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28. 균독(二十八菌毒)
메뉴닫기 메뉴열기

28. 균독(二十八菌毒)


菌毒第二十八
千金方
治山中樹菌中毒人屎汁服一升良

山산中엣 남긧 주001)
남긧:
나모[木]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나무의.
버스세 주002)
버스세:
버슷[菌] + -에(처격조사). 버섯에.
毒독 마닐 고튜 사  汁집  되 머그면 됴리라

산속에 있는 나무의 버섯으로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사람의 똥물 한 되를 먹으면 좋을 것이다.

經驗良方
治中蕈毒同菰毒 左纏籐本草名忍冬取枝根煎汁服

버슷 毒독 마닐 고튜 忍冬草 주003)
인동초(忍冬草):
부록 참조.
가지와 불휘와 달혀 汁집을 取츙야 머그라

버섯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인동초 가지와 뿌리를 달여 즙을 내어 먹으라.

又方
治菌毒卽菰是也

하48ㄱ

山谷間多生種類不同食者能殺人盖蛇虫毒氣所薰蒸也其治法堀井以冷水攪之令濁少頃取水飮之可解亦治楓樹菌食之令人笑不止

 버스슨 묏곬 주004)
묏곬:
뫼[山] + -ㅅ(관형격 조사) + 골[谷] + -ㅅ(관형격 조사). 산골짜기의.
예 여러 가짓 거시 주005)
해:
하-[多] + -이(부사 접미사). 많이.
나니 머그면 사미 죽니 이 야 주006)
야:
얌[蛇] + -(관형격 조사). 뱀의.
毒독 氣킝分분이 쇠여실니 주007)
쇠여실니:
쇠-[燻] + -어(연결어미) + 시-(‘이시-’의 준말, 有) + -ㄹ(연결어미) + -이니(서술격 조사). 쐬어 있기 때문이니. 배어 있기 때문이니.
그 고틸 法법은 우믈 고  믈로 저 주008)
저:
젓-[攪] + -어(연결어미). 저어. 동사 ‘젓다’의 어간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으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흐리거든 이야 주009)
이야:
이-[少頃] + -아(연결어미). 오래지 아니하여.
그 므를 머그면 됴리라  싣남긧 주010)
싣남긧:
싣나모[楓] + -읫(처소 관형격 조사). 신나무의. 단풍나무의.
버슷 먹고 우믈 주011)
우믈:
웃-[笑]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웃음을.
그치디 몯 사 고티니라

또 버섯은 산골짜기 사이에 여러 종류가 많이 자라는데 먹으면 사람이 죽나니 이는 뱀의 독한 기운이 배어 있기 때문이며 그 고치는 법은 우물을 파서 솟아나는 찬물을 저어 흐리거든 조금 있다가 그 물을 먹으면 좋을 것이다. 또 단풍나무의 버섯을 먹고 웃음을 멈추지 못하는 사람을 고친다.

聖濟緫錄
治食諸蕈井菌中毒 生薑細切硏

하48ㄴ

豆醬 各四兩 麻油 二兩 右和硏勻楪丈甲時列二切盛甑上蒸一炊許時取出不拘時服之諸毒立解

여러 가짓 버슷 먹고 毒독 마닐 고튜 生薑을 리 사라 오 주012)
오:
-[磨] + -고(연결어미). 갈고. 어간 말음 ‘ㄹ’ 아래서 ‘ㄱ’이 탈락하였다.
豆醬 주013)
두장(豆醬):
콩장.
各각 넉 兩과 麻망油 주014)
마유(麻油):
삼씨 기름. 부록 참조.
두 兩과 섯거 라 골와 주015)
골와:
고-[均] + -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시르 주016)
시르:
시루[甑].
우희 다마  솓 밥 지 만 주017)
만:
때만큼.
내야 주018)
내야:
떠내어.
時씽節 혜디 말오 머그면 諸졍毒독이 즉재 업스리라

여러 가지의 버섯을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생강을 가늘게 썰어 간 것과 콩장 각각 넉 냥과 삼씨기름 두 냥을 섞어 갈아 고르게 하여 시루 위에 담아 한 솥 밥 지을 때만큼 쪄서 떠내어 때를 가리지 말고 먹으면 여러 가지 독이 즉시 없어질 것이다.

