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5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5
  •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 지견불생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견불생분 1


【경】 須菩提야 若人이 言호 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라 니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是人이 解我所說義아 不아 世尊하 是人이 不解如來所說義니 何以故ㅣ어뇨 世尊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 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라 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시니다 須菩提야 發阿耨多羅三藐三

금강경삼가해 권5:23ㄱ

菩提心者 於一切法에 應如是知며 如是見며 如是信解야 不生法相이니 須菩提야 所言法相者ㅣ 如來說이 卽非法相이라 是名法相이니라

【說誼】正顯法相이 卽非法相샤 合上塵界ㅣ 非塵界之喩也시니라 所說이 無量이어늘 特擧四見者 此ㅣ 是三乘所斷麤細惑之惣名이며 八萬四千諸妄染之頭數ㅣ니

正히 法相이 곧 法相 아니론 주001)
아니론:
아닌. 아니(명사)+Ø(서술격조사)+오/우+ㄴ(관형사형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오/우-’가 ‘-로-’로 교체된다. 이 때문에 서술격조사의 소급형을 ‘일-’로 보기도 한다.
주002)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나토샤 주003)
나토샤:
나타내시어. 낱-[現]+오(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우흿 주004)
우흿:
위의. 웋[上](ㅎ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塵界ㅣ 塵界 아닌 가뵤매 주005)
가뵤매:
비유함에. 가비-+옴/움(명사형어미)+애.
마초시니라 주006)
마초시니라:
맞추셨느니라. 부합시키셨느니라. 맞-+호(사동접미사)+시+니+라.
니샨 주007)
니샨:
말씀하신. 니-[說. 謂]+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주008)
배:
바가.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그지 주009)
그지:
끝. 그지[限]+Ø(주격조사).
업거늘 주010)
업거늘:
없거늘. 없-+거늘.
特別히 네 보 주011)
보:
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거성인 ‘보-’에 ‘옴’이 결합하면서 음절이 축약되고 상성으로 표기됨. 어간의 끝소리 ‘ㅏ,ㅓ,ㅗ,ㅜ’와 명사형어미를 구성하는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뀜.
드르샤 주012)
드르샤:
드심은. 들-[擧]+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13)
이:
이것이. 이[此]+Ø(주격조사).
三乘 주014)
의:
-의. 주격조사가 기대되는 위치이지만, ‘三乘의 긋논 바’ 전체를 하나의 명사구로 보고 관형격조사를 사용한 것이다.
긋논 주015)
긋논:
끊는. 긏-[斷]++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16)
밧:
바의. 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굴그며 주017)
굴그며:
굵으며. 굵-+으며.
 주018)
:
가는. -[細]+(관형사형어미).
惑의 모 주019)
모:
모든. ‘몯-[集]+(관형사형어미)’이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일후미며 八萬四千 모 妄染의 數ㅣ니

바로 법상(法相)이 곧 법상 아닌 것을 나타내시어 위의 진계(塵界)가 진계 아닌(아니라는) 비유에 부합시키셨느니라. 이르신 바가 그지없거늘 특별히 네 가지 봄을 드신 것은 이것이 삼승의 끊는 바의 굵으며 가는 미혹의 모든 이름이며 8만 4천 모든 망염(妄染)의 수이니,

【說誼】

금강경삼가해 권5:23ㄴ

故上來예 頻說之시고 於此애 特擧問耳시니 意 通明能治所治一切諸法이 皆非實有也ㅣ시니라

그럴 주020)
그럴:
그러하므로. 그러-+ㄹ.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가 ‘-ㄹ’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우희 주021)
우희:
우ㅎ+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조 주022)
조:
자주. -[頻]+오(부사파생 접미사).
니르시고 주023)
니르시고:
말씀하시고. 니르-+시+고.
이 주024)
이:
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特別히 드러 주025)
드러:
들어. 들-[擧]+어(연결어미).
무르실 주026)
무르실:
물으실. 묻/물-+으시+ㄹ. ‘ㄷ’ 불규칙활용.
미시니 든 주027)
든:
뜻은. [意]+은(보조사).
能治와 所治 주028)
왓:
-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一切 諸法이 다 眞實로 이쇼미 주029)
이쇼미:
있음이. 이시-[有]+옴(명사형어미)+이.
아닌 주030)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 주031)
: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기시니라 주032)
기시니라:
밝히시니라. -+이(사동접미사)+시+니/으니+라.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러한 관점에 문제가 없지 않다.
【境 괴외호미 주033)
괴외호미:
고요함이[寂]. 괴외++옴(명사형어미)+이.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 [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所治 주034)
오:
-이고. ‘所治오’는 所治+Ø(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 뷔요미 주035)
뷔요미:
빈 것이. 뷔-[虛]+옴/움(명사형어미)+이.
能治라】

그러므로 위에서 자주 말씀하시고 여기서 특별히 들어서(거론하시어) 물으실 따름이시니, 뜻은 능치(能治. 다스림)와 소치(所治. 다스려짐)의 일체 모든 법이 다 진실로 있음이 아닌 것을 꿰뚫어 밝히셨느니라.【대경이 고요함이 소치이고, 마음이 빈 것이 능치이다.】

【說誼】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 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라 니

부텨 니샨 주036)
니샨:
말씀하신. 니-[說. 謂]+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我見 주037)
아견(我見):
참 나가 존재한다는 그릇된 인식.
人見 주038)
인견(人見):
나는 인간이어서 축생과 다르다는 그릇된 인식.
衆生見 주039)
중생견(衆生見):
나는 5온에 의해 생겼다는 그릇된 생각.
壽者見 주040)
수자견(壽者見):
나는 일정한 목숨이 있다는 그릇된 생각.
이 곧 我見 人見 衆生見 壽者見이 아니라 니

부처께서 말씀하신 아견(我見), 인견(人見), 중생견(衆生見), 수자견(壽者見)이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라 하니,

【說誼】以此로 例之則佛說四聖諦卽非四聖諦며 佛說十八不共法이 卽非十八不共法이며 乃至八萬四千多羅尼門이 卽非八萬四千多羅尼門이로다

일로 주041)
일로:
이것으로써. 이[此]+ㄹ(개입음)+로.
例건댄 곧 부텨 니샨 四聖諦 주042)
사성제(四聖諦):
성인이 보는 네 가지 진리란 뜻이다. ①고성제는 삼계 여섯 갈래의 고보(苦報)니 모르는 결과요, ②집성제는 탐, 진, 치 등의 번뇌와 선악의 업이니 이것이 삼계 여섯 갈래의 고보를 모아 일으키므로 집제(集諦)라 하며 이것은 모르는 인이오, ③멸성제는 열반이니 생사를 여의고 적멸하다는 뜻이며 깨달은 결과요, ④도성제는 8정도로서 열반에 가는 길이니 깨닫는 인이다.
곧 四聖諦 아니며 부텨 니

금강경삼가해 권5:24ㄱ

샨 열여듧 주043)
열여듧:
열여덟.
디 주044)
디:
함께하지. -[共. 竝]+디(보조적 연결어미).
몯 法이 곧 十八不共法이 아니며 八萬四千多羅尼門에 니르리 주045)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곧 八萬四千多羅尼門이 아니로다十八不共法 주046)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부처님께만 있는 18가지 공덕법이니 2승이나 보살에게는 공통되지 아니하므로 불공법이라 함. 1)몸이 실수 없고, 2)입이 실수 없고, 3)생각이 실수 없고, 4)두 가지 생각이 없고, 5)선정을 여읜 마음이 없고, 6)알고서 버리지 않는 것이 없고, 7)하고자 하는 욕망이 감함이 없고, 8)정진이 감함이 없고, 9)억념함이 감함이 없고, 10)지혜가 감함이 없고, 11)해탈이 감함이 없고, 12)해탈지견이 감함이 없고, 13)온갖 몸으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4)온갖 말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5)온갖 뜻으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6)지혜로 지나간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고, 17)지혜로 이 다음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고, 18)지혜로 지금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는 것.
은 法數에 잇니라】

이것으로 예를 든다면, 곧 부처께서 말씀하신 사성제(四聖諦)가 곧 사성제가 아니며, 부처께서 말씀하신 열여덟 함께하지 못하는 법이 곧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이 아니며, 8만 4천 다라니문에 이르기까지 곧 8만 4천 다라니문이 아니로다.【십팔붕공법은 법수에 있느니라.】

