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26. 제충입이(二十六諸蟲入耳)
메뉴닫기 메뉴열기

26. 제충입이(二十六諸蟲入耳)


諸虫入耳第二十六
壽域神方
治百虫入耳以好酒灌之行動自出

온 가짓 벌에 귀예 드닐 고튜 됴 수를 붓고 니러 주001)
니러:
닐-[起] + -어(연결어미). 일어나.
니면 주002)
니면:
니-[行] + -면(연결어미). 다니면. 이 동사는 원래 ‘-[走]’과 ‘니-[行]’가 어간끼리 직접 통합하여 ‘니다’라는 합성동사를 형성하였고, 이는 다시 자음동화를 표기에 반영하여 ‘니다’로 쓰였으며, ‘니다’는 그 후 동음생략으로 선행하는 ‘ㄴ’이 탈락함으로써 오늘날의 ‘다니다’가 되었다.
제 나리라

온갖 벌레가 귀에 든 것을 고치려면 좋은 술을 붓고 일어나 다니면 저절로 나올 것이다.

又方
搗韮菜汁灌耳中妙

韮菜 주003)
구채(韮菜):
부록의 ‘염교’ 참조.
 디허 汁집을 귓굼긔 주004)
귓굼긔:
귀[耳] + -ㅅ(관형격 조사) + 구무[穴] + -의(처격조사). 귓구멍에.
브면 됴니라

또 구채를 찧어 즙을 귓구멍에 부으면 좋다.

又方
閉氣令人以蘆管吹無虫

하43ㄱ

一耳

 氣킝分분을 막고 다 사미 주005)
:
[蘆] + -ㅅ(관형격 조사). 갈대의.
굼그로 벌에 주006)
벌에:
벌레.
업슨 녁 귀 불에 주007)
불에:
불-[吹] + -게(부사형 어미). 불게.
라

또 기운을 막고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갈대 구멍으로 벌레 없는 쪽의 귀를 불게 하라.

又方
以雞冠血滴耳內卽出

  벼셋 주008)
벼셋:
볏[鷄冠]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볏에 있는.
피 귓 안해 처디면 주009)
쳐디면:
처디-[滴] + -면(연결어미). 떨어뜨리면.
즉재 나니라

또 닭 볏의 피를 귀 안에 떨어뜨리면 즉시 나온다.

又方
秦椒末一錢醋半盞浸良久少少灌耳虫自出

川椒 주010)
천초(川椒):
부록 참조.
ㅅ   돈 醋총 半반 잔애 불워 오라거든 젹젹 주011)
젹젹:
조금씩.
귀예 브면 벌에 제 나리라

또 천초의 가루 한 돈을 초 반 잔에 불려 오래되거든 조금씩 귀에 부으면 벌레가 저절로 나올 것이다.

又方
以醬汁灌耳中卽出又擊銅器於耳傍

醬ㅅ 汁집 주012)
장(醬)ㅅ즙(汁):
간장.
을 귀예 브면 즉재 나니라  구리 그르슬 귀 미틔셔 주013)
미틔셔:
밑[底] + -의셔(처격 조사). 밑에서.
티라 주014)
티라:
티-[擊] + -라(명령법 어미). 치라.

또 간장을 귀에 부으면 즉시 나온다. 또 구리 그릇을 귀 밑에서 치라.

又方
治蟻入耳炙猪脂香物安耳孔邊卽自出

가야미 주015)
가야미:
개미가.
귀예

하43ㄴ

드닐 고튜 도 기름과 구슨 주016)
구슨:
구스-[香] + -ㄴ(관형사형 어미). 구수한.
것과 구어 귓구뭇  주017)
:
[邊] + -애(처격조사). 가에. 명사 말음 ‘ㅅ’이 모음 사이에서 ‘’으로 비자동적인 교체가 일어났다.
노하 두면 즉재 제 나니라

또 개미가 귀에 든 것을 고치려면 돼지 기름과 구수한 것을 구워 귓구멍 가에 놓아 두면 즉시 저절로 나온다.