朱氏集驗方
治菰菌毒茱萸煎湯服吐下解

버슷 毒독 고튜 茱슁萸융 주019)
수유(茱萸):
부록 참조.
 달혀 더우닐 주020)
더우닐:
덥-[熱]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더운 것을. 뜨거운 것을.
먹고 吐통면 됴리라

버섯 독을 고치려면 수유를 달여 뜨거운 것을 먹고 토하면 좋을 것이다.

又方
熟艾煮服三五盞

니근 주021)
니근:
닉-[熟] + -은(관형사형 어미). 찧은. 『구급간이방』(6:32ㄴ)에는 ‘熟艾’(숙예)를 ‘디흔 ’으로 풀이해 놓고 있다.
글 주022)
글:
[艾] + -을(목적격 조사). 쑥을.
달혀 세다 잔 머그라

또 찧은 쑥을 달여 석 잔이나 다섯 잔을 먹으라.

하49ㄱ

犬頸下取熱血灌之雄雞血亦可

가 주023)
가:
가히[犬] + -(관형격 조사). 개의.
목 아래 더운 피 取츙야 머그라 수 주024)
수:
수ㅎ[雄] + [鷄] + -(관형격 조사). 수탉의.
피도 됴니라

또 개의 목 아래에서 뜨거운 피를 내어 먹으라. 수탉의 피도 좋다.

鄕藥救急方
治食蕈{茸+星}中毒生苽少許和油食之

버슷 먹고 中듕毒독닐 고튜 외 주025)
 외:
[生] + 외[苽]. 생 오이.
 져기 기르메 섯거 머그라

버섯 먹고 중독된 것을 고치려면 생 오이를 조금 기름에 섞어 먹으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긧:나모[木]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나무의.
주002)
버스세:버슷[菌] + -에(처격조사). 버섯에.
주003)
인동초(忍冬草):부록 참조.
주004)
묏곬:뫼[山] + -ㅅ(관형격 조사) + 골[谷] + -ㅅ(관형격 조사). 산골짜기의.
주005)
해:하-[多] + -이(부사 접미사). 많이.
주006)
야:얌[蛇] + -(관형격 조사). 뱀의.
주007)
쇠여실니:쇠-[燻] + -어(연결어미) + 시-(‘이시-’의 준말, 有) + -ㄹ(연결어미) + -이니(서술격 조사). 쐬어 있기 때문이니. 배어 있기 때문이니.
주008)
저:젓-[攪] + -어(연결어미). 저어. 동사 ‘젓다’의 어간 말음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으로 비자동적 교체가 일어났다.
주009)
이야:이-[少頃] + -아(연결어미). 오래지 아니하여.
주010)
싣남긧:싣나모[楓] + -읫(처소 관형격 조사). 신나무의. 단풍나무의.
주011)
우믈:웃-[笑]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웃음을.
주012)
오:-[磨] + -고(연결어미). 갈고. 어간 말음 ‘ㄹ’ 아래서 ‘ㄱ’이 탈락하였다.
주013)
두장(豆醬):콩장.
주014)
마유(麻油):삼씨 기름. 부록 참조.
주015)
골와:고-[均] + -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고르게 하여.
주016)
시르:시루[甑].
주017)
만:때만큼.
주018)
내야:떠내어.
주019)
수유(茱萸):부록 참조.
주020)
더우닐:덥-[熱]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더운 것을. 뜨거운 것을.
주021)
니근:닉-[熟] + -은(관형사형 어미). 찧은. 『구급간이방』(6:32ㄴ)에는 ‘熟艾’(숙예)를 ‘디흔 ’으로 풀이해 놓고 있다.
주022)
글:[艾] + -을(목적격 조사). 쑥을.
주023)
가:가히[犬] + -(관형격 조사). 개의.
주024)
수:수ㅎ[雄] + [鷄] + -(관형격 조사). 수탉의.
주025)
 외:[生] + 외[苽]. 생 오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