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14. 구규출혈(九竅出血)
메뉴닫기 메뉴열기

14. 구규출혈(九竅出血)


九竅出血 咐齒閒出血

아홉 굼긔 주001)
굼긔:
구멍에. [竅]+-의(처소격 조사).
나미라 주002)
나미라:
남이다. 나-[出]+-암(명사형 어미)+이-+-라.
주003)
니:
이[齒].
메 주004)
메:
틈에. [閒]+-에.
피 나미 조찻니라 주005)
조찻니라:
좇아 있다. 좇-[咐]+-앗-+--+-니-+-라. ‘-앗’은 보조적 연결어미 ‘-아’와 ‘잇-’이 결합한 형태.
〇아홉 굼근 주006)
굼근:
구멍은. +-은.
두 귀와 두 눈과 두 고콰 주007)
고콰:
코와. 고ㅎ+-과.
입과 대쇼변 주008)
대쇼변:
대소변(大小便).
나 주009)
나:
나는. 나-+--+-ㄴ.
왜라 주010)
왜라:
곳이다. 데이다. +-와+ㅣ-+-라.

아홉 구멍에 피가 남이다. 이 틈에 피가 남이 좇아 있는 것이다. 아홉 구멍은 두 귀와 두 눈과 두 코와 입과 대소변(大小便) 나는 곳이다.

宜服和劑方必勝散四物湯加側栢煎服

화졔애 주011)
화졔애:
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필산과 주012)
필산과:
필승산과. 필산(必勝散)+-과. 필승산(必勝散)은 코피, 피 게우기, 각혈 등에 쓰는 처방이다.
믈 주013)
믈:
사물탕(四物湯).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따위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보혈(補血) 작용을 하여 부인병 치료에 쓴다.
즉 주014)
즉:
측백(側栢).
주015)
닙:
잎.
더드려 주016)
더드려:
더하여. 더드리-[加]+-어.
달히니와 주017)
달히니와:
달인 것. 달히-+-ㄴ#이+-와+-. ‘煎’이 ‘달히니’로 번역됨.
머고미 주018)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이.
맛니라 주019)
맛니라:
마땅하다. 맛-[宜]+-니-+-라.

화제방(和劑方)에 필승산(必勝散)과 사물탕(四物湯) 측백 잎을 더하여 달인 것을 먹음이 마땅하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113ㄴ

九孔出血擣荊葉汁 갓 닙 디허  즙 酒服二合

아홉 주020)
아홉:
아홉[九].
굼긔 주021)
굼긔:
구멍에. [孔]+-의.
주022)
피:
피가. 피[血]+∅(주격 조사).
나거든 주023)
나거든:
나거든. 나-[出]+-거든.
갓 주024)
갓:
정가의. 형개의. 뎡가[荊]+-ㅅ.
주025)
닙:
잎[葉].
디허 주026)
디허:
찧어. 딯-[擣]+-어.
주027)
:
짜. -+-아.
즙 두 홉을 수레 주028)
수레:
술에. 술[酒]+-에.
프러 주029)
프러:
풀어. 플-+-어.
머그라 주030)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아홉 구멍에 피가 나거든 정가의 잎 찧어 짜 즙 두 홉을 풀어 먹으라.

新生犢子  난 아지 未食草墮地臍屎曝乾爲末水調服一錢日四五服愈

주031)
:
갓. 방금[新].
주032)
난:
난. 태어난. 나-[生]+-ㄴ.
아지 주033)
아지:
송아지가. 아지[犢子]+-∅.
주034)
플:
풀[草].
먹디 주035)
먹디:
먹지. 먹-[食]+-디.
아니야셔 주036)
아니야셔:
아니하여서. 아니-[未]+-야셔.
해 주037)
해:
땅에. ㅎ[地]+-애.
주038)
딘:
떨어진. 디-[墮]+-ㄴ.
복애 주039)
복애:
배꼽에. 복[臍]+-애.
브텃던 주040)
브텃던:
붙어 있던. 븥-+-어#잇-+-더-+-ㄴ.
을 주041)
을:
똥을. [屎]+-을.
벼틔 주042)
벼틔:
볕에. 볕+-의(처소격 조사). ‘曝(폭)’은 ‘쬐다. 햇볕에 쬐어 말리다’.
외야 주043)
외야:
말리다. 외-[乾]+-야.
라 주044)
라:
갈아. 갈-[爲末]+-아.
돈곰 주045)
돈곰:
돈씩. 돈[錢]+-곰.
므레 주046)
므레:
물에. 믈[水]+-에.
프러 주047)
프러:
풀어. 플-[調]+-어.
머고 주048)
머고:
먹되. 먹-[服]+-오.
 주049)
:
하루[日].
너덧 주050)
너덧:
너덧. 네닷. 네다섯. 너[四]#덧[五].
머그

구급간이방언해 권2:114ㄱ

주051)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052)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갓 태어난 송아지가 풀 먹지 아니하여서 땅에 떨어진 배꼽에 붙어 있던 똥을 볕에 말리어 갈아 한 돈씩 물에 풀어 먹되 하루 너덧 번 먹으면 나을 것이다.

井花水 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믈 卒然噀其所患人面勿使病者先知其血卽止

새배 주053)
새배:
새벽에.
 아니 기러셔 주054)
기러셔:
길어서. 길-(‘긷-’의 이형태)+-어셔.
몬져 주055)
몬져:
먼저.
기론 주056)
기론:
길은. 길-+-오-+-ㄴ.
우믌므를 주057)
우믌므를:
우물물을. 우믈+-ㅅ#믈+-을.
피 나 사 주058)
사:
사람의. 사람[人]+-. ‘기소환인(其所患人)’이 ‘피 나 사’으로 번역됨.
 주059)
:
낯에. [面]+-.
믄득 주060)
믄득:
갑자기[卒然].
모 주061)
모:
뿜되. -[噀]+-오.
 주062)
:
병을 앓는. 병-[病]+-ㄴ.
사 주063)
사:
사람을. 사람에게. 사[者]+-.
몬져 주064)
몬져:
먼저[先].
알외디 주065)
알외디:
알리지. 알게 하지. 알외-[使…知]+-디.
말면 주066)
말면:
말면. 말-[勿]+-면.
그 피 즉재 주067)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068)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새벽에 남 긷지 아니하여서 먼저 길은 우물물을 피가 나는 사람의 낯에 갑자기 뿜되 병을 앓는 사람에게 알리지 말면 그 피가 즉시 그칠 것이다.

生地黃汁一升生薑汁一合相和溫服一小

구급간이방언해 권2:114ㄴ

盞日四五服

주069)
:
날것[生].
디 주070)
디:
지황(地黃).
불휘 주071)
불휘:
뿌리.
주072)
:
짠. -+-오-+-ㄴ.
즙  되와 주073)
되와:
되와. 되[升]+-와.
즙 주074)
즙:
생강즙(生薑汁).
홉과 주075)
홉과:
홉을. 홉(合)+-과+-.
섯거 주076)
섯거:
섞어. -+[和]+-어.
시 주077)
시:
따뜻하게.
야 서 홉을 머고 주078)
머고:
먹되. 먹-[服]+-오.
 주079)
:
하루[日].
너덧 주080)
너덧:
너덧. 너닷. 네다섯.
머그라 주08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생지황 뿌리 짠 즙(汁) 한 되와 생강즙 한 홉을 섞어 따뜻하게 하여 세 홉을 먹되 하루 너덧 번 먹으라.

