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대진언

  • 역주 오대진언
  • 오대진언
  • 4. 수구즉득다라니
  • 수구즉득다라니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구즉득다라니 2


‧나‧막‧살‧바。다‧타‧아다‧남, ‧나‧모‧나‧막, ‧살‧바

오대진언:34ㄴ

‧몯‧다, ‧모‧디。‧사^, ‧몯‧다‧달‧마。‧:켸‧뱍, :옴, ‧미:보라。‧알‧볘, ‧미:보라。‧미:마:례, ::야‧알‧볘, :바:^‧라。:^:라。‧알‧볘, ‧아‧디:아‧하‧니, :아:아‧나。 ‧미‧슈

오대진언:35ㄱ

‧다‧니, ‧살‧바‧바바。‧미‧슈‧다‧니, :옴, ‧오‧나:바‧디, :아:아:리 ‧니, 이:리이:리, :아:마:리。:아:마:리, ‧악‧하‧악‧하, ‧알:아:리。‧알:아:리, :아 :아:리。:아:아:리, 35ㄴ:암‧바:리。:암‧바:리, :아‧디:아‧디, :아:마‧니。:아:례, ‧오‧로‧오‧로, ‧오‧로‧니。자:례, :아자:례。‧모자:례, ::예。‧미::예, ‧살 ‧바‧바:야。‧미:아:뎨, ‧알‧바。‧삼

오대진언:36ㄱ

:바‧라‧니, :시:리:시:리, ‧미:리‧미:리, ‧기‧리‧기‧리, ‧삼:만‧다。‧갈사‧니, ‧살‧바。‧샤^‧로。^‧라。‧말:타‧니, ‧락사‧락사。:마:마, ‧살 ‧바。‧사^‧。‧난자, ‧미:리‧미:리。

오대진언:36ㄴ

‧미:아‧다。:바‧라‧나, ‧바:야。‧나‧샤‧니, ‧소:리‧소:리, ‧지:리‧지:리。:감:마:례。‧미:마:례, ::예。::야:바:혜, ::야:바‧디, ‧바:아:바‧디, ‧라^‧나。:마:구타, ‧마

오대진언:37ㄱ

‧라‧다:리, :마:호。 ‧미‧미‧다, ‧미‧지^‧라。:배사‧로。바‧다:리‧니, ‧바:아:바‧디, :마‧하。‧미 ‧냐:녜‧미, ‧락사‧락사。:마:마, ‧살‧바。‧사^‧。‧난자, ‧삼:만‧다。‧살 ‧바37ㄴ^‧라, ‧살‧바‧바바。미‧슈‧다‧니, ‧호‧로‧호‧로。‧낙사^‧라, ‧마‧라。‧다:리‧니, ‧락사‧락사。‧맘:마:마, :아‧나‧타:샤, ^‧라‧나。바‧라 :야。‧나:샤, 바^:리。‧모자:야‧,

오대진언:38ㄱ

‧살‧바。‧녹:켸‧뱍, :잔‧니:잔‧니。:잔 ‧니‧니, :볘:아:바‧디, ‧살‧바‧노, ‧니‧바‧라‧니, ‧샤^‧로。‧박사, ^ ‧라。‧말‧타‧니, ‧미::야。‧바‧혜‧니, ‧호‧로‧호‧로, ‧모‧로‧모38ㄴ‧로, ‧조‧로‧조‧로, ‧아‧욕。‧바라‧니, ‧소‧라:바‧라。‧말‧타‧니, ‧살‧바。‧녜:바‧다。 :보‧:뎨, ‧디:리‧디:리, ‧삼:만‧다。:바‧로:기:뎨, ^‧라‧볘。^‧라‧볘, ‧소^‧라‧바。‧미‧슏

오대진언:39ㄱ

:뎨, ‧살‧바‧바바。‧미‧슈‧다‧니, ‧다‧라‧다‧라。 ‧다‧라‧니, ‧다‧라‧다:례, ‧소‧모‧소‧모, ‧로‧로자:례, ‧자라:야。‧노:, :보 ‧라:야。:‧아‧셤, ‧^‧리:바:보, ‧다:난:아:

오대진언:39ㄴ

:야。:감:마:례, ^:시 ‧니。^:시‧니, :바‧라。:녜:바‧라。‧구:셰, :옴, 바‧^‧마。‧미‧슏:뎨。 ‧슈‧다:야。‧슈‧다:야‧슏‧뎨, ‧바‧라‧바‧라, :비:리:비:리, ‧보‧로‧보‧로, ‧‧아라,

오대진언:40ㄱ

주001)
이 부분(40ㄱ~4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미‧슏:뎨, 바‧미。^‧라‧목:켸, :칼:이‧니。:칼:이‧니, ‧카‧라‧카 ‧라, :^::리다。:시:례, ‧삼:만‧다。^‧라。:사:리‧다, :바바, :시:다‧슏 :뎨, :^:라。:^:라, ‧살‧바。:녜:바:아

오대진언:40ㄴ

:나, ‧삼만다。‧갈사‧니, ‧사:댜:바:뎨, :다‧라:다‧라。‧다‧라:야‧맘, ‧나:아。‧미‧로:기:뎨, 라‧호라‧호, ‧호:노‧호:노, ^:시‧니。^:시‧니‧살‧바。:^‧라‧하。‧박사‧니, ‧

오대진언:41ㄱ

:아:리。‧:아:리, ‧조‧모‧조‧모, ‧소‧모‧소‧모, ‧조‧미자:례, 다‧라다‧라, ‧나 :아。‧미‧로:기‧니, ‧다‧라:야。:도‧맘, ‧바:아:바‧디, :아:마‧하。:바:예‧뱍, ‧삼‧모

