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하)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하)
  • 기간 중(寄簡中)
  • 최 공보에게 드리며[贈崔十三評事公輔]
메뉴닫기 메뉴열기

최 공보에게 드리며[贈崔十三評事公輔]


贈崔十三評事公輔 주001)
증최십삼평사공보(贈崔十三評事公輔)
평사 최 공보에게 드리며. 최 공보가 금위군의 교관으로서 장안으로부터 부임한 것을 축하하며 증정한 시이다. 766년 봄 기주에서 지어졌다. ‘증(贈)’은 ‘보내다’라는 말이며, ‘십삼(十三)’은 배행(排行)이다. 평사(評事)는 대리시(大理寺)에 속한 관직명으로 종9품 상(上)에 해당한다.

최 공보에게 드리며

飄颻西極馬 來自渥洼池 颯飁定山桂 低回風雨枝【颯飁은 大風也ㅣ라 上句 喩崔의 材質之美고 下句 喩 주002)
최(崔)
최공보(崔公輔). 두보의 외사촌.
之困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48ㄱ

小官이라】

飄飁 주003)
표요(飄颻)
날아가는 모습.
西極 주004)
서극(西極)
서쪽 끝 땅.
엣 리 오 渥洼 주005)
악와(渥洼)
중국의 하천 이름. 중국 감숙성(甘肅省) 안서현(安西縣) 부근에 있는 하천 이름이다. 이곳은 전설상에 신령스런 말이 나는 곳으로 한나라의 무제(武帝)가 신마(神馬)를 얻은 곳이다.
ㅅ 모로브테오
주006)
악와(渥洼)ㅅ 모로브테오
악와지(渥洼池)로부터이고. 渥洼+ㅅ 못+ᄋᆞ로+브터+이+고.
颯飁 주007)
삽습(颯飁)
거세게 부는 바람.
定山 주008)
정산(定山)
『구가집두시』에는 한산(寒山)이라고 해야 한다고 되어 있고, 『보주두시』사(師)씨의 주는 등산(鄧山)으로 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등산(鄧山)의 숲에 계수나무가 있기 때문이라고 되어 있다.
桂樹 주009)
계수(桂樹)
계수나무는.
 비옛 주010)
비옛
바람비의. 비바람의.
가지 얫도다 주011)
얫도다
나직하게 있도다. 나직하게 있네. ¶ᄂᆞᄌᆞᆨᄒᆞ- : 謙遜 辭讓야  씨라〈월석23:31ㄴ〉 / 宮읫 구루믄 殿에 으러 얫도다(宮雲去殿低)「晩出左掖」〈두시6:15ㄱ〉.

【한자음】 표요서극마 내자악와지 삽습정산계 저회풍우지
【언해역】 가볍게 날 듯한 서극(西極)의 말이 옴은 왁와지(渥洼池)로부터이고 거세게 부는 정산(定山)의 계수나무는 비바람에 가지가 나직해 있네.
【현대역】 가볍게 날 듯 서쪽 끝의 말이 악와지에서 왔지만 휘이잉 차가운 산의 계수나무는 비바람에 가지가 쳐져 있네.【삽습(颯飁)은 거세게 부는 바람이다. 위의 시구는 최공보의 재질의 아름다움을 비유한 것이고 아래 시구는 최공보의 괴로움이 소관(小官)에서 온 것임을 비유한 것이다.】
【구절풀이】 날 듯이 가벼운 서역의 말이 악와지에서 왔고, 적막한 산의 계수나무는 비바람에 굽어졌다는 말로, 최공보의 자질이 훌륭하며, 최공보가 직책 때문에 고생하고 있음을 말한다.

我聞龍正直 道屈爾何爲【又以神龍 주012)
신룡(神龍)
신묘(神妙)한 용(龍).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비유한 것이다.
으로 喩崔다】

나 드로니 주013)
나 드로니
내가 듣건대. 나+ᄂᆞᆫ 듣-+오+니.
龍이 正直니 道의 구버쇼 주014)
구버쇼
굽어 있음은. 굽-+어#시-+오+ㅁ+ᄋᆞᆫ. ‘굽-’은 ‘곱-’으로도 쓰였다. ‘굽다’는 자타동 양용동사의 타동사 용법이다. ¶굽-(타동사) : 諸天이 곳 비터니 無憂樹ㅅ 가지 절로 구버 오나 夫人이 올 소로 가질 자샤〈월석2:36ㄱ〉 / 모 구버 旗 아 야 보노라(俯身試搴旗)「前出塞九首」〈두시5:26ㄴ〉 / (자동사) : 나못가지 구버 와  光 리더라〈석상3:15ㄴ〉 / 구버 坤軸ㅣ 바라올가 전노라(俯恐坤軸弱)「靑陽峽」〈중간두시1:21ㄱ〉.
엇뎨리오 주015)
엇뎨리오
어찌하겠는가? 엇뎨#ᄒᆞ-+리+오.

【한자음】 아문용정직 도굴이하위
【언해역】 나는 듣건대 용이 정직하니 도가 굽은 것은 그대가 어찌하겠는가?
【현대역】 내가 듣건대 용은 바르고 곧으니 도를 굽히고서 그대는 어떻게 할 것인가?【또한 신룡(神龍)으로 최공(崔公)을 비유한 것이다.】
【구절풀이】 최공보를 용에 비유하여 도를 굳건히 할 것을 당부한 말이다.

且有元戎命 悲歌識者知元戎 주016)
원융(元戎)
군사(君師)의 통솔자. 여기서는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命은 指王思禮 주017)
왕사례(王思禮)
당나라 때의 현신. 두보는 「팔애시(八哀詩)」중 「증사공왕공사례(贈司空王公思禮)」에서 “사공출동이 동치쇄공핵(司空出東夷 童稚刷糼翮)”라고 썼다. 뜻은 “사공이 동이 지역으로 출정 갈 때에, 어린 종이 굳센 날개 번쩍이게 닦았다네.”이다. 왕사례는 당시 우림군(羽林軍)의 장수였다.
ㅣ 爲節度使 주018)
절도사(節度使)
관직 이름. 당 예종(睿宗) 경운(景雲) 2년(711) 처음 설치했다. 천보(天寶) 초, 안서(安西), 북정(北庭), 하서(河西) 등 9개의 변방 지역에 설치하면서 관직을 제수 받은 사람에게 쌍정쌍절(雙旌雙節)을 하사하고, 그 지방의 군․민․재정을 총괄토록 했다.
而表崔爲幕職 주019)
막직(幕職)
막료(幕僚)의 직책. 막료는 장군의 막부에서 참모 구실을 하던 직책이다. 자리가 보통 막부에 설치되어 있어 막료라고 했다.
也ㅣ니 其不得志而悲歌 唯識者知之也ㅣ니라】

元戎의 블로미 주020)
블로미
부름이. 브르-+오+ㅁ+이.
잇니 슬픈 놀애 알 사미 주021)
사미
사람만이.
알리로다 주022)
알리로다
알 것이도다. 알 것이네.

【한자음】 차유원융명 비가식자지
【언해역】 원융(元戎)의 부름이 있으니 슬픈 노래를 알 사람만이 알 것이네.
【현대역】 이제 원융의 명으로 관직에 있게 된 것은 슬픈 노래를 아는 이만 알아주어서라네.【원융명(元戎命)은 왕사례(王思禮)가 막직(幕職)이던 최공(崔公)을 추천하여 절도사로 삼은 것을 가리킨다. 비가(悲歌)의 뜻을 알지 못했거늘 오직 식자인 왕융(元戎)만이 알아준 것이다.】
【구절풀이】 왕사례가 최공보를 절도사에 추천한 것처럼 비가의 뜻은 오직 아는 이만이 알아준다는 것이다.

官聯 주023)
관련(官聯)
관직(官職).
冗長 주024)
용장(冗長)
번거로울 정도로 많다. 여기서는 번거로울 정도로 많은 벼슬을 뜻하므로 한직(閑職)을 의미하며 최공(崔公)의 벼슬이었던 평사(評事)를 말한다.
行路洗欹危 주025)
세기위(洗欹危)
위태로움을 씻어내다. 여기서는 위태로운 상황을 면했다는 뜻이다.
【冗長은 煩多也ㅣ라 長은 去聲이라 評事 주026)
평사(評事)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 설치한 관직명. 종9품 상(上)에 해당한다.
ㅣ 在幕僚니 可以辭冗長也ㅣ라 洗欹危 舟行애 免欹傾之苦也ㅣ라】

官聯을 주027)
관련(官聯)을
관직을.
어즈러우믈 주028)
어즈러우믈
어지러움을. 어즈럽-+우+ㅁ+을. ¶어즈럽- : 亂 어즈러 씨라〈석상13:22ㄴ〉 / 미 어즈럽건디 마 오랄 니라(心緒亂已久)「前出塞九首」〈두시5:26ㄴ〉.
말리로소니 주029)
말리로소니
말 것이니. 말-+리+도+ㅅ+오+니. ‘-리로소니’를 가진 예문은 15세기에 많지만 ‘말리로소니’는 『두시언해』에서만 보인다. ¶-이로소니 : 王子ㅅ 命이 닐웻 부니로소니 아례나   노라 리다(當就於死努力恣情五欲自娛)〈석상24:28ㄱ〉 / -리로소니 : 녯 功業을  말리로소니(素業行已矣)「秋日荊南述懷三十韻」〈두시3:8ㄴ〉.
녀가 주030)
녀가
가는. 녀-+가-+ᄂᆞᆫ.
길헤 주031)
길헤
길에.
欹危호 주032)
의위(欹危)호
위태로움을.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48ㄴ

시스리로다 주033)
시스리로다
씻을 것이도다. 씻을 것이네. 15세기에는 ‘싯-’만 쓰이다가 근대국어부터 ‘씻-’이 쓰이며, 각자병서와 합용병서의 혼동으로 ‘-’ 표기도 보인다. 사동사와 피동사는 ‘싯기-’로 같은 형태이다. ¶싯- : 옷 며 발 싯고 니거늘〈석상11:25ㄱ〉 / 東海 기우려 乾坤 싯고져 노라(欲傾東海洗乾坤)「追酬···見寄」〈두시11:7ㄱ〉 / 싯기-(사동사) : 그  王과 上座와 比丘히 香湯로 菩提樹를 싯기니〈석상24:48ㄱ〉 / 믈 데여 내 발 싯기고(煖湯濯我足)「彭衙行」〈중간두시1:13ㄱ〉 / 싯기-(피동사) : 溫水 冷水로 左右에 리와 九龍이 모다 싯기니〈월천8ㄱ〉 / 불휘 믌 미틔 싯기여 그처디니 엇뎨 하 디시리오(根斷泉源豈天意)「柟木爲風雨所拔歎」〈두시6:41ㄱ〉 / - : 악명을 고져 아니랴마〈서궁28ㄴ〉 / 씻- : 내  씻쟈〈청노4:13ㄴ〉.

【한자음】 관련사용장 행로세기위
【언해역】 관직이 어지러움을 말 것이니 가는 길에 위태로움을 씻을 것이네.
【현대역】 관직으로는 한직을 사임하고 인생행로는 위험한 길에서 옮겨야 하네.【용장(冗長)은 번거로울 정도로 많은 것이다. 장(長)은 거성(去聲)이다. 평사(評事)는 막료(幕僚)이니 용장을 사임할 수 있었다. 세기위(洗欹危)는 배를 타고 감에 위태로움에 대한 괴로움을 면하는 것이다.】
【구절풀이】 최공보는 한가롭고 여유 있는 직책을 사임하고 험한 삼협의 지방 기주(夔州)로 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脫劍主人 주034)
주인(主人)
한 집안이나 집단의 책임자.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추천한 원융(元戎)인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贈 去帆春色隨【上句 言贐行也ㅣ라】

갈 주035)
갈
칼을.
글어 주036)
글어
풀어. 끌러. 그르-+어. ¶그르- : 今日 身心이 어늬 이  거시며 므스글 브터 일후미 글우미고(今日身心이 云何是結이며 從何名解고)〈능엄5:3ㄱ〉 / 龜印을 글우메 프른 프리 나니(解龜生碧草)「哭王彭州掄」〈두시24:56ㄱ〉.
主人이 주니 주037)
주니
주니.
가 돗 주038)
돗
돛에는. ᄇᆡᆺ도ᇧ+ᄋᆡ+ㄴ. +ㅅ+. ‘’은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두보는 성도 초당을 떠난 이후로는 민강(岷江), 장강(長江), 상강(湘江) 등을 배로 여행하면서 시를 지었으므로 배에 관련된 어휘들이 많다. 대표적인 어휘들로는 ‘대, , 머리, 시울, 줄’ 등이 있다. ¶ : 닐웨예 닐굽 솨줄 그처  우희 고  보아 돗 드니〈월석22:38ㄱ〉 /  : 맷 돗란 驛亭 혜다라(風帆數驛亭)「喜觀···二首」〈두시8:39ㄴ〉 / 대 : 城에 비츤 가마괴 사굔 대 避놋다(城日避烏檣)「遣悶」〈두시3:11ㄴ-12ㄱ〉 / 머리 :  두르힐후며 머리 여룸 로미 神奇외요미 잇도다(捩柁開頭捷有神)「撥悶」〈두시3:32ㄴ〉 / ᄇᆡᆾ :  달홀 사미 마  피니(長年已省柁)「敬寄族弟唐十八使君」〈두시8:54ㄱ〉 / 시울 : 시우를 다시 타 두드리디 몯호니(船舷不重扣)「破船」〈두시6:44ㄴ〉 / 줄 : 錦으로 혼 줄와 엄  대예  며기 니더니라(錦纜牙檣起白鷗)「秋興五首」〈두시6:9ㄴ〉.
비치 주039)
비치
봄빛이.
좃놋다 주040)
좃놋다
쫓는구나. 좇-+ᄂᆞ+옷+다. ¶좇- : 上慢 사미 信야 降伏야 좃며〈월석17:75ㄱ〉 / 져머셔 주그니 무두므란 潘岳 이 조차 고(瘞夭追潘岳)「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3:17ㄱ〉.

