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5. 교장사(絞膓沙)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교장사(絞膓沙)


絞膓沙

구급간이방언해 권2:45ㄴ

宜服和劑方六和湯香薷散

과 주001)
과:
갑작스런. 과-+-ㄴ.
모딘 주002)
모딘:
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ㄴ.
주003)
독:
독(毒).
마자 주004)
마자:
맞아. 맞-+-아.
주005)
:
배가. +∅(주격 조사).
 주006)
:
자르는. -+--+-ㄴ.
주007)
:
듯.
알파 주008)
알파:
아파. 알-+-아.
견디 주009)
견디:
견디지. 견-+-디.
몯호미라 주010)
몯호미라:
못함이다. 몯-+-옴+이-+-라.
화졔애 륙화과 유산과 머고미 주011)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이.
맛니라 주012)
맛니라:
마땅하다. 맛-[宜]+-니-+-라.

갑작스런 나쁜 독(毒) 맞아 배가 자르는 듯 아파 견디지 못함이다
화제방(和劑方)에 육화탕(六和湯) 주013)
육화탕(六和湯) :
더위에 심(心)과 비(脾)를 상하여 토하고 설사하거나 곽란으로 쥐가 이는[轉筋] 것과 부종(浮腫), 학질, 이질이 된 것 등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후박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곽향, 까치콩(백편두), 모과 각각 4g, 사인,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인삼, 감초 각각 2g.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향유 주014)
향유(香薷):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 나고 달걀 모양으로 가에 톱니가 있다. 8~9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전초를 약용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아시아 온대에서 유럽에 걸쳐 분포한다.
산(香薷散) 주015)
향유산(香薷散):
향유의 가루.
을 먹음이 마땅하다.

絞膓沙痛不可忍或展轉在地或起或仆其膓絞縮在腹此是中毒之深須臾能令人死急用塩 소곰 一兩熱湯調灌入病人口中塩氣一到腹其腹卽定

과 모딘 독 마자    알포 주016)
알포:
아픔을. 알-[痛]+-옴+-.

구급간이방언해 권2:46ㄱ

디 주017)
디:
참지. 참-[忍]+-디.
몯야 주018)
몯야:
못하여. 몯-[不]+-야.
구으러 주019)
구으러:
굴러. 구을-[展轉]+-어.
해셔 주020)
해셔:
땅에서. ㅎ[地]+-애셔.
닐락 주021)
닐락:
일어나락. 닐-[起]+-락(완료상을 표시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업더디락 주022)
업더디락:
엎어지락. 업더디-[仆]+-락. 복(仆)은 ‘엎드리다. 넘어지다. 자빠지다’.
야  주023)
:
창자가. [膓]+-ㅣ.
뷔트리혀 주024)
뷔트리허:
비틀리어. 뷔트리혀-[絞]+∅(보조적 연결어미 ‘-어’).
거두쥐 주025)
거두쥐:
움츠러드는. 거두쥐-[縮]+--+-ㄴ.
야 주026)
야:
듯하여. -+-야.
안해 주027)
안해:
안에. 안ㅎ+-애.
이쇼 주028)
이쇼:
있음은. 이시-+-옴+-.
모딘 주029)
모딘:
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ㄴ.
긔운 주030)
긔운:
기운. ‘독(毒)’이 ‘모딘 긔운’으로 번역됨.
마조미 주031)
마조미:
맞음이. 맞-[中]+-옴+-이.
기퍼 주032)
기퍼:
깊어. 깊-[深]+-어.
져근더데 주033)
져근더데:
잠깐. 잠시[須臾]. 져근덛+-에.
사 주034)
사:
사람을. 사[人]+-.
죽게 주035)
죽게:
죽게. 죽-[死]+-게.
니 주036)
니:
하니. -+--+-니.
리 소곰 주037)
소곰:
소금[塩].
 을 더운 주038)
더운:
뜨거운. 더우-[熱]+-ㄴ.
므레 프러  주039)
:
병을 앓고 있는. -[病]+-ㄴ.
사 주040)
사:
사람의. 사[人]+-(속격 조사).
이베 주041)
이베:
입에. 입[口]+에.
브라 주042)
브라:
부으라. -[灌入]+-으라. 기본형은 ‘븟다’임.
소 주043)
소:
소금의. 소곰[塩]+-ㅅ.
긔운이 예 주044)
예:
배에. [腹]+-예.
드러가면 주045)
드러가면:
들어가면. 들-+-어#가-+-면. ‘도(到)’가 ‘드러가다’로 번역됨.
즉재 편안리라 주046)
편안리라:
편안할 것이다. 편안-[定]+-리-+-라.