九竅四肢指歧閒出血 靑竹茹 프른 대 고니 半兩 生地黃 一兩細切 蒲黃 부들마치 우희 누른  半兩 以水一大盞煎至六分去滓每於食後溫服

아홉 구무와 주082)
구무와:
구멍과. 구무[竅]+-와.
가락 주083)
가락:
손가락. 손+-ㅅ#가락.
밧가락 주084)
밧가락:
발가락. 발+-ㅅ#가락. ‘발+-ㅅ#가락’에서 자음 ‘ㄹ’이 탈락하면 ‘밧가락’이 된다. ‘사지지(四肢指)’가 ‘가락 밧가락’으로 번역됨.
메 주085)
메:
틈에. [歧閒]+-에.
나거

구급간이방언해 권2:115ㄱ

주086)
나거든:
나거든. 나-[出]+-거든.
프른 주087)
프른:
푸른. 프르-[靑]+-ㄴ.
주088)
대:
대나무[竹].
고니 주089)
고니:
갉은 것. -+-오-+-ㄴ#이.
반 과  디 주090)
디:
지황의. 디(地黃)+-ㅅ.
불휘 주091)
불휘:
뿌리.
리 주092)
리:
가늘게.
사로니 주093)
사로니:
썬 것. 사-+-오-+-ㄴ#이. ‘절(切)’이 ‘사로니’로 번역됨.
 과 부들마치 주094)
부들마치:
부들꽃.
우희 주095)
우희:
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누른  주096)
:
가루.
반 과 믈 큰  되예 주097)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098)
달혀:
달여. 달히-[煎]+-어.
남거든 주099)
남거든:
남짓하거든. 남-+-거든. ‘至六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즈 주100)
즈:
찌꺼기[滓].
앗고 주101)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머근 주102)
머근:
먹은. 먹-+-은.
후마다 주103)
후마다:
후마다. 후(後)+-마다[每].
니 주104)
니:
따뜻한 것. -+-ㄴ#이. ‘온(溫)’이 ‘니’로 번역됨.
머그라

아홉 구멍과 손가락 발가락 틈에 피가 나거든 푸른 대 갉은 것 반 냥과 지황(地黃) 날것의 뿌리 가늘게 싼 것 한 냥과 부들꽃 위의 누른 가루 반 냥을 물 한 큰 되에 달여 반 남짓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밥 먹은 후마다 따뜻한 것 먹으라.

蒲黃 부들마치 우희 누른  一兩微炒 龍骨 의  一兩燒赤 都細硏爲散每服以糯米  粥飮調二錢服之

부들마치 주105)
부들마치:
부들의 꽃. 부들꽃. 포황(蒲黃)은 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지혈제로 쓴다.
우희 주106)
우희:
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누른 주107)
누른:
누른. 누르-+-ㄴ.
 주108)
:
가루.
  간 주109)
간:
조금[微].
봇그

구급간이방언해 권2:115ㄴ

니와
주110)
봇그니와:
볶은 것과. -+-은#이+-와. ‘炒’가 ‘봇그니’로 번역됨.
의 주111)
의:
용의. 룡(龍)+-의.
주112)
:
뼈[骨].
  븕게 주113)
븕게:
붉게. 븕-[赤]+-게.
로니와 주114)
로니와:
사른 것을. -+-오-+-ㄴ#이+-와+-. ‘燒’가 ‘사로니’로 번역됨.
뫼화 주115)
뫼화:
모아. 뫼호-[都]+-아.
리 주116)
리:
가늘게[細].
라 주117)
라:
갈아. 갈-[硏]+-아.
 주118)
:
찹쌀[糯米].
쥭므레 주119)
쥭므레:
죽물에. 쥭(粥)#믈[飮]+-에.
주120)
두:
두[二].
돈곰 주121)
돈곰:
돈씩. 돈[錢]+-곰.
프러 주122)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123)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부들꽃 위의 누른 가루 한 냥 조금 볶은 것과 용(龍)의 뼈 한 냥 붉게 사른 것을 모아 가늘게 갈아 찹쌀 죽물에 두 돈씩 풀어 먹으라.

小薊 조이 一握搗汁酒半盞和頓服如無靑者以乾薊末冷水調三錢匕服

조이 주124)
조이:
조뱅이. 조방가새[小薊]. 소계(小薊)는 ‘조뱅이’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지혈, 이뇨, 해독에 쓴다.
주믈 주125)
주믈:
줌을. 줌[握]+-을.
디허 주126)
디허:
찧어. 딯-[搗]+-어.
주127)
:
짜. -+-아.
술 반 되예 주128)
되예:
되에. 되[盞]+-예.
섯거 주129)
섯거:
섞어. -[和]+-어.
믄득 주130)
믄득:
다[頓].
머그라 프르니 주131)
프르니:
푸른 것이. 프르-[靑]+-ㄴ#이[者]+∅(주격 조사).
업거든 주132)
업거든:
없거든. 업-[無]+-거든.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표기임.
 주133)
:
마른. -[乾]+-ㄴ.
조이 라 주134)
라:
갈아. -[末]+-아.
므레 주135)
므레:
찬물에. -[冷]+-ㄴ#믈[水]+-에.
주136)
서:
서. 세[三].
돈곰 주137)
돈곰:
돈씩. 돈[錢匕]+-곰.
프러 주138)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139)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조뱅이 한 줌을 찧어 즙(汁) 짜 술 반 되에 섞어 다 먹으라. 푸른 것이 없거든 마른 조뱅이를 갈아 찬물에 서 돈씩 풀어 먹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16ㄱ

마 五六枚去皮入豆豉 젼국 硏爲膏如桐子大米飮下五六十丸無不愈者

마 주140)
마:
마늘[蒜].
다엿 주141)
다엿:
대엿. 대여섯[五六].
나 주142)
나:
낱을. 낯[枚]+-.
거플 주143)
거플:
껍질[皮].
밧기고 주144)
밧기고:
벗기고. 밧기-[去]+-고.
젼국 주145)
젼국:
약전국[豆豉].
드려 주146)
드려:
들여. 드리-[入]+-어. 어간 ‘드리-’는 ‘들-+-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라 주147)
라:
갈아. -[硏]+-아.
주148)
골:
고약[膏].
라 주149)
라:
만들어. -[爲]+-아.
머귀 주150)
머귀:
오동나무[桐].
여름만 주151)
여름만:
열매만큼. 여름[子]+-만. ‘여름’은 ‘열-+-음(명사 형성 접미사)’으로 분석된다.
주152)
케:
하게.
비븨여 주153)
비븨여:
비븨-+-여.
주154)
:
쌀[米].
글힌 주155)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156)
므레:
물에. 믈+-에.
주157)
쉰:
쉰[五十]. 50.
환이어나 주158)
환이어나:
환이거나. 환(丸)+이어나(선택의 보조사).
여슌 주159)
여슌:
예순[六十].
환이어나 머그면 주160)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아니 주161)
아니:
아니[不].
됴리 주162)
됴리:
나을 것이. 둏-[愈]+-을#이[者]+∅.
업스리라 주163)
업스리라:
없을 것이다. 없-[無]+-으리-+-라.

마늘 대여섯 낱을 껍질 벗기고 약전국 들여 갈아 고약 만들어 오동나무 열매만큼 하게 비비어 쌀 끓인 물에 쉰 환(丸)이거나 예순 환이거나 먹으면 낫지 않을 것이 없을 것이다.

赤小豆 블근  一升搗碎水三升絞汁飮之

블근 주164)
블근:
붉은. 븕-[赤]+-은.
주165)
:
팥[小豆].
주166)
:
한[一].
되 주167)
되:
되를. 되[升]+-.
디허 주168)
디허:
찧어. 딯-[搗]+-어.
 주169)
:
부수어. -[碎]+-아. 기본형은 ‘다’이다. 합성동사 ‘다’는 비통사적 합성으로 ‘-[碎]#-[硏]+-다’로 분석될 수 있다. ‘다’는 ‘비마  거플 앗고 라(用萆麻子去殼硏碎)〈구급간이방 1:20ㄴ〉’에서 발견된다.
믈 서 되예 주170)
되예:
되에. 되[升]+-예.
뷔트

구급간이방언해 권2:116ㄴ

주171)
뷔트러:
비틀어. 뷔틀-+-어.
주172)
:
짜. -+-아. ‘교(絞)’가 ‘뷔트러 다’로 번역됨.
즙을 주173)
즙을:
즙을. 즙(汁)+-을.
마시라 주174)
마시라:
마시라. 마시-[飮]+-라.

붉은 팥 한 되를 찧어 부수어 물 석 되에 비틀어 짜 즙을 마시라.

