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2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구급간이방언해 권2
  • 10. 실음(失音)
메뉴닫기 메뉴열기

10. 실음(失音)


失音
宜服和劑方荊芥 주001)
형개(荊芥):
꿀풀과에 속하는 형개, 곧 정가의 옹근 풀을 말린 것.
湯直指方甘桔湯

목소리 주002)
목소리:
목소리가. 목소리+∅(주격 조사).
주003)
몯:
못.
나 
화졔애 주004)
화졔애:
화제방(和劑方)에.
개과 주005)
개과:
형개탕과. 형개탕(荊芥湯)+-과.
딕지애 주006)
딕지애:
직지방(直指方)에.
감길과 주007)
감길과:
감길탕을. 감길탕(甘桔湯)+-과+-.
머고미 주008)
머고미:
먹음이. 먹-[服]+-옴+-이.
맛니라 주009)
맛니라:
마땅하다. 맛-[宜]+ -니-+-라.

목소리가 나지 못하는 병
화제방에 형개탕 주010)
형개탕:
동약처방, 형개를 넣어 달인 탕.
직지방 주011)
직지방(直指方):
중국 송(宋)나라의 이종(理宗) 경정(景定) 5년(1264)에 양사영(陽士瀛)이 지은 의학 서적의 이름. 원래의 이름은 『인재직지방(仁齎直指方)』이라고 하였음. 교정은 첨중(詹中)이 하였는데, 모두 26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음. 조선 전기에 『본초찬도(本草纂圖)』·『득효방(得效方)』·『화제지남(和劑指南)』 등의 서책들과 함께 의가(醫家)의 근본으로 여겨질 정도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세조(世祖) 때에는 정·종8품에 해당하는 의원(醫員)을 취재(取才)할 때 강(講)하는 의학 서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음.
감길탕 주012)
감길탕(甘桔湯):
길경탕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소음객한(少陰客寒)으로 구내염(口內炎)이나 목구멍이 붓고 아플 때 쓴다. 그 밖에 폐열로 인한 해수·객담·인통·폐괴저·폐농양·인후염·기도염·인후의 종통 등으로 통증이 심할 때, 감초탕으로는 치료할 수 없는 화농과 기침, 농으로 된 객담을 오랫동안 뱉어낼 때, 부패성 기관지염 등으로 기침을 하고 농성의 객담이 있을 때도 효과가 있다.
을 먹음이 마땅하다.

無故喉咽聲音不出者名爲失音用橘皮 귨 거

구급간이방언해 권2:86ㄴ

플 五兩
水三盞煮取一盞去滓頓服其聲自出妙

무연히 주013)
무연히:
이유 없이. 까닭 없이[無故].
모 주014)
목:
목에. 목[喉咽]+-(처소격 조사).
소리 주015)
소리:
소리가. 소리+∅(주격 조사).
아니 주016)
아니:
아니. 안[不].
나 주017)
나:
남을. 나-[出]+-암(명사형 어미)+-.
실음이라 니 주018)
니:
하니. 말하니. -[爲]+--+-니.
주019)
귨:
귤의. 귤(橘)+-t.
거플 주020)
거플:
껍질[皮].
주021)
닷:
닷[五].
을 주022)
량을:
냥을. (兩)+-을.
주023)
서:
석[三].
되예 주024)
되예:
되에. 되[盞]+-예.
글혀 주025)
글혀:
글히-[煮]+-어.
주026)
되:
되가. 되[盞]+∅(주격 조사).
외어든 주027)
외어든:
외-[取]+-어든.
즈 주028)
즈:
찌꺼기[滓].
앗고 주029)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믄득 주030)
믄득:
다[頓].
머그면 그 소리 주031)
소리:
소리가. 소리[聲]+∅(주격 조사).
히 주032)
히:
자연히. 저절로[自].
나리니 주033)
나리니:
날 것이니. 나-[出]+-리-+-니.
됴니라 주034)
됴니라:
좋다. 둏-[妙]+-니-+-라.

