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33. 제충상(三十三諸蟲傷)
메뉴닫기 메뉴열기

33. 제충상(三十三諸蟲傷)


治諸蟲傷第三十三
聖惠方
凡中蛇不應言蛇皆言蟲及地索勿正言其名也

믈읏 주001)
믈읏:
무릇.
얌 믈여든 주002)
믈여든:
믈-[咬] + -이-(피동접미사) + -거든(연결어미). 물리거든.
야미라 니디 주003)
니디:
이르지[謂].
아니고 다 벌에 주004)
벌에:
벌레.

하74ㄱ

햇 주005)
햇:
ㅎ[地] + -앳(처소 관형격 조사). 땅에 있는.
노히라 주006)
노히라:
노ㅎ[索] + -이라(서술격 조사). 노끈이라.
닐어 제 일후믈 주007)
일후믈:
일훔[名] + -을(목적격 조사). 이름을.
正히 니디 말라

무릇 뱀에게 물리거든 뱀이라 이르지 말고 다 벌레와 땅에 있는 노끈이라 일러 제 이름을 바로 이르지 말라.

治蛇螫疼痛 合口椒二兩蒼茸苗五兩生薑汁二合硫黃半兩右相和爛擣傅螫處良

얌 소아 주008)
소아:
소-[螫] + -아(연결어미). (벌레 등이) 쏘아.
알  고튜 입 마고믄 주009)
마고믄:
마고믈-[噤] + -ㄴ(관형사형 어미). 다문. 꽉 닫은.
젼쵸 주010)
젼쵸:
조피. ‘조피’는 산초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며, 껍질은 약재로 쓴다.
두 兩과 됫고마릿 움 주011)
됫고마릿 움:
됫고마리[蒼茸] + -ㅅ(관형격 조사) + 움[苗]. 도꼬마리의 싹. ‘도꼬마리’는 부록 참조.
닷 兩과 生薑강汁집 두 홉과 硫黃 주012)
유황(硫黃):
부록 참조.
半반 兩 섯거 니기 디허 손 해 주013)
손 해:
쏘인 곳에.
브튜미 됴니라

뱀에게 쏘여 아픈 데를 고치려면 입을 다문 조피 두 냥과 도꼬마리의 싹 다섯 냥과 생강즙 두 홉과 유황 반 냥을 섞어 충분히 찧어서 쏘인 곳에 붙임이 좋다.

又方
地龍五枚蜈蚣一枚端午日收赤足者右相和爛擣傅被螫處

 것위 다 낫과 지네 주014)
지네:
오공(蜈蚣). 지네.
 나치 수릿나래 주015)
수릿나래:
수릿날[端午] + -애(처격조사). 단옷날에.
블그니로 주016)
블그니로:
븕-[赤]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로(도국격 조사). 붉은 것으로.
자밧던 주017)
자밧던:
잡-[捕] + -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 -던(과거 관형사형 어미). 잡았던.
거슬 섯거 니기 디허 주018)
쇤:
소-[螫] + -이-(피동 접미사) + -ㄴ(관형사형 어미). 쏘인.
해 브티라

또 지렁이 다섯 낱과 단옷날 잡은 발이 붉은 지네 한 낱을 섞어 충분히 찧어서 쏘인 곳에 붙이라.

又方
麝香細硏雄黃細硏半夏末生用各一

하74ㄴ

分右都硏令勻傅之卽愈

麝썅香 주019)
사향(麝香):
부록 참조.
리 로니와 주020)
로니와:
간[磨] 것과.
雄黃 주021)
웅황(雄黃):
부록 참조.
리 로니와 半반夏 주022)
반하(半夏):
부록 참조.
ㅅ 生닐  주023)
:
-[用] + -우(연결어미). 쓰되. 사용하되.
各각  分분곰 야 뫼화 주024)
뫼화:
뫼호-[集] + -아(연결어미). 모아.
라 고게 야 브티면 즉재 됻니라

또 사향을 가늘게 간 것과 웅황을 가늘게 간 것과 반하의 가루를 생것으로 쓰되 각각 한 푼씩 모아서 갈아 고르게 해서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白礬 甘草生用各一兩右擣細羅爲散如蛇螫着之時心頭熱躁眼前暗黑用新汲水服一錢卽止如有些小腫氣用白礬鹽漿水萵苣根煎三五沸淋之卽除

白礬뻔 주025)
백반(白礬):
부록 참조.
甘감草 주026)
감초(甘草):
부록 참조.
 生닐  各각  兩곰 야 디허 리 주027)
처:
츠-[篩] + -어(연결어미). (체로) 쳐서.
散산 주028)
산(散):
가루약.
라 얌 쇤 주029)
:
때[時].
미 덥달오 주030)
덥달오:
몹시 달고. 열이 나고.

하75ㄱ

누니 가마 주031)
가마:
감-[閉] + -아(연결어미). (눈을) 감아.
어듭거든 주032)
어듭거든:
어듭-[暗] + -거든(연결어미). 어둡거든.
주033)
:
금방.
기룬 므레  도 프러 머그면 즉재 긋니라 주034)
긋니라:
그친다.
다가 져기 브 氣킝分분이 잇거든 白礬뻔과 소곰과 漿水 주035)
장수(漿水):
부록 참조. 『구급간이방』(6:93ㄴ)에는 ‘漿水’를 ‘ 글힌 믈’로 주를 달아 놓았다.
부룻 주036)
부룻:
부루[萵] + -ㅅ(관형격 조사). 상추의.
불휘 세다 소소 주037)
소소:
솟-[湧] + -옴(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솟음을. 솟아오르게 끓음을. ‘소솜’은 약을 달일 때 약이 끓어 솟는 횟수를 세는 단위이다.
글혀 시스면 즉재 니라 주038)
니라:
-[愈] + --(연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낫는다.

