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23. 타박상손(二十三打撲傷損)
메뉴닫기 메뉴열기

23. 타박상손(二十三打撲傷損)


打撲傷損 第二十三 杖瘡附
聖惠方
治打損瘀血在臟攻心煩悶 桃仁湯去皮尖雙仁桂心 菴䕡子各一兩川大黃二兩剉碎微炒荷葉蔕三七枚右擣篩爲散每服五錢以水一大盞煎至五分入朴硝一分攪令勻空腹分二服以利下惡血爲度

마자 주001)
마자:
맞-[被打] + -아(연결어미). 맞아.
傷야 얼읜 주002)
얼읜:
얼의-[凝] + -ㄴ(관형사형 어미). 엉긴. ‘얼읜 피’는 瘀血을 말한다.

하18ㄴ

주003)
:
배[腹].
안해 주004)
안해:
안ㅎ[內] + -애(처격조사). 안에. ‘안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이셔 주005)
이셔:
이시-[有] + -어(연결어미). 있어.
 주006)
:
[心] + -(연결어미). 심장을.
보차 주007)
보차:
보차-[攻] + -아(연결어미). 보채어. 성가시게 하여. 괴롭혀.
닶겨릴 주008)
닶겨릴:
닶기[悶] + -어(연결어미) + --(파생 접미사)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답답해하는 것을.
고툐 桃仁 주009)
도인(桃仁):
복숭아씨. 부록 참조.
을 더운 므레 것과 주010)
것과:
겇[皮] + -과(접속조사). 껍데기와.
부리 주011)
부리:
가장자리. 끄트머리[尖].
어우러 주012)
어우러:
어우[雙仁] + -이(접미사). 두쪽으로 된 씨.
앗고 桂心심 주013)
계심(桂心):
부록 참조.
菴䕡령子 주014)
암려자(菴䕡子):
부록 참조.
各각  兩량과 川大땡黃 주015)
천대황(川大黃):
부록 참조.
두 兩 사라 주016)
사라:
사-[剉] + -아(연결어미). 썰어.
져기 봇고니와 주017)
봇고니와:
-[炒]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볶은 것과.
蓮련 닙 줄기 세닐굽 주018)
세닐굽:
스물 하나.
낫과 디허 처 散산 라  服뽁애 주019)
복(服)애:
服 + -애(처격조사). ‘服’은 약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服’이라고 하면 한 번 먹을 분량을 이른다.
다 돈 주020)
곰:
-씩.
믈  큰 盞잔로 달혀 주021)
달혀:
달여[煎].
다 分분에 니르거든 朴팍硝 주022)
박초(朴硝):
부록 참조.
 分분 녀허 저 주023)
저:
젓-[攪] + -어(연결어미). 저어. 어간 ‘젓-’의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나 ‘’으로 되었다. ‘저’는 다음 단계에서 ‘’ 소실로 ‘저어’가 된다.
고게 주024)
고게:
고-[均] + -게(부사형 어미).
주025)
코:
-[爲하] + -고(연결어미). 하고. ‘고’에서 어간 ‘-’가 파열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ㅎ’으로 특수 교체가 일어났고, ‘ㅎ’은 다시 다음의 ‘-고’와 통합하여 ‘코’가 되었다.
空콩心심 주026)
공심(空心):
공복(空腹).
둘헤 주027)
둘헤:
둘ㅎ[二] + -에(처격조사). 둘에. 둘로.
화 머고 모딘 피 즈칄장 주028)
즈칄:
즈츼-[瀉] + -ㄹ(관형사형 어미) + -[至]. 설사할 정도까지.
라

맞아서 상처가 나매 엉긴 피가 배 안에 있어 심장을 괴롭혀 답답해하는 것을 고치려면 복숭아씨를 뜨거운 물에 불려 껍데기와 가장자리와 두 쪽으로 된 씨 등을 제거해 낸 것과 계심과 암려자 각각 한 냥과, 천대황 두 냥을 썰어 조금 볶은 것과, 연꽃 잎 줄기 스물 한 낱을 찧어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어 한 번 복용할 때마다 다섯 돈씩 물 한 큰 잔으로 달여 다섯 푼이 되거든 박초 한 푼을 넣고 저어 고르게 하고 공복에 둘로 나누어 먹되 나쁜 피가 설사로 나올 때까지 먹라.

又方
生地黃汁三合大黃一分剉碎微炒羅爲末右入酒三合相和微煖服之每日空心一服不過三日卽下惡血

生地띵黃 주029)
생지황(生地黃):
부록 참조.
汁집 서 홉과 주030)
서 홉과:
서[三] + 홉[合] + -과(접속조사). 세 홉과.
大땡黃 주031)
대황(大黃):
부록 참조.
 分분을 사

하19ㄱ

아 주032)
아:
-[碎] + -아(연결어미). 바수어. 빻아. 어간 ‘-’가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음 ‘’의 탈락이 일어나 ‘-’으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져기 봇가 디허 걸어 주033)
걸어:
거르-[濾] + -어(연결어미). 걸러. 어간 ‘거르-’의 말음 ‘으’가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하여 어간이 ‘걸-’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 니 주034)
니:
-[作]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목적격 조사). 만든 것을.
세 호 주035)
세 호:
세[三] + 홉[合] + -(목적격 조사). 세 홉을. 수관형사 ‘세’가 ‘서’로도 나타나고 있다.
녀허 섯거 져기 덥게 야 머구 주036)
머구:
먹-[服] + -우(연결어미). 먹되. 복용하되.
每日 空콩心심에  번 머그라 사 주037)
사:
사흘.
디나디 아니야셔 모딘 피 주038)
모딘 피:
모딜-[惡] + -ㄴ(관형사형 어미) + 피[血] + zero 주격조사. 죽은 피가.
리리라 주039)
리리라:
리-[下] + -리라(추정법 종결어미). 내릴 것이다. 나올 것이다.

또 생지황 즙 세 홉과 대황 한 푼을 썰고 빻아서 조금 볶아 찧은 다음 걸러서 가루로 만든 것에다 술 세 홉을 넣고 섞어 조금 따뜻하게 해서 먹되 매일 공복에 한 번 먹으라. 그러면 사흘이 지나지 않아서 죽은 피가 나올 것이다.

