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30. 어육독(三十魚肉毒 하독독해독부(河豚毒蟹毒附))
메뉴닫기 메뉴열기

30. 어육독(三十魚肉毒 하독독해독부(河豚毒蟹毒附))


魚肉毒第三十河豚毒蟹毒附
聖惠方
治食魚中毒面腫煩亂及食蘆魚中毒欲死生薑蘆根擣取汁多飮乃良幷治蟹毒亦可煮蘆蓬茸汁飮之

믓고기 주001)
믓고기:
믈[水] + -ㅅ(관형격 조사) + 고기[魚]. 물고기. 관형격 조사 ‘-ㅅ’ 앞의 명사 말음 ‘ㄹ’이 탈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틋나래’(하30ㄴ), ‘밧목’(하27ㄴ)에서도 볼 수 있다.
먹고 毒독 마자 치 븟고 어즐니와 주002)
어즐니와:
어즐-[眩]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어질어질한 것과.
藘롱魚 먹고 毒독 마자 주거 가릴 고튜 生薑과 蘆롱根 주003)
노근(蘆根):
갈대 뿌리.
과 디허 汁집을 取츙야 만히 머그면 됴니 게 毒독도 이 藥약으로 고티니라  蘆롱蓬茸 주004)
노봉용(蘆蓬茸):
갈대꽃.
 글혀 汁집을 머그라

물고기를 먹고 독이 올라 얼굴이 붓고 어질어질한 것과 농어를 먹고 독이 올라 죽어 가는 것을 고치려면 생강과 갈대 뿌리를 찧어 즙을 내어서 많이 먹으면 좋으니, 게를 먹고 독이 오른 것도 이 약으로 고친다. 또 갈대꽃을 끓여 즙을 먹으라.

又方
濃煮橘

하57ㄴ

皮飮汁以多爲妙

橘皮삥 주005)
귤피(橘皮):
귤의 껍질.
를 걸에 글혀 그 汁집을 만히 머그면 됴리라

또 귤 껍질을 걸쭉하게 끓여 그 즙을 많이 먹으면 좋을 것이다.

又方
治食諸魚中毒煮橘皮汁 生蘆根汁 黑豆汁 馬鞭草汁 朴硝汁服之並良

 여러 가짓 믌고기 주006)
믌고기:
물고기. 바로 앞(하57ㄱ)에서는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 명사 말음 ‘ㄹ’이 탈락한 ‘믓고기’가 쓰였으나 여기서는 ‘ㄹ’이 탈락하지 않은 ‘믌고기’가 쓰였다.
먹고 毒독 마닐 고툐 글횬 橘皮ㅅ 汁집과 生蘆롱根 汁집과 黑흑豆 汁집과 馬망鞭변草 주007)
마편초(馬鞭草):
부록 참조.
汁집과 朴팍硝 주008)
박초(朴硝):
부록 참조.
汁집과 머그면 다 됴리라

또 여러 가지의 물고기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끓인 귤 껍질 즙과 갈대 뿌리 생것으로 짠 즙과 검정팥의 즙과 마변초의 즙과 박초의 즙을 먹으면 다 좋을 것이다.

又方
食鯸鮧一名河豚以鮫魚皮燒灰細硏水調二錢服之

복고기 주009)
복고기:
복어 고기.
머그닐 고툐 鮫魚ㅅ 갓 주010)
교어(鮫魚)ㅅ 갓:
상어의 껍질.
론  리 라 므레 두 돈 프러 머기

하58ㄱ


또 복어 고기를 먹은 것을 고치려면 상어 껍질을 태운 재를 가늘게 갈아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이라.

又方
治食蟹中毒諸方 生藕汁 煮乾蒜汁 冬瓜汁右服之並佳

 게 먹고 毒독 마닐 고튜  蓮련ㅅ 불휫 汁집과  마 주011)
마:
마늘.
달힌 汁집과 冬동瓜광 주012)
동과(冬瓜):
부록 참조.
汁집과 머그면 다 됴리라

또 게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연 뿌리 생것으로 짠 즙과 마른 마늘을 달인 즙과 동과의 즙을 먹으면 다 좋을 것이다.