갑작스런 나쁜 독(毒) 맞아 배가 자르는 듯 아픔을 참지 못하여 굴러 땅에서 일어나락 엎어지락 하여 창자가 비틀리어 움츠러드는 듯하여 배 안에 있음은 이것이 나쁜 기운 맞음이 깊어 잠깐 사람을 죽게 하니 빨리 소금 한 냥을 뜨거운 물에 풀어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입에 부으라. 소금의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즉시 편안할 것이다.

絞膓沙腹痛嘔吐泄瀉及霍亂中署煩渴不

구급간이방언해 권2:46ㄴ

省人事 馬糞  硏同蜜 濾過 주047)
여과(濾過):
거름. 걸러냄.
新汲水  기론 믈 化下卽愈

과 모딘 독 마자    알파 견디 주048)
견디:
견디지. 견-+-디.
몯야 토며 즈츼며 주049)
즈츼며:
설사(泄瀉)하며. 즈츼-[泄瀉]+-며.
어즐며 주050)
어즐며:
어질어질하며. 어즐-[霍亂]+-며.
더위며여 주051)
더위며여:
더위먹어. 더위며이-[中署]+-어.
답답고 갈야 주052)
갈야:
목말라. 갈-[渴]+-야.
 주053)
:
정신을. [人事]+-.
리거든 주054)
리거든:
차리거든. 리-[省]+-거든.
을 주055)
을:
말똥을. [馬]#[糞]+-.
라 주056)
라:
갈아. -[硏]+-아.
와 주057)
와:
꿀과. [蜜]+-와.
 주058)
:
함께[同].
저 주059)
저:
저어. -(‘젓-’의 이형태)[擂]+-어. 뢰(擂)는 ‘갈다. 문지르다’.
바타 주060)
바타:
걸러. 밭-[濾過]+-아. 려(濾)는 ‘거르다’.
주061)
:
갓. 새로[新].
기론 주062)
기론:
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므레 주063)
므레:
물에. 믈[水]+-에.
프러 주064)
프러:
풀어. 플-[化]+-어.
머그면 주065)
머그면:
먹으면. 먹-[下]+-으면.
즉재 주066)
즉재:
즉시[卽].
됴리라 주067)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갑작스런 나쁜 독(毒) 맞아 배가 자르는 듯 아파 견디지 못하여 토하며 설사하며 어질어질하며 더위먹어 답답하고 목말라 정신을 못 차리거든 말똥을 갈아 꿀과 함께 저어 걸러 갓 기른 물에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馬藺 붇곳 根葉細嚼嚥之立差嚥汁去柤亦

구급간이방언해 권2:47ㄱ


붇곳 주068)
붇곳:
붓꽃[馬藺].
불휘와 주069)
불휘와:
뿌리와. 불휘[根]+-와.
닙과 주070)
닙과:
잎을. 닙[葉]+-과+-.
로니 주071)
로니:
무르게. 문드러지게[細].
시버 주072)
시버:
씹어. 십-[嚼]+-어.
면 주073)
면:
삼키면. -[嚥]+-면.
즉재 주074)
즉재:
즉시[立].
됴리라 시버 주075)
시버:
씹어. 십-+-어.
즙만 주076)
즙만:
즙만. 즙(汁)+-만.
고 주077)
고:
삼키고. -[嚥]+-고.
즈란 주078)
즈란:
찌꺼기는. 즈[柤]+-란. 사(柤)는 탕약을 짠 찌꺼기.
려도 주079)
려도:
버려도. 리-[去]+-어도.
 됴니라

붓꽃 뿌리와 잎을 무르게 씹어 삼키면 즉시 나을 것이다. 씹어 즙(汁)만 삼키고 찌꺼기는 버려도 또 좋다.

