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9. 열색(噎塞)
메뉴닫기 메뉴열기

9. 열색(噎塞)


구급간이방언해 권2:80ㄱ

噎塞
宜服和劑方五膈 주001)
오격(五膈):
음식을 넘긴다 해도 위까지 내려가지 못하거나 위까지 내려갔다 해도 곧 게우는 5가지 격증.
寬中散快氣湯沉香 주002)
침향(沉香):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침향과 백목향의 나무진이 스며든 나뭇조각.
降氣湯

목며유미라 주003)
목며유미라:
목메임이다. 목며이-[噎塞]+-움+-이-+-라.
화졔애 주004)
화졔애:
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오격관산과 주005)
오격관듕산과:
오격관중산과. 오격관듕산(五膈寬中散)+-과.
쾌긔과 주006)
쾌긔과:
쾌기탕과. 쾌긔탕(快氣湯)+-과.
팀긔과 주007)
팀긔과:
침향강기탕을. 팀긔(沉香降氣湯)+-과(접속 조사)+-(대격 조사).
머고미 주008)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이.
맛니라 주009)
맛니라:
마땅하다. 맛당-[宜]+-니-+-라.

목메임이다
화제방에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주010)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배에 가스가 차고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으며 구역질이 나고 배가 아픈 데, 윗 배가 차고 찬 음식을 꺼리며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 처방.
쾌기탕(快氣湯) 주011)
쾌기탕(快氣湯):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
침향강기탕(沉香降氣湯) 주012)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위로 치밀어서 온몸이 붓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고 배가 불러 오르면서 헛구역, 기침이 나고 멀건 가래를 뱉는 데 쓰는 동약 처방.
을 먹음이 마땅하다.

{匈/⺼}中氣噎不下食喉中如有肉塊 昆布 다마머육 二兩洗去鹹味 小麥 밀 二合 水三大盞煎候小麥爛熟去滓每服不計時候喫一小盞仍揀取

구급간이방언해 권2:80ㄴ

昆布不住含三兩片子嚥津極妙

가애 주013)
가애:
가슴에. 가+-애.
긔운이 주014)
긔운이:
기운이. 긔운[氣]+-이.
막딜여 주015)
막딜여:
막히어. 막딜이[噎]+-어.
바비 주016)
바비:
밥이. 밥[食]+-이.
리디 주017)
리디:
내려가지. 리-[下]+디.
아니야 주018)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
가온 주019)
가온:
가운데. 가온[中]+∅(처소격 조사).
고깃 주020)
고깃:
고기의. 고기[肉]+-ㅅ.
무저기 주021)
무저기:
무더기가. 덩어리가. 무적[塊]+-이.
잇 주022)
잇:
있는. 잇-[有]+--(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
거든 주023)
거든:
듯하거든. -[如]+-거든.
다마머육 주024)
다마머육:
다시마미역[昆布].
두 을 시서 주025)
시서:
씻어. 싯-[洗]+-어.
주026)
:
짠. -[鹹]+-ㄴ.
업게 주027)
업게:
없게. 업-+-게.
고 주028)
고:
하고. -+-고.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된다.
밀 두 홉과 믈 서 되예 주029)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030)
달혀:
달여. 달히-[煎]+-어.
밀히 주031)
밀히:
밀이. 밀ㅎ(ㅎ곡용 명사)[小麥]+-이. ‘밀ㅎ’은 휴지나 속격 조사 ‘ㅅ’ 앞에서는 ‘밀’로 나타나고 주격 조사 ‘ㅣ’, 대격 조사 ‘’, 처소격 조사 ‘애’, 도구격 조사 ‘로’, 접속조사 ‘과’앞에서는 ‘밀ㅎ’로 나타난다.
므르 주032)
므르:
무르게[爛].
니글 주033)
니글:
익을. 닉-[熟]+을.
만야 주034)
만야:
만하여. 만-+야.
즈 주035)
즈:
찌꺼기[滓].
앗고 주036)
앗고:
제거하고. 없애고. 앗-[去]+-고.
니 주037)
니:
끼니. 때. 시간[時候].
혜디 주038)
혜디:
헤아리지. 혜-[計]+-디.
마오 주039)
마오:
말고. 마-(‘말-’의 이형태)[不]+-오.
홉곰 주040)
홉곰:
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머고 주041)
머고:
먹되. 먹-[喫]+오.
다마머육을 주042)
다마머육을:
다시마미역을. 다마머육[昆布]+ -을.
야 주043)
야:
구별하여, 가려. -[揀取]+-야.
조각이어나 주044)
조각이어나:
조각이거나. 조각[片子]+-이어나(선택의 보조사).
두 조각이어나 그치디 주045)
그치디:
그치지. 그치-[住]+-디.
마오

구급간이방언해 권2:81ㄱ

머구머 주046)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시버 주047)
시버:
씹어. 십-+-어.
므를 주048)
므를:
물을. 믈[津]+-을.
교미 주049)
교미:
삼킴이. -[嚥]+-옴+-이.
 주050)
:
아주. 매우[極].
됴니라 주051)
됴니라:
좋다. 둏-[妙]+-니-+-라.

가슴에 기운이 막히어 밥이 내려가지 아니하여 목 가운데 고기 덩어리가 있는 듯하거든 다시마미역 두 냥을 씻어 짠 맛을 없게 하고 밀 두 홉을 물 석 되에 달여 밀이 무르게 익을 만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때 헤아리지 말고 세 홉씩 먹되 그 다시마미역을 구별하여 세 조각이거나 두 조각이거나 그치지 말고 머금어 씹어 물을 삼킴이 아주 좋다.

