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8. 전후풍(纏喉風)
메뉴닫기 메뉴열기

8. 전후풍(纏喉風)


纏喉風
冝服和劑方牛黃 주001)
우황(牛黃):
소의 쓸개 속에 병으로 생긴 덩어리. 열을 없애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중풍ㆍ열병ㆍ경간(驚癎) 따위에 쓴다.
凉膈圓御藥院方加減薄荷煎圓

모기 주002)
목이:
목이. 목+-이.
과이 주003)
과이:
갑자기.
브니라 주004)
브니라:
붓다. -+-으니-+-라.
화졔애 주005)
화졔애:
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우 격원과 주006)
우격원과:
우황량격원과. 우격원(牛黃凉膈圓)+과.
어약원애 주007)
어약원애:
어약원방에. 어약원(御藥院方)+애.
가감박하젼원과 주008)
가감박하젼원과:
가감박하젼원을. 가감박하젼원(加減薄荷煎)+-과+-.
머고미 주009)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명사형어미)+-이.
맛니라 주010)
맛니라:
마땅하다. 맛당-[宜]+-니-+-라.

목이 갑자기 붓다
화제방에 우황량격원과 어약원방애 가감박하전원을 먹는 것이 마땅하다.

纏喉風 蒼耳根 됫고마릿 불휘 老薑 무근  一塊同硏爛濾汁以溫無灰白酒浸汁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77ㄴ

모기 주011)
모기:
목이. 목+-이.
과이 주012)
과이:
갑자기.
븟거든 주013)
븟거든:
붓거든. 븟-+-거든.
됫고마릿 주014)
됫고마릿:
도꼬마리의. 됫고마리[蒼耳]+-ㅅ.
불휘와 주015)
불휘와:
뿌리와. 불휘[根]+-와.
무근 주016)
무근:
묵은. 묵-[老]+-은.
 주017)
앙:
생강[薑].
주018)
:
한[一].
무적과 주019)
무적과:
덩어리를. 무적[塊]+-과+-.
 주020)
:
함께[同].
므르 주021)
므르:
무르게[爛].
라 주022)
라:
갈아. -[硏]+-아.
걸운 주023)
걸운:
거른. 걸-(‘거르-’의 이형태)[濾]+-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
즙을 주024)
즙을:
즙을. 즙(汁)+-을.
 주025)
:
따뜻한. -[溫]+-ㄴ.
됴 주026)
됴:
좋은. 둏-[無灰白]+-은.
수레 주027)
수레:
술에. 술[酒]+에.
가 주028)
가:
담가. -[浸]+-아.
머그라 주029)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목이 갑자기 붓거든 도꼬마리 주030)
도꼬마리: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갈기래·권이(卷耳)·되꼬리·사이(葈耳)·시이·양부래(羊負來)·창이(蒼耳).
의 뿌리와 묵은 생강 한 덩어리를 함께 무르게 갈아 거른 즙을 따뜻한 좋은 술에 담가 먹으라.

醋磨膽礬少許口噙片時涎出立愈

초애 주031)
초애:
식초에. 초(醋)+-애.
담번을 주032)
담번을:
담반(膽礬)을. 담번+-을.
라 주033)
라:
갈아. -[磨]+-아.
져고매 주034)
져고매:
조금[少許].
이베 주035)
이베:
입에. 입[口]+-에.
머구머시면 주036)
머구머시면:
머금고 있으면. 머굼-[噙]+어#시-(‘이시-’의 이형태)+-면.
져근덛 주037)
져근덛:
잠깐[片時].
주038)
춤:
침[涎].
나면 주039)
나면:
나면. 나-[出]+-면.
즉재 주040)
즉재:
즉시[立].
됴리라 주041)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초에 담반 주042)
담반(膽礬):
황산구리로 이루어진 황산염 광물. 삼사 정계에 속하며, 콩팥 모양 또는 종유(鐘乳) 모양으로, 유리 광택이 나고 반투명한 푸른색을 띤다. 여러 광산의 물 속에서 발견되는데, 침전동(沈澱銅)의 원료 광물로서, 살충제·안료·매염제·전해액 따위로 쓴다. ≒군석(君石)·석담(石膽).
을 갈아 조금 입에 머금고 있으면 잠깐 침 나면 즉시 나을 것이다.

