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하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하
  • 36. 혈훈(三十六血暈)
메뉴닫기 메뉴열기

36. 혈훈(三十六血暈)


血暈 第三十六
婦人良方
血暈者産後氣血暴虛未得安靜

하94ㄱ

血隨氣上迷亂心神故眼前生花極甚者令人悶絶不知人口噤神昏氣冷醫者不識呼爲暗風若作此治之病必難愈但服淸魂散卽省淸魂散 澤蘭葉 人參各一分荊芥一兩川芎半兩右爲末用溫酒熱湯各半盞調一錢急灌之下咽卽開眼氣定卽醒

血暈 주001)
혈훈(血暈):
산후 또는 기타 출혈로 정신이 혼미하여지는 병.
 産산後에 血氣킝 가기 주002)
가기:
갑자기.
뷔여 주003)
뷔여:
뷔-[虛] + -어(연결어미). 비어. 부실하여. 허하여.
잔치디 주004)
잔치디:
잔치-[解] + -디(보조적 연결어미). 풀지. 안정되지.
몯야 피 氣킝分분 조차 올아  어즐케   벼로기 주005)
벼로기:
벼록[眼花] + -이(주격조사). 안화가. ‘안화’는 눈앞에서 불꽃 같은 것이 어른거리는 증상을 뜻한다.
나니  甚씸닌 닶가와 사 모

하94ㄴ

고 이비 좃고 주006)
좃고:
좆-[噤] + -고(연결어미). 다물어지고.
精神씬이 아고 氣킝分분이 니 醫員원이 몰라 暗風 주007)
암풍(暗風):
머리가 빙빙 도는 것 같고, 눈앞이 캄캄해서 방향을 잘 분간하지 못하는 병증.
이라 니니 다가 이 양로 고티면 病이 다 됴티 몯리니 오직 淸魂散산 주008)
청혼산(淸魂散):
부록 참조.
 머그면 즉자히 리리니 澤蘭란葉엽 주009)
택란엽(澤蘭葉):
부록 참조.
人參 주010)
인삼(人蔘):
부록 참조.
과 各각  分분 荊芥갱 주011)
형개(荊芥):
부록 참조.
 兩량 川芎쿵 주012)
천궁(川芎):
부록 참조.
半반 兩량과  라  수리어나 더운 므리어나 各각 半반 자내  도 프러 時씽急급히 브 모기 주013)
모:
목[咽] + -(처격 조사). 목에.
리면 즉자히 누늘 주014)
:
-[開] + -어(연결어미). (눈을) 떠서.
氣킝分분이 一定뗭면 즉재 니라 주015)
니라:
깨어난다.

혈훈은 출산 후에 혈기가 갑자기 허하여 안정되지 못하고 피가 기운을 따라 올라 정신을 어질어질하게 하므로 현기증이 일어나는 것이니, 가장 심한 사람은 답답하여 사람을 몰라보며 입이 다물어지고 정신이 아득해지며 기운이 싸늘하게 되니 의원이 이를 몰라 암풍이라 이른다. 만일 이를 암풍으로 알고 고치면 병이 결코 좋아지지 못할 것이니 오직 청혼산을 먹으면 즉시 정신을 차릴 것이다. 택란의 잎과 인삼을 각각 한 푼씩 하고 형개 한 냥과 천궁 반 냥을 모두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술이나 뜨거운 물 각각 반 잔에 한 돈을 풀어서 재빨리 부어 목으로 내려가게 하면 즉시 눈을 뜨고, 기운이 일정하게 되면 즉시 깨어난다.

又方
如覺暈卽以醋噀面甦來飮醋仍少與解之

 다가 어즐 주를 아라 주016)
아라:
알-[知] + -아(연결어미). 알거든.
즉자히 醋총로  고 어든 醋총 머규 져기 주어 고틸만

하95ㄱ

라

또 만일 어질어질한 것을 알게 되면 즉시 초를 얼굴에 뿜고 깨어나면 초를 먹이되 고칠 만할 정도로 조금 주어라.

又方
以洗兒水飮三合良或惡血服少許良

 아기 시순 므를 세 호 머규미 됴니 모딘 피 져기 머기도 됴니라

또 아기를 씻은 물 세 홉을 먹임이 좋으며 나쁜 피를 조금 먹여도 좋다.