氣噎{匈/月}膈不利煩滿不下食 蜜  半升수유 半升 生薑汁 半升 相和以慢火煎成膏收於甕合中每取半棗大含化嚥津或內熱酒中調服之亦得

긔운이 주052)
긔운이:
기운이. 긔운[氣]+-이.
막딜여 주053)
막딜여:
막히어. 막딜이-[噎]+-어.
가미 주054)
가미:
가슴이. 가[{匈/月}膈]+-이.
훤티 주055)
훤티:
시원하지. 훤-[利]+-디.
아니고 주056)
아니고:
아니하고. 아니-[不]+-고.
답답야 주057)
답답야:
답답하여. 답답-[煩滿]+-야.
바비 주058)
바비:
밥이. 밥[食]+-이.
리디 주059)
리디:
내리지. 내려가지. 리-[下]+-디.
아니커든 주060)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061)
:
꿀[蜜].
되와 주062)
되와:
되와. 되[升]+-와.
수유 주063)
수유:
연유[酥].
반 되와  주064)
:
생강(生薑).
즛두드려 주065)
즛두드려:
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066)
:
짠. - +오+-ㄴ. ‘다’는 ‘짜다’.
믈 반 되와

구급간이방언해 권2:81ㄴ

섯거 주067)
섯거:
섞어. -[和]+-어.
주068)
:
여린, 약한. -[慢]+-ㄴ.
브레 주069)
브레:
불에. 블[火]+-에. ‘만화(慢火)’가 ‘ 블’로 번역됨. ‘ 블’은 ‘뭉근하게 타는 불’.
달혀 주070)
달혀:
달여. 달히-[煎]+어.
얼의어든 주071)
얼의어든:
엉기거든. 얼의-+-어든. ‘성고(成膏)’가 ‘얼의다’로 번역됨.
사그르세 주072)
사그르세:
사기그릇에. 사그릇[甕合]+-에[於].
다마 주073)
다마:
담아. 담-[收]+-아.
두고 대초 주074)
대초:
대추[棗].
허리 버흐니마곰 주075)
버흐니마곰:
벤 것만큼. 버흐-+-ㄴ#이(의존명사)+-마곰.
머구머 주076)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
노겨 주077)
노겨:
녹여. 녹게 하여. 노기-[化]+-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됨.
라 주078)
라:
삼켜라. -[嚥]+-라.
더운 주079)
더운:
더운. 뜨거운. 더우-[熱]+-ㄴ.
수레 주080)
수레:
술에. 술[酒]+-에.
녀허 주081)
녀허:
넣어. 녛-[內]+-어.
프러 주082)
프러:
풀어. 플-[調]+-어.
머거도 주083)
머거도:
먹어도. 먹-[服]+-어도.
됴니라 주084)
됴니라:
좋다. 둏-[得]+-니+-라(평서형 종결어미).

기운이 막혀 가슴이 시원하지 아니하고 답답하여 밥이 내려가지 아니하거든 꿀 반 되와 연유 반 되와 생강 짓두드려 짠 물 반 되를 섞어 뭉근하게 타는 달여 엉기거든 사기그릇에 담아 두고 대추 허리 벤 것만큼 머금어 녹여 삼켜라. 또 뜨거운 술에 넣어 풀어 먹어도 좋다.

五噎{匈/月}膈咽喉不利痰逆食少 半夏 모롭 불휘 七枚小者湯浸洗去滑 擣羅爲末作一服以濃生薑湯  글힌 믈 調服之患年多者不過三服差

다 주085)
다:
다섯.
가지로 주086)
가지로:
가지로. 가지+-로.
목며여 주087)
목며여:
목메어. 목며이-[噎]+-어.
가과 주088)
가과:
가슴과. 가[{匈/月}膈]+-과.
목괘 주089)
목괘:
목이. 목[咽喉]+-과+-ㅣ(주격 조사).
훤티 주090)
훤티:
시원하지. 훤-[利]+-디.

구급간이방언해 권2:82ㄱ

니며 추미 주091)
추미:
침이. 춤[痰]+-이.
티와텨 주092)
티와텨:
치받치어. 티와티-[逆]+-어. ‘티와티다’는 ‘치받치다’.
바 주093)
바:
밥을. 밥[食]+-.
져기 주094)
져기:
적게, 조금. 젹[少]-+-이.
먹거든 모롭 불휘 주095)
모롭 불휘:
끼무릇 뿌리[半夏].
혀그니 주096)
혀그니:
작은 것. 혁-[小]+-은#이[者](의존 명사).
닐굽 주097)
닐굽:
일곱[七].
나 주098)
나:
낱을. 낯[枚] +-. ‘낯’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여럿 가운데 따로따로인, 아주 작거나 가늘거나 얇은 물건을 하나하나 세는 단위’.
더운 주099)
더운:
더운. 더우-+-ㄴ.
므레 주100)
므레:
물에. 믈+-에.
가 주101)
가:
담가. -[浸]+-아.
믯믯 주102)
믯믯:
미끈미끈한. 믯믯-+-ㄴ. ‘믯믯다’는 ‘미끈미끈하다. 밋밋하다’. ‘활(滑)’이 ‘믯믯 것’으로 번역됨.
업게 주103)
업게:
없게. 업-+-게.
주104)
코:
하고. -+-고.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됨.
디허 주105)
디허:
찧어. 딯-[擣]+-어.
 주106)
:
가루를. [末]+-.
라 주107)
라:
만들어. -[作]+-아.
 번에  디투 주108)
디투:
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글힌 주109)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프러 주110)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여러  그러턴 주111)
그러턴:
그렇던. 그러-+-더-+-ㄴ.
사도 세 번 너무 먹디 주112)
먹디:
먹지.
아니야셔 주113)
아니야셔:
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됴리라 주11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다섯 가지로 목메어 가슴과 목이 시원하지 아니하며 침이 치받치어 밥을 조금 먹거든 끼무릇 뿌리 작은 것 일곱 낱을 더운 물에 담가 미끈미끈한 것 없게 하고 찧어 가루를 만들어 한 번에 생강 짙게 끓인 물에 풀어 먹으라. 여러 해 그렇던 사람도 세 번 넘게 먹지 아니하여서 나을 것이다.

