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29. 중비상독(二十九中砒礵毒 제약독병식독부(諸藥毒幷食毒附))
메뉴닫기 메뉴열기

29. 중비상독(二十九中砒礵毒 제약독병식독부(諸藥毒幷食毒附))


中砒礵毒第二十九 諸藥毒幷食毒附
經驗良方
其證煩燥如狂心腹攪痛頭旋欲吐不吐面口靑黑四肢逆冷命在須臾黑鈆四兩磨水一椀灌之

證 주001)
중(證):
(병의) 증세. 증후.
안히 주002)
안히:
안ㅎ[內] + -이(주격조사). 속이.
어즈러워 미친 야

하49ㄴ

주003)
:
심장. 속.
과 왜 섯알고 주004)
섯알고:
-[混] + 알-[痛] + -고(연결어미). 번갈아 아프고. 마구 아프고.
머리 어즐야 吐코져 호 吐티 몯고 과 입과 검프르고 발와 손괘 왜트러 주005)
왜트러:
왜틀-[逆] + -어(연결어미). 비틀려.
주006)
차:
-[冷] + -아(연결어미). 차가워져.
주거 가거든 黑흑鈆 주007)
흑연(黑鈆):
부록 참조.
넉 兩 므레 라  보 주008)
보:
사발. 보시기.
 머기라

그 증세가 속이 어지럽고 미친 듯하여 심장과 배가 함께 아프고 머리가 어질하여 토하고자 하되 토하지 못하며 얼굴과 입이 검푸러지고 발과 손이 비틀리고 차가워져 죽어 가거든 흑연 넉 냥을 물에 갈아 한 사발을 먹이라.

如無前藥用靑藍兩握細硏以井水調一椀灌之

藥약곳 주009)
약(藥)곳:
약이. ‘-곳’은 강세 조사이다.
업거든 프른 주010)
족:
쪽[藍]. 부록 참조.
주믈 주011)
주믈:
줌[握] + -을(목적격 조사). 줌을. 주먹을.
리 라 우므렛 믈로 프러  보 머기라

이 약이 없거든 푸른 쪽(풀) 두 줌을 가늘게 갈아서 우물의 물에 풀어 한 사발을 먹이라.

又無靑藍用淸麻油二升許灌服其毒卽解

프른 족곳 업거든  주012)
:
-[淸] + -(관형사형 어미). 맑은.
麻망油 두 되 머그면 그 毒독이 즉재 업스리라

푸른 쪽(풀)이 없거든 맑은 삼씨기름 두 되를 먹으면 그 독이 즉시 없어질 것이다.

又無淸油掘地用水作漿濃喫一二椀其土黃色者佳

 麻망油옷 업거든  주013)
파:
-[掘] + -아(연결어미). (땅을) 파서.

하50ㄱ

漿 주014)
장(漿):
미음. 부록의 ‘漿水(장수)’ 참조.
 지 걸에 주015)
걸에:
걸-[濃] + -게(부사형 어미). 걸쭉하게. 진하게.
야 두 보 머기라 그 기 주016)
기:
[土] + -이(주격조사). 흙이.
누른 비치 됴니라

맑은 삼씨기름이 없거든 땅을 파서 얻은 물로 미음을 만들어 걸쭉하게 하여 한두 사발을 먹이라. 그런데 그 흙이 누른 빛 흙이라야 좋을 것이다.

又方
豆豉濃煎湯灌下立解

젼국 주017)
젼국:
부록 참조.
을 걸에 달혀 더우닐 머그면 곧 됴리라

또 약전국을 걸쭉하게 달여 뜨거운 것을 먹으면 곧 좋을 것이다.

又方
解巴豆毒其證口渴兩臉赤五心熱痢不止諸藥不効芭蕉根葉硏取自然汁服痢止而安

巴방豆 주018)
파두(巴豆):
부록 참조.
ㅅ 毒독 마자 그 證이 이비 고 두 미 주019)
미:
[臉] + -이(주격조사). 뺨이.
븕고 손과 발와 괘 더워 즈츼유미 주020)
즈츼유미:
즈츼-[痢] + -움(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설사하는 것이.
긋디 아니고 여러 藥약로 됴티 몯릴 고튜 芭방蕉 주021)
파초(芭蕉):
부록 참조.
ㅅ 불휘와 닙과 라 自然汁집 取츙야 머그면 즈츼유미 긋고 주022)
긋고:
긏-[止] + -고(연결어미). 그치고.
便뻔安리라

또 파두의 독이 올라서 그 증세가 입이 마르고 두 뺨이 붉으며 손과 발과 심장이 뜨겁고 설사가 그치지 아니하며 여러 약으로 하여도 좋아지지 않는 것을 고치려면 파초의 뿌리와 잎을 갈아 자연즙을 내어 먹으면 설사가 그치고 편안해질 것이다.