又方
川大黃一兩剉碎微炒桂心三分桃仁三分湯浸去皮尖雙仁麩炒微黃右擣細羅爲散每服以溫酒調下二錢日三四服

川大땡黃 주040)
천대황(川大黃):
부록 참조.
 兩량 사라 아 져기 봇니와 주041)
봇니와:
-[炒]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볶은 것과.
桂心심 주042)
계심(桂心):
부록 참조.
세 分분과 桃仁 주043)
도인(桃仁):
부록 참조.
세 分분을 더운 므레 불어 주044)
불어:
붇-[潤] + -어(연결어미). (물에) 불어. 동사 ‘붇다’는 ㄷ변칙 활용을 하므로 어간 말음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된다.
것과 부리와 어우러 앗고 기울와 주045)
기울와:
기울[麩] + -와(접속조사). 밀기울과.
봇가 져기 누르닐 주046)
누르닐:
누르-[黃]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누른 것을. 누레진 것을.
디허 리 처 散산 오  주047)
:
-[溫] + -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수레 두 돈곰 프러 머고  서너 번 머그라

또 천대황 한 냥을 썰고 빻아 조금 볶은 것과, 계심 세 푼과, 복숭아씨 세 푼을 뜨거운 물에 불려 껍데기와 부리와 두 쪽으로 된 씨 등을 제거하고 (이들을) 밀기울과 함께 볶아 조금 누레진 것을 찧어 가늘게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고 (이를) 따뜻한 술에 두 돈씩 풀어서 먹되 하루 서너 번 먹으라.

又方
治打撲傷

하19ㄴ

損疼痛大豆黃末水調塗之

 마자 傷야 알  고튜 콩 주048)
:
[大斗]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콩가루를. 관형격 조사 ‘-ㅅ’을 후행 명사의 어두에 병서하는 표기법을 선택하였다. 명사 ‘’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말음 ‘’가 탈락하여 ‘’로 비자동적 교체가 이루어졌다.
므레 라 라

또 맞아서 상처가 나 아픈 데를 고치려면 콩 가루를 물에 개어 바르라.

又方
治打傷內損腹中有瘀血疼痛煩悶 蒲黃 二兩 當歸 剉微炒 桂心 各一兩 右擣細羅爲散每服二錢以溫酒調下日三四服

 마자 안히 주049)
안히:
안ㅎ[內] + -이(주격조사). 안이. 속이.
傷샹야  안해 얼읜 피 여셔 (‘이셔’의 오각으로 보임) 알고 닶갑거든 蒲뽕黃 주050)
포항(蒲黃):
부록 참조.
두 兩량과 當歸귕 주051)
당귀(當歸):
부록 참조.
사라 져기 봇니와 桂心심 주052)
계심(桂心):
부록 참조.
各각  兩량 디허 리 처 散산 오 두 돈  수레 프러 주053)
프러:
플-[解] + -어(연결어미). 풀어. ‘플다 〉 풀다’는 원순모음화에 의한 것이다.
머구  서너 번 라

또 맞아서 속에 상처가 나 배 안에 엉긴 피가 있어서 아프고 답답하거든 포황 두 냥과, 당귀를 썰어 조금 볶은 것과 계심을 각각 한 냥을 모두 찧어 가늘게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고 두 돈을 따뜻한 술에 풀어서 먹되 하루에 서너 번 먹으라.

又方
劉寄奴 延胡索 骨碎補各一

하20ㄱ

右擣麁羅爲散分爲五服每服以水一小盞童子小便一小盞同煎至一盞去滓每於食前溫服

劉寄긩奴농 주054)
유기노(劉寄奴):
부록 참조.
延연胡索짝 주055)
연호색(延胡索):
부록 참조.
骨碎쇵補봉 주056)
골쇄보(骨碎補):
부록 참조.
各각  兩 디허 굵게 처 散산 라 다 服뽁 주057)
다 복(服):
다섯 번 복용할 분량.
에 호고 믈  져근 盞잔과 아 오좀  져근 盞잔과  달혀  盞잔이 외어든 즈 주058)
즈:
찌꺼기.
앗고 食씩前쪈에 시 주059)
시:
-[溫] + -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야 머그라

또 유기노와 연호색과 골쇄보 각각 한 냥을 찧어 굵은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어 다섯 번 복용할 분량으로 나누어 물 한 작은 잔과 아이의 오줌 한 작은 잔을 함께 달여 한 잔이 되거든 찌꺼기를 제거하고 식전에 따뜻하게 하여 먹으라.

又方
蝱虫一分牧丹皮 生地黃各一兩右擣細羅爲散每於食前以溫酒調下一錢

蝱虫뜡 주060)
맹충(蝱虫):
부록 참조.
 分분과 牧목丹단皮삥 주061)
목단피(牧丹皮):
부록 참조.
生地띵黃 주062)
생지황(生地黃):
부록 참조.
各각  兩

하20ㄴ

량 디허 리 처 散산 라 食씩前쩐에  수레  돈 프러 머그라

또 맹충 한 푼과 목단피와 생지황 각각 한 냥을 찧어 가늘게 체로 쳐 가루약을 만들어 식전에 따뜻한 술에 한 돈을 풀어서 먹으라.

又方
生地黃汁三合川大黃一分剉碎微炒羅爲末右入酒三合相和微溫頓服每日空心一服不過三日卽下惡血

 生地띵黃汁집 세 홉과 川大땡黃  分분 사라 아 주063)
아:
-[碎] + -아(연결어미). 바수어. 빻아.
져기 봇가 디허 걸어 주064)
걸어:
거르-[濾] + -어(연결어미). 걸러.
 오 술 세 호 드려 주065)
드려:
들-[入]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들이어. 넣어.
섯거 져기 게 주066)
게:
-[溫] + -게(부사형 어미). 따뜻하게. 어간 ‘-’의 ‘--’가 파열음 사이에서 Ø로 특수 교체가 일어난 형태이다. ‘溫’의 뜻으로 쓰이는 형용사가 ‘다, 다, 다’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야 다 머고 每日 空콩心심 주067)
공심(空心):
공복(空腹).
애  번 머고리니 사 디나디 아니야 모딘 피 리리라

또 생지황즙 세 홉과 천대황 한 푼을 썰고 빻아서 조금 볶아 찧은 다음 걸러서 가루를 만들고 (여기에다) 술 세 홉을 넣고 섞어 조금 따뜻하게 해서 다 먹되 매일 공복에 한 번 먹을 것이니 사흘이 지나지 않아 죽은 피가 나올 것이다.

