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34. 잉부역생(三十四孕婦逆生 난산(難産))
메뉴닫기 메뉴열기

34. 잉부역생(三十四孕婦逆生 난산(難産))


孕婦逆生第三十四難産附

하81ㄴ

經驗良方
其證孕婦欲産時遇腹痛不肯舒伸行動多是曲腰眼臥忍痛其兒在腹中不得轉動故脚先出謂之逆生須臾不救子母俱亡用槐子二七粒新汲井花水呑下

病證 주001)
병증(病證):
병의 증후.
은 아기 주002)
:
-[孕] + -ㄴ(관형사형 어미). 밴.
겨지비 나호려 주003)
나호려:
낳-[産] + -오-(삽입모음) + -려(연결어미). 낳으려.
 저긔  알파 펴디 주004)
펴디:
펴지[伸].
몯며 닐 주005)
닐:
다닐. 이 문헌에서는 ‘니다’와 ‘니다’가 함께 쓰이고 있다.
제  허릴 고피며 주006)
고피며:
곱-[曲] + -히-(사동 접미사) + -며(연결어미). 굽히며. 구부리며.
올어나 주007)
올어나:
졸거나. 자거나.
눕거나 야 알포 며 그 아기  소배 이셔 도디 주008)
도디:
돌[轉] + -디(보조적 연결어미). 돌지.
몯 주009)
몯:
몯-[不] + -ㄹ(연결어미). 못하므로. 못하여.
허튀 주010)
허튀:
다리. 종아리.
몬져 나니 로 거스리 주011)
거스리:
거슬-[逆] + -이(부사 접미사). 거슬러. 거꾸로.
낟다 주012)
낟다:
낳는다. 어간 ‘낳-’의 말음 ‘ㅎ’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의 적용을 받아 ‘ㄷ’으로 교체된 것이다.
니 간  救티 아니면 子息식과 어미왜 다 죽니 槐花황 주013)
괴화(槐花):
부록 참조.
두닐굽 주014)
두닐굽:
열넷.
나  기룬 우믌 가온 므

하82ㄱ

레 {ㅅ}기라

그 병의 증후는 아기를 밴 여자가 아기를 낳으려 할 때 배가 아파 몸을 펴지 못하여 다닐 때에 항상 허리를 굽히며 자거나 눕거나 하여 아픔을 참으며 그 아기가 뱃속에서 돌지 못하여 발이 먼저 나오는 것을 이르되 거꾸로 낳는다 하나니 잠깐 사이에 구하지 아니하면 아기와 어미가 다 죽게 되므로 회화나무 씨 열네 낱을 금방 길어온 우물 가운데의 물로 삼키라.

無槐子用小絹針於小兒脚心刺三五刺急用鹽少許塗脚心刺處卽時順生子母俱活用稻尖刺脚心尤妙

槐花황 업거든 깁 오 주015)
깁오:
깁[帛] + 올[條] + -(목적격 조사). 헝겊의 올을.
쟉게 비븨여 바티 야 아 주016)
아:
아기[兒] + -(관형격 조사). 아기의.
밠바 주017)
밠바:
발바닥.
가온 서너 저글 디고 주018)
디고:
디-[刺] + -고(연결어미). 찌르고. 이는 다음 시대에서 경음화하여 ‘르다’와 ‘르다’로 혼용되었다.
리 소고 져고매 밠바 디 해 면 즉재 順쓘히 나 子息식과 어미왜 다 사니라 주019)
볏:
벼의[稻].
라기 주020)
라기:
까끄라기.
로 밠바 딜오미 주021)
딜오미:
찌름이.
더욱 됴니라

회화나무 씨가 없거든 헝겊의 올을 뾰족하게 비벼 바늘같이 하여서 아기의 발바닥 가운데에 서너 번을 찌르고 빨리 소금을 조금 발바닥 찌른 곳에 바르면 즉시 옳게 나와 아기와 어미가 다 살게 된다. 벼의 까끄라기로 발바닥을 찌르는 것이 더욱 좋다.