又方
治蚰蜒入耳以牛酪灌滿耳卽出若入腹中空心食好酪一二升卽化爲黃水而出不盡更服神妙

蚰蜒연 주018)
유연(蚰蜒):
부록 참조.
이 귀예 드닐 고튜  타라 주019)
타라:
타락[酪} + -(목적격 조사). 우유를. ‘타락’은 몽고어 ‘tarak'에서 온 말로 원뜻은 엉긴 우유를 가리키는 말이다.
귀예 기 브면 즉재 나니라 다가 예 들어든 주020)
들어든:
들-[入] + -거든(연결어미). 들어가거든.
空콩心심 주021)
공심(空心):
空腹(공복).
에 됴 타락 두 되 머그면 즉재 누른 므리 외야 나리라 아니 다 낫거든 주022)
낫거든:
낫-[愈] + -거든(연결어미). 낫거든.
다시 머그라

또 그리마가 귀에 드는 것을 고치려면 소의 우유를 귀에 가득 부으면 즉시 나온다. 만일 (그리마가) 배에 들거든 공복에 좋은 우유 한두 되를 먹으면 즉시 누런 물이 되어 나올 것이다. 다 낫지 않거든 다시 먹으라.

又方
取蚯蚓內葱管中候化爲水滴耳中蚰蜒亦化爲水妙

것위 주023)
것위:
지렁이. 이 문헌보다 조금 뒤에 나온 『구급간이방』에서는 ‘위’로 나타난다.
팟 닙 소배 주024)
팟 닙 소배:
파[蔥] + -ㅅ(관형격 조사) + 닢[葉] + 솝[內] + -애(처격조사). 파의 잎 속에.
녀허 므리 외어든 귓굼

하44ㄱ

긔 처디면 蚰蜒연이  므리 외니라

또 지렁이를 파의 잎 속에 넣어 물이 된 것을 귓구멍에 떨어뜨리면 그리마가 또 물이 된다.

又方
以麻油作煎餠枕臥須臾自出

麻망油 주025)
마유(麻油):
부록 참조.
지진 주026)
지진:
지지-[煎] + -ㄴ(관형사형 어미). 지진.
글 주027)
글:
[餠] + -을(목적격 조사). 떡을.
라 볘여 주028)
볘여:
볘-[枕] + -어(연결어미). 베어.
누어시면 주029)
누어시면:
눕-[臥] + -어(연결어미) + 시-[‘이시-’의 준말. 有] + -면(연결어미). 누워 있으면.
즉재 제 나리라

또 삼씨기름으로 지진 떡을 만들어 베고 누워 있으면 즉시 저절로 나온다.

又方
用小蒜汁滴耳中妙

효 주030)
효:
횩-[小] + -(관형사형 어미). 작은. 가는.
마 주031)
마:
마늘의.
汁집을 귓굼긔 처디라

또 작은 마늘의 즙을 귓구멍에 떨어뜨리라.

又方
以薄荷汁滴入耳立効

薄팍荷 주032)
박하(薄荷):
부록 참조.
ㅅ 汁집을 귀예 처디여 드리면 주033)
드리면:
들-[入] + -이-(사동 접미사) + -면(연결어미). 들이면. 들게 하면. 넣으면.
즉재 됴리라

또 박하의 즙을 귀에 떨어뜨려 넣으면 즉시 좋을 것이다.

經驗良方
虫入耳以生油滴耳內

벌에 귀예 들어든  기르믈 주034)
 기르믈:
[生] + 기름[油] + -을(목적격 조사). 생기름을.
귓 안해 처디라

벌레가 귀에 들거든 생기름을 귀 안에 떨어뜨리라.

又方
諸虫入耳用桃葉爲枕虫自鼻出

 벌에 귀예 들어든 복홧 주035)
복셩홧:
복셩화[桃] + -ㅅ(관형격 조사). 복숭아의.
니플 볘면 벌에 고로 주036)
고로:
고ㅎ[鼻] + -로(도구격 조사). 코로. ‘코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나리라

또 벌레가 귀에 들거든 복숭아 나뭇잎을 베라. 그러면 벌레가 코로 나올 것이다.

하44ㄴ

聖惠方
用桃葉塞耳其虫立出

 복홧 니프로 귀 마면 주037)
마면:
막-[塞] + -으면(연결어미). 막으면.
그 벌에 즉재 나리라

또 복숭아 나뭇잎으로 귀를 막으면 그 벌레가 즉시 나올 것이다.

