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1. 두통(頭痛)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두통(頭痛)


구급간이방언해 권2:1ㄱ

頭痛
宜服和劑方川芎茶調散消風散菅□□□良方芎芷香蘇散

머리 주001)
머리:
머리[頭].
알호미라 주002)
알호미라:
앓음이다. 앓-[痛]+-옴(명사형 어미)+이-(계사)+-라(종결어미). ‘-옴’은 ‘-오-(선어말어미)+-ㅁ’으로 분석될 수 있다.
화졔 주003)
화제방(和劑方):
중국 송나라 때 진사문(陳士文)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의서. 조선 시대에는 의과(醫科) 시험 교재로 사용되었다. 이 책의 본명은 『태평광민화제국방』(太平廣民和劑局方)이다.
주004)
화졔애:
화제방에. 화졔방(和劑方)+-애(처소격 조사).
쳔다됴산 주005)
쳔다됴산과: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과.
쇼산과 주006)
쇼산과:
소풍산(消風散)과.
관□대젼 주007)
관□대젼(菅□□□良方):
관□대전량방.
지소산과 주008)
지소산과: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을. 지소산+-과(접속 조사)+-(대격 조사).
머고미 주009)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명사형 어미)-+-이. ‘-옴’은 ‘-오-(선어말어미)+-ㅁ’으로 분석될 수 있다. 복(服)은 ‘약을 마시다’라는 말.
맛니라 주010)
맛니라:
마땅하다. 맛당-[宜]+-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머리 앓음이다
화제방에 천궁다조산과 소풍산과 관□대전량방에 궁지향소산을 먹음이 마땅하다.

頭痛不忍童子小便 아 오좀 一升젼국

구급간이방언해 권2:1ㄴ

半合
同煎至五分去滓溫溫頻服

머리 주011)
머리:
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디 주012)
디:
참지. -[忍]+-디(보조적 연결어미).
몯게 주013)
몯게:
못하게. 몯-[不]+-게(보조적 연결어미).
알거든 주014)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아 주015)
아:
사내아이의. 아[童子]+∅(속격 조사).
오좀 주016)
오좀:
오줌[小便].
주017)
:
한[一].
되와 주018)
되와:
되와. 되[升]+-와(접속 조사).
젼국 주019)
젼국:
된장. 약전국[豉]. 시(豉)는 메주, 된장 따위이고, 두시(豆豉)는 된장, 메주 따위임.
홉과 주020)
홉과:
홉을. 홉(合)+-과+-.
 주021)
:
함께[同].
달혀 주022)
달혀:
달여. 달히-[煎]+-어(보조적 연결어미).
반만 주023)
반만:
반만큼. 반[五分]+-만.
외어든 주024)
외어든:
되거든. 외-[至]+-어든(종속적 연결어미).
즈 주025)
즈:
찌꺼기. 찌끼[滓].
앗고 주026)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대등적 연결어미).
시 주027)
시:
따뜻하게. -[溫溫]+-이(부사 형성 접미사).
야 조 주028)
조:
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머그라 주029)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명령형 종결어미). 복(服)은 ‘약을 마시다’.

머리가 참지 못하게 아프거든 사내아이의 오줌 한 되와 약전국 반 홉을 함께 달여 반만큼 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따뜻하게 하여 자주 먹으라.

川烏頭 一枚炮裂去皮臍擣令碎 生薑 一分切 水一中盞煎至五分去滓入蜜 半合相和服之

쳔오두 주030)
쳔오두:
천오두(川烏頭).
주031)
:
한[一].
나 주032)
나:
낱을. 낯[枚]+-(대격 조사).
죠예 주033)
죠예:
종이에. 죠+-예(처소격 조사).
주034)
:
싸. -+-아(보조적 연결어미).
저져 주035)
저져:
적시어. 저지-+-어(보조적 연결어미).
구워 주036)
구워:
구워. 구우-[炮]+-어. 어간 ‘구우-’는 ‘굽-’의 이형태임.
거플와 주037)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머흣머흣 주038)
머흣머흣:
볼록한. 머흣머흣-[臍]+-ㄴ. 제(臍)는 배꼽. 물건에서 배꼽처럼 볼록한 것.
앗고 주039)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디허 주040)
디허:
찧어. 딯-[擣]+-어.
오니와 주041)
오니와:
부순 것과. -[碎]+-오-(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와.

구급간이방언해 권2:2ㄱ

 주042)
:
생강(生薑).
두 돈 반 사로니와 주043)
사로니와:
썬 것을. 사-[切]+-오-+-ㄴ#이+와(접속 조사)+-(대격 조사).
주044)
믈:
물[水].
주045)
닷:
닷. 다섯.
홉애 주046)
홉애:
홉에. 홉+-애. ‘一中盞(일중잔)이 ‘닷 홉’으로 번역된다.
달혀 주047)
달혀:
달이어. 달히-+-어.
반만 주048)
반만:
반만큼. 반[五分]+-만.
외어든 주049)
외어든:
되거든. 외-[至]+-어든.
즈 주050)
즈:
찌꺼기[滓]. 재(滓)는 찌끼 또는 앙금.
앗고 주051)
:
꿀[蜜].
반 홉 녀허 주052)
녀허:
넣어. 녛-[入]+-어.
섯거 주053)
섯거:
섞어. -[和]+-어.
머그라 주054)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천오두(川烏頭) 한 낱을 종이에 싸 물 적시어 구워 껍질과 볼록한 것 제거하고 찧어 부순 것과 생강 두 돈 반 썬 것을 물 닷 홉에 달이어 반만큼 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꿀 반 홉 넣어 섞어 먹으라.

마 一顆去皮硏取自然汁令病人仰臥垂頭以銅筯點少許瀝入鼻中急令□□□眼中淚出差

마 주055)
마:
마늘[蒜].
주056)
:
한[一].
나 주057)
나:
낱을. 낯[顆]+-. 과(顆)는 낟알. 작고 둥근 물건을 세는 단위.
거플 주058)
거플:
껍질[皮].
밧기고 주059)
밧기고:
벗기고. 밧기-[去]+-고.
라 주060)
라:
갈아. -[硏]+-아.
주061)
:
짠. -[取]+-오-(의도법 선어말어미)+-ㄴ.
즙(을) () 주062)
:
병을 앓고 있는. 병-[病]+-ㄴ.
사 주063)
사:
사람을. 사[人]+-.
졋바(누)(어) 주064)
졋바(누)(어):
반듯이 누워. 졋바-[仰臥]+-어. 기본형은 ‘졋바눕다’임.
머리 주065)
머리:
머리를. 머리[頭]+-.
드리디(게) 주066)
드리디(게):
드리우게. 드리디-[垂]+-게.
()

구급간이방언해 권2:2ㄴ

구리 주067)
구리:
구리[銅].
져로 주068)
져로:
저로. 젓가락으로. 져[筯]+-로(도구격 조사).
져고(매) 주069)
져고(매):
조금[少許].
디(거) 주070)
디(거):
찍어. 딕-[點]+-어. 점(點)은 ‘따르다. 붓다. 점찍다’.
곳굼긔 주071)
곳굼긔:
콧구멍에. 코[鼻]+-ㅅ(속격 조사)+[中]+-의(처소격 조사).
처디오 주072)
처디오:
떨어지게 하고. 쳐디-[瀝入]+-오. 력(瀝)은 ‘거르다, 물이 방울져 떨어지다’.
리 주073)
리:
빨리[急].
부러 주074)
부러:
불어. 불-+-어.
머릿 주075)
머릿:
머리의. 머리+-ㅅ(속격 조사).
골슈에 주076)
골슈에:
골수에. 골수+-에.
들에 주077)
들에:
들게. 들-+-에(보조적 연결어미).
라 주078)
라:
하라.
누네 주079)
누네:
눈에. 눈[眼]+-에.
므리 주080)
므리:
눈물이. 믈[淚]+-이. ‘믈’은 ‘눈+-ㅅ#믈’로 분석됨.
나면 주081)
나면:
나면. 나-[出]+-면(종속적 연결어미).
됴리라 주082)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라.