又方
治橫逆生手足先出用兎絲子或車前子末酒調服二錢

빗기 주022)
빗기:
가로로. 비스듬히.
거스리 나하 손바리 주023)
손바리:
손발[手足] + -이(주격조사). 손발이.
몬져 나닐 주024)
나닐:
나오는 것을.
고툐 兎통絲子 주025)
토사자(兎絲子):
말린 새삼의 씨.
ㅣ어나 車챵前

하82ㄴ

쪈子
주026)
차전자(車前子):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3ㄱ)에는 ‘뵙이 ’로 풀이하고 있다.
ㅅ  수레 프러 두 도 머그라

또 가로로나 거꾸로 낳아 손발이 먼저 나오는 것을 고치려면 새삼 열매나 질경이 씨의 가루를 술에 풀어 두 돈을 먹으라.

又方
取其父名書兒足下卽順生

 제 아 주027)
아:
아비[父] + -(관형격 조사). 아비의.
일후믈 아 밠바당애 스면 주028)
스면:
쓰면[書].
즉재 順쓘히 나니라

또 제 아비의 이름을 아기의 발바닥에 쓰면 즉시 옳게 나온다.

又方
治母已死子不出者水銀如彈子大幹開口灌之扶令坐食頃又扶令倚立子卽出

 어미 마 주거 子息식이 아니 나릴 고툐 水銀 탄 킈만 주029)
탄 킈만:
탄알 크기만큼.
야 이블 글희혀 주030)
글희혀:
글희-[開] + -혀-(강세 접미사) + -어(연결어미). 벌려. 끌러.
븟고 븓드러 주031)
븓드러:
븥들-[扶] + -어(연결어미). 붙들어.
안치고 주032)
안치고:
앉히고.
밥 머글 만 야  븓드러 지여 주033)
지여:
지-[倚] + -어(연결어미). 의지해.
셔게 면 子息식이 즉재 나니라

또 어미가 거의 죽게 되어 아기가 나오지 않는 것을 고치려면 수은을 잘게 만든 탄알 크기만큼 해서 입을 벌리어 붓고는 붙들어 앉히고, 밥 먹을 동안의 시간만큼 또 붙들어 의지해 서게 하면 아기가 즉시 나온다.

又方
龍蛻散治橫生逆産蛇蛻鑵子內鹽泥固濟燒存性右細末

하83ㄱ

每服二錢楡白皮煎湯調下凡産不順手足先見者溫酒下一錢匕仍用傅兒手足卽順又治吹乳衛生易簡面東酒服

 龍蛻散산 빗기 나며 거스리 낟닐 고티니 야 허를 주034)
허를:
허[皮] + -을(목적격 조사). 허물을.
湯탕鑵관 주035)
탕관(湯鑵):
약을 달이는 자그마한 그릇. 쇠붙이나 오지로 만들며 흔히 손잡이가 달려 있다.
안해 녀코 소곰과 과로 구디 라 로 氣킝分분이 잇게 야 리 아  服뽁애 두 돈곰 야 느릅나모  것 주036)
 것:
흰 껍질.
글횬 므레 프러 머그라 大땡凡뻠디 産산兒ㅣ 順쓘티 아니야 손바리 몬져 나닌  수레  돈 수를 노코 아 손바래 브티면 즉재 順쓘니라  져즐 불어든 주037)
져즐 불어든:
취유(吹乳). 이는 산전 산후에 유방에 멍울이 서면서 붓고 아픈 증상을 가리킨다.
고툐 衛윙生易잉簡간앤 東동녀그로 向

하83ㄴ

야 수레 머그라

또 용세산은 아기가 가로로 나오거나 거꾸로 낳는 것을 고치나니, 뱀의 허물을 약탕관 안에 넣고 소금과 흙으로 단단히 발라 불사르되 기운이 남아 있게 하여 가늘게 빻아 만든 것인데, 한 번 복용할 때 두 돈씩 해서 느릅나무 흰 껍질을 끓인 물에 풀어 먹으라. 무릇 태어나는 아기가 옳게 되지 않아 손발이 먼저 나오는 경우에는 따뜻한 술에 한 돈을 넣고 아기 손발에 붙이면 즉시 옳게 된다. 또 젖이 부으면 이를 고치되 위생이간방에는 동쪽으로 향하여 술에 풀어 먹도록 하고 있다.