이유 없이 목에 소리가 안 남을 실음(失音)이라고 하니 귤의 껍질 닷 냥을 물 석 되에 끓여 한 되가 되거든 찌꺼기 제거하고 다 먹으면 그 소리가 자연히 날 것이니 좋다.

桂心 계핏 솝 爲末頻放舌下漸漸嚥汁妙

계핏 주035)
계핏:
계피의. 계피[桂]+-ㅅ.
솝을 주036)
솝을:
속을. 솝[心]+-을.
라 주037)
라:
갈아. -[爲末]+-아.
조 주038)
조:
자주. -[頻]+-오.
주039)
혀:
혀[舌].
아래 주040)
아래:
아래[下].
노하 주041)
노하:
놓아. 놓-[放]+-아.
졈졈 그

구급간이방언해 권2:87ㄱ

즙을 주042)
즙을:
즙을. 즙(汁)+-을.
교미 주043)
교미:
삼킴이. 기-[嚥]+-옴+ -이.
됴니라 주044)
됴니라:
좋다. 둏-[妙]+-니-+-라.

계피의 속을 갈아 자주 혀 아래 놓아 점점 그 즙을 삼킴이 좋다.

계피 每服三錢水一盞煎七分溫服不拘時聲便出

계피 주045)
계피:
계피를. 계피[桂]+-.
주046)
서:
서[三].
돈곰 주047)
돈곰:
돈씩. 돈[錢]+-곰.
주048)
믈:
물[水].
주049)
:
한[一].
되예 주050)
되예:
되에. 되[盞]+-예.
달혀 주051)
달혀:
달여. 달히-[煎]+-어.
주052)
반:
반.
남거든 주053)
남거든:
남짓하거든. 남-+-거든. ‘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닐 주054)
닐:
따뜻한 것을. -[溫]+-ㄴ(관형사형 어미)#이+-ㄹ(대격 조사).
니 주055)
니:
때[時].
혜디 주056)
혜디:
헤아리지. 혜-+-디.
마오 주057)
마오:
말고.
머그면 주058)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소리 주059)
소리:
소리가. 소리[聲]+∅.
즉재 주060)
즉재:
즉시[便].
나리라 주061)
나리라:
날 것이다. 나-[出]+-리-+-라.

계피를 서 돈씩 물 한 되에 달여 반 남짓하거든 따뜻한 것을 때 헤아리지 말고 먹으면 소리가 즉시 날 것이다.

杏仁 고 솝 一升熬去皮尖수유 一兩 少許 和爲丸如梧子大每日空腹熟米飮下十五丸

구급간이방언해 권2:87ㄴ

고 주062)
고:
살구씨. 고[杏]#[仁].
주063)
솝:
속.
주064)
:
한[一].
되 주065)
되:
되를. 되[升]+.
봇가 주066)
봇가:
볶아. -[熬]+-아.
거플와 주067)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
부리와 주068)
부리와:
뿌리와. 부리[尖]+-와.
앗고 주069)
앗고:
제거하고. 앗-[去]+-고.
수유  과 주070)
:
꿀[蜜].
져고매 주071)
져고매:
조금[少許].
섯거 주072)
섯거:
섞어. -[和]+-어.
머귀 주073)
머귀:
오동나무[梧].
여름만 주074)
여름만:
열매만큼. 여름[子]+-만.
주075)
케:
하게. -+-게.
비븨여 주076)
비븨여:
비비어. 비븨-[爲丸]+-여.
날마다 밥 아니 머거셔 주077)
머거셔:
먹어서. 먹-+-어셔. ‘공복(空腹)’이 ‘밥 아니 먹다’로 번역됨.
주078)
:
쌀[米].
글힌 주079)
글힌:
긇인. 긇-+-이-(사동 접사)+-ㄴ.
므레 주080)
므레:
물에. 믈+-에.
다 주081)
다:
다섯[五].
환곰 주082)
환곰:
환씩. 환(丸)+-곰.
머그라 주083)
머그라:
먹으라. 먹-[下]+-으라.