오대진언:41ㄴ

:^‧라。‧사:아‧라, ‧바‧련‧담, ‧바‧다라。:아:아‧나。다:람, ‧살 ‧바^‧라。‧삼:만:뎨‧나, :니‧샤。:만:뎨‧나, :바:^‧라。^‧라가‧라, :바:^‧라。‧바‧샤。:만‧다:녜‧나, :바:^‧라。:^:라。‧미

오대진언:42ㄱ

‧슏:뎨, ‧보:리‧보:리, ‧알‧바:바‧디, ‧알‧바。‧미‧슈‧다‧니, ‧국:시。 ‧삼:보‧라‧니, :^:라。:^:라, 자라자라, :^::리‧니, ^‧라。 ‧말사:도。:녜:바, ‧삼:만:뎨‧나, :니:뮤

오대진언:42ㄴ

:나。:계‧나, :아:^:리:다。‧말사 ‧니, :녜:바‧다。:바‧다‧라‧니, :아:비。‧션자:도:, ‧소:아다。:바‧라。:바자 ‧나, :아:^:리다。:바‧라。:바:보:새, ‧락사‧락사。:마:마, ‧살‧바。‧사

오대진언:43ㄱ

^‧。‧난자, ‧살:바^‧라。‧살‧바‧나, ‧살‧바。‧바:예‧뱍, ‧살‧모。바 :^‧라。:볘‧뱍, ‧살‧모。바‧살:예‧뱍, ‧살‧바。‧노‧바:야。‧비다:샤, ‧살‧바。‧가:리가。‧라‧하, ‧미‧^‧라‧하。

오대진언:43ㄴ

‧미‧바:나, ‧녹‧‧나。‧놀‧니, ‧미‧다。‧:아:랴, ‧바바。‧미‧나‧샤‧니, ‧살‧바。‧약사。‧락사:사, ‧나:아 ‧니。‧바‧라‧니, :사‧라‧니。:사:례, :마라:마라。:마라:바‧디,

오대진언:44ㄱ

::야: :야。::야:도‧맘, ‧살‧바^‧라。‧살‧바‧가:람, ‧싣뎐:도:, :예‧맘:마‧하。‧미‧념, ‧사‧다:야。‧사‧다:야, ‧살‧바。:만:나라。‧사‧다‧니, ‧카:다:야。‧살 ‧바。‧미

오대진언:44ㄴ

‧^‧나, ::야::야, ‧싣:뎨‧싣:뎨。소‧싣:뎨, ‧싣:댜‧싣:댜, ‧몯:댜‧몯:댜, :보‧라:야。:보‧라:야, :보라‧니。:보라‧니, :보라:야。:‧아‧셤, ‧살‧바‧미‧냐。‧디:아:다。

오대진언:45ㄱ

‧몰:뎨, :‧유다:리, ::야‧바‧디, ‧디‧디, ‧삼:마:야。:마노。‧바라:야, 다‧타:아‧다。^:리:나:야‧슏:뎨, :먀:바:로。:가 :야‧도‧맘, :아:비。:마‧햐나。‧로

오대진언:45ㄴ

‧나。:바:예, :사‧라:사‧라, ^‧라:사 ‧라。^‧라:사‧라。‧살‧바。:바‧라:나。‧미슈‧다‧니, ‧삼:만‧다。‧가‧라。 :만‧나라。‧미‧슏:뎨, ‧미:아:뎨。‧미:아:뎨。‧미:아:다。:마라。‧미

오대진언:46ㄱ

‧슈‧다 ‧니, :시‧니。^:시‧니, ‧살‧바‧바바。‧미‧슏:뎨, :마라。‧미:아:뎨, :뎨: :바‧디, :바:^‧라。:바‧디, ^:래‧로:갸。‧디::뎨。^‧‧하, ‧살‧바。다‧타:아:다。‧모다‧나。:비

오대진언:46ㄴ

‧:뎨。^‧‧하, ‧살‧바‧모‧디。‧사^ ‧。:비‧‧뎨。^‧‧하, ‧살‧바。:녜:바‧다。:비‧:뎨。^‧‧하, ‧살 ‧바。다‧타:아:다‧^:리‧나:야, ‧디:다。‧^:리:나:예。^‧‧하, ‧살‧바。다

오대진언:47ㄱ

‧타:아‧다。‧삼:마:야。‧싣:뎨。^‧‧하, ‧인:^:례。‧인:^‧라。 :바‧디。‧인:^‧라。:먀:바‧로。:기:뎨。^‧‧하, :^‧라‧^:。: ^‧라‧^:마。‧뉵:시:뎨。^‧‧하, ‧밋‧노‧나‧막。‧^:리:뎨。^‧ ‧하, :마:혜。‧^‧

오대진언:47ㄴ

‧라。:만‧니다。:보:‧다:예。^‧‧하, :바:^ ‧라。‧다‧라。:바:^‧라。‧바‧니。:마라‧미:랴。‧디::뎨。^‧‧하, ‧ ^:리:다‧라。^‧라:야。^‧‧하, ‧미‧로。‧다가:야。^‧‧하, ‧미 ‧로。‧박사

오대진언:48ㄱ

:야。^‧‧하。:볘‧^‧라。:마‧나:야。^‧‧하, 자‧돌 :마‧하。‧라:‧나‧막。‧^:리‧다:야。^‧‧하, :염‧마:야。^‧‧하, :염‧마。:보:다。‧나‧막。‧^:리‧다:야。^‧‧하, :바‧로:나:야。^ ‧

오대진언:48ㄴ

‧하, :마‧로‧다:야。^‧‧하, :마‧하。:마‧로‧다:야。^‧‧하, :아 :^‧나:예。^‧‧하, ‧나:아‧미‧로。:기‧다:야。^‧‧하, :녜:바:아。 :녜‧뱍。^‧‧하, ‧나:아:아。:녜‧뱍。^‧‧하, ‧약사