【한자음】 탈검주인증 거범춘색수
【언해역】 칼을 풀어 주인이 주니 가는 돛에는 봄빛이 쫓아가는구나.
【현대역】 칼을 풀어 주인이 주고 떠나는 배에 봄빛이 따라가네.【위의 시구는 먼 길을 가는 사람에게 주는 물건을 말한다.】
【구절풀이】 최공보(崔公輔)가 먼 길을 떠남을 말한다.

陰沈鐵鳳 주041)
철봉(鐵鳳)
궁궐에 장식한 봉황.
闕 敎練羽林兒 天子朝侵早 雲臺 주042)
운대(雲臺)
한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의 이름. 한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능연각(凌烟閣)이라고도 불렀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당나라 태종 정관 17년(643) 염립본(閻立本)에게 명해 개국척강공신 24명의 그림을 능연각에 두도록 했다. ‘운(雲)’이 ‘윤(輪)’으로 된 판본도 있다.
仗數移【鐵鳳 闕屋上애 作鐵鳳形니라 言天子ㅣ 多難애 數移儀衛而侵早訓兵也ㅣ라】

어듭고 주043)
어듭고
어둡고.
기픈 鐵鳳ㅅ 宮闕에 주044)
철봉(鐵鳳)ㅅ 궁궐(宮闕)에
철봉황(鐵鳳凰)의 궁궐에. 즉 철봉황이 장식된 궁궐에.
羽林 주045)
우림(羽林)
우림군(羽林軍). 당나라의 군대 이름으로 궁중의 숙위(宿衛)를 맡아보던 금위(禁衛)이다.
兒 敎練니 주046)
교련(敎練)니
훈련시키니.
天子ㅣ 朝會 일 호 주047)
일 호
일찍 함을. 일(부사) ᄒᆞ-+오+ㅁ+ᄋᆞᆯ.
侵犯샤 雲臺예 儀仗을 조 주048)
조
자주. ᄌᆞᆽ-+오(부사화접미사). ¶ᄌᆞ조 :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석상3:23ㄱ〉 / 鍾鼎에 사교 조 보노니(數見銘鍾鼎)「秋日···三十韻」〈두시3:10ㄴ〉.
옮기시놋다 주049)
옮기시놋다
옮기시는구나.

【한자음】 음침철봉궐 교련우림아 천자조침조 운대장수이
【언해역】 어둡고 깊은 철봉황(鐵鳳凰) 궁궐에 우림군(羽林軍)을 훈련시키니 천자가 조회를 일찍 함을 간섭하여 운대(雲臺)의 의장(儀仗)을 자주 옮기시는구나.
【현대역】 깊숙한 철봉황의 궁궐에서 우림의 병사들은 훈련시키니 천자는 일찍 조회에 참여하여 운대의 의장을 자주 옮기게 하네.【철봉은 대궐 옥상에 철로 봉황의 형상을 만든 것이다. 천자가 이른 아침부터 병사를 훈련시키기 때문에 행차하는 곳이 많아 어려움이 많다고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천자가 군사들의 훈련을 참관하기 위해 자주 참석하기 때문에 의장(儀仗)을 자주 옮기느라고 수고를 한다는 말이다.

分軍應供給 百姓日支離【支離 猶流離也ㅣ라 言當時예 應軍需刻剝之求니 民生이 日至流離也ㅣ니라】

軍을 화 주050)
군(軍)을 화
군대를 나누어.
供給호 應當니 주051)
응당(應當)니
응당 해야 하니. 하는 것이 필수적이니.
百姓이 날로 支離놋다 주052)
지리(支離)놋다
떠돌며 괴롭구나.

【한자음】 분군응공급 백성일지리
【언해역】 군대를 나누었기 때문에 군수품 공급함에 응해야 하니 백성이 날로 지리(支離)하는구나.
【현대역】 나뉜 군대의 군수품 공급에 응하느라 백성들은 날로 떠돌며 괴롭구나.【지리는 떠돌아다니는 것과 같다. 당시에 군수 물자 조달을 잔인하게 거두어들이니 백성의 생활은 날로 떠돌아다니며 피폐해지는 것을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군수품 조달을 위해 백성의 생활이 나날이 피폐해지는 것을 말한다.

黠吏 주053)
할리(黠吏)
교활한 관리(官吏).
封已 주054)
봉기(封己)
자기를 후하게 하다.
公才或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49ㄱ

守雌【封은 厚也ㅣ니 言奸黠 주055)
간힐(奸黠)
간사(奸邪)하고 꾀바름.
之吏 因供給以厚己니 評事 當守雌柔 주056)
자유(雌柔)
부드러움. 자(雌)는 약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而不侵刻也ㅣ라】

奸黠 官吏 因야 주057)
인(因)야
인하여. 즉 군대에 군수품을 공급하는 것을 이용하여.
주058)
자기의. 저+ㅣ(속격).
모 둗거이 주059)
둗거이
두껍게. 둗겁-[厚]+이. ‘둗거’식으로 쓰이다가 〈능엄경언해〉(1461)부터 ‘ㅸ→오/우/ㅇ’ 표기원칙에 따라 이처럼 쓰인다. ‘둗거이’는 『두시언해』에서 ‘돋가이’로도 쓰인다. ¶둗거이 : 親히 둗거이 야 便安야 怯 업게 니라〈법화2:212ㄱ〉 / 道義 守야 모 둗거이 아니니라(守道不封已)「種萵茞幷序」〈두시16:67ㄱ〉 / 돋가이 : 뎍글 돋가이 며 티 아니호미〈번소6:12ㄱ〉 / 孝道로 다료로 나랏 政事 돋가이 시고(孝理敦國政)「橋陵詩三十韻因呈縣內諸官」〈두시6:18ㄱ〉 / 둗겁- : 우리히 아랫 福이 깁고 둗거 佛法을 맛나니〈석상21:39ㄴ〉 / 비치 둗겁거든 해 가   머믈오고(春濃停野騎)「懷灞上遊」〈두시3:39ㄱ〉.
니 그딋 주060)
그딋
그대의.
조 시혹 雌柔호 주061)
자유(雌柔)호
부드러움을.
守라 주062)
수(守)라
지켜라. 지키네.

【한자음】 할리인봉이 공재혹수자
【언해역】 교활한 관리는 그로 인해서 제 몸을 두텁게 하는데 그대의 재주는 혹시라도 부드러움을 지키네.
【현대역】 교활한 관리는 그 틈에 자신을 두텁게 하고 재상의 재능을 가진 이는 혹 나약하게 처신하네.【봉(封)은 두터운 것이니 간교(奸巧)한 관리는 공급받은 것으로 자기를 두텁게 하고 평사(評事)는 부드럽게 처세하고 침범하여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간교(奸巧)한 관리는 자신의 배를 배불리고 평사(評事)들은 부드럽게 처세하여 제 할 일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燕王 주063)
연왕(燕王)
전국시대(戰國時代) 연(燕)나라 왕.
買駿骨 渭老得熊羆 주064)
웅비(熊羆)
곰. 맹수(猛獸)의 하나로 쓸개는 약용으로 이용한다.
燕昭王 주065)
연소왕(燕昭王)
?~서기전279. 전국시대 연나라의 임금. 쾌(噲)의 아들로, 이름은 평(平)이다. 곽외(郭隗), 추연(鄒衍), 낙의(樂毅) 등 어진 선비를 초빙하여 부왕(父王) 때 잃었던 땅을 제(齊)나라로부터 되찾았다. 33년 동안 재위했다.
이 市駿骨而賢者ㅣ 至니라 得熊羆 見上百韻詩註니 주066)
득웅비(得熊羆) 견상백운시주(見上百韻詩註)니
득웅비는 위의 백운시(百韻詩)의 주를 보라는 말이다. ‘백운시’는 『두시언해』 권20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 ‘추일기부영회봉기정감심이빈객지방일백운(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審李賓客之芳一百韻)’을 말하는데 정작 ‘백운시’의 주석은 찾을 수 없다. 이런 경우는 ‘팔수(八水)’에 대한 주석에서도 확인된다.
皆喩評事의 見用也 주067)
평사(評事)의 견용야(見用也)
평사의 쓰임을 당하다. 평사는 최공(崔公)이다. 따라서 최공이 기용됨을 말한 것이다.
ㅣ라】

燕ㅅ 님그미 駿馬의  사고 渭水엣 늘그닐 주068)
늘그닐
늙은이를. 늙-+은#이+ㄹ.
熊羆 어드니라 주069)
어드니라
얻으니라. 얻네. 얻-+으니+라.

【한자음】 연왕매준골 위로득웅비
【언해역】 연(燕)나라 임금이 준마의 뼈를 사고 위수의 늙은이 웅비(熊羆)를 얻네.
【현대역】 연나라 왕이 준마의 뼈를 사고 위수의 늙은이가 곰 같은 인재를 얻는구나.【연나라 소왕(昭王)이 시장에서 준마의 뼈를 사서 현자(賢者)가 찾아온 것이다. 득웅비(得熊羆)는 위의 백운시(百韻詩)의 주(註)를 보라 하니, 모두 평사(評事)의 중용됨을 비유한 것이다.】
【구절풀이】 연나라 소왕에게 현자가 찾아오듯이, 그리고 주 문왕이 태공망을 얻듯이 최공보가 중용됨을 말한다.

活國名公在 拜壇群寇疑漢高 주070)
한고(漢高)
한나라 고조(高祖) 즉 유방(劉邦). 전한(前漢)의 초대황제(初代皇帝)로 자(字)는 계(季, 서기전256~서기전195), 이름은 유방(劉邦)이다.
ㅣ 築壇야 拜韓信 주071)
한신(韓信)
?~서기전196. 전한 초기 회음(淮陰) 사람. 진 2세(秦二世) 2년(서기전208) 항량(項梁)과 항우(項羽)를 따라 낭중(郞中)이 되었지만 중용되지 못했다.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망명하여 연오(連敖)와 치속도위(治粟都尉)에 임명되었다. 소하(蕭何)에게 인정을 받아 그의 추천으로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다. 유방에게 동쪽으로 향해 천하를 도모할 것을 건의하고, 군대를 이끌고 위(魏)와 대(代)를 격파한 뒤 연(燕)을 함락시키고 제(齊)를 취했다. 한나라 4년(서기전203) 상국(相國)에 임명되고, 다음 해 제왕(齊王)이 되었다. 이어 유방과 함께 해하(垓下)에서 항우를 포위해 죽였다. 전한이 성립되자 초왕(楚王)이 되고, 하비(下邳)에 도읍을 정했다. 그러나 한 제국(漢帝國)의 권력이 확립되자 차차 밀려나, 누군가 그가 모반을 꾀한다고 고발하니 유방이 운몽(雲夢)으로 외유(外遊)를 나온 것처럼 꾸며 체포하고 6년(서기전201) 회음후(淮陰侯)로 강등되었다. 고조 10년(서기전197) 진희(陳豨)가 반란을 일으키자 몰래 내통하여 호응하려고 했는데 사인(舍人)이 그가 병사를 일으켜 여후(呂后)와 태자(太子)를 습격하려 한다고 고발해 버렸다. 여후와 상국 소하의 계략에 걸려 장락궁(長樂宮)으로 유인당한 뒤 살해당했다.
爲將니 言思禮 주072)
사례(思禮)
왕사례(王思禮). 당나라 때의 현신(賢臣). 두보는 「팔애시(八哀詩)」의 「증사공왕공사례(贈司空王公思禮)」에서, “사공이 동이 지역으로 출정 갈 때에, 어린 종이 굳센 날개 번쩍이게 닦았다네.”라고 썼다. 왕사례는 당시 우림군(羽林軍)의 장수였다.
ㅣ 爲元戎也ㅣ라】

나라 사 주073)
사
살릴. 살-+(사동접사)+. ‘사-’는 ‘살이-’와 함께 ‘살-’의 사동사이다. 전자는 ‘목숨을 살리다’의 뜻이고, 후자는 ‘어디에 살게 하다’ 즉 ‘거주하다’의 뜻이다. ¶사- : 과이 모기 브 져근 더데 사디 몯게 외어든〈구간2:66ㄴ〉 / 聖人 筐篚 주시 恩惠 真實로 나라 사과여 시니(聖人筐篚恩 實欲邦國活)「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중간두시2:35ㄱ〉 / 살이- : 器量이 어위큰 사을 야 살이고 治事齋예 게 살이 사미 각각  이 다리고〈번소9:10ㄴ〉 / 吳ㅅ 周瑜ㅣ 孫策 집 주어 살이고「贈秘書監 江夏李公邕이라」〈두시24:27ㄴ〉 / 살- : 며 無數劫에 주그락 살락 야 그지 업슨 受苦호미 엇더뇨〈석상24:29ㄱ〉 / 나 굴 南녀긔 살오 그듸 굴 北녀기로다(我居巷南子巷北)「偪側行」〈두시25:40ㄱ〉 / 사잡- : 즉자히 毗摩質多阿脩羅 사자바 얽야 가져오거든〈월석11:30ㄴ〉 / 候景 사잡디 몯얏도다(侯景未生擒)「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두시3:18ㄱ〉 / 사자피- : 왜적의 사자핀 배 되여 믈의 뎌 주그니라〈동신열4:65ㄴ〉.
일훔난 公이 잇니 壇애 拜將호매 주074)
무리의. 뭇. 물+ㅅ. ‘물’은 ‘무리’의 뜻으로 15세기에서는 ‘물, 믈, 무리, 므리’의 형태로 쓰였다. ¶물 : 버거 鬱卑迦葉三兄弟의 물 一千 사 濟渡시며〈석상6:18ㄴ〉 / 다 가짓 비치 너희 물 아니가(五色非爾曹)「送重···南海」〈두시8:56ㄴ〉 / 믈 : 特은  므리예 로 다 씨라〈석상6:7ㄱ〉 / 무리 : 六師 무리 閻浮提예 야도 내 바랫  터리 몯 무으리니〈석상6:27ㄱ〉 / 이 글 崔魏 무리(斯文崔魏徒)「壯遊」〈중간두시2:38ㄱ〉 / 므리 : 特은  므리예 로 다 씨라〈석상6:7ㄱ〉.
도기 疑心놋다 주075)
의심(疑心)ᄒᆞ놋다
의심하는구나. 마음대로 날뛰지 못함을 말한다.