또 백반과 감초 생것을 쓰되 각각 한 냥씩으로 찧어 가늘게 체로 쳐 가루약을 만들어서, 뱀에게 쏘였을 때 가슴에 열이 나고 눈이 감겨 어둡거든 금방 길어온 물에 한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그친다. 만일 조금 부은 기운이 있거든 백반과 소금과 쌀 끓인 물과 상추 뿌리를 세 번이나 다섯 번 솟아오르도록 끓여서 씻으면 즉시 낫는다.

又方
取獨顆蒜薄切安螫處以艾炷安在其上灸令熱徹卽愈

 알힌 주039)
 알힌:
[一] + 알ㅎ[顆] + -인(서술격 조사). 한 알인. 알이 하나인.
마 열이 주040)
열이:
엷-[薄] + -이(부사 접미사). 엷게. ‘엷다’는 모음의 접사 위에서 어간 말음 ‘ㅂ’이 그대로 탈락하였다. 이는 현대어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가깝+이 → 가까이’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버혀 주041)
버혀:
버히-[割] + -어(연결어미). 베어.
쇤 해 노코  붓글 그 우희 노하  더운 氣킝分분이 게 주042)
게:
-[通] + -게(부사형 어미). 사무치게.
면 즉재 됻니라

또 알이 한 개인 마늘 즉 외톨마늘을 엷게 베어 쏘인 곳에 놓고 쑥 뜸을 그 위에 놓고 떠서 뜨거운 기운이 사무치도록 하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用桑樹白汁塗瘡上日三四度塗之根白皮汁治蜈蚣咬

남긧 주043)
남긧:
나모[桑]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뽕나무의.
 汁집을 내야 헌  로  서너 적곰 라 불휫  거 주044)
거:
겇[皮] + (처소 관형격 조사). 꺼풀의. 껍질의.
汁집은 지네 믄  고티

하75ㄴ

니라

또 뽕나무에서 흰 즙을 내어 상처난 데에 바르되 하루 서너 번 씩 바르라. 뽕나무 뿌리의 흰 껍질에서 낸 즙은 지네에게 물린 데를 고친다.

又方
苦葫蘆根爛擣封瘡口上立差

주045)
:
-[苦] + -ㄴ(관형사형 어미). (맛이) 쓴.
주046)
박:
조롱박.
불휘 니기 허 헌 우희 주047)
:
-[包] + -아(연결어미). 싸서.
두면 즉재 됻니라

또 쓴 조롱박의 뿌리를 충분히 찧어 상처난 그 위를 싸 두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取雞子打破頭作孔合着螫處逡巡雞子黑又換以差爲度

 앐 주048)
 앐:
달걀의.
그틀 허러 주049)
허러:
헐-[破] + -어(연결어미). 깨뜨려.
굼글 주050)
굼글:
구무[穴] + -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지 손 해 맛게 노하 머므러 주051)
머므러:
머믈-[浚巡] + -어(연결어미). 가만히 두어.
알히 주052)
알히:
알ㅎ[卵] + -이(주격조사). 계란이.
검거든  로 주053)
로:
-[換] + -오(연결어미). 갈되. 바꾸되.
됴호 그 주054)
그:
끝. 한정(限定). 한계.
사마 라

또 달걀 끝을 깨뜨려 구멍을 내어서 쏘인 곳에 맞게 놓아 두고 달걀이 검게 되면 또 갈되 좋게 될 때까지 하라.

又方
猪脂和鹿角灰塗之卽愈

 도 기르메 사 주055)
사:
사[鹿] + -(관형격 조사). 사슴의.
주056)
:
뿔. ‘ 〉 뿔’은 원순모음화에 의한 것이다.
론  섯거 면 즉재 됻니라

또 돼지의 기름에 사슴의 뿔을 태운 재를 섞어 바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用梳頭梳中垢封之差

 머리 비슨 비셋 주057)
비셋:
빗[梳]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빗에 있는.
주058)
:
때[垢].
로  두면 됻니라

또 머리를 빗은 빗에 있는 때로 싸 두면 좋아진다.

又方
治蝮蛇螫 豉四兩去目薰陸

하76ㄱ

香 白礬各三兩燒灰右相和爛搗以唾調傅被咬處

 毒독蛇 쇤  고튜 젼국 주059)
젼국:
부록 참조.
넉 兩과 川椒 주060)
천초(川椒):
부록 참조.
아니와 주061)
아니와:
앗-[去]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제거한 것과. 떼어낸 것과.
薰훈陸륙香 주062)
훈륙향(薰陸香):
부록 참조.
과 白礬뻔과 各각 석 兩 라 섯거 니기 허 추므로 주063)
추므로:
침으로[唾].
라 믈인 해 브티라

또 독사에게 쏘인 데를 고치려면 약전국 넉 냥과 초피나무 열매의 눈을 제거한 것과 훈륙향과 백반 각각 석 냥을 불살라 섞어 충분히 찧어서 침으로 개어 물린 곳에 붙이라.