오대진언:49ㄱ

:아。:녜‧뱍。^‧‧하, ‧락사사:아, :녜‧뱍。^‧‧하, :안‧달‧바:아。:녜‧뱍。^‧ ‧하, :아소라:아。:녜‧뱍。^‧‧하, :아‧로‧나:아。:녜‧뱍。^‧‧하, :긴 ‧나‧라:아。:녜‧뱍。^‧‧하,

오대진언:49ㄴ

:마‧호‧라。:아:아。:녜‧뱍。^‧‧하, :마‧노:새‧뱍。^‧‧하, :아:마‧노。:새‧뱍。^‧‧하, ‧살‧바:^‧라。 :혜‧뱍。^‧‧하, ‧살‧바。:보:뎨‧뱍。^‧‧하, ^:리:뎨‧뱍。^‧‧하, 비‧샤:졔‧뱍。

오대진언:50ㄱ

주002)
이 부분(50ㄱ~5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하, :아밧:마。:례‧뱍。^‧‧하, 구‧반:녜 ‧뱍。^‧‧하, ‧옴。‧도‧로‧도‧로。^‧‧하, :옴。:도‧로:도‧로。^ ‧‧하, :옴。‧모‧로‧모‧로。^‧‧하, ‧하‧나‧하‧나。‧살‧바。‧샤^‧로 ‧남。

오대진언:50ㄴ

^‧‧하, ‧낙‧하‧낙‧하。‧살‧바‧노‧。^‧라。‧노‧‧남。^‧‧하, 바자바자。‧살‧바^‧라。‧딜‧텩가, ^‧라:댜‧미。^‧라 ‧남。:예:마:마。^‧‧하, :아:혜。:뎨:시‧나, :뎨‧삼。‧살:볘

오대진언:51ㄱ

‧삼。‧샤 :리:람, :^:라:야。‧노。‧짇‧다‧남。^‧‧하, :^::리。‧다:야。^‧‧하, ^‧라。:^::리。‧다:야。^‧‧하, ‧닙‧다。:^:라 :야。^‧‧하, ‧삼:만‧다。:^:‧라:야。^‧‧하, ‧마‧니。‧바

오대진언:51ㄴ

: ^‧라:야。^‧‧하, ‧볼‧나。‧바:^‧라:야。^‧‧하, :마‧하。‧가라:야。^‧‧하, ‧마^:리。:아‧나:야。^‧‧하, ‧약‧시‧니‧남。^‧‧하, ‧락사:시‧남。^‧‧하, ‧아‧가‧샤。‧마^‧리‧남。^‧‧하,

오대진언:52ㄱ

‧삼‧모:^‧라。‧바:시‧니‧남。^‧‧하, ‧라^‧리。‧자‧라‧남。^ ‧‧하, :니:바:사。자‧라‧남。^‧‧하, ^‧리:산:댜。자‧라‧남。^‧ ‧하, :볘‧라。자‧라‧남。^‧‧하, :아:볘‧라。자‧라‧남。

오대진언:52ㄴ

^‧‧하, ‧알‧바‧하。:례‧뱍。^‧‧하, ‧알‧바。:산‧다‧라‧니。^‧‧하, ‧호‧로 ‧호‧로。^‧‧하, :옴。^‧‧하, ‧。^‧‧하, ‧복。^‧‧하, :보‧박。^‧‧하, :옴。‧볼:보‧박。‧。^‧‧하, :지:티

오대진언:53ㄱ

:지:티。^‧‧하, ‧미:티‧미:티。^‧‧하, ‧다‧라‧니。‧다‧라‧니。^‧‧하, :아:^‧니:예。^‧‧하, :뎨::바:보。^‧‧하, :지:리‧지‧리。^ ‧‧하, :시:리:시:리。^‧‧하, ‧몯:댜‧몯:댜,

오대진언:53ㄴ

^‧‧하, ‧싣:댜‧싣 :댜。^‧‧하, :만:나라。‧싣:뎨。^‧‧하, :만:나라。:만:뎨。^‧ ‧하, ‧시‧마。:만‧다‧니。^‧‧하, ‧살‧바。‧샤^‧로‧남。^‧‧하, :‧바:‧바。^‧‧하, ::바:야。

오대진언:54ㄱ

::바:야。^‧‧하, ‧친:나‧친 :나。^‧‧하, ‧빈:나‧빈:나。^‧‧하, ‧반:‧반:。^‧‧하, :만 ‧다:만 ‧다。^‧‧하, ‧모‧하:야。‧모‧하:야。^‧‧하, :마‧니。‧미‧슏 :뎨, ^‧‧하, ‧솔

오대진언:54ㄴ

:예‧솔:예。‧솔:야。‧미‧슏:뎨。‧미‧슈다니바하잔 (‧다‧니。^‧‧하, :잔) 주003)
‘~‧다‧니。^‧‧하, :잔 (숭정본)’.
:^:례。‧소:잔:^:례。‧볼‧나。:잔:^:례。^‧‧하, :^‧라:혜‧뱍。^‧‧하, ‧낙사。^:례‧뱍。^‧‧하, :시:볘。^‧‧하, :션‧디。^‧‧하, ‧

오대진언:55ㄱ

:야‧니。^‧‧하, ‧시 :밤가:리, :션‧디가:리, ‧봇:티가:리, :마라。‧말‧다‧니。^‧‧하, ‧^‧리가:리。^‧‧하, ‧^‧리:야。‧말‧다‧니。^‧‧하, ‧^‧리:야。 :^:라‧니사바하, 나모(‧니。^‧하, ‧나‧모) 주004)
‘~‧니。^‧하, ‧나‧모 (숭정본)’.

