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4. 졸요통(卒腰痛)
메뉴닫기 메뉴열기

4. 졸요통(卒腰痛)


卒腰痛
卒腰痛不可忍 附子 一枚炮裂去皮臍 木香 半兩 檳榔 半兩 擣細羅爲散每於食前以溫酒調下二錢

과이 허리 알포미라
과이 주001)
과이:
갑자기. 과-[卒]+-이.
허리 주002)
허리:
허리가. 허리[腰]+∅(주격 조사).
알포 주003)
알포미라:
아픔이다. 알-[痛]+-옴+이-+-라.
디 주004)
디:
참지. 참-[忍]+-디.
몯거든 주005)
몯거든:
못하거든. 몯-[不]+-거든.
부 주006)
부:
부자(附子).
주007)
:
한[一].
나 주008)
나:
낱을. 낯[枚]+-.
죠예 주009)
죠예:
종이에. 죠+-예.
주010)
:
싸. -+-아.
주011)
믈:
물.
저져 주012)
저져:
적시어. 저지-+-어.
브레 주013)
브레:
불에. 블+-에.
무더 주014)
무더:
묻어. 묻-+-어.
디

구급간이방언해 권2:42ㄱ

주015)
디게:
터지게. 디-[裂]+-게.
구어 주016)
구어:
구워. -+-어〉구〉구워〉구어.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무더 굽다’로 번역됨.
거플와 주017)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브르도 주018)
브르도:
볼록한. 브르돋-+-. ‘제(臍)’가 ‘브르도 것’으로 번역됨. 제(臍)는 물건에서 배꼽처럼 볼록한 곳.
업게 주019)
업게:
없게. 업-(‘없-’의 이형태)+-게.
니와 주020)
니와:
한 것과. -+-ㄴ#이+-와. ‘거(去)’가 ‘업게 니’로 번역됨.
목 주021)
목:
목향(木香).
반 과  주022)
:
빈랑(檳榔).
과 주023)
과:
냥을. (兩)+-과+-.
디허 주024)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025)
리:
가늘게. -[細]+-이.
주026)
처:
쳐. 츠-[羅]+어.
 주027)
:
가루를. (‘’의 이형태)[散]+-.
라 주028)
라:
만들어. -[爲]+-아.
 주029)
:
매양[每].
밥 아니 머거셔 주030)
머거셔:
먹어서. 먹-+-어셔. ‘어식전(於食前)’이 ‘밥 아니 먹다’로 번역됨.
 주031)
:
따뜻한. -[溫]+-ㄴ.
수레 주032)
수레:
술에. 술[酒]+-에.
주033)
두:
두[二].
돈곰 주034)
돈곰:
돈씩. 돈-[錢]+-곰.
프러 주035)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036)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갑자기 허리가 아픔이다
갑자기 허리가 아픔을 참지 못하거든 부자(附子) 한 낱을 종이에 싸 물 적시어 불에 묻어 터지게 구워 껍질과 볼록한 것 제거한 것과 목향(木香) 반 냥과 빈랑(檳榔) 주037)
빈랑(檳榔):
열대에서 생산되는 상록 교목(常綠喬木)의 이름. 식용(食用)과 약재(藥材)임.
반 냥을 찧어 가늘게 쳐 가루를 만들어 매양 밥 안 먹어서 따뜻한 술에 두 돈씩 풀어 먹으라.

卒腰痛連脚膝疼 胡麻  三合新者 附子 一兩炮裂去皮臍 熬胡麻令香同擣細羅爲散每於食前以溫酒調下二錢

과이 주038)
과이:
갑자기. 과-[卒]+-이.
허리 주039)
허리:
허리가. 허리[腰]+∅.
알고 주040)
알고:
아프고. 알-[痛]+-고.
허튀와 주041)
허튀와:
정강이와. 다리와. 허튀[脚]+-와.
무룹괘 주042)
무룹괘:
무릎이. 무릎[膝]+-과+-ㅣ. ‘무릅’은 ‘무릎’의 팔종성표기임.
조차 주043)
조차:
연하여. 계속하여[連].