經驗良方
治打撲出血悶絶小便灌之

마자 피 나

하21ㄱ

닶겨 주068)
닶겨:
닶기-[悶] + -어(연결어미). 답답해져. 이 문헌에서 자주 등장하는 ‘닶갑다’와 ‘닶기다’는 다같이 ’悶‘의 뜻으로 쓰인 말이나 전자는 형용사로, 후자는 동사로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氣킝絶닐 주069)
기절(氣絶)닐:
氣絶-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기절한 것을.
고튜 오좀로 저지라 주070)
저지라:
젖-[潤]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적시라.

맞아서 피가 나고 답답하여 기절한 것을 고치려면 오줌으로 적시라.

壽域神方
治打撲傷損遍身損痛瘀血入腹瘀痛脹滿 芭蕉根 生姜等分擂爛入香油半盞瓦銚內炒黃入酒熱服以柤貼痛處速飮數碗安退

마자 傷샹야 모미 두루 알며 얼읜 피 예 드러 脹滿만닐 주071)
창만(脹滿)닐:
脹滿-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배가 불룩해진 것을. ‘창만’은 배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속이 그득한 감이 있는 증상을 가리킨다.
고툐 芭蕉 주072)
파초(芭蕉):
부록 참조.
ㅅ 불휘와 生薑강 주073)
생강(生薑):
부록 참조.
 티 화 므르 라 주074)
므르라:
므르-[爛] + -[磨] + -아(연결어미). 곱게 갈아. 무르게 갈아.
기름 半반 盞잔 녀허 딜湯鑵관 주075)
딜탕관(湯鑵):
질그릇으로 된 탕관. ‘탕관’은 국을 끓이거나 약을 달일 때 쓰는 조그만한 그릇을 가리킨다.
애 봇가 누르거든 주076)
누르거든:
누르-[黃] + -거든(연결어미). 누렇게 되거든. 누레지거든.
수레 주077)
수레:
술[酒] + -에(처격조사). 술에.
녀허 더우닐 주078)
더우닐:
덥-[熱]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뜨거운 것을.
먹고 즈 주079)
즈:
찌꺼기. 이 문헌에서는 ‘즈, 의, 즛의’ 등의 표기가 혼용되고 있다.
 알  브튜리니 주080)
브튜리니:
븥-[附] + -이-(사동 접미사) + -우-(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붙일 것이니.
리 두 주081)
두:
두어[二三].
沙상鉢 주082)
사발(沙鉢):
사기로 만든 국그릇이나 밥그릇.
 머그면 便뼌安니라

맞아서 상처가 나 몸 전체가 아프며 엉긴 피가 배에 들어 배가 불룩해진 것을 고치려면 파초의 뿌리와 생강을 똑같이 나누어 곱게 갈아서 참기름 반 잔을 넣고 질그릇 탕관에 볶아 누레지거든 술에 넣어 뜨거운 것을 먹고 찌꺼기를 아픈 데 붙일 것이니 빨리 두어 사발을 먹으면 편안해진다.

하21ㄴ

方用赤葛根新者赤皮葱白二味等分先將赤葛根搗爛次下葱白硏爛入米醋少許火上炒赤色令溫調和敷患處爲妙

赤쳑葛 주083)
적갈(赤葛):
부록 참조.
ㅅ불휘 새와 주084)
새와:
새[新] + -와(접속 조사). 새 것과. ‘새’[新]가 현대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 관형사이나 중세 국어에서는 자립 형식인 명사로 쓰였다.
주085)
것:
겉[皮]. 원래의 형태는 ‘겇’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것’으로 자동적 교체가 일어난 것이다.
블근 주086)
블근:
븕-[赤] + -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팟 미 주087)
팟미:
파[葱] + -ㅅ(관형격 조사) + 밑[底] + -(목적격 조사). 파의 밑동을.
티 호고 몬져 주088)
몬져:
먼저.
赤쳑葛갏ㅅ 불휘 디허 므르거든 버거 주089)
버거:
다음.
파 녀허 라 므르거든 주090)
:
[米] + -ㅅ(관형격 조사). 쌀의.
醋총 져기 녀허 블 우희 봇고 비치 주091)
비치:
빛[色] + -이(주격조사). 빛이. 색깔이.
븕거든 게 주092)
게:
따뜻하게.
야 골아 주093)
골아:
고-[調]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알 브티면 됴니라

또 적갈의 뿌리 새 것과 겉이 붉은 파의 밑동을 똑같이 나눈 다음, 먼저 적갈의 뿌리를 찧어 무르게 되거든 다음으로 파를 넣어 갈아 무르게 하고 (이들에다) 쌀로 담근 식초를 조금 넣어 불 위에 볶되 색깔이 붉게 되거든 따뜻하게 해서 고르게 아픈 데를 붙이면 좋다.

又方
治杖瘡用赤小豆細嚼敷於患處妙

 매 마 주094)
마:
맞-[被打] + -(관형사형 어미). 맞은.
瘡 고튜  주095)
:
{ᄑᆞ/ㅅㄱ}[小豆] + -(목적격 조사). 팥을.
로니 주096)
로니:
곱게. 잘게.
시버 알  브티면 됴니라

또 매 맞은 상처를 고치려면 팥을 잘게 씹어 아픈 데에 붙이면 좋다.

又方
豆腐擂爛敷於患

하22ㄱ


豆腐뿡 주097)
두부(豆腐):
콩으로 만든 식품의 하나.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짜낸 콩물을 끓인 다음 간수를 넣어 엉기게 하여 만든다.
 므르 라 알  브티라

또 두부를 곱게 갈아 아픈 데에 붙이라.

又方
豆粉水調敷於患處妙

주098)
:
팥[小豆]. 원래의 형태는 ‘{ᄑᆞ/ㅅㄱ}’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말음의 제2자음인 ‘ㄱ’이 탈락하였다.
 주099)
:
[粉] + -(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의 형태로 교체되었다.
므레 라 알  브티면 됴니라

또 팥 가루를 물에 개어 아픈 데에 붙이면 좋다.