하50ㄴ

聖濟緫錄
解砒礵毒早禾稈燒灰新汲水淋灰汁絹帛濾過冷服一椀毒從利下安

砒삥礵 주023)
비상(砒礵):
부록 참조.
ㅅ 毒독 고튜 올볏 딥 주024)
올볏 딥:
올벼[早禾] + -ㅅ(관형격 조사) + 딮[藁]. 올벼의 짚.
론  새 기론 므레 프러 기베 주025)
기베:
깁[帛] + -에(처격조사). 비단에.
바타 주026)
바타:
밭-[濾] + -아(연결어미). 밭아. 걸러.
니 주027)
니:
-[冷]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찬 것.
 보 머그면 毒독이 즈츼요 조차 려 便뼌安리라

비상의 독을 고치려면 올벼의 짚을 태운 재를 새로 길어온 물에 풀어 비단으로 걸러서 찬 것 한 사발을 먹으면 독이 설사와 함께 내려가 편안해질 것이다.

又方
伏龍肝爲末淸油調二錢下

가맛 미틧 주028)
가맛 미틧:
가마[釜] + -ㅅ(관형격 조사) + 밑[底] + -읫(처소 관형격 조사). 가마솥 밑에 있는.
검듸 주029)
검듸:
검댕[黑].
을  라  기르메 두 돈 프러 머그라

또 가마솥 밑에 있는 검댕을 가루로 만들어 맑은 기름에 두 돈을 풀어 먹으라.

百一選方
治砒礵毒釅米醋多飮之吐出毒卽解不可飮水

砒삥礵상ㅅ 毒독 고튜 온 주030)
온:
-[辛] + -(관형사형 어미). 매운.
醋총 해 머거 吐

하51ㄱ

통면 毒독이 즉재 업스리니 믈란 주031)
믈란:
믈[水] + -란(보조사). 물이란. 물은.
먹디 말라

비상의 독을 고치려면 매운 초를 많이 먹어 토하면 독이 즉시 없어질 것이니 물은 먹지 말라.

得効方
解砒礵毒菉豆半升細擂滓以新汲水調通口服或用眞靛花二錢分作二服以井花水濃調服

砒삥礵 毒독 고툐 菉록豆 주032)
녹두(菉豆):
부록 참조.
半반 되 리 론 의 주033)
의:
찌꺼기.
 새 기룬 므레 프러 이베 만히 머그라 시혹 靑花황 주034)
청화(靑花):
부록 참조.
두 돈 화 두 服뽁 지 井花황水 주035)
정화수(井花水):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
에 걸에 프러 머그라

비상의 독을 고치려면 녹두 반 되를 가늘게 갈아 찌꺼기 같이 된 것을 새로 길어온 물에 풀어 입으로 많이 먹으라. 간혹 청화 두 돈을 나누어 두 번 복용할 분량으로 짓고 정화수에 걸쭉하게 풀어 먹으라.

聖惠方
治初中俚人毒藥未得飮藥且令定生薑四兩切甘草三兩生剉右以水四大盞煎取

하51ㄴ

二盞去滓分爲三服服訖然後用調理

처믜 주036)
처믜:
처[初] + -의(처격조사). 처음에.
俚링人 주037)
이인(俚人):
시골 사람.
의 毒독藥약을 맛고 주038)
맛고:
맞-[被] + -고(연결어미). 중독되고.
藥약 먹디 몯야 이신 제 고툐 生薑 넉 兩 사오 甘감草 석 兩  주039)
:
[生] + -(목적격 조사). 날것을. 생것을.
사라 믈 네 큰 잔애 달혀 두 자니 외어든 즛의 주040)
즛의:
찌꺼기.
앗고 화 세 服뽁 라 머근 後에 調理링 주041)
조리(調理):
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림.
라

처음에 시골 사람의 독약에 중독되어 약을 먹지 못하고 있을 때 이를 고치려면 생강 넉 냥을 썰고 감초 석 냥을 날 것으로 썰어 물 네 큰 잔에 달여 두 잔이 되거든 찌꺼기를 제거하고 나누어 세 번 복용할 분량을 만들어 먹은 후에야 조리하라.