구급간이방언해 권2:42ㄴ

알거든 주044)
알거든:
아프거든. 알-[疼]+-거든.
주045)
새:
새. 새것[新者].
 주046)
:
참깨[胡麻].
주047)
서:
세[三].
홉과 주048)
홉과:
홉과. 홉(合)+-과.
부 주049)
부:
부자(附子).
주050)
:
한[一].
주051)
:
냥(兩).
죠예 주052)
죠예:
종이에. 죠+-예.
주053)
:
싸. -+-아.
주054)
믈:
물.
저져 주055)
저져:
적시어. 저지-+-어.
브레 주056)
브레:
불에. 블-+-에.
무더 주057)
무더:
묻어. 묻-+-어.
디게 주058)
디게:
터지게. 디-[裂]+-게.
구어 주059)
구어:
구워. -+-어〉구〉구워〉구어.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무더 굽다’로 번역됨.
거플와 주060)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브르도 주061)
브르도:
볼록한. 브르돋-+-. ‘제(臍)’가 ‘브르도 것’으로 번역됨.
것 업게 코  주062)
:
참깨를. [胡麻]+-.
고게 주063)
고게:
고소하게. 향기롭게. 고-[令香]+-게.
봇가 주064)
봇가:
볶아. -[熬]+-아.
 주065)
:
함께[同].
디허 주066)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067)
리:
가늘게. -[細]+-이.
주068)
처:
쳐. 츠-[羅]+어.
 주069)
:
가루를. (‘’의 이형태)[散]+-.
라 주070)
라:
만들어. -[爲]+-아.
 주071)
:
매양[每].
밥 아니 머거셔 주072)
머거셔:
먹어서. 먹-+-어셔.
 주073)
:
따뜻한. -[溫]+-ㄴ.
수레 주074)
수레:
술에. 술[酒]+-에.
돈곰 주075)
돈곰:
돈씩. 돈[錢]+-곰.
프러 주076)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077)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갑자기 허리가 아프고 정강이와 무릎이 연달아 아프거든 새 참깨 세 홉과 부자(附子) 한 냥 종이에 싸 물 적시어 불에 묻어 터지게 구워 껍질과 볼록한 것 없게 하고(제거하고) 참깨를 고소하게 볶아 함께 찧어 가늘게 쳐 가루를 만들어 매양 밥 안 먹어서 따뜻한 술에 두 돈씩 풀어 먹으라.

卒腰痛至甚起坐不得 附子 一兩生用 吳茱萸一兩蛇床子 얌도랏  一兩 擣羅爲末每用半兩

구급간이방언해 권2:43ㄱ

以生薑自然汁調如膏攤故帛上於痛處貼熁用衣服繫定覺通熱卽差未退再貼

과이 주078)
과이:
갑자기[卒].
허리 주079)
허리:
허리가. 허리[腰]+∅.
알파 주080)
알파:
아파. 알-[痛]+-아.
 주081)
:
매우. 지극히[至].
셜워 주082)
셜워:
괴로워. 셜우-[甚]+-어. 기본형은 ‘셟다’임.
니러 주083)
니러:
일어나. 닐-[起]+-어.
디 주084)
디:
앉지. -[坐]+-디. ‘-’은 ‘앉-’의 팔종성표기임.
몯거든 주085)
몯거든:
못하거든. 몯-[不]+-거든.
주086)
:
날것[生].
부 주087)
부:
부자(附子).
 과 오슈유 주088)
오슈유:
오수유(吳茱萸).
 과 얌도랏 주089)
얌도랏:
뱀도랏[蛇床].
주090)
:
씨[子].
주091)
:
한[一].
과 주092)
과:
냥을. (兩)+-과+-.
디허 주093)
디허:
찧어. 딯-[擣]+-어.
주094)
처:
쳐. 츠-[羅]+-어.
 주095)
:
가루를. (‘’의 이형태)[末]+-.
라 주096)
라:
만들어. -[爲]+-아.
주097)
:
쓸. -[用]+-ㄹ.
제 반 곰 주098)
곰:
냥씩. (兩)+-곰.
 주099)
:
생강(生薑).
즛두드려 주100)
즛두드려:
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101)
:
짠. -+-오-+-ㄴ.
므레 주102)
므레:
물에. 믈[汁]+-에. ‘자연즙(自然汁)’이 ‘즛두드려  믈’로 번역됨.
라 걸에 주103)
걸에:
걸게. 걸-+-게.
야 주104)
야:
하여. -+-야. ‘여고(如膏)’가 ‘걸게 다’로 번역됨.
 주105)
:
낡은. -[故]+-.
헌것 주106)
헌것:
헝겊[帛].
우희 주107)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08)
퍼:
펴. 프-[攤]+-어. 탄(攤)은 ‘펴다. 펼치다’임.
알 주109)
알:
아픈. 알-[痛]+-ㄴ.
주110)
: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브티고 주111)
브티고:
붙이고. 브티-[貼]+-고.
오로 주112)
오로:
옷으로. 옷[衣服]+-로[用].
야 주113)
야:
매어. -[繫]+-야.
 주114)
:
사뭇[通]. 동작동사 ‘다’의 어간 ‘-’이 영변화(zero modification)로 전성 부사가 된다.
더운 주115)
더운:
뜨거운. 더우-[熱]+-ㄴ.
주 주116)
주:
것을. 줄-+-.
알면 즉재