마늘 한 낱을 껍질 벗기고 갈아 짠 즙〈을〉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반듯이 누워 머리를 드리〈우〉〈게〉 〈하〉고 구리저로 조금 찍어 콧구멍에 떨어지게 하고 빨리 불어 머리 골수에 들게 하라. 눈에 눈물이 나면 나을 것이다.

梔子 지지 末和蜜 傅舌上吐卽止

지지 주083)
지지:
치자나무[梔]. 치(梔)는 치자나무, 치자(梔子)는 치자나무의 열매.
 주084)
:
씨를. [子]+-(대격 조사). 자(子)는 ‘씨, 열매, 알’.
라 주085)
라:
갈아. -[末]+-아. 말(末)은 가루.
레 주086)
레:
꿀에. [蜜]+-에.
라 주087)
라:
말아. -[和]+-아.
우희 주088)
우희:
위에. 우ㅎ[上]+-의.
라 주089)
라:
발라. ㄹ[傅]-+-아. 기본형은 ‘다’임.
토면 주090)
토면:
토하면. 토-[吐]+-면.
됴리라 주091)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止]+-리-+-라.

치자나무 씨를 갈아 꿀에 말아 혀 위에 발라 토하면 나을 것이다.

頭痛以生蘿蔔汁  댓무 즙 用筆管 붇대 吹入鼻卽愈

구급간이방언해 권2:3ㄱ

머리 주092)
머리:
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알거든 주093)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
주094)
:
날것[生].
댓무 주095)
댓무:
무[蘿蔔]. 나복(蘿蔔)은 무.
즛두드려 주096)
즛두드려:
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097)
:
짠. -+-오-+-ㄴ.
즙을 주098)
즙을:
즙을. 즙(汁)+-을.
주099)
붇:
붓[筆].
대로 주100)
대로:
대로. 대[管]+-로(도구격 조사). 관(管)은 대롱, 붓대.
고해 주101)
고해:
코에. 고ㅎ[鼻]+-애.
드리불면 주102)
드리불면:
들이불면. 드리불-[吹入]+-면.
즉재 주103)
즉재:
곧. 즉시[卽].
됴리라 주104)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유(愈)는 ‘낫다. 병이 낫다’.

머리가 아프거든 무 날것 짓두드려 짠 즙을 붓대로 코에 들이불면 즉시 나을 것이다.

殭蠶 주105)
강잠(殭蠶):
하얗게 말라 죽은 누에.
절로 주근  누에 碾爲末去絲以熟水下二錢匕立差

절로 주106)
절로:
저절로[自].
주근 주107)
주근:
죽은. 죽-[殭]+-은. 강(殭)은 ‘굳어지다. 주검이 썩지 아니하다. 강시(殭尸)’.
주108)
:
흰. -+-ㄴ.
누에 주109)
누에:
누에를. 누에[蠶]+-.
라 주110)
라:
갈아. -[碾]+-아. 년(碾)은 ‘맷돌. 맷돌에 갈다’.
 주111)
:
가루를. [末](‘’의 이형태)+-.
주112)
실:
실[絲].
앗고 주113)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니근 주114)
니근:
익은. 닉-[熟]+-은.
므레 주115)
므레:
물에. 믈[水]+-에.
주116)
두:
둘[二]. 두.
돈을 주117)
돈을:
돈을. 돈[錢匕]+-을. 비(匕)는 ‘비수, 단검. 숟가락, 수저’. 비저(匕箸)는 ‘숟가락과 젓가락’.
프러 주118)
프러:
풀어.
머그면 주119)
머그면:
먹으면. ‘하(下)’가 ‘프러 먹다’로 번역됨.
즉재 주120)
즉재:
곧[立]. 즉.
됴리라 주121)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차(差)는 ‘낫다. 병이 낫다’이다.

저절로 죽은 흰 누에를 갈아 가루를 실 제거하고 익은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면 즉시 나을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3ㄴ

甘草 梔子 지지 等分切濃煮服一椀日二三度

감초와 주122)
감초와:
감초와. 감초(甘草)+-와(접속 조사).
지지 주123)
지지:
치자나무[梔].
와 주124)
와:
씨를. [子]-+-와-+-.
게 주125)
게:
같게. -[等]+-게.
화 주126)
화:
나누어. 호-[分]+-아.
사라 주127)
사라:
썰어. 사-[切]+-아.
디투 주128)
디투:
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글힌 주129)
글힌:
끓인. 글히-[煮]+-ㄴ.
 사발 주130)
사발:
한 사발. [一]#사발[椀]. ‘’는 ‘’의 오각(誤刻) 같다. 완(椀)은 주발.
머고 주131)
머고:
먹되. 마시되. 먹-[服]+-오(종속적 연결어미).
 주132)
:
하루[日].
두 주133)
두:
두어. 두[二]#-[三].
번곰 주134)
번곰:
번씩. 번[度]+-곰.
머그라 주135)
머그라:
먹으라. 먹-+-으라.

감초와 치자나무 씨를 같게 나누어 썰어 짙게 끓인 물 한 사발을 먹되 하루 두어 번씩 먹으라.

頭風頭痛 荊瀝 가나못 진 不限多少服

머리예 주136)
머리예:
머리에. 머리[頭]+-예.
 주137)
:
바람.
드러 주138)
드러:
들어. 들-+-어. ‘풍(風)’이 ‘ 들다’로 번역됨.
알거든 주139)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
가나못 주140)
가나못:
가시나무의. 가나모[荊]+-ㅅ.
주141)
진:
진[瀝]. 력(瀝)은 ‘거르다. 방울져 떨어지는 물’.
하나 주142)
하나:
많으나. 많거나. 하-[多]+-나(대등적 연결어미).
져그나 주143)
져그나:
적으나. 적거나. 젹-[少]+-으나(대등적 연결어미).
머그라 주144)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腹]+-으라.

머리에 바람 들어 아프거든 가시나무의 진을 많으나 적으나 마시라.

구급간이방언해 권2:4ㄱ

苦葫蘆子  죠박  擣細羅吹半字於鼻中其痛立止遂左右用之

주145)
:
쓴. -[苦]+-ㄴ.
죠박 주146)
죠박:
조롱박[葫蘆]. 호(葫)는 ‘마늘. 호리병 박. 조롱박’.
 주147)
:
씨를. [子]+-.
디허 주148)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149)
리:
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150)
처:
쳐. 츠-[羅]+-어.
져고매 주151)
져고매:
조금[半字].
곳굼긔 주152)
곳굼긔:
코구멍에. 고[鼻]+-ㅅ(속격 조사)#[中]+-의(처소격 조사).
불면 주153)
불면:
불면. 불-[吹]+-면.
주154)
그:
그[其].
알포미 주155)
알포미:
아픔이. 알-[痛]+-옴+-이.
즉재 주156)
즉재:
즉시. 곧[立].
그츠리니 주157)
그츠리니:
그치리니. 그칠 것이니. 긏-[止]+-으리-+-니.
왼녀기 주158)
왼녀기:
왼쪽이. 왼녁[左]+-이.
알거든 주159)
알거든:
아프거든.
왼녁 고해 주160)
고해:
코에. 고ㅎ[鼻]+애.
불오 주161)
불오:
불고.
올녀기 주162)
올녀기:
오른쪽이. 오른 녘이. 올녁[右]+-이.
알거든 올녁 고해 불라 주163)
불라:
불라. 불어라.

쓴 조롱박 씨를 찧어 가늘게 쳐 조금 콧구멍에 불면 그 아픔이 즉시 그칠 것이니 왼쪽이 아프거든 왼쪽 코에 불고 오른쪽이 아프거든 오른쪽 코에 불라.