又方
治食蟹及諸餚膳中毒濃煮紫蘇汁飮一兩盞解之

 게와 안쥬 주013)
안쥬:
술 안주.
와 먹고 毒독 마닐 고툐 紫蘇송 주014)
자소(紫蘇):
부록 참조.
 걸에 글혀 그 汁집 두 잔 머그면 됴리라

또 게와 안주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자소를 걸쭉하게 끓여 그 즙 한두 잔을 먹으면 좋을 것이다.

又方
治食六畜中毒心胸煩悶以水服壁底黃土一錢差

六륙畜휵 주015)
육축(六畜):
집에서 기르는 여섯 가지 가축. 소, 말, 양, 돼지, 개, 닭을 이른다.
의 고기 먹고 毒독 마자 과 가괘 답답닐 고튜

하58ㄴ

 주016)
:
벽(壁).
미 주017)
미:
밑[底] + -(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있는.
누른 주018)
:
흙.
 돈 므레 프러 머그면 됴리라

또 여섯 가지 가축의 고기를 먹고 독이 올라 심장과 가슴이 답답한 것을 고치려면 벽 밑에 있는 누른 흙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면 좋을 것이다.

又方
冬月取其六畜乾糞爲末水服之佳若是自死六畜肉毒水服黃蘗末一錢須臾便愈

섯래 주019)
섯래:
섯[十二月] + -애(처격 조사). 섣달에.
牛馬망猪뎡羊雞곙狗 주020)
우마저양계구(牛馬猪羊雞狗):
육축을 말한다.
의   細솅末야 므레 프러 머그면 됴리라 다가 절로 주021)
절로:
저절로.
주근 여슷 가짓 거싀 고깃 毒독이어든 黃蘗 주022)
황벽(黃蘗):
부록 참조.
ㅅ   돈을 므레 프러 머그면 즉재 됻니라 주023)
됻니라:
둏-[好]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좋아진다. 어간 ‘둏-’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됻-’이 되었다.

또 12월에 소, 말, 돼지, 양, 닭, 개의 마른 똥을 곱게 가루로 만들어 물에 풀어 먹으면 좋을 것이다. 만약 저절로 죽은 여섯 가지 가축의 고기를 먹은 독이거든 황벽나무의 열매를 빻은 가루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燒藊豆擣末水調服三錢

藊뼌豆 주024)
변두(藊豆):
부록 참조.
를 라 두드려 細솅末야 세 돈 므레 프러 머그라

또 변두를 태워 두드려서 곱게 가루로 빻아 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

又方
治食牛肉中毒用猪牙燒灰爲末

하59ㄱ

水調服一錢良

 고기 먹고 毒독 마닐 고튜 도 주025)
엄:
어금니.
론   라  돈 므레 프러 머그면 됻니라

또 쇠고기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돼지의 어금니를 불태운 재를 가루로 만들어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면 좋아진다.

又方
飮人乳汁一盞良

 사 졋 汁집  잔을 머기면 됴리라

또 사람의 젖 한 잔을 먹이면 좋을 것이다.

又方
食馬肉泄痢欲死 豉三百粒杏仁二十枚湯漫去皮右件藥於五升米飯下蒸之候飯熟以少飯合擣頓服之差

고기 주026)
고기:
말고기[馬肉].
먹고 즈츼오 주거 가릴 젼국 주027)
젼국:
부록 참조.
三삼百 낫과 杏仁 주028)
행인(杏仁):
부록 참조.
스므 나 더운 므레 불어 거피 주029)
거피:
꺼풀. 껍질.
앗고 닷 됫 밥  주030)
닷 됫 밥 :
닷[五] + 되[升] + -ㅅ(관형격 조사) + 밥[飯] + [米]. 다섯 되의 밥쌀.
아래 노하  주031)
:
-[蒸] + -우(연결어미). 찌되.
바비 닉거든 바 져기 더러 주032)
더러:
덜-[減] + -어(연결어미). 덜어.
섯거 디허 다 머그면 됴리라

