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13. 토혈(吐血)
메뉴닫기 메뉴열기

13. 토혈(吐血)


吐血
宜服和劑方必勝散四物湯加側栢煎服

목의 주001)
목의:
목에. 목+-의(처소격 조사).
주002)
피:
피. 피가. 피[血]+∅(주격 조사).
나 주003)
나:
나는. 나-+--+-ㄴ.

구급간이방언해 권2:103ㄱ

화졔애 주004)
화졔애:
화제방에. 화졔방(和劑方)+-애.
필산과 믈 즉 주005)
즉:
측백(側栢).
주006)
닙:
잎. ‘닙’은 ‘닢’의 팔종성표기임.
더드려 주007)
더드려:
더하여. 더드리-[加]+-어.
달히니와 주008)
달히니와:
달인 것을. 달히-+ㄴ#이+-와+-. ‘전(煎)’이 ‘달히니’로 번역됨.
머고미 주009)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이.
맛니라 주010)
맛니라:
마땅하다. 맛-[宜]+-니-+-라.

목에 피 나는 병
화제방에 필승산과 사물탕 측백 잎을 더하여 달인 것을 먹음이 마땅하다.

吐血不止 栢葉 즉 닙 乾薑   各三兩 一把 以水五升取馬通汁    믈 一升合煮取一升分溫再服

토호미 주011)
토호미:
토함이. 토-[吐]+-옴+-이.
긋디 주012)
긋디:
그치지. 긋-[止]+-디.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아니커든 주013)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즉 주014)
즉:
측백[柏].
닙과 주015)
닙과:
잎과. 닙[葉]+-과. ‘닙’은 ‘닢’의 팔종성표기임.
 주016)
:
마른. -[乾].
 주017)
:
생강[薑].
각 석 과 주018)
과:
냥과. (兩)+-과.
주019)
:
쑥[艾].
줌과 주020)
줌과:
줌과. 줌[把]+-과.
주021)
믈:
믈[水].
주022)
닷:
닷. 다섯[五].
되와 주023)
되와:
되와. 되[升]+-와.
  주024)
:
말똥[馬通].
주025)
:
짠. -+-오-+-ㄴ.
즙  되와 주026)
되와:
되를. 되[升]+-와+-.
뫼화 주027)
뫼화:
모아. 뫼호-[合]+-아.
글혀 주028)
글혀:
끓여. 글히-[煮]+-어.
주029)
되:
되가. 되[升]+∅(주격 조사).
외어든 주030)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구급간이방언해 권2:103ㄴ

화 주031)
화:
나누어. 호-[分]+-아.
닐 주032)
닐:
따뜻한 것을. -+-ㄴ#이+-ㄹ. ‘온(溫)’이 ‘니’로 번역됨.
번에 주033)
번에:
번에. ‘재(再)’가 ‘두 번’으로 번역됨.
머그라 주034)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피를 토함이 그치지 아니하거든 측백(側栢) 잎과 마른 생강 석 냥과 쑥 세 줌과 물 닷 되와 말똥 짠 즙 한 되를 모아 끓여 한 되가 되거든 나누어 따뜻한 것을 두 번에 먹으라.

熟艾 니기 디흔  三雞子許水五升煮取二升頓服

니기 주035)
니기:
무르게. 닉-[熟]+-이.
디흔 주036)
디흔:
찧은. 딯-+-은.
주037)
:
쑥[艾].
 알 주038)
알:
달걀[雞子]. [雞]+-#알[子].
주039)
세:
세[三].
낫만 주040)
낫만:
낱만큼. 낫+만.
니 주041)
니:
한 것을. -+-ㄴ#이+-.
주042)
믈:
물[水].
주043)
닷:
닷. 다섯[五].
되예 주044)
되예:
되에. 되[升]+-예.
글혀 주045)
글혀:
끌혀. 글히-[煮]+-어.
주046)
두:
두[二].
주047)
되:
되가. 되[升]+∅(주격 조사).
외어든 주048)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믄득 주049)
믄득:
다[頓].
머그라 주050)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무르게 찧은 쑥 달걀 세 낱만큼 한 것을 물 닷 되에 끓여 두 되가 되거든 다 먹으라.

燒亂髮 허튼 머리터럭 灰水服方寸匕日三服

허튼 주051)
허튼:
헝클어진. 헡-[亂]+-은.
머리터리 주052)
머리터리:
머리털[髮]. 머리#터리.
론 주053)
론:
사른. -[燒]+-오-+-ㄴ.
 주054)
:
재를. [灰]+-.
술만 주055)
술만:
숟가락만. 술[匕]+-만.
므레 주056)
므레:
물에. 물[水]+-에.
머고 주057)
머고:
먹되. 먹-[服]+-오.
 주058)
:
하루[日].
세 번 머그라

헝클어진 머리털 사른 재를 한 숟가락만 물에 먹되 하루 세 번 먹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04ㄱ

生地黃肥者五升擣以酒一升煮沸三上三下去滓頓服

주059)
:
날것[生].
디 주060)
디:
지황(地黃).
불휘 주061)
불휘:
뿌리.
굴그니 주062)
굴그니:
굵은 것. 굵-[肥]+-은#이[者].
주063)
닷:
닷. 다섯[五].
되 주064)
되:
되를. 되[升]+-.
디허 주065)
디허:
찧어. 딯-[擣]+-어.
술  되예 주066)
되예:
되에. 되[升]+-예.
글효 주067)
글효:
끓이되. 글히-[煮]+-오.
글허 주068)
글허:
끓어. 긇-+-어.
오거든 주069)
오거든:
오르거든. 오-+-거든. ‘비(沸)’가 ‘글허 오다’로 번역됨.
드러 주070)
드러:
들어. 들-+-어.
내야 주071)
내야:
내어. 내-+-야.
머초오 주072)
머초오:
멈춤을.
세 번만 야 즈 주073)
즈:
찌꺼기[滓].
앗고 주074)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믄득 주075)
믄득:
다[頓].
머그라 주076)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생지황 뿌리 굵은 것 닷 되를 찧어 술 한 되에 끓이되 끓어 오르거든 들어내어 멈춤을 세 번만 하여 찌꺼기 제거하고 다 먹으라.

桂末 계핏  二錢水湯各半濃調約半盞許猛喫甚者二服

계피 주077)
계피:
계피[桂].
론 주078)
론:
간. -+-오-+-ㄴ.
 주079)
:
가루[末].
주080)
두:
두[二].
돈을 믈와 주081)
믈와:
찬물과. 믈[水]+-와.
더운믈와 주082)
더운믈과:
더운물과. 더운믈[湯]+-와.

구급간이방언해 권2:104ㄴ

게 주083)
게:
같게. -+-게.
야 주084)
야:
하여. ‘각반(各半)’이 ‘게 다’로 번역됨.
디투 주085)
디투:
짙게. 진하게. 딭-[濃]+-우.
프로니 주086)
프로니:
푼 것. 플-+-오-+-ㄴ#이. ‘조(調)’가 ‘프로니’로 번역됨.
반 잔만 닐 주087)
닐:
한 것을. -+-ㄴ#이+-ㄹ.
리 주088)
리:
빨리[猛].
머고 주089)
머고:
먹되. 먹-[喫]+-오.
 주090)
:
아주. 매우.
니 주091)
니:
중한 이는. -+-ㄴ#이[者]+-.
두 번 머그라 주092)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계피(桂皮) 간 가루 두 돈을 찬물과 더운물과 같게 하여 짙게 푼 것 반 잔만큼 한 것을 빨리 먹되 아주 중(重)한 이는 두 번 먹으라.

東向蘘荷根 핫  一把擣絞取汁服之

녁으로 주093)
녁으로:
동쪽으로. 동녘으로. 녁[東]+-으로.
 주094)
:
향한. -[向]+-ㄴ.
핫 주095)
핫:
양하의. 하(蘘荷)+-ㅅ.
주096)
:
뿌리[根].
주097)
:
한[一].
주098)
줌:
줌[把].
디허 주099)
디허:
찧어. 딯-[擣]+-어.
주100)
:
짠. -[絞]+-오-+ㄴ.
즙을 주101)
즙을:
즙을. 즙(汁)+-을.
머그라 주102)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동쪽으로 향한 양하(蘘荷)의 뿌리 한 줌 찧어 짠 즙을 먹으라.