絞膓沙 苧麻扎十指尖針銚出惡血數點

과 모딘 독 마자    알파 견디 주080)
견디:
견디지. 견-+-디.
몯거든 주081)
몯거든:
못하거든. 몯-+-거든.
모시뢰나 주082)
모시뢰나:
모시로나. 모시[苧]+-뢰나. ‘-뢰나’는 ‘-로+ㅣ-+-나’로 분석될 수 있다.
삼으뢰나 주083)
삼으뢰나:
삼으로나. 삼[麻]+-으뢰나. ‘-으뢰나’는 ‘-으로+이-+-나’로 분석될 수 있다.
가락 주084)
가락:
손가락[指].
그틀 주085)
그틀:
끝을. 긑[尖]+-을.
오 주086)
오:
-[扎]+-오.
침으로 주087)
침으로:
침(針)으로. 침+-으로.
어 주088)
어:
찔러. -(‘르-’의 이형태)+-어. ‘침(針)’이 ‘침으로 르다’로 번역됨. 침(針)은 ‘침 놓다. 침으로 찌르다’.
모딘 주089)
모딘:
나쁜. 모디-[惡]+-ㄴ.
피 주090)
피:
피를. 피[血]+-.
두 주091)
두:
두어. 두세.

구급간이방언해 권2:47ㄴ

번을 주092)
번을:
번을. ‘수(數)’가 ‘두 번’으로 번역됨.
처디라 주093)
처디라:
떨어뜨리라. 처디-[點]+-라.

갑작스런 나쁜 독 맞아 배가 자르는 듯 아파 견디지 못하거든 모시로나 삼으로나 열 손가락 끝을 매고 침을 찔러 나쁜 피를 두어 번을 떨어뜨리라.

久乾猪糞 도  니 一塊如指頭大用砂仁二箇碾爲末白湯 글힌 믈 調服妙

오래 주094)
오래:
오래[久].
 주095)
:
마른. -[乾]+-ㄴ.
도 주096)
도:
돼지의. 돝[猪]+-.
주097)
:
똥[糞].
가락 주098)
가락:
손가락[指]. 손+-ㅅ#가락.
귿만 주099)
귿만:
끝만큼. 귿[頭]+-만.
니 주100)
니:
한 것. -+-ㄴ#이.
무젹과 주101)
무젹과:
무더기와. 무적[塊]+-과.
츅사 주102)
츅사:
사인(砂仁). 축사밀(縮沙密)의 씨.
낫과 주103)
낫과:
낱을. 낫[箇]+-과+-.
라 주104)
라:
갈아. 갈-[碾]+-아.
이 주105)
이:
가루가. (‘’의 이형태)[末]+-이.
외어든 글힌 므레 프러 머고미 됴니라

오래 마른 돼지의 똥 손가락 끝만큼 한 것 한 무더기와 축사밀(縮砂密)의 씨 두 낱을 갈아 가루가 되거든 끓인 물에 풀어 먹음이 좋다.

收蠶子的舊紙 누에  낸 죠 一幅務要去蠶子潔淨燒灰爲末用熱酒調服立效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구급간이방언해 권2:48ㄱ