구급간이방언해 권2:43ㄴ

됴리니 주117)
됴리니:
나으리니. 둏-[差]+-리-+-니.
됴티 주118)
됴티:
낫지. 둏-[退]+-디.
아니커든 주119)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未]+-거든.
다시 브티라 주120)
브티라:
붙이라. 브티-[貼]+-라.

갑자기 허리가 아파 매우 괴로워 일어나 앉지 못하거든 부자(附子) 날 것 한 냥과 오수유(吳茱萸) 한 냥과 뱀도랏 씨 한 냥을 찧어 쳐 가루를 만들어 쓸 때에 반 냥씩 생강 짓두드려 짠 물에 말아 걸게 하여 낡은 헝겊 위에 펴 아픈 데 붙이고 옷으로 매어 사뭇 뜨거운 것을 알면 즉시 나으리니 낫지 아니하거든 다시 붙이라.

卒腰痛不得俛仰 鹿角 사  長六寸燒擣末酒服之鹿茸 사  도다 난 털 조  尤佳

과이 주121)
과이:
갑자기. 과-[卒]+-이.
허리 주122)
허리:
허리가. 허리[腰]+∅.
알파 주123)
알파:
아파. 알-[痛]+-아.
굽도 주124)
굽도:
굽히지도. 굽-[俛]+-도. 면(俛)은 ‘구푸리다. 머리를 숙이다’.
졋도 주125)
졋도:
젖히지도. 졋-[仰]+-도.
몯거든 주126)
몯거든:
못하거든. 몯-[不]+-거든.
사 주127)
사:
사슴의. 사[鹿]+-.
주128)
:
뿔[角].
기리 주129)
기리:
길이. 길-[長]+-이(명사 형성 접미사).
여슷 주130)
여슷:
여섯[六].
치만 주131)
치만:
치만큼. 치[寸]+-만.
니 주132)
니:
한 것을. -+-ㄴ#이+-.
라 주133)
라:
살라. 살-[燒]+-아.
디혼 주134)
디혼:
찧은. 딯-[擣]+-오-+-ㄴ.
 주135)
:
가루를. (‘’의 이형태)[末]+-.
수레 주136)
수레:
술에. 술+-에.
프러 주137)
프러:
풀어. 플-+-어. ‘주(酒)’가 ‘수레 플다’로 번역됨.
머그라 주138)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사 주139)
사:
사슴의. 사+-.
주140)
:
갓. 새로.
도다난 주141)
도다난:
돋아난. 돋-+-아#나-+-ㄴ.
조 주142)
조:
좇은. 좇-+-.
리 주143)
리:
뿔. 용(茸)은 ‘녹용(鹿茸). 새로 돋아나는 뿔’.
주144)
더:
더[尤].
됴니라 주145)
됴니라:
좋다. 둏-[佳]+-니-+-라.