得效方
加味芎藭湯治打撲傷損敗血流入胃脘嘔黑血如豆汁 芎藭 當歸 白芍藥 百合水浸京芥穗右各等分剉散每服四錢水一盞酒半盞煎不以時服

加강味밍 주100)
가미(加味):
원약방문에 다른 약제를 더 넣음.
芎쿵藭꿍湯탕 주101)
궁궁탕(芎藭湯):
궁궁을 넣어서 만든 탕약. ‘궁궁’은 부록 참조.
 마자 傷야 야딘 주102)
야딘:
야디-[壞] + -ㄴ(관형사형 어미). 해어진. 썩은.
피 胃윙脘 주103)
위완(胃脘):
부록 참조.
애 드러 거믄 피 吐통호  汁집 닐 주104)
닐:
-(-, 同)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같은 것을.
고티니 芎쿵藭꿍과 當歸 주105)
당귀(當歸):
부록 참조.
白芍작藥약 주106)
백작약(白灼藥):
부록 참조.
百合 주107)
백합(百合):
부록 참조.
므레

하22ㄴ

저지니와 주108)
저지니와:
젖-[潤] + -이-(사동 접미사)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 조사). 적신 것과.
京芥갱穗 티 화 사라 散산 라  服뽁에 네 돈곰 믈  盞잔과 술 半반 盞잔과 글혀 時씽節 혜디 마오 머그라

다른 약재를 더 넣은 궁궁탕은 맞아서 상처가 나 썩은 피가 위완에 들어 검은 피를 토하되 팥의 즙 같이 된 것을 고치나니, 궁궁과 당귀와 백작약과 백합을 물에 적신 것과 경개수를 모두 똑같이 나누고 썰어서 가루약을 만들어 한 번 복용에 네 돈씩 물 한 잔과 술 반 잔으로 끓여 때를 가리지 말고 먹으라.

朱氏集驗方打撲傷損瘀血凝滯氣因不行關竅皆不通大便必閉壯者可服洗心散老弱者可服七聖檳榔元凡有此證須問臟府所打處疼痛若傷處大痛大便三二日不通然後可下前二藥若大便不閉傷處不甚猛痛則不可服宜沒藥乳香當歸

하23ㄱ

마자 傷야 얼읜 피 얼의며 주109)
얼의며:
얼의-[凝] + -며(연결어미). 엉기며.
氣킝分분이 녀디 주110)
녀디:
녀-[行] + -디(부사형 어미). 가지. 움직이지.
몯야 關관 주111)
관(關):
관맥. 부록 참조.
竅 주112)
규(竅):
구멍.
다 通통티 주113)
통(通)티:
通- + -디(부사형 어미). 통하지. 어간 ‘通-’의 ‘--’가 유성음과 파열음 사이에서 ‘’의 탈락으로 ‘ㅎ’만 남게 되고 다시 ‘ㅎ’은 그 다음의 ‘-디’와 합쳐 ‘-티’가 되었다.
몯 주114)
몯:
몯-[不] + -ㄹ(연결어미). 못하므로. 못하기에.
大땡便뼌이 막니 壯닌 주115)
장(壯)닌:
壯-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건장한 사람은.
細솅心심散산 주116)
세심산(細心散):
부록 참조.
 머구미 맛고 늘그니와 주117)
늘그니와:
늙-[老]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와(접속조사). 늙은 사람과.
弱닌 주118)
약(弱)닌:
약한 사람은.
七星檳빈榔 圓 주119)
칠성 빈랑원(七星 檳榔圓):
부록의 ‘빈랑’ 참조.
머고미 맛니 이 證이 주120)
증(證)이:
증후(證候)가. 기미가.
잇거든 모로매 주121)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臟府붕 주122)
장부(臟府):
오장육부.
마  알  무로리니 주123)
무로리나:
묻-[問] + -오-(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물을 것이니. 알아볼 것이니.
다가 傷處ㅣ 장 알며 大땡便뼌이 이사 주124)
이사:
이(二) + 사[三日]. 이삼일.
通통티 아니 後에 알 두 藥약 디니 주125)
디니:
-[用] + -우-(삽입모음) + -ㄹ(관형사형 어미) + (의존명사, 것) + -이니(서술격 조사). 쓸 것이니. 사용할 것이니.
다가 大땡便뼌이 막디 아니며 傷處ㅣ  이 주126)
이:
몹시. 매우.
알디 아니면 머고미 몯리니 沒藥약 주127)
몰약(沒藥):
부록 참조.
乳香향 주128)
유황(乳香):
부록 참조.
當歸귕 주129)
당귀(當歸):
부록 참조.
왜 마니라

맞아서 상처가 나 맺힌 피가 엉겨서 기운이 움직이지 못하여 관맥과 구멍이 다 통하지 못하므로 대변이 막히나니, 건장한 사람은 세심산을 먹음이 마땅하고 늙은 사람과 약한 사람은 칠성빈랑원을 먹음이 마땅하니, 이런 증후가 있으면 반드시 오장육부 가운데 맞은 곳과 아픈 데가 어디인지를 알아볼 것이다. 만일 상처가 크게 아프며 대변이 이삼일 나오지 않은 후이면 앞에서 든 두 가지 약을 사용할 것이며 만약 대변이 막히지 아니하고 상처가 아주 심하게 아프지 않다면 (앞의 약을) 먹지 말 것이니 (이때는) 몰약과 유황과 당귀가 적절하다.

又方
療打撲傷損自然銅有人飼折翅鴈後遂飛去今人打撲傷

하23ㄴ

損硏極細水飛過同當歸沒藥各半錢酒調服仍以手摩痛處

 마자 傷  고튜 自然銅똥 주130)
자연동(自然銅):
부록 참조.
  사미 개 것근 주131)
것근:
-[折] + -은(관형사형 어미). 꺾은.
그려기 주132)
그려기:
그려기[雁] + -(목적격 조사). 기러기를.
머기니 주133)
머기니:
먹-[食] + -이-(사동 접미사) + -니(연결어미). 먹이니.
後에 라가니 주134)
라가니:
-[飛] + -아(연결어미) + 가-[去] + -니(연결어미). 날아가니.
이젯 사미 마자 傷샹커든 주135)
상(傷)커든:
傷- + -거든(연결어미). 다치거든. 상하거든. 헐거든.
라 장 어든 주136)
어든:
-[細] + -거든(연결어미). 가늘거든. 가늘어지거든. 어간 말음 ‘ㄹ’로 인해 어미의 두음 ‘ㄱ’이 탈락하였다.
므레 여 주137)
여:
-[飛]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날려. 뿌려.
當歸귕와 沒藥약 各각 半반 돈  수레 프러 먹고 소로 주138)
소로:
손[手] + -로(도구격 조사). 손으로.
알  지니라 주139)
지니라:
만지-[摩] +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정법 종결어미). 만진다.