又方
若不獲已食俚人食者生甘草一寸爛嚼呑之食者着毒藥卽便吐也是藥毒常囊盛甘草隨行以防備也

 다가 모지마라 주042)
모지마라:
마지 못하여.
俚링人의 食씩을 머그린 주043)
머그린:
먹-[食] + -을(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먹은 사람은.
生甘감草  寸촌 로니 시버  주044)
:
-[呑] + -어(연결어미). 삼켜.
毒독藥약애 눌러든 주045)
눌러든:
누르-[鎭] + -어든(연결어미). 누르면.
즉재 吐통

하52ㄱ

니 다가 이런 藥약毒독 주046)
약독(藥毒):
약의 독기.
이셔도 녜 甘감草 채 주047)
채:
맟[囊] + -애(처격조사). 주머니에.
너허 녀 머(‘마’의 오각으로 보임)라

또 만일 마지못하여 시골 사람의 음식을 먹은 사람은 생 감초 한 치를 무르게 씹어 삼켜서 독약의 기운을 누르면 즉시 토하나니 만일 이런 약의 독기가 있으면 늘 감초를 주머니에 넣어 다니면서 (독기운을) 막으라.

又方
解一切藥毒及治飮不知是何毒甘草薺苨各一兩右都剉以水二大盞煎至一盞去滓更入蜜半合煎一兩沸分爲二服放冷服之良久再服

 藥약毒독 머그니와 머구 아모 毒독인동 주048)
독(毒)인동:
독인지를.
모닐 고튜 甘감草와 薺쪵苨녕 주049)
제니(薺苨):
부록 참조.
와 各각  兩량 모도아 주050)
모도아:
몯-[會] + -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모아.
사라 믈 두 큰 잔을 달혀  잔이 외어든 즛의 앗고 다시 蜜 半반 호 주051)
호:
홉[合] + -(목적격 조사). 홉을.
녀허 달혀 두 번 글커든 주052)
글커든:
긇-[沸] + -거든(연결어미), 끓거든.
호아 주053)
호아:
호-[分] + -아(연결어미). 나누어.
두 服뽁 지 닐 주054)
닐:
찬[冷] 것을.
먹고 오라거든 다시 머그라

또 약의 독기를 먹은 것과 먹었으나 무슨 독인지를 모르는 것을 고치려면 감초와 제니 각각 한 냥을 모아 썰어서 물 두 큰 잔으로 달여 한 잔이 되거든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꿀 반 홉을 넣어 달이다가 한두 번 끓거든 나누어 두 번 복용할 분량으로 만들어 찬 것을 먹고 오래되거든 다시 먹으라.

又方

하52ㄴ

中藥毒欲死右用新小便和人糞絞取汁半升頓服入口卽活解諸毒無過糞汁

 藥약毒독 마자 주거 가닐  눈 주055)
 눈:
(오줌을) 금방 눈.
오좀과 사  섯거 주056)
:
-[搾] + -아(연결어미). (즙을) 짜서.
汁집을 取츙야 半반 되 다 머그라 이베 들면 즉재 살리라 믈읫 毒독 고튜  汁집만니 주057)
즙(汁) 만니:
즙만한 것이.
업스니라

또 약의 독기가 올라 죽어 가는 것을 고치려면 금방 눈 오줌과 사람의 똥을 섞어 즙을 짜내어 반 되를 다 먹으라. 입에 들어가면 즉시 살 것이다. 무릇 독을 고치려면 똥물만한 것이 없다.

又方
治飮食中毒·苦蔘一兩剉以酒二大盞煮取一盞頓服以吐便愈

 飮食씩에 毒독 마닐 고튜 苦콩蔘 주058)
고삼(苦蔘):
부록 참조.
 兩 사라 술 두 큰 잔 달혀  자니 외어든 다 먹고 吐통면 곧 됴리라

또 음식을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고삼 한 냥을 썰어서 술 두 큰 잔으로 달여 한 잔이 되거든 다 먹고 토하면 곧 좋을 것이다.