살구씨 속 한 되를 볶아 껍질과 부리를 제거하고 수유 한 량과 꿀 조금 섞어 오동나무 열매만큼 하게 비비어 날마다 밥 안 먹어서 쌀 끓인 물에 열 다섯 환씩 먹으라.

生大豆   一升 靑竹筭子 대로 론 산 四十九枚長四寸闊一分 和水煮熟日夜二服差

주084)
:
날것[生].
주085)
:
콩[大豆].
주086)
:
한[一].
되와 주087)
되와:
되와. 되[升]+와.
프른 주088)
프른:
프른. 프르-[靑]+-ㄴ.
대로 주089)
대로:
대나무로. 대[竹]+-로.
론 주090)
론:
만든. -+-오-+-ㄴ.
주091)
산:
산가지[筭子]. ‘산자(筭子)’는 ‘산가지. 주판(珠板)’.
마 주092)
마:
마흔[四十].
아홉 주093)
낫:
낱[枚].
기리 주094)
기리:
길이. 길-[長]+-이(명사 형성 접미사).
네 치 너븨 주095)
너븨:
너비. 넙-[闊]+-의(명사 형성 접미사).
분과 주096)
분과:
분을. 분(分)+-과(접속조사)+-(대격 조사).
므레 주097)
므레:
물에. 믈[水]+-에.
닉게 주098)
닉게:
익게. 닉-[熟]+-게.

구급간이방언해 권2:88ㄱ

글혀 주099)
글혀:
끓여. 글히-[煮]+-어.
나와 주100)
나와:
낮에와. 낮[日]+-(처소격 조사)+-와(접속조사).
바와 주101)
바와:
밤에. 밤[夜]+-+-와.
두 번 머그면 주102)
머그면:
먹으면. 먹-[服]+-으면.
됴리라 주103)
됴리라:
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콩 날것 되와 푸른 대나무로 만든 산가지 마흔 아홉 낱 길이 네 치 너비 한 분을 물에 익게 끓여 낮과 밤에 두 번 먹으면 나을 것이다.

槐花 회홧 곳 瓦上炒令香夜到三更仰上床拈取花來隨意食明朝聲響漸琅琅

회홧 주104)
회홧:
홰나무의. 회화[槐]+-ㅅ.
고 주105)
고:
꽃을. 곶[花]+-.
디새 주106)
디새:
기와[瓦].
우희 주107)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고게 주108)
고게:
고소하게. 고-[令香]+-게.
봇가 주109)
봇가:
볶아. 볷-[炒]+-아.
만 주110)
만:
밤중만큼. 밤+-ㅅ(속격 조사)#(中)+-만. ‘삼경(三更)’이 ‘’으로 번역됨.
커든 주111)
커든:
하거든. -+-거든.
 우희 주112)
우희:
위에. 우ㅎ[上]+-의.
졋바누워셔 주113)
졋바누워셔:
반듯이 누워서. 졋바누우-[仰]+-어셔. 기본형은 ‘졋바눕다’이다.
고 주114)
고:
꽃을. 곶[花]+-.
가져다가 주115)
가져다가:
가져다가. 가지-[拈取…來]+-어다가.
먹고져 주116)
먹고져:
먹고자. 먹-+-고져.
식븐 주117)
식븐:
싶은. 식브-+-ㄴ.
로 머그면 주118)
머그면:
먹-[食]+-으면. ‘수의식(隨意食)’이 ‘먹고져 식븐 으로 먹다’로 번역된다.
이틋날 주119)
이틋날:
이튿날. 이틀+-ㅅ(속격 조사)#날.
아 주120)
아:
아침에. 아[朝]+-(처소격 조사).
소리 주121)
소리:
소리가. 소리[聲響]+∅(주격 조사).
졈졈 주122)
졈졈:
점점[漸].
지 주123)
지:
맑고 또랑또랑하게.
나리라 주124)
나리라:
날 것이다. 나+-리-+-라. ‘낭랑(琅琅)’이 ‘지 나다’로 번역된다.