오대진언:55ㄴ

:지。^‧‧하, :마‧로:지。^‧‧하, :볘:아바디샤바하(:바‧디。^‧‧하) 주005)
‘~:바‧디。^‧‧하 (숭정본)’.
Ⓒ 언해 | 간경도감 / 1485년(성종 16) 월 일

曩莫薩嚩(引) 怛他(去)誐跢(引)喃(引一) 曩謨曩莫(二入) 薩嚩

오대진언:34ㄴ

𣳚䭾(三引) 冒(引)地 薩怛^嚩(引四) 𣳚䭾(引)達磨(引) 僧契毗^藥(五) 唵(六) 尾補攞 주006)
저경에 있는 이체자.
陛(七) 尾補攞 尾麽㘑(八) 惹野蘖陛(引九) 嚩日^囉 入^嚩攞 蘖陛(十) 誐㡳誐賀𩕳(一) 誐曩 尾戍(引)

오대진언:35ㄱ

䭾𩕳(二) 薩嚩播(引)跛 尾秫(引)䭾𩕳(三) 唵(引) 虞拏嚩㡳(四) 誐誐哩抳(五) 儗哩儗哩(六) 誐麽哩 誐麽哩(七) 誐賀虞賀(八) 蘖誐(引)哩 蘖誐(引)哩(九) 誐誐哩 誐誐哩(二十)

오대진언:35ㄴ

儼婆哩 儼婆(去)哩(一) 誐㡳誐㡳(二) 誐麽𩕳 誐㘑(三) 虞嚕虞嚕(四) 虞嚕抳 㔫㘑(五) 阿㔫㘑 母㔫㘑(六) 惹曵 尾惹曵(七) 薩嚩(引)婆野 尾誐帝(八) 蘖婆 三(去)

오대진언:36ㄱ

婆(上)囉抳(九) 悉哩悉哩(三十) 弭哩弭哩(一) 歧(去)哩歧哩(二) 三滿跢(去) 羯囉^𤂢抳(三) 薩嚩 設吡^嚕 鉢^囉 沫他(上引)𩕳(四) 囉乞^𤂢囉乞^𤂢 麽麽(五) 薩嚩(引)薩怛^嚩(引) 難(去)㔫(六) 尾哩尾哩

오대진언:36ㄴ

尾誐跢(去引) 嚩囉拏(七) 婆(去)野 曩(引)捨𩕳(八) 素哩素哩(九) 唧哩唧哩 劒麽㘑 尾麽㘑(四十) 惹曵 惹野(引)嚩系(一) 惹野嚩㡳(二) 婆(去)誐嚩㡳(三) 囉怛^曩 麽矩吒(四) 麽

오대진언:37ㄱ

邏(引)䭾哩(五) 麽護 尾尾䭾(六) 尾唧怛^囉 吠𤂢嚕(引) 跛䭾哩抳(七) 婆(去)誐嚩㡳(八) 麽賀 尾伱^也(引)祢尾(九) 囉乞^𤂢囉乞^𤂢 麽麽(其甲五十) 薩嚩(引) 薩怛^嚩(引) 難(去)㔫(一) 三(去)滿哆 薩嚩

오대진언:37ㄴ

怛^囉(二) 薩嚩播跛 尾戍(引)䭾𩕳(三) 虎嚕虎嚕 諾(入)乞^察怛^囉(四) 麽邏(引) 䭾(引)哩抳(五) 囉乞^𤂢囉乞^𤂢 牟^含(引)麽麽(六) 阿曩他(引)寫(七) 怛^囉拏 跛囉野 拏寫(八) 跛哩 謨(去引)㔫野(引)銘(九去)

오대진언:38ㄱ

薩嚩 䅶契(引)毗^藥(六十) 讃抳讃抳 讃抳𩕳(一) 吠誐嚩㡳(二) 薩嚩訥瑟^吒(三) 𩕳嚩囉抳(四) 設咄^嚕 愽乞^𤂢(五) 鉢^囉 末他(去引)𩕳(六) 尾惹野 嚩呬𩕳(七) 虎嚕虎嚕(八) 母嚕母

오대진언:38ㄴ

嚕(九) 祖嚕祖嚕(七十) 阿(去)欲 播攞𩕳(一) 素囉嚩囉 末他(引)𩕳(二) 薩嚩(引) 祢(去)嚩跢(引) 布(引)呰帝(三) 地哩地哩(四) 三滿跢 嚩路(引)枳帝(五) 鉢^囉陛 鉢^囉陛(六) 素鉢^囉婆(去) 尾秫

오대진언:39ㄱ

第(七) 薩嚩(引)播跛 尾戍(引)䭾𩕳(八) 䭾囉䭾囉 䭾囉抳(九) 䭾囉䭾㘑(八十) 素母素母(一) 嚕嚕㔫㘑(二) 주007)
佐:
‘亻^㔫’.
攞野 努瑟^鵮(三) 布囉野 茗(引)阿苫(去四) 室^哩嚩補(五) 䭾難惹39ㄴ野 劒麽㘑(六) 乞^史抳 乞^史抳(七) 嚩囉 祢嚩囉 能矩勢 唵(九) 鉢娜^麽 尾秫第 戍䭾野 戍䭾野秫第(九十去) 婆囉婆囉(一) 鼻哩鼻哩(二) 部嚕部嚕(三) 懵(去)誐(去)攞

오대진언:40ㄱ

주008)
이 부분(40ㄱ~4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尾秫弟(四) 跛尾 怛^囉穆企(五) 朅儗抳 朅儗抳(六) 佉囉佉囉(七) 入^嚩里多 始㘑(八) 三滿多(引) 鉢^囉 娑(上)哩哆(引九) 嚩婆(六) 悉多(上)秫弟(一百) 入^嚩攞 入^嚩攞(一) 薩嚩(引) 祢嚩誐