水服蒲黃 부들마치 우희 누른  一斤

부들마치 주103)
부들마치:
부들의 꽃.
우희 주104)
우희:
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누른 주105)
누른:
누른. 누르-+-ㄴ.
 주106)
:
가루.
 근을 므레 주107)
므레:
물에. 믈+-에.
프러 주108)
프러:
풀어. 플-+-어.
머그라 주109)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부들의 꽃 위의 누른 가루 한 근을 물에 풀어 먹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105ㄱ

伏龍肝 가마 믿 마촘 아랫  二兩用新汲水  기론 믈 一大盞淘取汁入蜜 一匙攪勻頓服之

가마 주110)
가마:
가마.
믿 주111)
믿:
밑.
마촘 주112)
마촘:
가까운 곳.
아랫 주113)
아랫:
아래의. 아래+-ㅅ.
주114)
:
흙.
주115)
두:
두[二].
을 주116)
을:
냥을. (兩)+-을.
주117)
:
갓[新].
기론 주118)
기론:
길은. 길-[汲]+-오-+-ㄴ.
주119)
믈:
물[水].
큰  되예 주120)
되예:
되에. 되[盞]+-예.
안초아 주121)
안초아:
앉히어. 안초-+-아.
바타 주122)
바타:
밭이어. 걸러. 밭-+-아.
주123)
:
꿀[蜜].
주124)
술:
숟가락[匙].
녀허 주125)
녀허:
넣어. 녛-[入]+-어.
고게 주126)
고게:
고르게. 고-[勻]+-게.
저 주127)
저:
저어. -(‘젓-’의 이형태)[攪]+-어.
믄득 주128)
믄득:
다[頓].
머그라 주129)
머그라:
먹-[服]+-으라.

가마 밑 가까운 곳의 아래의 흙 두 냥을 갓 길은 물 한 큰 되에 앉혀 밭이어 꿀 한 숟가락 넣어 고르게 저어 다 먹으라.

生葛根 츩 불휘 擣絞取汁每服一小盞宜頻服以止爲度

츩 주130)
츩:
날칡.
불휘 주131)
불휘:
뿌리[根].
디허 주132)
디허:
찧어. 딯-[擣]+-어.
주133)
:
짜. -[絞]+-아.
즙을 서 홉곰 주134)
홉곰:
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머고 주135)
머고:
먹되. 먹-[服]+-오.

구급간이방언해 권2:105ㄴ

주136)
조:
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머거 주137)
머거:
먹어. 먹-[服]+-어.
긋도록 주138)
긋록:
그치도록. 긋-[止]+-록.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라 주139)
라:
하라.

날칡 뿌리 찧어 짜 즙(汁)을 세 홉씩 먹되 자주 먹어 그치도록 하라.

生地黃汁 一大盞 黃明膠  갓플一兩炙令黃燥 擣膠細羅爲散內地黃汁中以瓷器盛於一㪷米飯甑上蒸之候飯熟分爲二服甚者不過再劑

주140)
:
날것[生].
디 주141)
디:
지황의. 디(地黃)+-ㅅ.
불휘 주142)
불휘:
뿌리.
주143)
:
짠. -+-오-+-ㄴ.
즙 큰  되예 주144)
되예:
되에. 되[盞]+-예.
 주145)
:
맑은. -[明]+-.
갓플 주146)
갓플:
갖풀[膠]. 아교(阿膠).
 을 브레 주147)
브레:
불에. 블+-에.
야 주148)
야:
쬐어. -+-야. ‘자(炙)’가 ‘브레 다’로 번역됨.
누르게 주149)
누르게:
누르게. 누르-[黃]+-게.
외야 주150)
외야:
말리어. ‘令…燥(조)’가 ‘외다’로 번역됨.
디허 주151)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152)
리:
가늘게. -[細]+-이.
주153)
처:
쳐. 츠-[羅]+-어.
디 즙에 주154)
디즙에:
지황즙(地黃汁)에.
녀허 주155)
녀허:
넣어. 녛-[入]+-어.
사그르세 주156)
사그르세:
사기그릇에. 사그릇[瓷器]+-에.
다마 주157)
다마:
담아. 담-[盛]+-아.
밥  말  주158)
:
찌는. -+--+ㄴ.
시르 주159)
시르:
시루[甑].
우희 주160)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61)
:
쪄. -[蒸]+-어.
니글 주162)
니글:
익을. 닉-[熟]+-을.
만커든 주163)
만커든:
만하거든. 만-+-거든.

구급간이방언해 권2:106ㄱ

주164)
화:
나누어. 호-[分]+-아.
두 번에 머그라  니도 주165)
니도:
중한 이도. -+-ㄴ#이[者]+-도. ‘심자(甚者)’가 ‘ 니’로 번역됨.
두 번 라 주166)
라:
만들어. -+-아.
머고매 주167)
머고매:
먹음에. 먹-+-옴+-애. ‘제(劑)’가 ‘라 먹다’로 번역됨. 제(劑)는 ‘약 짓다. 조합(調合)하다’.
넘디 주168)
넘디:
넘지. 넘-[過]+-디.
아니리라 주169)
아니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라.

생지황 뿌리 짠 즙 큰 한 되에 맑은 갖풀[阿膠] 한 냥을 불에 쬐어 누르게 말리어 찧어 가늘게 쳐 그 지황즙(地黃汁)에 넣어 사기그릇에 담아 밥 한 말 찌는 시루 위에 쪄 밥 익을 만하거든 나누어 두 번에 먹으라. 아주 중한 이도 두 번 만들어 먹음에 넘지 아니할 것이다.

濃煮雞蘇 주170)
계소(雞蘇):
못 가운데 자소(紫蘇). ‘믈[水]+-ㅅ#하’에서 자음 ‘ㄹ’이 탈락된 것이다. 고유어 ‘믓하’와 한자어 ‘계소(雞蘇)’는 동의 관계에 있다.
믓하 즙 飮之以多爲妙

믓하 디투 주171)
디투:
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글힌 주172)
글힌:
끓인. 글히-[煮]+-ㄴ.
즙을 머고 주173)
머고:
먹되. 먹-[飮]+-오.
만히 주174)
만히:
많이. 만-[多]+-ㅣ.
먹록 주175)
먹록:
먹을수록. 먹-+-록. ‘-록’은 ‘-ㄹ수록’.
됴니라

못 가운데 사는 자소(紫蘇) 짙게 끊인 즙을 먹되 많이 먹을수록 좋다.

銚兒內先鎔黃蠟 一兩內黃連末一兩攪調稍凝分爲三丸以糯米  粥化一丸服之日盡三丸差

구급간이방언해 권2:106ㄴ

쇠 그르세 주176)
쇠그르세:
작은 가마에. 쇠그릇[銚兒]+-에.
몬져 주177)
몬져:
먼저[先].
밀  을 노기고 주178)
노기고:
녹이고. 노기-[鎔]+-고.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련 주179)
련:
황련(黃連).
로니   녀허 주180)
녀허:
넣어. -[內]+-어.
고게 주181)
고게:
고르게. 고-[調]+-게.
저 주182)
저:
저어. -(‘젓-’의 이형태)[攪]+-어.
간 주183)
간:
조금[稍].
얼의어든 주184)
얼의어든:
엉기거든. 얼의-[凝]+-어든.
주185)
세:
세[三].
환애 주186)
환애:
환(丸)에.
라 주187)
라:
만들어. -[爲]+-아.
 주188)
:
찹쌀[糯米].
쥭에 주189)
쥭에:
죽에. 쥭(粥)+-에.
 환을 노겨 주190)
노겨:
녹여. 노기-[化]+-어.
머고 주191)
머고:
먹되. 먹-[服]+-오.
 주192)
:
하루[日].
세 환을 다 머그면 주193)
머그면:
먹으면. 먹-+-으면. ‘진(盡)’이 ‘다 먹다’로 번역됨.
됴리라 주19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작은 가마에 먼저 밀 한 냥을 녹이고 황련(黃連) 간 것 한 냥 넣어 고르게 저어 조금 엉기거든 세 환(丸)에 만들어 찹쌀 죽에 한 환을 녹여 먹되 하루 세 환을 다 먹으면 나을 것이다.

茜根 곱도 불휘 一兩淡漿水  글힌  믈 一大盞煎取半盞去滓溫服之

곱도 주195)
곱도:
꼭두서니의. 곱도[茜]+-ㅅ.
불휘 주196)
불휘:
뿌리[根].
주197)
:
한[一].
을 주198)
을:
냥을. (兩)+-을.
주199)
:
쌀.
글힌 주200)
글힌:
긇인. 글히-+-ㄴ.
 주201)
:
맑은. -[淡]+-.
주202)
믈:
물[水].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큰  되예 주203)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204)
달혀:
달여. 달히-[煎]+-어.
주205)
되:
되가. 되[盞]+∅.
외어든 주206)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즈 주207)
즈:
찌꺼기[滓].
앗고 주208)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

구급간이방언해 권2:107ㄱ

주209)
니:
따뜻한 것. -+-ㄴ#이. ‘온(溫)’이 ‘니’로 번역됨.
머그라 주210)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꼭두서니 뿌리 한 냥을 쌀 끓인 맑은 물 한 큰 되에 달여 반 되가 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따뜻한 것 먹으라.