【說誼】伊麽則從初轉四諦야 至今談般若히 所說諸法이 無一字ㅣ 可以掛在目前이며 無一言이 可以記在胸中이니

그러면 처 주047)
처:
처음.
四諦 주048)
사제(四諦):
네 가지 성제(聖諦). 고제(苦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 여기서 ‘체(諦)’의 한자음을 불교용어로는 ‘제’로 씀.
주049)
전(轉):
굴림. 부처님의 가르침이 다른 것에 전환되어 전달되는 것을 바퀴에 비유하여 ‘법륜(法輪. 진리의 바퀴)’이라 한다. 그리고 그 가르침을 전파하는 것을 ‘轉(굴림)’이라 한다.
샤로브터 주050)
샤로브터:
하심으로부터.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브터(보조사).
이제 주051)
이제:
오늘에. 지금에. 오늘날의 ‘이제’는 발화시와 일치하나, 중세국어의 ‘이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쓰인다. 원문이 ‘今’일 때에는 ‘지금’의 뜻으로 쓰인 부사(합성어)이지만, 그 밖의 경우(예: 於是)에는 ‘이 때(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에/예//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般若 주052)
반야(般若):
지혜(智慧)를 뜻함. 모든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가리키며, 모든 법을 통달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함.
니샤매 주053)
니샤매:
이르심에. 말씀하심에. 니-[云]+샤/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애(조사).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 이론은 좀 더 정밀화되어야 할 것이다. ‘-오/우-’의 이형태 ‘-아’를 인정하는 것도 이를 극복하는 한 방법일 것이다.
니르리 주054)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니샨 주055)
밧:
바의. 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諸法이  字ㅣ 어루 주056)
:
그리하여. 그리 함으로써. 중세국어의 ‘’는 부사임. ‘-[用]+어(부사형어미)’가 굳어져 부사화함.
알 주057)
알:
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거러 주058)
거러:
걸려. 걸-[掛]+어.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이다.
이시리 주059)
이시리:
있을 것이. 이시-[有]+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업스며  말미 어루  胸中에 記錄야 두미 주060)
두미:
둠이. 두-[置]+옴/움(명사형어미)+이. ‘두-’는 거성인데, 어간의 끝소리 ‘ㅏ,ㅓ,ㅗ,ㅜ’와 명사형어미를 구성하는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뀜.
업스니

그러면 처음 사제(四諦)를 굴리심(전파하심)으로부터 지금 반야를 말씀하심에 이르기까지 말씀하신 바의 제법이 한 글자도 가히 써 눈 앞에 걸려 있는 것이 없으며, 한 말씀도 가슴에 기록하여 둠이 없으니,

【說誼】所謂一相一味究竟涅槃常寂滅相이 於是乎現니 於此애 可以悟佛知見이며 入佛知見이며 於此애 可以發眞正信心야 得眞正妙解也ㅣ어니 豈可泥言敎而爲究竟야 墮在名數之中也ㅣ리오

닐온밧 주061)
닐온밧:
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 相  맛 究竟涅槃

금강경삼가해 권5:24ㄴ

眞常寂滅 相이 이 주062)
이:
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나니 주063)
나니:
나타나니. 낱-[現]+니/으니.
이 어루  부텻 주064)
부텻:
부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知見 주065)
지견(知見):
지혜에 의해서 봄. 사물을 깨달아서 아는 견해.
을 알며 부텻 知見에 들며 주066)
들며:
들며. 들-[入]+으며. ‘ㄹ’과 매개모음 탈락.
이 어루  眞實ㅅ 定 信心을 發야 眞實ㅅ 正 妙解 어드리어니 주067)
어드리어니:
얻으리니. 얻-+으리+거/어(확정법 선어말어미)+니.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거-’의 ‘ㄱ’이 약화한 것이다.
엇뎨 어루 言敎애 브텨 주068)
브텨:
얽매여. 븥-+이(피동접미사)+어.
究竟 사마 名數中에 디여 주069)
디여:
떨어져. -[墮]+어(연결어미)+디-[落]+어.
이시리오

이른바 한 상 한 맛(一相一味)의 구경 열반 진상 적멸한 상이 여기에 나타나니, 여기서 가히 써 부처의 지견(知見)을 알며 부처의 지견에 들며, 여기서 가히 써 진실된 결정된 신심을 발하여 진실된 바른 오묘한 깨달음을 얻으리니, 어찌 가히 말씀의 가르침에 얽매여서 그것을 구경(究竟)을 삼아 명수 중에 떨어져 있으리오?

【說誼】所以云發菩提心者 於一切法에 應如是知見며 如是信解야 不生法相이라 시며 以至云所言法相者ㅣ 卽非法相이니 是名法相이라 시니

이런 로 니샤 菩堤心 發 사 一切法에 반기 주070)
반기:
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이티 知見며 이티 아라 法相 내디 주071)
내디:
내지. 나-[出. 生]+ㅣ(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주072)
말라:
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시며 닐온밧 주073)
닐온밧:
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法相이 곧 法相 아니니 이 일후미 法相이라 니샤매 니르르시니 주074)
니르르시니:
이르시니. 다다르시니[至]. 니를-[至]+으시(주체존대)+니(어미). 현대국어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의 활용형이 화석으로 남은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말씀하시되, 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일체법에 반드시 이같이 지견하며 이같이 알아 법상을 내지 말라 하시며 이른바 법상이 곧 법상 아니니, 이것이 이름이 법상이라 말씀하심에 이르시니,

【說誼】一切法三字 摠該大小乘法이오 非法相三字 通明所說諸法이 皆歸實相妙空시니라  

一切法 세 字 大小乘ㅅ 法을 주075)
다:
다. 모두. ‘다-[盡]+아(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리고 주076)
리고:
꾸리고. 싸고. 리-[包]+고.
非法相 세 字 닐온밧 諸

금강경삼가해 권5:25ㄱ

法이 다 實相妙空애 가논 주077)
가논:
가는. 가-++오/우+ㄴ.
주078)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 주079)
: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기시니라 주080)
기시니라:
밝히시니라. -+이(사동접미사)+시+니/으니+라.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러한 관점에 문제가 없지 않다.

‘일체법’ 세 글자는 대소승의 법을 다 포함하고, ‘비법상’ 세 글자는 이른바 제법이 다 실상묘공에 가는 것(귀결함)을 꿰뚫어 밝히셨느니라.

【說誼】怎生是皆歸實相妙空고 千重百匝이 無廻互야 大家靜處薩婆訶ㅣ니라

엇뎨 주081)
엇뎨:
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 책에서는 ‘엇디’가 보이지 않는다.
주082)
이:
이것이. 이+Ø(주격조사).
다 實相妙空애 가뇨 주083)
가뇨:
귀결되는가. 가-++니+고/오(의문 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고’의 ‘ㄱ’이 약화한 것이다.
즈믄 주084)
즈믄:
천.
주085)
:
겹[重].
주086)
온:
백(百).
둘에 주087)
둘에:
둘레가. 둘에+∅(주격조사).
횟도라 주088)
횟도라:
횟(접두사)+돌-+아. ‘회-, 횟-’은 ‘회(回)’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있고, ‘휘-, 휫-’은 ‘휘(揮)’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있으나,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것으로 보임.
서르 주089)
서르:
서로.
호미 주090)
호미:
함이. -+옴/움(명사형어미)+이.
업서 주091)
업서:
없어. 없-+어.
대가히 주092)
대가(大家)히:
대가(大家)+히. ‘온통’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로 추측된다.
薩婆訶 주093)
사바하(薩婆訶):
진언의 끝에 붙여 성취를 기원하는 말.
애 靜히 處니라

어찌 이것이 다 실상 묘공(實相妙空)에 귀일되는가? 천 겹 백 바퀴가 휘돌아서 서로 함(휘돌아 서로 만남)이 없어 모두가 사바하(薩婆訶)에 고요히 처하느니라.

【冶父】飯來開口고 睡來合眼니라

오나 주094)
오나:
오거든. 오-+나+. ‘-나-’는 동사 ‘오-[來]’에만 통합되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버리고 주095)
버리고:
벌리고. 벌-[開]+이(사동접미사)+고.
주096)
:
잠. -[睡眠]+/음(명사파생접미사).
오나 눈 니라 주097)
니라:
(눈을) 감느니라. -++니+라.

밥이 오면 입을 벌리고 잠이 오면 눈을 감느니라.

【說誼】黃面老子ㅣ 從寂滅場샤 入生死海샤 張大敎綱샤 漉人天魚샤 無一衆生이 入彼網中니

黃面老子 주098)
황면노자(黃面老子):
부처님. 부처님 몸이 금빛이므로 선종에서는 이렇게 일컬음.
寂滅場 주099)
적멸장(寂滅場):
적멸도량. 석가모니께서 깨달음을 연 곳.
브트샤 주100)
브트샤:
출발하시어. 일반적으로 ‘-으로부터’라 번역하지만, 높임 선어말어미가 결합한 것은 ‘븥-’이 동사로 쓰인 것임을 보여 준다. ‘후속 동작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몸이 특정 장소에 의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븥-+으샤+아(연결어미).
生死海예 드르샤 주101)
드르샤:
들어가시어. 들-[入]+으샤+아(연결어미).
큰 敎網 펴샤 주102)
펴샤:
펴시어. 펴-+샤+아(연결어미).
人天 고기 거리샤 주103)
거리샤:
건지시되. 거리-[漉]+샤+오.
 衆生이 주104)
뎌:
저. 뎌〉져〉저.
그므레 주105)
그므레:
그물에. 그믈[網]+에.
들리 주106)
들리:
들어갈 자가. 들-[入]+을(관형사형어미)+ㄹ(개입음)+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업스니

황면노자(부처님)께서 적멸장에서 출발하시어 생사의 바다에 들어가시어 큰 가르침의 그물을 펼치시어 인천(人天)의 고기를 건지시되 한 중생도 저 그물에 들어갈 자가 없으니,