갑자기 허리가 아파 굽히지도 젖히지도 못하거든 사슴의 뿔 길이 여섯 치만큼 한 것을 살라 찧은 가루를 술에 풀어 먹으라. 녹용(사슴의 갓 돋아난 털 좇은 뿔)이 더 좋다.

鼈甲 주146)
별갑(鼈甲):
자라의 등껍데기.
쟈래 아리 一枚炙搗篩酒服方寸匕食後

구급간이방언해 권2:44ㄱ

日三服

쟈래 주147)
쟈래:
자라[鼈].
아리 주148)
아리:
등껍데기[甲].
나 주149)
나:
낱을. 낯[枚]+-.
브레 주150)
브레:
불에. 블+-에.
여 주151)
여:
쬐어. -+-여. ‘자(炙)’가 ‘브레 다’로 번역됨.
디허 주152)
디허:
찧어. 딯-[搗]+-어.
주153)
처:
쳐. 츠-[篩]+-어.
수레 주154)
수레:
술에. 술[酒]+-에.
주155)
:
한[方寸].
술옴 주156)
술옴:
숟가락씩. 술[匕]+-옴.
프러 주157)
프러:
풀어. 플-+-어.
머근 주158)
머근:
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후에  주159)
:
하루[日].
번곰 주160)
번곰:
번씩. 번+-곰. ‘삼(三)’이 ‘세 번’으로 번역됨.
머그라 주16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자라의 등껍데기 한 낱을 불에 쬐어 찧어 쳐 술에 한 숟가락씩 풀어 밥 먹은 후에 하루 세 번씩 먹으라.

계피 八分 牡丹 四分 附子 二分 搗末酒服一刀圭日再服

계피 두 과 주162)
과:
냥과. +-과. ‘팔분(八分)’이 ‘두 ’으로 번역됨.
모 주163)
모:
모란의. 모란[牡丹]+-ㅅ.
불휘  과 부 주164)
부:
부자(附子).
다 돈과 주165)
돈과:
돈을. 돈+-과+-. ‘이분(二分)’이 ‘다 돈’으로 번역됨.
디허 주166)
디허:
찧어. 딯-[搗]+-어.
 주167)
:
가루를. (‘’의 이형태)[末]+-.
수레 주168)
수레:
술에. 술[酒]+-에.
죠고매 주169)
죠고매:
조금[一刀圭].
프러 주170)
프러:
풀어. 플-+-어.
머고 주171)
머고:
먹되. 먹-[服]+-오.

구급간이방언해 권2:44ㄴ

 주172)
:
하루[日].
번곰 주173)
번곰:
번씩. 번+-곰. ‘재(再)’가 ‘두 번’으로 번역됨.
머그라 주174)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계피(桂皮) 두 냥과 모란의 뿌리 한 냥과 부자(부자) 다섯 돈을 찧어 가루를 술에 조금 풀어 먹되 하루 두 번씩 먹으라.

卒腰痛 芫花 半斤躑躅 주175)
척촉(躑躅):
철쭉. 진달래꽃.
늣거 픈 굴근 진욋곳 半斤 以醋拌令濕炒令熱用帛裹分作兩包更番熨痛處冷卽復炒熨之

과이 주176)
과이:
갑자기. 과-[卒]+-이.
허리 주177)
허리:
허리가. 허리[腰]+∅.
알거든 주178)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
와화 주179)
와화:
원화(芫花). 팔꽃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약재.
반 근과 늣거 주180)
늣거:
늦어야. 늦어서야. 늣-(‘늦-’의 이형태)+-거.
주181)
픈:
핀. 프-+-ㄴ.
굴근 주182)
굴근:
굵은.
진욋곳 주183)
진욋곳:
진달래꽃[躑躅花].
반 근과 초애 주184)
초애:
초에. 초(醋)+-애.
섯거 주185)
섯거:
섞어. -[拌]+-어.
젓게 주186)
젓게:
젖게. 젓-(‘젖-’의 이형태)[濕]+-게.
야 봇가 주187)
봇가:
볶아. -[炒]+-아.
덥게 주188)
덥게:
뜨겁게. 덥-[熱]+-게.
야 헌거스로 주189)
헌거스로:
헝겊으로. 헌것[帛]+-으로[用].
 주190)
:
싸되. -[裹]+-오.
둘헤 주191)
둘헤:
둘에. 둘로. 둘ㅎ[兩]+-에.
화 주192)
화:
나누어. 호-[分作]+-아.
알 주193)
알:
아픈. 알-[痛]+-ㄴ.
주194)
:
데를. 곳을. [處]+-ㄹ(대격 조사).
서르 주195)
서르:
서로[更].
라 주196)
라:
번갈아. -[番]+-아.
울호 주197)
울호:
눌러서 덥게 하되. 울-[熨]+-오.
거