齒縫出血不止他藥不能治之者塩 소곰 主之

주175)
닛:
이의. 니[齒]+-ㅅ.
사채 주176)
사채:
틈에. 샃[縫]+-애.
피 나 긋디 주177)
긋디:
그치지. 긋-[止]+-디.
아니커든 주178)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거든.
녀느 주179)
녀느:
다른[他].
약으로 주180)
약으로:
약으로. 약(藥)+-으로.
수이 주181)
수이:
쉽게[能]. -+-이〉수〉수이.
고티디 주182)
고티디:
고치지. 고티-[治]+-디.
몯닐 주183)
몯닐:
못하는 것을. 몯-[不]+--+-ㄴ#이[者]+-ㄹ.
소고미 주184)
소고미:
소금이. 소곰[塩]+-이.
됴니라 주185)
됴니라:
좋다. 둏-[主]+-니-+-라.

이의 틈에 피가 나 그치지 아니하거든 다른 약으로 쉽게 고치지 못하는 것에는 소금이 좋다.

乾地龍末  위 론  一錢白礬灰一錢射香末半錢同硏令勻濕布上塗藥貼於患處

 주186)
:
마른. -[乾]+-ㄴ.
위 주187)
위:
지렁이[地龍].
론 주188)
론:
간. -+-오-(의도법 선어말 어미)+-ㄴ.
 주189)
:
가루.
 돈과  주190)
:
백반의. 번(白礬)+-ㅅ.
주191)
:
재[灰].
 돈

구급간이방언해 권2:117ㄱ

샤 주192)
샤:
사향(射香).
론  반 돈과 주193)
돈과:
돈을. 돈[錢]+-과+-.
 주194)
:
함께[同].
라 주195)
라:
갈아. -[硏]+-아.
고게 주196)
고게:
고르게. 고-[勻]+-게.
야 저즌 주197)
저즌:
젖은. 젖-[濕]+-은.
주198)
뵈:
베[布].
우희 주199)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라 주200)
라:
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나 주201)
나:
나는. 나-+--+-ㄴ.
브티라 주202)
브티라:
붙이라. 브티-[貼]+-라.

마른 지렁이 간 가루 한 돈과 백반(白礬)의 재 한 돈과 사향(射香) 간 가루 반 돈을 함께 갈아 고르게 하여 젖은 베 위에 약 발라 피가 나는 데 붙이라.

淡竹葉 주203)
담죽엽(淡竹葉):
솜대나 조릿대풀의 잎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 쓴다.
소옴댓 닙 濃煎湯熱含冷吐

소옴댓 주204)
소옴댓:
솜대의. 소옴대[淡竹]+-ㅅ.
니플 주205)
니플:
잎을. 닢[葉]+-을.
디투 주206)
디투:
짙게. 진하게. 딭-[濃]+-우.
달혀 주207)
달혀:
달여. 달히-[煎]+-어.
더운 므를 주208)
므를:
물을. 믈+-을. ‘탕열(湯熱)’이 ‘더운 믈’로 번역됨.
머구머 주209)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거든 비와라 주210)
비와라:
뱉으라. 비왙-[吐]+-라.

솜대의 잎을 짙게 달여 뜨거운 물을 머금어 차거든 뱉으라.

欝金 심 白芷 구리댓 불휘 細辛 各等分 爲末擦牙仍以竹葉竹皮濃煎入塩 소곰 少許含嚥或

구급간이방언해 권2:117ㄴ

炒塩傅

심과 주211)
심과:
심황과. 심[欝金]+-과.
구리댓 불휘와 주212)
구리댓 불휘와:
구리때 뿌리와. 백지와(白芷)와. 구리댓 불휘[白芷]+-와. ‘백지(白芷)’는 구릿대의 뿌리.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요통, 비연(鼻淵) 따위에 쓰며 종기에 외과약으로도 쓴다. 노란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셰 주213)
셰:
세신의. 셰신(細辛)+-ㅅ. ‘세신(細辛)’은 족도리풀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감기, 두통, 코 막힘, 담음(痰飮) 따위의 증상에 쓴다.
불휘와 주214)
불휘와:
뿌리와. 불휘+-와.
각각 게 주215)
게:
같게. -[等]+-게.
화 주216)
화:
나누어. 호-[分]+-아.
라 주217)
라:
갈아. -[爲末]+-아.
니예 주218)
니예:
이에. 니[牙]+-예.
고 주219)
고:
문지르고. 비비고. -[擦]+-고. 어간 ‘-’은 ‘-’의 팔종성표기임.
주220)
댓:
대나무의. 대[竹]+-ㅅ.
닙과 주221)
닙과:
잎과. 닙[葉]+-과.
거프를 주222)
거프를:
껍질을. 거플[皮]+-을.
디투 주223)
디투:
짙게. 진하게. 딭-[濃]+-우.
달혀 주224)
달혀:
달여. 달히-[煎]+-어.
소곰 져기 주225)
져기:
조금[少許].
녀허 주226)
녀허:
넣어. 녛-[入]+-어.
머구머 주227)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며 주228)
며:
삼키며. -[嚥]+-며.
주229)
:
또[或].
소곰을 주230)
소곰을:
소금을. 소곰[塩]+-을.
봇가 주231)
봇가:
볶아. -[炒]+-아.
라 주232)
라:
바르라. -[傅]+-라.

심황 주233)
심황(울금):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 줄기가 노랗고 굵으며, 타원형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여름과 가을에 입술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뿌리 줄기는 한방에서 지혈제로 쓰고 말린 뿌리 줄기는 노란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과 구리때 뿌리와 세신(細辛)의 뿌리와 각각 같게 나누어 갈아 이에 문지르고 대나무의 잎과 껍질을 짙게 달여 소금 조금 넣어 머금어 삼키며 또 소금을 볶아 바르라.

童子小便 아 오좀 半升煮取三合含之其血卽止

아 주234)
아:
사내아이의. 아[童子]+∅(속격 조사).
오좀 주235)
오좀:
오줌[小便].
되 주236)
되:
되를. 되[升]+-.
글혀 주237)
글혀:
끓여. 글히-[煮]+-어.
홉이어든 주238)
홉이어든:
홉이거든. 홉(合)+이-+-어든.

구급간이방언해 권2:118ㄱ

구머시면
주239)
머구머시면:
머금고 있으면. 머굼-[含]+-어#이시-+-면.
그 피 즉재 주240)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241)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사내아이의 오줌 반 되를 끓여 세 홉이거든 머금고 있으면 그 피가 즉시 그칠 것이다.

生竹皮 댓 거플 二兩苦酒 浸之令其人解衣坐使人含噀其背上三過仍取竹茹 댓 거플 고니 濃煮汁勿與塩適寒溫含漱之竟日爲度

주242)
:
날것[生].
주243)
댓:
대의. 대나무의. 대[竹]+-ㅅ.
거플 주244)
거플:
껍질[皮].
가 주245)
가:
갉아. -+-아.
두 을 초애 주246)
초애:
초에. 초[苦酒]+-애.
고 주247)
고:
담그고. -[浸]+-고.
사로 주248)
사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人]+-로.
바사 주249)
바사:
멋어. 밧-[解]+-아.
게 주250)
게:
앉게. -[坐]+-게. 어간 ‘-’은 ‘앉-’의 팔종성표기임.
고 다 주251)
다:
다른. 다-+-ㄴ.
사미 주252)
사미:
사람이. 사+-이. ‘人’이 ‘다 사’으로 번역됨.
머구머 주253)
머구미:
머금어. 머굼-[含]+-어.
의 주254)
의:
등에. [背]+-의(처소격 조사).
세 번을 고 주255)
고:
뿜고. -[噀]+-고.
고니 주256)
고니:
갌은 것. -+-오-+-ㄴ#이. ‘茹’가 ‘고니’로 번역됨.
디투 주257)
디투:
짙게. 진하게. 딭-[濃]+-우.
글힌 주258)
글힌:
끓인. 글히-[煮]+-ㄴ.
즙에 주259)
즙에:
즙에. 즙(汁)+-에.
소곰 주260)
소곰:
소금[塩].
두디 주261)
두디:
두지. 두-[與]+-디.
머모 주262)
머모:
‘머모’는 ‘물(勿)’의 번역이다. 그런데 『구급방언해』상권에 동일 원문의 ‘물여염(勿與塩)’이 ‘소곰 주디 말오’〈66ㄱ〉로 번역되어 있다. 그리고 『구급간이방』권2에 ‘물견(勿見)’이 ‘뵈디 마오’〈70ㄱ〉로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머모’는 ‘마오’의 오각(五刻)이 틀림없다.
며 주263)
며:
차며. -[寒]+-며.
더우믈 주264)
더우믈:
따뜻함을. 더우-[溫]+-움+-을.
맛게 주265)
맛게:
맞게. 맛-+-게. 어간 ‘맛-’은 ‘맞-’의 팔종성표기임. ‘적(適)’이 ‘맛게 다’로 번역됨.