【한자음】 활국명공재 배단군구의
【언해역】 나라가 살 이름난 공(公)이 있으니 단(壇)에 예절을 갖추면 뭇 도적이 머뭇머뭇하네.
【현대역】 나라의 구제함이 이름난 이름이 있어 단을 쌓고 절을 하여 장수 삼으니 뭇 도적이 머뭇거리네.【한고(漢高)가 단을 쌓아 한신(韓信)을 장군으로 임명한 것이니 왕사례가 장군이 된 것을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왕사례가 장군이 되어 반란군들이 주춤주춤하였음을 말하는 것이다.

冰壺動瑤碧 野水失蛟螭 주076)
교리(蛟螭)
교룡(蛟龍). 교(蛟)는 교룡(蛟龍), 이(螭)는 용(龍)처럼 생긴 것이다. 교(蛟)와 이(螭) 모두 아직 용이 되지 못한 상태의 동물이다.
【上句 喩元戎 주077)
원융(元戎)
군사(君師)의 통솔자. 여기서는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의 淸鑑이 如冰壺고 下句 喩羣寇 주078)
군적(羣寇)
많은 도적.
ㅣ 失據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49ㄴ

也ㅣ라】

어름 주079)
어름
얼음.
다 주080)
다
담은. 담-+ᄋᆞᆫ.
그르슨 주081)
그르슨
그릇은.
프른 구스리 뮈 주082)
뮈
움직이는. 흔들리는. 뮈-[動]+. 15세기의 ‘뮈-’는 자동사로만 쓰였다. ‘뮈우-’는 ‘뮈-’의 사동사이다. ¶뮈- : 聲聞 辟支佛 히 모미 뮈  몰라 니러 추믈 츠니〈석상11:15ㄱ〉 / 雄劒 가진 너덧 사미 뮈여 나니(雄劍四五動)「前出塞九首」〈두시5:29ㄱ〉 / 뮈우- : 識性을 뮈우디 아니고〈월석1:36ㄱ〉 / 늘근 나해 詩賦ㅣ 江關엣 들 뮈우니라(暮年詩賦動江關)「詠懷古跡三首」〈두시3:67ㄱ〉.
고 주083)
고
듯하고. ᄃᆞᆺ#ᄒᆞ-+고.
햇 주084)
햇
들의. ᄆᆡㅎ+애+ㅅ.
므렌 주085)
므렌
물엔. 믈+에+ㄴ.
蛟螭 업도다 주086)
교리(蛟螭) 업도다
교룡이 없도다. 蛟螭+∅ 없-+도+다.

【한자음】 빙호동요벽 야수실교리
【언해역】 얼음 담은 그릇은 푸른 구슬이 움직이는 듯하고 들의 물에는 교룡이 없네.
【현대역】 얼음 담은 병에는 옥이 굴러가는 것 같고 들판 물에는 이무기가 사라지네.【위의 시구는 원융(元戎)의 청감(淸鑑)함이 얼음을 담는 병과 같다고 한 것이고 아래 시구는 도적 떼가 거점을 잃은 것을 비유한 것이다.】
【구절풀이】 원융(元戎)의 청렴결백함이 얼음을 담는 병과 같이 차갑다는 것과 반란군이 거점을 잃은 것을 말한다.

入幕諸彦集 渴賢高選宜 騫騰坐可致 九萬起於斯【言當君王ㅅ 求賢如渴之時야 崔君 주087)
최군(崔君)
평사(評事) 최공(崔公).
이 宜膺高選이 如鵬之飛騰九萬里也 주088)
여붕지비등구만리야(如鵬之飛騰九萬里也)
구만리(九萬里)를 높이 나는 붕새와 같다.
ㅣ라】

幕府에 드러 주089)
드러
들어. 들어가.
여러 彦士ㅣ 주090)
언사(彦士)ㅣ
선비가.
모댓니 주091)
모댓니
모여 있으니. 몯-+아#잇-+ᄂᆞ+니. ¶몯- : 王이 붑 텨 조 겻 사 다 모라 시고〈석상3:12ㄱ〉 / 盛 이리  모니 이 지븐 엇뎨 즈믄  니리오(盛事會一時 此堂豈千年)「陳拾遺故宅」〈두시3:65ㄱ〉.
賢을 주092)
현(賢)을
현인을.
渴望호매 노피 주093)
노피
높이. 척도부사 ‘노피, 기피, 기리, 너비’는 부사화파생접미사 ‘-이’로 인한 파생어들이고, 척도명사 ‘기픠/, 노, 기릐, 너븨’는 명사파생접미사 ‘-/의’에 의한 파생어이다. ¶노피 : 他化自在天이 次第로 노피 이쇼〈월석1:32ㄱ〉 / 樓 우희 더운 하해 어름과 눈괘 나 니 노피  져비새 새로 지슈믈 慶賀다(樓上炎天冰雪生 高飛燕雀賀新成)「江陵節度陽城郡王~同作노라」〈두시14:11ㄱ〉 / 노 : 노 다 자히러라〈석상11:10ㄴ〉 / 願 노예 자만  어리 외이 녀 그려기 니 여가(願騰六尺馬 背若孤征鴻)「苦雨奉寄隴西公兼呈王徵士」〈두시12:17ㄴ〉 / 기피 : 禪定을 기피 다 五神通 得리도 보며〈석상13:20ㄴ〉 / 群公이 모다 힘니 님 혜아리샤 기피 머믈워 시놋다(群公紛戮力 聖慮窅裴佪)「秋日···三十韻」〈두시3:10ㄴ〉 / 기픠 : 한 비 리와 므리 下界예 야 기픠 十一億二萬由旬이러니〈월석1:39ㄴ〉 / 當時ㅅ 浣花ㅅ 리예 시냇 믌 기픠 아야라 자남즉 더니라(當時浣花穚 溪水纔尺餘)「漲溪」〈두시13:19ㄴ〉 / 기리 : 涅槃 닷가 苦樂 기리 여희리다〈석상11:3ㄱ〉 / 늘근 넉슬 블로 得지 몯리로소니 넉시 갈 길 기리 迷失가 저허노라(老魂招不得 歸路恐長迷)「散愁二首」〈두시3:33ㄴ〉 / 기릐 : 五色綵幡 로 기릐 마 아홉 揭手ㅣ오〈월석9:53ㄴ〉 / 禁掖ㅅ 다맷 대와 다맷 머귀 기릐 열 尋이로소니 훤 門이 누늘 相對야 녜 어득얫도다(掖垣竹埤梧十尋 洞門對雪常陰陰)「題省中院壁」〈두시6:13ㄴ〉 / 너비 : 이 經을 너비 펴며〈석상9:40ㄱ〉 / 所親이 머므러 브터쇼 묻니 너비 호매 내 衰朽 어엿비 너기놋다(所親問淹泊 汎愛惜衰朽)「奉贈李八丈判官」〈두시8:4ㄴ〉 / 너븨 : 그 제 閻浮提 히 기릐 十千 由旬이오 너븨 八千 由旬이오〈월석23:28ㄴ〉 / 프른 모시 너븨 萬 頃이 坤軸을 마 잇  어느 알리오(安知有蒼池 萬頃浸坤軸)「南池」〈두시13:15ㄱ〉.
요미 주094)
요미
가림이. 구별함이. ᄀᆞᆯᄒᆡ-+오+ㅁ+이.
맛도다 주095)
맛도다
당연하네. 맛다ᇰ#ᄒᆞ-+도+다. ¶맛- : 되의 목수믄 그 能히 오라리아 님 紀綱 그추미 맛티 아니커니녀(胡命其能久 皇綱未宜絕)「北征」〈중간두시1:8ㄴ〉 / 鍾鼎에 사교 조 보노니 眞實로 北斗ㅅ 벼 法 바도미 맛니라(數見銘鍾鼎 眞宜法斗魁)「秋日···三十韻」〈두시3:10ㄴ〉.
라 주096)
라
날아.
올오 주097)
올오
오름을. 오ᄅᆞ-+오+ㅁ+ᄋᆞᆯ.
안자셔 어루 주098)
어루
가히. ‘可’의 번역으로 쓰인다. 15세기 문헌에 양이 적기는 하지만 ‘어로’형도 사용되었다. ¶어루 :  노다가 라면 어루 法을 호리이다〈석상6:11ㄴ〉 / 말며 아니호매 그틀 어루 알 거시라(語默可端倪)「水宿遣興奉呈群公」〈두시3:21ㄴ〉 / 어로 : 다가 能히 매 서르 體信면 어로 맛나 어더 어려미 업스리어늘〈월석13:32ㄱ〉 / 집 아래 어로 온 사미 들리로소니(下可容百人)「題衡···陸宰」〈두시6:22ㄱ〉.
니르위리로소니 주099)
니르위리로소니
이를 것이니. 니르-+우+이+리+돗+오+니. ‘니르위-’는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니르위- : 夾輔 네 모매 니르위요 기들우노라(夾輔待所致)「送從弟亞赴河西判官」〈두시22:36ㄴ〉 / 님그믈 니르위여 블근 欄檻을 것고(致君丹檻折)「聞高常侍亡」〈두시24:54ㄱ〉.
九萬里 가 일로브터 주100)
일로브터
이로부터.
닐리로다 주101)
닐리로다
이를 것이구나. 니르-+ㄹ#이+도+다.

【한자음】 입막제언집 갈현고선의 건등좌가치 구만기어사
【언해역】 막부에 들어가 여러 선비가 모여 있으니 현인을 갈망함에 높이 가려 뽑음이 당연하네. 날아오름을 앉아서 능히 다다를 것이니 구만리 감을 이로부터 일으킬 것이네.
【현대역】 막부에 들어가면 여러 선비가 모여 있겠지만 어진 인재를 갈망하니 그대 높이 뽑혀 마땅하구나. 높이 솟아오름을 앉아서도 이룰 수 있으니 구만리 날아오름이 여기서 시작되리라.【군왕(君王) 어진 이를 구하고자 하는 것을 목마를 때 최군(崔君)이 마땅히 우수하게 선발된 것이니 구만리를 높이 나는 붕새와 같다고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나라가 인재를 필요로 할 때 최공보가 선발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復進出矛戟 주102)
모극(矛戟)
병기(兵器). 모(矛)는 긴 자루 끝에 날을 단 병기고, 극(戟)은 양쪽으로 날이 있는 병기다.
昭然開鼎彛 주103)
정이(鼎彛)
고대(古代)에 사용한 제기(祭器). 정(鼎)은 솥, 이(彛)는 술병으로 모두 제기(祭器) 이름이다. 표면에 공(功)이 있는 사람의 사적(事績)을 기록해 놓았다.
【言崔君이 後當擁節鉞而銘功鐘鼎也ㅣ라】

나가 주104)
나가
나아가. 낫-+아+가-+아.
矛戟 가지고 나리니 주105)
나리니
날 것이니. 나-+리+니.
번드기 주106)
번드기
분명히. 반드시. 번득+이. ¶사미 번드기 수  時節은 正法이라 고〈석상9:2ㄱ〉 / 번드기 밧 것 求호믈 닛곡(炯然忘外求)「鳳凰臺」〈두시17:1ㄴ〉.
鼎彛예 열리로다 주107)
열리로다
열릴 것이다.

【한자음】 부진출모극 소연개정이
【언해역】 또 나아가 창을 가지고 나갈 것이니 분명히 솥과 술그릇이 펼쳐질 것이네.
【현대역】 또 나아가 창과 같은 뛰어남을 보이리니 분명히 솥과 술그릇이 펼쳐지리라.【최군(崔君)이 후에 절월(節鉞)을 받아 큰 종이나 솥에 공을 새길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최공보가 앞으로 절월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펼칠 것이라 말한 것이다.