구급간이방언해 권2:45ㄱ

주198)
거든:
차거든. -[冷]+-거든.
다시 주199)
다시:
다시[復].
봇가 울라 주200)
울라:
눌러서 덥게 하라. 울-[熨]+-라.

갑자기 허리가 아프거든 원화(芫花) 반 근과 늦어서야 핀 굵은 진달래꽃 반 근을 초에 섞어 젖게 하여 볶아 뜨겁게 하여 헝겊으로 싸되 둘로 나누어 아픈 데를 서로 번갈아 눌러서 덥게 하되 차거든 다시 볶아 눌러서 덥게 하라.

蕓薹子 一兩 擣羅爲末醋調塗於 주201)
납지(蠟紙):
밀 먹인 종이.
上貼痛處覺熱極卽去之痛止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운 주202)
운:
운대(蕓薹).
주203)
:
씨[子].
주204)
:
한[一].
을 주205)
을:
냥을. (兩)+-.
디허 주206)
디허:
찧어. 딯-[擣]+-어.
주207)
처:
쳐. 츠-[羅]+-어.
 주208)
:
가루를. [末]+-.
라 주209)
라:
만들어. -[爲]+-아.
초애 주210)
초애:
초에. 초(醋)+-애.
라 주211)
라:
말아. -[調]+-아.
주212)
밀:
밀[蠟].
드린 주213)
드린:
들인. 드리-+-ㄴ.
죠 주214)
죠:
종이[紙].
우희 주215)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라 주216)
라:
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알 주217)
알:
아픈. 알-[痛]+-ㄴ.
주218)
: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브텨 주219)
브텨:
붙여. 브티-[貼]+-어.
 주220)
:
매우[極].
덥거든 주221)
덥거든:
뜨겁거든. 덥-[熱]+-거든.
혀 주222)
혀:
떼어. 혀-+∅(보조적 연결어미 ‘-어’).
더디면 주223)
더디면:
던지면. 더디-+-면. ‘거(去)’가 ‘혀 더디다’로 번역됨.
알포미 주224)
알포미:
아픔이. 알-[痛]+-옴+-이.
그츠리라 주225)
그츠리라:
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운대(蕓薹) 주226)
운대(蕓薹):
평지. 겨자과에 속하는 월년초(越年草). 씨는 기름을 짜서 식용으로 한다.
씨 한 냥을 찧어 쳐 가루를 만들어 초에 말아 밀 들인 종이 위에 발라 아픈 데 붙여 매우 뜨겁거든 떼어 던지면 아픔이 그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과이:갑자기. 과-[卒]+-이.
주002)
허리:허리가. 허리[腰]+∅(주격 조사).
주003)
알포미라:아픔이다. 알-[痛]+-옴+이-+-라.
주004)
디:참지. 참-[忍]+-디.
주005)
몯거든:못하거든. 몯-[不]+-거든.
주006)
부:부자(附子).
주007)
:한[一].
주008)
나:낱을. 낯[枚]+-.
주009)
죠예:종이에. 죠+-예.
주010)
:싸. -+-아.
주011)
믈:물.
주012)
저져:적시어. 저지-+-어.
주013)
브레:불에. 블+-에.
주014)
무더:묻어. 묻-+-어.
주015)
디게:터지게. 디-[裂]+-게.
주016)
구어:구워. -+-어〉구〉구워〉구어.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무더 굽다’로 번역됨.
주017)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018)
브르도:볼록한. 브르돋-+-. ‘제(臍)’가 ‘브르도 것’으로 번역됨. 제(臍)는 물건에서 배꼽처럼 볼록한 곳.
주019)
업게:없게. 업-(‘없-’의 이형태)+-게.
주020)
니와:한 것과. -+-ㄴ#이+-와. ‘거(去)’가 ‘업게 니’로 번역됨.