栢葉 즉닙 擣羅爲散不計時候以粥飮調下二錢

즉 주211)
즉:
측백[栢].
니플 주212)
니플:
잎을. 닢[葉]+-을.
디허 주213)
디허:
찧어. 딯-[擣]+-어.
주214)
처:
쳐. 츠-[羅]+-어.
니 주215)
니:
때[時候].
혜디 주216)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217)
마오:
말고. 마-[不]+-오.
주218)
두:
두[二].
돈만 주219)
돈만:
돈만. 돈[錢]+-만.
쥭 므레 주220)
쥭므레:
죽물에. 쥭(粥)#믈[飮]+-에.
프러 주221)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222)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측백(側栢) 잎을 찧어 쳐 때 헤아리지 말고 두 돈만 죽물에 풀어 먹으라.

黃苓 솝서근픐 불휘 一兩去心中黑腐擣細羅爲散每服三錢以水一中盞煎至六分不計時候和滓溫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107ㄴ

솝서근픐 주223)
솝서근픐:
솝서근플+-ㅅ.
불휘 주224)
불휘:
뿌리.
주225)
:
한[一].
을 주226)
을:
냥을. (兩)+을.
소개 주227)
소개:
속에. 속[心中]+-애.
검서근 주228)
검서근:
검고 썩은. 검-[黑]#석-[腐]+-은.
앗고 주229)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디허 주230)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231)
리:
가늘게. -[細]+-이.
주232)
처:
쳐. 츠-[羅]+-어.
주233)
서:
서[三].
돈곰 주234)
돈곰:
돈씩. 돈[錢]+-곰.
주235)
믈:
물[水].
홉애 주236)
홉애:
홉에. 홉+-애. ‘일중잔(一中盞)’이 ‘닷 홉’으로 번역됨.
달혀 주237)
달혀:
달여. 달히-[煎]+-어.
남거든 주238)
남거든:
남짓하거든. 남-+-거든. ‘至六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니 주239)
니:
때[時候].
혜디 주240)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241)
마오:
말고. 마-[不]+-오.
즈 주242)
즈:
찌꺼기[滓].
조쳐 주243)
조쳐:
합치어. 합하여. 조치-[和]+-어.
닐 주244)
닐:
따뜻한 것을. -+-ㄴ#이+-ㄹ.
머그라 주245)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속서근풀의 뿌리 한 냥을 속에 검고 썩은 것 제거하고 찧어 가늘게 쳐 서 돈씩 물 닷 홉에 달여 반 남짓하거든 때 헤아리지 말고 찌꺼기 합쳐 따뜻한 것을 먹으라.

貝母一兩炮令黃擣細羅爲散不計時候以溫漿  슉 調下二錢

패모 주246)
패모:
패모(貝母).
주247)
:
한[一].
을 주248)
을:
냥을. (兩)+-을.
죠예 주249)
죠예:
종이에. 죠+-예.
주250)
:
싸. -+-아.
주251)
믈:
물.
저져 주252)
저져:
적시어. 저지-+-어.
누르게 주253)
누르게:
누르게. 누르-[黃]+-게.
구어 주254)
구어:
구워. -+-어〉구〉구워〉구어. ‘炮’가 ‘죠예  믈 저져 굽다’로 번역된다.
디허 주255)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256)
리:
가늘게.
주257)
처:
쳐. 츠-[羅]+-어.
니 주258)
니:
때[時候].
혜디 주259)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260)
마오:
말고. 마-(‘말-’의 이형태)[不]+-오.
 주261)
:
따뜻한. -[溫]+-ㄴ.

구급간이방언해 권2:108ㄱ

애
주262)
슉애:
미음에. 쌀 끓인 물에. 슉[漿]+-애.
주263)
두:
두[二].
돈만 주264)
돈만:
돈만. 돈[錢]+-만.
프러 주265)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266)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패모(貝母) 한 냥을 종이에 싸 물 적시어 누르게 구워 찧어 가늘게 쳐 때 헤아리지 말고 따뜻한 미음(米飮)에 두 돈만 풀어 먹으라.

石榴樹根下地龍糞 위  不限多少細硏新汲水 새로 기론 믈 一中盞調三錢飮之卽差

셕류나못 주267)
셕류나못:
석류나무의. 셕류(石榴)#나모[樹]+-ㅅ.
불휘 주268)
불휘:
뿌리[根].
아랫 주269)
아랫:
아래의. 아래[下]+-ㅅ.
위 주270)
위:
지렁이[地龍].
을 주271)
을:
똥을. [糞]+-을.
하나 주272)
하나:
많으나. 하-[多]+-나.
져그나 주273)
져그나:
적으나. 젹-[少]+-으나.
리 주274)
리:
가늘게.
라 주275)
라:
갈아. -[硏]+-아.
새로 기론 주276)
기론:
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믈 닷 홉애 서 돈을 프러 주277)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278)
머그면:
먹으면. 먹-[飮]+-으면.
즉재 주279)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280)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석류나무의 뿌리 아래의 지렁이 똥을 많으나 적으나 가늘게 갈아 새로 길은 물 닷 홉에 서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楮葉 닥 닙 擣絞取汁不計時候服一小盞

닥나못 주281)
닥나못:
닥나무의. 닥나모[楮]+-ㅅ.
주282)
닙:
잎[葉].
디허 주283)
디허:
찧어. 딯-[擣]+-어.
주284)
:
짜. -[絞]+-아.
즙을 주285)
즙을:
즙을. 즙(汁)+-을.
니 주286)
니:
때[時候].
혜디 주287)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288)
마오:
말고. 마-[不]+-오.

구급간이방언해 권2:108ㄴ

홉만 주289)
홉만:
홉만.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머그라 주290)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닥나무의 잎 찧어 짜 즙을 때 헤아리지 말고 세 홉만 먹으라.

松烟墨汁 연먹 론 믈 服之卽愈

연먹 주291)
연먹:
송연먹. 연(松烟)#먹[墨].
론 주292)
론:
간. -+-오-+-ㄴ.
므 주293)
므:
물을. 믈[汁]+-.
머그면 주294)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즉재 주295)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296)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송연 주297)
송연(松烟):
소나무 태운 그을음. 먹의 원료로 쓰인다.
먹 간 물을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香附子去毛爲細末以米飮  글힌 믈 調下

부 주298)
부:
향부자를. 부(香附子)+-.
터리 주299)
터리:
털[毛].
앗고 주300)
앗고:
제거하고.
리 주301)
리:
가늘게.
라 주302)
라:
갈아. -[爲…末]+-아.
주303)
:
쌀[米].
글힌 주304)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305)
므레:
물에. 믈-+-에.
프러 주306)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307)
머그라:
먹으라. 먹-[下]+-라.

향부자(香附子)를 털 제거하고 가늘게 갈아 쌀 끓인 물에 풀어 먹으라.

欝金末 심  井花水 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 믈 調一錢甚者再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109ㄱ

심 주308)
심:
심황. 울금(欝金).
로니 주309)
로니:
간 것을. +-오-+-ㄴ#이+-. ‘말(末)’이 ‘로니’로 번역됨.
새배 주310)
새배:
새벽에.
주311)
:
남.
아니 기러셔 주312)
기러셔:
길어서. 길-(‘긷-’의 이형태)+-어셔.
몬져 주313)
몬져:
먼저.
기론 주314)
기론:
길은. 길-+-오-+-ㄴ.
우믌므레 주315)
우믌므레:
우물물에. 우믈+-ㅅ#믈+-에.
 돈만 프러 주316)
프러:
풀어. 플-+-어.
머고 주317)
머고:
먹되. 먹-+-오. ‘조(調)’가 ‘프러 먹다’로 번역됨.
 주318)
:
아주.
니 주319)
니:
중한 이는. -+-ㄴ#이[者]+-. ‘심(甚)’이 ‘ 다’로 번역됨.
다시 주320)
다시:
다시[再].
머그라 주32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심황 간 것을 새벽에 남이 긷지 아니하여서 먼저 길은 우물물에 한 돈만 풀어 먹되 아주 중한 이는 다시 먹으라.