又方
用葱涕灌耳中須臾虫出

 팟 닙 소뱃 므를 귀예 브면 즉재 벌에 나리라

또 파의 잎 속에 있는 물을 귀에 부으면 즉시 벌레가 나올 것이다.

又方
蜈蚣入耳生薑汁灌耳中其虫自出

지네 주038)
지네:
지네[蜈蚣]가.
귀예 들어든 生薑汁집을 귀예 브면 그 벌에 제 나리라

또 지네가 귀에 들거든 생강의 즙을 귀에 부으라. 그러면 그 벌레가 저절로 나올 것이다.

直指方
桑白皮擣汁灌耳中虫卽自出

나못  거츨 주039)
거츨:
겇[皮] + -을(목적격 조사). 겉을. 껍질을.
디허 汁집을 귀예 브면 벌에 즉재 제 나니라

뽕나무의 흰 껍질을 찧어 그 즙을 귀에 부으면 벌레가 즉시 저절로 나온다.

千金方
治百虫入耳車轄脂傅耳孔虫自出

하45ㄱ

온 가짓 벌에 귀예 드닐 주040)
드닐:
들-[入] + -ㄴ(관형격 조사)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든 것을.
고툐 술윗 주041)
술윗:
술위[車] + -ㅅ(관형격 조사). 수레의.
갈모앳 주042)
갈모앳:
갈모[輨] + -앳(처소 관형격 조사). 줏대의. 줏대에 있는. ‘갈모’는 수레 바퀴 끝을 덮어 싸는 휘갑쇠를 가리키는 말이다.
기르믈 귓굼긔 브티면 벌에 제 나리라

온갖 벌레가 귀에 든 것을 고치되 수레의 줏대에 있는 기름을 귓구멍에 붙이면 벌레가 저절로 나올 것이다.

得効方
治耳中有物不可出右以麻繩剪令頭散付好膠著耳中使其物粘之徐徐引出效用弓弦尤妙

귀예 物이 이셔 나디 아니닐 고툐 삼 노 주043)
삼 노:
삼[麻] + 노ㅎ[繩] + -(목적격 조사). 삼으로 된 노끈을. ‘노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그처 주044)
그처:
긏-[斷] + -어(연결어미). 끊어.
머리 퍼디게 주045)
퍼디게:
퍼디-[散] + -게(부사형 어미). 퍼지게. 풀어지게.
야 됴 프를 주046)
프를:
플[膠] + -을(목적격 조사). 아교풀을.
무텨 주047)
무텨:
묻-[着] + -히-(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묻혀.
귓굼긔 녀허 그 物이 븓거든 주048)
븓거든:
븥-[附] + -거든(연결어미). 붙거든.
기 주049)
기:
천천히. 조용히.
어내면 주050)
어내면:
그-[引] + -어(연결어미) + 내-[出] + -면(연결어미). 끌어내면. 동사 어간 ‘그-’는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음 ‘으’의 탈락으로 ‘-’으로의 교체가 일어났다.
됴니 활시우리 더 됴니라