구급간이방언해 권2:118ㄴ

야 머구머 주266)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지호 주267)
지호:
양치질하되. 지-[漱]+-오.
졈그록 주268)
졈그록:
저무도록. 졈그-[竟日]+-록. 어간 ‘졈그-’는 ‘졈글-’의 이형태임.
라 주269)
라:
하라.

대나무 날것의 껍질 갉아 두 냥을 초에 담그고 그 사람으로 하여금 옷 벗어 앉게 하고 다른 사람이 머금어 그 등에 세 번을 뿜고 대나무 갉은 것 짙게 끓인 즙에 소금 두디 말고 차며 따뜻함을 맞게 하여 머금어 양치질하되 저무도록 하라.

牙齒縫忽出血 當歸 암촛 불휘 桂心 계핏 솝 各半兩 白礬 번 一兩燒令汁盡 甘草 半兩 搗麁羅分爲三度用每度以漿水  글힌 믈 一大盞煎至一盞去滓熱含冷吐

주270)
닛:
이의. 니[牙齒]+-ㅅ(속격 조사).
사채 주271)
사채:
틈에. 샃[縫]+-애(처소격 조사).
믄득 주272)
믄득:
갑자기[忽].
주273)
피:
피가. 피[血]+∅(주격 조사).
나거든 주274)
나거든:
나거든. 나-[出]+-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암촛 불휘와 주275)
암촛 불휘와:
승검초 뿌리와. 승검촛 불휘[當歸]+-와(접속조사).
계핏 주276)
계핏:
계피의. 계피[桂]+-ㅅ.
주277)
솝:
솝[心].
각 반 과 번 주278)
번:
백반(白礬).
  라 주279)
라:
살라. -[燒]+-아(보조적 연결어미).
업게 주280)
업게:
없게. 업-+-게(보조적 연결어미).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 표기임.
니와 주281)
니와:
한 것과. -+-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 ‘令…盡’이 ‘업게 니’로 번역됨.
감초 주282)
감초:
감초(甘草).
과 주283)
과:
냥을. (兩)+-과(접속조사)+-(대격 조사).
디허 주284)
디허:
찧어. 딯-[搗]+-어(보조적 연결어미).
굵게 주285)
굵게:
굵게. 굵-[麁]+-게.
주286)
처:
쳐. 츠-[羅]+-어.
주287)
세:
세[三].
번에 주288)
번에:
번에. 번[度]+-에(처소격 조사).

구급간이방언해 권2:119ㄱ

화 주289)
화:
나누어. 호-[分爲]+-아.
 주290)
:
쓰되. -[用]+-우(종속적 연결어미).
 번에 주291)
:
쌀.
글힌 주292)
글힌:
끓인. 글히-+-ㄴ(관형사형 어미).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믈 두 되예 주293)
되예:
되+-에(처소격 조사). ‘-에’는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一大盞’이 ‘두 되’로 번역된다.
달혀 주294)
달혀:
달여. 달히-[煎]+-어.
주295)
되:
되가. 되[盞]+∅(주격 조사).
외어든 주296)
외어든:
되거든. 외-+-어든(종속적 연결어미). ‘-어든’은 ‘-거든’의 이형태로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즈 주297)
즈:
찌꺼기[滓].
앗고 주298)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대등적 연결어미).
더우닐 주299)
더우닐:
뜨거운 것을. 더우-+-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ㄹ(대격 조사). ‘熱’이 ‘더우니’로 번역됨.
머구머 주300)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거든 주301)
거든:
차거든. -[冷]+-거든.
비와라 주302)
비와라:
비왙-[吐]+-라(명령형 종결어미).

이의 틈에 갑자기 피가 나거든 승검초 뿌리와 계피의 속 각각 반 냥과 백반 한 냥 살라 즙(汁) 없게 한 것과 감초(甘草) 반 냥을 찧어 굵게 쳐 세 번에 나누어 쓰되 한 번에 쌀 끓인 물 두 되에 달여 한 되가 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뜨거운 것을 머금어 차거든 뱉으라.

酒醉牙齒涌出血 當歸 암촛 불휘 二兩 礬石 번 六錢 桂心 계핏 솝 細辛 甘草 各一兩 㕮咀以漿水  글힌 믈 五升煮取三升含之日五六夜三

주303)
술:
술[酒].
야 주304)
야:
취하여. -[醉]+-야(보조적 연결어미). ‘-야’는 ‘-아’의 이형태임.
니예 주305)
니예:
이에. 니[牙齒]+-예(처소격 조사).
솟나거든 주306)
솟나거든:
솟아나거든. 솟나-[涌出]+-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어간 ‘솟나-’는 ‘솟-[湧]#나[出]’의 비통사적 합성이다.
암촛 불휘 주307)
암촛 불휘:
승검초 뿌리[當歸].
두 과 번 주308)
번:
백반[礬石].
반 돈 남니와 주309)
남니와:
남짓한 것과. 남-+-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 ‘육수(六銖)’가 ‘반 돈 남니’로 번역된다.
계핏 주310)
계핏:
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솝과 주311)
솝과:
속과. 솝[心]+-과.

구급간이방언해 권2:119ㄴ

셰 주312)
셰:
세신의. 셰신(細辛)+-ㅅ.
불휘와 주313)
불휘와:
뿌리와. 불휘+-와.
감초 주314)
감초:
감초(甘草).
각  과 사라 주315)
사라:
썰어. 사-[㕮咀]+-아.
주316)
:
쌀.
글힌 주317)
글힌:
끓인. 글히-+-ㄴ.
믈 닷 되예 주318)
되예:
되에. 되[升]+-예(처소격 조사). ‘-에’는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글혀 주319)
글혀:
끓여. 글히-[煮]+-어(보조적 연결어미).
서 되 외어든 주320)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머구모 주321)
머구모:
머금되. 머굼-[含]+-오(종속적 연결어미).
나 주322)
나:
낮에. 낮[日]+-(처소격 조사) ‘-’는 양성모음 뒤에 쓰인다.
다엿 주323)
다엿:
대엿. 대여섯[五六].
바 주324)
바:
밤에. 밤[夜]+-(처소격 조사).
주325)
세:
세[三].
라 주326)
라:
하라. -+-라(명령형 종결어미).

술 취하여 이에 피가 솟아나거든 승검초 뿌리 두 냥과 백반 반 돈 남짓한 것과 계피의 속과 세신의 뿌리와 감초(甘草) 각각 한 냥을 썰어 쌀 끓인 물 닷 되에 끓여 석 되가 되거든 머금되 낮에 대여섯 번 밤에 세 번 하라.

燒釘 令赤注孔血中止

모 주327)
모:
못을. 몯[釘]+-(대격 조사).
라 주328)
라:
살라. -[燒]+-아.
븕거든 주329)
븕거든:
붉거든. 븕-[赤]+-거든.
주330)
피:
피가. 피+∅(주격 조사).
나 주331)
나:
나는. 나-+--(현재 시제 선어말어미)+-ㄴ.
굼긔 주332)
굼긔:
구멍에. [孔]+-의(처소격 조사). ‘-의’는 음성 모음 뒤에 쓰인다.
고면 주333)
고면:
꽂으면. 곶-[注]+-면(종속적 연결어미).
긋니라 주334)
긋니라:
그친다. 긋-[止]+--(현재 시제 선어말어미)+-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못을 살라 붉거든 피가 나는 구멍에 꽂으면 그친다.