또 말고기 먹고 설사하여 죽어 가는 것을 고치려면 약전국 삼백 낱과 살구씨 스무 낱을 뜨거운 물에 불려 꺼풀을 벗긴 것을 (솥 안에 안칠 때) 다섯 되의 밥쌀 밑에 놓고 쪄서 밥이 다 되거든 밥을 조금 덜어 섞고는 찧어서 다 먹으면 좋을 것이다.

又方
治食馬肉

하59ㄴ

中毒悶亂擣蘆根汁飮一盞兼作湯浴之便解

 고기 먹고 毒독 마자 답답닐 고튜 蘆롱根 디훈 주033)
디훈:
딯-[擣]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찧은.
汁집  자 먹고  글혀 沐목浴욕면 곧 됴리라

또 말고기를 먹고 독이 올라 답답한 것을 고치려면 갈대 뿌리를 찧은 즙 한 잔을 먹고 또 끓여서 목욕하면 곧 좋을 것이다.

經驗良方
治河豚魚毒白礬末湯點服河豚能殺人服此毒自消累用效

복의 주034)
복의:
복어[河魨]의.
毒독을 고튜 白礬뻔 주035)
백반(白礬):
부록 참조.
ㅅ 더운 므레 프러 머그라 복 사 주기니 이 藥약 머그면 그 毒독이 제 스러디니라 주036)
스러디니라:
슬-[消] + -어(연결어미) + -디-(접미사)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사라진다.

복어의 독을 고치려면 백반 가루를 뜨거운 물에 풀어 먹으라. 복어는 사람을 잘 죽게 하나니 이 약을 먹으면 그 독이 저절로 사라진다.

事文類聚
治河豚中毒槐花炒末水調服之

하60ㄱ

복 먹고 毒독 마닐 고튜 槐花황 주037)
괴화(槐花):
부록 참조.
 봇가 細솅末야 므레 프러 머기라

복어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회화나무의 꽃을 볶아 곱게 가루로 빻아 물에 풀어 먹이라.

衛生易簡方
治食河豚魚毒一時困殆倉卒無藥急以淸油多灌之使毒物盡吐出爲愈

보 주038)
보:
복[河魨] + -(관형격 조사). 복어의.
고기옛 毒독 먹고 즉재 困콘야 주039)
곤(困)야:
困- + -아(연결어미). 노곤하여.
바랍고 주040)
바랍고:
바랍-[殆] + -고(연결어미). 위태롭고.
뵈왓바 주041)
뵈왓바:
뵈왓-[怱] + -아(연결어미). 바빠. 다급하여.
藥약이 업거든 時씽急급히  기르므로 만히 머겨 毒독 거슬 다 吐통케 면 됴리라

복어 고기에 있는 독을 먹어 즉시 몸을 가눌 수가 없게 되고 위태로우며 다급한데 약조차 없거든 재빨리 맑은 기름을 많이 먹여 독한 것을 다 토해내게 하면 좋을 것이다.

千金方
治食野菜馬肝肉諸脯肉毒取頭垢如棗核大呑之起死人

햇 주042)
햇:
ㅎ[野] + -앳(처소 관형격 조사). 들에 있는.
 주043)
:
나물.
와  간과 고기와 雜짭 보 주044)
보:
포육(脯肉). 말린 고기.
毒독을 머그닐 고튜 머리옛 주045)
:
때[垢].
 아 大땡棗 주046)
대조(大棗):
대추.
 킈 주047)
킈:
[核] + -ㅅ(관형격 조사) + 킈[大]. 씨의 크기.
만닐 {ㅅ}기면 주048)
{ㅅ}기면:
{ㅅ}기-[呑] + -면(연결어미). 삼키면.