【說誼】何以故然고 人人이 有脚야 要行卽行며 要住卽住ㅣ라 不要別人며 介

금강경삼가해 권5:25ㄴ

介有手야 要捉卽捉며 要放卽放이라 不借他力며 以至飯來開口고 睡來合眼히 一切自由ㅣ라 不借他能이니라

엇던 주107)
엇던:
어떤. 엇더+-(탈락)+ㄴ(관형사형어미).
젼로 주108)
젼로:
때문에. 젼(詮次)+로. ‘젼’는 17, 8세기까지 폭넓게 쓰이다가 점차 사용이 축소된다. 유의어로 ‘앛’(금삼 3:38ㄱ)이 쓰였고, 한중록에 ‘닥’(566쪽)이 새 단어로 등장한다. ‘-로’는 원인부사격 조사.
그러뇨 주109)
그러뇨:
그러한가. 그러+-(탈락)+니+고/오(의문 종결어미). ‘-니-’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니오’로 교체된 다음, ‘ㅇ’이 자음의 성질을 상실하여 ‘-뇨’로의 축약이 일어남. ‘-니-’ 뒤에서 ‘ㄱ’ 약화가 발생하는 것은 ‘-니-’가 기원적으로는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사마다 발 이셔 주110)
이셔:
있어서. 이시-[有]+어(연결어미).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녀고져 주111)
녀고져:
가고자. 녀-[行]+고져.
면 곧 녀며 주112)
녀며:
가며. 녀-+며.
住코져 면 곧 住논 디라 다 사게 주113)
사게:
사람에게. 사+게. ‘-게’는 ‘-에그’로 적히기도 하였다.
求티 아니며 저마다 손 이셔 자보려 주114)
자보려:
잡으려. 잡-+오/우+리+어(종결어미). 여기의 ‘-어’는 내포문을 구성하는 종결어미이다.
면 곧 자며 노호려 주115)
노호려:
놓으려. 놓-+오/우+리+어.
면 곧 녿논 주116)
녿논:
놓는. 놓-++오/우+ㄴ.
디라 주117)
디라:
-(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 주118)
:
남의 [他人]+(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는데,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고,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히믈 주119)
히믈:
힘을. 힘+을.
비디 주120)
비디:
빌리지. 빌-+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밥 오나 주121)
오나:
오거든. 오-+나+. ‘-나-’는 동사 ‘오-[來]’에만 통합되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버리고 주122)
버리고:
벌리고. 벌-[開]+이(사동접미사)+고.
주123)
:
잠. -[睡眠]+/음(명사파생접미사).
오나 눈 모매 주124)
모매:
감음에. 감-+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니르리 주125)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一切 쥬변논 주126)
쥬변논:
자유자재로 하는. 쥬변+-++오/우+ㄴ. ‘쥬변’은 ‘스스로 지닌 능력’을 뜻한다. 현대국어 ‘(말)주변, 주변(머리)’의 소급형이다. 한편 ‘쥬변’은 ‘주편(周遍)함. 골고루 퍼져있음’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디라  能을 비디 아니니라

어떤 까닭으로 그러한가? 사람마다 발이 있어서 가고자 하면 곧 가며 머물고자 하면 곧 머무는지라, 다른 사람에게서 구하지 아니하며, 저마다 손이 있어서 잡으려 하면 곧 잡으며 놓으려 하면 곧 놓는지라, 남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며, 밥 오면 입을 벌리고 잠이 오면 눈을 감음에 이르기까지 일체를 자유자재로 하는지라, 남의 능력을 빌리지 아니하느니라.

【說誼】旣然如是커니 何有衆生이 爲佛所度ㅣ리오 伊麽則四十九年을 伊麽來샤 終無得物샤 空手廻샷다

마 주127)
마:
이미.
거니 주128)
거니:
같으니. -[如]+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어느 주129)
어느:
어느.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으나, 대명사 또는 부사로도 쓰였음.
衆生이 부텻 주130)
부텻:
부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샬 주131)
샬:
-하실.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ㄹ.
주132)
배:
바가.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외리 주133)
외리:
될 이가. 외-+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외-〉되-.
이시리오 주134)
이시리오:
있겠는가. 이시-[有]+리+고/오.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ㄱ’ 약화.
그러면 마 주135)
마:
마흔.
아홉 주136)
:
해[年].
그리 주137)
그리:
그렇게.
오샤 주138)
오샤:
지내오시어. 오-+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내죵내 주139)
내죵내:
끝내. 마침내. 나중에. 한자어 ‘乃終’이 한글로 적힌 것은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 준다. ‘내’은 ‘나중’으로 발달하였다. ‘내애’도 널리 쓰였는데, 이는 ‘내(명사)+애/에(처소격)’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샨 주140)
샨:
-하신.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업스샤 주141)
업스샤:
없으시어. 없-[無]+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소 주142)
소:
손을. 손[手]+(목적격조사).
뷔워 주143)
뷔워:
비워. 뷔-[空]+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도라가샷다 주144)
도라가샷다:
돌아기사었도다. 돌-+아+가+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옷(감탄 선어말어미)+다.

이미 이와 같으니, 어느 중생이 부처의 제도하실 바가 될 이가 있으리오? 그러면 마흔 아홉 해를 그렇게 오시어 마침내 얻으신 것이 없으시어 손을 비워 돌아가시었도다.

【頌】千尺絲綸 直下垂니 一波ㅣ 纔動면 萬波ㅣ 隨

금강경삼가해 권5:26ㄱ

놋다 夜靜水寒魚不食 滿船空載月明歸도다

즈믄 주145)
즈믄:
천[千].
주146)
잣:
자의. 잫[尺]+ㅅ(관형격조사).
노 주147)
노:
줄을. 실을. 놓[絲綸](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바 주148)
바:
바로. 바[直]. 형용사 ‘바-[直]’의 어간이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
리드리오니 주149)
리드리오니:
내려 드리우니. 리-[下]+드리-[垂]+오(사동접미사)+니. 비통사적 합성어.
믌겨리 주150)
믌겨리:
물결이. 믈[水]+ㅅ(사이시옷)+결[波]+이. ‘믌결’은 ‘믓결’로 적히기도 한다.
주151)
:
금방. ‘ -면’은 ‘-자마자’란 뜻을 나타낸다.
닐면 주152)
닐면:
일어나면. 닐-[起]+면.
一萬 믌겨리 좃놋다 주153)
좃놋다:
따르는구나. 좇-[從]++옷(감탄 선어말어미)+다.
바미 주154)
바미:
밤이. 밤[夜]+이(주격조사).
괴외코 주155)
괴외코:
고요하고. 괴외+-+고. ‘ㆍ’ 탈락. 음운 축약.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 [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므리 주156)
므리:
물이. 믈[水]+이(주격조사).
주157)
차:
차서. -[冷]+아(연결어미). ‘ㆍ’ 탈락.
고기 먹디 주158)
먹디:
(미끼를) 먹지. 먹-+디.
아니 주159)
아니:
아니하므로.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가 ‘-ㄹ’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예 주160)
예:
배에. [舟]+에.
갓 주161)
갓:
한갓되이. 헛되이. ‘오로지. 한결같이’란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주162)
:
달[月].
닐 주163)
닐:
밝은 것을. -[明]+(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기 주164)
기:
가득히. 기[滿]. +이(부사파생접미사). ‘’은 불규칙적 어근.
시러 주165)
시러:
실어. 싣고. 싣-[戴]+어. ‘ㄷ’ 불규칙활용.
도라가도다

천 자 되는 실을 바로 내려 드리우니 한 물결이 금방 일면(일자마자) 일만 물결이 따르는구나. 밤이 고요하고 물이 차서 고기가 (미끼를) 먹지 아니하므로 배에 한갓되이 달 밝은 것을 가득이 실어 돌아가도다.

【說誼】錦鱗은 正在深深處니 千尺絲綸을 也須垂ㅣ니라 佛性은 深在五蘊海니 要以大悲로 能引出이니라 一開大悲門면 無盡法門이 從玆始니

錦鱗 正히 기프며 기픈 고대 주166)
고대:
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잇니 즈믄 주167)
즈믄:
천[千].
주168)
잣:
자의. 잫[尺]+ㅅ(관형격조사).
노 주169)
노:
줄을. 실을. 놓[絲綸](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모로매 주170)
모로매:
모름지기.
드리울 주171)
드리울:
드리울. 드리-[垂]+우(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어미).
디니라 주172)
디니라:
것이니라. -(ㄹ) 지니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佛性은 기피 五蘊 주173)
오온(五蘊):
물질과 정신을 다섯 가지로 나눈 것. 즉 ①색(色)은 물질성, ②수(受)는 감수(感受) 작용, ③상(想)은 마음에 떠오르는 상(像), ④행(行)은 수(受)·상(想) 이외의 마음 작용, ⑤식(識)은 인식작용(구별하여 아는 것)을 말한다.
바래 주174)
바래:
바다에. 바[海]+애(부사격조사). ‘바’과 ‘바닿’이 공존하였다.
잇니 주175)
잇니:
있으니.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모로매 큰 悲로 주176)
로:
-로만. 로(부사격조사)+. ‘’는 [단독] 또는 [강조]를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결합함. 단 보조사이므로 어절이 끝난 뒤에만 결합한다.
能히 주177)
혀:
끌어. 당겨. 혀-[引]+어(연결어미).
내욜 주178)
내욜:
낼. 나-[出]+ㅣ(사동접미사)+오/우+ㄹ(관형사형어미).
디니라  번 大悲門을 열면 다옴 주179)
다옴:
다함. 다-[盡]+옴/움(명사형어미).
업슨 주180)
업슨:
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法門이 일로 브터 주181)
일로브터:
이것으로부터. 이[此]+ㄹ(개입음)+로(부사격조사)+븥-+어.
비니 주182)
비니:
비롯되나니. 비/비릇-[始]++니.