頭痛鼻塞頭目不利 丁香 一分 白芷 구리댓 불휘 半兩 瓜蔕  고고리 一兩 擣細羅爲散每用半字

구급간이방언해 권2:4ㄴ

已來吹入鼻內卽差

머리 주164)
머리:
머리가. 머리[頭]+∅.
알고 주165)
알고:
아프고. 알-[痛]+-고.
고히 주166)
고히:
코가. 고ㅎ[鼻]+-이.
막고 주167)
막고:
막히고. 막-[塞]+-고.
머리와 눈괘 주168)
눈괘:
눈이. 눈[眼]+-과+-ㅣ.
환티 주169)
환티:
환하지. 환-[利]+-디. 리(利)는 ‘날카롭다. 통하다. 막히지 아니하다. 매끄럽다’. ‘환다’는 신출어(新出語).
아니커든 주170)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 주171)
:
정향(丁香).
두 돈 반과 구리댓 불휘 주172)
구리댓 불휘:
구리때 뿌리[白芷].
주173)
:
냥(兩).
 주174)
:
참외의. [瓜]+-ㅅ. 과(瓜)는 ‘오이. 곧 오이, 참외, 호박, 수박 따위’.
고고리 주175)
고고리:
꼭지[蔕]. 체(蔕)는 ‘꼭지. 베꼽’. ¶버·릐 집 브:튼 고고·리(紫金沙蜂房蔕也 버릐 집 브·튼 고고·리)〈구급간이방언해 3:63ㄱ〉
주176)
:
한[一].
과 주177)
과:
냥을. (兩)+-과+.
디허 주178)
디허:
찧어. 딯-[擣]+-어.
리 주179)
리:
가늘게. -[細]+-이.
주180)
처:
쳐. 츠[羅]-+-어.
져고매 주181)
져고매:
조금[半字].
주182)
고:
코[鼻].
안해 주183)
안해:
안에. 안ㅎ[內]+-애.
드리불면 주184)
드리불면:
들이불면. 드리불-[吹入]+-면.
즉재 주185)
즉재:
즉시. 곧[卽].
됴리라 주186)
됴리라:
나을 것이다. 좋아질 것이다. 둏-[差]+-리-+-라.

머리가 아프고 코가 막히고 머리와 눈이 환하지 아니하거든 정향(丁香) 두 돈 반과 구리때 뿌리 반 냥과 참외 꼭지 한 냥을 찧어 가늘게 쳐 조금 코 안에 들이불면 즉시 나을 것이다.

頭痛欲裂 當歸 암촛 불휘 二兩酒一升煮取六合飮之至再服

구급간이방언해 권2:5ㄱ

머리 주187)
머리:
머리가. 머리[頭]+∅.
리 주188)
리:
깨뜨리는. 리-[裂]+--(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
주189)
:
듯(명사).
알거든 주190)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
암촛 불휘 주191)
암촛 불휘:
승검초 뿌리. 당귀(當歸).
주192)
두:
두[二].
을 주193)
울:
냥을. (兩)+-을.
주194)
술:
술[酒].
되예 주195)
되예:
되에. 되[升]+예.
글혀 주196)
글혀:
끓여. 글히-[煮]+-어.
주197)
엿:
여섯[六].
홉이 주198)
홉이:
홉이. 홉(合)+-이.
외어든 주199)
외어든:
되거든. 외-[取]+-어든.
머고 주200)
머고:
먹되. 먹-[飮]+-오.
거듧 주201)
거듧:
거듭[至再].
머그라 주202)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飮]+-으라.

머리가 깨뜨리는 듯 아프거든 승검초 뿌리 두 냥을 술 한 되에 끓여 여슷 홉이 되거든 먹되 거듭 먹으라.

氣攻頭痛如破者 葫蘆巴 三稜 자깃 불휘 剉醋浸一宿各一兩 乾薑   炮一分 爲末每服二錢生薑湯  글힌 믈 或酒調下

긔운이 주203)
긔운이:
기운이 긔운[氣]+-이.
우흐로 주204)
우흐로:
위로. 우ㅎ+-으로(지향점 처소의 조사).
올아 주205)
올아:
올라. ‘공(攻)’이 ‘우흐로 오다’로 번역됨. 공(攻)은 ‘치다. 괴롭히다’.
머리 주206)
머리:
머리가. 머리[頭]+∅.
알포미 주207)
알포미:
아픔이. 알-[痛]+-옴+-이.
리 주208)
리:
깨뜨리는. 리-[破]+--+-ㄴ.
거든 주209)
거든:
듯하거든. -[如]+-거든[者].
호로파 주210)
호로파:
호로파(葫蘆巴).
봇고니와 주211)
봇고니와:
볶은 것과. -[炒]+-오-+-ㄴ#이(의존명사)+-와.
자깃 주212)
자깃:
매자기의. 자기+-ㅅ.
불휘 주213)
불휘:
뿌리.

구급간이방언해 권2:5ㄴ

라
주214)
사라:
썰어. 사-[剉]+-아.
주215)
초:
초(醋). 식초.
마 주216)
마:
담가. -[浸]+-아. 침(浸)은 ‘담그다’.
밤 주217)
밤:
하룻밤. +-ㅅ#밤.
재니 주218)
재니:
재운 것. 재-[宿]+-ㄴ#이.
주219)
각:
각각[各].
 과  주220)
:
마른. -[乾]+-ㄴ.
 주221)
:
생강[薑].
구으니 주222)
구으니:
구운 것. -[炮]+-은#이.
두 돈 반과 주223)
반과:
반을. 반+-과(접속조사)+-. ‘일분(一分)’이 ‘두 돈 반’으로 번역됨.
라 주224)
라:
갈아. -[爲末]+-아.
주225)
두:
두[二].
돈곰 주226)
돈곰:
돈씩. 돈[錢]-+-곰.
 주227)
:
생강(生薑).
글힌 주228)
글힌:
끓인.
므리어나 주229)
므리어나:
물이거나. 믈+-이어나(보조사). ‘탕(湯)’이 ‘글힌 믈’로 번역됨.
수리어나 주230)
수리어나:
술이거나. 술+-이어나(보조사).
프러 주231)
프러:
풀어. 플-[調]+-어.
머그라 주232)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하(下)는 ‘내리다’임.

기운이 위로 올라 머리가 아픔이 깨뜨리는 듯하거든 호로파(葫蘆巴) 볶은 것과 매자기의 뿌리를 썰어 초에 담가 하룻밤 재운 것 각 한 냥과 마른 생강 구운 것 두 돈 반을 갈아 두 돈씩 생강 끓인 물이거나 술이거나 풀어 먹으라.

芋蒡 우 根莖取汁酒和塩 소곰 少許煎成膏塗痛處用力摩之令大熱

우 주233)
우:
우엉의. 우[芋蒡]+-ㅅ.
불휘와 주234)
불휘와:
뿌리와. 뿌리[根]+-와.
줄기와 주235)
줄기와:
줄기를. 줄기[莖]+-와+-.
즛두드려 주236)
즛두드려:
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237)
즙:
즙(汁).
주238)
:
짜. -[取]+-아.
수레 주239)
수레:
술에. 술[酒]+-에.
프러 주240)
프러:
풀어. 플-[和]+-어.
소곰 주241)
소곰:
소금[塩].
져기 주242)
져기:
조금. 적게. 젹-+-이.
녀허 주243)
녀허:
넣어. 녛-+-어. ‘소허(少許)’가 ‘져기 녛다’로 번역됨.
달혀 주244)
달혀:
달여. 달히-[煎]+-어. 전(煎)은 ‘달이다. 졸이다’.
얼의어든 주245)
얼의어든:
엉기거든. 얼의-[成膏]+-어든.

구급간이방언해 권2:6ㄱ

주246)
알:
아픈. 알-[痛]+-ㄴ.
주247)
:
곳에. 데. [處]+∅(처소격 조사).
고 주248)
고:
바르고. -[塗]+-고.
이 주249)
이:
몹시. 매우[用力].
처 주250)
처:
비벼. 어루만져. -[摩]+-어.
 주251)
:
아주[大].
덥게 주252)
덥게:
뜨겁게. 덥-[熱]+-게.
라 주253)
라:
하라.

우엉의 뿌리와 줄기를 짓두드려 즙(汁) 짜 술에 풀어 소금 조금 넣어 달여 엉기거든 아픈 데 바르고 매우 비벼 아주 뜨겁게 하라.

