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12. 비뉵(鼻衂)
메뉴닫기 메뉴열기

12. 비뉵(鼻衂)


鼻衂

구급간이방언해 권2:92ㄱ

宜服和劑方四物湯加側栢煎服蘇合香圓冷水嚼下

고해 주001)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002)
피:
피가. 피+∅.
나 주003)
나:
나는. 나-+--+-ㄴ.
화졔 주004)
화졔방:
화제방(和劑方).
믈애 주005)
믈탕애:
사물탕에. 믈탕(四物湯)+애.
즉 주006)
즉:
측백(側栢)나무.
주007)
닙:
잎.
더드려 주008)
더드려:
더하여[加]. 더드리-[加]+-어.
달혀 주009)
달혀:
달여. 달히-[煎]+-어.
머그며 주010)
머그며:
먹으며. 먹-[服]+-으며.
소합원을 주011)
소합원을:
소합향원을.
므레 주012)
므레:
찬물에. -[冷]+-ㄴ#믈[水]+-에.
시버 주013)
시버:
씹어. 십-[嚼]+-어.
머고미 주014)
머고미:
먹음이. 먹-[下]+-옴+-이.
맛니라 주015)
맛당니라:
마땅하다. 맛당-[宜]+-니-+-라.

코에 피가 나는 병(病)
화제방 사물탕에 즉백나무 잎을 더하여 달여 먹으며 소합향원 주016)
소합향원(蘇合香圓):
사향(麝香), 주사(朱沙) 따위를 갈아서 빚어 만든 환약. 위장을 맑게 하고 정신을 상쾌하게 하는 데에 쓴다. ≒소합환(蘇合丸).
을 찬물에 씹어 먹음이 마땅하다.

鼻衂終日不止心神煩悶 故屛風紙燒灰細硏以溫酒調下一錢立止

고해 주017)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018)
피:
피가. 피+∅(주격 조사).
주019)
나:
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졈그록 주020)
졈그록:
저물도록. 졈그-(‘졈글-’의 이형태)[終日]+-록.
긋디 주021)
긋디:
그치지. 긋-[止]+-디.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아니야 주022)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


구급간이방언해 권2:92ㄴ

주023)
미:
마음이. [心神]+-이.
답답거든 주024)
답답거든:
답답하거든. 답답-[煩悶]+-거든.
 주025)
:
낡은. -[故]+-.
편앳 주026)
편앳:
병풍에 있는. 편풍[屛風]+-애+-ㅅ.
죠 주027)
죠:
종이를. 죠[紙]+-.
라 주028)
라:
살라. -[燒]+-아.
리 주029)
리:
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라 주030)
라:
갈아. -[硏]+-아.
 주031)
:
따뜻한. -[溫]+-ㄴ.
수레 주032)
수레:
술에. 술[酒]+-에.
 돈만 프러 주033)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034)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즉재 주035)
즉재:
즉시[立].
그츠리라 주036)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코에 피가 나 저물도록 그치지 아니하여 마음이 답답하거든 낡은 병풍에 있는 종이를 살라 가늘게 갈아 따뜻한 술에 한 돈만 풀어 먹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貝母二兩炮黃擣羅爲末以漿水  글힌 믈 調二錢服良久再服差

패모 주037)
패모:
패모(貝母).
주038)
두:
두[二].
을 주039)
을:
냥을. 량[兩]+-을.
죠예 주040)
죠예:
종이에. 죠+예(처소격 조사).
주041)
:
싸. -+-아.
저져 주042)
저져:
적시어. 저지-+-어. 어간 ‘저지-’는 ‘젖-+-이(사동 접사)’로 분석된다.
브레 주043)
브레:
불에. 블+-에(처소격 조사).
무더 주044)
무더:
묻어. 묻-+-어.
구워 주045)
구워:
구워. 구우-+-어. 어간 ‘구우-’는 ‘굽-’의 이형태임.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부더 굽다’로 번역된다.
누르거든 주046)
누르거든:
누르거든. 누르-[黃]+-거든.
디허 주047)
디허:
찧어. 딯-[擣]+-어.
주048)
처:
쳐. 츠-[羅]+-어.
 주049)
: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050)
:
쌀.
글힌 주051)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052)
므레:
물에. 믈+-에.
두 돈을 프러 주053)
프러:
풀어. 플-[調]+-어.
먹고 이야 주054)
이야:
한참 지나. 이-[良久] +-야.
다시 머그라 주055)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패모 두 냥을 종이에 싸 물에 적셔 불에 묻어 구워 누르거든 찧어 쳐 가루를 쌀 끓인 물에 두 돈을 풀어 먹고 한참 지나 다시 먹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93ㄱ

生乾地黃一兩細剉於銀器中以酒一中盞煎三五沸去滓頓服其血立止

디 주056)
디:
생지황의. 디(生地黃)+-ㅅ.
불휘 주057)
불휘:
뿌리.
외요니 주058)
외요니:
말린 것. 외-[乾]+-요-(의도법 선어말어미)+ㄴ#이.
 을 리 주059)
리:
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사라 주060)
사라:
썰어. 사-[剉]+-아.
은그르세 주061)
은그르세:
은그릇에. 은(銀)#그릇[器]+-에.
주062)
술:
술[酒].
주063)
닷:
다섯.
홉애 주064)
홉애:
홉에. 홉+-애. ‘일중잔(一中盞)’이 ‘닷 홉’으로 번역됨.
주065)
세:
세[三].
소솜이어나 주066)
소솜이어나:
솟음이가나. 소솜[沸]+-이어나. ‘소솜’은 ‘솟-+-옴’으로 분석된다.
다 주067)
다:
다섯[五].
소솜이어나 달혀 주068)
달혀:
달여. 달히-[煎]+-어.
즈 주069)
즈:
찌꺼기[滓].
앗고 주070)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믄득 주071)
믄득:
다[頓].
머그면 주072)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그 피 즉재 주073)
즉재:
즉시[立].
그츠리라 주074)
그츠리라:
그치리라. 긏-[止]+-으리-+-라.

생지황 뿌리 말린 것 한 냥을 가늘게 썰어 은그릇에 술 다섯 홉에 세 솟음이거나 다섯 솟음이거나 달여 찌꺼기 제거하고 다 먹으면 그 피가 즉시 그칠 것이다.

穀精草擣羅爲末以熱麫湯調下二錢

곡초 주075)
곡졍초:
곡정초를. 곡졍초(穀精草)+-.
디허 주076)
디허:
찧어. 딯-[擣]+-어.
주077)
처:
쳐. 츠-[羅]+-어.
 주078)
:
가루를. (‘’의 이형태)[末]+-.
밄 주079)
밄:
밀가루. 밀+-ㅅ#.
글힌 주080)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081)
므레:
물에. 믈+-에.

구급간이방언해 권2:93ㄴ

돈만 주082)
돈만:
몬만. 돈[錢]+-만.
프러 주083)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084)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곡정초를 찧어 쳐 가루를 밀가루 끓인 물에 두 돈만 풀어 먹으라.

生葛根  츩불휘 搗取汁每服一小盞三服卽止

주085)
:
날것[生].
츩불휘 주086)
츩불휘:
칡뿌리. 츩[葛]#불휘[根].
즛디허 주087)
즛디허:
짓찧어. 즛딯-[搗]+-어.
주088)
:
짠. +-오-+-ㄴ.
즙을 주089)
즙을:
즙을. 즙(汁)+-을.
주090)
서:
세[三].
홉곰 주091)
홉곰:
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된다.
주092)
세:
세[三].
머그면 주093)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즉재 주094)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095)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칡뿌리 날것 짓찧어 짠 즙을 세 홉씩 세 번 먹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黃明膠 누르고  갓플 洋如稠餳塗帛上貼額上立止

누르고 주096)
누르고:
누르고. 누르-[黃]+-고.
 주097)
:
맑은. -[明]+-.
갓플을 주098)
갓플을:
갖풀을. 아교를. 갓플[膠]+-을.
노겨 주099)
노겨:
녹여. 노기-+-어.
특특한 주100)
특특:
빽빽한. 특특-[稠]+-ㄴ.
주101)
엿:
엿[餳].
거든 주102)
거든:
같거든. -[如]+-거든.
헌것 주103)
헌것:
헝겊[帛].
우희 주104)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라 주105)
라:
발라 . ㄹ-(‘-’의 이형태)[塗]-+-아.
니마 주106)
니마:
이마[額].
우희 주107)
우희:
위에. 우ㅎ[上]+-의.
브티면 주108)
브티면:
붙이면. 브티-[貼]+-면.
즉재 주109)
즉재:
즉시[立].

구급간이방언해 권2:94ㄱ

그츠리라 주110)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누르고 맑은 아교를 녹여 뻑뻑한 엿 같거든 헝겊 위에 발라 이마 위에 붙이면 즉시 그칠 것이다.