會看之子貴 嘆及老夫衰之子 주108)
지자(之子)
최군(崔君). 평사(評事) 최공(崔公)을 말한다.
 指崔君다 老夫 주109)
노부(老夫)
두보 자신.
ㅣ라】

모로매 주110)
모로매
모름지기.
그듸의 주111)
그듸의
그대의. ‘그듸’는 ‘너’보다 상대방을 조금 높여 대우하는 2인칭 대명사이다. 15세기에 ‘그듸, 그, 그디’가 쓰였는데 점차 ‘그’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가 같이 쓰였다. ¶그듸 : 耶輸는 겨지비라 法을 모 즐급 드리워 온 들 몯 러 리니 그듸 가아 아라듣게 니르라〈석상6:6ㄴ〉 / 그듸의 苦왼 디 글 짓논 젼로 여위욘 고 아노니(知君苦思緣詩瘦)「暮登···十迪」〈두시9:39ㄱ〉 / 그ᄃᆡ : 그 爲야 波羅蜜 서 지시니라〈금삼3:57ㄴ〉 / 그 보디 아니다 益州城ㅅ 西녁 門ㅅ 길 우희 돌로 론 笋이 둘히 노피 蹲踞얫도다(君不見益州城西門 陌上石笋雙高蹲)「石笋行」〈두시3:70ㄱ〉.
貴호 보리니 주112)
보리니
볼 것이니.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0:50ㄱ

노 주113)
노
놈의. 놈+ᄋᆡ. ‘놈’은 현대국어와 같이 낮추어 부르는 말은 아니다. ¶놈 : 者 노미라〈훈언2ㄱ〉 /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언2ㄴ〉 /  노미 몬져 갈 가지고 춤 처(一夫先舞劒)「陪栢中丞觀宴將士二首」〈두시5:51ㄴ〉.
衰殘호매 嗟嘆호 주114)
차탄(嗟嘆)호
차탄함을. 탄식함을.
미처 주115)
미처
미치어. 미치-+어. ‘미치-’는 ‘어디에 미치다[及]’의 뜻을 가진 동사와 ‘정신이 이상하다[狂]’의 뜻을 가진 동사가 있다. ¶미치-[及] : 須彌山 둘어 밧긔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山 몯 밋니라(環須彌之外야 有土山黑山호 而堅大ㅣ 不及鐵圍며 大海之內예 有十寶山호 而貴高ㅣ 不及須彌니라)〈석상20:21ㄴ〉 / 뉘 닐오 녀뇨미  밋디 몯다 뇨(誰雲行不逮)「秋日~一百韻」〈두시20:10ㄱ〉 / 미치-[狂] : 鹿皮 옷 니브샤 미친 사 티 묏고래 수머 겨샤〈석상6:4ㄴ〉 / 미친 노미 늘거도  미츄믈 내 웃노라(自笑狂夫老更狂)「狂夫」〈두시7:2ㄴ〉.
노라

【한자음】 회간지자귀 탄급노부쇠
【언해역】 모름지기 나는 그대의 귀함을 볼 것인데 그대는 나의 쇠잔함에 생각이 닿을 것을 탄식하노라.
【현대역】 응당 나는 귀해진 그대를 볼 터인데 노부의 쇠락함을 탄식하겠지.【지자(之子)는 최군(崔君)을 가리킨다. 노부(老夫)는 두보이다.】
【구절풀이】 최공보는 구한 사람이 될 터이지만 두보 자신은 점점 더 쇠락해짐을 말한다.

豈但江曾決 還思霧一披랑논 주116)
랑논
생각하는. ᄉᆞ랑#ᄒᆞ-+ᄂᆞ+오+ㄴ.
시름 주117)
시름
시름. 걱정. ‘시름’은 ‘걱정하다’의 뜻인 ‘실-’의 파생명사이다. 참조. 실-. 시름-. 시름외-. 시름도외-. 시름외-. 시름도이. ¶실- : 모 다가 몯야 시르며 울어 帝釋이 婆羅門身이 외야 닐오〈원각 하3-1:88ㄱ〉 / 치운 구루메  누니 뫼해 야슈믈 시르며 對얏노라(愁對寒雲白滿山)「至日遣興奉寄北省舊閣老兩院故人二首」〈두시11:35ㄴ〉 / 시름 : 無憂는 시름 업슬 씨니 이 王 날 쩌긔 어마니미 시름 업슬 無憂ㅣ라 니라〈석상23:32ㄴ〉 / 도게 뎌실 젯 시름을 도로혀 랑고(翻思在賊愁)「北征」〈중간두시1:7ㄱ〉 / 시름- : 須達이 지븨 도라와  무든 옷 닙고 시름야 잇더니〈석상6:27ㄱ〉 / 憂는 시름 씨오〈월석2:22ㄴ〉 / 恍惚 매 시름야 어즐 시라「北征」〈중간두시1:2ㄱ〉 / 시름외- : 시름왼 돌 양 改變놋다(慘慘石狀變)「積草嶺」〈중간두시1:23ㄱ〉 / 시름도외- : 士 시름도 일란 天下앳 사믜게셔 몬져 시름고〈번소10:20ㄴ〉 / 將軍 시름도왼  허러 리디 말라(將軍且莫破愁顏)「諸將五首」〈두시5:44ㄴ〉 / 시름ᄃᆡ외- : 노피 乾坤을 보니  可히 시름외니(高視乾坤又可愁)「相從歌贈嚴二別駕」〈두시25:31ㄱ〉 / 시름도이- : 시름도이 絶境 리고(忡忡去絕境)「發同谷縣」〈중간두시1:26ㄱ〉.
보와 주118)
보와
보아. 보-+오+아.
 주119)

마음.
훤호미 주120)
훤호미
훤함이. 훤#ᄒᆞ-+오+ㅁ+이.
雲霧 허혀고 주121)
운무(雲霧) 허혀고
구름과 안개를 헤치고. 허혀-+고. 헤-+-혀-+고. ‘어떤 것의 사이를 벌리다’의 뜻의 ‘허혀-’는 ‘헤-’와 접미사 ‘혀-’로 이루어진 파생동사로서 ‘허-’는 어간 ‘헤’의 일부인 하향이중모음 ‘ㅣ’가 탈락한 형태이다. 『두시언해』에서는 단어의 일부인 하향이중모음이 탈락한 형태를 자유변이형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참조. 헤-. 헤티-. 헤혀-. 헤-. 허혀-. 헤여디-. 허여디-. 헤듣-. 해디르-. 헤니-. 헤-. 헤므르-. 헤-. 헤부치-. 헤불-. 헤-. 헤-. 헤리-. ¶헤- : 믈 헤여 걷나샤〈월석22:6ㄴ〉 / 귀푸 예로브터 헤요리라(恐懼從此數)「龍門閣」〈중간두시1:32ㄴ〉 / 헤티- : 그 믈 헤텨 여러 훤히 게  後에〈능엄1:107ㄴ〉 / 彼敵 헤튜 살 가 오미라와 더으니라(破敵過箭疾)「北征」〈중간두시1:8ㄱ〉 / 헤혀- : 니블을 헤혀 보니〈번소9:62ㄱ〉 / 헤여- : 옷가 헤여셔 鄭僑 어도라(披襟得鄭僑)「奉贈盧五丈參謀琚」〈두시20:45ㄴ〉 / 헤- : 그기 수믄 行陰이 이 헤 나타니라〈능엄10:3ㄴ〉 / 허혀- : 헤혐- : 오직 옷가 헤혐호 니기고(只作披衣慣)「漫成二首」〈두시10:5ㄱ〉 / 헤여디- : 옷 헤여디게 말며〈소학2:59ㄴ〉 / 구룸과 비와 티 헤여딜 고 아디 몯야(不知雲雨散)「渝州候嚴六侍御不到先下峽」〈중간두시2:5ㄱ〉 / 허여디- :  므디 아니며 븟디 아니며 허여디디 아니며 알디 아니니라〈구급방 하65ㄴ〉 / 平 므리 허여디미 잇디 아니면(不有平川决)「大曆三年春에 白帝城에 放船야 出瞿塘峽노라 久居夔府다가 將適江陵 漂泊有詩니 凡四十韻이라」〈중간두시2:8ㄱ〉 / 헤듣- : 와 고기왜 헤드루믄 法倒 가비시니〈법화2:111ㄴ〉 / 헤디르- : 騖 헤디를 무 / 헤니- : 둘짯 句 東西南北에 헤닐시라〈남명 하45ㄴ〉 / 헤- :  이 兩頭에 헤〈선가58ㄱ〉 / 귓거시 헤라 굴허 어즈러우니(鋩鍔已瑩虛秋濤)「荊南兵馬使太常卿趙公大食刀歌」〈두시16:55ㄱ〉 / 헤므르- : 나 根身을 자바 디녀 헤믈어 허디 아니케  씨오〈월석11:52ㄱ〉 / 헤부치- : 헤불- : 라미 니러나 뫼콰 돌콰 헤부러 오면〈몽육15ㄱ〉 / 미 치운  헤부루믈 더듸 놋다(風破寒江遲)「蘇大侍御訪江浦賦八韻記異并序」〈두시19:25ㄴ〉 / 헤잊- : 모로매 이  헤이즐 毛質이 잇니라(會是排風有毛質)「醉歌行」〈두시8:31ㄱ〉 / 헤- : 千騎ㅣ 양 므를 헤놋다(千騎常撇烈)「留花門」〈중간두시4:14ㄱ〉 / 헤- : 皇皇 [헤 양이라]〈소학4:23ㄱ〉 / 헤- : 헤리- : 용쇽 관원의 가지로 우으며 헤리 배 진실로 일로 말암애니라〈소학5:108ㄱ〉.
하 봄 니라 주122)
니라
같으니라. 같네. ᄀᆞᆮ#ᄒᆞ-+니+라.
此 言豈特曾與崔로 談論이 如決江河而已리오 今又思相見也ㅣ라】

엇뎨 주123)
엇뎨
어찌.
갓 주124)
갓
헛되이. 공연히. 『두시언해』의 ‘갓’은 원문의 ‘空, 徒’의 번역으로 가장 많이 쓰이며, 그 외에도 ‘惟, 獨, 只, 唯, 但’ ‘漫’ 등의 번역으로 쓰이는데, 선행하는 ‘엇뎨’나 후행하는 ‘, ’ 등과 호응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갓 :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13:39ㄱ〉 / 엇뎨 갓 高祖ㅅ 聖德 니리오 功이 蕭何 曹參의 도오로브터 오니라(豈惟高祖聖 功自蕭曹來)「述古三首」〈두시3:56ㄴ〉.
 주125)

강을. ᄀᆞᄅᆞᆷ+ᄋᆞᆯ.
일즉 주126)
일즉
일찍이. 참조. 일. ¶일즉 : 알 비록 이쇼매 리디 아니나 일즉 업디 아니홈 아니오〈반야53ㄱ〉 / 일즉 椽吏 외야 三輔애 가 뇨니(曾爲椽吏趨三輔)「峽中覽物」〈두시3:37ㄱ〉 / 일 : 그 어버 졈고 식 업시 일 홀어미 도 주를 에엿비 녀겨〈번소9:56ㄴ〉 / 天山앤 일 화 거렛도다(天山早掛弓)「投贈···二十韻」〈두시5:41ㄴ〉.
헤틸 주127)
헤틸
풀어헤칠. 헤-+티+ㄹ. 위의 예문 참조.
리오 주128)
리오
듯하리오. 듯하겠는가. ᄃᆞᆺ#ᄒᆞ-+리+오.
도로혀 주129)
도로혀
돌려. 돌-+오+혀-+어. ‘도로혀’는 ‘돌리다’의 뜻과 ‘도리어’의 뜻이 있다. 이에 반해 ‘도혀’는 ‘도리어’의 뜻으로만 쓰인다. 그러나 『두시언해』 번각본에서는 전부 ‘도로혀’로 바뀌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없어지게 되었다. ¶도로혀(돌려) : 디나 그려기와 가 가마괴예 외오 머리 도로혀 보놋다(過鴈歸鴉錯回首)「呀鶻行」〈두시17:9ㄱ〉 / 도로혀(도리어) : 기 여 도로혀 모 맛날 고 아디 몯호라(不知雞賣還遭烹)「縛雞行」〈두시17:14ㄴ〉 / 도혀(도리어) : 다가 變며 變티 아니호로 商量면  도혀 올티 몯리라〈금삼1:17ㄴ〉 / 져근 미 도혀 믌겨리 답사니(小江還積浪)「水宿···群公」〈두시3:19ㄴ〉.
雲霧 번 헤혀고져 주130)
헤혀고져
헤치고자. 풀어 당기고자. 열어 제치고자. 헤-+혀+고져. 위의 주석 참조.
다라 주131)
다라
생각하였다. ᄉᆞ라ᇰ#ᄒᆞ-+더+오+라.

