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27. 채독(二十七菜毒 구문독부(鉤吻毒附))
메뉴닫기 메뉴열기

27. 채독(二十七菜毒 구문독부(鉤吻毒附))


菜毒第二十七 鉤吻毒附
聖惠方
治食諸菜中毒發狂煩悶吐下欲死

하45ㄴ

用雞糞燒爲末水服一錢未解更服

여러 가짓  주001)
:
나물.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먹고 毒독 마자 미쳐 주002)
미쳐:
미치-[狂] + -어(연결어미). 미쳐.
안히 답답야 吐통고 주거 가릴 주003)
가릴:
가-[去]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가는 것을.
고튜   주004)
:
[糞] + -(목적격 조사). 똥을.
라 주005)
라:
-[燒] + -아(연결어미). 불살라. 태워.
 라 므레  돈곰 머구 됴티 아니커든 다시 머그라

여러 가지의 나물을 먹고 독이 올라 미쳐서 속이 답답하고 토하여 죽어 가는 것을 고치려면 닭의 똥을 태워 가루로 만들어서 물에 한 돈씩 타서 먹되 좋지 아니하거든 다시 먹으라.

又方
以葛根煮汁每飮一小盞

츬 불휘 주006)
츬 불휘:
츩[葛] + -ㅅ(관형격 조사) + 불휘[根] + -(목적격 조사). 칡뿌리를. ‘츬’은 명사 ‘츩’의 제 2말음 ‘ㄱ’이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 탈락한 형태이다.
달혀 汁집을 져근  잔곰 머그라

또 칡뿌리를 달여 즙을 만들어 작은 한 잔씩 먹으라.

又方
取雞毛燒爲灰以水調服二錢差

  지츨 주007)
지츨:
짗[羽] + -을(목적격 조사). 깃털을.
라  외어든 주008)
외어든:
외-[爲] + -거든(연결어미). 되거든. ‘외-’의 어간 말음 ‘j' 다음에서 어미 ‘-거든’의 ‘ㄱ’이 탈락하였다.
므레 두 돈 프러 머그면 됴리라

또 닭의 깃털을 태워 재가 되거든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면 좋다.

又方
治食菜及菓子中蛇毒以黑豆末酒漬取汁服之

 콰 菓광實씷와 먹고 야 주009)
야:
얌[蛇] + -(관형격 조사). 뱀의.
毒독 마닐 주010)
마닐:
맞-[中]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맞은 것을. (독이) 오른 것을.
고튜 거믄 콩

하46ㄱ

주011)
:
[大豆]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콩가루를. 명사 ‘’의 말음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가 ‘’로 교체되었다.
수레 불워 汁집을 取츙야 머그라

또 나물과 과실을 먹고 뱀의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검은 콩가루를 술에 불려 즙을 내어 먹으라.

又方
以雞血和鐵粉丸如梧桐子大每服以溫水下一丸

  피 鐵粉분에 섯거 주012)
섯거:
-[混] + -어(연결어미). 섞어.
梧桐통子 주013)
오동자(梧桐子)만:
오동자 만한. ‘오동자’는 벽오동나무씨를 말한다.
丸 주014)
환(丸):
알약.
 라 머굴 제  므레  丸 리오라 주015)
리오라:
리-[下] + -오-(사동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내리게 하라. 먹으라.
鐵粉분 쇠 醋총ㅅ 의예 녀허 오라면 오시 주016)
오시:
옷[衣] + -이(주격조사). 옷이. 녹이. 여기서는 쇠에 낀 녹을 가리킨다.
나니 가 주017)
가:
-[刮] + -아(연결어미). 갉아.
아니 일후미 鐵粉분이라

또 닭의 피를 철분에 섞어 벽오동나무 씨만한 환약 하나를 만들어 먹을 때에 따뜻한 물로 환약을 먹으라. - 철분은 쇠를 초의 찌꺼기에 넣어 오래 되면 쇠에 녹이 생기는데 이를 갉아 낸 것이 이름이 철분이다.