桑木耳 남긧 버슷 熬令燋搗羅爲末撮如杏仁大緜裹塞鼻中數過卽止

남긧 주111)
남긧:
뽕나무의. 뽕나무에 있는. [桑]#남긔[木]+-의+-ㅅ.
버스슬 주112)
버스슬:
버섯을. 버슷[耳]+-을(대격 조사).
봇가 주113)
봇가:
볶아. -[熬]+-아.
게 주114)
게:
마르게. -[燋]+-게.
야 주115)
야:
하여.
디허 주116)
디허:
찧어. 딯-[搗]+-어.
주117)
처:
쳐. 츠-[羅]+-어.
 고만 주118)
고만:
살구씨만큼. 고[杏]#[仁]+-만.
지버 주119)
지버:
집어. 집-[撮]+-어.
소옴애 주120)
소옴애:
솜에. 소옴[緜]+-애.
주121)
:
싸. -[裹]+-아.
곳굼긔 주122)
곳굼긔:
콧구멍에. 고ㅎ[鼻]+-ㅅ(속격 조사)#+-의(처소격 조사).
마고 주123)
마고:
막되. 막-[塞]+-오.
두 주124)
두:
두어[數].
번만 면 즉재 주125)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126)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뽕나무에 있는 버섯을 볶아 마르게 하여 찧어 쳐 가루를 살구씨만큼 집어 솜에 싸 콧구멍에 막되 두어 번만 하면 즉시 그칠 것이다.

石榴花 셕륫 곳 搗末吹鼻內效

셕륫 주127)
셕륫:
석류의. 셕류(石榴)+-ㅅ.
고 주128)
고:
꽃을. 곶[花]+-.
디허 주129)
디허:
찧어. 딯-[搗]+-어.
 주130)
: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131)
고:
코[鼻].
안해 주132)
안해:
안에. 안ㅎ-[內]+-애.
불면 됴리

구급간이방언해 권2:94ㄴ

주133)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석류 꽃을 찧어 가루를 코 안에 불면 나을 것이다.

蒼耳 됫고마리 莖葉擣絞取汁每服一小盞頻服效

됫고마리 주134)
됫고마리:
도꼬마리[蒼耳].
줄기와 주135)
줄기와:
줄기와. 줄기[莖]+-와.
닙과 주136)
닙과:
잎과. 닙[葉]+-과.
디허 주137)
디허:
찧어. 딯-[擣]+-어.
주138)
:
짠. -[絞]+-오-+-ㄴ.
즙을 주139)
즙을:
즙을. 즙(汁)+-을.
주140)
서:
세.
홉곰 주141)
홉곰:
홉씩.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머고 주142)
머고:
먹되. 먹-[服]+-오.
조 주143)
조:
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머그면 주144)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145)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도꼬마리 줄기와 잎을 찧어 짠 즙을 세 홉씩 먹되 자주 먹으면 나을 것이다.

鼻衂日夜不止面無顔色昏悶 亂髮灰 머리터리 론  半兩 伏龍肝 가마 믿 마촘 아랫  一兩 相和細硏令勻以新汲水  기론 믈 調三錢服之

구급간이방언해 권2:95ㄱ

고해 주146)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147)
피:
피가. 피+∅(주격 조사).
주148)
나:
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밤나지 주149)
밤나지:
밤낮이. 밤[日]#낮[夜]+-이.
긋디 주150)
긋디:
그치지. 긋[止]-+-디.
아니야 주151)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
비치 주152)
비치:
낯빛이. 낫[顔]#빛[色]+-이.
업고 주153)
업고:
없고. 업-(‘없-’의 이형태)[無]+-고.
답답거든 주154)
답답거든:
답답하거든. 답답-[昏悶]+-거든.
머리터리 주155)
머리터리:
머리털[髮].
론 주156)
론:
사른. -+-오-+-ㄴ.
주157)
:
재[灰].
반 과 가마 믿 마촘 주158)
마촘:
볼록한 곳.
아랫 주159)
아랫:
아래+-ㅅ.
주160)
:
흙.
과 주161)
과:
냥과를. (兩)+-과+-.
섯거 주162)
섯거:
섞어. -[和]+-어.
리 주163)
리:
가늘게. -[細]+-이.
라 주164)
라:
갈아. -[硏]+-아.
고게 주165)
고게:
고르게. 고-[勻]+-게.
야 주166)
야:
하여. -+-야.
주167)
:
갓[新].
기론 주168)
기론:
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므레 주169)
므레:
물에. 믈[水]+-에.
주170)
서:
서[三].
돈을 프러 주171)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172)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코에 피가 나 밤낮 그치지 아니하여 낯빛이 없고 답답하거든 머리털 사른 재 반 냥과 가마 밑 볼록한 곳 아래의 흙 한 냥을 섞어 가늘게 갈아 고르게 하여 갓 길은 물에 서 돈을 풀어 먹으라.

生地黃汁 一升 白蜜   半兩 蒲黃 부플마치 우희 누른  一兩 相和微暖過每服一小盞頻服之差

디 주173)
디:
생지황의. 디황(生地黃)+-ㅅ.
불휘 주174)
불휘:
뿌리.
주175)
:
짠. -+-오-+-ㄴ.
주176)
:
한[一].
되와 주177)
되와:
되와. 되[升]+-와.
주178)
:
흰. -[白]+-ㄴ.
주179)
:
꿀[蜜].
주180)
반:
반[半].
과 주181)
과:
냥과. (兩)+-과.

구급간이방언해 권2:95ㄴ

들마치
주182)
부들마치:
부들의 꽃.
우희 주183)
우희:
위의. 우ㅎ+-의.
누른 주184)
누른:
누른. 누르-+-ㄴ.
 주185)
:
가루.
 과 섯거 주186)
섯거:
섞어. -[和]+-어.
져기 주187)
져기:
조금[微].
덥게 주188)
덥게:
덥게[暖].
야 주189)
야:
하여. -+-야.
홉곰 주190)
홉곰:
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머고 주191)
머고:
먹되. 먹-[服]+-오.
조 주192)
조:
자주[頻].
머그면 주193)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19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생지황 뿌리 짠 즙 한 되와 흰 꿀 반 냥과 부들의 꽃 위의 누른 가루 한 냥을 섞어 조금 덥게 하여 세 홉씩 먹되 자주 먹으면 나을 것이다.

鼻衂日夜過不止眩冒欲死 靑箱草  만라미 不限多少細剉擣硏絞取汁一兩合少少灌入鼻中差

고해 주195)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196)
피:
피가. 피+∅(주격 조사).
주197)
나:
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밤나지 주198)
밤나지:
밤낮이. 밤[日]#낮[夜]+-이.
긋디 주199)
긋디:
그치디. 긋-[止]+-디.
아니야 주200)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
어즐고 주201)
어즐고:
어질어질하고. 어즐-[眩冒]+-고.
주글 주202)
주글:
죽을. 죽-[死]+-을.
거든 주203)
거든:
듯하거든. -+-거든.
주204)
:
흰. -+-ㄴ.
만라미 주205)
만라미:
맨드라미를. 만라미+-.
하나 주206)
하나:
많으나. 하[多]+-나.
져그나 주207)
져그나:
적으나. 젹-[少]+-으나.

구급간이방언해 권2:96ㄱ

리 주208)
리:
가늘게. -[細]+-이.
사라 주209)
사라:
썰어. 사-[剉]+-아.
디허 주210)
디허:
찧어. 딯-[擣]+-어.
라 주211)
라:
갈아. -[硏]+-아.
주212)
:
짠. -[絞]+-오-+-ㄴ.
주213)
즙:
즙(汁).
주214)
:
한[一].
홉이나 주215)
홉이나:
홉이나. 홉(合)+-이나.
주216)
두:
두[兩].
홉이나 젹젹 주217)
젹젹:
조금[少少].
고해 주218)
고해:
코에. 고ㅎ[鼻中]+-애.
브 주219)
브:
부어. -[灌]+-어.
들에 면 주220)
들에 면:
들게 하면. 들-+-에#-+-면. ‘入’이 ‘들에 다’로 번역됨.
됴리라 주221)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코에 피가 나 밤낮 그치지 아니하여 어질어질하고 죽을 듯하거든 흰 맨드라미를 많으나 적으나 가늘게 썰어 찧어 갈아 짠 즙 한 홉이나 두 홉이나 조금 코에 부어 들게 하면 나을 것이다.

乾薑   削如蓮子大塞鼻中卽止

 주222)
:
마른. -[乾]+-ㄴ.
을 주223)
을:
생강을. [薑]+-을.
갓가 주224)
갓가:
깎아. -[削]+-아.
년만 주225)
년만:
연자(蓮子)만큼. 연밥만큼. 년(蓮子)+-만.
주226)
케:
하게. -+-게.
야 주227)
야:
하여. -+-야.
곳굼글 주228)
곳굼글:
콧구멍을. 고[鼻]+-ㅅ#[中]+-을.
마그면 주229)
마그면:
막으면. 막[塞]-+-으면.
즉재 주230)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231)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마른 생강을 깎아 연자(蓮子)만큼 하게 하여 콧구멍을 막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鼻衂累醫不止 栗穀 밤이 五兩燒灰硏爲末每服二錢以粥飮調服之差

구급간이방언해 권2:96ㄴ

고해 주232)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233)
나:
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어’).
여러 가지로 주234)
가지로:
가지로. 가지+-로(도구격 조사).
고툐 주235)
고툐:
고치되. 고티-[醫]+-오.
긋디 주236)
긋디:
그치지. 긋-[止]+-디.
아니커든 주237)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밤이 주238)
밤이:
밤송이. 밤[栗]#이[穀].
주239)
닷:
다섯. 닷[五].
을 라 주240)
라:
살라. -[燒]+-아.
 주241)
:
재를. [灰]+-.
라 주242)
라:
갈아. -[硏]+-아.
돈곰 주243)
돈곰:
돈씩. 돈[錢]+-곰.
쥭므레 주244)
쥭므레:
죽물에. 쥭(粥)#믈[飮]+-에.
프러 주245)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246)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247)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코에 피가 나 여러 가지로 고치되 그치지 아니하거든 밤송이 닷 냥을 살라 재를 갈아 두 돈씩 죽물에 풀어 먹으면 나을 것이다.

