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5 이동
내려받기 인쇄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확대 축소 전체보기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16ㄴ
확대 표준 축소 내려받기 인쇄 의견제시
酬郭十五判官受 주001)
수곽십오판관수(酬郭十五判官受)
곽 15판관의 시에 답하다. 이 시는 대력 4년(769), 형주(衡州)에 점차 봄이 오고 있을 때 곽수(郭秀)의 시에 화답하여 쓴 시이다.
수곽십오판관수
(곽수 주002)
곽수(郭受)
한족(漢族)으로 당나라 때의 대력(大曆) 연간의 시인이다. 15는 곽수가 같은 증조부 자손 중 15번째임을 나타낸다. 일찍이 형양(衡陽)의 판관을 하였다. 형양은 호남성 남동부, 상강(湘江) 중류에 있는 도시이다.
의 시에 답하다)
才微歲老尙虛名 臥病江湖春復生
·죄 :젹고 주003)
죄 젹고
죄[才]#젹[少, 微]-+-고(연결 어미). 재주 적고.
·나히 늘·근 거·긔 주004)
나히 늘근 거긔
나ㅎ[年, 歲]+이(주격 조사)#늙[老]-+-은(관형사형 어미)#거긔(. 나이 늙은.
주005)
거긔
거기. 그곳에. 그것에.
·오히·려 :뷘 일·후미 주006)
뷘 일후미
뷔[空, 虛]-+-ㄴ(관형사형 어미)#일훔[名]+이(주격 조사). 빈 이름이. 허명이.
잇·니 주007)
잇니
잇[有]-+--+-니(연결 어미). 있나니. 있으니.
江湖·애 주008)
강호(江湖)애
강호(江湖)+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과 호수에. 강호에.
病·야 주009)
병(病)야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병들어.
누·우니 주010)
누우니
눕[臥]-+-으니(연결 어미). 누우니.
·보미 주011)
보미 
봄[春]+이(주격 조사)#[復]. 봄이 또.
· ·나놋다 주012)
나놋다
나[生]-+-놋다(감탄 어미). 나는구나. 나도다. 오는구나.
【한자음】 재미세로상허명 와병강호춘부생
【언해역】 재주 적고 나이 늙은 그것에 오히려 빈 이름이 있으니, 강호에 병들어 누우니 봄이 또 오는구나.
藥裹關心詩摠廢 花枝照眼句還成
藥 · 주013)
약(藥) 
약(藥)#[包, 裹]-+-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약 싼.
거·시 주014)
거시
것[의존 명사]+이(주격 조사). 것이.
·매 주015)
매
[心]+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마음에.
연·쳐 시·니 주016)
연쳐시니
연치[關]-+- 어(연결 어미)#시[有]-+-니(연결 어미). 얹혀 있으니. 얹혀 있어.
·그를 :다 주017)
그를 다
글[文, 詩]+을(대격 조사)#다[摠]. 글을 다. 시를 다.
廢·다·니 주018)
폐(廢)다니
폐(廢)+-(동사 파생 접미사)-+-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폐하더니. 폐하였는데.
곳 ·가지 주019)
곳가지
곳[花]+가지[枝]. 꽃가지. 꽃이 핀 가지.
:누늘 비·취어·늘 주020)
누늘 비취어늘
눈[眼]+을(대격 조사)#비취[照]-+-거늘(연결 어미). 눈을 비추거늘.
·긄 句· 주021)
긄 구(句)
글[文, 詩]+ㅅ(관형격 조사)#구(句)+(대격 조사). 글 구를. 시구를. 시 구절을.
도로 일·우노라 주022)
일우노라
일우[成]-+-노라(감탄 어미). 이루노라. 이루도다.
【한자음】 약과관심시총폐 화지조안구환성
【언해역】 약 싼 것이 마음에 얹혀 있어 글을 다 폐하였는데 꽃가지 눈을 비추거늘 글 구를 도로 이루노라.
只同燕石能星隕 自得隋珠覺夜明【宋ㅅ 愚人이 得燕石 주023)
연석(燕石)
중국 베이징 근처에 있는 연산에서 나는 돌을 가리킨다. 모양은 옥과 비슷하나 별 가치가 없는 돌로 알려져 있다.
야 以爲寶ㅣ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17ㄱ

라 니라 左傳 주024)
좌전(左傳)
〈춘추좌씨전〉의 준말. 중국 노나라의 좌구명이 〈춘추〉를 해설한 책이다. 〈좌씨전〉이라고도 한다.
에 隕石于宋五 주025)
송오(宋五)
〈좌전〉에 언급되고 있는 사람 이름인 듯.