卒食噎 陳橘皮 귨 거플 一兩湯浸去白穰焙 搗爲末以水一大盞煎取半盞稍熱頓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82ㄴ

과이 주115)
과이:
갑자기[卒].
먹다가 주116)
먹다가:
먹다가. 먹-+-다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목몌여든 주117)
목몌여든:
목메이거든. 목몌-[噎]+-여든.
주118)
귨:
귤의. 귤[橘]+-ㅅ(속격 조사).
거플 주119)
거플:
껍질[皮].
 을 더운 므레 주120)
므레:
물에. 믈+에. ‘탕(湯)’이 ‘더운 믈’로 번역됨.
가 주121)
가:
담가. -[浸]+-아.
솝애 주122)
솝애:
속에. 솝[穰]+-애.
주123)
:
흰. [白]+-ㄴ.
앗고 주124)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브레 주125)
브레:
불에. 블+에.
외야 주126)
외야:
말리어. 외-[焙]+-야.
디허 주127)
디허:
찧어. 딯-[搗]+-어.
 주128)
:
가루를. [末]+-.
믈  되예 주129)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130)
달혀:
달여. 달히-[煎]+-어.
반 되 외어든 주131)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간 주132)
간:
조금[稍].
더운 주133)
더운:
뜨거운. 더우-+-ㄴ.
주134)
제:
때에. ‘열(熱)’이 ‘더운 제’로 번역됨.
믄득 주135)
믄득:
다[頓].
머그라 주136)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갑자기 밥 먹다가 목메이거든 귤의 껍질 한 냥을 더운 물에 담가 속에 흰 것 제거하고 불에 말리어 찧어 가루를 물 한 되에 달여 반 되가 되거든 조금 뜨거운 때에 다 먹으라.

蘿蔔 댓무 믿 濃煎湯飮之

댓무 주137)
댓무:
무.
믿 주138)
믿:
밑.
디투 주139)
디투:
짙게[濃].
달힌 주140)
달힌:
달인. 달히-[煎]+-ㄴ.
므를 주141)
므를:
물을. 믈[湯]+-을.
머그라 주142)
먹그라:
먹어라. 먹-[飮]+-으라.

무 밑 짙게 달인 물을 먹으라.

噎塞不通 羚羊角 산의  燒灰爲末水調方寸匕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83ㄱ

목며여 주143)
목며여:
목메어. 목며이-[噎塞]+-어.
훤티 주144)
훤티:
시원하지. 훤-[通]+-디.
아니커든 주145)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산의 주146)
산의:
산양의. 산[羚羊]+-의.
주147)
:
뿔[角].
라 주148)
라:
살라. -[燒]+-아.
주149)
:
재가. [灰]+∅(주격 조사).
외어든 주150)
외어든:
되거든. 외-+-어든.
라 주151)
라:
갈아. -[爲末]+-아.
므레 주152)
므레:
물에. 믈[水]+-에.
주153)
:
한[方寸].
술만 주154)
술만:
숟가락만큼. 술[匕]+-만.
프러 주155)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156)
머그라:
먹어라. 먹-[服]+-으라.

목메어 시원하지 아니하거든 산양의 뿔 살라 재가 되거든 갈아 물에 한 숟가락만큼 풀어 먹으라.

頭垢 머릿  一豆大漿水  글힌 믈 煎服立愈

머릿 주157)
머릿:
머리의. 머리[頭]+-ㅅ(속격 조사).
주158)
:
때가. [垢]+∅.
주159)
:
콩[豆].
낫만 주160)
낫만:
낱만큼. 낫+-만(보조사). ‘낫’은 ‘낯’의 팔종성표기임.
니 주161)
니를:
한 것을. -+-ㄴ#이+-를.
주162)
:
쌀.
글힌 주163)
글힌:
끓인. 글히-+-ㄴ.
므레 주164)
므레:
물에. 믈+-에.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달혀 주165)
달혀:
달여. 달히-[煎]+-어.
머그면 주166)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즉재 주167)
즉재:
즉시[立].
됴리라 주168)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머리의 때가 콩 낱만큼 한 것을 쌀 끓인 물에 달여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使兩人各提耳吹兩耳卽下

주169)
두:
두[兩].
사으로 주170)
사으로:
사람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人]+-으로.
두 녁 귀 주171)
귀:
귀를. 귀[耳]+-.
각각 자바셔 주172)
자바셔:
잡아서. 잡-[提]+-아셔.
두 귀 불면 즉재 리리라 주173)
리리라:
내릴 것이다. 리-[下]+-리-+-라.

두 사람으로 하여금 두 쪽 귀를 각각 잡아서 두 귀를 불면 즉시 내릴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83ㄴ

嚼下榛子 개옴

개옴을 주174)
개옴을:
개암나무의 열매를. 개옴[榛子]+-을.
시버 주175)
시버:
씹어. 십-[嚼]+-어.
머그라 주176)
머그라:
먹어라. 먹-[下]+-으라.

개암나무의 열매를 씹어 먹어라

削大蒜 마 內鼻

마 주177)
마:
마늘을. 마[蒜]+-.
갓가 주178)
갓가:
깎아. -[削]+-아.
고해 주179)
고해:
코에. 곻[鼻]+-애.
녀흐라 주180)
녀흐라:
넣으라. 녛-[內]+-으라.

마늘을 깎아 코에 넣으라.