大衂口耳皆出血不止 蒲黃 주248)
포황(蒲黃):
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지혈제로 쓴다.
부들마치 우희 누른  一兩細硏爲散每服以冷水調下一錢卽差

고해 주249)
고해:
코에. 고ㅎ+-애.
주250)
피:
피가. 피+∅(주격 조사).
 주251)
:
매우. 많이.
주252)
나:
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입과 주253)
입과:
입과. 입[口]+-과.
귀예 주254)
귀예:
귀에. 귀[耳]+-예.
주255)
나:
나. 나-[出]+-∅(보조적 연결어미 ‘-아’).
긋디 주256)
긋디:
그치디. 긋-[止]+-디.
아니커든 주257)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부들마치 주258)
부들마치:
부들꽃.
우희 주259)
우희:
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누른   을 리 주260)
리:
가늘게[細]. -[細]+-이.
라 주261)
라:
갈아. -[硏]+-아.
므레 주262)
므레:
찬물에. -[冷]+-ㄴ#믈[水]+-에.
돈곰 주263)
돈곰:
돈씩. 돈[錢]+-곰.
프러 주264)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265)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구급간이방언해 권2:97ㄱ

주266)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267)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코에 피가 많이 나 입과 귀에 다 나 그치지 아니하거든 부들의 꽃 위의 누른 가루 한 냥을 가늘게 갈아 찬물에 한 돈씩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斷弓絃 그츤 활시울 一分燒灰 白礬 一分燒灰細 硏爲散以二豆大許吹入鼻中差

그츤 주268)
그츤:
끊긴. 끊어진. 긏-[斷]-+-은.
활시울 주269)
활시울:
활시울[弓絃].
두 돈 반 론 주270)
론:
사른. -[燒]+-오-+ㄴ.
와 주271)
와:
재와. [灰]+-와.
번 주272)
번:
백반(白礬).
두 돈 반 론 와 주273)
와:
재를. [灰]+-와+-.
리 주274)
리:
가늘게. -[細]+-이.
라 주275)
라:
갈아. -[硏]+-아.
두  낫만 주276)
낫만:
낱만큼.
케 야 고해 주277)
고해:
코에. 고ㅎ[鼻中]+-애.
불면 주278)
불면:
불면. 불-[吹]+-면.
됴리라 주279)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끊긴 활시울 두 돈 반 사른 재와 백반 두 돈 반 사른 재를 가늘게 갈아 두 콩 낱만큼 하게 하여 코에 불면 나을 것이다.

鼻衂不止欲死 車前子末 뵈이  론  牛耳中垢  귀 안해  等分和成挺子塞鼻中立止

구급간이방언해 권2:97ㄴ

고해 주280)
고해:
코에. 고ㅎ[鼻]+-애(처소격 조사).
피 나 긋디 아니야 주글 거든 뵈이  주281)
뵈이:
질경이씨[車前子].
론 주282)
론:
간. -+-오-+-ㄴ.
와 주283)
와:
가루와. [末]+-와.
 귀 주284)
귀:
소의 귀. 쇼[牛]+-(속격 조사).
안해 주285)
안해:
안에. 안ㅎ[中]+-애.
와 주286)
와:
때를. [垢]+-와+-.
게 주287)
게:
같게. -[等]+-게.
화 주288)
화:
나누어. 호-[分]+-아.
섯거 주289)
섯거:
섞어. -[和]+-어.
주290)
:
지레. 지렛대[梃子].
지 주291)
지:
만들어. -[成]+-어.
고해 주292)
고해:
코에. 고ㅎ[鼻]+-애.
마그면 주293)
마그면:
막으면. 막-[塞]+-으면.
즉재 주294)
즉재:
즉시[立].
그츠리라 주295)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코에 피가 나 그치지 아니하여 죽을 듯하거든 질경이 간 가루와 소귀 안의 때를 같게 나누어 섞어 지렛대 만들어 코에 막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鼻出血不止擣楮葉汁 닥 닙 디허  즙 飮三升大良

고해 주296)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297)
피:
피가. 피[血]+∅(주격 조사).
주298)
나:
나. 나-[出]+∅(보조적 연결어미).
긋디 주299)
긋디:
그치지. 긋-[止]+-디.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아니커든 주300)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닥나모 주301)
닥나모:
닥나무[楮]. 닥#나모.
니플 주302)
니플:
잎을. 닢[葉]+-을.
디허 주303)
디허:
찧어. 딯-[擣]+-어.
주304)
:
짜. -+-아.
되 주305)
되:
되를. 되[升]+-.
머고미 주306)
머고미:
먹음이. 먹-[飮]+-옴+-이.
 주307)
:
아주. 매우[大].
됴니라 주308)
됴니라:
좋다. 둏-[良]+-니-+-라.

코에 피가 나 그치지 아니하거든 닥나무 잎을 찧어 즙(汁) 짜 석 되를 먹음이 아주 좋다.

張弓令弦向上病兒仰臥枕弦放四體如常

구급간이방언해 권2:98ㄱ

臥法

화 주309)
화:
활을. 활[弓]+-.
지허 주310)
지허:
매어. 짛-[張]+-어.
시우를 주311)
시우를:
시위를. 시울[弦]+-을.
우흐로 주312)
우흐로:
위로. 우ㅎ[上]+-으로.
오게 주313)
오게:
오르게. 오-[向]+-게.
고  주314)
:
병을 앓는. -[病]+-ㄴ.
사미 주315)
사미:
사람이. 사+-이.
졋바누어 주316)
졋바누어:
젖혀 누워. 졋바누-[仰臥]+-어. 어간 ‘졋바누-’는 ‘졋바눕-’의 이형태임.
시우를 주317)
시우를:
시위를. 시울[弦]+-을.
볘오 주318)
볘오:
베고. 볘-[枕]+-오.
활기 주319)
활기:
활개[體].
리고 주320)
리고:
버리고. 리-+-고. ‘방(放)’이 ‘펴 리다’로 번역됨.
녜 주321)
녜:
늘[常].
눕시 주322)
눕시:
눕듯이. 눕-[臥]+-시[如].
라

활을 매어 시위를 위로 오르게 하고 병을 앓은 사람이 젖혀 누워 시위를 베고 네 활개 펴 버리고 늘 눕듯이 하라.

鼻卒衂 釜底墨 가마 미틧 거믜 細硏以少許吹鼻中卽止

고해 주323)
고해:
코에. 고ㅎ-[鼻]+-애.
과이 주324)
과이:
갑자기[卒].
주325)
피:
피가. 피+∅.
나거든 주326)
나거든:
나거든. 나-+-거든.
가마 주327)
가마:
가마[釜].
미틧 주328)
미틧:
밑에 있는. 밑[底]+-의+-ㅅ.
거믜을 주329)
거믜을:
검댕을. 거믜[墨]+-을.
리 주330)
리:
가늘게[細].
라 주331)
라:
갈아. -[硏]+-아.
져고매 주332)
져고매:
조금[少許].
고해 주333)
고해:
코에. 고ㅎ[鼻]+-애.
불면 주334)
불면:
불면. 불-[吹]+-면.
즉재 주335)
즉재:
즉시[卽].

구급간이방언해 권2:98ㄴ

츠리라
주336)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코에 갑자기 피가 나거든 가마 밑에 있는 검댕을 가늘게 갈아 조금 코에 불면 즉시 그칠 것이다.

蝟皮 고솜도 갓 一枚燒爲灰細硏每用半錢緜裹內鼻中數易之差

고솜도 주337)
고솜도:
고슴도치의. 고솜돝[蝟]+-.
주338)
갓:
가죽[皮].
나 주339)
나:
낱을. 낯[枚]+-.
라 주340)
라:
살라. -[燒]+-아.
주341)
:
재가. [灰]+-∅.
외어든 주342)
외어든:
되거든. 외-[爲]+-어든.
리 주343)
리:
가늘게[細].
라 주344)
라:
갈아. -[硏]+-아.
돈곰 주345)
돈곰:
돈씩. 돈[錢]+-곰.
소옴애 주346)
소옴애:
솜에. 소옴[緜]+-애.
주347)
:
싸. -[裹]+-아.
곳굼긔 주348)
곳굼긔:
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은 ‘구무’의 이형태임.
녀호 주349)
녀호:
넣되. 녛-[內]+-오.
조 주350)
조:
자주[數].
면 주351)
면:
갈면. 바꾸면. -[易]+-면.
됴리라 주352)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고슴도치의 가죽 한 낱을 살라 재가 되거든 가늘게 갈아 반 돈씩 솜에 싸 콧구멍에 넣되 자주 갈면 나을 것이다.