금린(錦鱗)은 참으로 깊으며 깊은 곳에 있나니, 천 자가 되는 낚싯줄을 모름지기 드리울지니라. 불성은 깊이 5온의 바다에 있나니, 모름지기 큰 자비로만 능히 끌어 낼지니라. 한 번 대비의 문을 열면 다함이 없는 법문이 이로부터 비롯되나니,

【說誼】無明長夜ㅣ 靜며 心水ㅣ 本淸涼이라 淸淨妙覺性은 不受大悲化ㅣ니 生旣不受化ㅣ라 佛亦不住世시니

無明 주183)
무명(無明):
무지(無知). 가장 근본적인 번뇌.
긴 바미 괴외며 주184)
괴외며:
고요하며.
 주185)
:
마음의. +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므리 주186)
므리:
물이. 믈[水]+이(주격조사). 믈〉물.
本來 고 서늘혼 주187)
서늘혼:
서늘한. 서늘+-+오/우+ㄴ.

금강경삼가해 권5:26ㄴ

주188)
디라:
-(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淸淨 妙覺性은 大悲ㅅ 化호 받디 아니니 주189)
생(生):
중생.
이 마 化 받디 아니논디라 부톄 주190)
부톄:
부처께서. 부텨+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높임의 주격조사 ‘-셔’가 나타날 환경에 ‘-이’가 쓰이는 일이 많았다.
 世예 住티 아니시니

무명의 긴 밤이 고요하며 마음의 물이 본래 맑고 서늘한지라, 청정한 묘각의 성품은 대비의 교화함을 받지 아니하나니, 중생이 이미 교화를 받지 아니하는지라, 부처깨서도 또한 세상에 머물지 아니하시나니,

【說誼】無底船留大智月야 却向靑山更那邊이로다 雖然伊麽ㅣ나 恐人이 錯會노라 莫謂多時 空下釣ㅣ라 라 如今에 釣得야 滿船歸도다

믿 주191)
믿:
밑바닥. 밑[底]→믿. 8종성표기법.
업슨 주192)
업슨:
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예 주193)
예:
배에. [舟]+에.
大智月 머믈워 주194)
머믈워:
머물게 하여. 머믈-[留]+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도혀 주195)
도혀:
돌이켜. 방향이나 태도의 전환을 나타냄. ‘도리어’를 뜻하는 부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돌-+(사동접미사)+혀-[引]+어.
靑山ㅅ 주196)
뎌:
저. 뎌〉져〉저.
 주197)
:
끝에. 극단에. [邊]+애(부사격조사).
向시도다 비록 그러나 주198)
그러나:
그러나. 그러+-+나. ‘’ 탈락.
사미 주199)
사미:
사람이. 사+이.
그르 주200)
그르:
잘못. ‘그르-[誤]’ 형용사 어간에서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
알가 주201)
알가:
알까. 알-+ㄹ가(의문 종결형식).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까’가 ‘-ㄹ가’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젇노라 주202)
젇노라:
젛-[畏]++오(화자 초점 표지)+라. ‘-오-’가 화자 주어문에 쓰인다고 기술하지 않고 화자 초점 표지라고 기술한 것은 서술어가 화자 ‘나’일 때에도 ‘-오-’가 쓰이기 때문이다.
여러 주203)
:
때를 번을. [時]+ㄹ(목적격조사).
쇽졀업시 주204)
쇽졀업시:
속절없이. 공연히.
낙 주205)
낙:
낚싯대를. 낛[釣]+(목적격조사).
리오다 주206)
리오다:
드리웠다. 리-+오(사동접미사)+다. 동사에 시제 선어말어미가 개입하지 않으면 과거를 나타낸다.
니디 말라 주207)
말라:
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이제 낛가 주208)
낛가:
낚아. -[釣]+아(연결어미). 명사는 ‘낛’으로 나타나고, 동사는 ‘-’ 또는 ‘-’으로 나타난다.
예 기 주209)
기:
가득히. 기[滿]. +이(부사파생접미사). ‘’은 불규칙적 어근.
야 도라가도다 주210)
도라가도다:
돌아가도다. 돌-+이+가-+도+다.

밑바닥이 없는 배에 큰 지혜의 달을 머물게 하고(싣고) 돌이키어 청산의 저 끝으로 향하시도다. 비록 그러나 사람들이 잘못 알까 두려워하노라. 여러 때를 속절없이(공연히) 낚싯대를 드리웠다고 말하지 말라. 이제 낚아서 배에 가득히 하여 돌아가도다.

【宗鏡】若著見聞覺知면 不解如來妙義리니 悟無我人壽命이라도 還同陽燄空花리라 楞嚴애 云샤 知見에 立知면 卽無明本이오 知見에 無見면 斯卽涅槃이라 시니

다가 見聞覺知 주211)
견문각지(見聞覺知):
지적 의식으로 보고 들어 깨달아 앎.
주212)
착(着):
집착.
면 如來 주213)
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妙義 아디 주214)
아디:
알지. 알-+디. ‘ㄷ’ 앞에서 ‘ㄹ’ 탈락.
몯리니

금강경삼가해 권5:27ㄱ

와 人과 壽命
주215)
아인수명(我人壽命):
사상. ①아견(我見) : 참 나가 존재한다는 그릇된 인식. ②인견(人見) : 나는 인간이어서 축생과 다르다는 그릇된 인식. ③중생견(衆生見) : 나는 5온에 의해 생겼다는 그릇된 생각. ④수자견(壽者見) : 나는 일정한 목숨이 있다는 그릇된 생각.
업손 주216)
업손:
없는. 없-[無]+오/우+ㄴ. ‘-우-’가 결합한 ‘업순’이 더 일반적으로 쓰임.
주217)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아라도 주218)
아라도:
알아도. 알-[知]+아(연결어미)+도(보조사).
도혀 陽燄 주219)
양염(陽燄):
아지랑이.
과 空花 주220)
왜:
-가.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리라 주221)
리라:
같으리라.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楞嚴에 니샤 知見에 知 셰면 주222)
셰면:
세우면. 셔-[立]+ㅣ(사동접미사)+으면.
곧 無明ㅅ 根本이오 주223)
이오:
-이고. 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이 때의 ‘ㅇ’은 자음의 음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ㄱ’은 서술격 조사,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으로 실현되는데, ‘ㅇ’은 [ɦ]을 표기한 것.
知見에 見 업스면 주224)
이:
이것이. 이[此]+Ø(주격조사).
곧 涅槃이라 시니【陽燄 陽氣  주225)
:
아른아른.
노 주226)
노:
노는. 놀-++ㄴ.
거시니 거즛거시라 주227)
거즛거시라:
거짓것이다. 거즛+것+이+다/라(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여서 ‘-다/-라’는 상보적이다.

만일 견문각지(見聞覺知)에 집착하면 여래의 오묘한 뜻을 알지 못하리니, 아인수명(我人壽命)이 없는 것을 알아도 도리어 아지랑이와 허공꽃과 같으리라. 능엄경에서 이르시되, 지견(知見)에 지(知)를 세우면 곧 무명(無明)의 근본이고, 지견에 견(見)이 없으면 이것이 곧 열반이라 하시니【양염(陽燄)은 양기(陽氣)가 아른아른 노는 것이니, 거짓것이다.】

【宗鏡】只如法相不生時 還信解麽아 大千沙界ㅣ 海中漚ㅣ오 一切聖賢 如電拂이로다

오직 法相 나디 주228)
나디:
생겨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닌 주229)
아닌:
아니한. 아니-(형용사 어간)+ㄴ.
時節 주230)
시절(時節):
때.
은 도혀 아란다 주231)
아란다:
알았는가? 알-[知]+아/어+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라체 의문종결형식.
大千沙界 바 주232)
바:
바다의. 바+ㅅ(관형격조사). ‘바’으로 나타나기도 한다(금삼 3:37ㄱ).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가온 주233)
가온:
가운데의. 가온+ㅅ(관형격조사).
더푸미오 주234)
더푸미오:
거품이고. 더품[漚]+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一切 聖賢 번게 주235)
번게:
번개가. 번게+Ø(주격조사).
롬 주236)
롬:
진동함. -[震]+옴/움(명사형어미).
도다 주237)
도다:
같도다. -+도+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오직 법상(法相)이 나지 아니한 때는 돌이키어 알았느냐? 대천 항하사계가 바다 가운데의 물거품이고, 일체 성현은 번개가 진동함과 같도다.