홰나무의 꽃을 기와 위에 고소하게 볶아 밤중이 되거든 평상 위에 반듯이 누워서 그 꽃을 가져다가 먹고자 하는 양으로 먹으면 이튿날 아침에 소리가 점점 맑고 또랑또랑하게 날 것이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88ㄴ

皂角 一挺刮去黑皮幷子 蘿蔔 댓무 믿 三箇切作片 水二椀同煎至半椀以下服之不過三服便語喫却蘿蔔更妙

조각 주125)
조각:
조각(皂角). 쥐엄나무의 열매를 말린 한약제, 중풍이나 마비의 치료와 가래를 없애는 데 쓰임.
주126)
:
한[一].
주127)
낫:
낫[挺].
거믄 주128)
거믄:
검-[黑]+-은.
거플와 주129)
거플와:
껍질과. 거플[皮]+-와[幷].
주130)
:
씨[子].
아니와 주131)
아니와:
제거한 것과. -+--+#이(의존 명사)+-와. ‘괄거(刮去)’가 ‘아니’로 번역됨.
댓무 주132)
댓무:
무[蘿蔔].
믿 주133)
믿:
밑.
주134)
세:
세[三].
주135)
낫:
낱[箇].
사로니와 주136)
사로니와:
썬 것을 : 사-+-오-+-ㄴ#이+-와. ‘절(切)’이 ‘사로니’로 번역됨.
믈 두 사발애 주137)
사발애:
사발에. 사발[椀]+-애.
달혀 주138)
달혀:
달여. 달히-[煎]+-어.
사발이 주139)
사발이:
사발이. 사발+-이.
외어든 주140)
외어든:
되거든. 외-[至]+-어든.
머그라 주141)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세 번 너무 주142)
너무:
너무. 넘게. 넘-[過]+-우.
먹디 주143)
먹디:
먹지. 먹-[服]+-디.
아니야셔 주144)
아니야셔:
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말리라 주145)
말리라:
말할 것이다. 말-[語]+-리-+-라. ‘리’ 뒤에서 ‘다’가 ‘라’로 실현된다.
댓무 주146)
댓무:
무.
미틀 주147)
미틀:
밑을. 밑+-을.
머구미 주148)
머구미:
먹음이. 먹-[喫]+-움+-이.
주149)
:
또[更].
됴니라 주150)
됴니라:
좋다. 둏-[妙]+-니-+-라.

조각 한 낱 검은 껍질과 씨 제거한 것과 무 밑 세 낱 썬 것을 물 두 사발에 달여 반 사발이 되거든 먹으라. 세 번 넘게 먹지 아니하여서 말할 것이다. 무 밑을 먹음이 또 좋다.