舌上黑有數孔大如簪出血如湧泉 戎塩 소곰 黃苓 솝서근픐 불휘 黃蘗 벽피 大黃 各五兩 人參

구급간이방언해 권2:120ㄱ

桂心 계핏 솝 甘草 各二兩 爲末蜜丸梧子大米飮服十丸日三服亦燒鐵烙之

우히 주335)
우히:
위가. 우ㅎ[上]+-이.
검고 두 주336)
두:
두어[數]. 두#.
굼기 주337)
굼기:
구멍이. [孔]+-이.
빈혓 주338)
빈혓:
비녀의. 빈혀[簪]+-ㅅ.
구무만 주339)
구무만:
구멍만큼. 구무+-만.
주340)
코:
하고. -+-고. ‘대(大)’가 ‘-만 다’로 번역된다.
나 주341)
나:
나되. 나-[出]+-아.
 주342)
:
솟듯. -+-. ‘용천(湧泉)’이 ‘믈 다’로 번역된다.
거든 소곰과 주343)
소곰과:
소금과. 소곰[戎塩]+-과(접속조사).
솝서근픐 주344)
솝서근픐:
속서근풀의. 솝서근풀+-ㅅ(속격 조사).
불휘와 벽피와 주345)
벽피와:
황벽피와. 벽피[黃蘗]+-와.
대 주346)
대:
대황(大黃)의. 대+-ㅅ.
불휘 각 닷 과 심과 주347)
심과:
인삼(人參)과. 심[人蔘]+-과.
계핏 솝과 주348)
솝과:
속과. 솝[心]+과.
감초 각 두 과 주349)
과:
냥을. (兩)+-과(접속조사)+-(대격 조사).
라 주350)
라:
갈아. -[爲末]+-아.
레 주351)
레:
꿀에. +-에.
라 주352)
라:
말아. -+-아. ‘밀(蜜)’이 ‘레 다’로 번역된다.
머귀 주353)
머귀:
오동나무[梧].
여름만 주354)
여름만:
열매만큼. 여름[子]+-만.
주355)
케:
하게. -+-게. ‘대(大)’가 ‘-만 다’로 번역된다.
비븨여 주356)
비븨여:
비비어. 비븨-[丸]+-여(보조적 연결어미).
글힌 주357)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358)
므레:
물에. 믈+-에. ‘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된다.
환곰 주359)
환곰:
환씩. 환(丸)+-곰.
머고 주360)
머고:
먹되. 먹-[服]+-오(종속적 연결어미).
 주361)
:
하루[日].
세 번곰 머그라  쇠

구급간이방언해 권2:120ㄴ

주362)
달와:
달구어. 달오-[燒]+-아.
지지라

혀 위가 검고 두어 구멍이 비녀의 구멍만큼 하고 피가 나되 물 솟듯 하거든 소금과 속서근풀의 뿌리와 황벽피와 대황의 뿌리 각각 닷 냥과 인삼과 계피의 속과 감초(甘草) 각각 두 냥을 갈아 꿀에 말아 오동나무 열매만큼 하게 비비어 쌀 끓인 물에 열 환(丸)씩 먹되 하루 세 번 먹으라. 또 쇠를 달구어 지지라.

熱塞舌上出血如泉 五倍子 우洗 白膠香牡蠣粉 굸죠개 분 各等分 爲末每以少許摻患處或燒鐵箆熟烙孔上

야 주363)
야:
상열(上熱)하여. 샹-[熱塞]+-야.
혀애 주364)
혀애:
혀에. 혀[舌]+-애.
나 주365)
나:
나되. 나-[出]+-.
 주366)
:
솟듯. -+-. ‘천(泉)’이 ‘믈 다’로 번역된다.
거든 우 주367)
우:
오배자(五倍子). 한의학에 쓰이는 약재. 붉나무에 생긴 혹 모양의 벌레집. 타닌산이 들어 있어 기침, 설사, 출혈증의 약재로 쓰거나 잉크·염료 따위의 재료로 쓴다.
시스니와 주368)
시스니와:
씻은 것과. 싯+-은#이(의존 명사)+-와(접속조사). ‘세(洗)’가 ‘시스니’로 번역된다.
교과 주369)
교과:
백교향(白膠香)과. 교향(白膠香)+-과. 백교향은 단풍나무의 진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지혈하는 작용이 있고, 종기나 피부병 따위에 쓴다.
굸죠개 분과 주370)
굸죠개분과:
굴조개분(粉)과. 굸조개분[牡蠣粉]+-과. 모려(牡蠣)는 굴조개의 말린 살로 성질은 차며 몽설(夢泄), 대하(帶下), 갈증, 도한(盜汗) 따위에 쓰인다.
각각 게 주371)
게:
같게. -[等]+-게.
화 주372)
화:
나누어. 호-[分]+-아.
라 주373)
라:
갈아. -[爲末]+-아.
젹젹 주374)
젹젹:
조금[少許].
피 나 주375)
:
데에. [處]+-∅(처소격 조사). ‘환처(患處)’가 ‘피 나 데’로 번역된다.
고 주376)
고:
바르고. -[摻]+-고(대등적 연결어미).
 쇠 빈혀 주377)
빈혀:
비녀를. 빈혀[箆]+-.
달와 주378)
달와:
달구어. 달오-[燒]+아.
굼글 주379)
굼글:
구멍을. [孔]+-을.
니기 주380)
니기:
익게. 닉-[熟]+-이(부사 형성 접미사).
지지라 주381)
지지라:
지져라. 지지-[烙]+-라.

상열(上熱)하여 혀에 피가 나되 물 솟듯 하거든 오배자(五倍子) 씻은 것과 백교향(白膠香)과 굴조개분과 각각 같게 나누어 갈아 조금 피 나는 데 바르고 또 쇠비녀를 달구어 구멍을 익게 지지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21ㄱ