海藻 바  周於頸下又食之

바 주181)
바:
바다의. 바[海]+-ㅅ.
 주182)
:
말을. [藻]+-.
모 주183)
모:
목에. 목[頸]+[於](처소격 조사).
가며 주184)
가며:
감으며. 감-[周]+-며.
주185)
:
또[又].
머그라 주186)
머그라:
먹으라. 먹-[食]+-으라.

바닷말을 목에 감으며 또 먹으라.

鵝毛 거유 짓 燒灰酒服

거유의 주187)
겨유의:
거위의. 거유[鵝]+-의.
지츨 주188)
지츨:
깃을. 짗[毛]+-을.
라 주189)
라:
살라. -[燒]+-아.
 주190)
:
재를. [灰]+-.
수레 주191)
수레:
술에. 술[酒]+-에.
프러 주192)
프러:
풀어. 플-+-어.
머그라 주193)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거위의 깃을 살라 재를 술에 풀어 먹으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84ㄴ

通草 이흐름너출 煎湯服之

이흐름너출을 주194)
이흐름너출을:
으름덩굴을. 이흐름너출[通草]+-을.
달혀 주195)
달혀:
달여. 달히-[煎]+-어.
머그라 주196)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으름덩굴을 달여 먹으라.

蘆根汁  불휫 즙 服之

주197)
:
갈대의. [蘆]+-ㅅ.
불휘 주198)
불휘:
뿌리를. 불휘[根]+-.
주199)
즙:
즙(汁).
주200)
:
짜. -+-아. ‘즙(汁)’이 ‘즙 다’로 번역됨.
머그라 주20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갈대의 뿌리를 즙 짜 먹으라.

藍汁  즙 服之

 주202)
:
청대를. [藍]+-.
주203)
:
짜. -+-아.
머그라 주204)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청대를 즙 짜 먹으라.

喉中如有物不出入腹賬羸瘐蘘荷根汁 핫  즙 服之蟲自出如有物者蟲之所作也

구급간이방언해 권2:84ㄴ

주205)
목:
목[喉].
가온 주206)
가온:
가운데[中].
아모 주207)
아모:
아무.
거시나 주208)
거시나:
것이나. 것+-이나(선택의 보조사). ‘물(物)’이 ‘아모 것’으로 번역됨.
잇 주209)
잇:
있는. 잇-[有]+--+ㄴ.
야 주210)
야:
듯하여. -[如]+-야.
나도 주211)
나도:
나지도. 나-[出]+-도.
드도 주212)
드도:
들어가지도. 드-(‘들-’의 이형태)[入]+-도.
아니야 주213)
아니야:
아니하여. 아니-[不]+-야.
주214)
:
배가. [腹]+∅.
붇고 주215)
붇고:
붇고. 붇-[賬]+-고.
여위어든 주216)
여위어든:
여위거든. 여위-[羸瘐]+-어든.
핫 주217)
핫:
양하의. 하[蘘荷]+-ㅅ(속격 조사).
을 주218)
을:
뿌리를. [根]+-을.
주219)
즙:
즙.
주220)
:
짜. +-아. ‘즙(汁)’이 ‘즙 다’로 번역됨.
머그면 주221)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벌에 주222)
벌에:
벌레가. 벌에[蟲]+∅(주격 조사).
절로 주223)
절로:
저절로[自].
나리니 주224)
나리니:
날 것이니. 나-[出]+-리-+-니.
아모 거시나 잇 호 주225)
호:
듯함은. -[如]+-옴(명사형 어미)-+-.
벌에의 주226)
벌에의:
벌래의. 벌에[蟲]+-의[之](속격 조사).
다시라 주227)
다시라:
탓이다. 닷[所作]+-이(계사)-+-라.

목 가운데 아무 것이나 있는 듯하여 나오지도 들어가지도 아니하여 배가 붇고 여위거든 양하 주228)
양하(蘘荷):
생강과에 속하는 숙근초.
의 뿌리를 즙 짜 먹으면 벌레가 저절로 날 것이니 아무 것이나 있는 듯함은 벌레의 탓이다.

五噎不下食 崖蜜 돌 에 지  含微微嚥之卽差

다 주229)
다:
다섯.
가지로 목며여 주230)
목며여:
목메어. 목며이-[噎]+-어.
바비 주231)
바비:
밥이. 밥[食]+-이.
리디 주232)
리디:
내리지. 내려가지. 리-[下]+-디.
아니커든 주233)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에 주234)
에:
틈에. +-에.
지 주235)
지:
지은. 만든. -+-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
 주236)
:
꿀을. [蜜]+-.
머구머셔 주237)
머구머셔:
머금어서. 머굼-[含]+-어셔.
젹젹 주238)
젹젹:
조금씩[微微].


구급간이방언해 권2:85ㄱ

주239)
면:
삼키면. -[嚥]+-면.
즉재 주240)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241)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다섯 가지로 목메어 밥이 내려가지 아니하거든 돌 틈에 만든 꿀을 머금어서 조금씩 삼키면 즉시 나을 것이다.