赤馬通 졀다  以緜裹如棗大塞鼻中新舊者悉可用若大衂者以水絞取汁飮一二升無

구급간이방언해 권2:99ㄱ

新者以水漬乾者用之

졀다 주353)
졀다:
절따말[赤馬].
을 주354)
을:
똥을. [通]+-을.
소옴애 주355)
소옴애:
솜에. 소옴[緜]+-애.
주356)
:
싸. -[裹]+-아.
대초만 주357)
대초만:
대추만큼. 대초[棗]+-만.
주358)
케:
하게.
야 주359)
야:
하여.
곳굼글 주360)
곳굼글:
콧구멍을. 고[鼻]+-ㅅ#[中]+-을.
마그라 주361)
마그라:
막으라. 막-[塞]+-으라.
주362)
새:
새[新].
이나 주363)
이나:
똥이나. +-이나.
오란 주364)
오란:
오랜. 오래 된. 오라-[舊]+-ㄴ.
이나 주365)
다:
다[悉].
라 주366)
라:
쓰라. -[用]+-라.
 피 만히 주367)
만히:
많이[大].
나니란 주368)
나니란:
나는 이는. 나-+--+-ㄴ#이[者]+-란.
조쳐 주369)
조쳐:
합쳐. 조치-+-어.
주370)
:
짜. -[絞]+-아.
즙을 주371)
즙을:
즙을. 즙(汁)+-을.
되나 주372)
되나:
되나. 되[升]+-나.
두 되나 머고 주373)
머고:
먹되. 먹-[飮]+-오.
새옷 주374)
새옷:
새것이. 새[新者]+-옷.
업거든 주375)
업거든:
없거든. 업-[無]+-거든.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표기임.
니 주376)
니:
마른 것을. -[乾]+-ㄴ#이[者]+-.
므레 주377)
므레:
물에. 믈[水]+-에.
저져 주378)
저져:
적시어. 저지-[漬]+-어.
라 주379)
라:
쓰라. -[用]+-라.

절따말 똥을 솜에 싸 대추만큼 하게 하여 콧구멍을 막으라. 새 똥이나 오래 된 똥이나 다 쓰라. 또 피가 많이 나는 이는 물 합쳐 짜 즙을 한 되나 두 되나 먹되 새것이 없거든 마른 것을 물에 적시어 쓰라.

熟艾 디흔  二彈子大 牛皮膠  갓플 주380)
갓플:
쇠갖풀[牛皮膠].
一兩炙黃燥
以煎了豉汁一大盞同煎至七分去滓不計時候分溫

구급간이방언해 권2:99ㄴ

二服

디흔 주381)
디흔:
찧은. 딯-+-은.
주382)
:
쑥[艾].
주383)
두:
두[二].
탄만치와 주384)
탄만치와:
틴자만큼과. 탄(彈子)+-만치+-와.
주385)
:
소의. 쇼[牛]+-.
갓플 주386)
갓플:
갖풀. 갓[皮]#플[膠].
  누르게 봇그니와 주387)
봇그니와:
볶은 것을.
달힌 주388)
달힌:
달인. 달히-[煎]+-ㄴ.
젼국 주389)
젼국:
약전국[豉].
즙  되예 주390)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391)
달혀:
달여. 달히-[煎]+-어.
남거든 주392)
남거든:
남짓하거든. 남-+-거든. ‘지칠분(至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즈 주393)
즈:
찌꺼기[滓].
앗고 주394)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니 주395)
니:
때[時候].
혜디 주396)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397)
마오:
말고. 마-[不]+-오.
닐 주398)
닐:
따뜻한 것을. -+-ㄴ#이+-ㄹ. ‘溫’이 ‘니’로 번역됨.
화 주399)
화:
나누어. 호-[分]+-아.
두 번에 머그라 주400)
머그라:
먹-[服]+-으라.

찧은 쑥 두 탄자만큼과 소의 갖풀 한 냥 누르게 볶은 것을 달인 약전국 즙(汁) 한 되에 달여 반 남짓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때 헤아리지 말고 따뜻한 것을 나누어 두 번 먹으라.

白芨 주401)
백급(白芨):
자란(紫蘭)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피를 멎게 하므로 주로 외상에 바르거나 위궤양에 먹는다.
대왐픐 불휘 不拘多少爲末冷水調用紙花貼鼻窊中

대왐픐 주402)
대왐픐:
대왐풀의. 대왐플+-ㅅ.
불휘 주403)
불휘:
뿌리를. 불휘+-.
하나 주404)
하나:
많으나. 하-[多]+-나.
져그나 주405)
져그나:
적으나. 젹-[少]+-으나.
라 주406)
라:
갈아. -[爲末]+-아.
 므레 주407)
므레:
찬물에. -[冷]+-ㄴ#믈[水]+-에.

구급간이방언해 권2:100ㄱ

(프러) 주408)
프러:
풀어. 플-[調]+-어.
죠예 주409)
죠예:
종이에. 죠[紙]+-예.
라 주410)
라:
발라. ㄹ-(‘-’의 이형태)+-아.
주411)
곳:
코의. 고[鼻]+-ㅅ.
오목 주412)
오목:
오목한. 오목-[窊]+-ㄴ.
주413)
:
데. +∅(처소격 조사). ‘와중(窊中)’이 ‘오목 ’로 번역됨.
브티라 주414)
브티라:
붙이라. 브티-[貼]+-라. 어간 ‘브티-’는 ‘븥-+-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대왐풀의 뿌리를 많으나 적으나 갈아 찬물에 〈풀어〉 종이에 발라 코의 오목한 데 붙이라.

蘿蔔汁 댓무 즙 或藕汁  즙 滴鼻中

댓무 주415)
댓무:
무[蘿蔔].
즛두드려 주416)
즛두드려:
짓두드려. 즛두두리-+-어.
주417)
:
짠. -+-오-+-ㄴ.
즙이나  주418)
:
연근(蓮根). 연뿌리[藕].
즛두드려  즙이나 곳굼긔 주419)
곳굼긔:
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처디라 주420)
처디라:
떨어뜨리라. 처디-[滴]+-라.

무 짓두드려 짠 즙(汁)이나 연근(蓮根) 짓두드려 짠 즙이나 콧구멍에 떨어뜨리라.

(舊)麻油燈盞合在頂心用物繫定少時卽住

오란 주421)
오란:
오랜. 오래된. 오라-[舊]+-ㄴ.
기름으로 주422)
기름으로:
참기름으로. 기름[麻油]+-으로.
혀던 주423)
혀던:
켜던. 혀-+-더-+-ㄴ.
잔을 주424)
잔을:
등잔을. 잔(燈盞)+-을.
머릿 주425)
머릿:
머리의. 머리+-ㅅ.
바기예 주426)
바기예:
정수리에. 바기[頂心]+-예.
업고 주427)
업고:
엎고. 업-[合]+-고. 어간 ‘업-’은 ‘엎-’의 팔종성표기임.
아못 주428)
아못:
아무.
거스뢰나 주429)
거스뢰나:
것으로나. 것+-으뢰나. ‘물(物)’이 ‘아못 것’으로 번역됨.
야 주430)
야:
매어. -[繫]+-야.
둣다가 주431)
둣다가:
두고 있다가. 두-#잇-+-다가.
이고 주432)
이고:
잠깐. 잠시[少時].
말라 주433)
말라:
말라. 말-[住]+-라.

오래 된 참기름으로 켜던 등잔(燈盞)을 머리의 정수리에 엎고 아무 것으로나 매어 두고 있다가 잠깐 말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00ㄴ

硏大蒜 마 脚心塗卽止

굴근 주434)
굴근:
굵은. 굵-[大]+-은.
마 주435)
마:
마늘을. 마[蒜]+-.
라 주436)
라:
갈아. -[硏]+-아.
밧바애 주437)
밧바애:
발바당에. 발[脚]+-ㅅ#바[心]+-애. ‘밠바’의 자음 ‘ㄹ’이 탈락하면 ‘밧바’이 된다.
면 주438)
면:
바르면. -[塗]+-면.
즉재 주439)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440)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굵은 마늘을 갈아 발바닥에 바르면 즉시 그칠 것이다.

舊竈門上黃泥 브 니마 우흿 누른  爲末米飮調服立效

오란 주441)
오란:
오랜. 오래된. 오라-[舊]+-ㄴ.
브 주442)
브:
부엌[竈].
니마 주443)
니마:
문(門).
우흿 주444)
우흿:
위에 있는. 우ㅎ[上]+-의+-ㅅ.
누른 주445)
누른:
누른. 누르-[黃]+-ㄴ.
 주446)
:
흙을. [泥]+-.
라 주447)
라:
갈아. -[爲末]+-아.
주448)
:
쌀[米].
글힌 주449)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450)
므레:
물에. 믈+-에. ‘미음(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됨.
프러 주451)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452)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즉재 주453)
즉재:
즉시[立].
됴리라 주45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오래된 부엌 문(門) 위에 있는 누른 흙을 갈아 쌀 끓인 물에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葱白 팟 믿   一握擣取汁入酒少許調滴鼻中

구급간이방언해 권2:101ㄱ

주455)
팟:
파의. 파[葱]+-ㅅ.
믿 주456)
믿:
밑.
주457)
:
흰. -+-ㄴ.
주458)
:
데. ‘백(白)’이 ‘ ’로 번역됨.
주459)
:
한[一].
주460)
줌:
줌[握].
디허 주461)
디허:
찧어. 딯-[擣]+-어.
주462)
:
짠. -+-오-+-ㄴ.
즙에 주463)
술:
술[酒].
져고매 주464)
져고매:
조금[少許].
녀허 주465)
녀허:
넣어. 녛-[入]+-어.
프러 주466)
프러:
풀어. 플-[調]+-어.
곳굼긔 주467)
곳굼긔:
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처디라 주468)
처디라:
떨어뜨리라. 처디-[滴]+-라.