又方
半夏洗不以多少右爲末丸如大豆納鼻中卽省亦療五絶迷悶

半반夏 주017)
반하(半夏):
부록 참조.
 시수 하거나 젹거나  라 丸이 만 야 곳 소배 주018)
곳 소배:
고[鼻] + -ㅅ(관형격 조사) + 솝[內] + -애(처격조사). 콧속에. 콧구멍에.
녀면 즉재 리니  五絶 주019)
오절(五絶):
사람이 비명에 죽는 다섯 가지 죽음. 즉 목매달아 죽음, 물에 빠져 죽음, 눌려 죽음, 얼어 죽음, 놀라서 죽음을 이른다.
애 닶가와 호 고티니라

또 반하를 씻되 많든지 적든지 가루를 만들어 환을 짓는데 콩낱만하게 해 콧구멍에 넣으면 즉시 정신을 차린다. 또 오절로 인해 답답해함을 고친다.

又方
治産後血暈用舊漆器猛燒煙逼面熏之

 産산後에 血暈 고튜 녯 漆혼 주020)
칠(漆)혼:
옻칠한.
器킝具끙 외 주021)
외:
오래도록. 심히. 맹렬하게. 굳게.
론 주022)
:
연기.
예  다혀 주023)
다혀:
닿-[着]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갖다대어. 닿게 해서.
쇠라

또 출산 후에 나타나는 혈훈을 고치려면 옛날에 옻칠한 기구를 활활 불태워 나는 연기에 얼굴을 갖다 대고 쐬라.

又方
韭葉

하95ㄴ

切入藏甁中以米醋燒以紙密封甁口勿令泄氣以甁觜向産婦鼻熏之立醒

韭菜 주024)
구채(韭菜):
부록의 ‘염교’ 참조.
ㅅ 니플 사라 甁의 녀코 醋총 조쳐 블 브티고 주025)
초(醋)조쳐 블 브티고:
이 구절을 『구급간이방』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하고 있 참고가 된다. ‘초 글혀 븟고’(7:65ㄱ).
죠로 甁ㅅ이플 주026)
이플:
잎[口] + -을(목적격 조사). 어귀를. 입구를.
외 마가 氣킝分분이 디 아니케 고 甁부리로 아기 나 어믜 고해 다혀 쇠면 즉자히 니라

또 부추의 잎을 썰어서 병에 넣고 초를 끓여서 함께 붓고는 종이로 병의 입구를 굳게 막아 기운이 통하지 않게 하고 병 부리를 아기 낳은 어미의 코에 갖다 대고 쐬면 즉시 깨어난다.

聖惠方
治産後血暈迷悶不醒面色靑黑腹內脹滿氣息欲絶赤馬通散 赤馬通五枚焙乾生地黃一兩切炒乾右擣細末每服一錢不

하96ㄱ

計時候以生姜汁調下

産산後에 血暈야 닶가와 디 몯야 비치 검프르고  안히 브르고 氣킝分분이 긋추려 닐 고튜 赤쳑馬망通 주027)
적마통(赤馬通):
절따말의 똥. 『구급간이방』(7:65ㄱ)에는 赤馬通을 ‘졀다 ’으로 풀이해 놓았다. ‘절따말’은 털빛이 붉은 말을 가리킨다.
다 나 주028)
나:
낱을.
브레 오고 生地띵黃 주029)
생지황(生地黃):
부록 참조.
 兩 사라 봇가 온 주030)
온:
말린.
거슬 디허 리  라  服뽁애  돈곰 야  혜디 말오 生姜汁집애 프러 머그라

출산 후에 혈훈이 일어나 답답하고 정신이 깨어나지 못하며 얼굴빛이 검푸르고 배 안이 부르며 기운이 멈추려 하는 것을 고치려면 절따말의 똥 다섯 낱을 불에 말린 것과 생지황 한 냥을 썰어 볶아 말린 것을 찧어 가늘게 가루로 만들어서 한 번 복용에 한 돈씩 해서 때를 가리지 말고 생강 즙에 풀어 먹으라.

産書
治産後血暈神麴爲末熱水調下二錢

産산後에 血暈 고툐 됴 누루글 주031)
누루글:
누룩을.
 라 더운 므레 두 돈 프러 머그라

출산 후에 나타나는 혈훈을 고치려면 좋은 누룩을 가루로 만들어서 뜨거운 물에 두 돈을 풀어 먹으라.