舌無故出血炒槐花 회홧 곳 爲末摻之而愈
救急簡易方 卷之二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혀예 주382)
혀예:
혀에. 혀[舌]+-예(처소격 조사).
주383)
피:
피가. 피[血]+∅.
나거든 주384)
나거든:
나거든. 나-[出]+-거든.
회홧 주385)
회홧:
홰나무의. 회화[槐]+-ㅅ.
고 주386)
고:
꽃을. 곶[花]+-.
봇가 주387)
봇가:
볶아. 볶-[炒]+-아.
라 주388)
라:
갈아. -[爲末]+-아.
면 주389)
면:
바르면. -[摻]+-면(종속적 연결어미).
됴리라 주390)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혀에 피가 나거든 홰나무의 꽃을 볶아 갈아 바르면 나을 것이다.
구급간이방 권지이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굼긔:구멍에. [竅]+-의(처소격 조사).
주002)
나미라:남이다. 나-[出]+-암(명사형 어미)+이-+-라.
주003)
니:이[齒].
주004)
메:틈에. [閒]+-에.
주005)
조찻니라:좇아 있다. 좇-[咐]+-앗-+--+-니-+-라. ‘-앗’은 보조적 연결어미 ‘-아’와 ‘잇-’이 결합한 형태.
주006)
굼근:구멍은. +-은.
주007)
고콰:코와. 고ㅎ+-과.
주008)
대쇼변:대소변(大小便).
주009)
나:나는. 나-+--+-ㄴ.
주010)
왜라:곳이다. 데이다. +-와+ㅣ-+-라.
주011)
화졔애: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주012)
필산과:필승산과. 필산(必勝散)+-과. 필승산(必勝散)은 코피, 피 게우기, 각혈 등에 쓰는 처방이다.
주013)
믈:사물탕(四物湯).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따위를 넣어서 달여 만드는 탕약. 보혈(補血) 작용을 하여 부인병 치료에 쓴다.
주014)
즉:측백(側栢).
주015)
닙:잎.
주016)
더드려:더하여. 더드리-[加]+-어.
주017)
달히니와:달인 것. 달히-+-ㄴ#이+-와+-. ‘煎’이 ‘달히니’로 번역됨.
주018)
머고미:먹음이. 먹-[服]+-옴+-이.
주019)
맛니라:마땅하다. 맛-[宜]+-니-+-라.
주020)
아홉:아홉[九].
주021)
굼긔:구멍에. [孔]+-의.
주022)
피:피가. 피[血]+∅(주격 조사).
주023)
나거든:나거든. 나-[出]+-거든.
주024)
갓:정가의. 형개의. 뎡가[荊]+-ㅅ.
주025)
닙:잎[葉].
주026)
디허:찧어. 딯-[擣]+-어.
주027)
:짜. -+-아.
주028)
수레:술에. 술[酒]+-에.
주029)
프러:풀어. 플-+-어.
주030)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31)
:갓. 방금[新].
주032)
난:난. 태어난. 나-[生]+-ㄴ.
주033)
아지:송아지가. 아지[犢子]+-∅.
주034)
플:풀[草].
주035)
먹디:먹지. 먹-[食]+-디.
주036)
아니야셔:아니하여서. 아니-[未]+-야셔.
주037)
해:땅에. ㅎ[地]+-애.
주038)
딘:떨어진. 디-[墮]+-ㄴ.
주039)
복애:배꼽에. 복[臍]+-애.
주040)
브텃던:붙어 있던. 븥-+-어#잇-+-더-+-ㄴ.
주041)
을:똥을. [屎]+-을.
주042)
벼틔:볕에. 볕+-의(처소격 조사). ‘曝(폭)’은 ‘쬐다. 햇볕에 쬐어 말리다’.
주043)
외야:말리다. 외-[乾]+-야.
주044)
라:갈아. 갈-[爲末]+-아.
주045)
돈곰:돈씩. 돈[錢]+-곰.
주046)
므레:물에. 믈[水]+-에.
주047)
프러:풀어. 플-[調]+-어.
주048)
머고:먹되. 먹-[服]+-오.
주049)
:하루[日].
주050)
너덧:너덧. 네닷. 네다섯. 너[四]#덧[五].
주051)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052)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053)
새배:새벽에.
주054)
기러셔:길어서. 길-(‘긷-’의 이형태)+-어셔.
주055)
몬져:먼저.
주056)
기론:길은. 길-+-오-+-ㄴ.
주057)
우믌므를:우물물을. 우믈+-ㅅ#믈+-을.
주058)
사:사람의. 사람[人]+-. ‘기소환인(其所患人)’이 ‘피 나 사’으로 번역됨.
주059)
:낯에. [面]+-.
주060)
믄득:갑자기[卒然].
주061)
모:뿜되. -[噀]+-오.
주062)
:병을 앓는. 병-[病]+-ㄴ.
주063)
사:사람을. 사람에게. 사[者]+-.
주064)
몬져:먼저[先].
주065)
알외디:알리지. 알게 하지. 알외-[使…知]+-디.
주066)
말면:말면. 말-[勿]+-면.
주067)
즉재:즉시[卽].
주068)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069)
:날것[生].
주070)
디:지황(地黃).
주071)
불휘:뿌리.
주072)
:짠. -+-오-+-ㄴ.
주073)
되와:되와. 되[升]+-와.
주074)
즙:생강즙(生薑汁).
주075)
홉과:홉을. 홉(合)+-과+-.
주076)
섯거:섞어. -+[和]+-어.
주077)
시:따뜻하게.
주078)
머고:먹되. 먹-[服]+-오.
주079)
:하루[日].
주080)
너덧:너덧. 너닷. 네다섯.
주08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82)
구무와:구멍과. 구무[竅]+-와.
주083)
가락:손가락. 손+-ㅅ#가락.
주084)
밧가락:발가락. 발+-ㅅ#가락. ‘발+-ㅅ#가락’에서 자음 ‘ㄹ’이 탈락하면 ‘밧가락’이 된다. ‘사지지(四肢指)’가 ‘가락 밧가락’으로 번역됨.
주085)
메:틈에. [歧閒]+-에.
주086)
나거든:나거든. 나-[出]+-거든.
주087)
프른:푸른. 프르-[靑]+-ㄴ.
주088)
대:대나무[竹].
주089)
고니:갉은 것. -+-오-+-ㄴ#이.
주090)
디:지황의. 디(地黃)+-ㅅ.
주091)
불휘:뿌리.
주092)
리:가늘게.
주093)
사로니:썬 것. 사-+-오-+-ㄴ#이. ‘절(切)’이 ‘사로니’로 번역됨.
주094)
부들마치:부들꽃.
주095)
우희: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주096)
:가루.
주097)
되예:되에. 되[盞]+-예.
주098)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99)
남거든:남짓하거든. 남-+-거든. ‘至六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주100)
즈:찌꺼기[滓].
주101)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102)
머근:먹은. 먹-+-은.
주103)
후마다:후마다. 후(後)+-마다[每].
주104)
니:따뜻한 것. -+-ㄴ#이. ‘온(溫)’이 ‘니’로 번역됨.
주105)
부들마치:부들의 꽃. 부들꽃. 포황(蒲黃)은 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지혈제로 쓴다.
주106)
우희: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주107)
누른:누른. 누르-+-ㄴ.
주108)
:가루.
주109)
간:조금[微].
주110)
봇그니와:볶은 것과. -+-은#이+-와. ‘炒’가 ‘봇그니’로 번역됨.
주111)
의:용의. 룡(龍)+-의.
주112)
:뼈[骨].
주113)
븕게:붉게. 븕-[赤]+-게.
주114)
로니와:사른 것을. -+-오-+-ㄴ#이+-와+-. ‘燒’가 ‘사로니’로 번역됨.
주115)
뫼화:모아. 뫼호-[都]+-아.
주116)
리:가늘게[細].
주117)
라:갈아. 갈-[硏]+-아.
주118)
:찹쌀[糯米].
주119)
쥭므레:죽물에. 쥭(粥)#믈[飮]+-에.
주120)
두:두[二].
주121)
돈곰:돈씩. 돈[錢]+-곰.
주122)
프러:풀어. 플-[調]+-어.
주123)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24)
조이:조뱅이. 조방가새[小薊]. 소계(小薊)는 ‘조뱅이’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지혈, 이뇨, 해독에 쓴다.
주125)
주믈:줌을. 줌[握]+-을.
주126)
디허:찧어. 딯-[搗]+-어.
주127)
:짜. -+-아.
주128)
되예:되에. 되[盞]+-예.
주129)
섯거:섞어. -[和]+-어.
주130)
믄득:다[頓].
주131)
프르니:푸른 것이. 프르-[靑]+-ㄴ#이[者]+∅(주격 조사).
주132)
업거든:없거든. 업-[無]+-거든.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표기임.
주133)
:마른. -[乾]+-ㄴ.
주134)
라:갈아. -[末]+-아.
주135)
므레:찬물에. -[冷]+-ㄴ#믈[水]+-에.