주021)
목:목향(木香).
주022)
:빈랑(檳榔).
주023)
과:냥을. (兩)+-과+-.
주024)
디허:찧어. 딯-[擣]+-어.
주025)
리:가늘게. -[細]+-이.
주026)
처:쳐. 츠-[羅]+어.
주027)
:가루를. (‘’의 이형태)[散]+-.
주028)
라:만들어. -[爲]+-아.
주029)
:매양[每].
주030)
머거셔:먹어서. 먹-+-어셔. ‘어식전(於食前)’이 ‘밥 아니 먹다’로 번역됨.
주031)
:따뜻한. -[溫]+-ㄴ.
주032)
수레:술에. 술[酒]+-에.
주033)
두:두[二].
주034)
돈곰:돈씩. 돈-[錢]+-곰.
주035)
프러:풀어. 플-[調]+-어.
주036)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037)
빈랑(檳榔):열대에서 생산되는 상록 교목(常綠喬木)의 이름. 식용(食用)과 약재(藥材)임.
주038)
과이:갑자기. 과-[卒]+-이.
주039)
허리:허리가. 허리[腰]+∅.
주040)
알고:아프고. 알-[痛]+-고.
주041)
허튀와:정강이와. 다리와. 허튀[脚]+-와.
주042)
무룹괘:무릎이. 무릎[膝]+-과+-ㅣ. ‘무릅’은 ‘무릎’의 팔종성표기임.
주043)
조차:연하여. 계속하여[連].
주044)
알거든:아프거든. 알-[疼]+-거든.
주045)
새:새. 새것[新者].
주046)
:참깨[胡麻].
주047)
서:세[三].
주048)
홉과:홉과. 홉(合)+-과.
주049)
부:부자(附子).
주050)
:한[一].
주051)
:냥(兩).
주052)
죠예:종이에. 죠+-예.
주053)
:싸. -+-아.
주054)
믈:물.
주055)
저져:적시어. 저지-+-어.
주056)
브레:불에. 블-+-에.
주057)
무더:묻어. 묻-+-어.
주058)
디게:터지게. 디-[裂]+-게.
주059)
구어:구워. -+-어〉구〉구워〉구어. ‘포(炮)’가 ‘죠예  믈 저져 브레 무더 굽다’로 번역됨.
주060)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061)
브르도:볼록한. 브르돋-+-. ‘제(臍)’가 ‘브르도 것’으로 번역됨.
주062)
:참깨를. [胡麻]+-.
주063)
고게:고소하게. 향기롭게. 고-[令香]+-게.
주064)
봇가:볶아. -[熬]+-아.
주065)
:함께[同].
주066)
디허:찧어. 딯-[擣]+-어.
주067)
리:가늘게. -[細]+-이.
주068)
처:쳐. 츠-[羅]+어.
주069)
:가루를. (‘’의 이형태)[散]+-.
주070)
라:만들어. -[爲]+-아.
주071)
:매양[每].
주072)
머거셔:먹어서. 먹-+-어셔.
주073)
:따뜻한. -[溫]+-ㄴ.
주074)
수레:술에. 술[酒]+-에.
주075)
돈곰:돈씩. 돈[錢]+-곰.
주076)
프러:풀어. 플-[調]+-어.
주077)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078)
과이:갑자기[卒].
주079)
허리:허리가. 허리[腰]+∅.
주080)
알파:아파. 알-[痛]+-아.
주081)
:매우. 지극히[至].
주082)
셜워:괴로워. 셜우-[甚]+-어. 기본형은 ‘셟다’임.
주083)
니러:일어나. 닐-[起]+-어.
주084)
디:앉지. -[坐]+-디. ‘-’은 ‘앉-’의 팔종성표기임.
주085)
몯거든:못하거든. 몯-[不]+-거든.
주086)
:날것[生].
주087)
부:부자(附子).
주088)
오슈유:오수유(吳茱萸).
주089)
얌도랏:뱀도랏[蛇床].
주090)
:씨[子].
주091)
:한[一].
주092)
과:냥을. (兩)+-과+-.
주093)
디허:찧어. 딯-[擣]+-어.
주094)
처:쳐. 츠-[羅]+-어.
주095)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096)