파의 밑 흰 데 한 줌 찧어 짠 즙에 술 조금 넣어 풀어 콧구멍에 떨어뜨리라.

苔蘇 納鼻中

잇글 주469)
잇글:
이끼를. [苔蘇]+-을.
고해 주470)
고해:
코에. 고ㅎ[鼻]+-애.
녀흐라 주471)
녀흐라:
넣으라. 녛-[納]+-으라.

이끼를 코에 넣으라.

自刮指爪屑搐之

주472)
제:
제. 자기[自].
손톱 주473)
손톱:
손톱[指爪].
곤 주474)
곤:
갉은. -[刮]+-오-+-ㄴ.
 주475)
:
가루를. (‘’의 이형태)[屑]+-.
불라 주476)
불라:
불라. 불-[搐]+-라.

제 손톱 갉은 가루를 불라.

用紙蘸水貼項上

죠 주477)
죠:
종이를. 죠[紙]+-.
주478)
믈:
물[水].
저져 주479)
저져:
적시어. 저지-[蘸]+-어.
주480)
목:
목[項].
우희 주481)
우희:
위에. 우ㅎ[上]+-의.
브티라 주482)
브티라:
붙이라. 브티-[貼]+-라.

종이를 물 적시어 목 위에 붙이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01ㄴ

椶櫚燒灰隨左右鼻搐之

녀 주483)
녀:
종려(椶櫚).
론 주484)
론:
사른. -[燒]+-오-+-ㄴ.
 주485)
:
재를. [灰]+-.
주486)
피:
피가. 피+∅.
나 주487)
나:
나는. 나-+--+-ㄴ.
주488)
녁:
녘. 쪽. ‘수좌우(隨左右)’가 ‘피 나 녁’으로 번역뫼.
곳굼긔 주489)
곳굼긔:
콧구멍에. 고+-ㅅ#+-의. ‘비(鼻)’가 ‘곳구무’로 번역됨.
불라 주490)
불라:
불라. 불-[搐]+-라.

종려(椶櫚) 사른 재를 피 나는 쪽 콧구멍에 불라.

隨衂左右以新汲水  기론 믈 洗足

고해 주491)
고해:
코에. 고ㅎ+-애.
주492)
피:
피가. 피+∅.
나 주493)
나:
나는. 나-+--+-ㄴ.
주494)
녁:
녘. 쪽.
바 주495)
바:
발을. 발[足]+-.
주496)
:
갓[新].
기론 주497)
기론:
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믈로 주498)
믈로:
물로. 믈[水]+-로[以].
시스라 주499)
시스라:
씻으라. 싯-[洗]+-으라.

코에 피가 나는 쪽 발을 갓 길은 물로 씻으라.

山梔子 햐 지지  一介用竹刀破作兩邊一邊用濕紙裹煨令熟却用一邊生者同硏爛如泥以酒調服

햐 주500)
햐:
작은. 햑-+-.
지지 주501)
지지:
치자나무[梔].
주502)
:
씨[子].
주503)
:
한[一].
나 주504)
나:
낱을. 낯[介]+-.
주505)
대:
대. 대나무[竹].
갈로 주506)
갈로:
칼로. 갈[刀]+-로.
주507)
두:
두[兩].
애 혀 주508)
혀:
깨뜨려. 혀-[破作]+∅(보조적 연결어미 ‘-어).

구급간이방언해 권2:102ㄱ

주509)
:
한[一].
으란 주510)
으란:
쪽은. [邊]+-으람.
저즌 주511)
저즌:
젖은. 적-[濕]+-은.
죠예 주512)
죠예:
종이에. 죠[紙]+-예.
주513)
:
싸. -[裹]+-아.
구어 주514)
구어:
구워. -[煨]+-어〉구〉구워〉구어.
닉게 주515)
닉게:
익게. 닉-[熟]+-게.
고 주516)
고:
하고. -+-고.
으란 주517)
으란:
쪽은. [邊]+-으란.
 주518)
:
날것을. [生者]+-.
 주519)
:
함께[同].
므르 주520)
므르:
무르게. 문드러지게. 상태동사 ‘므르다’에서 파생된 부사로 ‘므르-[爛]+∅’로 분석될 수 있다.
라 주521)
라:
갈아. -[硏]+-아.
수레 주522)
수레:
술에. 술[酒]+-에.
프러 주523)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524)
머그라:
먹으라.

작은 치자나무 씨 한 낱을 대나무 칼로 두 쪽에 깨뜨려 한 쪽은 젖은 종이에 싸 구워 익게 하고 한 쪽은 날것을 함께 무르게 갈아 술에 풀어 먹으라.

赤馬糞 졀다  燒灰細末溫酒調下一錢

졀다 주525)
졀다:
절따말. 붉은 빛깔의 말[赤馬].
주526)
:
똥[糞].
론 주527)
론:
사른. -[燒]+-오-+-ㄴ.
 주528)
:
재를. [灰]+-.
리 주529)
리:
가늘게. -[細]+-이.
라 주530)
라:
갈아. -[末]+-아.
 주531)
:
따뜻한. -[溫]+-ㄴ.
수레 주532)
수레:
술에. 술[酒]+-에.
주533)
:
한[一].
돈을 주534)
돈을:
돈을. 돈[錢]+-을.
프러 주535)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536)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절따말 똥 사른 재를 가늘게 갈아 따뜻한 술에 한 돈을 풀어 먹으라.

龍骨 의  爲末以筆管吹半錢鼻中

의 주537)
의:
용의. (龍)+-의.
 주538)
:
뼈를. [骨]+-.
라 주539)
라:
갈아. -[爲末]+-아.
붇으로 주540)
붇으로:
붓자루로. 붇[筆管]+-으로[以]. 명사 ‘’은 ‘’의 이형태임.
주541)
반:
반(半).
돈을 주542)
돈을:
돈을. 돈[錢]+-을.
곳굼긔 주543)
곳굼긔:
콧구멍에. 고[鼻]+-ㅅ#[中]+-의.

구급간이방언해 권2:102ㄴ

불라 주544)
불라:
불라. 불-[吹]+-라.

용(龍)의 뼈를 갈아 붓자루로 반 돈을 콧구멍에 불라.

