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역주 신선태을자금단
  • 신선태을자금단
  • 증상과 복용법
  • 증상과 복용법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증상과 복용법 15


凡用涼冷水者皆用井花水或長流水硏生薑薄荷汁同硏服如無生薄荷乾者濃煎磨服亦佳
Ⓒ 저자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신선태을자금단:16ㄴ

믈읫 므레 머그라 니란 주001)
니란:
-[謂]+-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란(보조사). 하는 것은.
새배 주002)
:
남. 다른 사람.
아니 기른 주003)
기른:
긷-[汲]+-은(관형사형 어미). 〈물을〉 길은. ‘긷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긷-’ 다음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길-’로 교체된다.
몬져 주004)
몬져:
먼저.
기룬 주005)
기룬:
긷-[汲]+-우-(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길은.
우믌믈 주006)
우믌믈:
우믈[井]+-ㅅ(사이시옷)+믈[水]. 우물물.
 주007)
:
늘. 항상.
흐르 므레  주008)
:
생강. 부록 참조.
과  주009)
닙[葉]:
잎. ‘닢’[葉]이 자음 앞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닙’으로 교체되었다.
조쳐  주010)
:
한데. 한군데.
론 주011)
론:
-[硏, 磨]+-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간.
즙에 라 머구 주012)
머구:
먹-[服用]+-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먹되.
혀 주013)
혀:
행여. 혹시.
주014)
:
날것. 생것.
 니피 업거든  주015)
:
-[乾]+-ㄴ(관형사형 어미). 마른.
니플 디투 주016)
디투:
딭-[濃]+-우(부사 접미사). 짙게. 진하게.
달혀 주017)
달혀:
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거든 주018)
거든:
-[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거든. 식거든.
라 머구미 주019)
머구미:
먹-[服用]+-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됴니라
Ⓒ 언해 | 이종준 / 1497년(연산군 3) 월 일

무릇 찬물에 먹으라 하는 것은, 새벽에 다른 사람이 긷지 않은 때에 먼저 길어 온 우물물이나 항상 흐르는 물에 생강과 박하 잎을 함께 한데 갈아 만든 즙에 〈자금단을〉 갈아서 먹되 혹시 생것의 박하 잎이 없거든 마른 잎을 진하게 달여 식거든 갈아서 먹음이 좋다는 것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란:-[謂]+-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란(보조사). 하는 것은.
주002)
:남. 다른 사람.
주003)
기른:긷-[汲]+-은(관형사형 어미). 〈물을〉 길은. ‘긷다’는 ㄷ불규칙 동사이므로 어간 ‘긷-’ 다음에 모음의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길-’로 교체된다.
주004)
몬져:먼저.
주005)
기룬:긷-[汲]+-우-(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길은.
주006)
우믌믈:우믈[井]+-ㅅ(사이시옷)+믈[水]. 우물물.
주007)
:늘. 항상.
주008)
:생강. 부록 참조.
주009)
닙[葉]:잎. ‘닢’[葉]이 자음 앞이나 휴지(休止)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닙’으로 교체되었다.
주010)
:한데. 한군데.
주011)
론:-[硏, 磨]+-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 어미). 간.
주012)
머구:먹-[服用]+-우-(삽입 모음)+-(종속적 연결 어미). 먹되.
주013)
혀:행여. 혹시.
주014)
:날것. 생것.
주015)
:-[乾]+-ㄴ(관형사형 어미). 마른.
주016)
디투:딭-[濃]+-우(부사 접미사). 짙게. 진하게.
주017)
달혀:달히-[煎]+-어(연결 어미). 달여.
주018)
거든:-[冷]+-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차거든. 식거든.
주019)
머구미:먹-[服用]+-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먹음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