라:만들어. -[爲]+-아.
주097)
:쓸. -[用]+-ㄹ.
주098)
곰:냥씩. (兩)+-곰.
주099)
:생강(生薑).
주100)
즛두드려: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101)
:짠. -+-오-+-ㄴ.
주102)
므레:물에. 믈[汁]+-에. ‘자연즙(自然汁)’이 ‘즛두드려  믈’로 번역됨.
주103)
걸에:걸게. 걸-+-게.
주104)
야:하여. -+-야. ‘여고(如膏)’가 ‘걸게 다’로 번역됨.
주105)
:낡은. -[故]+-.
주106)
헌것:헝겊[帛].
주107)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08)
퍼:펴. 프-[攤]+-어. 탄(攤)은 ‘펴다. 펼치다’임.
주109)
알:아픈. 알-[痛]+-ㄴ.
주110)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주111)
브티고:붙이고. 브티-[貼]+-고.
주112)
오로:옷으로. 옷[衣服]+-로[用].
주113)
야:매어. -[繫]+-야.
주114)
:사뭇[通]. 동작동사 ‘다’의 어간 ‘-’이 영변화(zero modification)로 전성 부사가 된다.
주115)
더운:뜨거운. 더우-[熱]+-ㄴ.
주116)
주:것을. 줄-+-.
주117)
됴리니:나으리니. 둏-[差]+-리-+-니.
주118)
됴티:낫지. 둏-[退]+-디.
주119)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未]+-거든.
주120)
브티라:붙이라. 브티-[貼]+-라.
주121)
과이:갑자기. 과-[卒]+-이.
주122)
허리:허리가. 허리[腰]+∅.
주123)
알파:아파. 알-[痛]+-아.
주124)
굽도:굽히지도. 굽-[俛]+-도. 면(俛)은 ‘구푸리다. 머리를 숙이다’.
주125)
졋도:젖히지도. 졋-[仰]+-도.
주126)
몯거든:못하거든. 몯-[不]+-거든.
주127)
사:사슴의. 사[鹿]+-.
주128)
:뿔[角].
주129)
기리:길이. 길-[長]+-이(명사 형성 접미사).
주130)
여슷:여섯[六].
주131)
치만:치만큼. 치[寸]+-만.
주132)
니:한 것을. -+-ㄴ#이+-.
주133)
라:살라. 살-[燒]+-아.
주134)
디혼:찧은. 딯-[擣]+-오-+-ㄴ.
주135)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136)
수레:술에. 술+-에.
주137)
프러:풀어. 플-+-어. ‘주(酒)’가 ‘수레 플다’로 번역됨.
주138)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39)
사:사슴의. 사+-.
주140)
:갓. 새로.
주141)
도다난:돋아난. 돋-+-아#나-+-ㄴ.
주142)
조:좇은. 좇-+-.
주143)
리:뿔. 용(茸)은 ‘녹용(鹿茸). 새로 돋아나는 뿔’.
주144)
더:더[尤].
주145)
됴니라:좋다. 둏-[佳]+-니-+-라.
주146)
별갑(鼈甲):자라의 등껍데기.
주147)
쟈래:자라[鼈].
주148)
아리:등껍데기[甲].
주149)
나:낱을. 낯[枚]+-.
주150)
브레:불에. 블+-에.
주151)
여:쬐어. -+-여. ‘자(炙)’가 ‘브레 다’로 번역됨.
주152)
디허:찧어. 딯-[搗]+-어.
주153)
처:쳐. 츠-[篩]+-어.
주154)
수레:술에. 술[酒]+-에.
주155)
:한[方寸].
주156)
술옴:숟가락씩. 술[匕]+-옴.
주157)
프러:풀어. 플-+-어.
주158)
머근: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주159)
:하루[日].
주160)
번곰:번씩. 번+-곰. ‘삼(三)’이 ‘세 번’으로 번역됨.