白芨 대왐픐 불휘 硏爲末粥飮調服

대왐픐 주322)
대왐픐:
대왐풀의. 대왐플+-ㅅ.
불휘 주323)
불휘:
뿌리.
라 주324)
라:
갈아. -[硏]+-아.
 주325)
:
가루를. (‘’의 이형태)[末]+-.
쥭므레 주326)
쥭므레:
죽물에. 쥭(粥)#믈[飮]+-에.
프러 주327)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328)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대왐풀의 뿌리 갈아 가루를 죽물에 풀어 먹으라.

烏梅 홧 여름 예 그려 외요니 不以多少煎湯調百草霜 솓 미틧 거믜 一服愈

구급간이방언해 권2:109ㄴ

홧 주329)
홧:
매화의. 화+-ㅅ.
여름 주330)
여름:
열매. 열-+-음.
예 주331)
예:
연기에. 내에. +-예.
그려 주332)
그려:
그슬려. 그리-+-어.
외니 주333)
외니:
말린 것을. 외-+-ㄴ#이+-.
하나 주334)
하나:
많으나. 하-[多]+-나.
져그나 주335)
져그나:
적으나. 젹-[少]+-으나.
달힌 주336)
달힌:
달인. 달히-[煎]+-ㄴ.
므레 주337)
므레:
물에. 믈[湯]+-에.
주338)
솓:
솥.
미틧 주339)
미틧:
밑에 있는. 밑+-의+-ㅅ.
거믜을 주340)
거믜을:
검댕을. 거믜+-을.
프러 주341)
프러:
풀어. 플-[調]+-어.
주342)
:
한[一].
번만 주343)
번만:
번만. 번+-만.
머그면 주344)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345)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매화(梅花)의 열매 연기에 그슬려 말린 것을 많으나 적으나 달인 물에 솥 밑에 있는 검댕을 풀어 한 번만 먹으면 나을 것이다.

黃蘗 벽피 好者以蜜 塗之乾杵爲末用麥門冬熟水調下二錢匕立差

벽피 주346)
벽피:
황벽피[黃蘗].
됴니 주347)
됴니:
좋은 것을. 둏-[好]+-#이[者]+-.
주348)
:
꿀[蜜].
라 주349)
라:
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외야 주350)
외야:
말리어. 외-[乾]+-야.
디허 주351)
디허:
찧어. 딯-[杵]+-어.
 주352)
:
가루를. (‘’의 이형태)[末]+-.
문 주353)
문:
맥문동의. 문동(麥門冬)+-ㅅ.
불휘 주354)
불휘:
뿌리.
글힌 주355)
글힌:
끓인. 글히-[熟]+-ㄴ.
므레 주356)
므레:
물에. 믈[水]+-에.
주357)
두:
두[二].
돈을 주358)
돈을:
돈을. 돈[錢匕]+-을.
프러 주359)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360)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즉재 주361)
즉재:
즉시[立].
됴리라 주362)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황벽피 좋은 것을 꿀 발라 말리어 찧어 가루를 맥문동(麥門冬)의 뿌리 끓인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110ㄱ

雞冠花子 만드라미  爲末熱酒調下一錢

만라미 주363)
만라미:
맨드라미[雞冠花].
 주364)
:
씨를. [子]+.
라 주365)
라:
갈아. -[爲末]+-아.
더운 주366)
더운:
뜨거운. 더우-[熱]+-ㄴ.
수레 주367)
수레:
술에. 술[酒]+-에.
주368)
:
한[一].
돈을 주369)
돈을:
돈을. 돈[錢]+-을.
프러 주370)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371)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맨드라미 씨를 갈아 뜨거운 술에 한 돈을 풀어 먹으라.

燈心 골속 燈上燒灰爲末溫水調下一錢食後服

골속을 주372)
골속을:
골속을. 골속[燈心]+-을.
브레 주373)
브레:
등잔불에. 블[燈]+-에. ‘블’은 ‘잔+-ㅅ#블’로 분석됨. 등(燈)은 ‘등잔. 등불’.
라 주374)
라:
살라. -[燒]+-아.
라 주375)
라:
갈아. -[爲末]+-아.
돈만 주376)
돈만:
돈만. 돈[錢]+-만.
 주377)
:
따뜻한. -[溫]+-ㄴ.
므레 주378)
므레:
물에. 믈[水]+-에.
프러 주379)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근 주380)
머근:
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후에 머그라 주38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골속을 등잔불에 살라 갈아 한 돈만 따뜻한 물에 풀어 밥 먹은 후에 먹으라.

服自己小便

구급간이방언해 권2:110ㄴ

주382)
제:
제. 자기(自己).
오좀을 주383)
오좀을:
오줌을. 오좀[小便]+-을.
머그라 주384)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자기 오줌을 먹으라.

黃丹不以多少細硏發時用新汲水  기론 믈 調下二錢

단을 주385)
단을:
황단을. 단(黃丹)+-을.
하나 주386)
하나:
많으나. 하-[多]+-나.
져그나 주387)
져그나:
적으나. 젹-[少]+-으나.
리 주388)
리:
가늘게.
라 주389)
라:
갈아. -[硏]+-아.
주390)
피:
피가. 피+∅.
주391)
날:
날. 나-[發]+-ㄹ(관형사형 어미).
주392)
제:
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주393)
:
갓[新].
기론 주394)
기론:
길은. 길-[汲]+-오-+-ㄴ.
므레 주395)
므레:
물에. 믈-[水]+-에.
주396)
두:
두[二].
돈만 주397)
돈만:
돈만. 돈[錢]+-만.
프러 주398)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399)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황단(黃丹)을 많으나 적으나 가늘게 갈아 피가 날 때에 갓 길은 물에 두 돈만 풀어 먹으라.

雞子淸 알  믈 投新汲水  기론 믈 人參 爲末調一錢服

알 주400)
알:
달걀[雞子]. [雞]+-#알[子].
소뱃 주401)
소뱃:
속에 있는. 솝+-애+-ㅅ.
 주402)
:
맑은. -+-.
므 주403)
므:
물을. 믈+-.
주404)
:
갓[新].
기론 주405)
기론:
길은. 길-[汲]+-오-+-ㄴ.
므레 주406)
므레:
물에. 믈[水]+-에.
녀코 주407)
녀코:
넣고. 녛-[投]+-고.

구급간이방언해 권2:111ㄱ

주408)
심:
인삼(人參).
로니 주409)
로니:
간 것. -+-오-+-ㄴ#이. ‘위말(爲末)’이 ‘로니’로 번역됨.
 돈을 프러 주410)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41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달걀 속에 있는 맑은 물을 갓 길은 물에 넣고 인삼(人參) 간 것 한 돈을 풀어 먹으라.

百合 개나릿 불휘 擣絞汁和水飮之及煮熟食

개나릿 주412)
개나릿:
개나리의. 개나리+-ㅅ.
불휘 주413)
불휘:
뿌리를. 불휘+-.
디허 주414)
디허:
찧어. 딯-[擣]+-어.
주415)
:
짜. -[絞]+-아.
즙을 므레 주416)
므레:
물에. 믈[水]+-에.
프러 주417)
프러:
풀어. 플-[和]+-어.
머그며 주418)
머그며:
먹으며. 먹-[飮]+-으며.
주419)
:
또[及].
닉게 주420)
닉게:
익게. 닉-[熟]+-게.
글혀 주421)
글혀:
끓여. 글히-[煮]+-어.
머그라 주422)
머그라:
먹으라. 먹-[食]+-으라.

개나리의 뿌리를 찧어 짜 즙을 물에 풀어 먹으며 또 익게 끓여 먹으라.