濃硏好墨 點鼻中立止

됴 주545)
됴:
좋은. 둏-[好]+-.
먹을 주546)
먹을:
먹을. 먹[墨]+-을.
므르 주547)
므르:
짙게. 진하게.
라 주548)
라:
갈아. 갈-[硏]+-아.
곳굼긔 주549)
곳굼긔:
콧구멍에. 고[鼻]+-ㅅ#[中]+-의.
디그면 주550)
디그면:
찍으면. 딕-[點]+-으면.
즉재 주551)
즉재:
즉시[立].
그츠리라 주552)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좋은 먹을 짙게 갈아 콧구멍에 찍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灸項後髮際兩筋閒宛宛中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주553)
목:
목[項].
주554)
뒷:
뒤의. 뒤[後]+-ㅅ.
발졧 주555)
발졧:
발제의. 발졔(髮際)+-ㅅ.
주556)
두:
두[兩].
주557)
힘:
힘줄. 근육[筋].
 주558)
:
사이의. 사[閒]+-ㅅ.
오목 주559)
오목:
오목한. 오목-[惌惌]+-ㄴ.
주560)
:
데를. +-ㄹ(대격 조사).
라 주561)
라:
뜨라. -[灸]+-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목 뒤의 발제(髮際)의 두 힘줄 사이의 오목한 데를 뜨라.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002)
피:피가. 피+∅.
주003)
나:나는. 나-+--+-ㄴ.
주004)
화졔방:화제방(和劑方).
주005)
믈탕애:사물탕에. 믈탕(四物湯)+애.
주006)
즉:측백(側栢)나무.
주007)
닙:잎.
주008)
더드려:더하여[加]. 더드리-[加]+-어.
주009)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10)
머그며:먹으며. 먹-[服]+-으며.
주011)
소합원을:소합향원을.
주012)
므레:찬물에. -[冷]+-ㄴ#믈[水]+-에.
주013)
시버:씹어. 십-[嚼]+-어.
주014)
머고미:먹음이. 먹-[下]+-옴+-이.
주015)
맛당니라:마땅하다. 맛당-[宜]+-니-+-라.
주016)
소합향원(蘇合香圓):사향(麝香), 주사(朱沙) 따위를 갈아서 빚어 만든 환약. 위장을 맑게 하고 정신을 상쾌하게 하는 데에 쓴다. ≒소합환(蘇合丸).
주017)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018)
피:피가. 피+∅(주격 조사).
주019)
나: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020)
졈그록:저물도록. 졈그-(‘졈글-’의 이형태)[終日]+-록.
주021)
긋디:그치지. 긋-[止]+-디.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주022)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
주023)
미:마음이. [心神]+-이.
주024)
답답거든:답답하거든. 답답-[煩悶]+-거든.
주025)
:낡은. -[故]+-.
주026)
편앳:병풍에 있는. 편풍[屛風]+-애+-ㅅ.
주027)
죠:종이를. 죠[紙]+-.
주028)
라:살라. -[燒]+-아.
주029)
리: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30)
라:갈아. -[硏]+-아.
주031)
:따뜻한. -[溫]+-ㄴ.
주032)
수레:술에. 술[酒]+-에.
주033)
프러:풀어. 플-[調]+-어.
주034)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035)
즉재:즉시[立].
주036)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037)
패모:패모(貝母).
주038)
두:두[二].
주039)
을:냥을. 량[兩]+-을.
주040)
죠예:종이에. 죠+예(처소격 조사).
주041)
:싸. -+-아.
주042)
저져:적시어. 저지-+-어. 어간 ‘저지-’는 ‘젖-+-이(사동 접사)’로 분석된다.
주043)
브레:불에. 블+-에(처소격 조사).
주044)
무더:묻어. 묻-+-어.
주045)
구워:구워. 구우-+-어. 어간 ‘구우-’는 ‘굽-’의 이형태임.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부더 굽다’로 번역된다.
주046)
누르거든:누르거든. 누르-[黃]+-거든.
주047)
디허:찧어. 딯-[擣]+-어.
주048)
처:쳐. 츠-[羅]+-어.
주049)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050)
:쌀.
주051)
글힌:끓인. 글히-+-ㄴ.
주052)
므레:물에. 믈+-에.
주053)
프러:풀어. 플-[調]+-어.
주054)
이야:한참 지나. 이-[良久] +-야.
주055)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56)
디:생지황의. 디(生地黃)+-ㅅ.
주057)
불휘:뿌리.
주058)
외요니:말린 것. 외-[乾]+-요-(의도법 선어말어미)+ㄴ#이.
주059)
리: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60)
사라:썰어. 사-[剉]+-아.
주061)
은그르세:은그릇에. 은(銀)#그릇[器]+-에.
주062)
술:술[酒].
주063)
닷:다섯.
주064)
홉애:홉에. 홉+-애. ‘일중잔(一中盞)’이 ‘닷 홉’으로 번역됨.
주065)
세:세[三].
주066)
소솜이어나:솟음이가나. 소솜[沸]+-이어나. ‘소솜’은 ‘솟-+-옴’으로 분석된다.
주067)
다:다섯[五].
주068)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69)
즈:찌꺼기[滓].
주070)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071)
믄득:다[頓].
주072)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073)
즉재:즉시[立].
주074)
그츠리라:그치리라. 긏-[止]+-으리-+-라.
주075)
곡졍초:곡정초를. 곡졍초(穀精草)+-.
주076)
디허:찧어. 딯-[擣]+-어.
주077)
처:쳐. 츠-[羅]+-어.
주078)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079)
밄:밀가루. 밀+-ㅅ#.
주080)
글힌:끓인. 글히-+-ㄴ.
주081)
므레:물에. 믈+-에.
주082)
돈만:몬만. 돈[錢]+-만.
주083)
프러:풀어. 플-[調]+-어.
주084)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085)
:날것[生].
주086)
츩불휘:칡뿌리. 츩[葛]#불휘[根].
주087)
즛디허:짓찧어. 즛딯-[搗]+-어.
주088)
:짠. +-오-+-ㄴ.
주089)
즙을:즙을. 즙(汁)+-을.
주090)
서:세[三].
주091)
홉곰: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된다.
주092)
세:세[三].
주093)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094)
즉재:즉시[卽].
주095)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096)
누르고:누르고. 누르-[黃]+-고.
주097)
:맑은. -[明]+-.
주098)
갓플을:갖풀을. 아교를. 갓플[膠]+-을.
주099)
노겨:녹여. 노기-+-어.
주100)
특특:빽빽한. 특특-[稠]+-ㄴ.
주101)
엿:엿[餳].
주102)
거든:같거든. -[如]+-거든.
주103)
헌것:헝겊[帛].
주104)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05)
라:발라 . ㄹ-(‘-’의 이형태)[塗]-+-아.
주106)
니마:이마[額].
주107)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108)
브티면:붙이면. 브티-[貼]+-면.
주109)
즉재:즉시[立].
주110)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111)
남긧:뽕나무의. 뽕나무에 있는. [桑]#남긔[木]+-의+-ㅅ.
주112)
버스슬:버섯을. 버슷[耳]+-을(대격 조사).
주113)
봇가:볶아. -[熬]+-아.
주114)
게:마르게. -[燋]+-게.
주115)
야:하여.
주116)
디허:찧어. 딯-[搗]+-어.
주117)
처:쳐. 츠-[羅]+-어.
주118)
고만:살구씨만큼. 고[杏]#[仁]+-만.
주119)
지버:집어. 집-[撮]+-어.
주120)
소옴애:솜에. 소옴[緜]+-애.
주121)
:싸. -[裹]+-아.
주122)
곳굼긔:콧구멍에. 고ㅎ[鼻]+-ㅅ(속격 조사)#+-의(처소격 조사).
주123)
마고:막되. 막-[塞]+-오.
주124)
두:두어[數].
주125)
즉재:즉시[卽].
주126)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127)
셕륫:석류의. 셕류(石榴)+-ㅅ.
주128)
고:꽃을. 곶[花]+-.
주129)
디허:찧어. 딯-[搗]+-어.
주130)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131)
고:코[鼻].
주132)
안해:안에. 안ㅎ-[內]+-애.
주133)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주134)
됫고마리:도꼬마리[蒼耳].
주135)
줄기와:줄기와. 줄기[莖]+-와.
주136)
닙과:잎과. 닙[葉]+-과.
주137)
디허:찧어. 딯-[擣]+-어.
주138)
:짠. -[絞]+-오-+-ㄴ.
주139)
즙을:즙을. 즙(汁)+-을.
주140)
서:세.
주141)
홉곰:홉씩.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주142)
머고:먹되. 먹-[服]+-오.
주143)
조: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주144)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145)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주146)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147)
피:피가. 피+∅(주격 조사).
주148)
나: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149)
밤나지:밤낮이. 밤[日]#낮[夜]+-이.
주150)
긋디:그치지. 긋[止]-+-디.
주151)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
주152)
비치:낯빛이. 낫[顔]#빛[色]+-이.
주153)
업고:없고. 업-(‘없-’의 이형태)[無]+-고.
주154)
답답거든:답답하거든. 답답-[昏悶]+-거든.
주155)
머리터리:머리털[髮].