生白礬爲細末冷水調下二錢立愈

주043)
:
날것[生].
번을 주044)
번을:
백반을. 번(白礬)+-을.
리 주045)
리:
가늘게. -[細]+-이.
라 주046)
라:
갈아. -[末]+-아.
 므레 주047)
므레:
찬물에. -[冷]+-ㄴ#믈[水]+-에.
돈만 주048)
돈만:
돈만. 돈[錢]+-만.

구급간이방언해 권2:78ㄱ

주049)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면 주050)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즉재 주051)
즉재:
즉시[立].
됴리라 주052)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백반을 날것을 가늘게 갈아 찬물에 두 돈만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纏喉風閉腫痛手足厥冷卽時氣閉不通 皂角 一皮 百草霜 솓 미틧 거믜 一錢 同硏爲末冷水調加淸油  기름 數點灌之

모기 주053)
모기:
목이. 목+-이.
막고 주054)
막고:
막히고. 막-[閉]+-고.
브 주055)
브:
부어. -[腫]+-어.
알파 주056)
알파:
아파. 알-[痛]+-아.
손바리 주057)
손바리:
손발이. 손[手]#발[足]+-이.
고 주058)
고:
차고. [冷]-+-고.
즉재 주059)
즉재:
즉시(卽時).
수미 주060)
수미:
숨이. 숨[氣]+-이.
마가 주061)
마가:
막혀. 막-[閉]+-아.
티 주062)
티:
통하지. 통-[通]+-디.
몯거든 주063)
몯거든:
못하거든. 몯-[不]+-거든.
조각 주064)
조각:
조각(皂角).
거플와 주065)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주066)
솓:
솥.
미틧 주067)
미틧:
밑에 있는. 밑+-의(처소격 조사)+-ㅅ(속격 조사).
거믜 주068)
거믜:
검댕.
 돈과  주069)
:
함께[同].
라 주070)
라:
갈아. -[硏]+-아.
므레 주071)
므레:
찬물에. -[冷]+-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소격 조사).
프러 주072)
프러:
풀어. 플-[調]+-어(종속적 연결어미).
 주073)
:
맑은. -[淸]+-(관형사형 어미). ‘다’는 ‘맑다’.
기름 두 주074)
두:
두어. ‘수(數)’가 ‘두 번’으로 번역됨.
처디여 주075)
처디여:
떨어뜨려. 떨어지게 하여. 처디-[加]+-여.
모 주076)
모:
목에. 목+-(처소격 조사).
브라 주077)
브라:
부으라. -[灌]+-으라(명령형 종결어미).

목이 막히고 부어 아파 손발이 차고 즉시 숨이 막혀 통하지 못하거든 조각 한 껍질과 솥 밑에 있는 검댕 한 돈을 함께 갈아 찬물에 풀어 맑은 기름 두어 번 떨어뜨리어 목에 부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78ㄴ