하60ㄴ

근 사미 닐리라 주049)
닐리라:
닐-[起] + -리라(추정법 종결어미). 일어날 것이다.

들에 있는 나물과 말의 간과 고기와 잡다한 포육의 독을 먹은 것을 고치려면 사람 머리에 있는 때를 취하여 대추의 씨 크기만한 것을 삼키면 죽은 사람이 일어날 것이다.

又方
燒猪骨爲末水服方寸匕日三

 도  라  라 므레 方방寸촌 술 주050)
방촌(方寸) 술:
한 술[匙].
머규믈 주051)
머규믈:
먹-[服] + -이-(사동 접미사)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먹임을. 먹이기를.
 세 번 라

또 돼지의 뼈를 불살라 가루로 만들어서 물에 풀어 한 술 먹이기를 하루 세 번 하라.

又方
治百獸肝中毒頓服猪脂一斤佳亦治陳肉毒

 온 가짓  주052)
:
짐승. 이 말은 원래 ‘衆生(중생)’에서 의미 분화가 일어나 오늘날의 ‘짐승’이 되었다.  〉 즘 〉 즘승 〉 짐승.
 간 먹고 毒독 마닐 고튜 도 기름  斤근을 다 머그면 됴니  무근 주053)
무근:
묵-[陳] + -은(관형사형 어미). 묵은. 오래된.
고깃 毒독을 고티니라

또 온갖 짐승의 간을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돼지의 기름 한 근을 다 먹으면 좋으니 또 묵은 고기의 독도 고친다.

又方
治食狗肉不消心中堅或腹脹口乾大渴心急發熱狂言妄語或洞下杏仁一升合皮硏以沸湯三升和絞取汁分三服狗肉完片

하61ㄱ

皆出卽靜良驗

가 주054)
가:
가히[犬] + -(관형격 조사). 개의.
고기 먹고 삭디 주055)
삭디:
삭-[消] + -디(보조적 연결어미). 소화하지.
아니야  가온 며 주056)
며:
-[堅] + -며(연결어미). 딱딱하며.
시혹  브르며 주057)
브르며:
(배가) 부르며.
이비 라  渴야 주058)
갈(渴)야:
목이 타고 말라서.
미 뵈왓바 주059)
뵈왓바:
조급해져.
더우미 發야 미친 말 며 거즛말 며 시혹  즈츼리 주060)
즈츼리:
즈츼-[痢]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목적격 조사). 설사하는 것을.
고툐 杏仁 주061)
행인(杏仁):
부록 참조.
 되 거플 주062)
거플:
꺼풀.
조쳐 라 글는 주063)
글는:
긇-[沸] + -는(관형사형 어미). 끓는.
믈 서 되예 프러 汁집을  세 服뽁애 화 머그면 가 고기 온 편 주064)
온 편:
온전한 덩어리.
이 다 나 즉재 됴리라

또 개고기를 먹고 소화가 되지 않아 가슴 가운데가 딱딱하며 간혹 배도 부르고 입이 말라 심하게 갈증이 나며 마음이 조급해지고 열이 나서 미친 말을 하며 거짓말도 하고 간혹 심하게 설사도 하는 것을 고치려면 살구씨 한 되를 꺼풀과 함께 갈아서 끓는 물 석 되에 풀어 즙을 짜서 세 번으로 나누어 먹으면 개고기의 온전한 덩어리들이 다 나와서 즉시 좋을 것이다.

又方
治食猪肉中毒燒猪屎爲末服方寸匕

 도 고기 먹고 毒독 마닐 고튜 도  라  라 方寸촌 술로 머기라

또 돼지고기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돼지의 똥을 태워 가루로 만들어 한 술로 먹이라.