주16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62)
과:냥과. +-과. ‘팔분(八分)’이 ‘두 ’으로 번역됨.
주163)
모:모란의. 모란[牡丹]+-ㅅ.
주164)
부:부자(附子).
주165)
돈과:돈을. 돈+-과+-. ‘이분(二分)’이 ‘다 돈’으로 번역됨.
주166)
디허:찧어. 딯-[搗]+-어.
주167)
:가루를. (‘’의 이형태)[末]+-.
주168)
수레:술에. 술[酒]+-에.
주169)
죠고매:조금[一刀圭].
주170)
프러:풀어. 플-+-어.
주171)
머고:먹되. 먹-[服]+-오.
주172)
:하루[日].
주173)
번곰:번씩. 번+-곰. ‘재(再)’가 ‘두 번’으로 번역됨.
주174)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75)
척촉(躑躅):철쭉. 진달래꽃.
주176)
과이:갑자기. 과-[卒]+-이.
주177)
허리:허리가. 허리[腰]+∅.
주178)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
주179)
와화:원화(芫花). 팔꽃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약재.
주180)
늣거:늦어야. 늦어서야. 늣-(‘늦-’의 이형태)+-거.
주181)
픈:핀. 프-+-ㄴ.
주182)
굴근:굵은.
주183)
진욋곳:진달래꽃[躑躅花].
주184)
초애:초에. 초(醋)+-애.
주185)
섯거:섞어. -[拌]+-어.
주186)
젓게:젖게. 젓-(‘젖-’의 이형태)[濕]+-게.
주187)
봇가:볶아. -[炒]+-아.
주188)
덥게:뜨겁게. 덥-[熱]+-게.
주189)
헌거스로:헝겊으로. 헌것[帛]+-으로[用].
주190)
:싸되. -[裹]+-오.
주191)
둘헤:둘에. 둘로. 둘ㅎ[兩]+-에.
주192)
화:나누어. 호-[分作]+-아.
주193)
알:아픈. 알-[痛]+-ㄴ.
주194)
:데를. 곳을. [處]+-ㄹ(대격 조사).
주195)
서르:서로[更].
주196)
라:번갈아. -[番]+-아.
주197)
울호:눌러서 덥게 하되. 울-[熨]+-오.
주198)
거든:차거든. -[冷]+-거든.
주199)
다시:다시[復].
주200)
울라:눌러서 덥게 하라. 울-[熨]+-라.
주201)
납지(蠟紙):밀 먹인 종이.
주202)
운:운대(蕓薹).
주203)
:씨[子].
주204)
:한[一].
주205)
을:냥을. (兩)+-.
주206)
디허:찧어. 딯-[擣]+-어.
주207)
처:쳐. 츠-[羅]+-어.
주208)
:가루를. [末]+-.
주209)
라:만들어. -[爲]+-아.
주210)
초애:초에. 초(醋)+-애.
주211)
라:말아. -[調]+-아.
주212)
밀:밀[蠟].
주213)
드린:들인. 드리-+-ㄴ.
주214)
죠:종이[紙].
주215)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216)
라:발라. ㄹ-(‘-’의 이형태)[塗]+-아.
주217)
알:아픈. 알-[痛]+-ㄴ.
주218)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주219)
브텨:붙여. 브티-[貼]+-어.
주220)
:매우[極].
주221)
덥거든:뜨겁거든. 덥-[熱]+-거든.
주222)
혀:떼어. 혀-+∅(보조적 연결어미 ‘-어’).
주223)
더디면:던지면. 더디-+-면. ‘거(去)’가 ‘혀 더디다’로 번역됨.
주224)
알포미:아픔이. 알-[痛]+-옴+-이.
주225)
그츠리라:그칠 것이다. 긏-[止]+-으리-+-라.
주226)
운대(蕓薹):평지. 겨자과에 속하는 월년초(越年草). 씨는 기름을 짜서 식용으로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