老牛噍沫 늘근 쇼 시븐 춤 如棗許大置稀粥中飮之終身不噎矣勿令患人知

늘근 주242)
늘근:
늙은. 늙-[老]+-은.
주243)
쇼:
소[牛].
시븐 주244)
시븐:
씹은. 십-[噍]+-은.
춤을 주245)
춤을:
침을. 침[沫]+-을.
대초 주246)
대초:
대추[棗].
낫만 주247)
낫만:
낱만큼. 낫+-만.
야 주248)
야:
하여. -+-야.
후루루 주249)
후루루:
묽은. 후루루-[稀]+-ㄴ.
쥭에 주250)
쥭에:
죽에. 죽[粥]+-에.
두어 주251)
두어:
두어. 두-[置]+-어.
마시면 죽록 주252)
죽록:
죽도록 죽-+-록. ‘종신(終身)’의 번역임.
목몌디 주253)
목몌디:
목메지. 목몌-[噎]+-디.
아니리니 주254)
아니리니:
아니할 것이니. 아니-[不]+-리-+-니.
 주255)
:
병을 앓는. 병-[患]+-ㄴ.
사으로 주256)
사으로:
사람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人]+-으로.
모게 주257)
모게:
모르게. 모-[勿…知]+-게.
라

늙은 소 씹은 침을 대추 낱만큼 하여 묽은 죽에 두어 마시면 죽도록 목메지 아니할 것이니 병을 앓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르게 하라.

老人噎病心痛悶膈氣結飮食不下 桂心末 계핏 솝 론  一兩 粳米  四合淘硏 煮作粥半熟次

구급간이방언해 권2:85ㄴ

下桂末調和空心日一服亦破冷氣殊效

늘근 주258)
늘근:
늙은. 늙-[老]+-은.
사 주259)
사:
사람[人].
목몐 주260)
목몐:
목멘. 목몌-[噎]+-ㄴ.
이 가미 주261)
가미:
가슴이. 가[心]+-이.
답답고 주262)
답답고:
답답하고. 답답-[悶]+-고.
긔운이 주263)
긔운이:
기운이. 긔운[氣]+-이.
쳐 주264)
쳐:
맺혀. 치-[結]+-어. 어간 ‘치-’는 ‘-+-히(피동 접사)’로 분석된다.
머군 주265)
머군:
먹은. 먹-+-우(의도법 선어말 어미)+-ㄴ.
거시 주266)
거시:
것이. 것+-이. ‘음식(飮食)’이 ‘머군 것’으로 번역됨.
리디 주267)
리디:
내리지. 내려가지. 내리-[下]+-디.
아니커든 주268)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계핏 주269)
계핏:
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주270)
솝:
속[心].
 을 라 주271)
라:
갈아. -+-아.
두고  주272)
:
흰쌀. -+-ㄴ#[粳米].
주273)
너:
네[四].
홉을 주274)
홉을:
홉을. 홉(合)+-을.
시서 주275)
시서:
씻어. 싯-[淘]+-어.
라 주276)
라:
갈아. -[硏]+-아.
글혀 주277)
글혀:
끓여. 글히-[煮]+-어.
주278)
쥭:
죽(粥).
로 주279)
로:
만들되. -[作]+-오.
반만 주280)
반만:
반만. 반(半)+-만.
닉거든 주281)
닉거든:
익거든. 익-[熟]+-거든.
계핏 주282)
계핏:
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 주283)
:
가루를. [末]+-.
녀허 주284)
녀허:
넣어. 녛-[下]+-어.
프러 주285)
프러:
풀어. 플-[調]+-어.
심에 주286)
심에:
빈속에. 공심(空心)+-에.
 주287)
:
하루[日].
 번 머그라 주288)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주289)
:
찬. -[冷]+-ㄴ.
긔운 주290)
긔운:
기운[氣].
업게 주291)
업게:
없게. 업-+-게.
호매도 주292)
호매도:
함에도. -+-옴(명사형 어미)+-애도. ‘파(破)’가 ‘업게 다’로 번역됨.
모 주293)
모:
자못[殊].
됴니라 주294)
됴니라:
좋다. 둏-[效]+-니-+-라.

늙은 사람 목멘 병이 가슴이 답답하고 기운이 맺혀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아니하거든 계피의 속 한 냥을 갈아 두고 흰쌀 네 홉을 씻어 갈아 끓여 죽을 만들되 반만 익거든 계피의 가루를 넣어 풀어 빈속에 하루 한 번 먹으라. 또 찬 기운 없게 함에도 자못 좋다.