馬遺飮水服之

주254)
:
말[馬].
먹다가 주255)
먹다가:
먹다가. 마시다가. 먹-[飮]+-다가(완료상을 표시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기튼 주256)
기튼:
남긴. 깉-[遺]+-은.
므를 주257)
므를:
물을. 믈[水]+-을.
머그라 주258)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말이 먹다가 남긴 물을 먹으라

一切頭疼服藥不效者 甘草一兩半水一椀煎七分去滓溫服未效加二兩

대도 주259)
대도:
일체(一切)의.
머리 주260)
머리:
머리[頭].
알핏 주261)
알핏:
아픔의. 알피+-ㅅ. ‘알피’는 ‘알-+-ㅣ(명사 형성 접미사)’로 분석될 수 있고 상태동사 ‘알다’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동(疼)은 ‘아프다’임.
에 주262)
에:
병에. ‘동(疼)’이 ‘알핏 ’으로 번역됨.
머거 주263)
머거:
먹어. 먹-[服]+-어.
됴티 주264)
됴티:
낫지. 둏-[效]+-디.
아니커든 주265)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감초 주266)
감초:
감초(甘草).
  반을 주267)
믈:
물[水].
사발애 주268)
사발애:
사발에. 사발[椀]+-애.
달혀 주269)
달혀:
달여. 달히-[煎]+-어.
남거든 주270)
남거든:
남짓하거든. 남-+-거든. ‘칠분(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즈 주271)
즈:
찌꺼기[滓]. 재(滓)는 ‘찌끼. 앙금’.
앗고 주272)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거(去)는 ‘가다. 덜다. 없애다. 제거하다. 버리다’.
닐 주273)
닐:
따뜻한 것을. -[溫]+-ㄴ#이+-ㄹ(대격 조사).
머그라 주274)
머그라:
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복(服)은 ‘옷. 약을 마시다’.
됴티 주275)
됴티:
낫지. 좋아지지. 둏-[效]+-디.

구급간이방언해 권2:6ㄴ

몯거든 주276)
몯거든:
못하거든. 아니하거든. 몯-[未]+-거든.
두 을 더라 주277)
더라:
더하라. 더-[加]+-라.

일체(一切)의 머리 아픈 병에 약 먹어 낫지 아니하거든 감초(甘草) 한 냥 반을 물 한 사발에 달여 반 남짓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따뜻한 것을 먹으라. 낫지 않거든 두 냥을 더하라.

偏正頭痛 穀精草一兩爲末用白麪 밄 調攤紙花子上貼痛處乾又換

주278)
:
한쪽[偏]. 편(偏)은 ‘치우치다. 반. 절반. 한쪽. 한편’임.
머리 주279)
머리:
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알며 주280)
알며:
아프며. 알-[痛]+-며.
대도히 주281)
대도히:
모두. 통틀어. ¶모미 대도히 헐어든(徧身成瘡). 모매 대도히 시리 나거든(徧身生絲)〈구급간이방언해 6:66ㄴ〉. 편(徧)은 ‘두루. 모두’.
알거든 주282)
알거든:
아프거든.
곡초 주283)
곡초:
곡정초(穀精草).
 을 라 주284)
라:
갈아. -[爲末]+-아.
밄 주285)
밄:
밀가루에. 밀+-ㅅ#+-(처소격 조사). 면(麪)은 ‘밀가루. 국수’.
라 주286)
라:
말아. -[調]+-아.
죠 주287)
죠:
종이[紙花子].
우희 주288)
우희:
위에. 우ㅎ[上]+-의.
라 주289)
라:
발라. ㄹ-[攤]+-아. 기본형은 ‘다’임. 탄(攤)은 ‘펴다. 펼치다’.
알 주290)
알:
아픈. 알-[痛]-+-ㄴ.
주291)
: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브툐 주292)
브툐:
붙이되. 브티-[貼]+-오.
거든 주293)
거든:
마르거든. -[乾]+-거든.
라 주294)
라:
갈아. 바꾸어. -[換]+-아.
브티라 주295)
브티라:
붙이라. 붙이어라.

한쪽 머리가 아프며 통틀어 아프거든 곡정초(穀精草) 한 냥을 갈아 밀가루에 말아 종이 위에 발라 아픈 데 붙이되 마르거든 갈아 붙이라.

猪牙皁角 去皮筋 香白芷 구리댓 불휘 白附子  바곳 불휘 各等分爲末每服二錢食後臘茶淸 섯래 

구급간이방언해 권2:7ㄱ

쟉셜찻 믈
調下右痛右側臥左痛左側臥兩邊皆疼仰臥

도 주296)
도:
돼지의. 돝[猪]+-(속격 조사).
주297)
엄:
어금니[牙].
 주298)
:
같은. -+-(관형사형 어미).
조각을 주299)
조각을:
조각을. 조각(皁角)+-을.
거플와 주300)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실와 주301)
실와:
힘줄과. 힘줄[筋]+-와. 근(筋)은 ‘힘줄. 힘. 체력’.
앗고 주302)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구리댓 불휘와 주303)
구리댓 불휘와:
구리때 뿌리와. 구리댓 불휘[香白芷]+-와.
주304)
:
흰[白].
바곳 불휘와 주305)
바곳 불휘와:
바곳 뿌리를. 바곳 불휘[附子]+-와+-.
게 주306)
게:
같게. -[等]+-게.
화 주307)
화:
나누어. 호-[分]+-아.
라 주308)
라:
갈아. -[爲末]+-아.
돈곰 주309)
돈곰:
돈씩. 돈[錢]+-곰.
머근 주310)
머근:
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후에 섯래 주311)
섯래:
섣달에. 섯[臘]+-애. 랍(臘)은 ‘납향. 섣달’.
주312)
:
딴.
쟉셜찻 주313)
쟉셜찻:
작설차의. 쟉셜차[茶]+-ㅅ.
므레 주314)
므레:
물에. 믈[淸]+-에. 청(淸)은 ‘음료. 마시도록 된 액체’.
먹고 주315)
먹고:
먹고. 먹-[調下]+-고.
올녀기 주316)
올녀기:
오른쪽이. 오른녘이. 올녁[右]+-이.
알거든 주317)
알거든:
아프거든. 알-[痛]+-거든.
올녁으로 주318)
올녁으로:
오른쪽으로. 올녁[右]+-으로(지향점 처소의 격조사).
히즈 주319)
히즈:
옆으로[側]. 측(側)은 ‘곁. 옆. 가’. 측와(側臥)는 ‘몸을 옆으로 하여 누움. 옆에 붙어서 잠’.
눕고 주320)
눕고:
눕고. 눕-[臥]+-고.
왼녀기 주321)
왼녀기:
왼쪽이. 왼녘이. 왼녁[左]+-이.
알거든 왼녁으로 주322)
왼녁으로:
왼쪽으로. 왼녘으로. 왼녁[左]+-으로.
히즈 눕고 주323)
두:
두[二]. 양[兩].
녀기 주324)
녀기:
쪽이. 녘이. 녁[邊]+-이.
주325)
다:
다[皆]. 모두.
알거든 주326)
알거든:
아프거든. 알[疼]-+-거든.
졋바 누

구급간이방언해 권2:7ㄴ

으라
주327)
졋바누으라:
우러러 보며 누워라. 반듯이 누워라. 졋바-[仰臥]+-으라.

돼지의 어금니 같은 조각(皁角)을 껍질과 힘줄을 제거하고 구리때 뿌리와 흰 바곳 뿌리를 같게 나누어 갈아 두 돈씩 먹은 후에 섣달에 딴 작설차(雀舌茶)의 물에 먹고 오른쪽이 아프거든 오른쪽으로 옆으로 눕고 왼쪽이 아프거든 왼쪽으로 옆으로 눕고 두 쪽이 다 아프거든 반듯이 누워라.