纏喉風喉閉飮食不通欲死 ? 紫苑根 알 불휘 一莖淨洗內入喉中待取惡涎出卽差神驗更以馬牙硝津嚥之

모기 주078)
모기:
목이. 목+-이.
과이 주079)
과이:
갑자기.
마고 주080)
마고:
막히고.
브 주081)
브:
부어. -+-어.
음식을 주082)
음식을:
음식을. 음식(飮食)+-을.
먹디 주083)
먹디:
먹지. 먹-+-디.
몯야 주084)
몯야:
못하여. 몯-[不]+-야.
주글 주085)
주글:
죽을. 죽-[死]+-을.
거든 주086)
거든:
듯하거든. -+-거든.
앐 주087)
앐:
탱알의. 알[紫苑]+-ㅅ.
불휘 주088)
불휘:
뿌리[根].
줄기 주089)
줄기:
줄기를. 줄기[莖]+-.
조 주090)
조:
깨끗이. 조-[淨]+-ㅣ(부사 형성 접미사).
시서 주091)
시서:
씻어. 싯-[洗]+-어. ‘싯다’는 ‘씻다’.
모 주092)
모:
목에. 목[喉中]+-(처소격 조사).
녀허 주093)
녀허:
넣어. 녛-[內入]+-어.
모딘 주094)
모딘:
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惡]+-ㄴ.
추미 주095)
추미:
침이. 춤[涎]+-이.
나면 즉재 주096)
즉재:
즉시[卽].
됴리니 주097)
됴리니:
나을 것이니. 둏-[差]+-리-+-니.
 주098)
:
아주. 매우.
됴니라 주099)
됴니라:
좋다. 둏-+-니-+-라. ‘신험(神驗)’이 ‘ 둏다’로 번역됨.
주100)
:
또[更].
마아쇼 주101)
마아쇼:
마아초(馬牙硝)를. 마아쇼+-.
춤에 주102)
춤에:
침에. 춤+-에.
노겨 주103)
노겨:
녹여. 노기-+-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된다.
라 주104)
라:
삼키라. -[嚥]+-라.

목이 갑자기 막히고 부어 음식을 먹지 못하여 죽을 듯하거든 탱알의 뿌리 한 줄기를 깨끗이 씻어 목에 넣어 나쁜 침이 나면 즉시 나을 것이니 아주 좋다. 또 마아초를 침에 녹여 삼켜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79ㄱ

川升麻四兩剉碎水四椀煎一椀灌服

맛 주105)
맛:
승마의. 마[升麻]+-ㅅ.
불휘 넉 을 사라 주106)
사라:
썰어. 사-[剉]+-아.
 주107)
:
부숴. -[碎]+-아.
믈 네 사발애 주108)
사발애:
사발에. 사발[椀]+-애.
달혀 주109)
달혀:
달여. 달히-[煎]+-어.
사바리어든 주110)
사바리어든:
사발이거든. 사발[椀]+이-+-어든.
이베 주111)
이베:
입에. 입+-에.
브라 주112)
브라:
부으라. -[灌]+-으라.

마의 뿌리 넉 냥을 썰어 부수어 물 네 사발에 달여 한 사발이거든(한 사발이 되거든) 입에 부으라.

皂角三莖搥碎挼一盞灌服或吐或不吐卽安

조각 주113)
조각:
조각(皂角).
주114)
세:
세[三].
줄기 주115)
줄기:
줄기[莖].
두드려 주116)
두드려:
두드려. 두드리-[搥]+-어.
 주117)
:
부수어. -[碎]+-아.
니 주118)
니:
짠 것. -+-오-+-ㄴ#이. ‘뇌(挼)’가 ‘니’로 번역됨.
잔을 주119)
잔을:
잔을. 잔[盞]+을.
브라 주120)
브라:
부으라. -(‘븟-’의 이형태)[灌]+-으라.
토커나 주121)
토커나:
토하거나. 토-[吐]+-거나.
토티 주122)
토티:
토하지. 토-[吐]+-디.
아니커나 주123)
아니커나:
아니하거나. 아니-[不]+-거나(대등적 연결어미).
즉재 주124)
즉재:
즉시. 곧[卽].
편안리라 주125)
편안리라:
편안할 것이다. 편안-[安]+-리-+-라.

조각 세 줄기를 두드리고 부수어 짠 것 한 잔을 부으라. 토하거나 토하지 아니하거나 즉시 편안할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79ㄴ