白蜜   一兩 熟湯 一升 湯令熱卽下蜜調之分

구급간이방언해 권2:86ㄱ

二服皆愈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주295)
:
흰. -[白]+-ㄴ.
주296)
:
꿀[蜜].
 을 니기 주297)
니기:
익게. 닉-[熟]+-이.
글힌 주298)
글힌:
끓인. 글히-+-ㄴ. ‘탕(湯)’이 ‘글힌 믈’로 번역된다.
믈  되예 주299)
되예:
되에. 되[升]+-예.
프러 주300)
프러:
풀어. 플-[調]+-어.
두 번에 화 주301)
화:
나눠. 호-[分]+-아.
머그면 주302)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303)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흰 꿀 한 냥을 익게 끓인 물 한 되에 풀어 두 번에 나눠 먹으면 나을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격(五膈):음식을 넘긴다 해도 위까지 내려가지 못하거나 위까지 내려갔다 해도 곧 게우는 5가지 격증.
주002)
침향(沉香):팥꽃나무과에 속하는 침향과 백목향의 나무진이 스며든 나뭇조각.
주003)
목며유미라:목메임이다. 목며이-[噎塞]+-움+-이-+-라.
주004)
화졔애:화제방에. 화졔(和劑方)+-애.
주005)
오격관듕산과:오격관중산과. 오격관듕산(五膈寬中散)+-과.
주006)
쾌긔과:쾌기탕과. 쾌긔탕(快氣湯)+-과.
주007)
팀긔과:침향강기탕을. 팀긔(沉香降氣湯)+-과(접속 조사)+-(대격 조사).
주008)
머고미:먹음이. 먹-[服]+-옴+-이.
주009)
맛니라:마땅하다. 맛당-[宜]+-니-+-라.
주010)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배에 가스가 차고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으며 구역질이 나고 배가 아픈 데, 윗 배가 차고 찬 음식을 꺼리며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 처방.
주011)
쾌기탕(快氣湯):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
주012)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위로 치밀어서 온몸이 붓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고 배가 불러 오르면서 헛구역, 기침이 나고 멀건 가래를 뱉는 데 쓰는 동약 처방.
주013)
가애:가슴에. 가+-애.
주014)
긔운이:기운이. 긔운[氣]+-이.
주015)
막딜여:막히어. 막딜이[噎]+-어.
주016)
바비:밥이. 밥[食]+-이.
주017)
리디:내려가지. 리-[下]+디.
주018)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
주019)
가온:가운데. 가온[中]+∅(처소격 조사).
주020)
고깃:고기의. 고기[肉]+-ㅅ.
주021)
무저기:무더기가. 덩어리가. 무적[塊]+-이.
주022)
잇:있는. 잇-[有]+--(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
주023)
거든:듯하거든. -[如]+-거든.
주024)
다마머육:다시마미역[昆布].
주025)
시서:씻어. 싯-[洗]+-어.
주026)
:짠. -[鹹]+-ㄴ.
주027)
업게:없게. 업-+-게.
주028)
고:하고. -+-고.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된다.
주029)
되예:되에. 되[盞]+-예.
주030)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31)
밀히:밀이. 밀ㅎ(ㅎ곡용 명사)[小麥]+-이. ‘밀ㅎ’은 휴지나 속격 조사 ‘ㅅ’ 앞에서는 ‘밀’로 나타나고 주격 조사 ‘ㅣ’, 대격 조사 ‘’, 처소격 조사 ‘애’, 도구격 조사 ‘로’, 접속조사 ‘과’앞에서는 ‘밀ㅎ’로 나타난다.
주032)
므르:무르게[爛].
주033)
니글:익을. 닉-[熟]+을.
주034)
만야:만하여. 만-+야.
주035)
즈:찌꺼기[滓].
주036)
앗고:제거하고. 없애고. 앗-[去]+-고.
주037)
니:끼니. 때. 시간[時候].
주038)
혜디:헤아리지. 혜-[計]+-디.
주039)
마오:말고. 마-(‘말-’의 이형태)[不]+-오.
주040)
홉곰:홉씩. 홉+-곰. ‘일소잔(一小盞)’이 ‘서 홉’으로 번역됨.
주041)
머고:먹되. 먹-[喫]+오.
주042)
다마머육을:다시마미역을. 다마머육[昆布]+ -을.
주043)
야:구별하여, 가려. -[揀取]+-야.
주044)
조각이어나:조각이거나. 조각[片子]+-이어나(선택의 보조사).
주045)
그치디:그치지. 그치-[住]+-디.
주046)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047)
시버:씹어. 십-+-어.
주048)
므를:물을. 믈[津]+-을.
주049)
교미:삼킴이. -[嚥]+-옴+-이.
주050)
:아주. 매우[極].
주051)
됴니라:좋다. 둏-[妙]+-니-+-라.
주052)
긔운이:기운이. 긔운[氣]+-이.
주053)
막딜여:막히어. 막딜이-[噎]+-어.
주054)
가미:가슴이. 가[{匈/月}膈]+-이.
주055)
훤티:시원하지. 훤-[利]+-디.
주056)
아니고:아니하고. 아니-[不]+-고.
주057)
답답야:답답하여. 답답-[煩滿]+-야.
주058)
바비:밥이. 밥[食]+-이.
주059)
리디:내리지. 내려가지. 리-[下]+-디.
주060)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061)
:꿀[蜜].
주062)
되와:되와. 되[升]+-와.
주063)
수유:연유[酥].
주064)
:생강(生薑).
주065)
즛두드려: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066)
:짠. - +오+-ㄴ. ‘다’는 ‘짜다’.
주067)
섯거:섞어. -[和]+-어.
주068)
:여린, 약한. -[慢]+-ㄴ.
주069)
브레:불에. 블[火]+-에. ‘만화(慢火)’가 ‘ 블’로 번역됨. ‘ 블’은 ‘뭉근하게 타는 불’.
주070)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71)
얼의어든:엉기거든. 얼의-+-어든. ‘성고(成膏)’가 ‘얼의다’로 번역됨.
주072)
사그르세:사기그릇에. 사그릇[甕合]+-에[於].
주073)
다마:담아. 담-[收]+-아.
주074)
대초:대추[棗].
주075)
버흐니마곰:벤 것만큼. 버흐-+-ㄴ#이(의존명사)+-마곰.