因內損或酒色勞損或心肺脉破血氣妄行血如湧泉口鼻俱出湏㬰不救 側栢葉 즉 닙 蒸乾 人參 심 焙乾一兩 細末每服二錢入飛羅麪 밄 二錢新汲井花水 새배  아니 기러셔 몬져 기론 우믌믈

구급간이방언해 권2:111ㄴ

調如稀糊啜服血如湧泉不過二服卽止

안히 주423)
안히:
안이. 안ㅎ-[內]+-이.
커나 주424)
커나:
상하거나. -[損]+-거나.
술와 주425)
술와:
술과. 술[酒]+-와.
과 주426)
과:
색을. (色)+-과+-.
너무 야 커나 심폐이 주427)
심폐이:
심폐맥이. 심폐(心肺脉)+-이.
커나 주428)
커나:
상하거나. -[破]+-거나.
혈긔 주429)
혈긔:
혈기가. 혈긔(血氣)+∅.
간대로 주430)
간대로:
멋대로[妄].
야 주431)
야:
행하여. -[行]+-야.
나미 주432)
나미:
남이. 남-+-암+-이.
 주433)
:
샘솟듯. -[湧泉]+-.
야 입과 주434)
입과:
입과. 입[口]+-과.
고해 주435)
고해:
코에. 고ㅎ[鼻]+-애.
주436)
다:
다[俱].
주437)
나:
나. 나와. 나-[出]+∅.
져근더데 주438)
져근더데:
잠깐. 잠시[湏㬰].
고티디 주439)
고티디:
고치지. 고티-[救]+-디.
몯니 주440)
몯니:
몯하니. 몯-[不]+--+-니.
즉 주441)
즉:
측백(側柏).
주442)
닙:
잎[葉].
주443)
:
쪄. -[蒸]+-어.
외요니와 주444)
외요니와:
말린 갓과. 외-+-요-+-ㄴ#이+-와. ‘건(乾)’이 ‘외요니’로 번역됨.
주445)
심:
인삼(人參).
브레 주446)
브레:
불에. 블+-에.
외요니와 주447)
외요니와:
말린 것과. ‘배건(焙乾)’이 ‘브레 외요니’로 번역됨.
주448)
각:
각각[各].
주449)
:
한[一].
을 주450)
을:
냥을. (兩)+-을.
리 주451)
리:
가늘게. -[細]+-이.
라 주452)
라:
갈아. -[末]+-아.
주453)
두:
두[二].
돈곰 주454)
돈곰:
돈씩. 돈[錢]+-곰.
 주455)
:
가는. -[飛羅]+-ㄴ.
밄 주456)
밄:
밀가루[麪].
두 돈 드려 주457)
드려:
들여. 드리-[入]+-어.
새배 주458)
새배:
새벽에.
주459)
:
남.
아니 기러셔 주460)
기러셔:
길어서. 길-+-어셔. 어간 ‘길-’은 ‘긷-[汲]’의 이형태임.
몬져 주461)
몬져:
먼저.
기론 주462)
기론:
길은. 긷-+-오-+-ㄴ. 어간 ‘길-’은 ‘긷-’의 이형태임.
우믌므레 주463)
우믌므레:
우물물에. 우믈+-ㅅ#믈+-에.

구급간이방언해 권2:112ㄱ

주464)
프러:
풀어. 플-[調]+-어.
누근 주465)
누근:
묽은. 눅-[稀]+-은.
주466)
플:
풀[糊].
거든 주467)
거든:
같거든. -[如]+-거든.
머그라 주468)
머그라:
먹으라. 먹-[啜服]+-으라.
피 믈 솟 주469)
솟:
솟듯. 솟-[湧泉]+-.
야도 두 번 너무 주470)
너무:
너무. 넘게. 넘-[過]+-우.
먹디 주471)
먹디:
먹지. 먹-[服]+-디.
아니야셔 주472)
아니야셔:
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즉재 주473)
즉재:
즉시[卽].
그츠리라 주474)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안이 상하거나 술과 색(色)을 너무 하여 상하거나 심폐맥(心肺脉)이 상하거나 혈기(血氣)가 멋대로 행하여 피가 남이 물 샘솟듯 하여 입과 코에 다 나 잠깐 고치지 못하니 측백(側柏) 잎 쪄 말린 것과 인삼(人參) 불에 말린 것과 각각 한 냥을 가늘게 갈아 두 돈씩 가는 밀가루 두 돈 들여 새벽에 남 긷지 아니하여 먼저 길은 우물물에 풀어 묽은 풀 같거든 먹으라. 피가 물 솟듯 하여도 두 번 넘게 먹지 아니하여서 즉시 그칠 것이다.

荊芥 가 一握燒過盖於地上要出火毒細硏如粉以陳米飮 무근  글힌 믈 調下三錢許與服不過二服效

가 주475)
가:
정가. 형개(荊芥).
줌을 주476)
줌을:
줌을. 줌[握]+-을.
라 주477)
라:
살라. -[燒]+-아.
해 주478)
해:
땅에. ㅎ[地上]+-애[於].
두퍼 주479)
두퍼:
덮어. 둪[蓋]+-어.
븘 긔운 주480)
븘긔운:
불의 독기(毒氣). 블[火]+-ㅅ(속격 조사)#긔운[毒].
내오 주481)
내오:
내고. 내-[出]+-오.
리 주482)
리:
가늘게. -[細]+-이.
주483)
분:
분(粉).
티 주484)
티:
같이. -[如]+-이.
라 주485)
라:
갈아. -[硏]+-아.
무근 주486)
무근:
묵은. 묵-[陳]+-은.
주487)
:
쌀의. [米]+-ㅅ.
글힌 주488)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489)
므레:
물에. 믈-+-에. ‘미음(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됨.

구급간이방언해 권2:112ㄴ

돈을 주490)
돈을:
돈을. 돈[錢]+-을.
프러 주491)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492)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두 번 너무 주493)
너무:
너무. 넘게. 넘-[過]+-우.
먹디 주494)
먹디:
먹지. 먹-[服]+-디.
아니야셔 주495)
아니야셔:
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됴리라 주496)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정가 한 줌을 살라 땅에 덮어 불의 독기(毒氣) 내고 가늘게 분(粉) 같이 갈아 묵은 쌀 끓인 물에 서 돈을 풀어 먹으라. 두 번 넘게 먹지 아니하여서 나을 것이다.

釜底墨 가마 미틧 거믜 刮下細硏如粉每服三錢濃米飮 디투 글힌  믈 調下連進二三服

가마 주497)
가마:
가마[釜].
미틧 주498)
미틧:
밑에 있는. 밑[底]+-의+-ㅅ.
거믜을 주499)
거믜을:
검댕을. 거믜[墨]+-을.
가 주500)
가:
갉아. -[刮下]+-아.
리 주501)
리:
가늘게.
라 주502)
라:
갈아. -[硏]+-아.
티 주503)
티:
같이.
야 서 돈곰 주504)
돈곰:
돈씩. 돈[錢]+-곰.
디투 주505)
디투:
짙게. 진하게. 딭-[濃]+-우.
글힌 주506)
글힌:
끓인. 글히-+-ㄴ.
주507)
:
쌀의. [米]+-ㅅ.
므레 주508)
므레:
물에. 물[飮]+-에.
프러 주509)
프러:
풀어. 플-[調]+-어.
닛워 주510)
닛워:
계속하여. 이어. 닛우-[連]+-어.
두 주511)
두:
두어. 두[二]#[三].
번을 머그라 주512)
머그라:
먹으라. 먹-[進]+-으라.

가마 밑에 잇는 검댕을 갉아 가늘게 갈아 분(粉) 같이 하여 서 돈씩 짙게 끓인 쌀 물에 풀어 계속하여 두어 번을 먹으라.

