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5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5
  •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 불수불탐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수불탐분 2


【경】 須菩提야 以諸菩薩이 不受福德故ㅣ라

【說誼】知法無我야 得成於忍이 何勝布施之福耶오 布施 但住相야 福德이 爲究竟이어니와

法이 나 업소 아라

금강경삼가해 권5:6ㄱ

주001)
에:
‘인(忍)에’의 ‘-에’는 ‘-을/-를’이 기대되는 위치에 나타난 것이다. 원문의 ‘어(於)’를 부사격조사로 옮긴다는 원칙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목적격조사와 부사격조사의 사용역이 겹치는 것은 중세국어에서 두드러진 현상이다.
시러 주002)
시러:
능히. 싣-[得]+어. ‘ㄷ’ 불규칙활용.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이로미 주003)
이로미:
이룸이. 일-[成]+옴(명사형어미)+이. 사동접미사 ‘-우-’가 쓰이면 분철되어 ‘일우미’로 적힌다. ‘일-’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
엇뎨 주004)
엇뎨:
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布施혼 福애 더으뇨 주005)
더으뇨:
더하겠는가? 더으-[勝]+니+고/오(의문 종결어미). ‘-니-’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교체되어 ‘-니오’로 적히다가 ‘-요’로 발달한 것.
布施 오직 相애 住야 福德이 초미 주006)
초미:
끝남이. -[終]+옴(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외리어니와

법이 나 없음을 알아 인에(인을) 능히 이룸이 어찌 보시한 복에서 더하겠는가(보다 더 낫겠는가)? 보시는 오직 상에 머물러 복덕이 마침이 되려니와,

【說誼】菩薩 則不然야 通達法性空야 福德 尙不受니 所以爲勝也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菩薩 곧 그러티 아니야 法性이 주007)
뷘:
빈. 뷔-[空]+ㄴ(관형사형어미).
주008)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 주009)
: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8종성표기법.
아라 福德 오히려 受티 아니니 이런 로 더으니라 주010)
더으니라:
더하니라. 더 나으니라. 더으-[加. 勝]+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보살은 곧 그렇지 아니하여 법성(法性)이 빈 것을 꿰뚫어 알아 복덕을 오히려 받지 아니하나니, 이런 까닭으로 더 나으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에:‘인(忍)에’의 ‘-에’는 ‘-을/-를’이 기대되는 위치에 나타난 것이다. 원문의 ‘어(於)’를 부사격조사로 옮긴다는 원칙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목적격조사와 부사격조사의 사용역이 겹치는 것은 중세국어에서 두드러진 현상이다.
주002)
시러:능히. 싣-[得]+어. ‘ㄷ’ 불규칙활용. 동사의 활용형 ‘싣-[得]+어→시러’가 부사로 굳어진 것. 동사 어간 형태가 ‘싣-’임은 다음 예로 확인된다. ¶ 福 모도아 싣게 호리라〈석보상절 24:10〉. 得은 시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ㄱ〉. 만약 어간이 ‘실-’이라면 그 관형사형은 ‘실(실-+ㄹ)’이 된다.
주003)
이로미:이룸이. 일-[成]+옴(명사형어미)+이. 사동접미사 ‘-우-’가 쓰이면 분철되어 ‘일우미’로 적힌다. ‘일-’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타동사.
주004)
엇뎨: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주005)
더으뇨:더하겠는가? 더으-[勝]+니+고/오(의문 종결어미). ‘-니-’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교체되어 ‘-니오’로 적히다가 ‘-요’로 발달한 것.
주006)
초미:끝남이. -[終]+옴(명사형어미)+이(보격조사).
주007)
뷘:빈. 뷔-[空]+ㄴ(관형사형어미).
주008)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9)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8종성표기법.
주010)
더으니라:더하니라. 더 나으니라. 더으-[加. 勝]+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