又方
治漏脯毒擣韭汁服之良大豆汁亦得

서근 주065)
서근:
석-[腐] + -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脯뽕肉 주066)
포육(脯肉):
말린 고기. 앞(하60ㄱ)에서는 고유어처럼 ‘보’으로 표기되었음을 볼 수 있다.
毒독 고튜 韭菜 주067)
구채(韭菜):
부록의 ‘염교’ 참조.

하61ㄴ

드려 汁집을 머기면 됴리니 汁집이  됴니라

또 썩은 포육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부추를 두드려 찧은 즙을 먹이면 좋을 것이며 콩으로 짠 즙도 또한 좋다.

又方
治鬱肉濕脯毒張文仲云肉閉在密器中經宿者鬱燒狗糞爲末水服方寸匕凡生肉熟皆不用深藏密盖盖不泄氣皆殺人又肉汁在器中密盖氣不泄者亦殺人

곰 주068)
곰:
곰-[殕] + -ㄴ(관형사형 어미). 곰팡이가 핀. 중세 국어에서 ‘곰다’와 같은 뜻으로 쓰인 ‘곰퓌다’가 있다.
고기와 저즌 脯뽕肉괏 毒독 고튜 張文문仲 주069)
장문중(張文仲):
중국 당나라 때의 의원.
로 주070)
로:
-[曰] + -오(연결어미). 말하되. 이르되.
고기  주071)
:
-[密] + -ㄴ(관형사형 어미). 빽빽한. 빡빡한.
器킝具꿍ㅅ 안해 자자이셔 주072)
자자이셔:
잦-[泯] + -아(연결어미) + 이시-[有] + -어(연결어미). 잦아 있어. 들어 있어. 갇혀 있어.
밤 디난 거슨 물니 주073)
불니:
물-[腐] +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 -니(연결어미). 썩나니.
가  라  라 므레 方寸촌만 수를 머그라 믈읫 生肉 니그닌 주074)
니그닌:
닉-[熟]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ㄴ(보조사). 익은 것은.
다 기피 갈마 주075)
갈마:
갊-[藏] + -아(연결어미). 감추어. 간직하여.
기 주076)
기:
빽빽이. 빈틈 없이.
덥디 주077)
덥디:
덮-[覆] + -디(보조적 연결어미). 덮지.
마롤디니 더퍼 氣

하62ㄱ

킝分분이 차 주078)
차:
-[通] + -아(연결어미). 통하여.
나디 몯면 다 사 주기니라  고깃 汁집이 器킝具꿍(‘ㅅ’의 오각으로 보임)中에 잇거든 기 더퍼 氣킝分분이 차 나디 몯 것도  사 주기니라

또 곰팡이가 핀 고기와 습기에 젖은 포육을 먹고 오른 독을 고치려면 장문중이 이르기를 고기를 빡빡한 기구 안에 넣어 두고 밤 지난 것은 썩으니 개똥을 태워 가루를 만들고 물에 타서 한 술 정도 먹으라고 하였다. 무릇 생고기 익은 것은 다 깊게 저장하여 빈틈도 없이 덮어 두지 말 것이니, 덮어서 공기가 통하지 못하게 하면 다 사람을 죽게 한다. 또 고기의 즙이 기구 안에 있는데 이를 빈틈없이 덮어 공기가 통하지 못하게 하는 것도 또 사람을 죽게 한다.

本朝經驗
治食牛馬肉中毒白附子細末和酒服二錢又傅肉毒瘡上

쇼와 고기 먹고 毒독 마닐 고튜 白附뿡子 주079)
백부자(白附子):
부록 참조.
 細솅末야 수레 프러 두 도 주080)
도:
돈[錢] + -(목적격 조사). 돈을. 여기서 ‘돈’은 무게의 단위. 부록 참조.
먹고  肉毒독 주081)
육독(肉毒):
썩은 고기에 생기는 독.
헌 우희 브티라

소와 말고기를 먹고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흰 부자를 곱게 가루로 빻아 술에 풀어서 두 돈을 먹고 또 썩은 고기의 독으로 생긴 헌데 위에 붙이라.