하96ㄴ

衛生易簡方
産後血暈用蘇木三兩剉碎水五鐘煎至二鍾入少酒分作二服

産산後에 血暈거든 다목 주032)
다목:
부록 참조.
석 兩 사라 아 믈 다 鍾 주033)
종(鍾):
예전에 쓰던 술잔의 하나. ‘鍾子’(종자)는 오늘날의 ‘종지’의 원말이다.
 두 鍾이 외에 글혀 져기 수를 녀허 호아 두 저긔 머그라

출산 후에 혈훈이 일어나거든 다목 석 냥을 썰어 빻아서 물 다섯 종지에 풀어 두 종지가 되게 끓인 데에다 술을 조금 넣어 두 번에 나누어 먹으라.

又方
用炭燒紅以醋汏薰之
救急方下

숫글 주034)
숫글:
[炭] + -을(목적격 조사). 숯을.
븕게 퓌우고 주035)
퓌우고:
퓌-[燃] + -우-(사동 접미사) + -고(연결어미). 피우고. ‘퓌다’는 ‘퓌다 〉 픠다 〉 피다’의 변천 과정을 겪었다.
醋총로 저젹 주036)
저젹:
젖-[潤]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 -ㄱ(강세 첨사). 적시어.
쇠라

또 숯을 붉게 피우고 초로 적시어 쐬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혈훈(血暈):산후 또는 기타 출혈로 정신이 혼미하여지는 병.
주002)
가기:갑자기.
주003)
뷔여:뷔-[虛] + -어(연결어미). 비어. 부실하여. 허하여.
주004)
잔치디:잔치-[解] + -디(보조적 연결어미). 풀지. 안정되지.
주005)
벼로기:벼록[眼花] + -이(주격조사). 안화가. ‘안화’는 눈앞에서 불꽃 같은 것이 어른거리는 증상을 뜻한다.
주006)
좃고:좆-[噤] + -고(연결어미). 다물어지고.
주007)
암풍(暗風):머리가 빙빙 도는 것 같고, 눈앞이 캄캄해서 방향을 잘 분간하지 못하는 병증.
주008)
청혼산(淸魂散):부록 참조.
주009)
택란엽(澤蘭葉):부록 참조.
주010)
인삼(人蔘):부록 참조.
주011)
형개(荊芥):부록 참조.
주012)
천궁(川芎):부록 참조.
주013)
모:목[咽] + -(처격 조사). 목에.
주014)
:-[開] + -어(연결어미). (눈을) 떠서.
주015)
니라:깨어난다.
주016)
아라:알-[知] + -아(연결어미). 알거든.
주017)
반하(半夏):부록 참조.
주018)
곳 소배:고[鼻] + -ㅅ(관형격 조사) + 솝[內] + -애(처격조사). 콧속에. 콧구멍에.
주019)
오절(五絶):사람이 비명에 죽는 다섯 가지 죽음. 즉 목매달아 죽음, 물에 빠져 죽음, 눌려 죽음, 얼어 죽음, 놀라서 죽음을 이른다.
주020)
칠(漆)혼:옻칠한.
주021)
외:오래도록. 심히. 맹렬하게. 굳게.
주022)
:연기.
주023)
다혀:닿-[着]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갖다대어. 닿게 해서.
주024)
구채(韭菜):부록의 ‘염교’ 참조.
주025)
초(醋)조쳐 블 브티고:이 구절을 『구급간이방』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하고 있 참고가 된다. ‘초 글혀 븟고’(7:65ㄱ).
주026)
이플:잎[口] + -을(목적격 조사). 어귀를. 입구를.
주027)
적마통(赤馬通):절따말의 똥. 『구급간이방』(7:65ㄱ)에는 赤馬通을 ‘졀다 ’으로 풀이해 놓았다. ‘절따말’은 털빛이 붉은 말을 가리킨다.
주028)
나:낱을.
주029)
생지황(生地黃):부록 참조.
주030)
온:말린.
주031)
누루글:누룩을.
주032)
다목:부록 참조.
주033)
종(鍾):예전에 쓰던 술잔의 하나. ‘鍾子’(종자)는 오늘날의 ‘종지’의 원말이다.
주034)
숫글:[炭] + -을(목적격 조사). 숯을.
주035)
퓌우고:퓌-[燃] + -우-(사동 접미사) + -고(연결어미). 피우고. ‘퓌다’는 ‘퓌다 〉 픠다 〉 피다’의 변천 과정을 겪었다.
주036)
저젹:젖-[潤] + -이-(사동 접미사) + -어(연결어미) + -ㄱ(강세 첨사). 적시어.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