)를.
주106)
환(丸):알약.
주107)
오동자(梧桐子):벽오동나무씨. 부록 참조.
주108)
녀:녀[他] + -ㅅ(관형격 조사). 다른.
주109)
아:아[前] + -ㅅ(관형격 조사). 전의.
주110)
생마유(生麻油):날삼의 씨로 짠 기름. 『구급간이방』(6:41ㄱ)에는 ‘ 기름’으로 주를 달아 놓았다.
주111)
젼구:젼국[豆豉] + -(목적격 조사). 약전국을.
주112)
탄:탄(彈子) + -ㅅ(관형격 조사). 탄자의. ‘탄자’는 엽총 따위에 쓰는 잘게 만든 총알을 말한다.
주113)
킈:크기.
주114)
:늘. 항상.
주115)
슷고:슷-[擦] + -고(연결어미). 문지르고. 스치고. 비비고.
주116)
혀:-[剖] + -혀-(강세 접미사) + -어(연결어미). 깨뜨려.
주117)
소:솝[內] + -(목적격 조사). 속을.
주118)
터리:털이[毛]. 이 문헌에서는 ‘毛’에 대해서 ‘털’과 ‘터럭’의 두 가지 형태로 대역하고 있다.
주119)
솜소미:더부룩하게. 촘촘히.
주120)
그로:[艾] + -으로(도구격 조사). 쑥으로.
주121)
장(壯):. 이는 뜸질의 횟수를 세는 말이다.
주122)
:-[灸] + -어(연결어미). (뜸을) 떠서.
주123)
리:[一日] + -이(주격조사). 하루가. 명사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말음 ‘’가 탈락하여 ‘’로 교체되고, ‘ㄹ’이 조사에 첨가하여 ‘-리’가 되었다. 이와 같이 ‘’는 특수한 교체를 하는 명사이다.
주124)
디나:디나-[過] + -아(연결어미). 지나야.
주125)
록:-[終] + -록(연결어미). 마치도록. 다하도록.
주126)
누엣본도기:누에[蠶] + -ㅅ(관형격 조사) + 본도기[蛹]. 누에의 번데기.
주127)
방사(房事):남녀가 성적으로 관계를 맺는 일.
주128)
잇부믈:잇브-[勞]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피곤함을. 수고로움을.
주129)
것위:지렁이.
주130)
소곰:소금.
주131)
천남성(天南星):부록 참조. 『구급간이방』(1:1ㄴ)에는 天南星을 ‘두야 머주저깃 불휘’로 주를 달아 놓았다.
주132)
방풍(防風):부록 참조.
주133)
닐:마른 것을.
주134)
복홧 :복숭아씨.
주135)
몃구고:메우고.
주136)
거츠로:겇[皮] + -으로(도구격 조사). 꺼풀로. 껍질로.
주137)
리오:리-[掩] + -오(연결어미). 가리되.
주138)
붓글:[壯] + -을(목적격 조사). 뜸을. ‘’은 뜸질의 횟수를 세는 말이다.
주139)
니르리:영원히. 오래도록. 이르도록.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