주156)
론:사른. -+-오-+-ㄴ.
주157)
:재[灰].
주158)
마촘:볼록한 곳.
주159)
아랫:아래+-ㅅ.
주160)
:흙.
주161)
과:냥과를. (兩)+-과+-.
주162)
섯거:섞어. -[和]+-어.
주163)
리:가늘게. -[細]+-이.
주164)
라:갈아. -[硏]+-아.
주165)
고게:고르게. 고-[勻]+-게.
주166)
야:하여. -+-야.
주167)
:갓[新].
주168)
기론: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주169)
므레:물에. 믈[水]+-에.
주170)
서:서[三].
주171)
프러:풀어. 플-[調]+-어.
주172)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73)
디:생지황의. 디황(生地黃)+-ㅅ.
주174)
불휘:뿌리.
주175)
:짠. -+-오-+-ㄴ.
주176)
:한[一].
주177)
되와:되와. 되[升]+-와.
주178)
:흰. -[白]+-ㄴ.
주179)
:꿀[蜜].
주180)
반:반[半].
주181)
과:냥과. (兩)+-과.
주182)
부들마치:부들의 꽃.
주183)
우희:위의. 우ㅎ+-의.
주184)
누른:누른. 누르-+-ㄴ.
주185)
:가루.
주186)
섯거:섞어. -[和]+-어.
주187)
져기:조금[微].
주188)
덥게:덥게[暖].
주189)
야:하여. -+-야.
주190)
홉곰: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주191)
머고:먹되. 먹-[服]+-오.
주192)
조:자주[頻].
주193)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194)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195)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196)
피:피가. 피+∅(주격 조사).
주197)
나: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198)
밤나지:밤낮이. 밤[日]#낮[夜]+-이.
주199)
긋디:그치디. 긋-[止]+-디.
주200)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
주201)
어즐고:어질어질하고. 어즐-[眩冒]+-고.
주202)
주글:죽을. 죽-[死]+-을.
주203)
거든:듯하거든. -+-거든.
주204)
:흰. -+-ㄴ.
주205)
만라미:맨드라미를. 만라미+-.
주206)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207)
져그나:적으나. 젹-[少]+-으나.
주208)
리:가늘게. -[細]+-이.
주209)
사라:썰어. 사-[剉]+-아.
주210)
디허:찧어. 딯-[擣]+-어.
주211)
라:갈아. -[硏]+-아.
주212)
:짠. -[絞]+-오-+-ㄴ.
주213)
즙:즙(汁).
주214)
:한[一].
주215)
홉이나:홉이나. 홉(合)+-이나.
주216)
두:두[兩].
주217)
젹젹:조금[少少].
주218)
고해:코에. 고ㅎ[鼻中]+-애.
주219)
브:부어. -[灌]+-어.
주220)
들에 면:들게 하면. 들-+-에#-+-면. ‘入’이 ‘들에 다’로 번역됨.
주221)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22)
:마른. -[乾]+-ㄴ.
주223)
을:생강을. [薑]+-을.
주224)
갓가:깎아. -[削]+-아.
주225)
년만:연자(蓮子)만큼. 연밥만큼. 년(蓮子)+-만.
주226)
케:하게. -+-게.
주227)
야:하여. -+-야.
주228)
곳굼글:콧구멍을. 고[鼻]+-ㅅ#[中]+-을.
주229)
마그면:막으면. 막[塞]-+-으면.
주230)
즉재:즉시[卽].
주231)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232)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233)
나: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어’).
주234)
가지로:가지로. 가지+-로(도구격 조사).
주235)
고툐:고치되. 고티-[醫]+-오.
주236)
긋디:그치지. 긋-[止]+-디.
주237)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238)
밤이:밤송이. 밤[栗]#이[穀].
주239)
닷:다섯. 닷[五].
주240)
라:살라. -[燒]+-아.
주241)
:재를. [灰]+-.
주242)
라:갈아. -[硏]+-아.
주243)
돈곰:돈씩. 돈[錢]+-곰.
주244)
쥭므레:죽물에. 쥭(粥)#믈[飮]+-에.
주245)
프러:풀어. 플-[調]+-어.
주246)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247)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48)
포황(蒲黃):부들의 꽃가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지혈제로 쓴다.
주249)
고해:코에. 고ㅎ+-애.
주250)
피:피가. 피+∅(주격 조사).
주251)
:매우. 많이.
주252)
나:나. 나-+-∅(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253)
입과:입과. 입[口]+-과.
주254)
귀예:귀에. 귀[耳]+-예.
주255)
나:나. 나-[出]+-∅(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256)
긋디:그치디. 긋-[止]+-디.
주257)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258)
부들마치:부들꽃.
주259)
우희: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주260)
리:가늘게[細]. -[細]+-이.
주261)
라:갈아. -[硏]+-아.
주262)
므레:찬물에. -[冷]+-ㄴ#믈[水]+-에.
주263)
돈곰:돈씩. 돈[錢]+-곰.
주264)
프러:풀어. 플-[調]+-어.
주265)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266)
즉재:즉시[卽].
주267)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68)
그츤:끊긴. 끊어진. 긏-[斷]-+-은.
주269)
활시울:활시울[弓絃].
주270)
론:사른. -[燒]+-오-+ㄴ.
주271)
와:재와. [灰]+-와.
주272)
번:백반(白礬).
주273)
와:재를. [灰]+-와+-.
주274)
리:가늘게. -[細]+-이.
주275)
라:갈아. -[硏]+-아.
주276)
낫만:낱만큼.
주277)
고해:코에. 고ㅎ[鼻中]+-애.
주278)
불면:불면. 불-[吹]+-면.
주279)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80)
고해:코에. 고ㅎ[鼻]+-애(처소격 조사).
주281)
뵈이:질경이씨[車前子].
주282)
론:간. -+-오-+-ㄴ.
주283)
와:가루와. [末]+-와.
주284)
귀:소의 귀. 쇼[牛]+-(속격 조사).
주285)
안해:안에. 안ㅎ[中]+-애.
주286)
와:때를. [垢]+-와+-.
주287)
게:같게. -[等]+-게.
주288)
화:나누어. 호-[分]+-아.
주289)
섯거:섞어. -[和]+-어.
주290)
:지레. 지렛대[梃子].
주291)
지:만들어. -[成]+-어.
주292)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293)
마그면:막으면. 막-[塞]+-으면.
주294)
즉재:즉시[立].
주295)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296)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297)
피:피가. 피[血]+∅(주격 조사).
주298)
나:나. 나-[出]+∅(보조적 연결어미).
주299)
긋디:그치지. 긋-[止]+-디.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주300)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301)
닥나모:닥나무[楮]. 닥#나모.
주302)
니플:잎을. 닢[葉]+-을.
주303)
디허:찧어. 딯-[擣]+-어.
주304)
:짜. -+-아.
주305)
되:되를. 되[升]+-.
주306)
머고미:먹음이. 먹-[飮]+-옴+-이.
주307)
:아주. 매우[大].
주308)
됴니라:좋다. 둏-[良]+-니-+-라.
주309)
화:활을. 활[弓]+-.
주310)
지허:매어. 짛-[張]+-어.
주311)
시우를:시위를. 시울[弦]+-을.
주312)
우흐로:위로. 우ㅎ[上]+-으로.
주313)
오게:오르게. 오-[向]+-게.
주314)
:병을 앓는. -[病]+-ㄴ.
주315)
사미:사람이. 사+-이.
주316)
졋바누어:젖혀 누워. 졋바누-[仰臥]+-어. 어간 ‘졋바누-’는 ‘졋바눕-’의 이형태임.
주317)
시우를:시위를. 시울[弦]+-을.
주318)
볘오:베고. 볘-[枕]+-오.
주319)
활기:활개[體].
주320)
리고:버리고. 리-+-고. ‘방(放)’이 ‘펴 리다’로 번역됨.
주321)
녜:늘[常].
주322)
눕시:눕듯이. 눕-[臥]+-시[如].
주323)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324)
과이:갑자기[卒].
주325)
피:피가. 피+∅.
주326)
나거든:나거든. 나-+-거든.
주327)
가마:가마[釜].
주328)
미틧:밑에 있는. 밑[底]+-의+-ㅅ.
주329)
거믜을:검댕을. 거믜[墨]+-을.
주330)
리:가늘게[細].
주331)
라:갈아. -[硏]+-아.
주332)
져고매:조금[少許].
주333)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334)
불면:불면. 불-[吹]+-면.
주335)
즉재:즉시[卽].
주336)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337)
고솜도:고슴도치의. 고솜돝[蝟]+-.
주338)
갓:가죽[皮].
주339)
나:낱을. 낯[枚]+-.
주340)
라:살라. -[燒]+-아.
주341)
:재가. [灰]+-∅.
주342)
외어든:되거든. 외-[爲]+-어든.
주343)
리:가늘게[細].
주344)
라:갈아. -[硏]+-아.
주345)
돈곰:돈씩. 돈[錢]+-곰.
주346)
소옴애:솜에. 소옴[緜]+-애.
주347)
:싸. -[裹]+-아.
주348)
곳굼긔: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은 ‘구무’의 이형태임.
주349)
녀호:넣되. 녛-[內]+-오.
주350)
조:자주[數].
주351)
면:갈면. 바꾸면. -[易]+-면.
주352)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353)