【한자음】 기단강증결 환사무일피
【언해역】 어찌 한갓 일찍이 장강을 헤치고 나갈 듯만 하겠는가? 도리어 운무를 한 번 열어 제치던 것을 생각하였네.
【현대역】 어찌 다만 일찍이 장강 터지는 듯만 하겠는가? 또 안개가 한번 걷힌 듯이 그대 얼굴이 생각나 보고 싶네.【생각하는 걱정을 보고 마음 훤함이 운무를 헤치고 하늘 보는 것과 같으니라. 이는 일찍이 최공(崔公)과 나눈 담론이 장강(長江)이 황하(黃河)의 물이 터진 것 같았으므로 지금도 서로 그리워할 뿐이라고 그 특별함을 말한 것이다.】
【구절풀이】 일찍이 두보가 최공보와 나누던 이야기가 장강의 물과 황하의 물이 합해진 것과 같으므로 두 사람이 지금도 서로 그리워한다는 것을 말한다.

暗塵生古鏡 拂匣照西施 주132)
서시(西施)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왕비이자, 월(越)나라의 미인. 중국 미인의 화신과 같은 대명사이다.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비유한 말로 쓴 것이다.
【以况今又相見而襟懷開豁 주133)
금회개활(襟懷開豁)
마음이 넓게 열리다. 금회(襟懷)는 가슴속, 마음속을 의미하고, 개활(開豁)은 마음이 탁 트여서 넓음을 의미한다.
다】

어드운 주134)
어드운
어두운. 어듭-+은.
드트리 주135)
드트리
티끌이. 드틀+이.
거우루에 주136)
거우루에
거울에. 거우루+에.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쓰였다.
냇거 주137)
냇거
나 있거늘. 나-+아#잇-+거+ᄂᆞᆯ.
匣 러 주138)
러
털어. ᄠᅥᆯ-+어. ¶- : 摝  씨라〈월석1:월인석보 서9ㄱ〉 / 머릴 튜니 사뫼 기울오(掉頭紗帽側)「秋野五首」〈두시10:31ㄴ-32ㄱ〉 / -어 리- : 아랫 恩惠 니저 리샤 길  사과 티 너기시니〈석상6:5ㄱ〉 / 갈 혀 나 늘구믈 러 리노라(拔劒撥年衰)「夔府書懷四十韻」〈두시3:2ㄴ〉.
西施 비췬 주139)
비췬
비춘. 비취-+ㄴ. ‘비취-’는 “빛을 내는 대상이 다른 대상에 빛을 보내어 밝게 하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오늘날의 ‘비추-’에 대응된다. 15세기 국어의 ‘비취-’는 자타동 양용동사이다. ¶비취-(타동사) : 放光샤 四天王과 淨居天에 니르리 비취시니(便放身光照四天王 乃至淨居不令人見)〈석상3:25ㄱ〉 / 바 거두니 도로 나그내 비취오(捲簾還照客)「七月夜對月」〈두시12:7ㄱ〉 / 비취-(자동사) : 世尊하 如來 甚히 쉽디 몯야 功德 智慧ㅅ 젼로 頂上肉髻옛 光明이 빗내 비취시며(世尊하 如來ㅣ 甚希有샤 以功德智慧故로 頂上肉髻ㅣ 光明이 顯照시며)〈석상 21:46ㄴ〉 / 峽엣 구루믄 長常 바 비취옛고(峽雲常照夜)「獨坐二首」〈두시3:42ㄱ〉.
도다

【한자음】 암진생고경 불갑조서시
【언해역】 시커먼 티끌이 옛 거울에 묻었지만 상자를 털어 서시(西施)를 비추어 보는 듯하구나.
【현대역】 짙은 먼지가 옛 거울에 생겼지만 갑을 털고 서시 같은 그대를 비춰 보는 것 같구나.【다시 만나는 것이 가슴이 넓게 열리는 듯하다고 비유한 것이다.】
【구절풀이】 두보와 최공보가 다시 만날 일을 생각하면 흐뭇해진다는 말이다.