또 맞아서 상처가 난 것을 고치려면 한 사람이 자연동을 날개가 꺾인 기러기에게 먹였더니 그 후에 날아갔는데 지금의 사람이 맞아서 상처가 나거든 (자연동을) 갈아서 가장 가늘게 되었을 때 물에 뿌려서 먹으며 당귀와 몰약 각각 반 돈을 함께 술에 풀어서 먹고 손으로 아픈 곳을 만지도록 한다.

又方
治打損撲金瘡悶絶蒲黃末以熱酒調灌

 마자 傷며 金금瘡 주140)
금창(金瘡):
부록 참조.
이 닶가와 죽닐 주141)
죽닐:
죽-[死]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죽는 것을.
고튜 蒲뽕黃 주142)
포황(蒲黃):
부록 참조.
 더운 수레 프러 브라 주143)
브라:
븟-[注] + -으라(명령법 어미). 부으라. 어간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븟다 〉 붓다’는 원순모음화 현상에 의한 것이다.

또 맞아서 상처가 나며 금창 증세로 괴로워 죽게 되는 것을 고치려면 포황의 가루를 뜨거운 술에 풀어 (상처 위에) 부으라.

又方
淋過灰滓水調塗半寸收醋傾地上撩泥塗

하24ㄱ

生大黃末酒調塗

 믈 바톤 주144)
바톤:
밭-[濾]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밭은. 거른.
 므레 라 半반 寸촌 며 醋총  우희 븟고 주145)
븟고:
븟-[注] + -고(연결어미). 붓고.
 니겨 주146)
니겨:
니기-[爛] + -어(연결어미). 이겨. 물로 반죽하여.
며 生大땡黃 주147)
생대황(生大黃):
부록 참조.
ㅅ 수레 라 주148)
라:
-[水調] + -아(연결어미). (물에) 말아. 개어.
라

또 물로 거른 재를 물에 개어 반 촌(두께)으로 바르며 초를 땅 위에 붓고 흙을 이겨서 바르며 생대황 가루를 술에 개어 바르라.

又方
擣生地黃以米醋調傅瘡上

 生地띵黃 디허 醋총 주149)
 초(醋):
쌀초. 묵은 쌀로 담근 식초.
애 라 헌 우희 라

또 생지황을 찧어 쌀로 담근 초에 개어 상처 위에 바르라.

又方
用冷水麻油各一半打和如卵黃用雞毛拂之

 믈 주150)
믈:
찬물[冷水].
麻망油융 주151)
마유(麻油):
부록 참조.
各각  半반 주152)
반(半):
절반.
주153)
텨:
티-[打] + -어(연결어미). 쳐.
섯거 주154)
섯거:
-[合] + -어(연결어미). 섞어.
누른 것 주155)
누른 것:
(알의) 노란자.
거든  주156)
:
[鷄] + -(관형격 조사). 닭의.
지로 주157)
지로:
짗[羽] + -로(도구격 조사). 깃으로. 깃털로.
스스라 주158)
스스라:
슷-[拂] + -으라(명령법 어미). 문지르라. 스치라.

또 찬물과 마유를 각각 절반으로 쳐서 섞어 알의 노란자 같이 되거든 닭의 깃털로 문지르라.

衛生易簡方
治枚傷用黍米燒灰和油塗止痛不作瘢

마자 傷  고툐 기  주159)
기 :
기장쌀[黍米].
론  기르메 라 면

하24ㄴ

알포미 주160)
알포미:
알-[痛] + -옴(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아픔이. 고통이.
그츠며 주161)
그츠며:
긏-[止] + -으며(연결어미). 그치며.
허믈 주162)
허믈:
흉터.
짓디 아니니라

맞아서 상처난 데를 고치려면 기장쌀을 태운 재를 기름에 개어 바르면 아픔이 그치며 흉터도 생기지 아니한다.

又方
用五倍子去瓤米醋浸一日慢火炒爲末乾摻不破腫痛者以醋調傅

五倍子 주163)
오배자(五倍子):
부록 참조.
주164)
솝:
속[內].
앗고 醋애  주165)
:
[一日] + -(목적격 조사). 하루를. 명사 ‘’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나 명사 말음 ‘’의 탈락으로 ‘’이 되었으며 조사에도 ‘ㄹ’이 첨가되어 ‘-’이 되었다.
마 주166)
마:
-[沈] + -아(연결어미). 담가.
 브레 주167)
 브레:
-[慢] + -ㄴ(관형사형 어미) + 블[火] + -에(처격조사). 약한 불에. ‘ 블’은 약하지만 끊이지 않고 꾸준히 타는 불을 말한다.
봇가  라 닐 호 주168)
호:
-[撒] + -오(연결어미). 뿌리되.
야디디 주169)
야디디:
해어지지. 헐지.
아니코 브 주170)
브:
부어[腫].
알닌 주171)
알닌:
알-[痛]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아픈 사람은.
醋총애 라 브티라

또 오배자를 속을 제거하고 나서 쌀로 담근 초에 하루를 담갔다가 약한 불에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마른 것을 뿌리되, 헐지 아니하고 부어 아픈 사람은 초에 개어 붙이라.

又方
用雄黃二分無名異一分細硏水調傅極効

雄黃 주172)
웅황(雄黃):
부록 참조.
두 分분과 無뭉名異잉 주173)
무명이(無名異):
부록 참조.
 分분을 리 주174)
리:
가늘게.
라 므레 라 브티면  됴니라

또 웅황 두 푼과 무명이 한 푼을 가늘게 갈아서 물에 개어 붙이면 가장 좋다.