니 隕星也ㅣ라 隋珠 隋侯의 夜明珠也ㅣ라 ㅣ 以燕石으로 比其詩而隋珠로 比郭詩다】
오·직 燕ㅅ :돌·콰 주026)
연(燕)ㅅ 돌콰
연(燕)+ㅅ(관형격 조사)#돌ㅎ[石]+과(공동격 조사). 연의 돌과. 연석(燕石)과.
가·지라 주027)
가지라
[同]#가지[種]#이(지정 형용사)-+-라(연결 어미). 한가지여서.
能·히 :벼리 딘 주028)
벼리 딘
별[星]+이(주격 조사)#디[落]-+-ㄴ(관형사형 어미). 별이 진.
··니 주029)
니
[似]+-(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듯하니.
스·싀로 주030)
스싀로
스스로[自].
隋ㅅ 구·스를 주031)
수(隋)ㅅ 구스를
수(隋)+ㅅ(관형격 조사)#구슬[珠]+을(대격 조사). 수(隋)의 구슬을.
:어더 주032)
어더
얻[得]-+-어(연결 어미). 얻어.
夜明珠 · 주033)
야명주(夜明珠)
야명주(夜明珠)#이(지정 형용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대격 조사). 야광주인 줄.
:아노·라 주034)
아노라
알[知, 覺]-+-노라(감탄 어미). 아노라. 알도다.
【한자음】 지동연석능성운 자득수주각야명송(宋)의 어리석은 사람이 연석(燕石)을 얻어 그것으로 보석을 삼는다고 하였다. 〈좌전(左傳)〉에, 운석이 송오(宋五)에 떨어지니 운성(隕星)이라 하였다. 수의 구슬은 수 제후의 야명주(夜明珠)인 것이다. 두보는 연석으로 그의 시를 비유하고, 수의 구슬로 곽수의 시를 비유하였다.】
【언해역】 오직 연돌[燕石]과 한가지여서 능히 별이 떨어진 듯하니 스스로 수(隋)의 구슬을 얻어 야광주(夜光珠)인 줄 알도다.
喬口橘洲風浪促 繫帆何惜片時程【喬口橘洲 皆荊衡 주035)
형형(荊衡)
형주(荊州)와 형주(衡州) 지역으로, 형주(荊州)는 호북성(湖北省) 중남부의 장강(長江) 중류의 양안 지역이고, 형주(衡州)는 호남성(湖南省) 형양시(衡陽市) 일대로 호남성 남동부, 상강(湘江) 중류 지역이다.
之地니 此 欲郭之來訪也ㅣ라 】
喬口 주036)
교구(喬口)
호남성 망성현(望城縣)에 있는 지명.
·와 橘洲 주037)
귤주(橘洲)
귤자주(橘子洲)라고도 하며 지금의 장사시(長沙市) 상강(湘江) 중류에 있는 사주(沙洲)이다.
·예 ·맷 주038)
맷
[風]+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바람에의. 바람의.
·믌·겨리 주039)
믌겨리
믈[水]+ㅅ(관형격 조사)#결[波]+이(주격 조사). 물결이. 랑(浪)이.
조·니 주040)
조니
좁[狹, 促]-+-니(연결 어미). 좁으니. 풍랑치는 것을 물결이 좁아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돗· 주041)
돗
[舟]+ㅅ(관형격 조사)#[帆]+(대격 조사). 배의 돛을.
·여셔 주042)
여셔
[繫(계)]-+-어셔(연결 어미)+셔(보조사). 매어서. 매고서.
:엇뎨 주043)
엇뎨
어찌.
片時·옛 주044)
편시(片時)옛
편시(片時)+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잠시의. 잠깐의.
·길흘 주045)
길흘
길ㅎ[道, 途, 程]+을(대격 조사). 길을.
앗·기·뇨 주046)
앗기뇨
앗기[惜]-+-(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뇨(의문 어미). 아끼는 것인가. ‘-뇨’는 원래 동명사 어미 ‘-ㄴ’ 과 지정 형용사 ‘이-’의 의문 활용형이 결합한 것이다. ‘-니고’의 ‘ㄱ’이 ‘니’의 ‘ㅣ’ 모음 뒤에서 탈락되고 난 뒤에 ‘-니+오’가 ‘뇨’로 축약된 것이다.
【한자음】 교구귤주풍랑촉 계범하석편시정교구(喬口), 귤주(橘洲)는 모두 형형(荊衡)의 땅이니, 이는 곽수가 내방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언해역】 교구귤주에 바람의 물결이 좁으니, 배의 돛을 매고서 어찌 잠시의 길을 아끼는 것인가?
이전 다음
목록열기목록 목록닫기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