烏賊魚骨 미긔치 搗細羅爲散不計時以淸粥

구급간이방언해 권2:113ㄱ

飮調下二錢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미긔치 주513)
미긔치:
오징어 뼈를. 미긔치[烏賊魚骨]+-.
디허 주514)
디허:
찧어. 딯-[搗]+-어.
리 주515)
리:
가늘게.
주516)
처:
쳐. 츠-[羅]+-어.
 주517)
:
가루를.
니 주518)
니:
때[時].
혜디 주519)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520)
마오:
말고. 마-[不]+-오.
 주521)
:
맑은. -[淸]+-.
쥭므레 주522)
쥭므레:
죽물에. 쥭(粥)#믈[飮]+-에.
두 돈곰 프러 주523)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524)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오징어 뼈를 찧어 가늘게 쳐 가루를 때 헤아리지 말고 맑은 죽물에 두 돈씩 풀어 먹으라.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목의:목에. 목+-의(처소격 조사).
주002)
피:피. 피가. 피[血]+∅(주격 조사).
주003)
나:나는. 나-+--+-ㄴ.
주004)
화졔애:화제방에. 화졔방(和劑方)+-애.
주005)
즉:측백(側栢).
주006)
닙:잎. ‘닙’은 ‘닢’의 팔종성표기임.
주007)
더드려:더하여. 더드리-[加]+-어.
주008)
달히니와:달인 것을. 달히-+ㄴ#이+-와+-. ‘전(煎)’이 ‘달히니’로 번역됨.
주009)
머고미:먹음이. 먹-[服]+-옴+-이.
주010)
맛니라:마땅하다. 맛-[宜]+-니-+-라.
주011)
토호미:토함이. 토-[吐]+-옴+-이.
주012)
긋디:그치지. 긋-[止]+-디.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주013)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014)
즉:측백[柏].
주015)
닙과:잎과. 닙[葉]+-과. ‘닙’은 ‘닢’의 팔종성표기임.
주016)
:마른. -[乾].
주017)
:생강[薑].
주018)
과:냥과. (兩)+-과.
주019)
:쑥[艾].
주020)
줌과:줌과. 줌[把]+-과.
주021)
믈:믈[水].
주022)
닷:닷. 다섯[五].
주023)
되와:되와. 되[升]+-와.
주024)
:말똥[馬通].
주025)
:짠. -+-오-+-ㄴ.
주026)
되와:되를. 되[升]+-와+-.
주027)
뫼화:모아. 뫼호-[合]+-아.
주028)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029)
되:되가. 되[升]+∅(주격 조사).
주030)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031)
화:나누어. 호-[分]+-아.
주032)
닐:따뜻한 것을. -+-ㄴ#이+-ㄹ. ‘온(溫)’이 ‘니’로 번역됨.
주033)
번에:번에. ‘재(再)’가 ‘두 번’으로 번역됨.
주034)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35)
니기:무르게. 닉-[熟]+-이.
주036)
디흔:찧은. 딯-+-은.
주037)
:쑥[艾].
주038)
알:달걀[雞子]. [雞]+-#알[子].
주039)
세:세[三].
주040)
낫만:낱만큼. 낫+만.
주041)
니:한 것을. -+-ㄴ#이+-.
주042)
믈:물[水].
주043)
닷:닷. 다섯[五].
주044)
되예:되에. 되[升]+-예.
주045)
글혀:끌혀. 글히-[煮]+-어.
주046)
두:두[二].
주047)
되:되가. 되[升]+∅(주격 조사).
주048)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049)
믄득:다[頓].
주050)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51)
허튼:헝클어진. 헡-[亂]+-은.
주052)
머리터리:머리털[髮]. 머리#터리.
주053)
론:사른. -[燒]+-오-+-ㄴ.
주054)
:재를. [灰]+-.
주055)
술만:숟가락만. 술[匕]+-만.
주056)
므레:물에. 물[水]+-에.
주057)
머고:먹되. 먹-[服]+-오.
주058)
:하루[日].
주059)
:날것[生].
주060)
디:지황(地黃).
주061)
불휘:뿌리.
주062)
굴그니:굵은 것. 굵-[肥]+-은#이[者].
주063)
닷:닷. 다섯[五].
주064)
되:되를. 되[升]+-.
주065)
디허:찧어. 딯-[擣]+-어.
주066)
되예:되에. 되[升]+-예.
주067)
글효:끓이되. 글히-[煮]+-오.
주068)
글허:끓어. 긇-+-어.
주069)
오거든:오르거든. 오-+-거든. ‘비(沸)’가 ‘글허 오다’로 번역됨.
주070)
드러:들어. 들-+-어.
주071)
내야:내어. 내-+-야.
주072)
머초오:멈춤을.
주073)
즈:찌꺼기[滓].
주074)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075)
믄득:다[頓].
주076)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77)
계피:계피[桂].
주078)
론:간. -+-오-+-ㄴ.
주079)
:가루[末].
주080)
두:두[二].
주081)
믈와:찬물과. 믈[水]+-와.
주082)
더운믈과:더운물과. 더운믈[湯]+-와.
주083)
게:같게. -+-게.
주084)
야:하여. ‘각반(各半)’이 ‘게 다’로 번역됨.
주085)
디투:짙게. 진하게. 딭-[濃]+-우.
주086)
프로니:푼 것. 플-+-오-+-ㄴ#이. ‘조(調)’가 ‘프로니’로 번역됨.
주087)
닐:한 것을. -+-ㄴ#이+-ㄹ.
주088)
리:빨리[猛].
주089)
머고:먹되. 먹-[喫]+-오.
주090)
:아주. 매우.
주091)
니:중한 이는. -+-ㄴ#이[者]+-.
주092)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93)
녁으로:동쪽으로. 동녘으로. 녁[東]+-으로.
주094)
:향한. -[向]+-ㄴ.
주095)
핫:양하의. 하(蘘荷)+-ㅅ.
주096)
:뿌리[根].
주097)
:한[一].
주098)
줌:줌[把].
주099)
디허:찧어. 딯-[擣]+-어.
주100)
:짠. -[絞]+-오-+ㄴ.
주101)
즙을:즙을. 즙(汁)+-을.
주102)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03)
부들마치:부들의 꽃.
주104)
우희:위의. 우ㅎ+-의(속격 조사).
주105)
누른:누른. 누르-+-ㄴ.
주106)
:가루.
주107)
므레:물에. 믈+-에.
주108)
프러:풀어. 플-+-어.
주109)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10)
가마:가마.
주111)
믿:밑.
주112)
마촘:가까운 곳.
주113)
아랫:아래의. 아래+-ㅅ.
주114)
:흙.
주115)
두:두[二].
주116)
을:냥을. (兩)+-을.
주117)
:갓[新].
주118)
기론:길은. 길-[汲]+-오-+-ㄴ.
주119)
믈:물[水].
주120)
되예:되에. 되[盞]+-예.
주121)
안초아:앉히어. 안초-+-아.
주122)
바타:밭이어. 걸러. 밭-+-아.
주123)
:꿀[蜜].
주124)
술:숟가락[匙].
주125)
녀허:넣어. 녛-[入]+-어.
주126)
고게:고르게. 고-[勻]+-게.
주127)
저:저어. -(‘젓-’의 이형태)[攪]+-어.
주128)
믄득:다[頓].
주129)
머그라:먹-[服]+-으라.
주130)
츩:날칡.
주131)
불휘:뿌리[根].
주132)
디허:찧어. 딯-[擣]+-어.
주133)
:짜. -[絞]+-아.
주134)
홉곰: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주135)
머고:먹되. 먹-[服]+-오.
주136)
조: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주137)
머거:먹어. 먹-[服]+-어.
주138)
긋록:그치도록. 긋-[止]+-록. 어간 ‘긋-’은 ‘긏-’의 팔종성표기임.
주139)
라:하라.
주140)
:날것[生].
주141)
디:지황의. 디(地黃)+-ㅅ.
주142)
불휘:뿌리.
주143)
:짠. -+-오-+-ㄴ.
주144)
되예:되에. 되[盞]+-예.
주145)
:맑은. -[明]+-.
주146)
갓플:갖풀[膠]. 아교(阿膠).
주147)
브레:불에. 블+-에.
주148)
야:쬐어. -+-야. ‘자(炙)’가 ‘브레 다’로 번역됨.
주149)
누르게:누르게. 누르-[黃]+-게.
주150)
외야:말리어. ‘令…燥(조)’가 ‘외다’로 번역됨.
주151)
디허:찧어. 딯-[擣]+-어.
주152)
리:가늘게. -[細]+-이.
주153)
처:쳐. 츠-[羅]+-어.
주154)
디즙에:지황즙(地黃汁)에.
주155)
녀허:넣어. 녛-[入]+-어.
주156)
사그르세:사기그릇에. 사그릇[瓷器]+-에.
주157)
다마:담아. 담-[盛]+-아.
주158)
:찌는. -+--+ㄴ.
주159)
시르:시루[甑].
주160)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61)
:쪄. -[蒸]+-어.
주162)
니글:익을. 닉-[熟]+-을.
주163)
만커든:만하거든. 만-+-거든.
주164)
화:나누어. 호-[分]+-아.
주165)
니도:중한 이도. -+-ㄴ#이[者]+-도. ‘심자(甚者)’가 ‘ 니’로 번역됨.
주166)
라:만들어. -+-아.
주167)
머고매:먹음에. 먹-+-옴+-애. ‘제(劑)’가 ‘라 먹다’로 번역됨. 제(劑)는 ‘약 짓다. 조합(調合)하다’.
주168)
넘디:넘지. 넘-[過]+-디.
주169)
아니리라: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라.