頭偏痛不可忍 篦麻子 半兩去皮대초 十五枚去核 都擣令熟塗在紙上用筯一隻卷之去筯內在鼻中良久取下淸涕

주328)
:
한쪽[偏].
머리 주329)
머리:
머리가. 머리[頭]+∅.
알포미 주330)
알포미:
아픔이. 알-[痛]+-옴+-이.
디 주331)
디:
참아지지. -[忍]+-디.
몯거든 주332)
몯거든:
못하거든. 몯-[不]+-거든.
비마 주333)
비마:
피마자(蓖麻子). 아주까리. 피(蓖)는 ‘개사철쑥. 아주까리, 피마자’.
 반  거플 주334)
거플:
껍질[皮].
밧기니와 주335)
밧기니와:
벗긴 것과. 밧기-[去]+-ㄴ#이(의존명사)+-와.
대초 주336)
대초:
대추[棗].
열 다 주337)
열다:
열다섯[十五].
주338)
낫:
낱[枚].
주339)
:
씨[核].
아니와 주340)
아니와:
제거한 것을. -[去]+-#이+-와+-.
뫼화 주341)
뫼화:
모아. 뫼호-[都]+-아. 도(都)는 ‘도읍. 모이다. 모두. 다’.
디허 주342)
디허:
찧어. 딯-[擣]+-어.
닉게 주343)
닉게:
익게. 닉-[熟]+-게.
야 죠 주344)
죠:
종이[紙].
우희 주345)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고 주346)
고:
바르고. -[塗]+-고.
주347)
:
한[一].
애 주348)
애:
짝에. [隻]+-애. 척(隻)은 ‘새 한 마리. 짝 있는 것의 한쪽’.
라 주349)
라:
말아. -[卷]+-아.
져란 주350)
져란:
젓가락은. 져[筯]+-란(보조사). 져(筯)는 ‘젓가락[箸]’.
앗고 주351)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주352)
고:
코[鼻].
안해 주353)
안해:
안에. 안ㅎ[中]+-애.

구급간이방언해 권2:8ㄱ

흐면
주354)
녀흐면:
넣으면. 녛-[內]+-으면.
이고 주355)
이고:
이윽고[良久]. 양구(良久)는 ‘오래 참음. 한참 지나서’.
 주356)
:
맑은. -[淸]+-.
고히 주357)
고히:
코가. 콧물이. 고ㅎ[涕]+-이. 체(涕)는 ‘눈물. 콧물’.
흐르리라 주358)
흐르리라:
흐를 것이다. 흐르-[取下]+-리-+-라.

한쪽 머리 아픔이 참아지지 못하거든 피마자 씨 반 냥 껍질 벗긴 것과 대추 열다섯 낱 씨 제거한 것을 모아 찧어 익게 하여 종이 위에 바르고 젓가락 한 짝에 말아 젓가락은 제거하고 코 안에 넣으면 이윽고 맑은 코가 흐를 것이다.

蓖麻子一兩去皮爛硏絞取汁於頭偏痛處塗之

비마 주359)
비마:
피마자.
  을 주360)
을:
냥[兩]을. (兩)+-을.
거플 주361)
거플:
껍질[皮].
밧기고 주362)
밧기고:
벗기고. 밧기-[去]+-고.
므르 주363)
므르:
문드러지게[爛]. 란(爛)은 ‘문드러지다. 화미(華美)하다. 빛나다’.
라 주364)
라:
갈아. -[硏]+-아.
주365)
:
짜. -[絞取]+-아. 교(絞)는 ‘목매다. 꼬다’.
주366)
:
한쪽[偏].
머리 주367)
머리:
머리가. 머리[頭]+∅.
알 주368)
알:
아픈. 알-[痛]+-ㄴ.
주369)
: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라 주370)
라:
바르라. -[塗]+-라.

피마자 한 냥을 껍질 벗기고 문드러지게 갈아 즙 짜 한쪽 머리 아픈 데 바르라.

細辛 雄黃 셕우 等分硏勻每用一字許左邊疼吹入右鼻右邊疼吹入左鼻甚效

셰 주371)
셰:
세신의. 셰신[細辛] +-ㅅ(속격 조사).
불휘와 주372)
불휘와:
뿌리와. 불휘+-와(접속조사).
셕우과 주373)
셕우과:
석웅황(石雄黃)을. 셕우[雄黃]+-과+-.
게 주374)
게:
같게. -[等]+-게.
화 주375)
화:
나누어. 호-[分]+-아.
라 주376)
라:
갈아. -[硏]+-아.

구급간이방언해 권2:8ㄴ

고게 주377)
고게:
고르게. 고-[勻]+-게.
야 주378)
야:
하여. ‘균(勻)’이 ‘고게 다’로 번역됨.
져고매 주379)
져고매:
조금[一字許].
겨티 주380)
겨티:
곁이. 곁[邊]+-이.
알거든 주381)
알거든:
아프거든. 알-[疼]+-거든. 동(疼)은 ‘아프다. 욱신거리다’.
올녁 주382)
올녁:
오른쪽[右]. 오른녘.
고해 주383)
고해:
코에. 고ㅎ[鼻]+-애.
불오 주384)
불오:
불고. 불-[吹入]+-오(대등적 연결어미).
올 주385)
올:
오른쪽[右].
겨티 알거든 왼녁 주386)
왼녁:
왼쪽[左]. 왼녘.
고해 불면 주387)
불면:
불면. 불-[吹入]+-면.
 주388)
:
가장. 매우. 몹시[甚]. 심(甚)은 ‘심하다. 진실로’.
됴니라 주389)
됴니라:
낫는다. 좋아진다. 둏-[效]+-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

세신(細辛)의 뿌리와 석웅황(石雄黃)을 같게 나누어 갈아 고르게 하여 조금 왼쪽 곁이 아프거든 오른쪽 코에 불고 오른쪽 곁이 아프거든 왼쪽 코에 불면 매우 낫는다.