졀다:절따말[赤馬].
주354)
을:똥을. [通]+-을.
주355)
소옴애:솜에. 소옴[緜]+-애.
주356)
:싸. -[裹]+-아.
주357)
대초만:대추만큼. 대초[棗]+-만.
주358)
케:하게.
주359)
야:하여.
주360)
곳굼글:콧구멍을. 고[鼻]+-ㅅ#[中]+-을.
주361)
마그라:막으라. 막-[塞]+-으라.
주362)
새:새[新].
주363)
이나:똥이나. +-이나.
주364)
오란:오랜. 오래 된. 오라-[舊]+-ㄴ.
주365)
다:다[悉].
주366)
라:쓰라. -[用]+-라.
주367)
만히:많이[大].
주368)
나니란:나는 이는. 나-+--+-ㄴ#이[者]+-란.
주369)
조쳐:합쳐. 조치-+-어.
주370)
:짜. -[絞]+-아.
주371)
즙을:즙을. 즙(汁)+-을.
주372)
되나:되나. 되[升]+-나.
주373)
머고:먹되. 먹-[飮]+-오.
주374)
새옷:새것이. 새[新者]+-옷.
주375)
업거든:없거든. 업-[無]+-거든. 어간 ‘업-’은 ‘없-’의 팔종성표기임.
주376)
니:마른 것을. -[乾]+-ㄴ#이[者]+-.
주377)
므레:물에. 믈[水]+-에.
주378)
저져:적시어. 저지-[漬]+-어.
주379)
라:쓰라. -[用]+-라.
주380)
갓플:쇠갖풀[牛皮膠].
주381)
디흔:찧은. 딯-+-은.
주382)
:쑥[艾].
주383)
두:두[二].
주384)
탄만치와:틴자만큼과. 탄(彈子)+-만치+-와.
주385)
:소의. 쇼[牛]+-.
주386)
갓플:갖풀. 갓[皮]#플[膠].
주387)
봇그니와:볶은 것을.
주388)
달힌:달인. 달히-[煎]+-ㄴ.
주389)
젼국:약전국[豉].
주390)
되예:되에. 되[盞]+-예.
주391)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392)
남거든:남짓하거든. 남-+-거든. ‘지칠분(至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주393)
즈:찌꺼기[滓].
주394)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395)
니:때[時候].
주396)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397)
마오:말고. 마-[不]+-오.
주398)
닐:따뜻한 것을. -+-ㄴ#이+-ㄹ. ‘溫’이 ‘니’로 번역됨.
주399)
화:나누어. 호-[分]+-아.
주400)
머그라:먹-[服]+-으라.
주401)
백급(白芨):자란(紫蘭)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피를 멎게 하므로 주로 외상에 바르거나 위궤양에 먹는다.
주402)
대왐픐:대왐풀의. 대왐플+-ㅅ.
주403)
불휘:뿌리를. 불휘+-.
주404)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405)
져그나:적으나. 젹-[少]+-으나.
주406)
라:갈아. -[爲末]+-아.
주407)
므레:찬물에. -[冷]+-ㄴ#믈[水]+-에.
주408)
프러:풀어. 플-[調]+-어.
주409)
죠예:종이에. 죠[紙]+-예.
주410)
라:발라. ㄹ-(‘-’의 이형태)+-아.
주411)
곳:코의. 고[鼻]+-ㅅ.
주412)
오목:오목한. 오목-[窊]+-ㄴ.
주413)
:데. +∅(처소격 조사). ‘와중(窊中)’이 ‘오목 ’로 번역됨.
주414)
브티라:붙이라. 브티-[貼]+-라. 어간 ‘브티-’는 ‘븥-+-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주415)
댓무:무[蘿蔔].
주416)
즛두드려:짓두드려. 즛두두리-+-어.
주417)
:짠. -+-오-+-ㄴ.
주418)
:연근(蓮根). 연뿌리[藕].
주419)
곳굼긔: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주420)
처디라:떨어뜨리라. 처디-[滴]+-라.
주421)
오란:오랜. 오래된. 오라-[舊]+-ㄴ.
주422)
기름으로:참기름으로. 기름[麻油]+-으로.
주423)
혀던:켜던. 혀-+-더-+-ㄴ.
주424)
잔을:등잔을. 잔(燈盞)+-을.
주425)
머릿:머리의. 머리+-ㅅ.
주426)
바기예:정수리에. 바기[頂心]+-예.
주427)
업고:엎고. 업-[合]+-고. 어간 ‘업-’은 ‘엎-’의 팔종성표기임.
주428)
아못:아무.
주429)
거스뢰나:것으로나. 것+-으뢰나. ‘물(物)’이 ‘아못 것’으로 번역됨.
주430)
야:매어. -[繫]+-야.
주431)
둣다가:두고 있다가. 두-#잇-+-다가.
주432)
이고:잠깐. 잠시[少時].
주433)
말라:말라. 말-[住]+-라.
주434)
굴근:굵은. 굵-[大]+-은.
주435)
마:마늘을. 마[蒜]+-.
주436)
라:갈아. -[硏]+-아.
주437)
밧바애:발바당에. 발[脚]+-ㅅ#바[心]+-애. ‘밠바’의 자음 ‘ㄹ’이 탈락하면 ‘밧바’이 된다.
주438)
면:바르면. -[塗]+-면.
주439)
즉재:즉시[卽].
주440)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441)
오란:오랜. 오래된. 오라-[舊]+-ㄴ.
주442)
브:부엌[竈].
주443)
니마:문(門).
주444)
우흿:위에 있는. 우ㅎ[上]+-의+-ㅅ.
주445)
누른:누른. 누르-[黃]+-ㄴ.
주446)
:흙을. [泥]+-.
주447)
라:갈아. -[爲末]+-아.
주448)
:쌀[米].
주449)
글힌:끓인. 글히-+-ㄴ.
주450)
므레:물에. 믈+-에. ‘미음(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됨.
주451)
프러:풀어. 플-[調]+-어.
주452)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453)
즉재:즉시[立].
주454)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주455)
팟:파의. 파[葱]+-ㅅ.
주456)
믿:밑.
주457)
:흰. -+-ㄴ.
주458)
:데. ‘백(白)’이 ‘ ’로 번역됨.
주459)
:한[一].
주460)
줌:줌[握].
주461)
디허:찧어. 딯-[擣]+-어.
주462)
:짠. -+-오-+-ㄴ.
주463)
술:술[酒].
주464)
져고매:조금[少許].
주465)
녀허:넣어. 녛-[入]+-어.
주466)
프러:풀어. 플-[調]+-어.
주467)
곳굼긔: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주468)
처디라:떨어뜨리라. 처디-[滴]+-라.
주469)
잇글:이끼를. [苔蘇]+-을.
주470)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471)
녀흐라:넣으라. 녛-[納]+-으라.
주472)
제:제. 자기[自].
주473)
손톱:손톱[指爪].
주474)
곤:갉은. -[刮]+-오-+-ㄴ.
주475)
:가루를. (‘’의 이형태)[屑]+-.
주476)
불라:불라. 불-[搐]+-라.
주477)
죠:종이를. 죠[紙]+-.
주478)
믈:물[水].
주479)
저져:적시어. 저지-[蘸]+-어.
주480)
목:목[項].
주481)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482)
브티라:붙이라. 브티-[貼]+-라.
주483)
녀:종려(椶櫚).
주484)
론:사른. -[燒]+-오-+-ㄴ.
주485)
:재를. [灰]+-.
주486)
피:피가. 피+∅.
주487)
나:나는. 나-+--+-ㄴ.
주488)
녁:녘. 쪽. ‘수좌우(隨左右)’가 ‘피 나 녁’으로 번역뫼.
주489)
곳굼긔:콧구멍에. 고+-ㅅ#+-의. ‘비(鼻)’가 ‘곳구무’로 번역됨.
주490)
불라:불라. 불-[搐]+-라.
주491)
고해:코에. 고ㅎ+-애.
주492)
피:피가. 피+∅.
주493)
나:나는. 나-+--+-ㄴ.
주494)
녁:녘. 쪽.
주495)
바:발을. 발[足]+-.
주496)
:갓[新].
주497)
기론: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주498)
믈로:물로. 믈[水]+-로[以].
주499)
시스라:씻으라. 싯-[洗]+-으라.
주500)
햐:작은. 햑-+-.
주501)
지지:치자나무[梔].
주502)
:씨[子].
주503)
:한[一].
주504)
나:낱을. 낯[介]+-.
주505)
대:대. 대나무[竹].
주506)
갈로:칼로. 갈[刀]+-로.
주507)
두:두[兩].
주508)
혀:깨뜨려. 혀-[破作]+∅(보조적 연결어미 ‘-어).
주509)
:한[一].
주510)
으란:쪽은. [邊]+-으람.
주511)
저즌:젖은. 적-[濕]+-은.
주512)
죠예:종이에. 죠[紙]+-예.
주513)
:싸. -[裹]+-아.
주514)
구어:구워. -[煨]+-어〉구〉구워〉구어.
주515)
닉게:익게. 닉-[熟]+-게.
주516)
고:하고. -+-고.
주517)
으란:쪽은. [邊]+-으란.
주518)
:날것을. [生者]+-.
주519)
:함께[同].
주520)
므르:무르게. 문드러지게. 상태동사 ‘므르다’에서 파생된 부사로 ‘므르-[爛]+∅’로 분석될 수 있다.
주521)
라:갈아. -[硏]+-아.
주522)
수레:술에. 술[酒]+-에.
주523)
프러:풀어. 플-[調]+-어.
주524)
머그라:먹으라.
주525)
졀다:절따말. 붉은 빛깔의 말[赤馬].
주526)
:똥[糞].
주527)
론:사른. -[燒]+-오-+-ㄴ.
주528)
:재를. [灰]+-.
주529)
리:가늘게. -[細]+-이.
주530)
라:갈아. -[末]+-아.
주531)
:따뜻한. -[溫]+-ㄴ.
주532)
수레:술에. 술[酒]+-에.
주533)
:한[一].
주534)
돈을:돈을. 돈[錢]+-을.
주535)
프러:풀어. 플-[調]+-어.
주536)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537)
의:용의. (龍)+-의.
주538)
:뼈를. [骨]+-.
주539)
라:갈아. -[爲末]+-아.
주540)
붇으로:붓자루로. 붇[筆管]+-으로[以]. 명사 ‘’은 ‘’의 이형태임.
주541)
반:반(半).
주542)
돈을:돈을. 돈[錢]+-을.
주543)
곳굼긔: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주544)
불라:불라. 불-[吹]+-라.
주545)
됴:좋은. 둏-[好]+-.
주546)
먹을:먹을. 먹[墨]+-을.
주547)
므르:짙게. 진하게.
주548)
라:갈아. 갈-[硏]+-아.
주549)
곳굼긔:콧구멍에. 고[鼻]+-ㅅ#[中]+-의.
주550)
디그면:찍으면. 딕-[點]+-으면.
주551)
즉재:즉시[立].
주552)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553)
목:목[項].
주554)
뒷:뒤의. 뒤[後]+-ㅅ.
주555)
발졧:발제의. 발졔(髮際)+-ㅅ.
주556)
두:두[兩].
주557)
힘:힘줄. 근육[筋].
주558)
:사이의. 사[閒]+-ㅅ.
주559)
오목:오목한. 오목-[惌惌]+-ㄴ.
주560)
:데를. +-ㄹ(대격 조사).
주561)
라:뜨라. -[灸]+-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