오대진언:40ㄴ

拏(上二) 三(去)麽多(丹) 羯囉^𤂢抳(三) 薩㡳^也嚩帝(四) 多(上)囉多囉 跢囉野牟^含(五) 曩(引)誐 尾路(引)枳帝(六) 攞虎攞虎(七) 虎努(鼻)虎努(八) 乞^史抳 乞^史抳(九)薩嚩 疙^囉賀 薄乞^𤂢抳(百二) 冰

오대진언:41ㄱ

蘖哩 氷蘖哩(一) 祖母祖母(二) 素母素母(三) 祖尾㔫㘑(四) 多囉多囉(五) 曩誐 尾路枳𩕳(六) 跢(引)囉野 覩牟^含(引七) 婆(去)誐嚩㡳(八) 阿(上)瑟^吒麽賀(引) 婆(上)曵毗^藥(九) 三母

오대진언:41ㄴ

捺^囉 娑(去)誐囉(二十) 播哩^演擔(引一) 播跢攞 誐誐曩 怛覽(二) 薩嚩怛^囉 三(去)滿帝曩(三) 伱舍 滿弟曩(四) 嚩日^囉 鉢^囉迦囉(五) 嚩日^囉 播(引)捨 滿䭾寗曩(六) 嚩日^囉 入^嚩日^囉 尾

오대진언:42ㄱ

秫弟(七) 部哩部哩(八) 蘖婆(去)嚩㡳(九) 蘖婆(去) 尾戍䭾𩕳(三十) 鋦乞^史 三布囉抳(一) 入^攞 入^嚩攞(二) 㔫攞㔫攞(三) 入^嚩里𩕳(四) 鉢^囉 韈𤂢覩 祢嚩(五) 三(去)滿帝曩(六) 伱弭^庾

오대진언:42ㄴ

娜 計(引)曩(七) 阿(上)密^哩多(上) 韈𤂢抳(八) 祢嚩跢 嚩跢(引)囉抳(九) 阿鼻 詵(去)㔫覩茗(四十) 蘇誐多 嚩囉 嚩㔫曩(一) 阿密^哩多 嚩囉 嚩補曬(二) 囉乞^𤂢囉乞^𤂢 麽麽(三厶甲) 薩嚩(引) 薩

오대진언:43ㄱ

怛^嚩(引) 難(去)㔫(四) 薩嚩怛^囉 薩嚩娜(去五) 薩嚩(引) 婆(去)曵毗^藥 薩冒(引) 跛捺^囉 𠯈 주009)
‘吠’.
毗^藥(七) 薩冒(引) 跛薩藝毗^藥(八) 薩嚩(引) 訥瑟^吒婆(去)野 鼻怛寫(九) 薩嚩(引) 迦(引)里迦 邏(引)賀(五十) 尾疙^囉賀

오대진언:43ㄴ

尾嚩娜(一) 䅶娑^嚩跛^曩 訥𩕳(二) 弭跢(引) 懵誐里^也 播跛 尾曩捨𩕳(三) 薩嚩 藥乞^𤂢 囉(引)乞^𤂢娑(四) 曩(引)誐𩕳 嚩囉抳(五) 娑(上)囉抳 娑(上)㘑(六) 麽攞麽攞 麽攞嚩㡳(七) 44ㄱ惹野惹野 惹野覩牟^含(引八) 薩嚩怛^囉 薩嚩迦(去)覽(九) 悉鈿覩茗(六十) 目^壹牟^含麽賀(引) 尾伱^琰(引一) 娑(去)䭾野 娑(去)䭾野(二) 薩嚩(引) 滿拏(上)攞 娑䭾𩕳(三) 伽(去)多(上)野 薩嚩 尾

오대진언:44ㄴ

觀^曩(引四) 惹野惹野(五) 悉弟悉弟 蘇悉弟(六) 悉地^野悉地^野(七) 𣳚地^野𣳚地^野(八) 布(引)囉野 布囉野(九) 布攞抳 布攞抳(七十) 布囉野 茗阿(去)苫(去一) 薩嚩(引)尾伱^也 地誐多(上)

오대진언:45ㄱ

慕㗚^帝(二) 惹喩多哩(三) 惹野嚩㡳(四) 㡳瑟^吒㡳瑟^吒(五) 三(去)麽野 麽努 播(引)攞野(六) 怛他(去)蘖多(引) 紇^哩乃野秫弟(七) 弭^也嚩路(引)迦(上)野覩牟^含(引八) 阿瑟^吒鼻 摩賀娜 嚕45ㄴ拏 婆(上)曵(九) 娑(上)囉娑囉(八十) 鉢^囉娑囉 鉢^囉娑囉(一) 薩嚩嚩囉拏(上) 尾戍䭾𩕳(二) 三(去)滿跢(引) 迦(去)囉 滿拏攞 尾秫弟(三) 尾誐帝 尾誐帝(四) 尾誐多(上) 麽攞 尾

오대진언:46ㄱ

戍(引)䭾𩕳(五) 乞^史抳 乞^史抳(六) 薩嚩(引)播跛 尾秫弟(七) 麽攞 尾誐帝(八) 帝惹嚩㡳(九) 嚩日^囉 嚩㡳(十入) 怛^頼路枳^也 地瑟^恥帝(引) 娑^嚩賀(引一) 薩嚩(引) 怛他(去)誐多(上) 𣳚䭾(引)曩 鼻

오대진언:46ㄴ

色訖^帝 娑^嚩賀(引二) 薩嚩冒地 薩怛^嚩 鼻色訖^帝 娑^嚩賀(引三) 薩嚩 祢嚩哆 鼻色訖^帝 娑^嚩(引)賀(引四) 薩嚩 怛他㜸多(上) 紇^哩娜夜 地瑟^恥多 紇^哩乃曵 娑^嚩賀(引五) 薩嚩(引) 怛