京芎 잇 불휘 細剉酒浸服之佳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잇 주390)
잇:
궁궁(藭芎)이의. 이+-ㅅ.
불휘 주391)
불휘:
뿌리를. 불휘+-.
리 주392)
리:
가늘게. -[細]+-이.
사라 주393)
사라:
썰어. 사-[剉]+-아. 좌(剉)는 ‘꺾다. 꺾이다. 쪼개다. 자르다’.
수레 주394)
수레:
술에. 술[酒]+-에.
가 주395)
가:
담가. -[浸]+-아. 침(浸)은 ‘담그다. 물에 적시다. 스며들다. 잠기다’.
머그면 주396)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니라 주397)
됴니라:
좋다. 둏-[佳]+-니-+-라. 가(佳)는 ‘아름답다. 좋다. 훌륭하다’.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궁궁이의 뿌리를 가늘게 썰어 술에 담가 먹으면 좋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리:머리[頭].
주002)
알호미라:앓음이다. 앓-[痛]+-옴(명사형 어미)+이-(계사)+-라(종결어미). ‘-옴’은 ‘-오-(선어말어미)+-ㅁ’으로 분석될 수 있다.
주003)
화제방(和劑方):중국 송나라 때 진사문(陳士文)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의서. 조선 시대에는 의과(醫科) 시험 교재로 사용되었다. 이 책의 본명은 『태평광민화제국방』(太平廣民和劑局方)이다.
주004)
화졔애:화제방에. 화졔방(和劑方)+-애(처소격 조사).
주005)
쳔다됴산과: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과.
주006)
쇼산과:소풍산(消風散)과.
주007)
관□대젼(菅□□□良方):관□대전량방.
주008)
지소산과: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을. 지소산+-과(접속 조사)+-(대격 조사).
주009)
머고미:먹음이. 먹-[服]+-옴(명사형 어미)-+-이. ‘-옴’은 ‘-오-(선어말어미)+-ㅁ’으로 분석될 수 있다. 복(服)은 ‘약을 마시다’라는 말.
주010)
맛니라:마땅하다. 맛당-[宜]+-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11)
머리: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주012)
디:참지. -[忍]+-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몯게:못하게. 몯-[不]+-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14)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종속적 연결어미).
주015)
아:사내아이의. 아[童子]+∅(속격 조사).
주016)
오좀:오줌[小便].
주017)
:한[一].
주018)
되와:되와. 되[升]+-와(접속 조사).
주019)
젼국:된장. 약전국[豉]. 시(豉)는 메주, 된장 따위이고, 두시(豆豉)는 된장, 메주 따위임.
주020)
홉과:홉을. 홉(合)+-과+-.
주021)
:함께[同].
주022)
달혀:달여. 달히-[煎]+-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23)
반만:반만큼. 반[五分]+-만.
주024)
외어든:되거든. 외-[至]+-어든(종속적 연결어미).
주025)
즈:찌꺼기. 찌끼[滓].
주026)
앗고:제거하고. 앗-[去]+-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7)
시:따뜻하게. -[溫溫]+-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28)
조:자주. -[頻]+-오(부사 형성 접미사).
주029)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명령형 종결어미). 복(服)은 ‘약을 마시다’.
주030)
쳔오두:천오두(川烏頭).
주031)
:한[一].
주032)
나:낱을. 낯[枚]+-(대격 조사).
주033)
죠예:종이에. 죠+-예(처소격 조사).
주034)
:싸. -+-아(보조적 연결어미).
주035)
저져:적시어. 저지-+-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36)
구워:구워. 구우-[炮]+-어. 어간 ‘구우-’는 ‘굽-’의 이형태임.
주037)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038)
머흣머흣:볼록한. 머흣머흣-[臍]+-ㄴ. 제(臍)는 배꼽. 물건에서 배꼽처럼 볼록한 것.
주039)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040)
디허:찧어. 딯-[擣]+-어.
주041)
오니와:부순 것과. -[碎]+-오-(의도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와.
주042)
:생강(生薑).
주043)
사로니와:썬 것을. 사-[切]+-오-+-ㄴ#이+와(접속 조사)+-(대격 조사).
주044)
믈:물[水].
주045)
닷:닷. 다섯.
주046)
홉애:홉에. 홉+-애. ‘一中盞(일중잔)이 ‘닷 홉’으로 번역된다.
주047)
달혀:달이어. 달히-+-어.
주048)
반만:반만큼. 반[五分]+-만.
주049)
외어든:되거든. 외-[至]+-어든.
주050)
즈:찌꺼기[滓]. 재(滓)는 찌끼 또는 앙금.
주051)
:꿀[蜜].
주052)
녀허:넣어. 녛-[入]+-어.
주053)
섯거:섞어. -[和]+-어.
주054)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주055)
마:마늘[蒜].
주056)
:한[一].
주057)
나:낱을. 낯[顆]+-. 과(顆)는 낟알. 작고 둥근 물건을 세는 단위.
주058)
거플:껍질[皮].
주059)
밧기고:벗기고. 밧기-[去]+-고.
주060)
라:갈아. -[硏]+-아.
주061)
:짠. -[取]+-오-(의도법 선어말어미)+-ㄴ.
주062)
:병을 앓고 있는. 병-[病]+-ㄴ.
주063)
사:사람을. 사[人]+-.
주064)
졋바(누)(어):반듯이 누워. 졋바-[仰臥]+-어. 기본형은 ‘졋바눕다’임.
주065)
머리:머리를. 머리[頭]+-.
주066)
드리디(게):드리우게. 드리디-[垂]+-게.
주067)
구리:구리[銅].
주068)
져로:저로. 젓가락으로. 져[筯]+-로(도구격 조사).
주069)
져고(매):조금[少許].
주070)
디(거):찍어. 딕-[點]+-어. 점(點)은 ‘따르다. 붓다. 점찍다’.
주071)
곳굼긔:콧구멍에. 코[鼻]+-ㅅ(속격 조사)+[中]+-의(처소격 조사).
주072)
처디오:떨어지게 하고. 쳐디-[瀝入]+-오. 력(瀝)은 ‘거르다, 물이 방울져 떨어지다’.
주073)
리:빨리[急].
주074)
부러:불어. 불-+-어.
주075)
머릿:머리의. 머리+-ㅅ(속격 조사).
주076)
골슈에:골수에. 골수+-에.
주077)
들에:들게. 들-+-에(보조적 연결어미).
주078)
라:하라.
주079)
누네:눈에. 눈[眼]+-에.
주080)
므리:눈물이. 믈[淚]+-이. ‘믈’은 ‘눈+-ㅅ#믈’로 분석됨.
주081)
나면:나면. 나-[出]+-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82)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미래시제 선어말어미)+-라.
주083)
지지:치자나무[梔]. 치(梔)는 치자나무, 치자(梔子)는 치자나무의 열매.
주084)
:씨를. [子]+-(대격 조사). 자(子)는 ‘씨, 열매, 알’.
주085)
라:갈아. -[末]+-아. 말(末)은 가루.
주086)
레:꿀에. [蜜]+-에.
주087)
라:말아. -[和]+-아.
주088)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089)
라:발라. ㄹ[傅]-+-아. 기본형은 ‘다’임.
주090)
토면:토하면. 토-[吐]+-면.
주091)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止]+-리-+-라.
주092)
머리: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주093)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
주094)
:날것[生].
주095)
댓무:무[蘿蔔]. 나복(蘿蔔)은 무.
주096)
즛두드려: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097)
:짠. -+-오-+-ㄴ.
주098)
즙을:즙을. 즙(汁)+-을.
주099)
붇:붓[筆].
주100)
대로:대로. 대[管]+-로(도구격 조사). 관(管)은 대롱, 붓대.
주101)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102)
드리불면:들이불면. 드리불-[吹入]+-면.