又方
生椒三兩去目好豉四兩右以唾和搗令爛熟用傅傷處須臾卽差

生 주064)
생(生):
날 것의. 생것의.
川椒 석 兩 눈 아니와 됴 젼국 넉 兩 추므로 섯거 닉게 디허 헌  브티면 즉재 됻니라

또 초피나무 열매 생것 석 냥의 눈을 제거한 것과 좋은 약전국 넉 냥을 침으로 섞어 무르도록 찧어 상처난 데에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鹽二斤以水六升煮十沸溫溫浸之冷卽再煖

 소곰 두 斤근을 믈 엿 되로 여라 소소 글혀

하76ㄴ

주065)
시:
-[溫] + -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야 가슈 주066)
가슈:
-[浸] + -아(연결어미) + 시-[‘이시-’ 有] + -우(연결어미). 잠가 있되. 담가 있되.
거든 다시 더이라 주067)
더이라:
덥-[熱]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덥게 하라. 데우라.

또 소금 두 근을 물 여섯 되로 여남은 번 솟아오르도록 끓여 따뜻하게 하여서 (상처난 데를) 그 물에 담가 있되 식거든 다시 데우라.

又方
用猪耳垢著瘡中牛耳垢亦可

 도 귀옛  주068)
귀옛 :
귀에 있는 때[垢].
 헌  녀흐라 귀옛 도 됴니라

또 돼지의 귀에 있는 때를 상처난 데에 넣으라. 소의 귀에 있는 때도 좋다.

又方
治蜈蚣咬 膩粉一分生薑汁調塗咬處立効

 지네 믄  고툐 됴 粉분 주069)
분(粉):
부록의 ‘이분(膩粉)’ 참조.
 分분 生薑汁집에 라 믄 해 브티면 즉재 됻니라

또 지네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좋은 분 한 푼을 생강즙에 개어 물린 곳에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胡葱一握搗如泥一合右以水煮椒汁洗之後封胡葱泥於咬處卽差

葱 주070)
총(蔥):
김장파.
우후믈 주071)
우후믈:
움큼을.
즌  게 디코 주072)
디코:
딯-[擣] + -고(연결어미). 찧고.
川椒  호 므레 글혀 시슨 後에 蔥 니균 주073)
니균:
니기-[擣]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찧은.
거슬 믄 해 브티면 즉재 됻니라

또 자총파 한 움큼을 진흙 같게 찧어 놓고 초피나무 열매 한 홉을 끓인 물로 (상처난 데를) 씻은 후에 자총파 찧은 것을 물린 곳에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取蝸

하77ㄱ

牛捺取汁滴入咬處須臾自差

파니 주074)
파니:
달팽이[蝸].
 눌러 汁집 내야 믄 해 츳들이면 주075)
츳들이면:
츳듣-[滴] + -이-(사동 접미사) + -면(연결어미). 떨어뜨리면. 듣게 하면. 동사 ‘츳듣다’는 ㄷ변칙 활용을 하므로 어간 말음 ‘ㄷ’이 모음의 접사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즉재 됻니라

또 달팽이를 (손으로) 눌러 즙을 짜내어 물린 곳에 떨어뜨리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以雄雞冠血塗之立效

수 주076)
수:
수ㅎ[雄] + [鷄] + -(관형격 조사). 수탉의.
벼셋 주077)
벼셋:
볏[冠]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볏에 있는.
피 면 즉재 됻니라

또 수탉의 볏의 피를 바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治蜘蛛咬徧身生絲羊乳一味飮之

거믜 주078)
거믜:
거미가[蜘蛛].
므러 모매 기 시리 주079)
시리:
실[絲] + -이(주격조사). 실이.
나거든 고툐 羊 저즐  저글 마시면 됻니라

또 거미에게 물려 몸에서 실이 가득 나오거든 고치되 양의 젖을 한 번 마시면 좋아진다.

又方
治蜘蛛咬徧身成瘡立效以上好春酒任意飮之取醉使人飜轉身勿令一向臥恐酒毒腐人腸斯須蜘蛛兒於瘡中小如粟米

하77ㄴ

自出盡卽差

 거믜 므러 모매 기 헐어든 고툐 즉재 됻니 됴 수를 주080)
 수를:
봄[春] + -ㅅ(관형격 조사) + 술[酒] + -을(목적격 조사). 봄에 빚은 술을.
조초 주081)
조초:
마음 따라. 마음껏.
머거 醉커든 사로 내 모 드위힐훠 주082)
드위힐훠:
드위힐후-[飜] + -어(연결어미). 뒤집어. 되풀이하여.
녀고로 주083)
녀고로:
[一] + 녁[方面] + -오로(향격조사). 한 쪽으로. ‘녁’에서 동음생략이 일어나 ‘녁’이 되었다. 조사 ‘-오로’는 ‘-으로’가 수의적으로 변이된 형태이다.
누웻디 주084)
누웻디:
눕-[臥] + 어(연결어미) + 잇-[有] + -디(보조적 연결어미). 누워 있지.
아니케 홀디니 수욼 주085)
수욼:
수울[酒] + -ㅅ(관형격 조사). 술의. ‘酒’에 대해서 ‘술’과 ‘수울’의 두 가지 형태가 함께 쓰이고 있다.
毒독氣킝 이 사  석게 주086)
석게:
석-[腐] + -게(부사형 어미). 썩게.
가 저헤니 주087)
저헤니:
젛-[恐] + -어(연결어미) + -ㅣ니(서술격 조사). 저어하는 것이니. 염려하는 것이니. 중세국어에서 서술격 조사 ‘-이-’는 용언의 활용형에 연결되는 경우가 퍽 생산적이었다.
아니한 덛 고 주088)
아니한 덛고:
잠깐 사이에.
거믜 삿기 주089)
삿기:
새끼.
헌 셔 햐 주090)
햐:
햑-[小] + -(관형사형 어미). 작은.
조 주091)
조:
좁쌀.
니 주092)
니:
같은 것이.
절로 다 나면 즉재 됻니라