귀에 이물질이 들어 있어서 나오지 아니하는 것을 고치려면 삼으로 된 노끈을 끊어 끈의 머리 부분을 풀어지게 하고 (거기에) 좋은 아교풀을 묻혀 귓구멍에 넣으면 이물질이 붙게 된다. 그 때 천천히 꺼내면 좋고 활시울을 사용해도 더 좋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러:닐-[起] + -어(연결어미). 일어나.
주002)
니면:니-[行] + -면(연결어미). 다니면. 이 동사는 원래 ‘-[走]’과 ‘니-[行]’가 어간끼리 직접 통합하여 ‘니다’라는 합성동사를 형성하였고, 이는 다시 자음동화를 표기에 반영하여 ‘니다’로 쓰였으며, ‘니다’는 그 후 동음생략으로 선행하는 ‘ㄴ’이 탈락함으로써 오늘날의 ‘다니다’가 되었다.
주003)
구채(韮菜):부록의 ‘염교’ 참조.
주004)
귓굼긔:귀[耳] + -ㅅ(관형격 조사) + 구무[穴] + -의(처격조사). 귓구멍에.
주005)
:[蘆] + -ㅅ(관형격 조사). 갈대의.
주006)
벌에:벌레.
주007)
불에:불-[吹] + -게(부사형 어미). 불게.
주008)
벼셋:볏[鷄冠]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볏에 있는.
주009)
쳐디면:처디-[滴] + -면(연결어미). 떨어뜨리면.
주010)
천초(川椒):부록 참조.
주011)
젹젹:조금씩.
주012)
장(醬)ㅅ즙(汁):간장.
주013)
미틔셔:밑[底] + -의셔(처격 조사). 밑에서.
주014)
티라:티-[擊] + -라(명령법 어미). 치라.
주015)
가야미:개미가.
주016)
구슨:구스-[香] + -ㄴ(관형사형 어미). 구수한.
주017)
:[邊] + -애(처격조사). 가에. 명사 말음 ‘ㅅ’이 모음 사이에서 ‘’으로 비자동적인 교체가 일어났다.
주018)
유연(蚰蜒):부록 참조.
주019)
타라:타락[酪} + -(목적격 조사). 우유를. ‘타락’은 몽고어 ‘tarak'에서 온 말로 원뜻은 엉긴 우유를 가리키는 말이다.
주020)
들어든:들-[入] + -거든(연결어미). 들어가거든.
주021)
공심(空心):空腹(공복).
주022)
낫거든:낫-[愈] + -거든(연결어미). 낫거든.
주023)
것위:지렁이. 이 문헌보다 조금 뒤에 나온 『구급간이방』에서는 ‘위’로 나타난다.
주024)
팟 닙 소배:파[蔥] + -ㅅ(관형격 조사) + 닢[葉] + 솝[內] + -애(처격조사). 파의 잎 속에.
주025)
마유(麻油):부록 참조.
주026)
지진:지지-[煎] + -ㄴ(관형사형 어미). 지진.
주027)
글:[餠] + -을(목적격 조사). 떡을.
주028)
볘여:볘-[枕] + -어(연결어미). 베어.
주029)
누어시면:눕-[臥] + -어(연결어미) + 시-[‘이시-’의 준말. 有] + -면(연결어미). 누워 있으면.
주030)
효:횩-[小] + -(관형사형 어미). 작은. 가는.
주031)
마:마늘의.
주032)
박하(薄荷):부록 참조.
주033)
드리면:들-[入] + -이-(사동 접미사) + -면(연결어미). 들이면. 들게 하면. 넣으면.
주034)
 기르믈:[生] + 기름[油] + -을(목적격 조사). 생기름을.
주035)
복셩홧:복셩화[桃] + -ㅅ(관형격 조사). 복숭아의.
주036)
고로:고ㅎ[鼻] + -로(도구격 조사). 코로. ‘코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37)
마면:막-[塞] + -으면(연결어미). 막으면.
주038)
지네:지네[蜈蚣]가.
주039)
거츨:겇[皮] + -을(목적격 조사). 겉을. 껍질을.
주040)
드닐:들-[入] + -ㄴ(관형격 조사)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든 것을.
주041)
술윗:술위[車] + -ㅅ(관형격 조사). 수레의.
주042)
갈모앳:갈모[輨] + -앳(처소 관형격 조사). 줏대의. 줏대에 있는. ‘갈모’는 수레 바퀴 끝을 덮어 싸는 휘갑쇠를 가리키는 말이다.
주043)
삼 노:삼[麻] + 노ㅎ[繩] + -(목적격 조사). 삼으로 된 노끈을. ‘노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44)
그처:긏-[斷] + -어(연결어미). 끊어.
주045)
퍼디게:퍼디-[散] + -게(부사형 어미). 퍼지게. 풀어지게.
주046)
프를:플[膠] + -을(목적격 조사). 아교풀을.
주047)
무텨:묻-[着] + -히-(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묻혀.
주048)
븓거든:븥-[附] + -거든(연결어미). 붙거든.
주049)
기:천천히. 조용히.
주050)
어내면:그-[引] + -어(연결어미) + 내-[出] + -면(연결어미). 끌어내면. 동사 어간 ‘그-’는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음 ‘으’의 탈락으로 ‘-’으로의 교체가 일어났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