又方
二神湯治橫逆生瘦胎又治産前産後虛損月水不調崩中等疾百草霜香白芷等分右爲細末每服二錢童子小便醋各少許調熱湯浸化服不過二服神效

 二神씬湯 빗그며 거스리 나며 여윈 주038)
여윈:
수척한.
胎 주039)
태(胎):
여기서는 태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구급간이방』(7:39ㄴ)에 보면 ‘胎已死卽下’를 ‘시기 주거셔도 즉재 나리니’로 언해하고 있어 ‘胎’가 ‘식’임을 알 수 있다.
 고티니라  産산前쪈과 産산後에 허손 주040)
허손:
허손(虛損). 몸이 점점 수척하고 쇠약해지는 증상.
야 月水 주041)
월수(月水):
여자의 월경.
ㅣ 고디 아니며 崩붕中 주042)
붕중(崩中):
하혈하는 듯한.
病을 고티니 百草霜 주043)
백초상(百草霜):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37ㄱ)에는 ‘솓미틧거미’으로 풀이해 놓았다.
香白芷징 주044)
향백지(香白芷):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37ㄱ)에는 ‘구리댓 불휘’로 풀이하였다.
 티 화   라  服뽁애 두 돈곰 야 아 小便뼌과 醋총와 各각各각 젹젹야 더

하84ㄱ

운 므레 프러 머구 두 服뽁애 넘디 아니야셔 됻니라

또 이신탕은 가로로나 거꾸로 낳는 것과 여윈 아기를 고친다. 또 산전과 산후에 몸이 수척하고 쇠약해져 월경이 고르지 아니하며 하혈하는 듯한 병을 고치나니 백초상과 향백지를 똑같게 나누어 고운 가루로 만들어 한 번 복용에 두 돈씩 해서 아이의 소변과 초를 각각 조금씩 뜨거운 물에 풀어 먹되 두 번 복용을 넘지 않아서 좋아진다.

又方
橫倒生手足先出者 葵子二合黃明膠 滑石末各一兩右水一盞半煎至一盞去滓分作二服

 빗그며 갓로 나하 손바리 몬져 나닌 아옥 두 홉과 黃明膠 주045)
황명교(黃明膠):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3ㄴ)에는 ‘누르고  갓플’로 풀이하고 있다.
滑石쎡 주046)
활석(滑石):
부록 참조.
ㅅ 各각  兩 믈  잔 半반 달혀  자니 외어든 즛의 앗고 호아 두 적 머그라

또 가로로나 거꾸로 낳아 손발이 먼저 나올 때는 아욱의 씨 두 홉과 황명교와 활석의 가루 각각 한 냥을 물 한 잔 반으로 달여 한 잔이 되거든 찌꺼기를 제거하고 두 번으로 나누어 먹으라.

聖惠方
取夫十指爪甲各少許燒灰細硏溫酒調服之

샤 주047)
샤:
남편.
 열 가라 주048)
가라:
가락[指爪] + -(처소 관형격 조사). 손가락에 있는.
손토 各각各각 젹젹 버혀 라 리 

하84ㄴ

 주049)
:
따뜻한.
수레 프러 머그라

남편의 열 손가락의 손톱을 각각 조금씩 베어 불태워 가늘게 갈아서 따뜻한 술에 풀어 먹으라.

又方
以朱書兒左足下作千字右足下作里字手出者亦效

朱즁砂 주050)
주사(朱砂):
부록 참조.
로 아 왼녁 발 아래 千쳔字 스고 올녁 발 아래 里링字 스라 소니 낫니 주051)
낫니:
나-[出] + -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나온 이.
도  됴니라

또 주사로 아기의 왼쪽 발 아래 千자를 쓰고 오른쪽 발 아래는 里자를 쓰라. 손이 나온 이도 또한 좋다.