오대진언:47ㄱ

他(去)㜸跢 三麽野 悉弟 娑^嚩(引)賀(引六) 印捺^㘑 印捺^囉 嚩㡳 印捺^囉 弭^也嚩路 枳帝 娑^嚩賀(引七) 𣳚^囉賀^銘 𣳚^囉賀^麽 伱^庾乞^史帝 娑^嚩賀(引八) 尾瑟^努曩莫 塞^乞^哩帝(引) 娑^嚩(引)賀(引九) 麽系 濕^嚩

오대진언:47ㄴ

囉 滿伱多 布尒跢(引)曵 娑^嚩(引)賀(引二百) 嚩日^囉 䭾囉 嚩日^囉 播抳 麽攞尾哩^也 地瑟^耻帝 娑^嚩(引)賀(引一) 地^哩 주010)
{口^吕}. 저경에는 ‘哩’.
多(上)囉 瑟^吒^囉野 娑^嚩(引)賀(引二) 尾嚕 茶迦野 娑^嚩(引)賀(引三) 尾嚕 播(引)乞^𤂢

오대진언:48ㄱ

野 娑^嚩(引)賀 (引四) 吠室^囉 麽拏野 娑^嚩(引)賀(引五) 拶咄麽賀 囉惹曩莫 塞^乞^哩跢(引)野 娑^嚩賀(六) 琰麽野 娑^嚩賀(七) 琰麽 布𠰒哆 曩莫 塞^乞^哩跢野 娑^嚩賀(八) 嚩嚕拏(上引)野 娑^嚩

오대진언:48ㄴ

賀(九引) 麽嚕跢野 娑^嚩(引)賀(十引) 麽賀 麽嚕跢野 娑^嚩賀(一引) 阿疙^曩曵 娑^嚩(引)賀(二引) 曩誐尾路 枳跢(引)野 娑^嚩賀(三引) 祢嚩誐 妳毗^藥 娑^嚩賀(四引) 曩誐誐 妳毗^藥 娑^嚩賀(五引) 藥乞^𤂢

오대진언:49ㄱ

誐 妳毗^藥 娑^嚩賀(六) 囉乞^𤂢娑誐 妳毗^藥 娑^嚩賀(七) 주011)
부수가 ‘言’이 아닌 ‘火’. 저경에는 ‘彥’.
達嚩誐 妳毗^藥 娑^嚩賀(八) 阿蘇羅誐 妳毗^藥 娑^嚩賀(九) 誐嚕拏誐 妳毗^藥 娑^嚩賀(二十) 緊曩囉誐 妳毗^藥 娑^嚩賀(一)

오대진언:49ㄴ

麽護囉 誐誐 妳毗^藥 娑^嚩賀(二) 麽努曬毗^藥 娑^嚩賀(三) 阿麽努 曬毗^藥 娑^嚩賀(四) 薩嚩疙^囉 系毗^藥 娑^嚩賀(五) 薩嚩(引) 部帝毗^藥 娑^嚩賀(六) 必^哩帝毗^藥 娑^嚩賀(七) 比舍祭毗^藥

오대진언:50ㄱ

주012)
이 부분(50ㄱ~5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娑^嚩賀(八) 阿(上)跛娑^麽 㘑毗^藥 娑^嚩賀(九) 矩畔妳毗^藥 娑^嚩賀(三十) 唵(引) 度嚕度嚕 娑^嚩賀(一) 唵(引) 覩嚕覩嚕 娑^嚩賀(二) 唵(引) 母嚕母嚕 娑^嚩賀(三) 賀曩賀曩 薩嚩 設咄^嚕喃

오대진언:50ㄴ

娑^嚩賀(四) 娜賀娜賀 薩嚩訥瑟^吒 鉢^囉 訥瑟^吒(引)喃 娑^嚩賀(五) 跛㔫跛㔫 薩嚩鉢^囉 窒剔迦(六) 鉢^囉㡳^也弭(引) 怛^囉喃(引) 曵麽麽 娑^嚩賀(七) 阿(上)呬(引) 帝(引)史拏(八) 帝釤(六) 薩吠

오대진언:51ㄱ

釤(引) 設哩囕(九) 入^嚩攞野 訥瑟^吒 唧跢喃(引) 娑^嚩賀(四十) 入^嚩里 跢野 娑^嚩賀(一) 鉢^囉 入^嚩里 跢野 娑^嚩賀(二) 捻跛^跢 入^嚩攞野 娑^嚩賀(三) 三滿哆(引) 入^嚩攞野 娑^嚩賀(四) 麽抳 跛

오대진언:51ㄴ

捺^囉野 娑^嚩賀(五) 布囉^拏 跛捺^囉野 娑^嚩賀(六) 麽賀 迦攞野 娑^嚩賀(七) 麽(引)㡳^哩 誐拏野 娑^嚩賀(八) 藥乞^史抳喃 娑^嚩賀(九) 囉乞^𤂢枲喃 娑^嚩賀(五十) 阿迦(去)捨 麽(去)㡳^哩喃 娑^嚩賀(一)

오대진언:52ㄱ

三(去)母捺^囉 嚩枲𩕳喃 娑^嚩賀(二) 囉(引)㡳^哩 㔫囉喃 娑^嚩賀(三) 伱嚩娑(上) 㔫囉喃 娑^嚩賀(四) 㡳^哩散地^野 㔫囉(引)喃 娑^嚩賀(五) 吠邏 㔫囉(引)喃 娑^嚩賀(六) 阿(上)吠邏 㔫囉(引)喃

오대진언:52ㄴ

娑^嚩賀(七) 㜸婆賀 㘑毗^藥 娑^嚩賀(八) 㜸婆 散跢囉抳 娑^嚩賀(九) 護嚕護嚕 娑^嚩賀(六十) 唵 娑^嚩賀(一) 娑^嚩 娑^嚩賀(二) 僕娑^嚩賀(三) 部嚩(入) 娑^嚩賀(四) 唵 部囉^部嚩(入) 娑^嚩(入) 娑^嚩賀(五) 唧置