蠶退紙 주126)
잠퇴지(蠶退紙):
누에 알 깐 종이.
누에  낸 죠 燒存性煉蜜丸如雞頭大含化嚥津

누에 주127)
누에:
누에[蠶].
주128)
:
씨.
주129)
낸:
낸. 내-+-ㄴ.
죠 주130)
죠:
종이를. 죠[紙]+-.
디 주131)
디:
사위지. -+-디.
아니케 주132)
아니케:
아니하게. 아니-+-게. ‘存性’이 ‘디 아니다’로 번역됨.
라 주133)
라:
살라. -[燒]+-아.
달힌 주134)
달힌:
끓인. 달히-[煉]+-ㄴ.
레 주135)
레:
꿀에. [蜜]+-에.
지 주136)
지:
만들되. 짓되. -(‘짓-’의 이형태)+-오.
계두실만 주137)
계두실만:
계두실만큼. 계두실[維頭]+-만. 계두실은 가시연밥, 가시연꽃의 열매.
야 주138)
야:
하여. -+-야.
머구머 주139)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노겨 주140)
노겨:
녹여. 노기-[化]+-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됨.
추믈 주141)
추믈:
침을. 춤[津]+을.
라 주142)
라:
삼켜라. -[嚥]+-라.

누에 씨 낸 종이를 사위지 아니하게 살라 달인 꿀에 환 만들되 계두실만큼 하여 머금어 녹여 침을 삼켜라.