又方
治橫倒生胎夭腹中及衣不出母氣欲絶 半夏一兩湯洗七次去滑焙乾白斂一兩右擣羅爲散以炒生姜酒調下二錢立效

 빗그며 갓로 나며 胎ㅣ  소배셔 주그며 胎衣 주052)
태의(胎衣):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막과 태반.
나디 아니야 어믜 주053)
어믜:
어미[母] + -의(관형격 조사). 어미의.
氣킝分분이 그추려 주054)
그추려:
긏-[斷] + -우-(삽입모음) + -려(연결어미). 끊어지려.
거든 고툐 半반夏 주055)
반하(半夏):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4ㄴ)에는 ‘모롭 불휘’로 풀이하였다.
  더운 므레 닐굽 저글 시서 믯믜즌 주056)
믯믜즌:
믯믲-[滑] + -은(관형사형 어미). 미끈미끈한.

하85ㄱ

업게 야 브레 오고 주057)
오고:
-[乾] + -오-(사동 접미사) + -고(연결어미). 말리고. 마르게 하고.
白斂렴 주058)
백렴(白蘞):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4ㄴ)에는 ‘가톳 불휘’로 풀이해 놓았다.
 兩과 디허 처 散산 라 봇 주059)
봇:
볶은.
生薑과 수레 두 도 프러 머그면 즉재 됻니라

또 (아기가) 가로로나 거꾸로 나오든지 아기가 뱃속에서 죽거나 태반이 나오지 아니하여 어미의 기운이 끊어지려 하거든 고치되 반하 한 냥을 뜨거운 물에 일곱 번을 씻어 미끈미끈한 것을 없게 하여 불에 말린 것과 백렴 한 냥을 찧어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어서 볶은 생강과 함께 술에 두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治橫倒生手足先出以牛屎塗母腹上卽便順生

 빗그며 갓로 나며 주060)
나며:
낳-[産] + -며(연결어미). 낳으며.
손바리 몬져 나닐 주061)
나닐:
나-[出]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나오는 것을.
고튜  어믜 예 면 즉재 順쓘히 나니라

또 (아기를) 가로로나 거꾸로 낳든지 손발이 먼저 나오는 것을 고치려면 쇠똥을 어미의 배에 바르면 즉시 옳게 나온다.

衛生簡易方
治橫生倒産原蠶子紙燒灰爲末每服三錢米飮調下

빗기 나며 갓로 낟닐 주062)
낟닐:
낳-[産]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낳는 것을. 어간 ‘낳-’이 ‘낟-’으로 된 것은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한 것이다.
고튜 누웨 주063)
누웨:
누에. ‘누웨’가 된 것은 첫음절 ‘누’의 ‘우’ 모음의 영향으로 다음 모음에 반모음 ‘w'가 첨가하여 ‘에 〉 웨’가 된 것으로 보인다.
주064)
슨:
슬-[産卵] + -ㄴ(관형사형 어미). 슨. 낳은. 동사 ‘슬다’는 벌레나 물고기 등이 알을 깔겨 놓을 때 쓰는 말이다.
죠 주065)
죠:
종이.
 라  라  服뽁애 세 돈곰  므레 주066)
므레:
[米] + -ㅅ(관형격 조사) + 믈[水] + -에(처격조사). 쌀물에. 미음에.
프러 머그라

(아기를) 가로로 낳거나 거꾸로 낳는 것을 고치려면 누에 씨를 받은 종이를 불살라 가루로 만들어서 한 번 복용할 때 서 돈씩 미음에 풀어 먹으라.

하85ㄴ

集驗方
療逆産燒錢令赤納酒中飮之

거스리 나릴 고툐 도 라 븕게 야 수레 녀허 마시라

거꾸로 낳는 것을 고치려면 돈(엽전을 말하는 듯)을 불살라 붉게 되면 술에 넣어 마시라.