구급간이방언해 권2:89ㄱ

風冷失聲咽喉不開用蘘荷根 핫  二兩硏絞汁酒一盞和勻不拘時溫服半盞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 주151)
:
바람[風].
긔로 주152)
긔로:
냉기(冷氣)로.. 긔[冷]+-로.
주153)
목:
목[咽喉].
쉬여 주154)
쉬여:
쉬어. 쉬-[失聲]+-여.
여디 주155)
여디:
열리지. 여-(‘열-’의 이형태)[開]+-디.
아니커든 주156)
아니커든:
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핫 주157)
핫:
양하(蘘荷)의. 양하(襄荷)+-ㅅ.
주158)
:
뿌리[根].
두 을 라 주159)
라:
갈아. -[硏]+-아.
주160)
:
짠. -[絞]+-오-+-ㄴ.
즙과 주161)
즙과:
즙과. 즙(汁)+-과.
주162)
술:
술[酒].
되와 주163)
되와:
되와. 되[盞]+와(접속조사).
섯거 주164)
섯거:
섞어. -[和]+-어.
니 주165)
니:
때[時].
혜디 주166)
혜디:
헤아리지. 혜-+-디.
말오 주167)
말오:
말고. 마-[不]+-오.
시 주168)
시:
따뜻하게. -+-이(부사 형성 접미사).
야 주169)
야:
하여. -+-야. ‘온(溫)’이 ‘시 다’로 번역된다.
주170)
반:
반(半).
되 주171)
되:
되를. 되[盞]+-.
머그라 주172)
머그라:
먹으라. 먹-[服]+-으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바람 냉기로 목이 쉬어 열리지 아니하거든 양하(蘘荷)의 뿌리 두 냥을 갈아 짠 즙과 술 한 되를 섞어 때 헤아리지 말고 따뜻하게 하여 반 되를 먹으라.
Ⓒ 역자 | 남성우 / 2008년 9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형개(荊芥):꿀풀과에 속하는 형개, 곧 정가의 옹근 풀을 말린 것.
주002)
목소리:목소리가. 목소리+∅(주격 조사).
주003)
몯:못.
주004)
화졔애:화제방(和劑方)에.
주005)
개과:형개탕과. 형개탕(荊芥湯)+-과.
주006)
딕지애:직지방(直指方)에.
주007)
감길과:감길탕을. 감길탕(甘桔湯)+-과+-.
주008)
머고미:먹음이. 먹-[服]+-옴+-이.
주009)
맛니라:마땅하다. 맛-[宜]+ -니-+-라.
주010)
형개탕:동약처방, 형개를 넣어 달인 탕.
주011)
직지방(直指方):중국 송(宋)나라의 이종(理宗) 경정(景定) 5년(1264)에 양사영(陽士瀛)이 지은 의학 서적의 이름. 원래의 이름은 『인재직지방(仁齎直指方)』이라고 하였음. 교정은 첨중(詹中)이 하였는데, 모두 26권 6책으로 구성되어 있음. 조선 전기에 『본초찬도(本草纂圖)』·『득효방(得效方)』·『화제지남(和劑指南)』 등의 서책들과 함께 의가(醫家)의 근본으로 여겨질 정도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세조(世祖) 때에는 정·종8품에 해당하는 의원(醫員)을 취재(取才)할 때 강(講)하는 의학 서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음.
주012)
감길탕(甘桔湯):길경탕이라고도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소음객한(少陰客寒)으로 구내염(口內炎)이나 목구멍이 붓고 아플 때 쓴다. 그 밖에 폐열로 인한 해수·객담·인통·폐괴저·폐농양·인후염·기도염·인후의 종통 등으로 통증이 심할 때, 감초탕으로는 치료할 수 없는 화농과 기침, 농으로 된 객담을 오랫동안 뱉어낼 때, 부패성 기관지염 등으로 기침을 하고 농성의 객담이 있을 때도 효과가 있다.
주013)
무연히:이유 없이. 까닭 없이[無故].
주014)
목:목에. 목[喉咽]+-(처소격 조사).
주015)
소리:소리가. 소리+∅(주격 조사).
주016)
아니:아니. 안[不].
주017)
나:남을. 나-[出]+-암(명사형 어미)+-.
주018)
니:하니. 말하니. -[爲]+--+-니.
주019)