雄黃 셕우 一塊新汲水  기론 믈 磨急灌吐卽差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셕우 주143)
셕우:
석우황[雄黃].
주144)
:
한[一].
무저글 주145)
무저글:
무더기를. 덩어리를. 무적[塊]+-을.
주146)
:
갓. 새로[新].
기론 주147)
기론:
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 -ㄴ.
므레 주148)
므레:
물에. 믈[水]+-에.
라 주149)
라:
갈아. -[磨]+-아.
리 주150)
리:
빨리. ㄹ-(‘-의 이형태)[急]+-이(부사 형성 접미사).
브 주151)
브:
부어. -[灌]+-어.
토면 주152)
토면:
토하면. 토-[吐]+-면.
즉재 주153)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15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석웅황 주155)
석우황:
단사정계에 속하는 웅황의 광석으로 천연으로 나는 비소 화합물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덤덤하다. 쪼개져 갈라진 면은 진주 광택이 나며 계관석과 더불어 산출된다. 등황색 또는 누런 색을 띠며 염료 또는 화약에 쓰인다.
한 덩어리를 갓 길은 물에 갈아 빨리 부어 토하면 즉시 나을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황(牛黃):소의 쓸개 속에 병으로 생긴 덩어리. 열을 없애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중풍ㆍ열병ㆍ경간(驚癎) 따위에 쓴다.
주002)
목이:목이. 목+-이.
주003)
과이:갑자기.
주004)
브니라:붓다. -+-으니-+-라.
주005)
화졔애: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주006)
우격원과:우황량격원과. 우격원(牛黃凉膈圓)+과.
주007)
어약원애:어약원방에. 어약원(御藥院方)+애.
주008)
가감박하젼원과:가감박하젼원을. 가감박하젼원(加減薄荷煎)+-과+-.
주009)
머고미:먹음이. 먹[服]-+-옴(명사형어미)+-이.
주010)
맛니라:마땅하다. 맛당-[宜]+-니-+-라.
주011)
모기:목이. 목+-이.
주012)
과이:갑자기.
주013)
븟거든:붓거든. 븟-+-거든.
주014)
됫고마릿:도꼬마리의. 됫고마리[蒼耳]+-ㅅ.
주015)
불휘와:뿌리와. 불휘[根]+-와.
주016)
무근:묵은. 묵-[老]+-은.
주017)
앙:생강[薑].
주018)
:한[一].
주019)
무적과:덩어리를. 무적[塊]+-과+-.
주020)
:함께[同].
주021)
므르:무르게[爛].
주022)
라:갈아. -[硏]+-아.
주023)
걸운:거른. 걸-(‘거르-’의 이형태)[濾]+-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
주024)
즙을:즙을. 즙(汁)+-을.
주025)
:따뜻한. -[溫]+-ㄴ.
주026)
됴:좋은. 둏-[無灰白]+-은.
주027)
수레:술에. 술[酒]+에.
주028)
가:담가. -[浸]+-아.
주029)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030)
도꼬마리: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5미터 정도이고 온몸에 거친 털이 많으며, 잎은 삼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피는데 수꽃은 꼭지에 붙고 암꽃은 그 밑에 붙으며,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고리 모양의 가시와 짧은 털이 있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갈기래·권이(卷耳)·되꼬리·사이(葈耳)·시이·양부래(羊負來)·창이(蒼耳).
주031)
초애:식초에. 초(醋)+-애.
주032)
담번을:담반(膽礬)을. 담번+-을.
주033)
라:갈아. -[磨]+-아.
주034)
져고매:조금[少許].
주035)
이베:입에. 입[口]+-에.
주036)
머구머시면:머금고 있으면. 머굼-[噙]+어#시-(‘이시-’의 이형태)+-면.
주037)
져근덛:잠깐[片時].
주038)
춤:침[涎].
주039)
나면:나면. 나-[出]+-면.
주040)
즉재:즉시[立].
주041)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042)
담반(膽礬):황산구리로 이루어진 황산염 광물. 삼사 정계에 속하며, 콩팥 모양 또는 종유(鐘乳) 모양으로, 유리 광택이 나고 반투명한 푸른색을 띤다. 여러 광산의 물 속에서 발견되는데, 침전동(沈澱銅)의 원료 광물로서, 살충제·안료·매염제·전해액 따위로 쓴다. ≒군석(君石)·석담(石膽).
주043)
:날것[生].
주044)
번을:백반을. 번(白礬)+-을.
주045)
리:가늘게. -[細]+-이.
주046)
라:갈아. -[末]+-아.
주047)
므레:찬물에. -[冷]+-ㄴ#믈[水]+-에.
주048)
돈만:돈만. 돈[錢]+-만.
주049)
프러:풀어. 플-[調]+-어.
주050)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051)
즉재:즉시[立].
주052)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053)
모기:목이. 목+-이.
주054)
막고:막히고. 막-[閉]+-고.
주055)
브:부어. -[腫]+-어.
주056)
알파:아파. 알-[痛]+-아.
주057)
손바리:손발이. 손[手]#발[足]+-이.
주058)
고:차고. [冷]-+-고.
주059)
즉재:즉시(卽時).
주060)
수미:숨이. 숨[氣]+-이.
주061)
마가:막혀. 막-[閉]+-아.
주062)