又方
治諸餠百物毒擣韭汁

하53ㄱ

服一中盞冬以水煮根服之

 여러 가짓 과 온 가짓 毒독 고튜 韭菜 주059)
구채(韭菜):
부록의 ‘염교’ 참조.
 디허 汁집을  中듕잔 주060)
중(中)잔:
중간 크기의 잔.
 머그라 겨레란 주061)
겨레란:
겨[冬] + -에란(처격조사+보조사). 겨울에는.
므레 불휘 달혀 머그라

또 여러 가지의 떡을 먹고 생긴 온갖 독을 고치려면 구채를 찧어 즙을 중간 잔의 한 잔으로 먹으라. 겨울에는 물에 (구채의)뿌리를 달여 먹으라.

又方
解一切藥發不問草石始覺惡卽宜服此方 麥門冬二兩去心

 藥약毒독이 發커든 주062)
발(發)커든:
發- + -거든(연결어미). 일어나거든. 나타나거든.
플와 돌와를 몰라셔 아니 고오 주063)
고오:
곱-[麗] + -옴(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고움을.
아닐 주064)
아닐:
아는 것을.
고튜 麥門몬冬동 주065)
맥문동(麥門冬):
부록 참조.
두 兩 솝 앗고 葱총白 주066)
총백(葱白):
파의 밑동. 부록 참조.
사오 주067)
사오:
사-[剉] + -고(연결어미). 썰고.
젼국 各각  홉 믈 세 큰 잔 달혀  잔 半반이어든 즛의 앗고

하53ㄴ

호아 세 服뽁 오 사미 두 里링 갈 만거든 다시 달혀 머그라

또 약의 독기가 나타나 풀이나 돌을 불문하고 곱지 않은 것으로 아는 것을 고치려면 맥문동의 속을 제거한 것 두 냥, 파의 밑동을 썬 것과 약전국 각각 한 홉을 물 세 큰 잔으로 달여 한 잔 반이 되거든 찌꺼기를 제거하고 나누어 세 번 복용할 분량으로 만들고 사람이 2, 3리를 갈 수 있거든 다시 달여 먹으라.

又方
解中一切藥毒煩燥不止 甘草一兩生剉一合·梁米粉二合右以水三大盞煮甘草取汁二盞去滓歇大熱內米粉湯中攪令稠納蜜煎令熟如薄粥適寒溫頓飮之

 藥약毒독 마자 미 어즐호미 긋디 아니커든 甘감草  兩  사오 蜜  홉과 梁米몡粉분 주068)
양미분(梁米粉):
쌀가루.
두 홉과 믈 세 큰 자내 甘감草 글혀 汁집 두 잔 取츙야 즛의 앗고  더우미 긋거든 米몡粉분을 녀허 저 얼의어든 주069)
얼의어든:
얼의-[凝] + -거든(연결어미). 엉기거든.
蜜을 녀허 달

하54ㄱ

효 니거 후루루 주070)
후루루:
(후루루 마실 수 있게) 묽은. 멀건.
粥쥭 거든 며 더우미 맛게 야 다 머그라

또 약의 독기가 올라 가슴이 답답함이 그치지 않거든 감초 생 것 한 냥을 썬 것과 꿀 한 홉과 쌀가루 두 홉을 가져다가 (먼저) 물 세 큰 잔에 감초를 끓여 즙 두 잔을 취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가장 뜨겁던 것이 식거든 쌀가루를 넣어 젓고 엉기면 꿀을 넣어 달이되 다 되어 묽은 죽 같이 되었을 때 차고 더움을 적절하게 해서 다 먹으라.

又方
解中藥毒 薺苨半兩藍葉幷花半兩右擣細羅爲散以冷水調二錢服之

 藥약毒독 마닐 고튜 薺쪵苨녕 주071)
제니(薺苨):
부록 참조.
半반 兩과 藍람葉엽幷병花황 주072)
남엽병화(藍葉幷花):
쪽의 잎과 꽃. ‘쪽’은 부록 참조.
半반 兩과 디허 리 처 散산 라  므레 두 돈 프러 머그라

또 약의 독기가 오른 것을 고치려면 제니 반 냥과 쪽의 잎과 꽃 반 냥을 찧어 가늘게 체로 쳐 가루약을 만들어 찬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라.