또 거미에게 물려 온몸이 헐거든 고치면 즉시 좋아지는데, (그것은) 좋은 봄술을 마음껏 마셔 취하거든 사람들로 하여금 내 몸을 뒤집어 한 쪽으로 누워 있지 않게 할 것이니 이는 술의 독한 기운이 이 사람의 창자를 썩게 할까 두렵기 때문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거미 새끼가 헌 데서 작은 좁쌀 같은 것이 되어 저절로 다 나오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以靑葱葉一莖去尖頭作孔子以地龍一枚置葱葉中緊抯兩頭勿令通氣搖動之候化爲水塗所咬處便差神驗

팟닙 주093)
팟닙:
파[葱] + -ㅅ(관형격 조사) + 닢[葉]. 파의 잎.
 나 롣 주094)
롣:
롣-[尖] + -ㄴ(관형사형 어미). 뾰족한. 이 문헌에서는 ‘롣다’와 ‘롣다’가 함께 쓰이고 있다.
귿 앗고 구무 지 것위 주095)
것위:
지렁이.
 나 팟닙 소배 주096)
소배:
솝[內] + -애(처격조사). 속에.
녀코 주097)
녀코:
녛-[入] + -고(연결어미). 넣고.
두 그틀 구디 주098)
구디:
굳-[堅] + -이(부사 접미사). 굳게.
자바 氣킝分분이 通티

하78ㄱ

몯게 야 흐느로 주099)
흐느로:
흐늘-[搖] + -오(연결어미). 흔들되.
믈 외요 기드려 주100)
기드려:
기드리-[待] + -어(연결어미). 기다려.
믄  면 즉재 됻니라

또 파의 잎 한 낱을 뾰족한 끝을 없애고 구멍을 내어 지렁이 한 낱을 파의 잎 속에 넣고 두 끝을 굳게 잡아 기운이 나가지 못하게 해서 흔들되 물이 되기를 기다려 물린 데를 바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嚼薤白傅之立效

염규 주101)
염규:
부록 참조.
  주102)
:
흰 데를.
시버 브티면 즉재 됻니라

또 부추의 밑동 흰 데를 씹어 붙이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治蝎蜇以猪脂塗之

蝎 주103)
갈(蝎):
전갈.
손  주104)
손 :
쏜 데를.
고튜 도 기르믈 라

또 전갈에게 쏘인 데를 고치려면 돼지의 기름을 바르라.

又方
以石榴葉及皮爛搗炒令熱封上冷卽換之

石쎡榴 주105)
석류(石榴):
부록 참조.
ㅅ 닙과 거츨 주106)
거츨:
겇[皮] + -을(목적격 조사). 껍질을. 껍질을.
니기 디허 봇가 덥게 야 그 우희 브티고 거든 라 주107)
라:
-[換] + -라(명령법 어미). 갈으라. 바꾸라.

또 석류나무의 잎과 껍질을 충분히 찧어서 볶아 뜨겁게 해서 그 위에 붙이고 식거든 갈으라.

又方
以井底泥塗溫則易之

우믌 주108)
우믌:
우믈[井] + -ㅅ(관형격 조사). 우물의.
미틧 주109)
미틧:
밑[底]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있는.
 로 거든 주110)
거든:
-[溫] + -거든(연결어미). 따뜻하거든. 따스해지거든. 어간 ‘-’의 ‘’가 폐쇄음 사이에 올 때는 그대로 탈락하기도 한다.
라

또 우물 밑에 있는 흙을 바르되 따스해지거든 갈으라.

又方
治蜂螫 蜜五合二兩猪脂五合右和煎稍稍食之

 벌 손  고튜  닷 홉

하78ㄴ

과 밀 두 兩과 도 기름 닷 호 섯거 글혀 젹젹 주111)
젹젹:
조금씩.
머그라

또 벌에 쏘인 데를 고치려면 꿀 다섯 홉과 밀랍 두 냥과 돼지의 기름 다섯 홉을 섞어 끓여서 조금씩 먹으라.

又方
燒牛糞灰細硏以醋調塗之

  론  리 라 醋총애 라 라

또 쇠똥을 불사른 재를 가늘게 갈아서 초에 개어 바르라.

又方
嚼鹽塗之

 소고 시버 라

또 소금을 씹어 바르라.

本草
治蛇咬苦苣莖葉搗傅

얌 믄  고튜  부룻대 주112)
부룻대:
부루[萵] + -ㅅ(관형격 조사) + 대[莖]. 상추의 줄기.
와 니플 허 브티라

뱀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쓴 상추의 줄기와 잎을 찧어 붙이라.

千金方
治因熱逐凉睡熟有蛇入口中挽不出以刀破蛇尾內生椒三兩枚裹着須臾卽出

더우믈 因야 서늘  조차 니기 주113)
니기:
닉-[熟] + -이(부사 접미사). 익히. 깊이.
오다가 주114)
오다가:
올-[眠] + -다가(연결어미). 졸다가. 자다가.
야미 입 안해 드러

하79ㄱ

어도
주115)
긋어도:
그스-[挽] + -어도(연결어미). 끌어내어도. ‘그스다’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그다’로 쓰였다.
나디 아니거든 고튜 갈로 주116)
갈로:
갈ㅎ[刀] + -로(도구격 조사). 칼로.
야 리 고 주117)
고:
-[剖] + -고(연결어미). 가르고. 쪼개고.
生 川椒 주118)
천초(川椒):
부록 참조.
서너 나 녀코  두면 아니한 주119)
아니한:
아니[不] + 하-[多]+ -ㄴ(관형사형 어미). 많지 않은. 짧은.
더데 주120)
더데:
덛[頃] + -에(처격조사). 동안에.
즉재 나니라

더움을 인하여 서늘한 데를 찾아 깊이 잠자다가 뱀이 입 안으로 들어서 끌어내어도 나오지 않거든 고치되 칼로 뱀의 꼬리를 가르고 초피 나무 열매 생것 서너 낱을 넣어 싸두면 얼마 지나지 않아 즉시 나온다.