티:통하지. 통-[通]+-디.
주063)
몯거든:못하거든. 몯-[不]+-거든.
주064)
조각:조각(皂角).
주065)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066)
솓:솥.
주067)
미틧:밑에 있는. 밑+-의(처소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68)
거믜:검댕.
주069)
:함께[同].
주070)
라:갈아. -[硏]+-아.
주071)
므레:찬물에. -[冷]+-ㄴ(관형사형 어미)#믈[水]+-에(처소격 조사).
주072)
프러:풀어. 플-[調]+-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73)
:맑은. -[淸]+-(관형사형 어미). ‘다’는 ‘맑다’.
주074)
두:두어. ‘수(數)’가 ‘두 번’으로 번역됨.
주075)
처디여:떨어뜨려. 떨어지게 하여. 처디-[加]+-여.
주076)
모:목에. 목+-(처소격 조사).
주077)
브라:부으라. -[灌]+-으라(명령형 종결어미).
주078)
모기:목이. 목+-이.
주079)
과이:갑자기.
주080)
마고:막히고.
주081)
브:부어. -+-어.
주082)
음식을:음식을. 음식(飮食)+-을.
주083)
먹디:먹지. 먹-+-디.
주084)
몯야:못하여. 몯-[不]+-야.
주085)
주글:죽을. 죽-[死]+-을.
주086)
거든:듯하거든. -+-거든.
주087)
앐:탱알의. 알[紫苑]+-ㅅ.
주088)
불휘:뿌리[根].
주089)
줄기:줄기를. 줄기[莖]+-.
주090)
조:깨끗이. 조-[淨]+-ㅣ(부사 형성 접미사).
주091)
시서:씻어. 싯-[洗]+-어. ‘싯다’는 ‘씻다’.
주092)
모:목에. 목[喉中]+-(처소격 조사).
주093)
녀허:넣어. 녛-[內入]+-어.
주094)
모딘: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惡]+-ㄴ.
주095)
추미:침이. 춤[涎]+-이.
주096)
즉재:즉시[卽].
주097)
됴리니:나을 것이니. 둏-[差]+-리-+-니.
주098)
:아주. 매우.
주099)
됴니라:좋다. 둏-+-니-+-라. ‘신험(神驗)’이 ‘ 둏다’로 번역됨.
주100)
:또[更].
주101)
마아쇼:마아초(馬牙硝)를. 마아쇼+-.
주102)
춤에:침에. 춤+-에.
주103)
노겨:녹여. 노기-+-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된다.
주104)
라:삼키라. -[嚥]+-라.
주105)
맛:승마의. 마[升麻]+-ㅅ.
주106)
사라:썰어. 사-[剉]+-아.
주107)
:부숴. -[碎]+-아.
주108)
사발애:사발에. 사발[椀]+-애.
주109)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110)
사바리어든:사발이거든. 사발[椀]+이-+-어든.
주111)
이베:입에. 입+-에.
주112)
브라:부으라. -[灌]+-으라.
주113)
조각:조각(皂角).
주114)
세:세[三].
주115)
줄기:줄기[莖].
주116)
두드려:두드려. 두드리-[搥]+-어.
주117)
:부수어. -[碎]+-아.
주118)
니:짠 것. -+-오-+-ㄴ#이. ‘뇌(挼)’가 ‘니’로 번역됨.
주119)
잔을:잔을. 잔[盞]+을.
주120)
브라:부으라. -(‘븟-’의 이형태)[灌]+-으라.
주121)
토커나:토하거나. 토-[吐]+-거나.
주122)
토티:토하지. 토-[吐]+-디.
주123)
아니커나:아니하거나. 아니-[不]+-거나(대등적 연결어미).
주124)
즉재:즉시. 곧[卽].
주125)
편안리라:편안할 것이다. 편안-[安]+-리-+-라.
주126)
잠퇴지(蠶退紙):누에 알 깐 종이.
주127)
누에:누에[蠶].
주128)
:씨.
주129)
낸:낸. 내-+-ㄴ.
주130)
죠:종이를. 죠[紙]+-.
주131)
디:사위지. -+-디.
주132)
아니케:아니하게. 아니-+-게. ‘存性’이 ‘디 아니다’로 번역됨.
주133)
라:살라. -[燒]+-아.
주134)
달힌:끓인. 달히-[煉]+-ㄴ.
주135)
레:꿀에. [蜜]+-에.
주136)
지:만들되. 짓되. -(‘짓-’의 이형태)+-오.
주137)
계두실만:계두실만큼. 계두실[維頭]+-만. 계두실은 가시연밥, 가시연꽃의 열매.
주138)
야:하여. -+-야.
주139)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140)
노겨:녹여. 노기-[化]+-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됨.
주141)
추믈:침을. 춤[津]+을.
주142)
라:삼켜라. -[嚥]+-라.
주143)
셕우:석우황[雄黃].
주144)
:한[一].
주145)
무저글:무더기를. 덩어리를. 무적[塊]+-을.
주146)
:갓. 새로[新].
주147)
기론: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 -ㄴ.
주148)
므레:물에. 믈[水]+-에.
주149)
라:갈아. -[磨]+-아.
주150)
리:빨리. ㄹ-(‘-의 이형태)[急]+-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151)
브:부어. -[灌]+-어.
주152)
토면:토하면. 토-[吐]+-면.
주153)
즉재:즉시[卽].
주154)
됴리라:나을 것이다.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155)
석우황:단사정계에 속하는 웅황의 광석으로 천연으로 나는 비소 화합물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덤덤하다. 쪼개져 갈라진 면은 진주 광택이 나며 계관석과 더불어 산출된다. 등황색 또는 누런 색을 띠며 염료 또는 화약에 쓰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