귨:귤의. 귤(橘)+-t.
주020)
거플:껍질[皮].
주021)
닷:닷[五].
주022)
량을:냥을. (兩)+-을.
주023)
서:석[三].
주024)
되예:되에. 되[盞]+-예.
주025)
글혀:글히-[煮]+-어.
주026)
되:되가. 되[盞]+∅(주격 조사).
주027)
외어든:외-[取]+-어든.
주028)
즈:찌꺼기[滓].
주029)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030)
믄득:다[頓].
주031)
소리:소리가. 소리[聲]+∅(주격 조사).
주032)
히:자연히. 저절로[自].
주033)
나리니:날 것이니. 나-[出]+-리-+-니.
주034)
됴니라:좋다. 둏-[妙]+-니-+-라.
주035)
계핏:계피의. 계피[桂]+-ㅅ.
주036)
솝을:속을. 솝[心]+-을.
주037)
라:갈아. -[爲末]+-아.
주038)
조:자주. -[頻]+-오.
주039)
혀:혀[舌].
주040)
아래:아래[下].
주041)
노하:놓아. 놓-[放]+-아.
주042)
즙을:즙을. 즙(汁)+-을.
주043)
교미:삼킴이. 기-[嚥]+-옴+ -이.
주044)
됴니라:좋다. 둏-[妙]+-니-+-라.
주045)
계피:계피를. 계피[桂]+-.
주046)
서:서[三].
주047)
돈곰:돈씩. 돈[錢]+-곰.
주048)
믈:물[水].
주049)
:한[一].
주050)
되예:되에. 되[盞]+-예.
주051)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052)
반:반.
주053)
남거든:남짓하거든. 남-+-거든. ‘七分’이 ‘반 남다’로 번역됨.
주054)
닐:따뜻한 것을. -[溫]+-ㄴ(관형사형 어미)#이+-ㄹ(대격 조사).
주055)
니:때[時].
주056)
혜디:헤아리지. 혜-+-디.
주057)
마오:말고.
주058)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059)
소리:소리가. 소리[聲]+∅.
주060)
즉재:즉시[便].
주061)
나리라:날 것이다. 나-[出]+-리-+-라.
주062)
고:살구씨. 고[杏]#[仁].
주063)
솝:속.
주064)
:한[一].
주065)
되:되를. 되[升]+.
주066)
봇가:볶아. -[熬]+-아.
주067)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
주068)
부리와:뿌리와. 부리[尖]+-와.
주069)
앗고:제거하고. 앗-[去]+-고.
주070)
:꿀[蜜].
주071)
져고매:조금[少許].
주072)
섯거:섞어. -[和]+-어.
주073)
머귀:오동나무[梧].
주074)
여름만:열매만큼. 여름[子]+-만.
주075)
케:하게. -+-게.
주076)
비븨여:비비어. 비븨-[爲丸]+-여.
주077)
머거셔:먹어서. 먹-+-어셔. ‘공복(空腹)’이 ‘밥 아니 먹다’로 번역됨.
주078)
:쌀[米].
주079)
글힌:긇인. 긇-+-이-(사동 접사)+-ㄴ.
주080)
므레:물에. 믈+-에.
주081)
다:다섯[五].
주082)
환곰:환씩. 환(丸)+-곰.
주083)
머그라:먹으라. 먹-[下]+-으라.
주084)
:날것[生].
주085)
:콩[大豆].
주086)
:한[一].
주087)
되와:되와. 되[升]+와.
주088)
프른:프른. 프르-[靑]+-ㄴ.
주089)
대로:대나무로. 대[竹]+-로.
주090)
론:만든. -+-오-+-ㄴ.
주091)
산:산가지[筭子]. ‘산자(筭子)’는 ‘산가지. 주판(珠板)’.
주092)
마:마흔[四十].
주093)
낫:낱[枚].
주094)
기리:길이. 길-[長]+-이(명사 형성 접미사).
주095)
너븨:너비. 넙-[闊]+-의(명사 형성 접미사).
주096)
분과:분을. 분(分)+-과(접속조사)+-(대격 조사).
주097)
므레:물에. 믈[水]+-에.
주098)
닉게:익게. 닉-[熟]+-게.
주099)
글혀:끓여. 글히-[煮]+-어.
주100)
나와:낮에와. 낮[日]+-(처소격 조사)+-와(접속조사).
주101)
바와:밤에. 밤[夜]+-+-와.
주102)
머그면:먹으면. 먹-[服]+-으면.