舅氏 주140)
구씨(舅氏)
외숙. 외가.
多人物 無慙困翮垂崔君 주141)
최군(崔君)
평사(評事) 최공보.
이 卽甫之舅也ㅣ라 其爲人物이 爲世所重者ㅣ 多니 終必飛騰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아자비 주142)
아자비
아저씨는. 아자비+ᄂᆞᆫ. ¶아자비 : 舅 아자비 구 伯 아자비  叔 아아자비 슉〈훈몽 상16ㄴ〉 / 내 아자비 符節 혀 가져 갯 히 갓가오니(諸舅剖符近)「入衡州」〈중간두시1:56ㄴ〉.
人物 議論호매 주143)
인물(人物) 의론(議論)호매
인물을 의논함에 있어서.
하니 주144)
하니
많으니.
困 주145)
곤(困)
피곤한.
개 주146)
개
날개. -+개. ‘-개’는 명사파생접미사로 ‘벼개, 노리개’ 등에도 쓰였다. 『두시언해』에서 ‘ᄂᆞᆯ개’는 ‘ᄂᆞ래’로도 쓰였다. ¶ᄂᆞᆯ개 : 金翅鳥ㅣ 龍 머 저기면 개로 바 텨든 므리 갈아디여〈월석25:30ㄱ〉 / 鳳凰 개예셔 비 노라(噀雨鳳凰翎)「奉酬···見贈」〈두시19:36ㄱ〉 / ᄂᆞ래 : 그 그려기 래 가 혀 디여 가 슬피 울며 반겨거늘〈월석22:62ㄴ〉 /  블근  짓과 래왜 나미 이시면(更肯紅顔生羽翼)「玉臺觀二首」〈두시9:40ㄱ〉.
드려쇼 주147)
드려쇼
드리워 있음을. 드리-+어#이시-+오+ㅁ+ᄋᆞᆯ. ¶드리- : 南北엣 두 雙이 어우러 가지 드리워 如來 둡고〈석상23:18ㄱ〉 / 가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淚痕血點垂胸臆)「柟木爲風雨所拔歎」〈두시6:41ㄴ〉.
붓그리디 말라 주148)
붓그리디 말라
부끄러워하지 말라. 붓그리-+디 말-+라. ‘붓그리-’는 동사로서, 파생형용사 ‘붓그럽-’과 다시 여기서 ‘-어 -’가 붙어 동사로 파생된 ‘붓그려-’가 있는데, 이러한 관계를 가진 일련의 동사들은 현대국어에서는 모두 소멸되고 오히려 ‘업’ 파생형용사에 ‘-어하-’가 붙어 파생된 동사인 ‘부끄러워하다’만 남은 경우가 많다. ¶붓그리- : 란 아니 닷고 오로 오 이 붓그리다니〈월천44ㄱ〉 / 몸 許요 雙南金에 가뵤 붓그리노라(許身媿比雙南金)「題省中院壁」〈두시6:14ㄱ〉 / 붓그럽- : 비록 큰 허므리 업슨 오 안로 매 붓그럽디 아니니여〈내훈3:27ㄴ〉 / 右ㅅ녁 히 붓그러온 나 幸호 하니라(右地恧多幸)「故右···九齡」〈두시24:41ㄴ〉 / 붓그려- :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 太子 절고 두루 돌며 붓그려더라〈석상3:8ㄱ〉 / 늘근 원두리 기리 붓그려노라(老圃永爲恥)「種萵茞幷序」〈두시16:67ㄱ〉.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구씨다인물 무참곤핵수
【언해역】 외가에는 인물 의논할 만한 이가 많으니 피곤한 날개를 드리우고 있음을 부끄러워하지 말라.
【현대역】 외가에는 인물이 많아 힘든 날개 드리우고 있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네.【최군(崔君)은 두보의 외가사람이다. 사람들 중에 세상을 중하게 여기는 사람이 많으니 마침내는 반드시 날아오를 것이다.】
【구절풀이】 최공보의 외가에는 두보 자신도 있어 날개를 감추고 있음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말이다.
Ⓒ 역자 | 김성주 / 201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증최십삼평사공보(贈崔十三評事公輔) : 평사 최 공보에게 드리며. 최 공보가 금위군의 교관으로서 장안으로부터 부임한 것을 축하하며 증정한 시이다. 766년 봄 기주에서 지어졌다. ‘증(贈)’은 ‘보내다’라는 말이며, ‘십삼(十三)’은 배행(排行)이다. 평사(評事)는 대리시(大理寺)에 속한 관직명으로 종9품 상(上)에 해당한다.
주002)
최(崔) : 최공보(崔公輔). 두보의 외사촌.
주003)
표요(飄颻) : 날아가는 모습.
주004)
서극(西極) : 서쪽 끝 땅.
주005)
악와(渥洼) : 중국의 하천 이름. 중국 감숙성(甘肅省) 안서현(安西縣) 부근에 있는 하천 이름이다. 이곳은 전설상에 신령스런 말이 나는 곳으로 한나라의 무제(武帝)가 신마(神馬)를 얻은 곳이다.
주006)
악와(渥洼)ㅅ 모로브테오 : 악와지(渥洼池)로부터이고. 渥洼+ㅅ 못+ᄋᆞ로+브터+이+고.
주007)
삽습(颯飁) : 거세게 부는 바람.
주008)
정산(定山) : 『구가집두시』에는 한산(寒山)이라고 해야 한다고 되어 있고, 『보주두시』사(師)씨의 주는 등산(鄧山)으로 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등산(鄧山)의 숲에 계수나무가 있기 때문이라고 되어 있다.
주009)
계수(桂樹) : 계수나무는.
주010)
비옛 : 바람비의. 비바람의.
주011)
얫도다 : 나직하게 있도다. 나직하게 있네. ¶ᄂᆞᄌᆞᆨᄒᆞ- : 謙遜 辭讓야  씨라〈월석23:31ㄴ〉 / 宮읫 구루믄 殿에 으러 얫도다(宮雲去殿低)「晩出左掖」〈두시6:15ㄱ〉.
주012)
신룡(神龍) : 신묘(神妙)한 용(龍).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비유한 것이다.
주013)
나 드로니 : 내가 듣건대. 나+ᄂᆞᆫ 듣-+오+니.
주014)
구버쇼 : 굽어 있음은. 굽-+어#시-+오+ㅁ+ᄋᆞᆫ. ‘굽-’은 ‘곱-’으로도 쓰였다. ‘굽다’는 자타동 양용동사의 타동사 용법이다. ¶굽-(타동사) : 諸天이 곳 비터니 無憂樹ㅅ 가지 절로 구버 오나 夫人이 올 소로 가질 자샤〈월석2:36ㄱ〉 / 모 구버 旗 아 야 보노라(俯身試搴旗)「前出塞九首」〈두시5:26ㄴ〉 / (자동사) : 나못가지 구버 와  光 리더라〈석상3:15ㄴ〉 / 구버 坤軸ㅣ 바라올가 전노라(俯恐坤軸弱)「靑陽峽」〈중간두시1:21ㄱ〉.
주015)
엇뎨리오 : 어찌하겠는가? 엇뎨#ᄒᆞ-+리+오.
주016)
원융(元戎) : 군사(君師)의 통솔자. 여기서는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주017)
왕사례(王思禮) : 당나라 때의 현신. 두보는 「팔애시(八哀詩)」중 「증사공왕공사례(贈司空王公思禮)」에서 “사공출동이 동치쇄공핵(司空出東夷 童稚刷糼翮)”라고 썼다. 뜻은 “사공이 동이 지역으로 출정 갈 때에, 어린 종이 굳센 날개 번쩍이게 닦았다네.”이다. 왕사례는 당시 우림군(羽林軍)의 장수였다.
주018)
절도사(節度使) : 관직 이름. 당 예종(睿宗) 경운(景雲) 2년(711) 처음 설치했다. 천보(天寶) 초, 안서(安西), 북정(北庭), 하서(河西) 등 9개의 변방 지역에 설치하면서 관직을 제수 받은 사람에게 쌍정쌍절(雙旌雙節)을 하사하고, 그 지방의 군․민․재정을 총괄토록 했다.
주019)
막직(幕職) : 막료(幕僚)의 직책. 막료는 장군의 막부에서 참모 구실을 하던 직책이다. 자리가 보통 막부에 설치되어 있어 막료라고 했다.
주020)
블로미 : 부름이. 브르-+오+ㅁ+이.
주021)
사미 : 사람만이.
주022)
알리로다 : 알 것이도다. 알 것이네.
주023)
관련(官聯) : 관직(官職).
주024)
용장(冗長) : 번거로울 정도로 많다. 여기서는 번거로울 정도로 많은 벼슬을 뜻하므로 한직(閑職)을 의미하며 최공(崔公)의 벼슬이었던 평사(評事)를 말한다.
주025)
세기위(洗欹危) : 위태로움을 씻어내다. 여기서는 위태로운 상황을 면했다는 뜻이다.
주026)
평사(評事) :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 설치한 관직명. 종9품 상(上)에 해당한다.
주027)
관련(官聯)을 : 관직을.
주028)
어즈러우믈 : 어지러움을. 어즈럽-+우+ㅁ+을. ¶어즈럽- : 亂 어즈러 씨라〈석상13:22ㄴ〉 / 미 어즈럽건디 마 오랄 니라(心緒亂已久)「前出塞九首」〈두시5:26ㄴ〉.
주029)
말리로소니 : 말 것이니. 말-+리+도+ㅅ+오+니. ‘-리로소니’를 가진 예문은 15세기에 많지만 ‘말리로소니’는 『두시언해』에서만 보인다. ¶-이로소니 : 王子ㅅ 命이 닐웻 부니로소니 아례나   노라 리다(當就於死努力恣情五欲自娛)〈석상24:28ㄱ〉 / -리로소니 : 녯 功業을  말리로소니(素業行已矣)「秋日荊南述懷三十韻」〈두시3:8ㄴ〉.
주030)
녀가 : 가는. 녀-+가-+ᄂᆞᆫ.
주031)
길헤 : 길에.
주032)
의위(欹危)호 : 위태로움을.
주033)
시스리로다 : 씻을 것이도다. 씻을 것이네. 15세기에는 ‘싯-’만 쓰이다가 근대국어부터 ‘씻-’이 쓰이며, 각자병서와 합용병서의 혼동으로 ‘-’ 표기도 보인다. 사동사와 피동사는 ‘싯기-’로 같은 형태이다. ¶싯- : 옷 며 발 싯고 니거늘〈석상11:25ㄱ〉 / 東海 기우려 乾坤 싯고져 노라(欲傾東海洗乾坤)「追酬···見寄」〈두시11:7ㄱ〉 / 싯기-(사동사) : 그  王과 上座와 比丘히 香湯로 菩提樹를 싯기니〈석상24:48ㄱ〉 / 믈 데여 내 발 싯기고(煖湯濯我足)「彭衙行」〈중간두시1:13ㄱ〉 / 싯기-(피동사) : 溫水 冷水로 左右에 리와 九龍이 모다 싯기니〈월천8ㄱ〉 / 불휘 믌 미틔 싯기여 그처디니 엇뎨 하 디시리오(根斷泉源豈天意)「柟木爲風雨所拔歎」〈두시6:41ㄱ〉 / - : 악명을 고져 아니랴마〈서궁28ㄴ〉 / 씻- : 내  씻쟈〈청노4:13ㄴ〉.
주034)
주인(主人) : 한 집안이나 집단의 책임자.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추천한 원융(元戎)인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주035)
갈 : 칼을.
주036)
글어 : 풀어. 끌러. 그르-+어. ¶그르- : 今日 身心이 어늬 이  거시며 므스글 브터 일후미 글우미고(今日身心이 云何是結이며 從何名解고)〈능엄5:3ㄱ〉 / 龜印을 글우메 프른 프리 나니(解龜生碧草)「哭王彭州掄」〈두시24:56ㄱ〉.
주037)
주니 : 주니.
주038)
돗 : 돛에는. ᄇᆡᆺ도ᇧ+ᄋᆡ+ㄴ. +ㅅ+. ‘’은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두보는 성도 초당을 떠난 이후로는 민강(岷江), 장강(長江), 상강(湘江) 등을 배로 여행하면서 시를 지었으므로 배에 관련된 어휘들이 많다. 대표적인 어휘들로는 ‘대, , 머리, 시울, 줄’ 등이 있다. ¶ : 닐웨예 닐굽 솨줄 그처  우희 고  보아 돗 드니〈월석22:38ㄱ〉 /  : 맷 돗란 驛亭 혜다라(風帆數驛亭)「喜觀···二首」〈두시8:39ㄴ〉 / 대 : 城에 비츤 가마괴 사굔 대 避놋다(城日避烏檣)「遣悶」〈두시3:11ㄴ-12ㄱ〉 / 머리 :  두르힐후며 머리 여룸 로미 神奇외요미 잇도다(捩柁開頭捷有神)「撥悶」〈두시3:32ㄴ〉 / ᄇᆡᆾ :  달홀 사미 마  피니(長年已省柁)「敬寄族弟唐十八使君」〈두시8:54ㄱ〉 / 시울 : 시우를 다시 타 두드리디 몯호니(船舷不重扣)「破船」〈두시6:44ㄴ〉 / 줄 : 錦으로 혼 줄와 엄  대예  며기 니더니라(錦纜牙檣起白鷗)「秋興五首」〈두시6:9ㄴ〉.
주039)
비치 : 봄빛이.
주040)
좃놋다 : 쫓는구나. 좇-+ᄂᆞ+옷+다. ¶좇- : 上慢 사미 信야 降伏야 좃며〈월석17:75ㄱ〉 / 져머셔 주그니 무두므란 潘岳 이 조차 고(瘞夭追潘岳)「風疾이어~三十六韻이라」〈두시3:17ㄱ〉.
주041)
철봉(鐵鳳) : 궁궐에 장식한 봉황.
주042)
운대(雲臺) : 한나라 궁중에 있는 높은 누대의 이름. 한나라 명제(明帝)가 전대의 공신들을 추념(追念)하여 28명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능연각(凌烟閣)이라고도 불렀다. 이후 운대(雲臺)는 공신과 명장을 추념하는 장소가 되었다. 당나라 태종 정관 17년(643) 염립본(閻立本)에게 명해 개국척강공신 24명의 그림을 능연각에 두도록 했다. ‘운(雲)’이 ‘윤(輪)’으로 된 판본도 있다.
주043)
어듭고 : 어둡고.
주044)
철봉(鐵鳳)ㅅ 궁궐(宮闕)에 : 철봉황(鐵鳳凰)의 궁궐에. 즉 철봉황이 장식된 궁궐에.
주045)
우림(羽林) : 우림군(羽林軍). 당나라의 군대 이름으로 궁중의 숙위(宿衛)를 맡아보던 금위(禁衛)이다.
주046)
교련(敎練)니 : 훈련시키니.
주047)
일 호 : 일찍 함을. 일(부사) ᄒᆞ-+오+ㅁ+ᄋᆞᆯ.
주048)
조 : 자주. ᄌᆞᆽ-+오(부사화접미사). ¶ᄌᆞ조 : 太子ㅣ 조 王 出家야지다 거시〈석상3:23ㄱ〉 / 鍾鼎에 사교 조 보노니(數見銘鍾鼎)「秋日···三十韻」〈두시3:10ㄴ〉.
주049)
옮기시놋다 : 옮기시는구나.
주050)
군(軍)을 화 : 군대를 나누어.
주051)