주103)
즉재:곧. 즉시[卽].
주104)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愈]+-리-+-라. 유(愈)는 ‘낫다. 병이 낫다’.
주105)
강잠(殭蠶):하얗게 말라 죽은 누에.
주106)
절로:저절로[自].
주107)
주근:죽은. 죽-[殭]+-은. 강(殭)은 ‘굳어지다. 주검이 썩지 아니하다. 강시(殭尸)’.
주108)
:흰. -+-ㄴ.
주109)
누에:누에를. 누에[蠶]+-.
주110)
라:갈아. -[碾]+-아. 년(碾)은 ‘맷돌. 맷돌에 갈다’.
주111)
:가루를. [末](‘’의 이형태)+-.
주112)
실:실[絲].
주113)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114)
니근:익은. 닉-[熟]+-은.
주115)
므레:물에. 믈[水]+-에.
주116)
두:둘[二]. 두.
주117)
돈을:돈을. 돈[錢匕]+-을. 비(匕)는 ‘비수, 단검. 숟가락, 수저’. 비저(匕箸)는 ‘숟가락과 젓가락’.
주118)
프러:풀어.
주119)
머그면:먹으면. ‘하(下)’가 ‘프러 먹다’로 번역됨.
주120)
즉재:곧[立]. 즉.
주121)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차(差)는 ‘낫다. 병이 낫다’이다.
주122)
감초와:감초와. 감초(甘草)+-와(접속 조사).
주123)
지지:치자나무[梔].
주124)
와:씨를. [子]-+-와-+-.
주125)
게:같게. -[等]+-게.
주126)
화:나누어. 호-[分]+-아.
주127)
사라:썰어. 사-[切]+-아.
주128)
디투:짙게. 딭-[濃]+-우(부사 형성 접미사).
주129)
글힌:끓인. 글히-[煮]+-ㄴ.
주130)
사발:한 사발. [一]#사발[椀]. ‘’는 ‘’의 오각(誤刻) 같다. 완(椀)은 주발.
주131)
머고:먹되. 마시되. 먹-[服]+-오(종속적 연결어미).
주132)
:하루[日].
주133)
두:두어. 두[二]#-[三].
주134)
번곰:번씩. 번[度]+-곰.
주135)
머그라:먹으라. 먹-+-으라.
주136)
머리예:머리에. 머리[頭]+-예.
주137)
:바람.
주138)
드러:들어. 들-+-어. ‘풍(風)’이 ‘ 들다’로 번역됨.
주139)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
주140)
가나못:가시나무의. 가나모[荊]+-ㅅ.
주141)
진:진[瀝]. 력(瀝)은 ‘거르다. 방울져 떨어지는 물’.
주142)
하나:많으나. 많거나. 하-[多]+-나(대등적 연결어미).
주143)
져그나:적으나. 적거나. 젹-[少]+-으나(대등적 연결어미).
주144)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腹]+-으라.
주145)
:쓴. -[苦]+-ㄴ.
주146)
죠박:조롱박[葫蘆]. 호(葫)는 ‘마늘. 호리병 박. 조롱박’.
주147)
:씨를. [子]+-.
주148)
디허:찧어. 딯-[擣]+-어.
주149)
리:가늘게. -[細]+-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150)
처:쳐. 츠-[羅]+-어.
주151)
져고매:조금[半字].
주152)
곳굼긔:코구멍에. 고[鼻]+-ㅅ(속격 조사)#[中]+-의(처소격 조사).
주153)
불면:불면. 불-[吹]+-면.
주154)
그:그[其].
주155)
알포미:아픔이. 알-[痛]+-옴+-이.
주156)
즉재:즉시. 곧[立].
주157)
그츠리니:그치리니. 그칠 것이니. 긏-[止]+-으리-+-니.
주158)
왼녀기:왼쪽이. 왼녁[左]+-이.
주159)
알거든:아프거든.
주160)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161)
불오:불고.
주162)
올녀기:오른쪽이. 오른 녘이. 올녁[右]+-이.
주163)
불라:불라. 불어라.
주164)
머리:머리가. 머리[頭]+∅.
주165)
알고:아프고. 알-[痛]+-고.
주166)
고히:코가. 고ㅎ[鼻]+-이.
주167)
막고:막히고. 막-[塞]+-고.
주168)
눈괘:눈이. 눈[眼]+-과+-ㅣ.
주169)
환티:환하지. 환-[利]+-디. 리(利)는 ‘날카롭다. 통하다. 막히지 아니하다. 매끄럽다’. ‘환다’는 신출어(新出語).
주170)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171)
:정향(丁香).
주172)
구리댓 불휘:구리때 뿌리[白芷].
주173)
:냥(兩).
주174)
:참외의. [瓜]+-ㅅ. 과(瓜)는 ‘오이. 곧 오이, 참외, 호박, 수박 따위’.
주175)
고고리:꼭지[蔕]. 체(蔕)는 ‘꼭지. 베꼽’. ¶버·릐 집 브:튼 고고·리(紫金沙蜂房蔕也 버릐 집 브·튼 고고·리)〈구급간이방언해 3:63ㄱ〉
주176)
:한[一].
주177)
과:냥을. (兩)+-과+.
주178)
디허:찧어. 딯-[擣]+-어.
주179)
리:가늘게. -[細]+-이.
주180)
처:쳐. 츠[羅]-+-어.
주181)
져고매:조금[半字].
주182)
고:코[鼻].
주183)
안해:안에. 안ㅎ[內]+-애.
주184)
드리불면:들이불면. 드리불-[吹入]+-면.
주185)
즉재:즉시. 곧[卽].
주186)
됴리라:나을 것이다. 좋아질 것이다. 둏-[差]+-리-+-라.
주187)
머리:머리가. 머리[頭]+∅.
주188)
리:깨뜨리는. 리-[裂]+--(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
주189)
:듯(명사).
주190)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
주191)
암촛 불휘:승검초 뿌리. 당귀(當歸).
주192)
두:두[二].
주193)
울:냥을. (兩)+-을.
주194)
술:술[酒].
주195)
되예:되에. 되[升]+예.
주196)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197)
엿:여섯[六].
주198)
홉이:홉이. 홉(合)+-이.
주199)
외어든:되거든. 외-[取]+-어든.
주200)
머고:먹되. 먹-[飮]+-오.
주201)
거듧:거듭[至再].
주202)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飮]+-으라.
주203)
긔운이:기운이 긔운[氣]+-이.
주204)
우흐로:위로. 우ㅎ+-으로(지향점 처소의 조사).
주205)
올아:올라. ‘공(攻)’이 ‘우흐로 오다’로 번역됨. 공(攻)은 ‘치다. 괴롭히다’.
주206)
머리:머리가. 머리[頭]+∅.
주207)
알포미:아픔이. 알-[痛]+-옴+-이.
주208)
리:깨뜨리는. 리-[破]+--+-ㄴ.
주209)
거든:듯하거든. -[如]+-거든[者].
주210)
호로파:호로파(葫蘆巴).
주211)
봇고니와:볶은 것과. -[炒]+-오-+-ㄴ#이(의존명사)+-와.
주212)
자깃:매자기의. 자기+-ㅅ.
주213)
불휘:뿌리.
주214)
사라:썰어. 사-[剉]+-아.
주215)
초:초(醋). 식초.
주216)
마:담가. -[浸]+-아. 침(浸)은 ‘담그다’.
주217)
밤:하룻밤. +-ㅅ#밤.
주218)
재니:재운 것. 재-[宿]+-ㄴ#이.
주219)
각:각각[各].
주220)
:마른. -[乾]+-ㄴ.
주221)
:생강[薑].
주222)
구으니:구운 것. -[炮]+-은#이.
주223)
반과:반을. 반+-과(접속조사)+-. ‘일분(一分)’이 ‘두 돈 반’으로 번역됨.
주224)
라:갈아. -[爲末]+-아.
주225)
두:두[二].
주226)
돈곰:돈씩. 돈[錢]-+-곰.
주227)
:생강(生薑).
주228)
글힌:끓인.
주229)
므리어나:물이거나. 믈+-이어나(보조사). ‘탕(湯)’이 ‘글힌 믈’로 번역됨.
주230)
수리어나:술이거나. 술+-이어나(보조사).
주231)
프러:풀어. 플-[調]+-어.
주232)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하(下)는 ‘내리다’임.
주233)
우:우엉의. 우[芋蒡]+-ㅅ.
주234)
불휘와:뿌리와. 뿌리[根]+-와.
주235)
줄기와:줄기를. 줄기[莖]+-와+-.
주236)
즛두드려:짓두드려. 즛두드리-+-어.
주237)
즙:즙(汁).
주238)
:짜. -[取]+-아.
주239)
수레:술에. 술[酒]+-에.
주240)
프러:풀어. 플-[和]+-어.
주241)
소곰:소금[塩].
주242)
져기:조금. 적게. 젹-+-이.
주243)
녀허:넣어. 녛-+-어. ‘소허(少許)’가 ‘져기 녛다’로 번역됨.
주244)
달혀:달여. 달히-[煎]+-어. 전(煎)은 ‘달이다. 졸이다’.
주245)
얼의어든:엉기거든. 얼의-[成膏]+-어든.
주246)
알:아픈. 알-[痛]+-ㄴ.
주247)
:곳에. 데. [處]+∅(처소격 조사).
주248)
고:바르고. -[塗]+-고.
주249)
이:몹시. 매우[用力].
주250)
처:비벼. 어루만져. -[摩]+-어.
주251)
:아주[大].
주252)
덥게:뜨겁게. 덥-[熱]+-게.
주253)
라:하라.
주254)
:말[馬].
주255)
먹다가:먹다가. 마시다가. 먹-[飮]+-다가(완료상을 표시하는 종속적 연결어미).
주256)
기튼:남긴. 깉-[遺]+-은.
주257)