衛生易簡方
治難産用黃葵子炒七十粒硏爛酒調服卽下或爲末井花水調二錢匕服如無子以根細切濃煎汁待冷服

어려이 주067)
어려이:
어렵-[難] + -이(부사 접미사). 어렵게.
낟닐 고튜 黃葵子 주068)
규자(葵子):
아욱의 씨. 『구급간이방』(7:43ㄴ)에는 ‘아혹 ’로 풀이하고 있다.
 닐흔 나 봇가 니기 라 수레 프러 머그면 즉재 리며 주069)
리며:
리-[下] + -며(연결어미). 내리며. 여기서는 아기가 나옴을 말한다.
 라 우믌 가온 므레 주070)
정화수(井花水):
여기서는 정화수를 ‘우믌 가온 물’로 번역한 데 비해 『구급간이방』(7:45ㄱ)에서는 ‘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을’(새벽에 남이 길으러 오기 전 먼저 길어온 우물물)이라 풀이하고 있 참고가 된다.
두 돈 술만 프러 머고 다가  업거든 불휘 리 사라 디투 주071)
디투:
짙게. 진하게.
달횬 汁집을 와 주072)
와:
차게 해서. 식혀서.
머그라

(아기를) 어렵게 낳는 것을 고치려면 누른 아욱 씨 일흔 낱을 볶아 곱게 갈아서 술에 풀어 먹으면 즉시 나올 것이며 가루를 만들어 우물 가운데의 물에 두 돈만 풀어 먹되 만일 씨가 없거든 아욱의 뿌리를 가늘게 썰어 진하게 달인 즙을 차게 해서 먹으라.

又方
用牛糞中

하86ㄱ

大豆一枚擘作兩片一片書父一片書子却合以水呑之立産

  가온   나 혀 주073)
혀:
깨뜨려. 쪼개어.
 주074)
:
[隻] + -(목적격 조사). 짝을.
라  앤 아비 스고  앤 子息식 주075)
서:
스-[書] + -어(연결어미). (글씨를) 써서.
도로 어울워 주076)
어울워:
어울우-[合] + -어(연결어미). 합쳐.
므레 {ㅅ}기면 즉재 낟니라 주077)
낟니라:
낳는다.

또 쇠똥 가운데 있는 콩 한 낱을 쪼개어 두 짝을 만들어 한 짝에는 아비 ‘父’ 자를 쓰고 다른 한 작에는 자식 ‘子’ 자를 써서 다시 합쳐 물로 삼키면 즉시 (아기를) 낳는다.

又方
弓弩絃縛腰及燒弩牙令赤納酒中飮之

 활와 弩농 주078)
노(弩):
쇠뇌. ‘쇠뇌’는 쇠로 된 발사 장치가 달린 활을 가리킨다.
시울 주079)
시울:
시위[絃].
로 허리 오 주080)
오:
매고.
弩농ㅅ牙 주081)
노(弩)ㅅ아(牙):
쇠뇌의 시위를 걸어 매는 곳.
 라 븕게 야 수레 녀허 마시라

또 활과 쇠뇌의 시위로 허리를 매고 노아를 불살라 붉게 하여 술에 넣어 마시라.

壽域神方
治産難淸油四兩熬熟候冷令産婦服之後飮酒一呷如不會飮酒喫冷淸

하86ㄴ

粥一口卽下

産산生 주082)
산생(産生):
출산.
어려우닐 고툐  기름 넉 兩량 달혀 니겨 게 야 産산生 겨지블 먹게  後에 술  머구믈 주083)
머구믈:
머굼[呻] + -을(목적격 조사). 모금을.
마시이라 주084)
마시이라:
마시-[飮]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마시게 하라.
술 머구믈 모거든   粥쥭을  입만 머그면 즉재 리니라

출산이 어려운 것을 고치려면 맑은 기름 넉 냥을 달여 익혀서 차게 하여 아기 낳는 여자에게 먹게 한 후에 술 한 모금을 마시게 하라. 술 먹기를 못하거든 찬 맑은 죽을 한 입만 먹게 하면 즉시 (아기가) 나온다.