又方
治枚瘡腫痛用大黃黃蓮黃蘗黃芩各三錢乳香沒藥各一

하25ㄱ

錢別硏腦子少許爲末冷水調勻攤緋絹上貼瘡

 마자 헌  브 알  고튜 大땡黃 주175)
대황(大黃):
부록 참조.
黃蓮련 주176)
황련(黃蓮):
부록 참조.
黃蘗 주177)
황벽(黃蘗):
부록 참조.
黃芩끔 주178)
황금(黃芩):
부록 참조.
各각 세 돈과 乳香 주179)
유황(乳香):
부록 참조.
沒藥약 주180)
몰약(沒藥):
부록 참조.
各각  돈과 腦子 주181)
뇌자(腦子):
부록 참조.
 져기 各각別히 라 細솅末고  므레 라 골아 주182)
골아:
고-[均]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블근 주183)
깁:
비단.
우희 주184)
펴:
펴-[展] + -어(연결어미). 펴서.
헌  브티라

또 맞아서 상처난 데가 부어 아픈 곳을 고치려면 대황과 황련과 황벽과 황금 각각 서 돈과 유향과 몰약 각각 한 돈과 뇌자를 조금씩 각각 갈아 곱게 가루로 만들고 (이를) 찬물에 개어 고르게 붉은 비단 위에 펴서 상처난 데 붙이라.

又方
枚瘡熱毒疼痛用黃丹一兩蜜陀僧半兩輕粉一錢半射半錢龍腦一字爲末摻瘡上以靑帛蒙之中留一竅

 마자 헌  덥달며 주185)
덥달며:
덥달-[熱] + -며(연결어미). 덥게 달며. 몹시 열이 나며.
알거든 黃丹단 주186)
황단(黃丹):
부록 참조.
 兩과 蜜陀땅僧 주187)
밀타승(蜜陀僧):
부록 참조.
半반 兩과 輕粉분 주188)
경분(輕粉):
부록 참조.
 돈 半반과

하25ㄴ

射썅香 주189)
사향(射香):
부록 참조.
半반 돈과 龍腦 주190)
용뇌(龍腦):
부록 참조.
 字 주191)
자(字):
무게의 단위. 부록 참조.
 細솅末야 헌 우희 코 주192)
코:
-[撒] + -고(연결어미). 뿌리고.
프른 기브로 둡고 주193)
둡고:
둪-[覆] + -고(연결어미). 덮고. 이 문헌에서는 ‘둪다’와 함께 ‘덮다’도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더퍼’(하 61ㄴ).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둪다’만 보인다.
가온  굼글 주194)
굼글:
구무[穴] + -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명사 ‘구무’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특수한 교체를 하였는데, 명사 말음 ‘우’가 탈락하고 다시 ‘ㄱ’이 첨가되어 ‘’으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구무’에 모음의 조사가 붙은 형태는 ‘굼기, 굼글, 굼긔, 굼그로’ 등으로 쓰였다.
두라