又方
解諸藥毒以黑豆煮令熟多飮其汁無黑豆豉亦可

 藥약毒독 고툐 거믄  글혀 닉거든 그 汁집을 만히 주073)
만히:
만-[多] + -이(부사 접미사). 많이.
머그라 거믄 콩곳 업거든 젼국도 됴니라

또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검은 콩을 끓여 익거든 그 즙을 많이 먹으라. 검은 콩이 없거든 약전국도 좋다.

又方
用藍葉藍子亦通解諸毒恒預

하54ㄴ

畜之凡煮諸藥汁解毒者皆不可熱飮之使諸毒更甚宜小冷爾

주074)
족:
쪽[藍]. 부록 참조.
닙과 왜 주075)
왜:
[種] + -와(접속조사) + -ㅣ(주격조사). 씨가. ‘-와’가 현대어에서는 필요 없는 조사이다.
 諸졍毒독 고툐매 됴니 녜 어더 주076)
어더:
얻-[得] + -어(연결어미). 얻어.
두라 믈읫 藥약 汁집을 글혀 毒독 고틸 사미 더우닐 머거 諸졍毒독 다시 甚씸케 말라 져기 게 야 머거 맛리라

또 쪽의 잎과 씨가 또 여러 가지 독을 고침에 좋으니 항상 얻어 두라. 무릇 약의 즙을 끓여 독을 고칠 사람이 뜨거운 것을 먹어 여러 가지 독을 다시 심하게 하지 말라. 조금 차게 하여 먹어야 옳을 것이다.

又方
解藥毒用白礬一兩擣爲末以新汲水調灌之口鼻耳中皆出黑血勿怪

 藥약毒독 고툐 白礬뻔 주077)
백반(白礬):
부록 참조.
 兩 디허  라 새 기룬 므레 프러 머그면 입과 고콰 귀예 다 거믄 피 나니 怪괭異잉 주078)
괴이(怪異)히:
이상하게.
히 너기디 말라

또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백반 한 냥을 찧어 가루로 만들어서 새로 길어온 물에 풀어 먹으면 입과 코와 귀에서 다 검은 피가 나오나니 이상하게 생각지 말라.

又方
雄黃毒漢防己

하55ㄱ

解之

雄黃 주079)
웅황(雄黃):
부록 참조.
毒독 漢한防己긩 주080)
한방기(漢防己):
부록 참조.
로 고티니라

또 웅황을 먹고 독이 오른 것은 한방기로 고친다.

又方
烏頭天雄附子毒 大豆汁 遠志 防風棗肉飴糖並解之

烏頭 주081)
오두(烏頭):
草烏(초오) 참조.
天텬雄 주082)
천웅(天雄):
부록 참조.
附뿡子 주083)
부자(附子):
부록 참조.
毒독 大땡豆汁집과 遠志징 주084)
원지(遠志):
부록 참조.
防風 주085)
방풍(防風):
부록 참조.
棗肉 주086)
조육(棗肉):
대추와 고기.
飴잉糖 주087)
이당(飴糖):
엿.
과로 다 고티니라

또 오두와 천웅과 부자를 먹고 오른 독은 콩의 즙과 원지와 방풍과 대추와 고기와 엿으로 다 고친다.

又方
大戟毒菖蒲解之

大땡戟격 주088)
대극(大戟):
부록 참조.
毒독 菖蒲뽕 주089)
창포(菖蒲):
부록 참조.
로 고티니라

또 대극을 먹고 오른 독은 창포로 고친다.

又方
杏仁毒藍子汁解之

杏仁 주090)
행인(杏仁):
부록 참조.
ㅅ 毒독 藍람子 汁집으로 고티니라

또 살구씨를 먹고 오른 독은 쪽의 씨를 찧어서 낸 즙으로 고친다.

又方
治藥毒救解欲死者 雞子三枚去殼右用物開其口灌

하55ㄴ

之須臾吐出便差

 藥약毒독로 주마(‘주거’의 오각으로 보임) 가릴 고툐  알 새(‘세’의 오각으로 보임) 나 겁질 주091)
겁질:
껍질.
앗고 아못 주092)
아못:
아무.
거스뢰나 주093)
거스뢰나:
것(의존명사) + -으로(도구격 조사) + -ㅣ나(보조사). 것으로나.
이블 열오 주094)
열오:
열-[開] + -고(연결어미). 열고.
브면 주095)
브면:
븟-[注] + -으면(연결어미). 부으면.
즉재 吐통고 됴리라

또 약을 먹고 오른 독으로 죽어 가는 사람을 고치려면 달걀 세 낱을 껍데기를 제거하고 아무 것으로나 입을 열고 부으면 즉시 토하고 좋을 것이다.