又方
治諸菜中毒 甘草 生剉 貝齒·胡粉 各一兩 右件藥擣羅爲散每眼以水調二錢服之

 雜짭 해 毒독 마닐 고튜 甘감草 生닐 주018)
생(生)닐:
말리지 않은 것을. 생것을.
사니와 貝뱅齒징와 胡粉분 주019)
호분(胡粉):
부록 참조.
과 各각  兩량 디허 처 散산을 

하46ㄴ

라 두 돈곰 므레 프러 머그라

또 여러 가지 나물로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감초 생것을 썬 것과 패치와 호분 각각 한 냥을 찧어 체로 쳐서 가루약을 만들어 두 돈씩 물에 풀어 먹으라.

又方
童子 小便 人乳汁 各半中盞 右相和煖服

 아 오좀과 사 졋 汁집과 各각 半반 中잔 섯거 데여 머그라

또 아이의 오줌과 사람의 젖을 각각 중간 잔의 반을 섞어 데워 먹으라.

又方
治苦瓠毒用黍穰煮取汁飮數盞卽差

 박 주020)
 박:
-[苦] + -ㄴ(관형사형 어미) + 박[瓠]. 쓴 박. 호리병박.
毒독 마닐 고툐 기 디플 주021)
디플:
딮[藁] + -을(목적격 조사). 짚을. 구개음화로 ‘딮 〉 짚’이 된다.
달혀 주022)
달혀:
달히-[煮] + -어(연결어미). 달여.
汁집을 取츙야 두 잔 머그면 즉재 됻니라

또 호리병박의 독이 오른 것을 고치려면 기장의 짚을 달여 즙을 내어 두어 잔을 먹으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桔梗毒白粥解之

桔梗 주023)
길경(桔梗):
도라지.
ㅅ 毒독  粥쥭으로 고티라

또 도라지의 독을 흰 죽으로 고치라.

又方
野芋毒地漿及人糞汁解之

野양芋 주024)
야우(野芋):
토란.
ㅅ毒독 地띵漿 주025)
지장(地漿):
황토수. 부록 참조.
과 사  汁집으로 고티라 주026)
고티라:
고티-[愈] + -라(명령법 어미). 고치라. ‘고티다 〉 고치다’는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또 야우의 독을 황토수와 사람의 똥물로 고치라.

하47ㄱ

衛生易簡方
治誤食諸毒草幷百物毒 板藍根四兩 貫衆 靑黛 甘草各一兩右爲末蜜丸如桐子大以靑黛別爲衣如稍覺精神恍惚惡心卽是誤中諸毒急用此藥十五元爛嚼新汲水下

雜짭毒독 주027)
잡독(雜毒) :
여러 가지 독한.
플와 온 가짓 毒독 그르 주028)
그르:
그릇. 잘못. 형용사 ‘그르다[誤]’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이고 있는 예이다.
머그닐 고튜 板반藍람根 주029)
판람근(板藍根):
부록 참조.
넉 兩과 貫관衆 주030)
관중(貫衆):
부록 참조.
靑黛 주031)
청대(靑黛):
부록 참조.
와 甘감草와 各각  兩  라 레 주032)
레:
[蜜] + -에(처격조사). 꿀에.
梧桐子만 丸 지 靑黛로 各각別히 옷 니펴 주033)
니펴:
닙-[被] + -히-(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입혀. 포장하여.
다가 精神씬이 어즐코 안 눅눅면 주034)
눅눅면:
눅눅-[惡] + -면(연결어미). 느글느글하면. 속이 메스껍고 느끼하면.
곧 이 中毒독이니 리 이 藥

하47ㄴ

약 열다 丸 로니 주035)
로니:
곱게. 잘게.
십고  기룬 주036)
기룬:
긷-[汲]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길어온.
믈로 리오라