주136)
서:서. 세[三].
주137)
돈곰:돈씩. 돈[錢匕]+-곰.
주138)
프러:풀어. 플-[調]+-어.
주139)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40)
마:마늘[蒜].
주141)
다엿:대엿. 대여섯[五六].
주142)
나:낱을. 낯[枚]+-.
주143)
거플:껍질[皮].
주144)
밧기고:벗기고. 밧기-[去]+-고.
주145)
젼국:약전국[豆豉].
주146)
드려:들여. 드리-[入]+-어. 어간 ‘드리-’는 ‘들-+-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주147)
라:갈아. -[硏]+-아.
주148)
골:고약[膏].
주149)
라:만들어. -[爲]+-아.
주150)
머귀:오동나무[桐].
주151)
여름만:열매만큼. 여름[子]+-만. ‘여름’은 ‘열-+-음(명사 형성 접미사)’으로 분석된다.
주152)
케:하게.
주153)
비븨여:비븨-+-여.
주154)
:쌀[米].
주155)
글힌:끓인. 글히-+-ㄴ.
주156)
므레:물에. 믈+-에.
주157)
쉰:쉰[五十]. 50.
주158)
환이어나:환이거나. 환(丸)+이어나(선택의 보조사).
주159)
여슌:예순[六十].
주160)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161)
아니:아니[不].
주162)
됴리:나을 것이. 둏-[愈]+-을#이[者]+∅.
주163)
업스리라:없을 것이다. 없-[無]+-으리-+-라.
주164)
블근:붉은. 븕-[赤]+-은.
주165)
:팥[小豆].
주166)
:한[一].
주167)
되:되를. 되[升]+-.
주168)
디허:찧어. 딯-[搗]+-어.
주169)
:부수어. -[碎]+-아. 기본형은 ‘다’이다. 합성동사 ‘다’는 비통사적 합성으로 ‘-[碎]#-[硏]+-다’로 분석될 수 있다. ‘다’는 ‘비마  거플 앗고 라(用萆麻子去殼硏碎)〈구급간이방 1:20ㄴ〉’에서 발견된다.
주170)
되예:되에. 되[升]+-예.
주171)
뷔트러:비틀어. 뷔틀-+-어.
주172)
:짜. -+-아. ‘교(絞)’가 ‘뷔트러 다’로 번역됨.
주173)
즙을:즙을. 즙(汁)+-을.
주174)
마시라:마시라. 마시-[飮]+-라.
주175)
닛:이의. 니[齒]+-ㅅ.
주176)
사채:틈에. 샃[縫]+-애.
주177)
긋디:그치지. 긋-[止]+-디.
주178)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거든.
주179)
녀느:다른[他].
주180)
약으로:약으로. 약(藥)+-으로.
주181)
수이:쉽게[能]. -+-이〉수〉수이.
주182)
고티디:고치지. 고티-[治]+-디.
주183)
몯닐:못하는 것을. 몯-[不]+--+-ㄴ#이[者]+-ㄹ.
주184)
소고미:소금이. 소곰[塩]+-이.
주185)
됴니라:좋다. 둏-[主]+-니-+-라.
주186)
:마른. -[乾]+-ㄴ.
주187)
위:지렁이[地龍].
주188)
론:간. -+-오-(의도법 선어말 어미)+-ㄴ.
주189)
:가루.
주190)
:백반의. 번(白礬)+-ㅅ.
주191)
:재[灰].
주192)
샤:사향(射香).
주193)
돈과:돈을. 돈[錢]+-과+-.
주194)
:함께[同].
주195)
라:갈아. -[硏]+-아.
주196)
고게:고르게. 고-[勻]+-게.
주197)
저즌:젖은. 젖-[濕]+-은.
주198)
뵈:베[布].
주199)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200)
라: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주201)
나:나는. 나-+--+-ㄴ.
주202)
브티라:붙이라. 브티-[貼]+-라.
주203)
담죽엽(淡竹葉):솜대나 조릿대풀의 잎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데에 쓴다.
주204)
소옴댓:솜대의. 소옴대[淡竹]+-ㅅ.
주205)
니플:잎을. 닢[葉]+-을.
주206)
디투:짙게. 진하게. 딭-[濃]+-우.
주207)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08)
므를:물을. 믈+-을. ‘탕열(湯熱)’이 ‘더운 믈’로 번역됨.
주209)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210)
비와라:뱉으라. 비왙-[吐]+-라.
주211)
심과:심황과. 심[欝金]+-과.
주212)
구리댓 불휘와:구리때 뿌리와. 백지와(白芷)와. 구리댓 불휘[白芷]+-와. ‘백지(白芷)’는 구릿대의 뿌리.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요통, 비연(鼻淵) 따위에 쓰며 종기에 외과약으로도 쓴다. 노란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주213)
셰:세신의. 셰신(細辛)+-ㅅ. ‘세신(細辛)’은 족도리풀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 감기, 두통, 코 막힘, 담음(痰飮) 따위의 증상에 쓴다.
주214)
불휘와:뿌리와. 불휘+-와.
주215)
게:같게. -[等]+-게.
주216)
화:나누어. 호-[分]+-아.
주217)
라:갈아. -[爲末]+-아.
주218)
니예:이에. 니[牙]+-예.
주219)
고:문지르고. 비비고. -[擦]+-고. 어간 ‘-’은 ‘-’의 팔종성표기임.
주220)
댓:대나무의. 대[竹]+-ㅅ.
주221)
닙과:잎과. 닙[葉]+-과.
주222)
거프를:껍질을. 거플[皮]+-을.
주223)
디투:짙게. 진하게. 딭-[濃]+-우.
주224)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25)
져기:조금[少許].
주226)
녀허:넣어. 녛-[入]+-어.
주227)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228)
며:삼키며. -[嚥]+-며.
주229)
:또[或].
주230)
소곰을:소금을. 소곰[塩]+-을.
주231)
봇가:볶아. -[炒]+-아.
주232)
라:바르라. -[傅]+-라.
주233)
심황(울금):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 줄기가 노랗고 굵으며, 타원형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여름과 가을에 입술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뿌리 줄기는 한방에서 지혈제로 쓰고 말린 뿌리 줄기는 노란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주234)
아:사내아이의. 아[童子]+∅(속격 조사).
주235)
오좀:오줌[小便].
주236)
되:되를. 되[升]+-.
주237)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238)
홉이어든:홉이거든. 홉(合)+이-+-어든.
주239)
머구머시면:머금고 있으면. 머굼-[含]+-어#이시-+-면.
주240)
즉재:즉시[卽].
주241)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242)
:날것[生].
주243)
댓:대의. 대나무의. 대[竹]+-ㅅ.
주244)
거플:껍질[皮].
주245)
가:갉아. -+-아.
주246)
초애:초에. 초[苦酒]+-애.
주247)
고:담그고. -[浸]+-고.
주248)
사로:사람으로 하여금. 사[人]+-로.
주249)
바사:멋어. 밧-[解]+-아.
주250)
게:앉게. -[坐]+-게. 어간 ‘-’은 ‘앉-’의 팔종성표기임.
주251)
다:다른. 다-+-ㄴ.
주252)
사미:사람이. 사+-이. ‘人’이 ‘다 사’으로 번역됨.
주253)
머구미:머금어. 머굼-[含]+-어.
주254)
의:등에. [背]+-의(처소격 조사).
주255)
고:뿜고. -[噀]+-고.
주256)
고니:갌은 것. -+-오-+-ㄴ#이. ‘茹’가 ‘고니’로 번역됨.
주257)
디투:짙게. 진하게. 딭-[濃]+-우.
주258)
글힌:끓인. 글히-[煮]+-ㄴ.
주259)
즙에:즙에. 즙(汁)+-에.
주260)
소곰:소금[塩].
주261)
두디:두지. 두-[與]+-디.
주262)
머모:‘머모’는 ‘물(勿)’의 번역이다. 그런데 『구급방언해』상권에 동일 원문의 ‘물여염(勿與塩)’이 ‘소곰 주디 말오’〈66ㄱ〉로 번역되어 있다. 그리고 『구급간이방』권2에 ‘물견(勿見)’이 ‘뵈디 마오’〈70ㄱ〉로 번역되어 있다. 따라서 ‘머모’는 ‘마오’의 오각(五刻)이 틀림없다.
주263)
며:차며. -[寒]+-며.
주264)
더우믈:따뜻함을. 더우-[溫]+-움+-을.
주265)
맛게:맞게. 맛-+-게. 어간 ‘맛-’은 ‘맞-’의 팔종성표기임. ‘적(適)’이 ‘맛게 다’로 번역됨.
주266)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267)
지호:양치질하되. 지-[漱]+-오.
주268)