千金方
治産難或半生或胎衣不下或子死腹中或着脊及坐草數日不産血氣上搶母面無顔色氣欲絶者 淳酒二升白蜜 成煎猪膏各一升右三味合煎取二升分再服不能再服可隨所能服之

産산生 어려우니와 半

하87ㄱ

반만 나커나 주085)
나커나:
낳-[産] + -거나(연결어미). 낳거나. 나오거나.
胎衣 리디 아니커나 子息식이  소배셔 죽거나   주086)
:
[背] + -ㅅ(관형격 조사) + [脊] + -(처격조사). 등마루에.
븓거나 거저긔 주087)
거저긔:
거적[苫] + -의(처격조사). 거적에.
안자 여러 나 나티 몯야 血氣킝 우흐로 소아 주088)
소아:
소-[搶] + -아(연결어미). 쏘아. 찔러. 솟아.
어믜  빗가치 주089)
빗가치:
안색이.
업서 氣킝分분 긋고져 릴 고튜 濁똭酒 두 되와  와 글혀 론 도 기름 各각  되 뫼화 달혀 두 되 외어든 화 두 적 머구 能능히 두 저글 먹디 몯거든 能히 주090)
홀:
-[爲] + -오-(삽입모음) + -ㄹ(관형사형 어미). 할.
 주091)
:
모양. 모습. 정도.
 조차 머기라

출산이 어려운 것과 (아기가) 반쯤만 나오거나 아이를 낳은 뒤에 태반이 나오지 않거나 아기가 뱃속에서 죽거나 또는 등마루에 붙어 있거나 해서 거적에 앉아 여러 날을 낳지 못하여 혈기가 위로 솟아 어미의 낯에 안색이 없고 기운이 끊어지려는 것을 고치려면 탁주 두 되와 흰 꿀과, 끓여서 만든 돼지 기름 각각 한 되를 모아 달여서 전체가 두 되 되거든 두 번으로 나누어 먹되 능히 두 번에 다 먹지 못하거든 능히 먹을 수 있는 정도를 따라 먹이라.

又方
令夫唾婦口中二七過立出

 샤오 겨지븨 이베 두닐굽 저글 주092)
춤:
침.
바면 주093)
바면:
밭-[唾] + -면(연결어미). 뱉으면.
즉자히 나니라

또 남편이 아내의 입에 침을 열네 번 뱉으면 즉시 (아기가) 나온다.

得效方
灸法治橫逆産諸藥不効灸右脚小趾尖頭三壯艾炷如小麥大下火立效

 

하87ㄴ

 法법에 빗그며 거스리 낟닐 고툐 여러 가짓 藥약이 效驗이 업거든 올 허튓 주094)
허튓:
다리의.
삿기 주095)
삿기:
새끼.
밠가락 로 주096)
로:
뾰족한.
그틀 세 붓글 리니 주097)
리니:
-[灸] + -우-(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뜨리니. 뜰 것이니.
 붓기 주098)
 붓기:
쑥 뜸이.
밄 킈 주099)
밄 킈:
밀[小麥]의 크기.
만 야 블브티면 즉자히 됻니라