【說誼】取法이 元是迷니 悟空도 亦非眞이니라 悟心斯亡處ㅣ 是得涅槃時니라 只如法相不生 作麽生道오 目前에 絶纖塵커니 號誰야 爲聖賢이리오

法 取호미 주238)
호미:
함이. -+옴/움(명사형어미)+이.
본 주239)
본:
본디. 본래. 원래.
주240)
이:
이것은. 이(지시대명사)+Ø(주격조사).
몰로미니 주241)
몰로미니:
모름이니. 모-+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
아롬 주242)
아롬:
앎. 알-[知]+옴/움(명사형어미).
도  眞 아니니라 주243)
아니니라:
아니니라. 아니-(형용사 어간)+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아론 주244)
아론:
안. 알-+오/우+ㄴ(관형사형어미).
 주245)
:
마음. 〉〉마음.
업슨 주246)
업슨:
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고디 주247)
고디:
곳이라야. 곧[處]+이(주격조사)+. ‘’는 [단독] 또는 [강조]를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결합함. 단 보조사이므로 어절이 끝난 뒤에만 결합한다. 여기의 ‘이’는 서술격조사가 아니다. 기저 구조의 주어가 따로 존재한다고 볼 수는 있겠으나, 서술격조사 어간 ‘-이-’는 어절을 끝맺지 못하는데, ‘’는 어절 끝에만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248)
이:
이것이. 이(대명사)+Ø(주격조사).
涅槃 得 니라 주249)
니라:
때이니라. [時]+ㅣ(서술격조사)+니+라.
오직 法相 나디 주250)
나디:
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여기에 쓰인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아니호 엇뎨 주251)
엇뎨:
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니료 주252)
니료:
말하리오. 니-+리+고(의문 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ㄱ’ 약화. ‘-리오’는 ‘-료’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ㅇ’이 자음의 성질을 상실한 것.
알 주253)
알:
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 주254)
:
가는. -[細]+(관형사형어미).
드틀 주255)
드틀:
티끌[塵]. ‘드틀’은 ‘번뇌’를 상징한 것이다.
업거니 주256)
업거니:
없으니. 없-[無]+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누를 주257)
누를:
누구를. 누[誰]+를(목적격조사). ‘눌(누+ㄹ)’도 쓰인다. 목적격조사 ‘-를/-’과 ‘-ㄹ’의 선택은 수의적이다.
일훔 주258)
일훔:
이름. ‘일훔’은 동사의 명사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지허 주259)
지허:
지어. 작명하여. 짛-[命名]+아/어(연결어미).
聖賢

금강경삼가해 권5:27ㄴ

이라 리오

법을 취함이 본디 이것은 모르는 것이니, 공(空)을 아는 것도 또 참이 아니니라. 안(이해한) 마음이 없는 곳이야말로 이것이 열반을 얻은 때이니라. 오직 법상이 나지 아니함은 어찌 말할까? 눈 앞에 가느다란 티끌도 없으니, 누구를 이름지어 성인이라 하리오?

【頌】法空非我ㅣ며 道非親니 樹倒藤枯야 笑轉新이로다 風掃止啼黃葉盡니 千林全體露天眞도다

法이 뷔여 주260)
뷔여:
비어. 뷔-[空]+어.
주261)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아니며 道ㅣ 親티 아니니 남기 주262)
남기:
나무와. 나모/[木. 樹]+이(비교부사격조사). ‘나모/’은 이른바 ㄱ곡용 명사이다. ‘나모’는 자음 앞에서, ‘’은 모음 앞에서 쓰임.
갓라디며 주263)
갓라디며:
거꾸러지며. 갓-[倒]+아(보조적 연결어미)+디-(보조동사 어간)+며/으며.
藤이 이우러 주264)
이우러:
시들어. 이울-[枯]+어(연결어미).
우미 주265)
우미:
웃음이. -[笑]+옴/움(명사형어미)+이.
더욱 주266)
더욱:
더욱.
새외도다 주267)
새외도다:
새롭도다. 새[新](명사)+외(형용사파생 접미사)+도+다. ‘-외-’는 ‘--’의 이형태이다. 현대국어의 ‘새’는 관형사이지만, 중세국어의 ‘새’는 관형사로도 쓰였지만, 명사로도 쓰였기 때문에 형용사파생 접미사가 결합할 수 있었다.
미 주268)
미:
바람이. [風]+이. 중세국어의 ‘’은 ‘바람[風]’을 뜻하기도 하고 ‘바람벽[壁]’을 뜻하기도 함. 동음이의 관계.
우룸 주269)
우룸:
울음. 울-[啼]+옴/움(명사형어미).
자치 주270)
자치:
그치는. 자치-[止]++ㄴ. ‘자치-’는 용례가 적다. ‘자친’으로 적히지 않고 ‘자치’으로 적힌 것이 특이하다.
누른 주271)
누른:
노란. 누르-[黃]+ㄴ. ‘누러-’도 쓰였다.
니플 주272)
니플:
잎을. 닢[葉]+을(목적격조사).
러 주273)
러:
쓸어. -[掃]+어(연결어미).
업게 주274)
업게:
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여기의 ‘없-’은 동사적 용법을 보이고 있다. 중세국어에서는 한 어휘가 동사와 형용사로 두루 쓰인 예가 많았다.
니 즈믄 주275)
즈믄:
천[千].
수픐 주276)
수픐:
수풀의. 수플[林]+ㅅ(관형격조사).
오 주277)
오:
온전한. 오-[全]+ㄴ(관형사형어미). 종성 ㄹ이 매개모음 앞에서 탈락함.
體ㅣ 天眞이 나탓도다 주278)
나탓도다:
나타났도다. 낱-[現]+앗(완료상 표지)+도+다. ‘-앗-’은 ‘-아#잇-’이 발달한 것이다. -어/아#잇-〉-엣/앳-〉-엇/앗-〉-었/았-.

법이 비어서 내가 아니며, 진리도 친하지 아니하니, 나무가 거꾸러지며 등나무 덩굴이 시들어 그 웃음이 더욱 새롭도다. 바람이 울음 그치는 누런 잎을 쓸어서 없어지게 하니, 천 개의 수풀의 온전한 바탕이 본래의 모습이 나타났도다.