주103)
됴리라:나을 것이다. 둏-[差]+-리-+-라.
주104)
회홧:홰나무의. 회화[槐]+-ㅅ.
주105)
고:꽃을. 곶[花]+-.
주106)
디새:기와[瓦].
주107)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108)
고게:고소하게. 고-[令香]+-게.
주109)
봇가:볶아. 볷-[炒]+-아.
주110)
만:밤중만큼. 밤+-ㅅ(속격 조사)#(中)+-만. ‘삼경(三更)’이 ‘’으로 번역됨.
주111)
커든:하거든. -+-거든.
주112)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113)
졋바누워셔:반듯이 누워서. 졋바누우-[仰]+-어셔. 기본형은 ‘졋바눕다’이다.
주114)
고:꽃을. 곶[花]+-.
주115)
가져다가:가져다가. 가지-[拈取…來]+-어다가.
주116)
먹고져:먹고자. 먹-+-고져.
주117)
식븐:싶은. 식브-+-ㄴ.
주118)
머그면:먹-[食]+-으면. ‘수의식(隨意食)’이 ‘먹고져 식븐 으로 먹다’로 번역된다.
주119)
이틋날:이튿날. 이틀+-ㅅ(속격 조사)#날.
주120)
아:아침에. 아[朝]+-(처소격 조사).
주121)
소리:소리가. 소리[聲響]+∅(주격 조사).
주122)
졈졈:점점[漸].
주123)
지:맑고 또랑또랑하게.
주124)
나리라:날 것이다. 나+-리-+-라. ‘낭랑(琅琅)’이 ‘지 나다’로 번역된다.
주125)
조각:조각(皂角). 쥐엄나무의 열매를 말린 한약제, 중풍이나 마비의 치료와 가래를 없애는 데 쓰임.
주126)
:한[一].
주127)
낫:낫[挺].
주128)
거믄:검-[黑]+-은.
주129)
거플와:껍질과. 거플[皮]+-와[幷].
주130)
:씨[子].
주131)
아니와:제거한 것과. -+--+#이(의존 명사)+-와. ‘괄거(刮去)’가 ‘아니’로 번역됨.
주132)
댓무:무[蘿蔔].
주133)
믿:밑.
주134)
세:세[三].
주135)
낫:낱[箇].
주136)
사로니와:썬 것을 : 사-+-오-+-ㄴ#이+-와. ‘절(切)’이 ‘사로니’로 번역됨.
주137)
사발애:사발에. 사발[椀]+-애.
주138)
달혀:달여. 달히-[煎]+-어.
주139)
사발이:사발이. 사발+-이.
주140)
외어든:되거든. 외-[至]+-어든.
주141)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주142)
너무:너무. 넘게. 넘-[過]+-우.
주143)
먹디:먹지. 먹-[服]+-디.
주144)
아니야셔:아니하여서. 아니-[不]+-야셔.
주145)
말리라:말할 것이다. 말-[語]+-리-+-라. ‘리’ 뒤에서 ‘다’가 ‘라’로 실현된다.
주146)
댓무:무.
주147)
미틀:밑을. 밑+-을.
주148)
머구미:먹음이. 먹-[喫]+-움+-이.
주149)
:또[更].
주150)
됴니라:좋다. 둏-[妙]+-니-+-라.
주151)
:바람[風].
주152)
긔로:냉기(冷氣)로.. 긔[冷]+-로.
주153)
목:목[咽喉].
주154)
쉬여:쉬어. 쉬-[失聲]+-여.
주155)
여디:열리지. 여-(‘열-’의 이형태)[開]+-디.
주156)
아니커든:아니하거든. 아니-[不]+-거든.
주157)
핫:양하(蘘荷)의. 양하(襄荷)+-ㅅ.
주158)
:뿌리[根].
주159)
라:갈아. -[硏]+-아.
주160)
:짠. -[絞]+-오-+-ㄴ.
주161)
즙과:즙과. 즙(汁)+-과.
주162)
술:술[酒].
주163)
되와:되와. 되[盞]+와(접속조사).
주164)
섯거:섞어. -[和]+-어.
주165)
니:때[時].
주166)
혜디:헤아리지. 혜-+-디.
주167)
말오:말고. 마-[不]+-오.
주168)
시:따뜻하게. -+-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169)
야:하여. -+-야. ‘온(溫)’이 ‘시 다’로 번역된다.
주170)
반:반(半).
주171)
되:되를. 되[盞]+-.
주172)
머그라:먹으라. 먹-[服]+-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