주170)
계소(雞蘇):못 가운데 자소(紫蘇). ‘믈[水]+-ㅅ#하’에서 자음 ‘ㄹ’이 탈락된 것이다. 고유어 ‘믓하’와 한자어 ‘계소(雞蘇)’는 동의 관계에 있다.
주171)
디투: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주172)
글힌:끓인. 글히-[煮]+-ㄴ.
주173)
머고:먹되. 먹-[飮]+-오.
주174)
만히:많이. 만-[多]+-ㅣ.
주175)
먹록:먹을수록. 먹-+-록. ‘-록’은 ‘-ㄹ수록’.
주176)
쇠그르세:작은 가마에. 쇠그릇[銚兒]+-에.
주177)
몬져:먼저[先].
주178)
노기고:녹이고. 노기-[鎔]+-고.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될 수 있다.
주179)
련:황련(黃連).
주180)
녀허:넣어. -[內]+-어.
주181)
고게:고르게. 고-[調]+-게.
주182)
저:저어. -(‘젓-’의 이형태)[攪]+-어.
주183)
간:조금[稍].
주184)
얼의어든:엉기거든. 얼의-[凝]+-어든.
주185)
세:세[三].
주186)
환애:환(丸)에.
주187)
라:만들어. -[爲]+-아.
주188)
:찹쌀[糯米].
주189)
쥭에:죽에. 쥭(粥)+-에.
주190)
노겨:녹여. 노기-[化]+-어.
주191)
머고:먹되. 먹-[服]+-오.
주192)
:하루[日].
주193)
머그면:먹으면. 먹-+-으면. ‘진(盡)’이 ‘다 먹다’로 번역됨.
주194)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195)
곱도:꼭두서니의. 곱도[茜]+-ㅅ.
주196)
불휘:뿌리[根].
주197)
:한[一].
주198)
을:냥을. (兩)+-을.
주199)
:쌀.
주200)
글힌:긇인. 글히-+-ㄴ.
주201)
:맑은. -[淡]+-.
주202)
믈:물[水].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주203)
되예:되에. 되[盞]+-예.
주204)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05)
되:되가. 되[盞]+∅.
주206)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207)
즈:찌꺼기[滓].
주208)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209)
니:따뜻한 것. -+-ㄴ#이. ‘온(溫)’이 ‘니’로 번역됨.
주210)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11)
즉:측백[栢].
주212)
니플:잎을. 닢[葉]+-을.
주213)
디허:찧어. 딯-[擣]+-어.
주214)
처:쳐. 츠-[羅]+-어.
주215)
니:때[時候].
주216)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217)
마오:말고. 마-[不]+-오.
주218)
두:두[二].
주219)
돈만:돈만. 돈[錢]+-만.
주220)
쥭므레:죽물에. 쥭(粥)#믈[飮]+-에.
주221)
프러:풀어. 플-[調]+-어.
주222)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223)
솝서근픐:솝서근플+-ㅅ.
주224)
불휘:뿌리.
주225)
:한[一].
주226)
을:냥을. (兩)+을.
주227)
소개:속에. 속[心中]+-애.
주228)
검서근:검고 썩은. 검-[黑]#석-[腐]+-은.
주229)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230)
디허:찧어. 딯-[擣]+-어.
주231)
리:가늘게. -[細]+-이.
주232)
처:쳐. 츠-[羅]+-어.
주233)
서:서[三].
주234)
돈곰:돈씩. 돈[錢]+-곰.
주235)
믈:물[水].
주236)
홉애:홉에. 홉+-애. ‘일중잔(一中盞)’이 ‘닷 홉’으로 번역됨.
주237)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38)
남거든:남짓하거든. 남-+-거든. ‘至六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주239)
니:때[時候].
주240)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241)
마오:말고. 마-[不]+-오.
주242)
즈:찌꺼기[滓].
주243)
조쳐:합치어. 합하여. 조치-[和]+-어.
주244)
닐:따뜻한 것을. -+-ㄴ#이+-ㄹ.
주245)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46)
패모:패모(貝母).
주247)
:한[一].
주248)
을:냥을. (兩)+-을.
주249)
죠예:종이에. 죠+-예.
주250)
:싸. -+-아.
주251)
믈:물.
주252)
저져:적시어. 저지-+-어.
주253)
누르게:누르게. 누르-[黃]+-게.
주254)
구어:구워. -+-어〉구〉구워〉구어. ‘炮’가 ‘죠예  믈 저져 굽다’로 번역된다.
주255)
디허:찧어. 딯-[擣]+-어.
주256)
리:가늘게.
주257)
처:쳐. 츠-[羅]+-어.
주258)
니:때[時候].
주259)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260)
마오:말고. 마-(‘말-’의 이형태)[不]+-오.
주261)
:따뜻한. -[溫]+-ㄴ.
주262)
슉애:미음에. 쌀 끓인 물에. 슉[漿]+-애.
주263)
두:두[二].
주264)
돈만:돈만. 돈[錢]+-만.
주265)
프러:풀어. 플-[調]+-어.
주266)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267)
셕류나못:석류나무의. 셕류(石榴)#나모[樹]+-ㅅ.
주268)
불휘:뿌리[根].
주269)
아랫:아래의. 아래[下]+-ㅅ.
주270)
위:지렁이[地龍].
주271)
을:똥을. [糞]+-을.
주272)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273)
져그나:적으나. 젹-[少]+-으나.
주274)
리:가늘게.
주275)
라:갈아. -[硏]+-아.
주276)
기론: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주277)
프러:풀어. 플-[調]+-어.
주278)
머그면:먹으면. 먹-[飮]+-으면.
주279)
즉재:즉시[卽].
주280)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81)
닥나못:닥나무의. 닥나모[楮]+-ㅅ.
주282)
닙:잎[葉].
주283)
디허:찧어. 딯-[擣]+-어.
주284)
:짜. -[絞]+-아.
주285)
즙을:즙을. 즙(汁)+-을.
주286)
니:때[時候].
주287)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288)
마오:말고. 마-[不]+-오.
주289)
홉만:홉만.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주290)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91)
연먹:송연먹. 연(松烟)#먹[墨].
주292)
론:간. -+-오-+-ㄴ.
주293)
므:물을. 믈[汁]+-.
주294)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295)
즉재:즉시[卽].
주296)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297)
송연(松烟):소나무 태운 그을음. 먹의 원료로 쓰인다.
주298)
부:향부자를. 부(香附子)+-.
주299)
터리:털[毛].
주300)
앗고:제거하고.
주301)
리:가늘게.
주302)
라:갈아. -[爲…末]+-아.
주303)
:쌀[米].
주304)
글힌:끓인. 글히-+-ㄴ.
주305)
므레:물에. 믈-+-에.
주306)
프러:풀어. 플-[調]+-어.
주307)
머그라:먹으라. 먹-[下]+-라.
주308)
심:심황. 울금(欝金).
주309)
로니:간 것을. +-오-+-ㄴ#이+-. ‘말(末)’이 ‘로니’로 번역됨.
주310)
새배:새벽에.
주311)
:남.
주312)
기러셔:길어서. 길-(‘긷-’의 이형태)+-어셔.
주313)
몬져:먼저.
주314)
기론:길은. 길-+-오-+-ㄴ.
주315)
우믌므레:우물물에. 우믈+-ㅅ#믈+-에.
주316)
프러:풀어. 플-+-어.
주317)
머고:먹되. 먹-+-오. ‘조(調)’가 ‘프러 먹다’로 번역됨.
주318)
:아주.
주319)
니:중한 이는. -+-ㄴ#이[者]+-. ‘심(甚)’이 ‘ 다’로 번역됨.
주320)
다시:다시[再].
주32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322)
대왐픐:대왐풀의. 대왐플+-ㅅ.
주323)
불휘:뿌리.
주324)
라:갈아. -[硏]+-아.
주325)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326)
쥭므레:죽물에. 쥭(粥)#믈[飮]+-에.
주327)
프러:풀어. 플-[調]+-어.
주328)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329)
홧:매화의. 화+-ㅅ.
주330)
여름:열매. 열-+-음.
주331)
예:연기에. 내에. +-예.
주332)
그려:그슬려. 그리-+-어.
주333)
외니:말린 것을. 외-+-ㄴ#이+-.
주334)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335)
져그나:적으나. 젹-[少]+-으나.
주336)
달힌:달인. 달히-[煎]+-ㄴ.
주337)
므레:물에. 믈[湯]+-에.
주338)
솓:솥.
주339)
미틧:밑에 있는. 밑+-의+-ㅅ.
주340)
거믜을:검댕을. 거믜+-을.