【說誼】空有ㅣ 已兩亡고 一亦不掛懷니 大千 爲自身이라 所以笑轉新이니라 快然야 不爲方便惑니 本地風光이 觸處彰도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空과 有왜 마 둘히 주279)
둘히:
둘이. 둟[二](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업고 주280)
업고:
없고. 없-+고.
나토 주281)
나토:
하나도. 낳[一](ㅎ종성체언)+도.
매 주282)
매:
마음에. +애(원인 부사격조사).
걸이디 주283)
걸이디:
걸리지. 걸-[掛]+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 大千 주284)
대천(大千):
온갖 세계.
주285)
제:
자신의. ‘:제’(상성)는 주격 형태이고, ‘제’(평성)는 관형격 형태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 ‧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사몬 주286)
사몬:
삼은. 삼-+오/우+ㄴ.
디라 주287)
디라:
-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이런 주288)
이런:
이러한. 이러+-(탈락)+ㄴ(관형사형어미).
로 주289)
로:
까닭으로. (의존명사)+로(원인 부사격 조사). ‘’의 의미 영역이 넓어서 ‘젼, 앛’이 쓰일 자리에도 ‘’가 쓰이는 것. 이런 용법은 매우 흔하다.
우미 주290)
우미:
웃음이. -[笑]+옴/움(명사형어미)+이.
 주291)
:
매우. 여기서는 ‘전(轉)’의 번역으로 쓰였다. ‘전’은 이런 문맥에서 일반적으로 ‘더욱’이란 뜻을 나타낸다.
새외니라 주292)
새외니라:
새로우니라. 새[新](명사)+외(형용사파생 접미사)+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현대국어의 ‘새’는 관형사이지만, 중세국어의 ‘새’는 관형사로도 쓰였지만, 명사로도 쓰였기 때문에 형용사파생 접미사가 결합할 수 있었다.
快然야 方便 惑이 외디 주293)
외디:
되지. 외-+디(보조적 연결어미). -〉외-〉되-.
아니니 本地 주294)
본지(本地):
근원. 본체. 심성.
주295)
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風光 주296)
풍광(風光):
본지풍광(本地風光). 본래면목(本來面目). 태어나면서부터 부처인 인간의 진실한 모습.
다 주297)
다:
다다른. 다-[觸]+(관형사형어미). ‘ㄷ’ 불규칙활용.
주298)
:
곳에. [處]+Ø(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관형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나탓도다 주299)
나탓도다:
나타났도다. 낱-[現]+앗(완료상 표지)+도+다. ‘-앗-’은 ‘-아#잇-’이 발달한 것이다. -어/아#잇-〉-엣/앳-〉-엇/앗-〉-었/았-.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공(空)과 유(有)가 이미 둘이 없고, 하나도 또 마음에 걸리지 아니하니, 대천 세계를 자신의 몸으로 삼은지라, 이런 까닭으로 웃음이 더욱 새로우니라. 쾌연하여 방편에 혹이 되지(미혹되지) 아니하니, 본지풍광(本地風光)이 다다른 곳에 나타났도다.
Ⓒ 역자 | 이유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니론:아닌. 아니(명사)+Ø(서술격조사)+오/우+ㄴ(관형사형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오/우-’가 ‘-로-’로 교체된다. 이 때문에 서술격조사의 소급형을 ‘일-’로 보기도 한다.
주002)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3)
나토샤:나타내시어. 낱-[現]+오(사동접미사)+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4)
우흿:위의. 웋[上](ㅎ종성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5)
가뵤매:비유함에. 가비-+옴/움(명사형어미)+애.
주006)
마초시니라:맞추셨느니라. 부합시키셨느니라. 맞-+호(사동접미사)+시+니+라.
주007)
니샨:말씀하신. 니-[說. 謂]+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주008)
배:바가.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009)
그지:끝. 그지[限]+Ø(주격조사).
주010)
업거늘:없거늘. 없-+거늘.
주011)
보: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거성인 ‘보-’에 ‘옴’이 결합하면서 음절이 축약되고 상성으로 표기됨. 어간의 끝소리 ‘ㅏ,ㅓ,ㅗ,ㅜ’와 명사형어미를 구성하는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뀜.
주012)
드르샤:드심은. 들-[擧]+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13)
이:이것이. 이[此]+Ø(주격조사).
주014)
의:-의. 주격조사가 기대되는 위치이지만, ‘三乘의 긋논 바’ 전체를 하나의 명사구로 보고 관형격조사를 사용한 것이다.
주015)
긋논:끊는. 긏-[斷]++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16)
밧:바의. 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17)
굴그며:굵으며. 굵-+으며.
주018)
:가는. -[細]+(관형사형어미).
주019)
모:모든. ‘몯-[集]+(관형사형어미)’이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20)
그럴:그러하므로. 그러-+ㄹ.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가 ‘-ㄹ’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주021)
우희:우ㅎ+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22)
조:자주. -[頻]+오(부사파생 접미사).
주023)
니르시고:말씀하시고. 니르-+시+고.
주024)
이: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주025)
드러:들어. 들-[擧]+어(연결어미).
주026)
무르실:물으실. 묻/물-+으시+ㄹ. ‘ㄷ’ 불규칙활용.
주027)
든:뜻은. [意]+은(보조사).
주028)
왓:-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주029)
이쇼미:있음이. 이시-[有]+옴(명사형어미)+이.
주030)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31)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주032)
기시니라:밝히시니라. -+이(사동접미사)+시+니/으니+라.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러한 관점에 문제가 없지 않다.
주033)
괴외호미:고요함이[寂]. 괴외++옴(명사형어미)+이.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 [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주034)
오:-이고. ‘所治오’는 所治+Ø(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주035)
뷔요미:빈 것이. 뷔-[虛]+옴/움(명사형어미)+이.
주036)
니샨:말씀하신. 니-[說. 謂]+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주037)
아견(我見):참 나가 존재한다는 그릇된 인식.
주038)
인견(人見):나는 인간이어서 축생과 다르다는 그릇된 인식.
주039)
중생견(衆生見):나는 5온에 의해 생겼다는 그릇된 생각.
주040)
수자견(壽者見):나는 일정한 목숨이 있다는 그릇된 생각.
주041)
일로:이것으로써. 이[此]+ㄹ(개입음)+로.
주042)
사성제(四聖諦):성인이 보는 네 가지 진리란 뜻이다. ①고성제는 삼계 여섯 갈래의 고보(苦報)니 모르는 결과요, ②집성제는 탐, 진, 치 등의 번뇌와 선악의 업이니 이것이 삼계 여섯 갈래의 고보를 모아 일으키므로 집제(集諦)라 하며 이것은 모르는 인이오, ③멸성제는 열반이니 생사를 여의고 적멸하다는 뜻이며 깨달은 결과요, ④도성제는 8정도로서 열반에 가는 길이니 깨닫는 인이다.
주043)
열여듧:열여덟.
주044)
디:함께하지. -[共. 竝]+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45)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046)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부처님께만 있는 18가지 공덕법이니 2승이나 보살에게는 공통되지 아니하므로 불공법이라 함. 1)몸이 실수 없고, 2)입이 실수 없고, 3)생각이 실수 없고, 4)두 가지 생각이 없고, 5)선정을 여읜 마음이 없고, 6)알고서 버리지 않는 것이 없고, 7)하고자 하는 욕망이 감함이 없고, 8)정진이 감함이 없고, 9)억념함이 감함이 없고, 10)지혜가 감함이 없고, 11)해탈이 감함이 없고, 12)해탈지견이 감함이 없고, 13)온갖 몸으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4)온갖 말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5)온갖 뜻으로 하는 일이 지혜를 따르고, 16)지혜로 지나간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고, 17)지혜로 이 다음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고, 18)지혜로 지금 세상 일을 아는 것이 걸림이 없는 것.
주047)
처:처음.
주048)
사제(四諦):네 가지 성제(聖諦). 고제(苦諦), 집제(集諦), 멸제滅諦), 도제(道諦). 여기서 ‘체(諦)’의 한자음을 불교용어로는 ‘제’로 씀.
주049)
전(轉):굴림. 부처님의 가르침이 다른 것에 전환되어 전달되는 것을 바퀴에 비유하여 ‘법륜(法輪. 진리의 바퀴)’이라 한다. 그리고 그 가르침을 전파하는 것을 ‘轉(굴림)’이라 한다.
주050)
샤로브터:하심으로부터.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브터(보조사).
주051)
이제:오늘에. 지금에. 오늘날의 ‘이제’는 발화시와 일치하나, 중세국어의 ‘이제’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쓰인다. 원문이 ‘今’일 때에는 ‘지금’의 뜻으로 쓰인 부사(합성어)이지만, 그 밖의 경우(예: 於是)에는 ‘이 때(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에/예//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52)
반야(般若):지혜(智慧)를 뜻함. 모든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가리키며, 모든 법을 통달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함.
주053)
니샤매:이르심에. 말씀하심에. 니-[云]+샤/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옴(명사형)+애(조사).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 이론은 좀 더 정밀화되어야 할 것이다. ‘-오/우-’의 이형태 ‘-아’를 인정하는 것도 이를 극복하는 한 방법일 것이다.
주054)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055)
밧:바의. 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56)
:그리하여. 그리 함으로써. 중세국어의 ‘’는 부사임. ‘-[用]+어(부사형어미)’가 굳어져 부사화함.
주057)
알: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58)
거러:걸려. 걸-[掛]+어.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이다.
주059)
이시리:있을 것이. 이시-[有]+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주060)
두미:둠이. 두-[置]+옴/움(명사형어미)+이. ‘두-’는 거성인데, 어간의 끝소리 ‘ㅏ,ㅓ,ㅗ,ㅜ’와 명사형어미를 구성하는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뀜.
주061)
닐온밧: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62)
이: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주063)
나니:나타나니. 낱-[現]+니/으니.
주064)
부텻:부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주065)
지견(知見):지혜에 의해서 봄. 사물을 깨달아서 아는 견해.
주066)
들며:들며. 들-[入]+으며. ‘ㄹ’과 매개모음 탈락.
주067)