又方
艾灸蛇尾卽出若無火以刀周匝割蛇尾截令皮斷乃將皮倒脫卽出

구로 주121)
구로:
[艾] + -우로(도구격 조사). 쑥으로. ‘-우로’는 조사 ‘-으로’가 수의적으로 변이된 형태이다.
야 리 면 주122)
면:
(뜸) 뜨면.
즉재 나니 다가 브리 업거든 갈로 야 리 횟도로 주123)
횟도로:
횟돌-[旋] + -오(부사 접미사). 휘돌아. 빙돌아.
버혀 주124)
버혀:
베어.
가치 그처디게 주125)
그처디게:
긏-[斷] + -어(연결어미) + -디-(접미사) + -게(부사형 어미). 끊어지게.
고 가 주126)
가:
갗[皮] + -(목적격 조사). 가죽을.
자바 갓로 주127)
갓로:
갓-[倒] + -오(부사 접미사). 거꾸로.
밧기면 주128)
밧기면:
밧기-[脫] + -면(연결어미). 벗기면.
즉재 나니라

또 쑥으로 뱀의 꼬리를 뜸뜨면 즉시 나온다. 만일 불이 없거든 칼로 뱀의 꼬리를 빙돌아 가며 베어 가죽이 끊어지게 하고 가죽을 잡아 거꾸로 벗기면 즉시 나온다.

又方
治蛇入人口幷七孔中割母猪尾頭瀝血着口中卽出

 야미 사 입과 닐굽 굼긔 주129)
닐굽 굼긔:
일곱 구멍에. 일곱 구멍은 귀, 눈, 코의 각 두 개 구멍과 입 하나를 말한다.
들어든 고튜 어 도 주130)
어 도:
어[母] + 돝[猪] + -(관형격 조사). 어미 돼지의.
릿 그틀 버혀 츳듣 주131)
츳듣:
뚝뚝 듣는. 떨어지는.
피 이베 녀

하79ㄴ

면 즉재 나니라

또 뱀이 사람의 입과 일곱 구멍에 들거든 고치되 어미 돼지의 꼬리 끝을 베어 떨어지는 피를 입에 넣으면 즉시 나온다.

又方
治卒爲蛇繞不解以熱湯淋之無湯令人尿之

가기 주132)
가기:
갑자기.
야미 가마 주133)
가마:
감-[繞] + -아(연결어미). 감아.
프디 주134)
프디:
플-[解] + -디(보조적 연결어미). 풀지.
아니거든 고튜 더운 믈로 시스라 더운 믈 업거든 사로 오조 뉘라 주135)
뉘라:
누-[泄]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누게 하라.

또 갑자기 뱀이 칭칭 감아 풀지 않거든 고치되 뜨거운 물로 씻으라. 뜨거운 물이 없거든 사람으로 하여금 오줌을 누게 하라.

又方
治蛇噛人屎厚塗帛裹卽消

 얌 믄  고툐 사  둗거이 주136)
둗거이:
둡겁-[厚] + -이(부사 접미사). 두꺼이. 두껍게.
고 기브로 주137)
기브로:
깁[帛] + -으로(도구격 조사). 헝겊으로. 비단으로.
 두면 즉재 스니라 주138)
스니라:
슬-[消]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또 뱀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사람의 똥을 두껍게 바르고 헝겊으로 싸 두면 즉시 (독이) 사라진다.

又方
治蛇毒消蠟注瘡上不差更消注之

 야 毒독 고툐 미 주139)
미:
밀[蠟] + -(목적격 조사). 밀랍을.
노겨 헌  브 주140)
브:
붓되.
됴티 아니커든 다시 노겨 브라

또 뱀의 독을 고치려면 밀랍을 녹여 상처난 데에 붓되 좋지 아니하거든 다시 녹여 부으라.

又方
生麻楮葉合擣以水絞去滓漬之

 生삼과 주141)
닥:
닥나무[楮].
니플 뫼화 디허 믈 조

하80ㄱ

쳐  즛의 앗고 라 주142)
라:
-[漬] + -라(명령법 종결어미). 담그라.

또 날 것의 삼과 닥나무 잎을 모아 한데 찧어서 물과 함께 짜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담그라.

又方
令婦人尿瘡上

겨지브로 주143)
겨지브로:
겨집[女] + -으로(도구격 조사). 여자로.
헌  오조 뉘라

또 여자로 하여금 물린 데에 오줌을 누게 하라.

又方
雄黃爲末傅上日一易

雄黃 주144)
웅황(雄黃):
부록 참조.
  라 우희 브튜   적곰 라

또 석웅황을 가루로 만들어 그 위에 붙이되 하루 한 번씩 갈아 붙이라.

又方
治蛇螫人瘡已愈餘毒在肉中滛滛痛痒 大蒜 小蒜各一升右二味合擣以熱湯淋以汁灌瘡大良

 얌 손 사 헌  마 됴코 나 주145)
나:
남-[餘] + -(관형사형 어미). 남은.
毒독氣킝  예 이셔 금굼히 주146)
금굼히:
근근히. 근질근질하게.
알고 랍거든 주147)
랍거든:
랍-[痒] + -거든(연결어미). 가렵거든.
고툐 굴근 마와 도야마 주148)
도야마:
외톨마늘. 한 통에 한 쪽만 든 마늘.
各각  되 뫼화 디허 더운 믈로 싯고 汁집을 헌  저지면 주149)
저지면:
적시면.
 됴니라

또 뱀에게 쏘인 사람의 헌데가 이미 아물었거나 남은 독한 기운이 살 가운데 있어서 근질근질하면서 아프고 가렵거든 고치되 굵은 마늘과 외톨마늘 각각 한 되를 모아 찧어서 뜨거운 물로 씻고 그 즙을 물린 데에 적시면 가장 좋다.