또 맞아서 상처난 데가 몹시 열이 나며 아프거든 황단 한 냥과 밀타승 반 냥과 경분 한 돈 반과 사향 반 돈과 용뇌 한 자(1그램)를 곱게 가루로 갈아 상처난 데 위에 뿌리고 푸른 깁으로 덮되 그 가운데에 구멍을 하나 뚫어 두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자:맞-[被打] + -아(연결어미). 맞아.
주002)
얼읜:얼의-[凝] + -ㄴ(관형사형 어미). 엉긴. ‘얼읜 피’는 瘀血을 말한다.
주003)
:배[腹].
주004)
안해:안ㅎ[內] + -애(처격조사). 안에. ‘안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05)
이셔:이시-[有] + -어(연결어미). 있어.
주006)
:[心] + -(연결어미). 심장을.
주007)
보차:보차-[攻] + -아(연결어미). 보채어. 성가시게 하여. 괴롭혀.
주008)
닶겨릴:닶기[悶] + -어(연결어미) + --(파생 접미사)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답답해하는 것을.
주009)
도인(桃仁):복숭아씨. 부록 참조.
주010)
것과:겇[皮] + -과(접속조사). 껍데기와.
주011)
부리:가장자리. 끄트머리[尖].
주012)
어우러:어우[雙仁] + -이(접미사). 두쪽으로 된 씨.
주013)
계심(桂心):부록 참조.
주014)
암려자(菴䕡子):부록 참조.
주015)
천대황(川大黃):부록 참조.
주016)
사라:사-[剉] + -아(연결어미). 썰어.
주017)
봇고니와:-[炒]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볶은 것과.
주018)
세닐굽:스물 하나.
주019)
복(服)애:服 + -애(처격조사). ‘服’은 약의 분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 服’이라고 하면 한 번 먹을 분량을 이른다.
주020)
곰:-씩.
주021)
달혀:달여[煎].
주022)
박초(朴硝):부록 참조.
주023)
저:젓-[攪] + -어(연결어미). 저어. 어간 ‘젓-’의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나 ‘’으로 되었다. ‘저’는 다음 단계에서 ‘’ 소실로 ‘저어’가 된다.
주024)
고게:고-[均] + -게(부사형 어미).
주025)
코:-[爲하] + -고(연결어미). 하고. ‘고’에서 어간 ‘-’가 파열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ㅎ’으로 특수 교체가 일어났고, ‘ㅎ’은 다시 다음의 ‘-고’와 통합하여 ‘코’가 되었다.
주026)
공심(空心):공복(空腹).
주027)
둘헤:둘ㅎ[二] + -에(처격조사). 둘에. 둘로.
주028)
즈칄:즈츼-[瀉] + -ㄹ(관형사형 어미) + -[至]. 설사할 정도까지.
주029)
생지황(生地黃):부록 참조.
주030)
서 홉과:서[三] + 홉[合] + -과(접속조사). 세 홉과.
주031)
대황(大黃):부록 참조.
주032)
아:-[碎] + -아(연결어미). 바수어. 빻아. 어간 ‘-’가 모음 어미 앞에서 어간 말음 ‘’의 탈락이 일어나 ‘-’으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주033)
걸어:거르-[濾] + -어(연결어미). 걸러. 어간 ‘거르-’의 말음 ‘으’가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하여 어간이 ‘걸-’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주034)
니:-[作]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목적격 조사). 만든 것을.
주035)
세 호:세[三] + 홉[合] + -(목적격 조사). 세 홉을. 수관형사 ‘세’가 ‘서’로도 나타나고 있다.
주036)
머구:먹-[服] + -우(연결어미). 먹되. 복용하되.
주037)
사:사흘.
주038)
모딘 피:모딜-[惡] + -ㄴ(관형사형 어미) + 피[血] + zero 주격조사. 죽은 피가.
주039)
리리라:리-[下] + -리라(추정법 종결어미). 내릴 것이다. 나올 것이다.
주040)
천대황(川大黃):부록 참조.
주041)
봇니와:-[炒]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볶은 것과.
주042)
계심(桂心):부록 참조.
주043)
도인(桃仁):부록 참조.
주044)
불어:붇-[潤] + -어(연결어미). (물에) 불어. 동사 ‘붇다’는 ㄷ변칙 활용을 하므로 어간 말음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교체된다.
주045)
기울와:기울[麩] + -와(접속조사). 밀기울과.
주046)
누르닐:누르-[黃]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누른 것을. 누레진 것을.
주047)
:-[溫] + -ㄴ(관형사형 어미). 따뜻한.
주048)
:[大斗]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콩가루를. 관형격 조사 ‘-ㅅ’을 후행 명사의 어두에 병서하는 표기법을 선택하였다. 명사 ‘’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말음 ‘’가 탈락하여 ‘’로 비자동적 교체가 이루어졌다.
주049)
안히:안ㅎ[內] + -이(주격조사). 안이. 속이.
주050)
포항(蒲黃):부록 참조.
주051)
당귀(當歸):부록 참조.
주052)
계심(桂心):부록 참조.
주053)
프러:플-[解] + -어(연결어미). 풀어. ‘플다 〉 풀다’는 원순모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54)
유기노(劉寄奴):부록 참조.
주055)
연호색(延胡索):부록 참조.
주056)
골쇄보(骨碎補):부록 참조.
주057)
다 복(服):다섯 번 복용할 분량.
주058)
즈:찌꺼기.
주059)
시:-[溫] + -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주060)
맹충(蝱虫):부록 참조.
주061)
목단피(牧丹皮):부록 참조.
주062)
생지황(生地黃):부록 참조.
주063)
아:-[碎] + -아(연결어미). 바수어. 빻아.
주064)
걸어:거르-[濾] + -어(연결어미). 걸러.
주065)
드려:들-[入]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들이어. 넣어.
주066)
게:-[溫] + -게(부사형 어미). 따뜻하게. 어간 ‘-’의 ‘--’가 파열음 사이에서 Ø로 특수 교체가 일어난 형태이다. ‘溫’의 뜻으로 쓰이는 형용사가 ‘다, 다, 다’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067)
공심(空心):공복(空腹).
주068)
닶겨:닶기-[悶] + -어(연결어미). 답답해져. 이 문헌에서 자주 등장하는 ‘닶갑다’와 ‘닶기다’는 다같이 ’悶‘의 뜻으로 쓰인 말이나 전자는 형용사로, 후자는 동사로 쓰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주069)
기절(氣絶)닐:氣絶-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기절한 것을.
주070)
저지라:젖-[潤]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적시라.
주071)
창만(脹滿)닐:脹滿-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배가 불룩해진 것을. ‘창만’은 배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속이 그득한 감이 있는 증상을 가리킨다.
주072)
파초(芭蕉):부록 참조.
주073)
생강(生薑):부록 참조.
주074)
므르라:므르-[爛] + -[磨] + -아(연결어미). 곱게 갈아. 무르게 갈아.
주075)
딜탕관(湯鑵):질그릇으로 된 탕관. ‘탕관’은 국을 끓이거나 약을 달일 때 쓰는 조그만한 그릇을 가리킨다.
주076)
누르거든:누르-[黃] + -거든(연결어미). 누렇게 되거든. 누레지거든.
주077)
수레:술[酒] + -에(처격조사). 술에.
주078)
더우닐:덥-[熱]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 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뜨거운 것을.
주079)
즈:찌꺼기. 이 문헌에서는 ‘즈, 의, 즛의’ 등의 표기가 혼용되고 있다.
주080)
브튜리니:븥-[附] + -이-(사동 접미사) + -우-(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붙일 것이니.
주081)
두:두어[二三].
주082)
사발(沙鉢):사기로 만든 국그릇이나 밥그릇.
주083)
적갈(赤葛):부록 참조.
주084)
새와:새[新] + -와(접속 조사). 새 것과. ‘새’[新]가 현대어에서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 관형사이나 중세 국어에서는 자립 형식인 명사로 쓰였다.
주085)