주076)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
주077)
노겨:녹여. 녹게 하여. 노기-[化]+-어. 어간 ‘노기-’는 ‘녹-+-이(사동 접사)’로 분석됨.
주078)
라:삼켜라. -[嚥]+-라.
주079)
더운:더운. 뜨거운. 더우-[熱]+-ㄴ.
주080)
수레:술에. 술[酒]+-에.
주081)
녀허:넣어. 녛-[內]+-어.
주082)
프러:풀어. 플-[調]+-어.
주083)
머거도:먹어도. 먹-[服]+-어도.
주084)
됴니라:좋다. 둏-[得]+-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85)
다:다섯.
주086)
가지로:가지로. 가지+-로.
주087)
목며여:목메어. 목며이-[噎]+-어.
주088)
가과:가슴과. 가[{匈/月}膈]+-과.
주089)
목괘:목이. 목[咽喉]+-과+-ㅣ(주격 조사).
주090)
훤티:시원하지. 훤-[利]+-디.
주091)
추미:침이. 춤[痰]+-이.
주092)
티와텨:치받치어. 티와티-[逆]+-어. ‘티와티다’는 ‘치받치다’.
주093)
바:밥을. 밥[食]+-.
주094)
져기:적게, 조금. 젹[少]-+-이.
주095)
모롭 불휘:끼무릇 뿌리[半夏].
주096)
혀그니:작은 것. 혁-[小]+-은#이[者](의존 명사).
주097)
닐굽:일곱[七].
주098)
나:낱을. 낯[枚] +-. ‘낯’은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여럿 가운데 따로따로인, 아주 작거나 가늘거나 얇은 물건을 하나하나 세는 단위’.
주099)
더운:더운. 더우-+-ㄴ.
주100)
므레:물에. 믈+-에.
주101)
가:담가. -[浸]+-아.
주102)
믯믯:미끈미끈한. 믯믯-+-ㄴ. ‘믯믯다’는 ‘미끈미끈하다. 밋밋하다’. ‘활(滑)’이 ‘믯믯 것’으로 번역됨.
주103)
업게:없게. 업-+-게.
주104)
코:하고. -+-고.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됨.
주105)
디허:찧어. 딯-[擣]+-어.
주106)
:가루를. [末]+-.
주107)
라:만들어. -[作]+-아.
주108)
디투: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주109)
글힌:끓인. 글히-+-ㄴ.
주110)
프러:풀어. 플-[調]+-어.
주111)
그러턴:그렇던. 그러-+-더-+-ㄴ.
주112)
먹디:먹지.
주113)
아니야셔: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주114)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115)
과이:갑자기[卒].
주116)
먹다가:먹다가. 먹-+-다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주117)
목몌여든:목메이거든. 목몌-[噎]+-여든.
주118)
귨:귤의. 귤[橘]+-ㅅ(속격 조사).
주119)
거플:껍질[皮].
주120)
므레:물에. 믈+에. ‘탕(湯)’이 ‘더운 믈’로 번역됨.
주121)
가:담가. -[浸]+-아.
주122)
솝애:속에. 솝[穰]+-애.
주123)
:흰. [白]+-ㄴ.
주124)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125)
브레:불에. 블+에.
주126)
외야:말리어. 외-[焙]+-야.
주127)
디허:찧어. 딯-[搗]+-어.
주128)
:가루를. [末]+-.
주129)
되예:되에. 되[盞]+-예.
주130)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131)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132)
간:조금[稍].
주133)
더운:뜨거운. 더우-+-ㄴ.
주134)
제:때에. ‘열(熱)’이 ‘더운 제’로 번역됨.
주135)
믄득:다[頓].
주136)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37)
댓무:무.
주138)
믿:밑.
주139)
디투:짙게[濃].
주140)
달힌:달인. 달히-[煎]+-ㄴ.
주141)
므를:물을. 믈[湯]+-을.
주142)
먹그라:먹어라. 먹-[飮]+-으라.
주143)
목며여:목메어. 목며이-[噎塞]+-어.
주144)
훤티:시원하지. 훤-[通]+-디.
주145)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146)
산의:산양의. 산[羚羊]+-의.
주147)
:뿔[角].
주148)
라:살라. -[燒]+-아.
주149)
:재가. [灰]+∅(주격 조사).
주150)
외어든:되거든. 외-+-어든.
주151)
라:갈아. -[爲末]+-아.
주152)
므레:물에. 믈[水]+-에.
주153)
:한[方寸].
주154)
술만:숟가락만큼. 술[匕]+-만.
주155)
프러:풀어. 플-[調]+-어.
주156)
머그라:먹어라. 먹-[服]+-으라.
주157)
머릿:머리의. 머리[頭]+-ㅅ(속격 조사).
주158)
:때가. [垢]+∅.
주159)
:콩[豆].
주160)
낫만:낱만큼. 낫+-만(보조사). ‘낫’은 ‘낯’의 팔종성표기임.
주161)
니를:한 것을. -+-ㄴ#이+-를.
주162)
:쌀.
주163)
글힌:끓인. 글히-+-ㄴ.
주164)
므레:물에. 믈+-에. ‘장수(漿水)’가 ‘ 글힌 믈’로 번역됨.
주165)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166)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167)
즉재:즉시[立].
주168)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169)
두:두[兩].
주170)
사으로:사람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人]+-으로.
주171)
귀:귀를. 귀[耳]+-.
주172)
자바셔:잡아서. 잡-[提]+-아셔.
주173)
리리라:내릴 것이다. 리-[下]+-리-+-라.
주174)
개옴을:개암나무의 열매를. 개옴[榛子]+-을.
주175)
시버:씹어. 십-[嚼]+-어.
주176)
머그라:먹어라. 먹-[下]+-으라.
주177)
마:마늘을. 마[蒜]+-.
주178)
갓가:깎아. -[削]+-아.
주179)
고해:코에. 곻[鼻]+-애.
주180)
녀흐라:넣으라. 녛-[內]+-으라.
주181)
바:바다의. 바[海]+-ㅅ.
주182)
:말을. [藻]+-.
주183)
모:목에. 목[頸]+[於](처소격 조사).
주184)
가며:감으며. 감-[周]+-며.
주185)
:또[又].
주186)