又方
黃苓細末熱醋和三錢服水濃煎服亦可

黃芩끔 주082)
황금(黃芩):
부록 참조.
을 細솅末야 더운 醋총애 프러 세 도

하62ㄴ

머굴디니 주083)
머굴디니:
먹-[服] + -우-(삽입모음) + -ㄹ디니(연결어미). 먹을 것이니. 먹을지니.
므레 디투 주084)
디투:
딭-[濃] + -우(부사 접미사). 짙게. 구개음화로 ‘딭다’는 뒤에 ‘짙다’가 된다.
달혀 머구미  됴니라

또 황금의 뿌리를 곱게 가루로 빻아 뜨거운 초에 풀어 서 돈을 먹을 것이니 물에 진하게 달여 먹음이 또 좋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믓고기:믈[水] + -ㅅ(관형격 조사) + 고기[魚]. 물고기. 관형격 조사 ‘-ㅅ’ 앞의 명사 말음 ‘ㄹ’이 탈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틋나래’(하30ㄴ), ‘밧목’(하27ㄴ)에서도 볼 수 있다.
주002)
어즐니와:어즐-[眩]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어질어질한 것과.
주003)
노근(蘆根):갈대 뿌리.
주004)
노봉용(蘆蓬茸):갈대꽃.
주005)
귤피(橘皮):귤의 껍질.
주006)
믌고기:물고기. 바로 앞(하57ㄱ)에서는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 명사 말음 ‘ㄹ’이 탈락한 ‘믓고기’가 쓰였으나 여기서는 ‘ㄹ’이 탈락하지 않은 ‘믌고기’가 쓰였다.
주007)
마편초(馬鞭草):부록 참조.
주008)
박초(朴硝):부록 참조.
주009)
복고기:복어 고기.
주010)
교어(鮫魚)ㅅ 갓:상어의 껍질.
주011)
마:마늘.
주012)
동과(冬瓜):부록 참조.
주013)
안쥬:술 안주.
주014)
자소(紫蘇):부록 참조.
주015)
육축(六畜):집에서 기르는 여섯 가지 가축. 소, 말, 양, 돼지, 개, 닭을 이른다.
주016)
:벽(壁).
주017)
미:밑[底] + -(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있는.
주018)
:흙.
주019)
섯래:섯[十二月] + -애(처격 조사). 섣달에.
주020)
우마저양계구(牛馬猪羊雞狗):육축을 말한다.
주021)
절로:저절로.
주022)
황벽(黃蘗):부록 참조.
주023)
됻니라:둏-[好]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좋아진다. 어간 ‘둏-’이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으로 ‘됻-’이 되었다.
주024)
변두(藊豆):부록 참조.
주025)
엄:어금니.
주026)
고기:말고기[馬肉].
주027)
젼국:부록 참조.
주028)
행인(杏仁):부록 참조.
주029)
거피:꺼풀. 껍질.
주030)
닷 됫 밥 :닷[五] + 되[升] + -ㅅ(관형격 조사) + 밥[飯] + [米]. 다섯 되의 밥쌀.
주031)
:-[蒸] + -우(연결어미). 찌되.
주032)
더러:덜-[減] + -어(연결어미). 덜어.
주033)
디훈:딯-[擣]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찧은.
주034)
복의:복어[河魨]의.
주035)
백반(白礬):부록 참조.
주036)
스러디니라:슬-[消] + -어(연결어미) + -디-(접미사)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사라진다.
주037)
괴화(槐花):부록 참조.
주038)
보:복[河魨] + -(관형격 조사). 복어의.
주039)