뜸 뜨는 법에 따라 가로로나 거꾸로 낳는 것을 고치되 여러 가지의 약이 효험이 없거든 오른쪽 다리의 새끼발가락 뾰족한 끝을 세 번 뜸을 뜰 것이며 쑥 뜸을 밀의 크기만큼 하여 불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병증(病證):병의 증후.
주002)
:-[孕] + -ㄴ(관형사형 어미). 밴.
주003)
나호려:낳-[産] + -오-(삽입모음) + -려(연결어미). 낳으려.
주004)
펴디:펴지[伸].
주005)
닐:다닐. 이 문헌에서는 ‘니다’와 ‘니다’가 함께 쓰이고 있다.
주006)
고피며:곱-[曲] + -히-(사동 접미사) + -며(연결어미). 굽히며. 구부리며.
주007)
올어나:졸거나. 자거나.
주008)
도디:돌[轉] + -디(보조적 연결어미). 돌지.
주009)
몯:몯-[不] + -ㄹ(연결어미). 못하므로. 못하여.
주010)
허튀:다리. 종아리.
주011)
거스리:거슬-[逆] + -이(부사 접미사). 거슬러. 거꾸로.
주012)
낟다:낳는다. 어간 ‘낳-’의 말음 ‘ㅎ’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의 적용을 받아 ‘ㄷ’으로 교체된 것이다.
주013)
괴화(槐花):부록 참조.
주014)
두닐굽:열넷.
주015)
깁오:깁[帛] + 올[條] + -(목적격 조사). 헝겊의 올을.
주016)
아:아기[兒] + -(관형격 조사). 아기의.
주017)
밠바:발바닥.
주018)
디고:디-[刺] + -고(연결어미). 찌르고. 이는 다음 시대에서 경음화하여 ‘르다’와 ‘르다’로 혼용되었다.
주019)
볏:벼의[稻].
주020)
라기:까끄라기.
주021)
딜오미:찌름이.
주022)
빗기:가로로. 비스듬히.
주023)
손바리:손발[手足] + -이(주격조사). 손발이.
주024)
나닐:나오는 것을.
주025)
토사자(兎絲子):말린 새삼의 씨.
주026)
차전자(車前子):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3ㄱ)에는 ‘뵙이 ’로 풀이하고 있다.
주027)
아:아비[父] + -(관형격 조사). 아비의.
주028)
스면:쓰면[書].
주029)
탄 킈만:탄알 크기만큼.
주030)
글희혀:글희-[開] + -혀-(강세 접미사) + -어(연결어미). 벌려. 끌러.
주031)
븓드러:븥들-[扶] + -어(연결어미). 붙들어.
주032)
안치고:앉히고.
주033)
지여:지-[倚] + -어(연결어미). 의지해.
주034)
허를:허[皮] + -을(목적격 조사). 허물을.
주035)
탕관(湯鑵):약을 달이는 자그마한 그릇. 쇠붙이나 오지로 만들며 흔히 손잡이가 달려 있다.
주036)
 것:흰 껍질.
주037)
져즐 불어든:취유(吹乳). 이는 산전 산후에 유방에 멍울이 서면서 붓고 아픈 증상을 가리킨다.
주038)
여윈:수척한.
주039)
태(胎):여기서는 태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구급간이방』(7:39ㄴ)에 보면 ‘胎已死卽下’를 ‘시기 주거셔도 즉재 나리니’로 언해하고 있어 ‘胎’가 ‘식’임을 알 수 있다.
주040)
허손:허손(虛損). 몸이 점점 수척하고 쇠약해지는 증상.
주041)
월수(月水):여자의 월경.
주042)
붕중(崩中):하혈하는 듯한.
주043)
백초상(百草霜):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37ㄱ)에는 ‘솓미틧거미’으로 풀이해 놓았다.
주044)
향백지(香白芷):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37ㄱ)에는 ‘구리댓 불휘’로 풀이하였다.
주045)
황명교(黃明膠):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3ㄴ)에는 ‘누르고  갓플’로 풀이하고 있다.
주046)
활석(滑石):부록 참조.
주047)
샤:남편.
주048)
가라:가락[指爪] + -(처소 관형격 조사). 손가락에 있는.
주049)
:따뜻한.
주050)
주사(朱砂):부록 참조.
주051)
낫니:나-[出] + -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나온 이.