누에  주106)
낸:
낸. 내-[收]+-ㄴ.
죠 주107)
죠:
종이[舊紙].
을 주108)
을:
장을. [幅]+을.
누에  주109)
:
씨를. [子]+-.
조히 주110)
조히:
깨끗이. 좋-[潔淨]+-이.
업게 주111)
업게:
없게. 업-(‘없-’의 이형태)+-게.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됨.
고 론 주112)
론:
사른. -[燒]+-오-+-ㄴ.
 주113)
:
재를. [灰]+-.
라 더운 수레 프러 머그면 즉재 됴리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누에 씨 낸 종이 한 장을 누에 씨를 깨끗이 제거하고 사른 재를 갈아 뜨거운 술에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과:갑작스런. 과-+-ㄴ.
주002)
모딘: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ㄴ.
주003)
독:독(毒).
주004)
마자:맞아. 맞-+-아.
주005)
:배가. +∅(주격 조사).
주006)
:자르는. -+--+-ㄴ.
주007)
:듯.
주008)
알파:아파. 알-+-아.
주009)
견디:견디지. 견-+-디.
주010)
몯호미라:못함이다. 몯-+-옴+이-+-라.
주011)
머고미:먹음이. 먹-[服]+-옴+-이.
주012)
맛니라:마땅하다. 맛-[宜]+-니-+-라.
주013)
육화탕(六和湯) :더위에 심(心)과 비(脾)를 상하여 토하고 설사하거나 곽란으로 쥐가 이는[轉筋] 것과 부종(浮腫), 학질, 이질이 된 것 등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후박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곽향, 까치콩(백편두), 모과 각각 4g, 사인, 끼무릇(반하), 살구씨(행인), 인삼, 감초 각각 2g.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주014)
향유(香薷):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 나고 달걀 모양으로 가에 톱니가 있다. 8~9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전초를 약용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아시아 온대에서 유럽에 걸쳐 분포한다.
주015)
향유산(香薷散):향유의 가루.
주016)
알포:아픔을. 알-[痛]+-옴+-.
주017)
디:참지. 참-[忍]+-디.
주018)
몯야:못하여. 몯-[不]+-야.
주019)
구으러:굴러. 구을-[展轉]+-어.
주020)
해셔:땅에서. ㅎ[地]+-애셔.
주021)
닐락:일어나락. 닐-[起]+-락(완료상을 표시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주022)
업더디락:엎어지락. 업더디-[仆]+-락. 복(仆)은 ‘엎드리다. 넘어지다. 자빠지다’.
주023)
:창자가. [膓]+-ㅣ.
주024)
뷔트리허:비틀리어. 뷔트리혀-[絞]+∅(보조적 연결어미 ‘-어’).
주025)
거두쥐:움츠러드는. 거두쥐-[縮]+--+-ㄴ.
주026)
야:듯하여. -+-야.
주027)
안해:안에. 안ㅎ+-애.
주028)
이쇼:있음은. 이시-+-옴+-.
주029)
모딘:나쁜. 모디-(‘모딜-’의 이형태)+-ㄴ.
주030)
긔운:기운. ‘독(毒)’이 ‘모딘 긔운’으로 번역됨.
주031)
마조미:맞음이. 맞-[中]+-옴+-이.
주032)
기퍼:깊어. 깊-[深]+-어.
주033)
져근더데:잠깐. 잠시[須臾]. 져근덛+-에.
주034)
사:사람을. 사[人]+-.
주035)
죽게:죽게. 죽-[死]+-게.
주036)
니:하니. -+--+-니.
주037)
소곰:소금[塩].
주038)
더운:뜨거운. 더우-[熱]+-ㄴ.
주039)
:병을 앓고 있는. -[病]+-ㄴ.
주040)
사:사람의. 사[人]+-(속격 조사).