어드리어니:얻으리니. 얻-+으리+거/어(확정법 선어말어미)+니.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거-’의 ‘ㄱ’이 약화한 것이다.
주068)
브텨:얽매여. 븥-+이(피동접미사)+어.
주069)
디여:떨어져. -[墮]+어(연결어미)+디-[落]+어.
주070)
반기: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71)
내디:내지. 나-[出. 生]+ㅣ(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2)
말라: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주073)
닐온밧: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74)
니르르시니:이르시니. 다다르시니[至]. 니를-[至]+으시(주체존대)+니(어미). 현대국어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의 활용형이 화석으로 남은 것이다.
주075)
다:다. 모두. ‘다-[盡]+아(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76)
리고:꾸리고. 싸고. 리-[包]+고.
주077)
가논:가는. 가-++오/우+ㄴ.
주078)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79)
:꿰뚫어. 동사 어간 ‘-’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주080)
기시니라:밝히시니라. -+이(사동접미사)+시+니/으니+라.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아서, 이러한 관점에 문제가 없지 않다.
주081)
엇뎨: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 책에서는 ‘엇디’가 보이지 않는다.
주082)
이:이것이. 이+Ø(주격조사).
주083)
가뇨:귀결되는가. 가-++니+고/오(의문 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고’의 ‘ㄱ’이 약화한 것이다.
주084)
즈믄:천.
주085)
:겹[重].
주086)
온:백(百).
주087)
둘에:둘레가. 둘에+∅(주격조사).
주088)
횟도라:횟(접두사)+돌-+아. ‘회-, 횟-’은 ‘회(回)’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있고, ‘휘-, 휫-’은 ‘휘(揮)’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있으나,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것으로 보임.
주089)
서르:서로.
주090)
호미:함이. -+옴/움(명사형어미)+이.
주091)
업서:없어. 없-+어.
주092)
대가(大家)히:대가(大家)+히. ‘온통’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로 추측된다.
주093)
사바하(薩婆訶):진언의 끝에 붙여 성취를 기원하는 말.
주094)
오나:오거든. 오-+나+. ‘-나-’는 동사 ‘오-[來]’에만 통합되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주095)
버리고:벌리고. 벌-[開]+이(사동접미사)+고.
주096)
:잠. -[睡眠]+/음(명사파생접미사).
주097)
니라:(눈을) 감느니라. -++니+라.
주098)
황면노자(黃面老子):부처님. 부처님 몸이 금빛이므로 선종에서는 이렇게 일컬음.
주099)
적멸장(寂滅場):적멸도량. 석가모니께서 깨달음을 연 곳.
주100)
브트샤:출발하시어. 일반적으로 ‘-으로부터’라 번역하지만, 높임 선어말어미가 결합한 것은 ‘븥-’이 동사로 쓰인 것임을 보여 준다. ‘후속 동작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몸이 특정 장소에 의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븥-+으샤+아(연결어미).
주101)
드르샤:들어가시어. 들-[入]+으샤+아(연결어미).
주102)
펴샤:펴시어. 펴-+샤+아(연결어미).
주103)
거리샤:건지시되. 거리-[漉]+샤+오.
주104)
뎌:저. 뎌〉져〉저.
주105)
그므레:그물에. 그믈[網]+에.
주106)
들리:들어갈 자가. 들-[入]+을(관형사형어미)+ㄹ(개입음)+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주107)
엇던:어떤. 엇더+-(탈락)+ㄴ(관형사형어미).
주108)
젼로:때문에. 젼(詮次)+로. ‘젼’는 17, 8세기까지 폭넓게 쓰이다가 점차 사용이 축소된다. 유의어로 ‘앛’(금삼 3:38ㄱ)이 쓰였고, 한중록에 ‘닥’(566쪽)이 새 단어로 등장한다. ‘-로’는 원인부사격 조사.
주109)
그러뇨:그러한가. 그러+-(탈락)+니+고/오(의문 종결어미). ‘-니-’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니오’로 교체된 다음, ‘ㅇ’이 자음의 성질을 상실하여 ‘-뇨’로의 축약이 일어남. ‘-니-’ 뒤에서 ‘ㄱ’ 약화가 발생하는 것은 ‘-니-’가 기원적으로는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주110)
이셔:있어서. 이시-[有]+어(연결어미).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111)
녀고져:가고자. 녀-[行]+고져.
주112)
녀며:가며. 녀-+며.
주113)
사게:사람에게. 사+게. ‘-게’는 ‘-에그’로 적히기도 하였다.
주114)
자보려:잡으려. 잡-+오/우+리+어(종결어미). 여기의 ‘-어’는 내포문을 구성하는 종결어미이다.
주115)
노호려:놓으려. 놓-+오/우+리+어.
주116)
녿논:놓는. 놓-++오/우+ㄴ.
주117)
디라:-(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주118)
:남의 [他人]+(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는데,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고,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119)
히믈:힘을. 힘+을.
주120)
비디:빌리지. 빌-+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21)
오나:오거든. 오-+나+. ‘-나-’는 동사 ‘오-[來]’에만 통합되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주122)
버리고:벌리고. 벌-[開]+이(사동접미사)+고.
주123)
:잠. -[睡眠]+/음(명사파생접미사).
주124)
모매:감음에. 감-+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125)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주126)
쥬변논:자유자재로 하는. 쥬변+-++오/우+ㄴ. ‘쥬변’은 ‘스스로 지닌 능력’을 뜻한다. 현대국어 ‘(말)주변, 주변(머리)’의 소급형이다. 한편 ‘쥬변’은 ‘주편(周遍)함. 골고루 퍼져있음’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주127)
마:이미.
주128)
거니:같으니. -[如]+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129)
어느:어느.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으나, 대명사 또는 부사로도 쓰였음.
주130)
부텻:부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주131)
샬:-하실.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ㄹ.
주132)
배:바가. 바(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133)
외리:될 이가. 외-+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외-〉되-.
주134)
이시리오:있겠는가. 이시-[有]+리+고/오.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ㄱ’ 약화.
주135)
마:마흔.
주136)
:해[年].
주137)
그리:그렇게.
주138)
오샤:지내오시어. 오-+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139)
내죵내:끝내. 마침내. 나중에. 한자어 ‘乃終’이 한글로 적힌 것은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었음을 보여 준다. ‘내’은 ‘나중’으로 발달하였다. ‘내애’도 널리 쓰였는데, 이는 ‘내(명사)+애/에(처소격)’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140)
샨:-하신. -+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ㄴ.
주141)
업스샤:없으시어. 없-[無]+으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142)
소:손을. 손[手]+(목적격조사).
주143)
뷔워:비워. 뷔-[空]+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144)
도라가샷다:돌아기사었도다. 돌-+아+가+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옷(감탄 선어말어미)+다.
주145)
즈믄:천[千].
주146)
잣:자의. 잫[尺]+ㅅ(관형격조사).
주147)
노:줄을. 실을. 놓[絲綸](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주148)
바:바로. 바[直]. 형용사 ‘바-[直]’의 어간이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
주149)
리드리오니:내려 드리우니. 리-[下]+드리-[垂]+오(사동접미사)+니. 비통사적 합성어.
주150)
믌겨리:물결이. 믈[水]+ㅅ(사이시옷)+결[波]+이. ‘믌결’은 ‘믓결’로 적히기도 한다.
주151)
:금방. ‘ -면’은 ‘-자마자’란 뜻을 나타낸다.
주152)
닐면:일어나면. 닐-[起]+면.
주153)
좃놋다:따르는구나. 좇-[從]++옷(감탄 선어말어미)+다.
주154)
바미:밤이. 밤[夜]+이(주격조사).
주155)
괴외코:고요하고. 괴외+-+고. ‘ㆍ’ 탈락. 음운 축약.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 [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주156)
므리:물이. 믈[水]+이(주격조사).
주157)
차:차서. -[冷]+아(연결어미). ‘ㆍ’ 탈락.
주158)
먹디:(미끼를) 먹지. 먹-+디.
주159)
아니:아니하므로.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가 ‘-ㄹ’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주160)
예:배에. [舟]+에.
주161)
갓:한갓되이. 헛되이. ‘오로지. 한결같이’란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주162)
:달[月].
주163)
닐:밝은 것을. -[明]+(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164)
기:가득히. 기[滿]. +이(부사파생접미사). ‘’은 불규칙적 어근.
주165)
시러:실어. 싣고. 싣-[戴]+어. ‘ㄷ’ 불규칙활용.
주166)
고대: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주167)
즈믄:천[千].
주168)
잣:자의. 잫[尺]+ㅅ(관형격조사).
주169)
노:줄을. 실을. 놓[絲綸](ㅎ종성체언)+(목적격조사).
주170)
모로매:모름지기.
주171)
드리울:드리울. 드리-[垂]+우(사동접미사)+ㄹ(관형사형어미).
주172)
디니라:것이니라. -(ㄹ) 지니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주173)
오온(五蘊):물질과 정신을 다섯 가지로 나눈 것. 즉 ①색(色)은 물질성, ②수(受)는 감수(感受) 작용, ③상(想)은 마음에 떠오르는 상(像), ④행(行)은 수(受)·상(想) 이외의 마음 작용, ⑤식(識)은 인식작용(구별하여 아는 것)을 말한다.
주174)
바래:바다에. 바[海]+애(부사격조사). ‘바’과 ‘바닿’이 공존하였다.
주175)
잇니:있으니.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176)
로:-로만. 로(부사격조사)+. ‘’는 [단독] 또는 [강조]를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결합함. 단 보조사이므로 어절이 끝난 뒤에만 결합한다.
주177)
혀:끌어. 당겨. 혀-[引]+어(연결어미).
주178)
내욜:낼. 나-[出]+ㅣ(사동접미사)+오/우+ㄹ(관형사형어미).
주179)
다옴:다함. 다-[盡]+옴/움(명사형어미).
주180)
업슨: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181)
일로브터:이것으로부터. 이[此]+ㄹ(개입음)+로(부사격조사)+븥-+어.
주182)
비니:비롯되나니. 비/비릇-[始]++니.
주183)
무명(無明):무지(無知). 가장 근본적인 번뇌.
주184)
괴외며:고요하며.
주185)
:마음의. +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186)