주052)
태의(胎衣):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막과 태반.
주053)
어믜:어미[母] + -의(관형격 조사). 어미의.
주054)
그추려:긏-[斷] + -우-(삽입모음) + -려(연결어미). 끊어지려.
주055)
반하(半夏):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4ㄴ)에는 ‘모롭 불휘’로 풀이하였다.
주056)
믯믜즌:믯믲-[滑] + -은(관형사형 어미). 미끈미끈한.
주057)
오고:-[乾] + -오-(사동 접미사) + -고(연결어미). 말리고. 마르게 하고.
주058)
백렴(白蘞):부록 참조. 『구급간이방』(7:44ㄴ)에는 ‘가톳 불휘’로 풀이해 놓았다.
주059)
봇:볶은.
주060)
나며:낳-[産] + -며(연결어미). 낳으며.
주061)
나닐:나-[出]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나오는 것을.
주062)
낟닐:낳-[産]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낳는 것을. 어간 ‘낳-’이 ‘낟-’으로 된 것은 8종성 제한 규칙에 의한 것이다.
주063)
누웨:누에. ‘누웨’가 된 것은 첫음절 ‘누’의 ‘우’ 모음의 영향으로 다음 모음에 반모음 ‘w'가 첨가하여 ‘에 〉 웨’가 된 것으로 보인다.
주064)
슨:슬-[産卵] + -ㄴ(관형사형 어미). 슨. 낳은. 동사 ‘슬다’는 벌레나 물고기 등이 알을 깔겨 놓을 때 쓰는 말이다.
주065)
죠:종이.
주066)
므레:[米] + -ㅅ(관형격 조사) + 믈[水] + -에(처격조사). 쌀물에. 미음에.
주067)
어려이:어렵-[難] + -이(부사 접미사). 어렵게.
주068)
규자(葵子):아욱의 씨. 『구급간이방』(7:43ㄴ)에는 ‘아혹 ’로 풀이하고 있다.
주069)
리며:리-[下] + -며(연결어미). 내리며. 여기서는 아기가 나옴을 말한다.
주070)
정화수(井花水):여기서는 정화수를 ‘우믌 가온 물’로 번역한 데 비해 『구급간이방』(7:45ㄱ)에서는 ‘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을’(새벽에 남이 길으러 오기 전 먼저 길어온 우물물)이라 풀이하고 있 참고가 된다.
주071)
디투:짙게. 진하게.
주072)
와:차게 해서. 식혀서.
주073)
혀:깨뜨려. 쪼개어.
주074)
:[隻] + -(목적격 조사). 짝을.
주075)
서:스-[書] + -어(연결어미). (글씨를) 써서.
주076)
어울워:어울우-[合] + -어(연결어미). 합쳐.
주077)
낟니라:낳는다.
주078)
노(弩):쇠뇌. ‘쇠뇌’는 쇠로 된 발사 장치가 달린 활을 가리킨다.
주079)
시울:시위[絃].
주080)
오:매고.
주081)
노(弩)ㅅ아(牙):쇠뇌의 시위를 걸어 매는 곳.
주082)
산생(産生):출산.
주083)
머구믈:머굼[呻] + -을(목적격 조사). 모금을.
주084)
마시이라:마시-[飮]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마시게 하라.
주085)
나커나:낳-[産] + -거나(연결어미). 낳거나. 나오거나.
주086)
:[背] + -ㅅ(관형격 조사) + [脊] + -(처격조사). 등마루에.
주087)
거저긔:거적[苫] + -의(처격조사). 거적에.
주088)
소아:소-[搶] + -아(연결어미). 쏘아. 찔러. 솟아.
주089)
빗가치:안색이.
주090)
홀:-[爲] + -오-(삽입모음) + -ㄹ(관형사형 어미). 할.
주091)
:모양. 모습. 정도.
주092)
춤:침.
주093)
바면:밭-[唾] + -면(연결어미). 뱉으면.
주094)
허튓:다리의.
주095)
삿기:새끼.
주096)
로:뾰족한.
주097)
리니:-[灸] + -우-(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뜨리니. 뜰 것이니.
주098)
 붓기:쑥 뜸이.
주099)
밄 킈:밀[小麥]의 크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