여러 가지 독한 풀과 온갖 독을 잘못 먹은 것을 고치려면 판람근 넉 냥과 관중과 청대와 감초 각각 한 냥을 가루로 만들어 꿀로 오동자만하게 환약을 지어 청대로 각별히 겉을 입혀서 - 만일 정신이 어질하고 속이 좋지 않으면 이것이 곧 중독이니 - 빨리 이 약 열다섯 환을 잘게 씹어 금방 길어온 물로 먹으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물. ‘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02)
미쳐:미치-[狂] + -어(연결어미). 미쳐.
주003)
가릴:가-[去] + -ㄹ(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가는 것을.
주004)
:[糞] + -(목적격 조사). 똥을.
주005)
라:-[燒] + -아(연결어미). 불살라. 태워.
주006)
츬 불휘:츩[葛] + -ㅅ(관형격 조사) + 불휘[根] + -(목적격 조사). 칡뿌리를. ‘츬’은 명사 ‘츩’의 제 2말음 ‘ㄱ’이 관형격 조사 ‘-ㅅ’ 앞에서 탈락한 형태이다.
주007)
지츨:짗[羽] + -을(목적격 조사). 깃털을.
주008)
외어든:외-[爲] + -거든(연결어미). 되거든. ‘외-’의 어간 말음 ‘j' 다음에서 어미 ‘-거든’의 ‘ㄱ’이 탈락하였다.
주009)
야:얌[蛇] + -(관형격 조사). 뱀의.
주010)
마닐:맞-[中] + -(관형사형 어미) + 이(의존명사, 것) + -ㄹ(목적격 조사). 맞은 것을. (독이) 오른 것을.
주011)
:[大豆] + -ㅅ(관형격 조사) + [粉] + -(목적격 조사). 콩가루를. 명사 ‘’의 말음 ‘’가 모음의 조사 앞에서 탈락함으로써 ‘’가 ‘’로 교체되었다.
주012)
섯거:-[混] + -어(연결어미). 섞어.
주013)
오동자(梧桐子)만:오동자 만한. ‘오동자’는 벽오동나무씨를 말한다.
주014)
환(丸):알약.
주015)
리오라:리-[下] + -오-(사동접미사) + -라(명령법 어미). 내리게 하라. 먹으라.
주016)
오시:옷[衣] + -이(주격조사). 옷이. 녹이. 여기서는 쇠에 낀 녹을 가리킨다.
주017)
가:-[刮] + -아(연결어미). 갉아.
주018)
생(生)닐:말리지 않은 것을. 생것을.
주019)
호분(胡粉):부록 참조.
주020)
 박:-[苦] + -ㄴ(관형사형 어미) + 박[瓠]. 쓴 박. 호리병박.
주021)
디플:딮[藁] + -을(목적격 조사). 짚을. 구개음화로 ‘딮 〉 짚’이 된다.
주022)
달혀:달히-[煮] + -어(연결어미). 달여.
주023)
길경(桔梗):도라지.
주024)
야우(野芋):토란.
주025)
지장(地漿):황토수. 부록 참조.
주026)
고티라:고티-[愈] + -라(명령법 어미). 고치라. ‘고티다 〉 고치다’는 구개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27)
잡독(雜毒) :여러 가지 독한.
주028)
그르:그릇. 잘못. 형용사 ‘그르다[誤]’의 어간이 그대로 부사로 쓰이고 있는 예이다.
주029)
판람근(板藍根):부록 참조.
주030)
관중(貫衆):부록 참조.
주031)
청대(靑黛):부록 참조.
주032)
레:[蜜] + -에(처격조사). 꿀에.
주033)
니펴:닙-[被] + -히-(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입혀. 포장하여.
주034)
눅눅면:눅눅-[惡] + -면(연결어미). 느글느글하면. 속이 메스껍고 느끼하면.
주035)
로니:곱게. 잘게.
주036)
기룬:긷-[汲] + -우-(삽입모음) + -ㄴ(관형사형 어미). 길어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