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영험약초

  • 역주 영험약초
  • 영험약초
  • 6. 발문(跋文)
메뉴닫기 메뉴열기

6. 발문(跋文)


영험약초 발:1ㄱ

夫天下之機緣萬品 而良醫之處方亦異 故我覺王從一法界 而運出塵沙之法門 門門可入 凡有知者 罔不随機而得益 然入門有遲速 觀行有難易 莫非導士方便 善巧之如何耳 時當末運人根由之 擬禪那則 高推聖境 論義學則甘稱下劣 由是方袍圎頂盡 爲風塵之客白衣高賔 永作那落之徒 我

영험약초 발:1ㄴ

仁粹王大妃殿下 愍世道之薄㣪 時流之急思 所以切於時 而利於人者 無偕於五大眞言 不專禪定 不探義理 而但令持誦 則獲福一如經說 叔世利人之方 莫斯爲最也 然此經梵漢竒奧 讀者病之 於是求淂唐本注 諺重刊印而施之庶 使便於誦習而無利鈍之差 逸於佩守 而莫貴賤之異 奉持猶簡 而㝠資則悉均箇箇得趣向

영험약초 발:2ㄱ

之分 人人違菩提之岸功 被四生見聞躋解脫之境德 及存亡幽顯返常樂之 鄕以至祖宗先靈咸資妙援抑 亦主上殿下 睿筭天長金枝 繁茂玉葉昌盛 諷誦之時 咸称壽祺 持念之際必曰 崗陵五大之驗 昭昭衆口之宣 歷歷衆殿下 能事之巳圎於是乎知矣

영험약초 발:2ㄴ

成化二十一年乙巳孟夏 山人臣學祖敬跋
Ⓒ 저자 | 학조 / 1485년 월 일

무릇 천하의 기연(機緣)은 제각기 다르며, 양의(良醫)의 처방도 또한 다를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부처님께서 한 법계(法界)에 따라 수많은[塵沙] 법문(法門)을 내시면, 〈대중은〉 문마다 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무릇 이것을 아는 이는 기류(機類)에 따라 이익을 얻지 못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문에 들어가는 것은 느릴 수도 있고 빠를 수도 있으며, 관심(觀心)의 행법(行法)에는 어려움도 있고 쉬운 것도 있습니다. 인도하는 자의 방편에 따르지 않을 수 없으니 잘 다듬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시대가 마침 말세(末世)의 운수를 맞게 되었으니, 사람의 근본은 그로 말미암아 선[禪那]에 의지하게 되면 높게는 미루어 성인의 경지에 갈 수 있습니다. 의학(義學)을 논하게 되면 하등으로 불리는 것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것으로 말미암아 가사[方袍]를 입은 승려와 인류(人類, 圓頂)가 모두 풍진(風塵)의 객(客)이 되고, 속인[白衣)]과 고빈(高賓)이 영원히 나락(那落)에 떨어지는 무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 인수왕대비(仁粹王大妃) 전하께서는 세상의 도(道)가 야박하게 되고, 시류(時流)가 급박하게 되는 것을 민망하게 여겨 당시에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서 사람에게 이익이 되는 것은 오대진언(五大眞言)보다 함께 할 것이 없는데도 선정(禪定)에 전념하지 않고, 의리(義理)를 탐구하지 않고, 다만 지녀서 외우는 것으로 하여금 복을 얻는다고 한결같이 경전의 말씀만을 하는 말세(末世, 叔世)에,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것 중 이보다 더 높은 가르침은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이 경전은 범어나 한문의 기이한 문자로 되어 있어서 읽는 이들이 어려움을 겪어 왔습니다. 이에 당본(唐本) 주석서를 구해 언해(諺解)로 거듭 인간(印刊)을 하고,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어 외우고 익히기에 편리하도록 하였습니다. 날카롭고 둔함의 차이는 지니고 지키는 것보다 더 나태해지는 것이 없고, 귀천(貴賤)의 차이는 간략한 것보다 더 받들어 지킬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그리하여 그윽한 자질을 지니게 되면 모두 다 개개가 나아갈 바의 분수를 얻게 되고, 사람마다 깨달음의 언덕에 떨어지게 되어 사생(四生)이 해탈의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견문(見聞)을 입혀주게 될 것입니다.
또 존망(存亡)과 유현(幽顯)이 일상을 돌이켜 즐겁게 될 것입니다. 지난번에 조종(祖宗) 선령(先靈)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오묘한 자질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주상 전하께서 오랜 동안 자손[金枝]들을 지혜롭게 길러 오셔서 옥엽(玉葉)처럼 번성하게 하시니, 글을 외울 적에는 모두 장수(長壽)하시기를 칭송해서 말하기를, ‘높으신 오대의 경험과 밝고 밝은 여론[衆口]이 역력히 많아졌습니다.’ 전하께서는 능히 이처럼 원만하게 처리하지 않았습니까.
성종 16년(성화 21년, 1485) 을사 맹하 소승 신 학조 삼가 발을 쓰다.
Ⓒ 역자 | 김무봉 / 201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