經驗秘方
解百藥毒出了蠶子者蠶紙燒灰細硏每服一錢冷水調下頻服取差雖面靑脈絶腸脹吐血服之立活

온 가짓 藥약毒독 고툐 누에  난 주096)
난:
[卵] + 낳-[産] + -ㄴ(관형사형 어미). 알을 낳은.
죠 주097)
죠:
종이.
 라  리 라 服뽁마다  돈  므레 프러 조 머그면 됴리라 비록 치 주098)
치:
[面] + -이(주격조사). 낯이. 얼굴이.
프르고 脈이 긋고 腸이 브르고 주099)
브르고:
브르-[脹] + -고(연결어미). (배가) 부르고.
피 吐통야도 머그면 즉자히 살리라

온갖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누에나방이 알을 까 놓고 나간 종이를 불에 살라 그 재를 가늘게 갈아서 복용할 때마다 한 돈을 찬물에 풀어 자주 먹으면 좋을 것이다. 비록 얼굴이 파래지고 맥박이 멎고 창자가 부르고 피를 토하더라도 먹으면 즉시 살 것이다.

하56ㄱ

壽域神方解
諸藥毒用石菖蒲白礬等分爲細末新汲水調二錢立効

여러 가짓 藥약毒독 고툐 石썩菖蒲뽕 주100)
석창포(石菖蒲):
부록 참조.
와 白礬뻔과 等分분야 주101)
등분(等分)야:
똑같이 나누어. 똑같은 분량으로 하여.
細솅末야 새 기룬 므레 두 돈 프러 머그면 즉재 됴리라

여러 가지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석창포와 백반을 똑같은 분량으로 곱게 가루로 만들어 새로 길어온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좋을 것이다.

又方
白扁豆生晒乾爲末新汲水調服二錢未効再作一服

 生 白扁번豆 주102)
백편두(白扁豆):
부록의 ‘편두’ 참조.
벼틔 주103)
벼틔:
볕[陽] + -의(처격조사). 볕에.
와 주104)
와:
-[乾] + -오-(사동접미사) + -아(연결어미). 말려.
細솅末야 새 기룬 므레 두 돈 프러 머구 됴티 아니커든 다시 지  번 머그라

또 백편두 생것을 햇볕에 말려서 곱게 가루로 만들어 새로 길어온 물에 두 돈을 풀어서 먹되 좋아지지 않거든 다시 지어서 한 번 먹으라.

又方
用生甘草黑豆淡竹葉煮汁冷服之

 生 甘감草와 黑흑豆와 淡담竹듁葉엽 주105)
담죽엽(淡竹葉):
부록 참조.
과 글

하56ㄴ

혀 汁집을 取츙야 와 주106)
와:
-[冷] + -이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차게 해서.
머그라

또 감초 생것과 검정팥과 담죽의 잎을 끓여 즙을 내어 차게 해서 먹으라.

又方
解一切衆藥毒用甘草煎濃汁多飮幷多食葱中涕並佳

 衆藥약 毒독 고툐 甘감草 달횬 汁집을 만히 머그며  팟 소뱃 주107)
팟 소뱃:
파[蔥] + -ㅅ(관형격 조사) + 솝[內] + -앳(처소 관형격 조사). 파 속에 있는.
汁집을 만히 머그면 다 됴리라

또 여러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감초를 달인 즙을 많이 먹고 또 파 속의 즙을 많이 먹으면 다 좋을 것이다.