것:겉[皮]. 원래의 형태는 ‘겇’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것’으로 자동적 교체가 일어난 것이다.
주086)
블근:븕-[赤] + -은(관형사형 어미). 붉은.
주087)
팟미:파[葱] + -ㅅ(관형격 조사) + 밑[底] + -(목적격 조사). 파의 밑동을.
주088)
몬져:먼저.
주089)
버거:다음.
주090)
:[米] + -ㅅ(관형격 조사). 쌀의.
주091)
비치:빛[色] + -이(주격조사). 빛이. 색깔이.
주092)
게:따뜻하게.
주093)
골아:고-[調]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주094)
마:맞-[被打] + -(관형사형 어미). 맞은.
주095)
:{ᄑᆞ/ㅅㄱ}[小豆] + -(목적격 조사). 팥을.
주096)
로니:곱게. 잘게.
주097)
두부(豆腐):콩으로 만든 식품의 하나.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짜낸 콩물을 끓인 다음 간수를 넣어 엉기게 하여 만든다.
주098)
:팥[小豆]. 원래의 형태는 ‘{ᄑᆞ/ㅅㄱ}’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말음의 제2자음인 ‘ㄱ’이 탈락하였다.
주099)
:[粉] + -(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의 형태로 교체되었다.
주100)
가미(加味):원약방문에 다른 약제를 더 넣음.
주101)
궁궁탕(芎藭湯):궁궁을 넣어서 만든 탕약. ‘궁궁’은 부록 참조.
주102)
야딘:야디-[壞] + -ㄴ(관형사형 어미). 해어진. 썩은.
주103)
위완(胃脘):부록 참조.
주104)
닐:-(-, 同)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같은 것을.
주105)
당귀(當歸):부록 참조.
주106)
백작약(白灼藥):부록 참조.
주107)
백합(百合):부록 참조.
주108)
저지니와:젖-[潤] + -이-(사동 접미사)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 조사). 적신 것과.
주109)
얼의며:얼의-[凝] + -며(연결어미). 엉기며.
주110)
녀디:녀-[行] + -디(부사형 어미). 가지. 움직이지.
주111)
관(關):관맥. 부록 참조.
주112)
규(竅):구멍.
주113)
통(通)티:通- + -디(부사형 어미). 통하지. 어간 ‘通-’의 ‘--’가 유성음과 파열음 사이에서 ‘’의 탈락으로 ‘ㅎ’만 남게 되고 다시 ‘ㅎ’은 그 다음의 ‘-디’와 합쳐 ‘-티’가 되었다.
주114)
몯:몯-[不] + -ㄹ(연결어미). 못하므로. 못하기에.
주115)
장(壯)닌:壯-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건장한 사람은.
주116)
세심산(細心散):부록 참조.
주117)
늘그니와:늙-[老]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와(접속조사). 늙은 사람과.
주118)
약(弱)닌:약한 사람은.
주119)
칠성 빈랑원(七星 檳榔圓):부록의 ‘빈랑’ 참조.
주120)
증(證)이:증후(證候)가. 기미가.
주121)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122)
장부(臟府):오장육부.
주123)
무로리나:묻-[問] + -오-(삽입모음) + -리니(추정법 연결어미). 물을 것이니. 알아볼 것이니.
주124)
이사:이(二) + 사[三日]. 이삼일.
주125)
디니:-[用] + -우-(삽입모음) + -ㄹ(관형사형 어미) + (의존명사, 것) + -이니(서술격 조사). 쓸 것이니. 사용할 것이니.
주126)
이:몹시. 매우.
주127)
몰약(沒藥):부록 참조.
주128)
유황(乳香):부록 참조.
주129)
당귀(當歸):부록 참조.
주130)
자연동(自然銅):부록 참조.
주131)
것근:-[折] + -은(관형사형 어미). 꺾은.
주132)
그려기:그려기[雁] + -(목적격 조사). 기러기를.
주133)
머기니:먹-[食] + -이-(사동 접미사) + -니(연결어미). 먹이니.
주134)
라가니:-[飛] + -아(연결어미) + 가-[去] + -니(연결어미). 날아가니.
주135)
상(傷)커든:傷- + -거든(연결어미). 다치거든. 상하거든. 헐거든.
주136)
어든:-[細] + -거든(연결어미). 가늘거든. 가늘어지거든. 어간 말음 ‘ㄹ’로 인해 어미의 두음 ‘ㄱ’이 탈락하였다.
주137)
여:-[飛]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날려. 뿌려.
주138)
소로:손[手] + -로(도구격 조사). 손으로.
주139)
지니라:만지-[摩] +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정법 종결어미). 만진다.
주140)
금창(金瘡):부록 참조.
주141)
죽닐:죽-[死]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죽는 것을.
주142)
포황(蒲黃):부록 참조.
주143)
브라:븟-[注] + -으라(명령법 어미). 부으라. 어간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븟다 〉 붓다’는 원순모음화 현상에 의한 것이다.
주144)
바톤:밭-[濾]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밭은. 거른.
주145)
븟고:븟-[注] + -고(연결어미). 붓고.
주146)
니겨:니기-[爛] + -어(연결어미). 이겨. 물로 반죽하여.
주147)
생대황(生大黃):부록 참조.
주148)
라:-[水調] + -아(연결어미). (물에) 말아. 개어.
주149)
 초(醋):쌀초. 묵은 쌀로 담근 식초.
주150)
믈:찬물[冷水].
주151)
마유(麻油):부록 참조.
주152)
반(半):절반.
주153)
텨:티-[打] + -어(연결어미). 쳐.
주154)
섯거:-[合] + -어(연결어미). 섞어.
주155)
누른 것:(알의) 노란자.
주156)
:[鷄] + -(관형격 조사). 닭의.
주157)
지로:짗[羽] + -로(도구격 조사). 깃으로. 깃털로.
주158)
스스라:슷-[拂] + -으라(명령법 어미). 문지르라. 스치라.
주159)
기 :기장쌀[黍米].
주160)
알포미:알-[痛] + -옴(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아픔이. 고통이.
주161)
그츠며:긏-[止] + -으며(연결어미). 그치며.
주162)
허믈:흉터.
주163)
오배자(五倍子):부록 참조.
주164)
솝:속[內].
주165)
:[一日] + -(목적격 조사). 하루를. 명사 ‘’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나 명사 말음 ‘’의 탈락으로 ‘’이 되었으며 조사에도 ‘ㄹ’이 첨가되어 ‘-’이 되었다.
주166)
마:-[沈] + -아(연결어미). 담가.
주167)
 브레:-[慢] + -ㄴ(관형사형 어미) + 블[火] + -에(처격조사). 약한 불에. ‘ 블’은 약하지만 끊이지 않고 꾸준히 타는 불을 말한다.
주168)
호:-[撒] + -오(연결어미). 뿌리되.
주169)
야디디:해어지지. 헐지.
주170)
브:부어[腫].
주171)
알닌:알-[痛]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아픈 사람은.
주172)
웅황(雄黃):부록 참조.
주173)
무명이(無名異):부록 참조.
주174)
리:가늘게.
주175)
대황(大黃):부록 참조.
주176)
황련(黃蓮):부록 참조.
주177)
황벽(黃蘗):부록 참조.
주178)
황금(黃芩):부록 참조.
주179)
유황(乳香):부록 참조.
주180)
몰약(沒藥):부록 참조.
주181)
뇌자(腦子):부록 참조.
주182)
골아:고-[均]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주183)
깁:비단.
주184)
펴:펴-[展] + -어(연결어미). 펴서.
주185)
덥달며:덥달-[熱] + -며(연결어미). 덥게 달며. 몹시 열이 나며.
주186)
황단(黃丹):부록 참조.
주187)
밀타승(蜜陀僧):부록 참조.
주188)
경분(輕粉):부록 참조.
주189)
사향(射香):부록 참조.
주190)
용뇌(龍腦):부록 참조.
주191)
자(字):무게의 단위. 부록 참조.
주192)
코:-[撒] + -고(연결어미). 뿌리고.
주193)
둡고:둪-[覆] + -고(연결어미). 덮고. 이 문헌에서는 ‘둪다’와 함께 ‘덮다’도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더퍼’(하 61ㄴ).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둪다’만 보인다.
주194)
굼글:구무[穴] + -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명사 ‘구무’는 모음의 조사 앞에서 특수한 교체를 하였는데, 명사 말음 ‘우’가 탈락하고 다시 ‘ㄱ’이 첨가되어 ‘’으로 바뀌었다. 그리하여 ‘구무’에 모음의 조사가 붙은 형태는 ‘굼기, 굼글, 굼긔, 굼그로’ 등으로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