응당(應當)니 : 응당 해야 하니. 하는 것이 필수적이니.
주052)
지리(支離)놋다 : 떠돌며 괴롭구나.
주053)
할리(黠吏) : 교활한 관리(官吏).
주054)
봉기(封己) : 자기를 후하게 하다.
주055)
간힐(奸黠) : 간사(奸邪)하고 꾀바름.
주056)
자유(雌柔) : 부드러움. 자(雌)는 약한 것을 뜻하는 말이다.
주057)
인(因)야 : 인하여. 즉 군대에 군수품을 공급하는 것을 이용하여.
주058)
제 : 자기의. 저+ㅣ(속격).
주059)
둗거이 : 두껍게. 둗겁-[厚]+이. ‘둗거’식으로 쓰이다가 〈능엄경언해〉(1461)부터 ‘ㅸ→오/우/ㅇ’ 표기원칙에 따라 이처럼 쓰인다. ‘둗거이’는 『두시언해』에서 ‘돋가이’로도 쓰인다. ¶둗거이 : 親히 둗거이 야 便安야 怯 업게 니라〈법화2:212ㄱ〉 / 道義 守야 모 둗거이 아니니라(守道不封已)「種萵茞幷序」〈두시16:67ㄱ〉 / 돋가이 : 뎍글 돋가이 며 티 아니호미〈번소6:12ㄱ〉 / 孝道로 다료로 나랏 政事 돋가이 시고(孝理敦國政)「橋陵詩三十韻因呈縣內諸官」〈두시6:18ㄱ〉 / 둗겁- : 우리히 아랫 福이 깁고 둗거 佛法을 맛나니〈석상21:39ㄴ〉 / 비치 둗겁거든 해 가   머믈오고(春濃停野騎)「懷灞上遊」〈두시3:39ㄱ〉.
주060)
그딋 : 그대의.
주061)
자유(雌柔)호 : 부드러움을.
주062)
수(守)라 : 지켜라. 지키네.
주063)
연왕(燕王) : 전국시대(戰國時代) 연(燕)나라 왕.
주064)
웅비(熊羆) : 곰. 맹수(猛獸)의 하나로 쓸개는 약용으로 이용한다.
주065)
연소왕(燕昭王) : ?~서기전279. 전국시대 연나라의 임금. 쾌(噲)의 아들로, 이름은 평(平)이다. 곽외(郭隗), 추연(鄒衍), 낙의(樂毅) 등 어진 선비를 초빙하여 부왕(父王) 때 잃었던 땅을 제(齊)나라로부터 되찾았다. 33년 동안 재위했다.
주066)
득웅비(得熊羆) 견상백운시주(見上百韻詩註)니 : 득웅비는 위의 백운시(百韻詩)의 주를 보라는 말이다. ‘백운시’는 『두시언해』 권20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 ‘추일기부영회봉기정감심이빈객지방일백운(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審李賓客之芳一百韻)’을 말하는데 정작 ‘백운시’의 주석은 찾을 수 없다. 이런 경우는 ‘팔수(八水)’에 대한 주석에서도 확인된다.
주067)
평사(評事)의 견용야(見用也) : 평사의 쓰임을 당하다. 평사는 최공(崔公)이다. 따라서 최공이 기용됨을 말한 것이다.
주068)
늘그닐 : 늙은이를. 늙-+은#이+ㄹ.
주069)
어드니라 : 얻으니라. 얻네. 얻-+으니+라.
주070)
한고(漢高) : 한나라 고조(高祖) 즉 유방(劉邦). 전한(前漢)의 초대황제(初代皇帝)로 자(字)는 계(季, 서기전256~서기전195), 이름은 유방(劉邦)이다.
주071)
한신(韓信) : ?~서기전196. 전한 초기 회음(淮陰) 사람. 진 2세(秦二世) 2년(서기전208) 항량(項梁)과 항우(項羽)를 따라 낭중(郞中)이 되었지만 중용되지 못했다.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망명하여 연오(連敖)와 치속도위(治粟都尉)에 임명되었다. 소하(蕭何)에게 인정을 받아 그의 추천으로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다. 유방에게 동쪽으로 향해 천하를 도모할 것을 건의하고, 군대를 이끌고 위(魏)와 대(代)를 격파한 뒤 연(燕)을 함락시키고 제(齊)를 취했다. 한나라 4년(서기전203) 상국(相國)에 임명되고, 다음 해 제왕(齊王)이 되었다. 이어 유방과 함께 해하(垓下)에서 항우를 포위해 죽였다. 전한이 성립되자 초왕(楚王)이 되고, 하비(下邳)에 도읍을 정했다. 그러나 한 제국(漢帝國)의 권력이 확립되자 차차 밀려나, 누군가 그가 모반을 꾀한다고 고발하니 유방이 운몽(雲夢)으로 외유(外遊)를 나온 것처럼 꾸며 체포하고 6년(서기전201) 회음후(淮陰侯)로 강등되었다. 고조 10년(서기전197) 진희(陳豨)가 반란을 일으키자 몰래 내통하여 호응하려고 했는데 사인(舍人)이 그가 병사를 일으켜 여후(呂后)와 태자(太子)를 습격하려 한다고 고발해 버렸다. 여후와 상국 소하의 계략에 걸려 장락궁(長樂宮)으로 유인당한 뒤 살해당했다.
주072)
사례(思禮) : 왕사례(王思禮). 당나라 때의 현신(賢臣). 두보는 「팔애시(八哀詩)」의 「증사공왕공사례(贈司空王公思禮)」에서, “사공이 동이 지역으로 출정 갈 때에, 어린 종이 굳센 날개 번쩍이게 닦았다네.”라고 썼다. 왕사례는 당시 우림군(羽林軍)의 장수였다.
주073)
사 : 살릴. 살-+(사동접사)+. ‘사-’는 ‘살이-’와 함께 ‘살-’의 사동사이다. 전자는 ‘목숨을 살리다’의 뜻이고, 후자는 ‘어디에 살게 하다’ 즉 ‘거주하다’의 뜻이다. ¶사- : 과이 모기 브 져근 더데 사디 몯게 외어든〈구간2:66ㄴ〉 / 聖人 筐篚 주시 恩惠 真實로 나라 사과여 시니(聖人筐篚恩 實欲邦國活)「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중간두시2:35ㄱ〉 / 살이- : 器量이 어위큰 사을 야 살이고 治事齋예 게 살이 사미 각각  이 다리고〈번소9:10ㄴ〉 / 吳ㅅ 周瑜ㅣ 孫策 집 주어 살이고「贈秘書監 江夏李公邕이라」〈두시24:27ㄴ〉 / 살- : 며 無數劫에 주그락 살락 야 그지 업슨 受苦호미 엇더뇨〈석상24:29ㄱ〉 / 나 굴 南녀긔 살오 그듸 굴 北녀기로다(我居巷南子巷北)「偪側行」〈두시25:40ㄱ〉 / 사잡- : 즉자히 毗摩質多阿脩羅 사자바 얽야 가져오거든〈월석11:30ㄴ〉 / 候景 사잡디 몯얏도다(侯景未生擒)「風疾이어 舟中伏枕書懷야 呈湖南親友논 三十六韻이라」〈두시3:18ㄱ〉 / 사자피- : 왜적의 사자핀 배 되여 믈의 뎌 주그니라〈동신열4:65ㄴ〉.
주074)
뭀 : 무리의. 뭇. 물+ㅅ. ‘물’은 ‘무리’의 뜻으로 15세기에서는 ‘물, 믈, 무리, 므리’의 형태로 쓰였다. ¶물 : 버거 鬱卑迦葉三兄弟의 물 一千 사 濟渡시며〈석상6:18ㄴ〉 / 다 가짓 비치 너희 물 아니가(五色非爾曹)「送重···南海」〈두시8:56ㄴ〉 / 믈 : 特은  므리예 로 다 씨라〈석상6:7ㄱ〉 / 무리 : 六師 무리 閻浮提예 야도 내 바랫  터리 몯 무으리니〈석상6:27ㄱ〉 / 이 글 崔魏 무리(斯文崔魏徒)「壯遊」〈중간두시2:38ㄱ〉 / 므리 : 特은  므리예 로 다 씨라〈석상6:7ㄱ〉.
주075)
의심(疑心)ᄒᆞ놋다 : 의심하는구나. 마음대로 날뛰지 못함을 말한다.
주076)
교리(蛟螭) : 교룡(蛟龍). 교(蛟)는 교룡(蛟龍), 이(螭)는 용(龍)처럼 생긴 것이다. 교(蛟)와 이(螭) 모두 아직 용이 되지 못한 상태의 동물이다.
주077)
원융(元戎) : 군사(君師)의 통솔자. 여기서는 왕사례(王思禮)를 말한다.
주078)
군적(羣寇) : 많은 도적.
주079)
어름 : 얼음.
주080)
다 : 담은. 담-+ᄋᆞᆫ.
주081)
그르슨 : 그릇은.
주082)
뮈 : 움직이는. 흔들리는. 뮈-[動]+. 15세기의 ‘뮈-’는 자동사로만 쓰였다. ‘뮈우-’는 ‘뮈-’의 사동사이다. ¶뮈- : 聲聞 辟支佛 히 모미 뮈  몰라 니러 추믈 츠니〈석상11:15ㄱ〉 / 雄劒 가진 너덧 사미 뮈여 나니(雄劍四五動)「前出塞九首」〈두시5:29ㄱ〉 / 뮈우- : 識性을 뮈우디 아니고〈월석1:36ㄱ〉 / 늘근 나해 詩賦ㅣ 江關엣 들 뮈우니라(暮年詩賦動江關)「詠懷古跡三首」〈두시3:67ㄱ〉.
주083)
고 : 듯하고. ᄃᆞᆺ#ᄒᆞ-+고.
주084)
햇 : 들의. ᄆᆡㅎ+애+ㅅ.
주085)
므렌 : 물엔. 믈+에+ㄴ.
주086)
교리(蛟螭) 업도다 : 교룡이 없도다. 蛟螭+∅ 없-+도+다.
주087)
최군(崔君) : 평사(評事) 최공(崔公).
주088)
여붕지비등구만리야(如鵬之飛騰九萬里也) : 구만리(九萬里)를 높이 나는 붕새와 같다.
주089)
드러 : 들어. 들어가.
주090)
언사(彦士)ㅣ : 선비가.
주091)
모댓니 : 모여 있으니. 몯-+아#잇-+ᄂᆞ+니. ¶몯- : 王이 붑 텨 조 겻 사 다 모라 시고〈석상3:12ㄱ〉 / 盛 이리  모니 이 지븐 엇뎨 즈믄  니리오(盛事會一時 此堂豈千年)「陳拾遺故宅」〈두시3:65ㄱ〉.
주092)
현(賢)을 : 현인을.
주093)
노피 : 높이. 척도부사 ‘노피, 기피, 기리, 너비’는 부사화파생접미사 ‘-이’로 인한 파생어들이고, 척도명사 ‘기픠/, 노, 기릐, 너븨’는 명사파생접미사 ‘-/의’에 의한 파생어이다. ¶노피 : 他化自在天이 次第로 노피 이쇼〈월석1:32ㄱ〉 / 樓 우희 더운 하해 어름과 눈괘 나 니 노피  져비새 새로 지슈믈 慶賀다(樓上炎天冰雪生 高飛燕雀賀新成)「江陵節度陽城郡王~同作노라」〈두시14:11ㄱ〉 / 노 : 노 다 자히러라〈석상11:10ㄴ〉 / 願 노예 자만  어리 외이 녀 그려기 니 여가(願騰六尺馬 背若孤征鴻)「苦雨奉寄隴西公兼呈王徵士」〈두시12:17ㄴ〉 / 기피 : 禪定을 기피 다 五神通 得리도 보며〈석상13:20ㄴ〉 / 群公이 모다 힘니 님 혜아리샤 기피 머믈워 시놋다(群公紛戮力 聖慮窅裴佪)「秋日···三十韻」〈두시3:10ㄴ〉 / 기픠 : 한 비 리와 므리 下界예 야 기픠 十一億二萬由旬이러니〈월석1:39ㄴ〉 / 當時ㅅ 浣花ㅅ 리예 시냇 믌 기픠 아야라 자남즉 더니라(當時浣花穚 溪水纔尺餘)「漲溪」〈두시13:19ㄴ〉 / 기리 : 涅槃 닷가 苦樂 기리 여희리다〈석상11:3ㄱ〉 / 늘근 넉슬 블로 得지 몯리로소니 넉시 갈 길 기리 迷失가 저허노라(老魂招不得 歸路恐長迷)「散愁二首」〈두시3:33ㄴ〉 / 기릐 : 五色綵幡 로 기릐 마 아홉 揭手ㅣ오〈월석9:53ㄴ〉 / 禁掖ㅅ 다맷 대와 다맷 머귀 기릐 열 尋이로소니 훤 門이 누늘 相對야 녜 어득얫도다(掖垣竹埤梧十尋 洞門對雪常陰陰)「題省中院壁」〈두시6:13ㄴ〉 / 너비 : 이 經을 너비 펴며〈석상9:40ㄱ〉 / 所親이 머므러 브터쇼 묻니 너비 호매 내 衰朽 어엿비 너기놋다(所親問淹泊 汎愛惜衰朽)「奉贈李八丈判官」〈두시8:4ㄴ〉 / 너븨 : 그 제 閻浮提 히 기릐 十千 由旬이오 너븨 八千 由旬이오〈월석23:28ㄴ〉 / 프른 모시 너븨 萬 頃이 坤軸을 마 잇  어느 알리오(安知有蒼池 萬頃浸坤軸)「南池」〈두시13:15ㄱ〉.
주094)
요미 : 가림이. 구별함이. ᄀᆞᆯᄒᆡ-+오+ㅁ+이.
주095)
맛도다 : 당연하네. 맛다ᇰ#ᄒᆞ-+도+다. ¶맛- : 되의 목수믄 그 能히 오라리아 님 紀綱 그추미 맛티 아니커니녀(胡命其能久 皇綱未宜絕)「北征」〈중간두시1:8ㄴ〉 / 鍾鼎에 사교 조 보노니 眞實로 北斗ㅅ 벼 法 바도미 맛니라(數見銘鍾鼎 眞宜法斗魁)「秋日···三十韻」〈두시3:10ㄴ〉.
주096)
라 : 날아.
주097)
올오 : 오름을. 오ᄅᆞ-+오+ㅁ+ᄋᆞᆯ.
주098)
어루 : 가히. ‘可’의 번역으로 쓰인다. 15세기 문헌에 양이 적기는 하지만 ‘어로’형도 사용되었다. ¶어루 :  노다가 라면 어루 法을 호리이다〈석상6:11ㄴ〉 / 말며 아니호매 그틀 어루 알 거시라(語默可端倪)「水宿遣興奉呈群公」〈두시3:21ㄴ〉 / 어로 : 다가 能히 매 서르 體信면 어로 맛나 어더 어려미 업스리어늘〈월석13:32ㄱ〉 / 집 아래 어로 온 사미 들리로소니(下可容百人)「題衡···陸宰」〈두시6:22ㄱ〉.
주099)
니르위리로소니 : 이를 것이니. 니르-+우+이+리+돗+오+니. ‘니르위-’는 『두시언해』에서만 용례가 확인된다. ¶니르위- : 夾輔 네 모매 니르위요 기들우노라(夾輔待所致)「送從弟亞赴河西判官」〈두시22:36ㄴ〉 / 님그믈 니르위여 블근 欄檻을 것고(致君丹檻折)「聞高常侍亡」〈두시24:54ㄱ〉.
주100)
일로브터 : 이로부터.
주101)
닐리로다 : 이를 것이구나. 니르-+ㄹ#이+도+다.
주102)
모극(矛戟) : 병기(兵器). 모(矛)는 긴 자루 끝에 날을 단 병기고, 극(戟)은 양쪽으로 날이 있는 병기다.
주103)
정이(鼎彛) : 고대(古代)에 사용한 제기(祭器). 정(鼎)은 솥, 이(彛)는 술병으로 모두 제기(祭器) 이름이다. 표면에 공(功)이 있는 사람의 사적(事績)을 기록해 놓았다.
주104)
나가 : 나아가. 낫-+아+가-+아.
주105)
나리니 : 날 것이니. 나-+리+니.
주106)
번드기 : 분명히. 반드시. 번득+이. ¶사미 번드기 수  時節은 正法이라 고〈석상9:2ㄱ〉 / 번드기 밧 것 求호믈 닛곡(炯然忘外求)「鳳凰臺」〈두시17:1ㄴ〉.
주107)
열리로다 : 열릴 것이다.
주108)
지자(之子) : 최군(崔君). 평사(評事) 최공(崔公)을 말한다.
주109)
노부(老夫) : 두보 자신.
주110)
모로매 : 모름지기.
주111)