又方
治衆蛇螫灸

하80ㄴ

上三七壯無艾以火頭稱瘡孔大小熨之

주150)
믌:
뭇. 여러.
얌 손  고툐 우희 세닐굽 주151)
세닐굽 붓글:
스물 한 번 뜸을.
붓글 라 기 업거든 브를 헌 굼긔 크며 져고매 마초야 주152)
마초야:
맞추어.
라

또 여러 뱀에게 쏘인 데를 고치려면 그 위에 스물 한 번 뜸을 뜨라. 쑥이 없거든 불을 상처난 구멍에 크고 작음을 맞추어 쬐라.

經驗秘方
蜈蚣蝎傷用胡椒蒜薑皆可硏碎擦

지네와 蝎 주153)
갈(蝎)의:
전갈에게.
의 헐인  胡椒 주154)
호초(胡椒):
부록 참조.
와 마와 生薑 주155)
생강(生薑):
부록 참조.
과 다 라 아 븨라 주156)
븨라:
비비라. 문지르라. 이 문헌[하82ㄱ]에는 경음화 표기가 아닌 ‘비븨여’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네와 전갈에게 물린 데를 후추와 마늘과 생강을 모두 갈고 빻아 문지르라.

經驗良方
治蜈蚣諸毒虫傷麻油點燈於瘡口上對瘡口熏登時愈

지네와 여러 가짓 毒독 벌에 헐인

하81ㄱ

 고튜 헌 우희 기르믈 브레 처디오 주157)
처디오:
처디-[滴] + -고(연결어미). 처지게 하고. (뚝뚝) 떨어뜨리고.
헌  마초아 주158)
마초아:
맞추어.
쇠면 즉재 됻니라

지네와 여러 가지 독한 벌레에게 물린 데를 고치려면 그 상처 위에서 참기름을 불에 떨어뜨려 (그 연기를) 물린 데에 맞추어 쐬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蜘蛛咬用雄黃末傅藍汁尤佳

 거믜 므러든 雄黃ㅅ 브티라 주159)
족:
쪽[藍]. 부록 참조.
汁집이 더욱 됴니라

또 거미에게 물리거든 석웅황의 가루를 붙이라. 쪽의 즙이 더욱 좋다.

葛氏肘後方
治蛇蝎螫服小蒜汁滓傅上又治蝮蛇螫

얌과 蝎의 손  고툐 되야마 주160)
되야마:
외톨마늘.
먹고 汁집과 의와 우희 브티라  毒독蛇썅 손  고티니라

뱀과 전갈에게 쏘인 데를 고치려면 외톨마늘을 먹고 그 즙과 찌꺼기를 상처 위에 붙이라. 또 독사에게 쏘인 데를 고친다.

又方
熟搗葵取汁服之

아오 주161)
아오:
아옥[葵] + -(목적격 조사). 아욱을. 아욱의 씨는 동규자(冬葵子)라고 하여 한방에서 이뇨제로 사용한다.
니기 디허 汁집을 내야 머그라