주341)
프러:풀어. 플-[調]+-어.
주342)
:한[一].
주343)
번만:번만. 번+-만.
주344)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345)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346)
벽피:황벽피[黃蘗].
주347)
됴니:좋은 것을. 둏-[好]+-#이[者]+-.
주348)
:꿀[蜜].
주349)
라: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주350)
외야:말리어. 외-[乾]+-야.
주351)
디허:찧어. 딯-[杵]+-어.
주352)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353)
문:맥문동의. 문동(麥門冬)+-ㅅ.
주354)
불휘:뿌리.
주355)
글힌:끓인. 글히-[熟]+-ㄴ.
주356)
므레:물에. 믈[水]+-에.
주357)
두:두[二].
주358)
돈을:돈을. 돈[錢匕]+-을.
주359)
프러:풀어. 플-[調]+-어.
주360)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361)
즉재:즉시[立].
주362)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363)
만라미:맨드라미[雞冠花].
주364)
:씨를. [子]+.
주365)
라:갈아. -[爲末]+-아.
주366)
더운:뜨거운. 더우-[熱]+-ㄴ.
주367)
수레:술에. 술[酒]+-에.
주368)
:한[一].
주369)
돈을:돈을. 돈[錢]+-을.
주370)
프러:풀어. 플-[調]+-어.
주371)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372)
골속을:골속을. 골속[燈心]+-을.
주373)
브레:등잔불에. 블[燈]+-에. ‘블’은 ‘잔+-ㅅ#블’로 분석됨. 등(燈)은 ‘등잔. 등불’.
주374)
라:살라. -[燒]+-아.
주375)
라:갈아. -[爲末]+-아.
주376)
돈만:돈만. 돈[錢]+-만.
주377)
:따뜻한. -[溫]+-ㄴ.
주378)
므레:물에. 믈[水]+-에.
주379)
프러:풀어. 플-[調]+-어.
주380)
머근: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주38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382)
제:제. 자기(自己).
주383)
오좀을:오줌을. 오좀[小便]+-을.
주384)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385)
단을:황단을. 단(黃丹)+-을.
주386)
하나:많으나. 하-[多]+-나.
주387)
져그나:적으나. 젹-[少]+-으나.
주388)
리:가늘게.
주389)
라:갈아. -[硏]+-아.
주390)
피:피가. 피+∅.
주391)
날:날. 나-[發]+-ㄹ(관형사형 어미).
주392)
제: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주393)
:갓[新].
주394)
기론:길은. 길-[汲]+-오-+-ㄴ.
주395)
므레:물에. 믈-[水]+-에.
주396)
두:두[二].
주397)
돈만:돈만. 돈[錢]+-만.
주398)
프러:풀어. 플-[調]+-어.
주399)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400)
알:달걀[雞子]. [雞]+-#알[子].
주401)
소뱃:속에 있는. 솝+-애+-ㅅ.
주402)
:맑은. -+-.
주403)
므:물을. 믈+-.
주404)
:갓[新].
주405)
기론:길은. 길-[汲]+-오-+-ㄴ.
주406)
므레:물에. 믈[水]+-에.
주407)
녀코:넣고. 녛-[投]+-고.
주408)
심:인삼(人參).
주409)
로니:간 것. -+-오-+-ㄴ#이. ‘위말(爲末)’이 ‘로니’로 번역됨.
주410)
프러:풀어. 플-[調]+-어.
주41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412)
개나릿:개나리의. 개나리+-ㅅ.
주413)
불휘:뿌리를. 불휘+-.
주414)
디허:찧어. 딯-[擣]+-어.
주415)
:짜. -[絞]+-아.
주416)
므레:물에. 믈[水]+-에.
주417)
프러:풀어. 플-[和]+-어.
주418)
머그며:먹으며. 먹-[飮]+-으며.
주419)
:또[及].
주420)
닉게:익게. 닉-[熟]+-게.
주421)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422)
머그라:먹으라. 먹-[食]+-으라.
주423)
안히:안이. 안ㅎ-[內]+-이.
주424)
커나:상하거나. -[損]+-거나.
주425)
술와:술과. 술[酒]+-와.
주426)
과:색을. (色)+-과+-.
주427)
심폐이:심폐맥이. 심폐(心肺脉)+-이.
주428)
커나:상하거나. -[破]+-거나.
주429)
혈긔:혈기가. 혈긔(血氣)+∅.
주430)
간대로:멋대로[妄].
주431)
야:행하여. -[行]+-야.
주432)
나미:남이. 남-+-암+-이.
주433)
:샘솟듯. -[湧泉]+-.
주434)
입과:입과. 입[口]+-과.
주435)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436)
다:다[俱].
주437)
나:나. 나와. 나-[出]+∅.
주438)
져근더데:잠깐. 잠시[湏㬰].
주439)
고티디:고치지. 고티-[救]+-디.
주440)
몯니:몯하니. 몯-[不]+--+-니.
주441)
즉:측백(側柏).
주442)
닙:잎[葉].
주443)
:쪄. -[蒸]+-어.
주444)
외요니와:말린 갓과. 외-+-요-+-ㄴ#이+-와. ‘건(乾)’이 ‘외요니’로 번역됨.
주445)
심:인삼(人參).
주446)
브레:불에. 블+-에.
주447)
외요니와:말린 것과. ‘배건(焙乾)’이 ‘브레 외요니’로 번역됨.
주448)
각:각각[各].
주449)
:한[一].
주450)
을:냥을. (兩)+-을.
주451)
리:가늘게. -[細]+-이.
주452)
라:갈아. -[末]+-아.
주453)
두:두[二].
주454)
돈곰:돈씩. 돈[錢]+-곰.
주455)
:가는. -[飛羅]+-ㄴ.
주456)
밄:밀가루[麪].
주457)
드려:들여. 드리-[入]+-어.
주458)
새배:새벽에.
주459)
:남.
주460)
기러셔:길어서. 길-+-어셔. 어간 ‘길-’은 ‘긷-[汲]’의 이형태임.
주461)
몬져:먼저.
주462)
기론:길은. 긷-+-오-+-ㄴ. 어간 ‘길-’은 ‘긷-’의 이형태임.
주463)
우믌므레:우물물에. 우믈+-ㅅ#믈+-에.
주464)
프러:풀어. 플-[調]+-어.
주465)
누근:묽은. 눅-[稀]+-은.
주466)
플:풀[糊].
주467)
거든:같거든. -[如]+-거든.
주468)
머그라:먹으라. 먹-[啜服]+-으라.
주469)
솟:솟듯. 솟-[湧泉]+-.
주470)
너무:너무. 넘게. 넘-[過]+-우.
주471)
먹디:먹지. 먹-[服]+-디.
주472)
아니야셔: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주473)
즉재:즉시[卽].
주474)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475)
가:정가. 형개(荊芥).
주476)
줌을:줌을. 줌[握]+-을.
주477)
라:살라. -[燒]+-아.
주478)
해:땅에. ㅎ[地上]+-애[於].
주479)
두퍼:덮어. 둪[蓋]+-어.
주480)
븘긔운:불의 독기(毒氣). 블[火]+-ㅅ(속격 조사)#긔운[毒].
주481)
내오:내고. 내-[出]+-오.
주482)
리:가늘게. -[細]+-이.
주483)
분:분(粉).
주484)
티:같이. -[如]+-이.
주485)
라:갈아. -[硏]+-아.
주486)
무근:묵은. 묵-[陳]+-은.
주487)
:쌀의. [米]+-ㅅ.
주488)
글힌:끓인. 글히-+-ㄴ.
주489)
므레:물에. 믈-+-에. ‘미음(米飮)’이 ‘ 글힌 믈’로 번역됨.
주490)
돈을:돈을. 돈[錢]+-을.
주491)
프러:풀어. 플-[調]+-어.
주492)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493)
너무:너무. 넘게. 넘-[過]+-우.
주494)
먹디:먹지. 먹-[服]+-디.
주495)
아니야셔: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주496)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效]+-리-+-라.
주497)
가마:가마[釜].
주498)
미틧:밑에 있는. 밑[底]+-의+-ㅅ.
주499)
거믜을:검댕을. 거믜[墨]+-을.
주500)
가:갉아. -[刮下]+-아.
주501)
리:가늘게.
주502)
라:갈아. -[硏]+-아.
주503)
티:같이.
주504)
돈곰:돈씩. 돈[錢]+-곰.
주505)
디투:짙게. 진하게. 딭-[濃]+-우.
주506)
글힌:끓인. 글히-+-ㄴ.
주507)
:쌀의. [米]+-ㅅ.
주508)
므레:물에. 물[飮]+-에.
주509)
프러:풀어. 플-[調]+-어.
주510)
닛워:계속하여. 이어. 닛우-[連]+-어.
주511)
두:두어. 두[二]#[三].
주512)
머그라:먹으라. 먹-[進]+-으라.
주513)
미긔치:오징어 뼈를. 미긔치[烏賊魚骨]+-.
주514)
디허:찧어. 딯-[搗]+-어.
주515)
리:가늘게.
주516)
처:쳐. 츠-[羅]+-어.
주517)
:가루를.
주518)
니:때[時].
주519)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520)
마오:말고. 마-[不]+-오.
주521)
:맑은. -[淸]+-.
주522)
쥭므레:죽물에. 쥭(粥)#믈[飮]+-에.
주523)
프러:풀어. 플-[調]+-어.
주524)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