그듸의 : 그대의. ‘그듸’는 ‘너’보다 상대방을 조금 높여 대우하는 2인칭 대명사이다. 15세기에 ‘그듸, 그, 그디’가 쓰였는데 점차 ‘그’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두시언해』에서 ‘그듸’와 ‘그’가 같이 쓰였다. ¶그듸 : 耶輸는 겨지비라 法을 모 즐급 드리워 온 들 몯 러 리니 그듸 가아 아라듣게 니르라〈석상6:6ㄴ〉 / 그듸의 苦왼 디 글 짓논 젼로 여위욘 고 아노니(知君苦思緣詩瘦)「暮登···十迪」〈두시9:39ㄱ〉 / 그ᄃᆡ : 그 爲야 波羅蜜 서 지시니라〈금삼3:57ㄴ〉 / 그 보디 아니다 益州城ㅅ 西녁 門ㅅ 길 우희 돌로 론 笋이 둘히 노피 蹲踞얫도다(君不見益州城西門 陌上石笋雙高蹲)「石笋行」〈두시3:70ㄱ〉.
주112)
보리니 : 볼 것이니.
주113)
노 : 놈의. 놈+ᄋᆡ. ‘놈’은 현대국어와 같이 낮추어 부르는 말은 아니다. ¶놈 : 者 노미라〈훈언2ㄱ〉 /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훈언2ㄴ〉 /  노미 몬져 갈 가지고 춤 처(一夫先舞劒)「陪栢中丞觀宴將士二首」〈두시5:51ㄴ〉.
주114)
차탄(嗟嘆)호 : 차탄함을. 탄식함을.
주115)
미처 : 미치어. 미치-+어. ‘미치-’는 ‘어디에 미치다[及]’의 뜻을 가진 동사와 ‘정신이 이상하다[狂]’의 뜻을 가진 동사가 있다. ¶미치-[及] : 須彌山 둘어 밧긔 土山 黑山이 이쇼 굳고 쿠미 鐵圍山 몯 밋니라(環須彌之外야 有土山黑山호 而堅大ㅣ 不及鐵圍며 大海之內예 有十寶山호 而貴高ㅣ 不及須彌니라)〈석상20:21ㄴ〉 / 뉘 닐오 녀뇨미  밋디 몯다 뇨(誰雲行不逮)「秋日~一百韻」〈두시20:10ㄱ〉 / 미치-[狂] : 鹿皮 옷 니브샤 미친 사 티 묏고래 수머 겨샤〈석상6:4ㄴ〉 / 미친 노미 늘거도  미츄믈 내 웃노라(自笑狂夫老更狂)「狂夫」〈두시7:2ㄴ〉.
주116)
랑논 : 생각하는. ᄉᆞ랑#ᄒᆞ-+ᄂᆞ+오+ㄴ.
주117)
시름 : 시름. 걱정. ‘시름’은 ‘걱정하다’의 뜻인 ‘실-’의 파생명사이다. 참조. 실-. 시름-. 시름외-. 시름도외-. 시름외-. 시름도이. ¶실- : 모 다가 몯야 시르며 울어 帝釋이 婆羅門身이 외야 닐오〈원각 하3-1:88ㄱ〉 / 치운 구루메  누니 뫼해 야슈믈 시르며 對얏노라(愁對寒雲白滿山)「至日遣興奉寄北省舊閣老兩院故人二首」〈두시11:35ㄴ〉 / 시름 : 無憂는 시름 업슬 씨니 이 王 날 쩌긔 어마니미 시름 업슬 無憂ㅣ라 니라〈석상23:32ㄴ〉 / 도게 뎌실 젯 시름을 도로혀 랑고(翻思在賊愁)「北征」〈중간두시1:7ㄱ〉 / 시름- : 須達이 지븨 도라와  무든 옷 닙고 시름야 잇더니〈석상6:27ㄱ〉 / 憂는 시름 씨오〈월석2:22ㄴ〉 / 恍惚 매 시름야 어즐 시라「北征」〈중간두시1:2ㄱ〉 / 시름외- : 시름왼 돌 양 改變놋다(慘慘石狀變)「積草嶺」〈중간두시1:23ㄱ〉 / 시름도외- : 士 시름도 일란 天下앳 사믜게셔 몬져 시름고〈번소10:20ㄴ〉 / 將軍 시름도왼  허러 리디 말라(將軍且莫破愁顏)「諸將五首」〈두시5:44ㄴ〉 / 시름ᄃᆡ외- : 노피 乾坤을 보니  可히 시름외니(高視乾坤又可愁)「相從歌贈嚴二別駕」〈두시25:31ㄱ〉 / 시름도이- : 시름도이 絶境 리고(忡忡去絕境)「發同谷縣」〈중간두시1:26ㄱ〉.
주118)
보와 : 보아. 보-+오+아.
주119)
 : 마음.
주120)
훤호미 : 훤함이. 훤#ᄒᆞ-+오+ㅁ+이.
주121)
운무(雲霧) 허혀고 : 구름과 안개를 헤치고. 허혀-+고. 헤-+-혀-+고. ‘어떤 것의 사이를 벌리다’의 뜻의 ‘허혀-’는 ‘헤-’와 접미사 ‘혀-’로 이루어진 파생동사로서 ‘허-’는 어간 ‘헤’의 일부인 하향이중모음 ‘ㅣ’가 탈락한 형태이다. 『두시언해』에서는 단어의 일부인 하향이중모음이 탈락한 형태를 자유변이형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참조. 헤-. 헤티-. 헤혀-. 헤-. 허혀-. 헤여디-. 허여디-. 헤듣-. 해디르-. 헤니-. 헤-. 헤므르-. 헤-. 헤부치-. 헤불-. 헤-. 헤-. 헤리-. ¶헤- : 믈 헤여 걷나샤〈월석22:6ㄴ〉 / 귀푸 예로브터 헤요리라(恐懼從此數)「龍門閣」〈중간두시1:32ㄴ〉 / 헤티- : 그 믈 헤텨 여러 훤히 게  後에〈능엄1:107ㄴ〉 / 彼敵 헤튜 살 가 오미라와 더으니라(破敵過箭疾)「北征」〈중간두시1:8ㄱ〉 / 헤혀- : 니블을 헤혀 보니〈번소9:62ㄱ〉 / 헤여- : 옷가 헤여셔 鄭僑 어도라(披襟得鄭僑)「奉贈盧五丈參謀琚」〈두시20:45ㄴ〉 / 헤- : 그기 수믄 行陰이 이 헤 나타니라〈능엄10:3ㄴ〉 / 허혀- : 헤혐- : 오직 옷가 헤혐호 니기고(只作披衣慣)「漫成二首」〈두시10:5ㄱ〉 / 헤여디- : 옷 헤여디게 말며〈소학2:59ㄴ〉 / 구룸과 비와 티 헤여딜 고 아디 몯야(不知雲雨散)「渝州候嚴六侍御不到先下峽」〈중간두시2:5ㄱ〉 / 허여디- :  므디 아니며 븟디 아니며 허여디디 아니며 알디 아니니라〈구급방 하65ㄴ〉 / 平 므리 허여디미 잇디 아니면(不有平川决)「大曆三年春에 白帝城에 放船야 出瞿塘峽노라 久居夔府다가 將適江陵 漂泊有詩니 凡四十韻이라」〈중간두시2:8ㄱ〉 / 헤듣- : 와 고기왜 헤드루믄 法倒 가비시니〈법화2:111ㄴ〉 / 헤디르- : 騖 헤디를 무 / 헤니- : 둘짯 句 東西南北에 헤닐시라〈남명 하45ㄴ〉 / 헤- :  이 兩頭에 헤〈선가58ㄱ〉 / 귓거시 헤라 굴허 어즈러우니(鋩鍔已瑩虛秋濤)「荊南兵馬使太常卿趙公大食刀歌」〈두시16:55ㄱ〉 / 헤므르- : 나 根身을 자바 디녀 헤믈어 허디 아니케  씨오〈월석11:52ㄱ〉 / 헤부치- : 헤불- : 라미 니러나 뫼콰 돌콰 헤부러 오면〈몽육15ㄱ〉 / 미 치운  헤부루믈 더듸 놋다(風破寒江遲)「蘇大侍御訪江浦賦八韻記異并序」〈두시19:25ㄴ〉 / 헤잊- : 모로매 이  헤이즐 毛質이 잇니라(會是排風有毛質)「醉歌行」〈두시8:31ㄱ〉 / 헤- : 千騎ㅣ 양 므를 헤놋다(千騎常撇烈)「留花門」〈중간두시4:14ㄱ〉 / 헤- : 皇皇 [헤 양이라]〈소학4:23ㄱ〉 / 헤- : 헤리- : 용쇽 관원의 가지로 우으며 헤리 배 진실로 일로 말암애니라〈소학5:108ㄱ〉.
주122)
니라 : 같으니라. 같네. ᄀᆞᆮ#ᄒᆞ-+니+라.
주123)
엇뎨 : 어찌.
주124)
갓 : 헛되이. 공연히. 『두시언해』의 ‘갓’은 원문의 ‘空, 徒’의 번역으로 가장 많이 쓰이며, 그 외에도 ‘惟, 獨, 只, 唯, 但’ ‘漫’ 등의 번역으로 쓰이는데, 선행하는 ‘엇뎨’나 후행하는 ‘, ’ 등과 호응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갓 :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13:39ㄱ〉 / 엇뎨 갓 高祖ㅅ 聖德 니리오 功이 蕭何 曹參의 도오로브터 오니라(豈惟高祖聖 功自蕭曹來)「述古三首」〈두시3:56ㄴ〉.
주125)
 : 강을. ᄀᆞᄅᆞᆷ+ᄋᆞᆯ.
주126)
일즉 : 일찍이. 참조. 일. ¶일즉 : 알 비록 이쇼매 리디 아니나 일즉 업디 아니홈 아니오〈반야53ㄱ〉 / 일즉 椽吏 외야 三輔애 가 뇨니(曾爲椽吏趨三輔)「峽中覽物」〈두시3:37ㄱ〉 / 일 : 그 어버 졈고 식 업시 일 홀어미 도 주를 에엿비 녀겨〈번소9:56ㄴ〉 / 天山앤 일 화 거렛도다(天山早掛弓)「投贈···二十韻」〈두시5:41ㄴ〉.
주127)
헤틸 : 풀어헤칠. 헤-+티+ㄹ. 위의 예문 참조.
주128)
리오 : 듯하리오. 듯하겠는가. ᄃᆞᆺ#ᄒᆞ-+리+오.
주129)
도로혀 : 돌려. 돌-+오+혀-+어. ‘도로혀’는 ‘돌리다’의 뜻과 ‘도리어’의 뜻이 있다. 이에 반해 ‘도혀’는 ‘도리어’의 뜻으로만 쓰인다. 그러나 『두시언해』 번각본에서는 전부 ‘도로혀’로 바뀌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없어지게 되었다. ¶도로혀(돌려) : 디나 그려기와 가 가마괴예 외오 머리 도로혀 보놋다(過鴈歸鴉錯回首)「呀鶻行」〈두시17:9ㄱ〉 / 도로혀(도리어) : 기 여 도로혀 모 맛날 고 아디 몯호라(不知雞賣還遭烹)「縛雞行」〈두시17:14ㄴ〉 / 도혀(도리어) : 다가 變며 變티 아니호로 商量면  도혀 올티 몯리라〈금삼1:17ㄴ〉 / 져근 미 도혀 믌겨리 답사니(小江還積浪)「水宿···群公」〈두시3:19ㄴ〉.
주130)
헤혀고져 : 헤치고자. 풀어 당기고자. 열어 제치고자. 헤-+혀+고져. 위의 주석 참조.
주131)
다라 : 생각하였다. ᄉᆞ라ᇰ#ᄒᆞ-+더+오+라.
주132)
서시(西施) :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왕비이자, 월(越)나라의 미인. 중국 미인의 화신과 같은 대명사이다. 여기서는 최공(崔公)을 비유한 말로 쓴 것이다.
주133)
금회개활(襟懷開豁) : 마음이 넓게 열리다. 금회(襟懷)는 가슴속, 마음속을 의미하고, 개활(開豁)은 마음이 탁 트여서 넓음을 의미한다.
주134)
어드운 : 어두운. 어듭-+은.
주135)
드트리 : 티끌이. 드틀+이.
주136)
거우루에 : 거울에. 거우루+에. ‘거우루’는 ‘거우로’로도 쓰였다.
주137)
냇거 : 나 있거늘. 나-+아#잇-+거+ᄂᆞᆯ.
주138)
러 : 털어. ᄠᅥᆯ-+어. ¶- : 摝  씨라〈월석1:월인석보 서9ㄱ〉 / 머릴 튜니 사뫼 기울오(掉頭紗帽側)「秋野五首」〈두시10:31ㄴ-32ㄱ〉 / -어 리- : 아랫 恩惠 니저 리샤 길  사과 티 너기시니〈석상6:5ㄱ〉 / 갈 혀 나 늘구믈 러 리노라(拔劒撥年衰)「夔府書懷四十韻」〈두시3:2ㄴ〉.
주139)
비췬 : 비춘. 비취-+ㄴ. ‘비취-’는 “빛을 내는 대상이 다른 대상에 빛을 보내어 밝게 하다”라는 뜻의 타동사로 오늘날의 ‘비추-’에 대응된다. 15세기 국어의 ‘비취-’는 자타동 양용동사이다. ¶비취-(타동사) : 放光샤 四天王과 淨居天에 니르리 비취시니(便放身光照四天王 乃至淨居不令人見)〈석상3:25ㄱ〉 / 바 거두니 도로 나그내 비취오(捲簾還照客)「七月夜對月」〈두시12:7ㄱ〉 / 비취-(자동사) : 世尊하 如來 甚히 쉽디 몯야 功德 智慧ㅅ 젼로 頂上肉髻옛 光明이 빗내 비취시며(世尊하 如來ㅣ 甚希有샤 以功德智慧故로 頂上肉髻ㅣ 光明이 顯照시며)〈석상 21:46ㄴ〉 / 峽엣 구루믄 長常 바 비취옛고(峽雲常照夜)「獨坐二首」〈두시3:42ㄱ〉.
주140)
구씨(舅氏) : 외숙. 외가.
주141)
최군(崔君) : 평사(評事) 최공보.
주142)
아자비 : 아저씨는. 아자비+ᄂᆞᆫ. ¶아자비 : 舅 아자비 구 伯 아자비  叔 아아자비 슉〈훈몽 상16ㄴ〉 / 내 아자비 符節 혀 가져 갯 히 갓가오니(諸舅剖符近)「入衡州」〈중간두시1:56ㄴ〉.
주143)
인물(人物) 의론(議論)호매 : 인물을 의논함에 있어서.
주144)
하니 : 많으니.
주145)
곤(困) : 피곤한.
주146)
개 : 날개. -+개. ‘-개’는 명사파생접미사로 ‘벼개, 노리개’ 등에도 쓰였다. 『두시언해』에서 ‘ᄂᆞᆯ개’는 ‘ᄂᆞ래’로도 쓰였다. ¶ᄂᆞᆯ개 : 金翅鳥ㅣ 龍 머 저기면 개로 바 텨든 므리 갈아디여〈월석25:30ㄱ〉 / 鳳凰 개예셔 비 노라(噀雨鳳凰翎)「奉酬···見贈」〈두시19:36ㄱ〉 / ᄂᆞ래 : 그 그려기 래 가 혀 디여 가 슬피 울며 반겨거늘〈월석22:62ㄴ〉 /  블근  짓과 래왜 나미 이시면(更肯紅顔生羽翼)「玉臺觀二首」〈두시9:40ㄱ〉.
주147)
드려쇼 : 드리워 있음을. 드리-+어#이시-+오+ㅁ+ᄋᆞᆯ. ¶드리- : 南北엣 두 雙이 어우러 가지 드리워 如來 둡고〈석상23:18ㄱ〉 / 가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淚痕血點垂胸臆)「柟木爲風雨所拔歎」〈두시6:41ㄴ〉.
주148)
붓그리디 말라 : 부끄러워하지 말라. 붓그리-+디 말-+라. ‘붓그리-’는 동사로서, 파생형용사 ‘붓그럽-’과 다시 여기서 ‘-어 -’가 붙어 동사로 파생된 ‘붓그려-’가 있는데, 이러한 관계를 가진 일련의 동사들은 현대국어에서는 모두 소멸되고 오히려 ‘업’ 파생형용사에 ‘-어하-’가 붙어 파생된 동사인 ‘부끄러워하다’만 남은 경우가 많다. ¶붓그리- : 란 아니 닷고 오로 오 이 붓그리다니〈월천44ㄱ〉 / 몸 許요 雙南金에 가뵤 붓그리노라(許身媿比雙南金)「題省中院壁」〈두시6:14ㄱ〉 / 붓그럽- : 비록 큰 허므리 업슨 오 안로 매 붓그럽디 아니니여〈내훈3:27ㄴ〉 / 右ㅅ녁 히 붓그러온 나 幸호 하니라(右地恧多幸)「故右···九齡」〈두시24:41ㄴ〉 / 붓그려- :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 太子 절고 두루 돌며 붓그려더라〈석상3:8ㄱ〉 / 늘근 원두리 기리 붓그려노라(老圃永爲恥)「種萵茞幷序」〈두시16:67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