므를:물을. 믈[水]+-을.
주258)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주259)
대도:일체(一切)의.
주260)
머리:머리[頭].
주261)
알핏:아픔의. 알피+-ㅅ. ‘알피’는 ‘알-+-ㅣ(명사 형성 접미사)’로 분석될 수 있고 상태동사 ‘알다’에서 파생된 명사이다. 동(疼)은 ‘아프다’임.
주262)
에:병에. ‘동(疼)’이 ‘알핏 ’으로 번역됨.
주263)
머거:먹어. 먹-[服]+-어.
주264)
됴티:낫지. 둏-[效]+-디.
주265)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266)
감초:감초(甘草).
주267)
믈:물[水].
주268)
사발애:사발에. 사발[椀]+-애.
주269)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270)
남거든:남짓하거든. 남-+-거든. ‘칠분(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주271)
즈:찌꺼기[滓]. 재(滓)는 ‘찌끼. 앙금’.
주272)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거(去)는 ‘가다. 덜다. 없애다. 제거하다. 버리다’.
주273)
닐:따뜻한 것을. -[溫]+-ㄴ#이+-ㄹ(대격 조사).
주274)
머그라:먹으라. 마시라. 먹-[服]+-으라. 복(服)은 ‘옷. 약을 마시다’.
주275)
됴티:낫지. 좋아지지. 둏-[效]+-디.
주276)
몯거든:못하거든. 아니하거든. 몯-[未]+-거든.
주277)
더라:더하라. 더-[加]+-라.
주278)
:한쪽[偏]. 편(偏)은 ‘치우치다. 반. 절반. 한쪽. 한편’임.
주279)
머리:머리가. 머리[頭]+∅(주격 조사).
주280)
알며:아프며. 알-[痛]+-며.
주281)
대도히:모두. 통틀어. ¶모미 대도히 헐어든(徧身成瘡). 모매 대도히 시리 나거든(徧身生絲)〈구급간이방언해 6:66ㄴ〉. 편(徧)은 ‘두루. 모두’.
주282)
알거든:아프거든.
주283)
곡초:곡정초(穀精草).
주284)
라:갈아. -[爲末]+-아.
주285)
밄:밀가루에. 밀+-ㅅ#+-(처소격 조사). 면(麪)은 ‘밀가루. 국수’.
주286)
라:말아. -[調]+-아.
주287)
죠:종이[紙花子].
주288)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289)
라:발라. ㄹ-[攤]+-아. 기본형은 ‘다’임. 탄(攤)은 ‘펴다. 펼치다’.
주290)
알:아픈. 알-[痛]-+-ㄴ.
주291)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주292)
브툐:붙이되. 브티-[貼]+-오.
주293)
거든:마르거든. -[乾]+-거든.
주294)
라:갈아. 바꾸어. -[換]+-아.
주295)
브티라:붙이라. 붙이어라.
주296)
도:돼지의. 돝[猪]+-(속격 조사).
주297)
엄:어금니[牙].
주298)
:같은. -+-(관형사형 어미).
주299)
조각을:조각을. 조각(皁角)+-을.
주300)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301)
실와:힘줄과. 힘줄[筋]+-와. 근(筋)은 ‘힘줄. 힘. 체력’.
주302)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303)
구리댓 불휘와:구리때 뿌리와. 구리댓 불휘[香白芷]+-와.
주304)
:흰[白].
주305)
바곳 불휘와:바곳 뿌리를. 바곳 불휘[附子]+-와+-.
주306)
게:같게. -[等]+-게.
주307)
화:나누어. 호-[分]+-아.
주308)
라:갈아. -[爲末]+-아.
주309)
돈곰:돈씩. 돈[錢]+-곰.
주310)
머근:먹은. 먹-+-은. ‘식(食)’이 ‘밥 먹다’로 번역됨.
주311)
섯래:섣달에. 섯[臘]+-애. 랍(臘)은 ‘납향. 섣달’.
주312)
:딴.
주313)
쟉셜찻:작설차의. 쟉셜차[茶]+-ㅅ.
주314)
므레:물에. 믈[淸]+-에. 청(淸)은 ‘음료. 마시도록 된 액체’.
주315)
먹고:먹고. 먹-[調下]+-고.
주316)
올녀기:오른쪽이. 오른녘이. 올녁[右]+-이.
주317)
알거든:아프거든. 알-[痛]+-거든.
주318)
올녁으로:오른쪽으로. 올녁[右]+-으로(지향점 처소의 격조사).
주319)
히즈:옆으로[側]. 측(側)은 ‘곁. 옆. 가’. 측와(側臥)는 ‘몸을 옆으로 하여 누움. 옆에 붙어서 잠’.
주320)
눕고:눕고. 눕-[臥]+-고.
주321)
왼녀기:왼쪽이. 왼녘이. 왼녁[左]+-이.
주322)
왼녁으로:왼쪽으로. 왼녘으로. 왼녁[左]+-으로.
주323)
두:두[二]. 양[兩].
주324)
녀기:쪽이. 녘이. 녁[邊]+-이.
주325)
다:다[皆]. 모두.
주326)
알거든:아프거든. 알[疼]-+-거든.
주327)
졋바누으라:우러러 보며 누워라. 반듯이 누워라. 졋바-[仰臥]+-으라.
주328)
:한쪽[偏].
주329)
머리:머리가. 머리[頭]+∅.
주330)
알포미:아픔이. 알-[痛]+-옴+-이.
주331)
디:참아지지. -[忍]+-디.
주332)
몯거든:못하거든. 몯-[不]+-거든.
주333)
비마:피마자(蓖麻子). 아주까리. 피(蓖)는 ‘개사철쑥. 아주까리, 피마자’.
주334)
거플:껍질[皮].
주335)
밧기니와:벗긴 것과. 밧기-[去]+-ㄴ#이(의존명사)+-와.
주336)
대초:대추[棗].
주337)
열다:열다섯[十五].
주338)
낫:낱[枚].
주339)
:씨[核].
주340)
아니와:제거한 것을. -[去]+-#이+-와+-.
주341)
뫼화:모아. 뫼호-[都]+-아. 도(都)는 ‘도읍. 모이다. 모두. 다’.
주342)
디허:찧어. 딯-[擣]+-어.
주343)
닉게:익게. 닉-[熟]+-게.
주344)
죠:종이[紙].
주345)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346)
고:바르고. -[塗]+-고.
주347)
:한[一].
주348)
애:짝에. [隻]+-애. 척(隻)은 ‘새 한 마리. 짝 있는 것의 한쪽’.
주349)
라:말아. -[卷]+-아.
주350)
져란:젓가락은. 져[筯]+-란(보조사). 져(筯)는 ‘젓가락[箸]’.
주351)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352)
고:코[鼻].
주353)
안해:안에. 안ㅎ[中]+-애.
주354)
녀흐면:넣으면. 녛-[內]+-으면.
주355)
이고:이윽고[良久]. 양구(良久)는 ‘오래 참음. 한참 지나서’.
주356)
:맑은. -[淸]+-.
주357)
고히:코가. 콧물이. 고ㅎ[涕]+-이. 체(涕)는 ‘눈물. 콧물’.
주358)
흐르리라:흐를 것이다. 흐르-[取下]+-리-+-라.
주359)
비마:피마자.
주360)
을:냥[兩]을. (兩)+-을.
주361)
거플:껍질[皮].
주362)
밧기고:벗기고. 밧기-[去]+-고.
주363)
므르:문드러지게[爛]. 란(爛)은 ‘문드러지다. 화미(華美)하다. 빛나다’.
주364)
라:갈아. -[硏]+-아.
주365)
:짜. -[絞取]+-아. 교(絞)는 ‘목매다. 꼬다’.
주366)
:한쪽[偏].
주367)
머리:머리가. 머리[頭]+∅.
주368)
알:아픈. 알-[痛]+-ㄴ.
주369)
:데. 곳에. [處]+∅(처소격 조사).
주370)
라:바르라. -[塗]+-라.
주371)
셰:세신의. 셰신[細辛] +-ㅅ(속격 조사).
주372)
불휘와:뿌리와. 불휘+-와(접속조사).
주373)
셕우과:석웅황(石雄黃)을. 셕우[雄黃]+-과+-.
주374)
게:같게. -[等]+-게.
주375)
화:나누어. 호-[分]+-아.
주376)
라:갈아. -[硏]+-아.
주377)
고게:고르게. 고-[勻]+-게.
주378)
야:하여. ‘균(勻)’이 ‘고게 다’로 번역됨.
주379)
져고매:조금[一字許].
주380)
겨티:곁이. 곁[邊]+-이.
주381)
알거든:아프거든. 알-[疼]+-거든. 동(疼)은 ‘아프다. 욱신거리다’.
주382)
올녁:오른쪽[右]. 오른녘.
주383)
고해:코에. 고ㅎ[鼻]+-애.
주384)
불오:불고. 불-[吹入]+-오(대등적 연결어미).
주385)
올:오른쪽[右].
주386)
왼녁:왼쪽[左]. 왼녘.
주387)
불면:불면. 불-[吹入]+-면.
주388)
:가장. 매우. 몹시[甚]. 심(甚)은 ‘심하다. 진실로’.
주389)
됴니라:낫는다. 좋아진다. 둏-[效]+-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라.
주390)
잇:궁궁(藭芎)이의. 이+-ㅅ.
주391)
불휘:뿌리를. 불휘+-.
주392)
리:가늘게. -[細]+-이.
주393)
사라:썰어. 사-[剉]+-아. 좌(剉)는 ‘꺾다. 꺾이다. 쪼개다. 자르다’.
주394)
수레:술에. 술[酒]+-에.
주395)
가:담가. -[浸]+-아. 침(浸)은 ‘담그다. 물에 적시다. 스며들다. 잠기다’.
주396)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397)
됴니라:좋다. 둏-[佳]+-니-+-라. 가(佳)는 ‘아름답다. 좋다. 훌륭하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