므리:물이. 믈[水]+이(주격조사). 믈〉물.
주187)
서늘혼:서늘한. 서늘+-+오/우+ㄴ.
주188)
디라:-(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주189)
생(生):중생.
주190)
부톄:부처께서. 부텨+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높임의 주격조사 ‘-셔’가 나타날 환경에 ‘-이’가 쓰이는 일이 많았다.
주191)
믿:밑바닥. 밑[底]→믿. 8종성표기법.
주192)
업슨: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193)
예:배에. [舟]+에.
주194)
머믈워:머물게 하여. 머믈-[留]+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195)
도혀:돌이켜. 방향이나 태도의 전환을 나타냄. ‘도리어’를 뜻하는 부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여기서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돌-+(사동접미사)+혀-[引]+어.
주196)
뎌:저. 뎌〉져〉저.
주197)
:끝에. 극단에. [邊]+애(부사격조사).
주198)
그러나:그러나. 그러+-+나. ‘’ 탈락.
주199)
사미:사람이. 사+이.
주200)
그르:잘못. ‘그르-[誤]’ 형용사 어간에서 영변화로 파생된 부사.
주201)
알가:알까. 알-+ㄹ가(의문 종결형식).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병서 폐지로 ‘-ㄹ까’가 ‘-ㄹ가’로 적히게 됨. 이 책은 1482년에 간행됨.
주202)
젇노라:젛-[畏]++오(화자 초점 표지)+라. ‘-오-’가 화자 주어문에 쓰인다고 기술하지 않고 화자 초점 표지라고 기술한 것은 서술어가 화자 ‘나’일 때에도 ‘-오-’가 쓰이기 때문이다.
주203)
:때를 번을. [時]+ㄹ(목적격조사).
주204)
쇽졀업시:속절없이. 공연히.
주205)
낙:낚싯대를. 낛[釣]+(목적격조사).
주206)
리오다:드리웠다. 리-+오(사동접미사)+다. 동사에 시제 선어말어미가 개입하지 않으면 과거를 나타낸다.
주207)
말라: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주208)
낛가:낚아. -[釣]+아(연결어미). 명사는 ‘낛’으로 나타나고, 동사는 ‘-’ 또는 ‘-’으로 나타난다.
주209)
기:가득히. 기[滿]. +이(부사파생접미사). ‘’은 불규칙적 어근.
주210)
도라가도다:돌아가도다. 돌-+이+가-+도+다.
주211)
견문각지(見聞覺知):지적 의식으로 보고 들어 깨달아 앎.
주212)
착(着):집착.
주213)
ㅅ:‘-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214)
아디:알지. 알-+디. ‘ㄷ’ 앞에서 ‘ㄹ’ 탈락.
주215)
아인수명(我人壽命):사상. ①아견(我見) : 참 나가 존재한다는 그릇된 인식. ②인견(人見) : 나는 인간이어서 축생과 다르다는 그릇된 인식. ③중생견(衆生見) : 나는 5온에 의해 생겼다는 그릇된 생각. ④수자견(壽者見) : 나는 일정한 목숨이 있다는 그릇된 생각.
주216)
업손:없는. 없-[無]+오/우+ㄴ. ‘-우-’가 결합한 ‘업순’이 더 일반적으로 쓰임.
주217)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218)
아라도:알아도. 알-[知]+아(연결어미)+도(보조사).
주219)
양염(陽燄):아지랑이.
주220)
왜:-가.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주221)
리라:같으리라.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222)
셰면:세우면. 셔-[立]+ㅣ(사동접미사)+으면.
주223)
이오:-이고. 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이 때의 ‘ㅇ’은 자음의 음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ㄱ’은 서술격 조사,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 되어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으로 실현되는데, ‘ㅇ’은 [ɦ]을 표기한 것.
주224)
이:이것이. 이[此]+Ø(주격조사).
주225)
:아른아른.
주226)
노:노는. 놀-++ㄴ.
주227)
거즛거시라:거짓것이다. 거즛+것+이+다/라(종결어미).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쓰여서 ‘-다/-라’는 상보적이다.
주228)
나디:생겨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229)
아닌:아니한. 아니-(형용사 어간)+ㄴ.
주230)
시절(時節):때.
주231)
아란다:알았는가? 알-[知]+아/어+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라체 의문종결형식.
주232)
바:바다의. 바+ㅅ(관형격조사). ‘바’으로 나타나기도 한다(금삼 3:37ㄱ).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높임]의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임.
주233)
가온:가운데의. 가온+ㅅ(관형격조사).
주234)
더푸미오:거품이고. 더품[漚]+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주235)
번게:번개가. 번게+Ø(주격조사).
주236)
롬:진동함. -[震]+옴/움(명사형어미).
주237)
도다:같도다. -+도+다.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238)
호미:함이. -+옴/움(명사형어미)+이.
주239)
본:본디. 본래. 원래.
주240)
이:이것은. 이(지시대명사)+Ø(주격조사).
주241)
몰로미니:모름이니. 모-+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
주242)
아롬:앎. 알-[知]+옴/움(명사형어미).
주243)
아니니라:아니니라. 아니-(형용사 어간)+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주244)
아론:안. 알-+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245)
:마음. 〉〉마음.
주246)
업슨: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247)
고디:곳이라야. 곧[處]+이(주격조사)+. ‘’는 [단독] 또는 [강조]를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결합함. 단 보조사이므로 어절이 끝난 뒤에만 결합한다. 여기의 ‘이’는 서술격조사가 아니다. 기저 구조의 주어가 따로 존재한다고 볼 수는 있겠으나, 서술격조사 어간 ‘-이-’는 어절을 끝맺지 못하는데, ‘’는 어절 끝에만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248)
이:이것이. 이(대명사)+Ø(주격조사).
주249)
니라:때이니라. [時]+ㅣ(서술격조사)+니+라.
주250)
나디: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여기에 쓰인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절을 강조하면서, 부정적인 내용의 후행절과 접속시키는 연결어미.
주251)
엇뎨:어찌.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어 보인다.
주252)
니료:말하리오. 니-+리+고(의문 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 ‘ㄱ’ 약화. ‘-리오’는 ‘-료’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ㅇ’이 자음의 성질을 상실한 것.
주253)
알: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254)
:가는. -[細]+(관형사형어미).
주255)
드틀:티끌[塵]. ‘드틀’은 ‘번뇌’를 상징한 것이다.
주256)
업거니:없으니. 없-[無]+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주257)
누를:누구를. 누[誰]+를(목적격조사). ‘눌(누+ㄹ)’도 쓰인다. 목적격조사 ‘-를/-’과 ‘-ㄹ’의 선택은 수의적이다.
주258)
일훔:이름. ‘일훔’은 동사의 명사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주259)
지허:지어. 작명하여. 짛-[命名]+아/어(연결어미).
주260)
뷔여:비어. 뷔-[空]+어.
주261)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주262)
남기:나무와. 나모/[木. 樹]+이(비교부사격조사). ‘나모/’은 이른바 ㄱ곡용 명사이다. ‘나모’는 자음 앞에서, ‘’은 모음 앞에서 쓰임.
주263)
갓라디며:거꾸러지며. 갓-[倒]+아(보조적 연결어미)+디-(보조동사 어간)+며/으며.
주264)
이우러:시들어. 이울-[枯]+어(연결어미).
주265)
우미:웃음이. -[笑]+옴/움(명사형어미)+이.
주266)
더욱:더욱.
주267)
새외도다:새롭도다. 새[新](명사)+외(형용사파생 접미사)+도+다. ‘-외-’는 ‘--’의 이형태이다. 현대국어의 ‘새’는 관형사이지만, 중세국어의 ‘새’는 관형사로도 쓰였지만, 명사로도 쓰였기 때문에 형용사파생 접미사가 결합할 수 있었다.
주268)
미:바람이. [風]+이. 중세국어의 ‘’은 ‘바람[風]’을 뜻하기도 하고 ‘바람벽[壁]’을 뜻하기도 함. 동음이의 관계.
주269)
우룸:울음. 울-[啼]+옴/움(명사형어미).
주270)
자치:그치는. 자치-[止]++ㄴ. ‘자치-’는 용례가 적다. ‘자친’으로 적히지 않고 ‘자치’으로 적힌 것이 특이하다.
주271)
누른:노란. 누르-[黃]+ㄴ. ‘누러-’도 쓰였다.
주272)
니플:잎을. 닢[葉]+을(목적격조사).
주273)
러:쓸어. -[掃]+어(연결어미).
주274)
업게:없어지게. 없-[無]+게(보조적 연결어미). 여기의 ‘없-’은 동사적 용법을 보이고 있다. 중세국어에서는 한 어휘가 동사와 형용사로 두루 쓰인 예가 많았다.
주275)
즈믄:천[千].
주276)
수픐:수풀의. 수플[林]+ㅅ(관형격조사).
주277)
오:온전한. 오-[全]+ㄴ(관형사형어미). 종성 ㄹ이 매개모음 앞에서 탈락함.
주278)
나탓도다:나타났도다. 낱-[現]+앗(완료상 표지)+도+다. ‘-앗-’은 ‘-아#잇-’이 발달한 것이다. -어/아#잇-〉-엣/앳-〉-엇/앗-〉-었/았-.
주279)
둘히:둘이. 둟[二](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주280)
업고:없고. 없-+고.
주281)
나토:하나도. 낳[一](ㅎ종성체언)+도.
주282)
매:마음에. +애(원인 부사격조사).
주283)
걸이디:걸리지. 걸-[掛]+이(피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284)
대천(大千):온갖 세계.
주285)
제:자신의. ‘:제’(상성)는 주격 형태이고, ‘제’(평성)는 관형격 형태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 ‧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286)
사몬:삼은. 삼-+오/우+ㄴ.
주287)
디라:-ㄴ지라.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 이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라, 연결어미 ‘-어/-아’의 이형태이다.
주288)
이런:이러한. 이러+-(탈락)+ㄴ(관형사형어미).
주289)
로:까닭으로. (의존명사)+로(원인 부사격 조사). ‘’의 의미 영역이 넓어서 ‘젼, 앛’이 쓰일 자리에도 ‘’가 쓰이는 것. 이런 용법은 매우 흔하다.
주290)
우미:웃음이. -[笑]+옴/움(명사형어미)+이.
주291)
:매우. 여기서는 ‘전(轉)’의 번역으로 쓰였다. ‘전’은 이런 문맥에서 일반적으로 ‘더욱’이란 뜻을 나타낸다.
주292)
새외니라:새로우니라. 새[新](명사)+외(형용사파생 접미사)+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라. 현대국어의 ‘새’는 관형사이지만, 중세국어의 ‘새’는 관형사로도 쓰였지만, 명사로도 쓰였기 때문에 형용사파생 접미사가 결합할 수 있었다.
주293)
외디:되지. 외-+디(보조적 연결어미). -〉외-〉되-.
주294)
본지(本地):근원. 본체. 심성.
주295)
ㅅ:‘-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296)
풍광(風光):본지풍광(本地風光). 본래면목(本來面目). 태어나면서부터 부처인 인간의 진실한 모습.
주297)
다:다다른. 다-[觸]+(관형사형어미). ‘ㄷ’ 불규칙활용.
주298)
:곳에. [處]+Ø(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관형격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299)
나탓도다:나타났도다. 낱-[現]+앗(완료상 표지)+도+다. ‘-앗-’은 ‘-아#잇-’이 발달한 것이다. -어/아#잇-〉-엣/앳-〉-엇/앗-〉-었/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