졈그록:저무도록. 졈그-[竟日]+-록. 어간 ‘졈그-’는 ‘졈글-’의 이형태임.
주269)
라:하라.
주270)
닛:이의. 니[牙齒]+-ㅅ(속격 조사).
주271)
사채:틈에. 샃[縫]+-애(처소격 조사).
주272)
믄득:갑자기[忽].
주273)
피:피가. 피[血]+∅(주격 조사).
주274)
나거든:나거든. 나-[出]+-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주275)
암촛 불휘와:승검초 뿌리와. 승검촛 불휘[當歸]+-와(접속조사).
주276)
계핏:계피의. 계피[桂]+-ㅅ.
주277)
솝:솝[心].
주278)
번:백반(白礬).
주279)
라:살라. -[燒]+-아(보조적 연결어미).
주280)
업게:없게. 업-+-게(보조적 연결어미).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 표기임.
주281)
니와:한 것과. -+-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 ‘令…盡’이 ‘업게 니’로 번역됨.
주282)
감초:감초(甘草).
주283)
과:냥을. (兩)+-과(접속조사)+-(대격 조사).
주284)
디허:찧어. 딯-[搗]+-어(보조적 연결어미).
주285)
굵게:굵게. 굵-[麁]+-게.
주286)
처:쳐. 츠-[羅]+-어.
주287)
세:세[三].
주288)
번에:번에. 번[度]+-에(처소격 조사).
주289)
화:나누어. 호-[分爲]+-아.
주290)
:쓰되. -[用]+-우(종속적 연결어미).
주291)
:쌀.
주292)
글힌:끓인. 글히-+-ㄴ(관형사형 어미).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주293)
되예:되+-에(처소격 조사). ‘-에’는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一大盞’이 ‘두 되’로 번역된다.
주294)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95)
되:되가. 되[盞]+∅(주격 조사).
주296)
외어든:되거든. 외-+-어든(종속적 연결어미). ‘-어든’은 ‘-거든’의 이형태로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주297)
즈:찌꺼기[滓].
주298)
앗고:제거하고. 앗-[去]+-고(대등적 연결어미).
주299)
더우닐:뜨거운 것을. 더우-+-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ㄹ(대격 조사). ‘熱’이 ‘더우니’로 번역됨.
주300)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301)
거든:차거든. -[冷]+-거든.
주302)
비와라:비왙-[吐]+-라(명령형 종결어미).
주303)
술:술[酒].
주304)
야:취하여. -[醉]+-야(보조적 연결어미). ‘-야’는 ‘-아’의 이형태임.
주305)
니예:이에. 니[牙齒]+-예(처소격 조사).
주306)
솟나거든:솟아나거든. 솟나-[涌出]+-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어간 ‘솟나-’는 ‘솟-[湧]#나[出]’의 비통사적 합성이다.
주307)
암촛 불휘:승검초 뿌리[當歸].
주308)
번:백반[礬石].
주309)
남니와:남짓한 것과. 남-+-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와. ‘육수(六銖)’가 ‘반 돈 남니’로 번역된다.
주310)
계핏: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주311)
솝과:속과. 솝[心]+-과.
주312)
셰:세신의. 셰신(細辛)+-ㅅ.
주313)
불휘와:뿌리와. 불휘+-와.
주314)
감초:감초(甘草).
주315)
사라:썰어. 사-[㕮咀]+-아.
주316)
:쌀.
주317)
글힌:끓인. 글히-+-ㄴ.
주318)
되예:되에. 되[升]+-예(처소격 조사). ‘-에’는 반모음 [y] 뒤에 쓰인다.
주319)
글혀:끓여. 글히-[煮]+-어(보조적 연결어미).
주320)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321)
머구모:머금되. 머굼-[含]+-오(종속적 연결어미).
주322)
나:낮에. 낮[日]+-(처소격 조사) ‘-’는 양성모음 뒤에 쓰인다.
주323)
다엿:대엿. 대여섯[五六].
주324)
바:밤에. 밤[夜]+-(처소격 조사).
주325)
세:세[三].
주326)
라:하라. -+-라(명령형 종결어미).
주327)
모:못을. 몯[釘]+-(대격 조사).
주328)
라:살라. -[燒]+-아.
주329)
븕거든:붉거든. 븕-[赤]+-거든.
주330)
피:피가. 피+∅(주격 조사).
주331)
나:나는. 나-+--(현재 시제 선어말어미)+-ㄴ.
주332)
굼긔:구멍에. [孔]+-의(처소격 조사). ‘-의’는 음성 모음 뒤에 쓰인다.
주333)
고면:꽂으면. 곶-[注]+-면(종속적 연결어미).
주334)
긋니라:그친다. 긋-[止]+--(현재 시제 선어말어미)+-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주335)
우히:위가. 우ㅎ[上]+-이.
주336)
두:두어[數]. 두#.
주337)
굼기:구멍이. [孔]+-이.
주338)
빈혓:비녀의. 빈혀[簪]+-ㅅ.
주339)
구무만:구멍만큼. 구무+-만.
주340)
코:하고. -+-고. ‘대(大)’가 ‘-만 다’로 번역된다.
주341)
나:나되. 나-[出]+-아.
주342)
:솟듯. -+-. ‘용천(湧泉)’이 ‘믈 다’로 번역된다.
주343)
소곰과:소금과. 소곰[戎塩]+-과(접속조사).
주344)
솝서근픐:속서근풀의. 솝서근풀+-ㅅ(속격 조사).
주345)
벽피와:황벽피와. 벽피[黃蘗]+-와.
주346)
대:대황(大黃)의. 대+-ㅅ.
주347)
심과:인삼(人參)과. 심[人蔘]+-과.
주348)
솝과:속과. 솝[心]+과.
주349)
과:냥을. (兩)+-과(접속조사)+-(대격 조사).
주350)
라:갈아. -[爲末]+-아.
주351)
레:꿀에. +-에.
주352)
라:말아. -+-아. ‘밀(蜜)’이 ‘레 다’로 번역된다.
주353)
머귀:오동나무[梧].
주354)
여름만:열매만큼. 여름[子]+-만.
주355)
케:하게. -+-게. ‘대(大)’가 ‘-만 다’로 번역된다.
주356)
비븨여:비비어. 비븨-[丸]+-여(보조적 연결어미).
주357)
글힌:끓인. 글히-+-ㄴ.
주358)
므레:물에. 믈+-에. ‘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된다.
주359)
환곰:환씩. 환(丸)+-곰.
주360)
머고:먹되. 먹-[服]+-오(종속적 연결어미).
주361)
:하루[日].
주362)
달와:달구어. 달오-[燒]+-아.
주363)
야:상열(上熱)하여. 샹-[熱塞]+-야.
주364)
혀애:혀에. 혀[舌]+-애.
주365)
나:나되. 나-[出]+-.
주366)
:솟듯. -+-. ‘천(泉)’이 ‘믈 다’로 번역된다.
주367)
우:오배자(五倍子). 한의학에 쓰이는 약재. 붉나무에 생긴 혹 모양의 벌레집. 타닌산이 들어 있어 기침, 설사, 출혈증의 약재로 쓰거나 잉크·염료 따위의 재료로 쓴다.
주368)
시스니와:씻은 것과. 싯+-은#이(의존 명사)+-와(접속조사). ‘세(洗)’가 ‘시스니’로 번역된다.
주369)
교과:백교향(白膠香)과. 교향(白膠香)+-과. 백교향은 단풍나무의 진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다. 지혈하는 작용이 있고, 종기나 피부병 따위에 쓴다.
주370)
굸죠개분과:굴조개분(粉)과. 굸조개분[牡蠣粉]+-과. 모려(牡蠣)는 굴조개의 말린 살로 성질은 차며 몽설(夢泄), 대하(帶下), 갈증, 도한(盜汗) 따위에 쓰인다.
주371)
게:같게. -[等]+-게.
주372)
화:나누어. 호-[分]+-아.
주373)
라:갈아. -[爲末]+-아.
주374)
젹젹:조금[少許].
주375)
:데에. [處]+-∅(처소격 조사). ‘환처(患處)’가 ‘피 나 데’로 번역된다.
주376)
고:바르고. -[摻]+-고(대등적 연결어미).
주377)
빈혀:비녀를. 빈혀[箆]+-.
주378)
달와:달구어. 달오-[燒]+아.
주379)
굼글:구멍을. [孔]+-을.
주380)
니기:익게. 닉-[熟]+-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381)
지지라:지져라. 지지-[烙]+-라.
주382)
혀예:혀에. 혀[舌]+-예(처소격 조사).
주383)
피:피가. 피[血]+∅.
주384)
나거든:나거든. 나-[出]+-거든.
주385)
회홧:홰나무의. 회화[槐]+-ㅅ.
주386)
고:꽃을. 곶[花]+-.
주387)
봇가:볶아. 볶-[炒]+-아.
주388)
라:갈아. -[爲末]+-아.
주389)
면:바르면. -[摻]+-면(종속적 연결어미).
주390)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