또 아욱을 충분히 찧어서 즙을 내어 먹으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믈읏:무릇.
주002)
믈여든:믈-[咬] + -이-(피동접미사) + -거든(연결어미). 물리거든.
주003)
니디:이르지[謂].
주004)
벌에:벌레.
주005)
햇:ㅎ[地] + -앳(처소 관형격 조사). 땅에 있는.
주006)
노히라:노ㅎ[索] + -이라(서술격 조사). 노끈이라.
주007)
일후믈:일훔[名] + -을(목적격 조사). 이름을.
주008)
소아:소-[螫] + -아(연결어미). (벌레 등이) 쏘아.
주009)
마고믄:마고믈-[噤] + -ㄴ(관형사형 어미). 다문. 꽉 닫은.
주010)
젼쵸:조피. ‘조피’는 산초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며, 껍질은 약재로 쓴다.
주011)
됫고마릿 움:됫고마리[蒼茸] + -ㅅ(관형격 조사) + 움[苗]. 도꼬마리의 싹. ‘도꼬마리’는 부록 참조.
주012)
유황(硫黃):부록 참조.
주013)
손 해:쏘인 곳에.
주014)
지네:오공(蜈蚣). 지네.
주015)
수릿나래:수릿날[端午] + -애(처격조사). 단옷날에.
주016)
블그니로:븕-[赤] + -은(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로(도국격 조사). 붉은 것으로.
주017)
자밧던:잡-[捕] + -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 + -던(과거 관형사형 어미). 잡았던.
주018)
쇤:소-[螫] + -이-(피동 접미사) + -ㄴ(관형사형 어미). 쏘인.
주019)
사향(麝香):부록 참조.
주020)
로니와:간[磨] 것과.
주021)
웅황(雄黃):부록 참조.
주022)
반하(半夏):부록 참조.
주023)
:-[用] + -우(연결어미). 쓰되. 사용하되.
주024)
뫼화:뫼호-[集] + -아(연결어미). 모아.
주025)
백반(白礬):부록 참조.
주026)
감초(甘草):부록 참조.
주027)
처:츠-[篩] + -어(연결어미). (체로) 쳐서.
주028)
산(散):가루약.
주029)
:때[時].
주030)
덥달오:몹시 달고. 열이 나고.
주031)
가마:감-[閉] + -아(연결어미). (눈을) 감아.
주032)
어듭거든:어듭-[暗] + -거든(연결어미). 어둡거든.
주033)
:금방.
주034)
긋니라:그친다.
주035)
장수(漿水):부록 참조. 『구급간이방』(6:93ㄴ)에는 ‘漿水’를 ‘ 글힌 믈’로 주를 달아 놓았다.
주036)
부룻:부루[萵] + -ㅅ(관형격 조사). 상추의.
주037)
소소:솟-[湧] + -옴(명사형 어미) + -(목적격 조사). 솟음을. 솟아오르게 끓음을. ‘소솜’은 약을 달일 때 약이 끓어 솟는 횟수를 세는 단위이다.
주038)
니라:-[愈] + --(연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낫는다.
주039)
 알힌:[一] + 알ㅎ[顆] + -인(서술격 조사). 한 알인. 알이 하나인.
주040)
열이:엷-[薄] + -이(부사 접미사). 엷게. ‘엷다’는 모음의 접사 위에서 어간 말음 ‘ㅂ’이 그대로 탈락하였다. 이는 현대어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가깝+이 → 가까이’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주041)
버혀:버히-[割] + -어(연결어미). 베어.
주042)
게:-[通] + -게(부사형 어미). 사무치게.
주043)
남긧:나모[桑]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뽕나무의.
주044)
거:겇[皮] + (처소 관형격 조사). 꺼풀의. 껍질의.
주045)
:-[苦] + -ㄴ(관형사형 어미). (맛이) 쓴.
주046)
박:조롱박.
주047)
:-[包] + -아(연결어미). 싸서.
주048)
 앐:달걀의.
주049)
허러:헐-[破] + -어(연결어미). 깨뜨려.
주050)
굼글:구무[穴] + -을(목적격 조사). 구멍을.
주051)
머므러:머믈-[浚巡] + -어(연결어미). 가만히 두어.
주052)
알히:알ㅎ[卵] + -이(주격조사). 계란이.
주053)
로:-[換] + -오(연결어미). 갈되. 바꾸되.
주054)
그:끝. 한정(限定). 한계.
주055)
사:사[鹿] + -(관형격 조사). 사슴의.
주056)
:뿔. ‘ 〉 뿔’은 원순모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57)
비셋:빗[梳]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빗에 있는.
주058)
:때[垢].
주059)
젼국:부록 참조.
주060)
천초(川椒):부록 참조.
주061)
아니와:앗-[去] + -오-(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와(접속조사). 제거한 것과. 떼어낸 것과.
주062)
훈륙향(薰陸香):부록 참조.
주063)
추므로:침으로[唾].
주064)
생(生):날 것의. 생것의.
주065)
시:-[溫] + -이(부사 접미사). 따뜻이.
주066)
가슈:-[浸] + -아(연결어미) + 시-[‘이시-’ 有] + -우(연결어미). 잠가 있되. 담가 있되.
주067)
더이라:덥-[熱]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덥게 하라. 데우라.
주068)
귀옛 :귀에 있는 때[垢].
주069)
분(粉):부록의 ‘이분(膩粉)’ 참조.
주070)
총(蔥):김장파.
주071)
우후믈:움큼을.
주072)
디코:딯-[擣] + -고(연결어미). 찧고.
주073)
니균:니기-[擣]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찧은.
주074)
파니:달팽이[蝸].
주075)
츳들이면:츳듣-[滴] + -이-(사동 접미사) + -면(연결어미). 떨어뜨리면. 듣게 하면. 동사 ‘츳듣다’는 ㄷ변칙 활용을 하므로 어간 말음 ‘ㄷ’이 모음의 접사 앞에서 ‘ㄹ’로 교체되었다.
주076)
수:수ㅎ[雄] + [鷄] + -(관형격 조사). 수탉의.
주077)
벼셋:볏[冠] + -엣(처소 관형격 조사). 볏에 있는.