곤(困)야:困- + -아(연결어미). 노곤하여.
주040)
바랍고:바랍-[殆] + -고(연결어미). 위태롭고.
주041)
뵈왓바:뵈왓-[怱] + -아(연결어미). 바빠. 다급하여.
주042)
햇:ㅎ[野] + -앳(처소 관형격 조사). 들에 있는.
주043)
:나물.
주044)
보:포육(脯肉). 말린 고기.
주045)
:때[垢].
주046)
대조(大棗):대추.
주047)
킈:[核] + -ㅅ(관형격 조사) + 킈[大]. 씨의 크기.
주048)
{ㅅ}기면: {ㅅ}기-[呑] + -면(연결어미). 삼키면.
주049)
닐리라:닐-[起] + -리라(추정법 종결어미). 일어날 것이다.
주050)
방촌(方寸) 술:한 술[匙].
주051)
머규믈:먹-[服] + -이-(사동 접미사) + -움(명사형 어미) + -을(목적격 조사). 먹임을. 먹이기를.
주052)
:짐승. 이 말은 원래 ‘衆生(중생)’에서 의미 분화가 일어나 오늘날의 ‘짐승’이 되었다.  〉 즘 〉 즘승 〉 짐승.
주053)
무근:묵-[陳] + -은(관형사형 어미). 묵은. 오래된.
주054)
가:가히[犬] + -(관형격 조사). 개의.
주055)
삭디:삭-[消] + -디(보조적 연결어미). 소화하지.
주056)
며:-[堅] + -며(연결어미). 딱딱하며.
주057)
브르며:(배가) 부르며.
주058)
갈(渴)야:목이 타고 말라서.
주059)
뵈왓바:조급해져.
주060)
즈츼리:즈츼-[痢]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목적격 조사). 설사하는 것을.
주061)
행인(杏仁):부록 참조.
주062)
거플:꺼풀.
주063)
글는:긇-[沸] + -는(관형사형 어미). 끓는.
주064)
온 편:온전한 덩어리.
주065)
서근:석-[腐] + -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주066)
포육(脯肉):말린 고기. 앞(하60ㄱ)에서는 고유어처럼 ‘보’으로 표기되었음을 볼 수 있다.
주067)
구채(韭菜):부록의 ‘염교’ 참조.
주068)
곰:곰-[殕] + -ㄴ(관형사형 어미). 곰팡이가 핀. 중세 국어에서 ‘곰다’와 같은 뜻으로 쓰인 ‘곰퓌다’가 있다.
주069)
장문중(張文仲):중국 당나라 때의 의원.
주070)
로:-[曰] + -오(연결어미). 말하되. 이르되.
주071)
:-[密] + -ㄴ(관형사형 어미). 빽빽한. 빡빡한.
주072)
자자이셔:잦-[泯] + -아(연결어미) + 이시-[有] + -어(연결어미). 잦아 있어. 들어 있어. 갇혀 있어.
주073)
불니:물-[腐] + --(현재시제 선어말 어미) + -니(연결어미). 썩나니.
주074)
니그닌:닉-[熟]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ㄴ(보조사). 익은 것은.
주075)
갈마:갊-[藏] + -아(연결어미). 감추어. 간직하여.
주076)
기:빽빽이. 빈틈 없이.
주077)
덥디:덮-[覆] + -디(보조적 연결어미). 덮지.
주078)
차:-[通] + -아(연결어미). 통하여.
주079)
백부자(白附子):부록 참조.
주080)
도:돈[錢] + -(목적격 조사). 돈을. 여기서 ‘돈’은 무게의 단위. 부록 참조.
주081)
육독(肉毒):썩은 고기에 생기는 독.
주082)
황금(黃芩):부록 참조.
주083)
머굴디니:먹-[服] + -우-(삽입모음) + -ㄹ디니(연결어미). 먹을 것이니. 먹을지니.
주084)
디투:딭-[濃] + -우(부사 접미사). 짙게. 구개음화로 ‘딭다’는 뒤에 ‘짙다’가 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