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7 이동
내려받기 인쇄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확대 축소 전체보기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2ㄴ
확대 표준 축소 내려받기 인쇄 의견제시
元日 주001)
원일(元日)
정월 초하룻날. 설날.
주002)
기(寄)
부침의 뜻으로, 누구에게 보내는 뜻을 나타낸다.
韋氏妹 주003)
위씨매(韋氏妹)
두보는 누이가 하나 있었는데, 위씨(韋氏)에게 시집을 갔다고 한다. 따라서 이 시는 여동생 남편의 여동생에게 보내는 시가 된다.
주004)
원일기위씨매(元日寄韋氏妹)
정월 초하룻날 위씨 누이에게 보내다. 이 시는 지덕(至德) 2년(757) 정월 초하룻날, 두보가 장안에 갇혀 있을 때 지은 시라고 한다.
원일기위씨매
(정월 초하룻날 위씨 누이에게 보내다)
近聞韋氏妹 迎在漢鍾離
요조 주005)
요조
요즈음. 요즘.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표준 국어대사전≫에서는 ‘요조옴/요조움/요주움<요조/요조<요주/요조←요+즈’ 등과 같은 그 어원과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幕下앳 郞官은 便安디 아니녀 요조브터 오매  줈 글도 받디 몯요라 (전장에 나가 있는 낭관은 편안하지 않은 것이냐? 요즘 들어 한 줄 글도 받지 못하였구나.)〈두시(초) 21:25ㄴ〉.
드로니 주006)
드로니
듣[聞]-+-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들으니.
韋氏ㅅ 주007)
위씨(韋氏)ㅅ
위씨(韋氏)+ㅅ(관형격 조사). 위씨의. 위씨는 두보의 매제라고 한다.
누의 주008)
누의
누이. 남자의 여자 동생.
漢ㅅ 주009)
한(漢)ㅅ
한(漢)+ㅅ(관형격 조사). 한나라의.
鍾離ㅅ 주010)
종리(鍾離)ㅅ
종리(鍾離)+ㅅ(관형격 조사). 종리의. 종리는 예전 초의 현 이름으로, 회남현(淮南縣)을 말한다. 지금의 안휘성(安徽省) 봉양현(鳳陽縣)의 동북쪽에 있다. 두보는 건원(乾元) 연간에 동곡(同谷)에 우거하면서 7편의 시를 썼는데, 그 네 번째 시가 ‘누이’에 관한 것이다. 누이가 종리(鐘離)에 살았는데 그 남편이 일찍 죽어 아이들이 모두 바보가 되었다고 한다.
올 주011)
올
올ㅎ[邑]+(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고을에. 고을에서. ‘올’은 ‘’에서 변하여 현재의 ‘고을’에 이어지는 것이다.
마자 주012)
마자
맞[迎]-+-아(연결 어미). 맞아. 맞이하여.
가 잇도다
【한자음】 근문위씨매 영재한종리
【언해역】 요즈음 들으니 위씨(韋氏)에게 시집간 누이 한(漢)나라의 종리(鍾離) 고을에서 맞이하여 〈그곳에〉 가 있도다.
郞伯殊方鎭 京華舊國移【郞伯 卽妹婿韋氏也ㅣ라】
郞伯이 주013)
낭백(郞伯)이
낭백(郞伯)+이(주격 조사). 낭백은 고대에 부인에 대하여 그 남편을 대우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먼 해 주014)
먼 해
멀[遠]+ㄴ(관형사형 어미)#ㅎ[地]+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먼 땅에.
鎭守 주015)
진수(鎭守)
군사의 요충지를 지키는 일.
야 잇니 셔울흔 주016)
셔울흔
셔울ㅎ[京]+은(보조사). 서울은.
녯 나라히 주017)
녯 나라히
녯[舊]#나라ㅎ[國]+이(주격 조사). 옛 나라가.
올맷도다 주018)
올맷도다
옮[移]-+-아(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옮아 있도다. ‘-도다’를 감탄형 어미를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옛 나라가 옮아 와 있다는 것은 안녹산의 난 때문에, 나라가 수도를 자주 바꾼 것을 말한다.
【한자음】 낭백수방진 경화구국이【<용어 realname="">낭백(郞伯)은 즉 누이의 남편 위씨(韋氏)이다.】
【언해역】 낭백이 먼 땅에 가 요새를 지키고 있으니, 서울은 옛 나라가 옮아와 있도다.
春城回北斗 郢樹發南枝【郢 鍾離縣所在라】
 城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3ㄱ

주019)
 성(城)에
봄[春]+ㅅ(관형격 조사)#성(城)+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봄의 성에. 당시 두보가 장안(長安)에 있었으므로, 이 성은 장안성(長安城)을 가리킨다. 원 두시의 ‘춘성(春城)’이 ‘진성(秦城)’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는데, ‘춘성(春城)’을 오기로 보기도 한다.
北斗ㅣ 주020)
북두(北斗)ㅣ
북두(北斗)+이(주격 조사). 북두가. 북두칠성이.
횟도니 주021)
횟도니
횟돌[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횟도나니. 횟도니.
郢엣 주022)
영(郢)엣
영(郢)+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영의. 영(郢)은 종리현(鐘離縣)에 있는 지명이다.
남 주023)
남
[木]+(보조사). 나무는.
南녁 가지 펫도다 주024)
펫도다
프[開]-+-어(연결 어미)#잇[有]-+-도(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피어 있도다. ‘-도다’를 감탄형 어미를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한자음】 춘성회북두 영수발남지【영(郢)은 종리현(鍾離縣)에 있다.】
【언해역】 봄의 성에 북두가 횟도니 영(郢)의 나무는 남녘 가지가 피어 있도다.
不見朝正使 啼痕滿面垂【祿山之亂애 道路ㅣ 隔絶也ㅣ라】
正朝앳 주025)
정조(正朝)앳
정조(正朝)+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원단(元旦)의. 정월 초하룻날의. 새해 인사를 드리는.
使臣 주026)
사신(使臣)
사신(使臣)+(대격 조사). 사신을. 이 사신은 두보의 누이의 남편 위씨(韋氏)를 가리킨다. 그가 방진(方鎭)의 요직을 맡았는데, 도로가 끊기어 오지 못하는 것이다.
보디 몯야 주027)
보디 몯야
보[見]-+-디(연결 어미)#몯[不能]-+-y(조음소)-+-아(연결 어미). 보지 못하여.
믌 주028)
믌
눈[眼]+ㅅ(사이시옷)#믈[水]+ㅅ(관형격 조사). 눈물의.
그제를 주029)
그제를
그제[痕]+를(대격 조사). 흔적을. 자욱을.
 주030)

[面]+(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낯에. 얼굴에.
기 주031)
기
[滿]-+-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득히.
드리우노라 주032)
드리우노라
드리우[垂]-+-(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드리우노라.
【한자음】 불견조정사 제흔만면수【안녹산의 난에 도로가 막히어 끊어진 것이다.】
【언해역】 새해 인사를 드리는 사신을 보지 못하여 눈물 흔적을 얼굴 가득히 드리우노라.
이전 다음
목록열기목록 목록닫기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