오대진언:53ㄱ

唧置 娑^嚩賀(六) 尾置尾置 娑^嚩賀(七) 䭾囉抳 䭾囉抳 娑^嚩賀(八) 阿疙^𩕳曵(丹) 娑^嚩賀(九) 帝𡦗嚩補 娑^嚩賀(七十) 唧哩唧哩 娑^嚩賀(一) 悉哩悉哩 娑^嚩賀(二) 𣳚地^野𣳚地^野

오대진언:53ㄴ

娑^嚩賀(三) 悉地^野悉地^野 娑^嚩賀(四) 滿拏攞 悉弟 娑^嚩賀(五) 滿拏(上)攞 滿弟 娑^嚩賀(六) 枲麽(去) 滿䭾𩕳 娑^嚩賀(七) 薩嚩(引) 設咄^嚕喃 娑^嚩賀(八) 外^日婆外^日婆 娑^嚩賀(九) 娑^膽婆(上)野

오대진언:54ㄱ

娑^膽婆(上)野 娑^嚩賀(八十) 嚫(去)娜嚫娜 娑^嚩賀(一) 枇娜枇娜 娑^嚩賀(二) 畔惹畔惹 娑^嚩賀(三) 滿䭾滿䭾 娑^嚩賀(四) 謨賀野 謨賀野 娑^嚩賀(五) 麽抳 尾戍 주013)
숭정본에는 ‘秫’.
弟 娑^嚩賀(六) 素

오대진언:54ㄴ

哩^曵素哩^曵 素哩^野 尾秫弟 尾戍䭾𩕳 娑^嚩賀(七) 讃捺^㘑 素讃捺^㘑 布羅^拏 讃捺^㘑 娑^嚩賀(八) 疙^囉係毗^藥 娑^嚩賀(九) 諾乞^𤂢 怛^㘑毗^藥 娑^嚩賀(九十) 始吠 娑^嚩賀(一) 扇㡳 娑^嚩賀(二) 娑^嚩

오대진언:55ㄱ

娑^㡳^也野𩕳 娑^嚩賀(三) 始鑁迦哩(四) 扇㡳迦哩(五) 補瑟^置迦哩(六) 麽攞 沫䭾𩕳 娑^嚩賀(七) 室^哩迦哩 娑^嚩賀(八) 室^哩野 沫䭾𩕳 娑^嚩賀(九) 室^哩野 入^嚩攞𩕳 娑^嚩賀(九) 주014)
숭정본에는 (三百). 이미 앞에 ‘沫䭾𩕳 娑^嚩賀(九)’가 있기 때문에 필사·보완 기록의 잘못으로 보인다.
曩謨