又方
解藥毒用露蜂房甘草等分麩炒令黃色去麩爲末水一椀煎至八分溫臨臥頓服明日取下惡物妙

 藥약毒독 고툐 露롱蜂房 주108)
노봉방(露蜂房):
부록 참조.
과 甘감草와 等分분야 기우레 주109)
기우레:
기울[麩] + -에(처격조사). 밀기울에.
봇고 주110)
봇고:
-[炒] + -오(연결어미). 볶되.
비치 누르거든 기울 앗고 細솅末야 믈  보로 달혀 八分분이어든 누을 제 더우닐

하57ㄱ

다 머그면 이틄 나래 모딘 주111)
모딘:
모딜-[惡] + -ㄴ(관형사형 어미). 나쁜.
거슬 다 즈츼여 주112)
즈츼여:
즈츼-[痢] + -어(연결어미). 설사하여.
더디면 주113)
더디면:
더디-[投] + -면(연결어미). 던지면. 구개음화와 ‘ㄴ’ 첨가로 ‘더디다 〉더지다 〉던지다’와 같이 되었다.
됴리라

또 약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노봉방과 감초를 똑같은 분량으로 밀기울과 같이 볶되 빛깔이 누레지거든 밀기울을 제거하고 곱게 가루로 만들어 물 한 사발로 달여 팔 푼이 되거든 누워잘 때 더운 것을 다 먹고 이튿날에 나쁜 것을 다 설사로 내 보내고 나면 좋아질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證):(병의) 증세. 증후.
주002)
안히:안ㅎ[內] + -이(주격조사). 속이.
주003)
:심장. 속.
주004)
섯알고:-[混] + 알-[痛] + -고(연결어미). 번갈아 아프고. 마구 아프고.
주005)
왜트러:왜틀-[逆] + -어(연결어미). 비틀려.
주006)
차:-[冷] + -아(연결어미). 차가워져.
주007)
흑연(黑鈆):부록 참조.
주008)
보:사발. 보시기.
주009)
약(藥)곳:약이. ‘-곳’은 강세 조사이다.
주010)
족:쪽[藍]. 부록 참조.
주011)
주믈:줌[握] + -을(목적격 조사). 줌을. 주먹을.
주012)
:-[淸] + -(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13)
파:-[掘] + -아(연결어미). (땅을) 파서.
주014)
장(漿):미음. 부록의 ‘漿水(장수)’ 참조.
주015)
걸에:걸-[濃] + -게(부사형 어미). 걸쭉하게. 진하게.
주016)
기:[土] + -이(주격조사). 흙이.
주017)
젼국:부록 참조.
주018)
파두(巴豆):부록 참조.
주019)
미:[臉] + -이(주격조사). 뺨이.
주020)
즈츼유미:즈츼-[痢] + -움(명사형 어미) + -이(주격조사). 설사하는 것이.
주021)
파초(芭蕉):부록 참조.
주022)
긋고:긏-[止] + -고(연결어미). 그치고.
주023)
비상(砒礵):부록 참조.
주024)
올볏 딥:올벼[早禾] + -ㅅ(관형격 조사) + 딮[藁]. 올벼의 짚.
주025)
기베:깁[帛] + -에(처격조사). 비단에.
주026)
바타:밭-[濾] + -아(연결어미). 밭아. 걸러.
주027)
니:-[冷]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찬 것.
주028)
가맛 미틧:가마[釜] + -ㅅ(관형격 조사) + 밑[底] + -읫(처소 관형격 조사). 가마솥 밑에 있는.
주029)
검듸:검댕[黑].
주030)
온:-[辛] + -(관형사형 어미). 매운.
주031)
믈란:믈[水] + -란(보조사). 물이란. 물은.
주032)
녹두(菉豆):부록 참조.
주033)
의:찌꺼기.
주034)
청화(靑花):부록 참조.
주035)
정화수(井花水):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
주036)
처믜:처[初] + -의(처격조사). 처음에.
주037)
이인(俚人):시골 사람.
주038)
맛고:맞-[被] + -고(연결어미). 중독되고.
주039)
:[生] + -(목적격 조사). 날것을. 생것을.
주040)
즛의:찌꺼기.
주041)
조리(調理):건강이 회복되도록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림.
주042)
모지마라:마지 못하여.
주043)
머그린:먹-[食] + -을(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人) + -ㄴ(보조사). 먹은 사람은.
주044)
:-[呑] + -어(연결어미). 삼켜.