주078)
거믜:거미가[蜘蛛].
주079)
시리:실[絲] + -이(주격조사). 실이.
주080)
 수를:봄[春] + -ㅅ(관형격 조사) + 술[酒] + -을(목적격 조사). 봄에 빚은 술을.
주081)
조초:마음 따라. 마음껏.
주082)
드위힐훠:드위힐후-[飜] + -어(연결어미). 뒤집어. 되풀이하여.
주083)
녀고로:[一] + 녁[方面] + -오로(향격조사). 한 쪽으로. ‘녁’에서 동음생략이 일어나 ‘녁’이 되었다. 조사 ‘-오로’는 ‘-으로’가 수의적으로 변이된 형태이다.
주084)
누웻디:눕-[臥] + 어(연결어미) + 잇-[有] + -디(보조적 연결어미). 누워 있지.
주085)
수욼:수울[酒] + -ㅅ(관형격 조사). 술의. ‘酒’에 대해서 ‘술’과 ‘수울’의 두 가지 형태가 함께 쓰이고 있다.
주086)
석게:석-[腐] + -게(부사형 어미). 썩게.
주087)
저헤니:젛-[恐] + -어(연결어미) + -ㅣ니(서술격 조사). 저어하는 것이니. 염려하는 것이니. 중세국어에서 서술격 조사 ‘-이-’는 용언의 활용형에 연결되는 경우가 퍽 생산적이었다.
주088)
아니한 덛고:잠깐 사이에.
주089)
삿기:새끼.
주090)
햐:햑-[小] + -(관형사형 어미). 작은.
주091)
조:좁쌀.
주092)
니:같은 것이.
주093)
팟닙:파[葱] + -ㅅ(관형격 조사) + 닢[葉]. 파의 잎.
주094)
롣:롣-[尖] + -ㄴ(관형사형 어미). 뾰족한. 이 문헌에서는 ‘롣다’와 ‘롣다’가 함께 쓰이고 있다.
주095)
것위:지렁이.
주096)
소배:솝[內] + -애(처격조사). 속에.
주097)
녀코:녛-[入] + -고(연결어미). 넣고.
주098)
구디:굳-[堅] + -이(부사 접미사). 굳게.
주099)
흐느로:흐늘-[搖] + -오(연결어미). 흔들되.
주100)
기드려:기드리-[待] + -어(연결어미). 기다려.
주101)
염규:부록 참조.
주102)
:흰 데를.
주103)
갈(蝎):전갈.
주104)
손 :쏜 데를.
주105)
석류(石榴):부록 참조.
주106)
거츨:겇[皮] + -을(목적격 조사). 껍질을. 껍질을.
주107)
라:-[換] + -라(명령법 어미). 갈으라. 바꾸라.
주108)
우믌:우믈[井] + -ㅅ(관형격 조사). 우물의.
주109)
미틧:밑[底] + -읫(처소 관형격 조사). 밑에 있는.
주110)
거든:-[溫] + -거든(연결어미). 따뜻하거든. 따스해지거든. 어간 ‘-’의 ‘’가 폐쇄음 사이에 올 때는 그대로 탈락하기도 한다.
주111)
젹젹:조금씩.
주112)
부룻대:부루[萵] + -ㅅ(관형격 조사) + 대[莖]. 상추의 줄기.
주113)
니기:닉-[熟] + -이(부사 접미사). 익히. 깊이.
주114)
오다가:올-[眠] + -다가(연결어미). 졸다가. 자다가.
주115)
긋어도:그스-[挽] + -어도(연결어미). 끌어내어도. ‘그스다’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그다’로 쓰였다.
주116)
갈로:갈ㅎ[刀] + -로(도구격 조사). 칼로.
주117)
고:-[剖] + -고(연결어미). 가르고. 쪼개고.
주118)
천초(川椒):부록 참조.
주119)
아니한:아니[不] + 하-[多]+ -ㄴ(관형사형 어미). 많지 않은. 짧은.
주120)
더데:덛[頃] + -에(처격조사). 동안에.
주121)
구로:[艾] + -우로(도구격 조사). 쑥으로. ‘-우로’는 조사 ‘-으로’가 수의적으로 변이된 형태이다.
주122)
면:(뜸) 뜨면.
주123)
횟도로:횟돌-[旋] + -오(부사 접미사). 휘돌아. 빙돌아.
주124)
버혀:베어.
주125)
그처디게:긏-[斷] + -어(연결어미) + -디-(접미사) + -게(부사형 어미). 끊어지게.
주126)
가:갗[皮] + -(목적격 조사). 가죽을.
주127)
갓로:갓-[倒] + -오(부사 접미사). 거꾸로.
주128)
밧기면:밧기-[脫] + -면(연결어미). 벗기면.
주129)
닐굽 굼긔:일곱 구멍에. 일곱 구멍은 귀, 눈, 코의 각 두 개 구멍과 입 하나를 말한다.
주130)
어 도:어[母] + 돝[猪] + -(관형격 조사). 어미 돼지의.
주131)
츳듣:뚝뚝 듣는. 떨어지는.
주132)
가기:갑자기.
주133)
가마:감-[繞] + -아(연결어미). 감아.
주134)
프디:플-[解] + -디(보조적 연결어미). 풀지.
주135)
뉘라:누-[泄] + -이-(사동 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누게 하라.
주136)
둗거이:둡겁-[厚] + -이(부사 접미사). 두꺼이. 두껍게.
주137)
기브로:깁[帛] + -으로(도구격 조사). 헝겊으로. 비단으로.
주138)
스니라:슬-[消]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 -니라(확인법 종결어미).
주139)
미:밀[蠟] + -(목적격 조사). 밀랍을.
주140)
브:붓되.
주141)
닥:닥나무[楮].
주142)
라:-[漬] + -라(명령법 종결어미). 담그라.
주143)
겨지브로:겨집[女] + -으로(도구격 조사). 여자로.
주144)
웅황(雄黃):부록 참조.
주145)
나:남-[餘] + -(관형사형 어미). 남은.
주146)
금굼히:근근히. 근질근질하게.
주147)
랍거든:랍-[痒] + -거든(연결어미). 가렵거든.
주148)
도야마:외톨마늘. 한 통에 한 쪽만 든 마늘.
주149)
저지면:적시면.
주150)
믌:뭇. 여러.
주151)
세닐굽 붓글:스물 한 번 뜸을.
주152)
마초야:맞추어.
주153)
갈(蝎)의:전갈에게.
주154)
호초(胡椒):부록 참조.
주155)
생강(生薑):부록 참조.
주156)
븨라:비비라. 문지르라. 이 문헌[하82ㄱ]에는 경음화 표기가 아닌 ‘비븨여’도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주157)
처디오:처디-[滴] + -고(연결어미). 처지게 하고. (뚝뚝) 떨어뜨리고.
주158)
마초아:맞추어.
주159)
족:쪽[藍]. 부록 참조.
주160)
되야마:외톨마늘.
주161)
아오:아옥[葵] + -(목적격 조사). 아욱을. 아욱의 씨는 동규자(冬葵子)라고 하여 한방에서 이뇨제로 사용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