주041)
이베:입에. 입[口]+에.
주042)
브라:부으라. -[灌入]+-으라. 기본형은 ‘븟다’임.
주043)
소:소금의. 소곰[塩]+-ㅅ.
주044)
예:배에. [腹]+-예.
주045)
드러가면:들어가면. 들-+-어#가-+-면. ‘도(到)’가 ‘드러가다’로 번역됨.
주046)
편안리라:편안할 것이다. 편안-[定]+-리-+-라.
주047)
여과(濾過):거름. 걸러냄.
주048)
견디:견디지. 견-+-디.
주049)
즈츼며:설사(泄瀉)하며. 즈츼-[泄瀉]+-며.
주050)
어즐며:어질어질하며. 어즐-[霍亂]+-며.
주051)
더위며여:더위먹어. 더위며이-[中署]+-어.
주052)
갈야:목말라. 갈-[渴]+-야.
주053)
:정신을. [人事]+-.
주054)
리거든:차리거든. 리-[省]+-거든.
주055)
을:말똥을. [馬]#[糞]+-.
주056)
라:갈아. -[硏]+-아.
주057)
와:꿀과. [蜜]+-와.
주058)
:함께[同].
주059)
저:저어. -(‘젓-’의 이형태)[擂]+-어. 뢰(擂)는 ‘갈다. 문지르다’.
주060)
바타:걸러. 밭-[濾過]+-아. 려(濾)는 ‘거르다’.
주061)
:갓. 새로[新].
주062)
기론:길은. 길-(‘긷-’의 이형태)[汲]+-오-+-ㄴ.
주063)
므레:물에. 믈[水]+-에.
주064)
프러:풀어. 플-[化]+-어.
주065)
머그면:먹으면. 먹-[下]+-으면.
주066)
즉재:즉시[卽].
주067)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주068)
붇곳:붓꽃[馬藺].
주069)
불휘와:뿌리와. 불휘[根]+-와.
주070)
닙과:잎을. 닙[葉]+-과+-.
주071)
로니:무르게. 문드러지게[細].
주072)
시버:씹어. 십-[嚼]+-어.
주073)
면:삼키면. -[嚥]+-면.
주074)
즉재:즉시[立].
주075)
시버:씹어. 십-+-어.
주076)
즙만:즙만. 즙(汁)+-만.
주077)
고:삼키고. -[嚥]+-고.
주078)
즈란:찌꺼기는. 즈[柤]+-란. 사(柤)는 탕약을 짠 찌꺼기.
주079)
려도:버려도. 리-[去]+-어도.
주080)
견디:견디지. 견-+-디.
주081)
몯거든:못하거든. 몯-+-거든.
주082)
모시뢰나:모시로나. 모시[苧]+-뢰나. ‘-뢰나’는 ‘-로+ㅣ-+-나’로 분석될 수 있다.
주083)
삼으뢰나:삼으로나. 삼[麻]+-으뢰나. ‘-으뢰나’는 ‘-으로+이-+-나’로 분석될 수 있다.
주084)
가락:손가락[指].
주085)
그틀:끝을. 긑[尖]+-을.
주086)
오:-[扎]+-오.
주087)
침으로:침(針)으로. 침+-으로.
주088)
어:찔러. -(‘르-’의 이형태)+-어. ‘침(針)’이 ‘침으로 르다’로 번역됨. 침(針)은 ‘침 놓다. 침으로 찌르다’.
주089)
모딘:나쁜. 모디-[惡]+-ㄴ.
주090)
피:피를. 피[血]+-.
주091)
두:두어. 두세.
주092)
번을:번을. ‘수(數)’가 ‘두 번’으로 번역됨.
주093)
처디라:떨어뜨리라. 처디-[點]+-라.
주094)
오래:오래[久].
주095)
:마른. -[乾]+-ㄴ.
주096)
도:돼지의. 돝[猪]+-.
주097)
:똥[糞].
주098)
가락:손가락[指]. 손+-ㅅ#가락.
주099)
귿만:끝만큼. 귿[頭]+-만.
주100)
니:한 것. -+-ㄴ#이.
주101)
무젹과:무더기와. 무적[塊]+-과.
주102)
츅사:사인(砂仁). 축사밀(縮沙密)의 씨.
주103)
낫과:낱을. 낫[箇]+-과+-.
주104)
라:갈아. 갈-[碾]+-아.
주105)
이:가루가. (‘’의 이형태)[末]+-이.
주106)
낸:낸. 내-[收]+-ㄴ.
주107)
죠:종이[舊紙].
주108)
을:장을. [幅]+을.
주109)
:씨를. [子]+-.
주110)
조히:깨끗이. 좋-[潔淨]+-이.
주111)
업게:없게. 업-(‘없-’의 이형태)+-게. ‘거(去)’가 ‘업게 다’로 번역됨.
주112)
론:사른. -[燒]+-오-+-ㄴ.
주113)
:재를. [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