주045)
눌러든:누르-[鎭] + -어든(연결어미). 누르면.
주046)
약독(藥毒):약의 독기.
주047)
채:맟[囊] + -애(처격조사). 주머니에.
주048)
독(毒)인동:독인지를.
주049)
제니(薺苨):부록 참조.
주050)
모도아:몯-[會] + -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모아.
주051)
호:홉[合] + -(목적격 조사). 홉을.
주052)
글커든:긇-[沸] + -거든(연결어미), 끓거든.
주053)
호아:호-[分] + -아(연결어미). 나누어.
주054)
닐:찬[冷] 것을.
주055)
 눈:(오줌을) 금방 눈.
주056)
:-[搾] + -아(연결어미). (즙을) 짜서.
주057)
즙(汁) 만니:즙만한 것이.
주058)
고삼(苦蔘):부록 참조.
주059)
구채(韭菜):부록의 ‘염교’ 참조.
주060)
중(中)잔:중간 크기의 잔.
주061)
겨레란:겨[冬] + -에란(처격조사+보조사). 겨울에는.
주062)
발(發)커든:發- + -거든(연결어미). 일어나거든. 나타나거든.
주063)
고오:곱-[麗] + -옴(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고움을.
주064)
아닐:아는 것을.
주065)
맥문동(麥門冬):부록 참조.
주066)
총백(葱白):파의 밑동. 부록 참조.
주067)
사오:사-[剉] + -고(연결어미). 썰고.
주068)
양미분(梁米粉):쌀가루.
주069)
얼의어든:얼의-[凝] + -거든(연결어미). 엉기거든.
주070)
후루루:(후루루 마실 수 있게) 묽은. 멀건.
주071)
제니(薺苨):부록 참조.
주072)
남엽병화(藍葉幷花):쪽의 잎과 꽃. ‘쪽’은 부록 참조.
주073)
만히:만-[多] + -이(부사 접미사). 많이.
주074)
족:쪽[藍]. 부록 참조.
주075)
왜:[種] + -와(접속조사) + -ㅣ(주격조사). 씨가. ‘-와’가 현대어에서는 필요 없는 조사이다.
주076)
어더:얻-[得] + -어(연결어미). 얻어.
주077)
백반(白礬):부록 참조.
주078)
괴이(怪異)히:이상하게.
주079)
웅황(雄黃):부록 참조.
주080)
한방기(漢防己):부록 참조.
주081)
오두(烏頭):草烏(초오) 참조.
주082)
천웅(天雄):부록 참조.
주083)
부자(附子):부록 참조.
주084)
원지(遠志):부록 참조.
주085)
방풍(防風):부록 참조.
주086)
조육(棗肉):대추와 고기.
주087)
이당(飴糖):엿.
주088)
대극(大戟):부록 참조.
주089)
창포(菖蒲):부록 참조.
주090)
행인(杏仁):부록 참조.
주091)
겁질:껍질.
주092)
아못:아무.
주093)
거스뢰나:것(의존명사) + -으로(도구격 조사) + -ㅣ나(보조사). 것으로나.
주094)
열오:열-[開] + -고(연결어미). 열고.
주095)
브면:븟-[注] + -으면(연결어미). 부으면.
주096)
난:[卵] + 낳-[産] + -ㄴ(관형사형 어미). 알을 낳은.
주097)
죠:종이.
주098)
치:[面] + -이(주격조사). 낯이. 얼굴이.
주099)
브르고:브르-[脹] + -고(연결어미). (배가) 부르고.
주100)
석창포(石菖蒲):부록 참조.
주101)
등분(等分)야:똑같이 나누어. 똑같은 분량으로 하여.
주102)
백편두(白扁豆):부록의 ‘편두’ 참조.
주103)
벼틔:볕[陽] + -의(처격조사). 볕에.
주104)
와:-[乾] + -오-(사동접미사) + -아(연결어미). 말려.
주105)
담죽엽(淡竹葉):부록 참조.
주106)
와:-[冷] + -이오-(사동 접미사) + -아(연결어미). 차게 해서.
주107)
팟 소뱃:파[蔥] + -ㅅ(관형격 조사) + 솝[內] + -앳(처소 관형격 조사). 파 속에 있는.
주108)
노봉방(露蜂房):부록 참조.
주109)
기우레:기울[麩] + -에(처격조사). 밀기울에.
주110)
봇고:-[炒] + -오(연결어미). 볶되.
주111)
모딘:모딜-[惡] + -ㄴ(관형사형 어미). 나쁜.
주112)
즈츼여:즈츼-[痢] + -어(연결어미). 설사하여.
주113)
더디면:더디-[投] + -면(연결어미). 던지면. 구개음화와 ‘ㄴ’ 첨가로 ‘더디다 〉더지다 〉던지다’와 같이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