오대진언:55ㄴ

呰 娑^嚩賀(一) 麽嚕呰 娑^嚩賀(二) 吠誐嚩㡳 娑^嚩賀

나막살바 다타아다남 나모나막 살바못다 모지 사다바 못다달마 싱켸뱍 옴 미보라 알볘 미보라 미마례 아야알볘 바아라 이바라 알볘 아지아하니 아아나 미수다니 옴 오나바지 아아리니 이리이리 아마리 아마리 아하악하 알아리 알아리 아아리 아아리 암바리 암바리 아지아지 아마니 아례 오로오로 오로니 자례 아자례 모자례 아예 미아예 살바바야 미아제 알바 삼바라니 시리시리 미리미리 기리기리 삼만다 갈사니 살바 샤드로 바라 말타니 락사락사 마마 살바 사다바 난자 미리미리 미아다 바라나 바야 나샤니 소리소리 지리지리 감마례 미마례 아예 아야바혜 아야바지 바아바지 라다나 마구타 마라다리 마호 미미다 미지다라 배사로 바다리니 바아바지 마하 미냐녜미 락사락사 마마 살바 사다바 난자 삼만다 살바다라 살바바바 미슈다니 호로호로 낙사다라 마라 다리니 락사락사 맘마마 아나타샤 다라나 바라야 나샤 바리 모자야명 살바 녹켸뱍 잔니자니 잔니니 볘아바지 살바노따 니바라니 샤다로 박사 바라 말타니 미아야 바혜니 호로호로 모로모로 조로조로 아욕 바라니 소라바라 말타니 살바 녜바다 보이제 지리지리 삼만다 바로기제 바라볘 바라볘 소바라바 미슛제 살바바바 미슈다리 다라다라 다라니 다라다례 소모소모 로로자례 자라야 노땀 보라야 명아셤 시리바보 다난아야 가마례 가시니 가시니 바라 녜바라 능구셰 옴 바나마 미슛제 슈다야 슈다야슛제 바라바라 비리비리 보로보로 몽아라 미슛제 바미 다라목켸 칼이니 칼이니 카라카라 이바리다 시례 삼만다 바라 사리다 바바 시다슛제 이바라 이바라 살바 녜바아나 삼만다 갈사니 사댜바제 다라다라 다라야맘 나아 미로기제 라호라호 호노호노 가시니 가시니살바 아라하 박사니 빙아리 빙아리 조모조모 소모소모 조미자례 다라다라 나아 미로기니 다라야 도맘 바아바지 아따마하 바예뱍 삼모나라 사아라 바련담 바다라 아아나 다람 살바다라 삼만제나 이샤 만제나 바아라 바라가라 바아라 바샤 만다녜나 바아라 이바라 미슛제 보리보리 알바바지 알바 미슈다니 국시 삼보라니 이바라 이바라 자라자라 이바리니 바라 말사도 녜바 삼만제나 니뮤나 계나 아마리다 말사니 녜바다 바다라니 아비 션자도명 소아다 바라 바자나 아마리다 바라 바보새 락사락사 마마 살바 사다바 난자 살바다라 살바나 살바 바예뱍 살모 바나라 볘뱍 살모 바살예뱍 살바 노따바야 비다샤 살바 가리가 라하 미아라하 미바나 녹빱나 놀니 미다 몽아랴 바바 미나샤니 살바 약사 락사사 나아니 바라니 사라니 사례 마라마라 마라바지 아야아야 아야도맘 살바다라 살바가람 싯젼도명 예맘마하 미념 사다야 사다야 살바 만나라 사다니 카다야 살바 미까나 아야아야 싯제싯제 소싯제 싯쟈싯쟈 못쟈못쟈 보라야 보라야 보라니 보라니 보라야 명아셤 살바미냐 지아다 몰제 아유다리 아야바지 지띠지따 삼마야 마노 바라야 다타아다 하리나야슛제 먀바로 가야도맘 아따비 마햐나 로나 바예 사라사라 바라사라 바라사라 살바 바라나 미슈다니 삼만다 가라 만나라 미슛제 미아제 미아제 미아다 마라 미슈다니 가시니 가시니 살바바바 미슛제 마라 미아제 제아바지 바아라 바지 다래로갸 지치제 사바하 살바 다타아다 모다나 비색제 사바하 살바모지 사다바 비색제 사바하 살바 다타아다 삼마야 싯제 사바하 인나례 인나라 바지 인나라 먀바로 기제 사바하 마라하명 마라하마 뉵시제 사바하 밋노나막 까리제 사바하 마혜 새바라 만니다 보이다예 사바하 바아라 다라 바아라 바니 마라미랴 지치제 사바하 디리다라 따라야 사바하 미로 다가야 사바하 미로 박사야 사바하 볘시라 마나야 사바하 자돌마하 라아나막 까리다야 사바하 염마야 사바하 염마 보이다 나막 까리다야 사바하 바로나야 사바하 마로다야 사바하 마하 마로다야 사바하 아아나예 사바하 나아미로 기다야 사바하 녜바아 녜뱍 사바하 나아아 녜뱍 사바하 약사아 녜뱍 사바하 락사사아 녜뱍 사바하 안달바아 녜뱍 사바하 아소라아 녜뱍 사바하 아로나아 녜뱍 사바하 긴나라아 녜뱍 사바하 마호라 아아 녜뱍 사바하 마노새뱍 사바하 아마노 새뱍 사바하 살바아라 혜뱍 사바하 살바 보제뱍 사바하 바리제뱍 사바하 비샤제뱍 사바하 아밧마 례뱍 사바하 구반녜뱍 사바하 옴 도로도로 사바하 옴 모로모로 사바하 하나하나 살바 샤다로남 사바하 낙하낙하 살바노따 바라 노따남 사바하 바자바자 살바바라 질척가 바라쟈미 다라남 예마마 사바하 아혜 제시나 제삼 살볘삼 샤리람 이바라야 노따 짓다남 사바하 이바리 다야 사바하 바라 이바리 다야 사바하 닙다 이바라야 사바하 삼만다 이바라야 사바하 마니 바나라야 사바하 볼나 바나라야 사바하 마하 가라야 사바하 마지리 아나야 사바하 약시니남 사바하 락사시남 사바하 아가샤 마지리남 사바하 삼모나라 바시니남 사바하 라지리 자라남 사바하 니바사 자라남 사바하 지리산댜 자라남 사바하 볘라 자라남 사바하 아볘라 자라남 사바하 알바하 례박 사바하 알바 산다라니 사바하 호로호로 사바하 옴 사바하 빡 사바하 복 사바하 보박 사바하 옴 볼 보박 빡 사바하 지치지치 사바하 미치미치 사바하 다라니 다라니 사바하 아아니예 사바하 제유바보 사바하 지리지리 사바하 시리시리 사바하 못쟈못쟈 사바하 싯쟈싯쟈 사바하 만나라 싯제 사바하 만나라 만제 사바하 시마 만다니 시마 만다니 사바하 살바 샤다로남 사바하 암바암바 사바하 땀바야 땀바야 사바하 친나친나 사바하 빈나빈나 사바하 반아반아 사바하 만다만다 사바하 모하야 모하야 사바하 마니 미슛제 사바하 솔예솔예 솔야 미슛제 미슈다니 사바하 잔나례 소잔나례 볼나 잔나례 사바하 아라혜뱍 사바하 낙사 다례뱍 시볘 사바하 션지 사바하 빡쨔야니 사바하 시밤가리 션지가리 봇치가리 마라 말다니 사바하 시리가리 사바하 시리야 말다니 사바하 시리야 이바라니 사바하 나모지 사바하 마로지 사바하 볘아바지 사바하
Ⓒ 역자 | 김무봉 / 201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 부분(40ㄱ~4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주002)
:이 부분(50ㄱ~5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주003)
:‘~‧다‧니。^‧‧하, :잔 (숭정본)’.
주004)
:‘~‧니。^‧하, ‧나‧모 (숭정본)’.
주005)
:‘~:바‧디。^‧‧하 (숭정본)’.
주006)
:저경에 있는 이체자.
주007)
佐:‘亻^㔫’.
주008)
:이 부분(40ㄱ~4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주009)
:‘吠’.
주010)
:{口^吕}. 저경에는 ‘哩’.
주011)
:부수가 ‘言’이 아닌 ‘火’. 저경에는 ‘彥’.
주012)
:이 부분(50ㄱ~50ㄴ)은 동국대본의 낙장(落張)으로 숭정본(崇禎本)의 것으로 보완한다.
주013)
:숭정본에는 ‘秫’.
주014)
:숭정본에는 (三百). 이미 앞에 ‘沫䭾𩕳 娑^嚩賀(九)’가 있기 때문에 필사·보완 기록의 잘못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