머그라:먹으라. 먹-[食]+-으라.
주187)
겨유의:거위의. 거유[鵝]+-의.
주188)
지츨:깃을. 짗[毛]+-을.
주189)
라:살라. -[燒]+-아.
주190)
:재를. [灰]+-.
주191)
수레:술에. 술[酒]+-에.
주192)
프러:풀어. 플-+-어.
주193)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94)
이흐름너출을:으름덩굴을. 이흐름너출[通草]+-을.
주195)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196)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97)
:갈대의. [蘆]+-ㅅ.
주198)
불휘:뿌리를. 불휘[根]+-.
주199)
즙:즙(汁).
주200)
:짜. -+-아. ‘즙(汁)’이 ‘즙 다’로 번역됨.
주20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02)
:청대를. [藍]+-.
주203)
:짜. -+-아.
주204)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05)
목:목[喉].
주206)
가온:가운데[中].
주207)
아모:아무.
주208)
거시나:것이나. 것+-이나(선택의 보조사). ‘물(物)’이 ‘아모 것’으로 번역됨.
주209)
잇:있는. 잇-[有]+--+ㄴ.
주210)
야:듯하여. -[如]+-야.
주211)
나도:나지도. 나-[出]+-도.
주212)
드도:들어가지도. 드-(‘들-’의 이형태)[入]+-도.
주213)
아니야:아니하여. 아니-[不]+-야.
주214)
:배가. [腹]+∅.
주215)
붇고:붇고. 붇-[賬]+-고.
주216)
여위어든:여위거든. 여위-[羸瘐]+-어든.
주217)
핫:양하의. 하[蘘荷]+-ㅅ(속격 조사).
주218)
을:뿌리를. [根]+-을.
주219)
즙:즙.
주220)
:짜. +-아. ‘즙(汁)’이 ‘즙 다’로 번역됨.
주221)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222)
벌에:벌레가. 벌에[蟲]+∅(주격 조사).
주223)
절로:저절로[自].
주224)
나리니:날 것이니. 나-[出]+-리-+-니.
주225)
호:듯함은. -[如]+-옴(명사형 어미)-+-.
주226)
벌에의:벌래의. 벌에[蟲]+-의[之](속격 조사).
주227)
다시라:탓이다. 닷[所作]+-이(계사)-+-라.
주228)
양하(蘘荷):생강과에 속하는 숙근초.
주229)
다:다섯.
주230)
목며여:목메어. 목며이-[噎]+-어.
주231)
바비:밥이. 밥[食]+-이.
주232)
리디:내리지. 내려가지. 리-[下]+-디.
주233)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234)
에:틈에. +-에.
주235)
지:지은. 만든. -+-우-(의도법 선어말어미)+-ㄴ.
주236)
:꿀을. [蜜]+-.
주237)
머구머셔:머금어서. 머굼-[含]+-어셔.
주238)
젹젹:조금씩[微微].
주239)
면:삼키면. -[嚥]+-면.
주240)
즉재:즉시[卽].
주241)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242)
늘근:늙은. 늙-[老]+-은.
주243)
쇼:소[牛].
주244)
시븐:씹은. 십-[噍]+-은.
주245)
춤을:침을. 침[沫]+-을.
주246)
대초:대추[棗].
주247)
낫만:낱만큼. 낫+-만.
주248)
야:하여. -+-야.
주249)
후루루:묽은. 후루루-[稀]+-ㄴ.
주250)
쥭에:죽에. 죽[粥]+-에.
주251)
두어:두어. 두-[置]+-어.
주252)
죽록:죽도록 죽-+-록. ‘종신(終身)’의 번역임.
주253)
목몌디:목메지. 목몌-[噎]+-디.
주254)
아니리니:아니할 것이니. 아니-[不]+-리-+-니.
주255)
:병을 앓는. 병-[患]+-ㄴ.
주256)
사으로:사람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人]+-으로.
주257)
모게:모르게. 모-[勿…知]+-게.
주258)
늘근:늙은. 늙-[老]+-은.
주259)
사:사람[人].
주260)
목몐:목멘. 목몌-[噎]+-ㄴ.
주261)
가미:가슴이. 가[心]+-이.
주262)
답답고:답답하고. 답답-[悶]+-고.
주263)
긔운이:기운이. 긔운[氣]+-이.
주264)
쳐:맺혀. 치-[結]+-어. 어간 ‘치-’는 ‘-+-히(피동 접사)’로 분석된다.
주265)
머군:먹은. 먹-+-우(의도법 선어말 어미)+-ㄴ.
주266)
거시:것이. 것+-이. ‘음식(飮食)’이 ‘머군 것’으로 번역됨.
주267)
리디:내리지. 내려가지. 내리-[下]+-디.
주268)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269)
계핏: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주270)
솝:속[心].
주271)
라:갈아. -+-아.
주272)
:흰쌀. -+-ㄴ#[粳米].
주273)
너:네[四].
주274)
홉을:홉을. 홉(合)+-을.
주275)
시서:씻어. 싯-[淘]+-어.
주276)
라:갈아. -[硏]+-아.
주277)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278)
쥭:죽(粥).
주279)
로:만들되. -[作]+-오.
주280)
반만:반만. 반(半)+-만.
주281)
닉거든:익거든. 익-[熟]+-거든.
주282)
계핏:계피의. 계피[桂]+-ㅅ(속격 조사).
주283)
:가루를. [末]+-.
주284)
녀허:넣어. 녛-[下]+-어.
주285)
프러:풀어. 플-[調]+-어.
주286)
심에:빈속에. 공심(空心)+-에.
주287)
:하루[日].
주288)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289)
:찬. -[冷]+-ㄴ.
주290)
긔운:기운[氣].
주291)
업게:없게. 업-+-게.
주292)
호매도:함에도. -+-옴(명사형 어미)+-애도. ‘파(破)’가 ‘업게 다’로 번역됨.
주293)
모:자못[殊].
주294)
됴니라:좋다. 둏-[效]+-니-+-라.
주295)
:흰. -[白]+-ㄴ.
주296)
:꿀[蜜].
주297)
니기:익게. 닉-[熟]+-이.
주298)
글힌:끓인. 글히-+-ㄴ. ‘탕(湯)’이 ‘글힌 믈’로 번역된다.
주299)
되예:되에. 되[升]+-예.
주300)
프러:풀어. 플-[調]+-어.
주301)
화:나눠. 호-[分]+-아.
주302)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303)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