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한글고전역주
과학기술고전
전체
기사제목
검색
가로 보기
세로 보기
이미지 보기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처음 검색결과
이전 검색결과
다음 검색결과
마지막 검색결과
검색결과 목록
검색어 이동
출력
공유하기
URL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http://db.sejongkorea.org:8080/sejong/pageDetailInfo.do?bkCode=P10_HY&bkContNo=439&ver=n
전체
여닫기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여닫기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책정보
여닫기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여닫기
권4(卷四)
여닫기
음산(陰疝)
여닫기
적취심복창만(積聚心腹脹滿)
여닫기
심복통(心腹痛)
여닫기
흉비(胷痺)
여닫기
심전(心顚)
여닫기
해수론(咳嗽論)
여닫기
상천중만(上喘中滿)
여닫기
해역(咳逆)
여닫기
해수단기(咳嗽短氣)
여닫기
일체연수(一切涎嗽)
여닫기
일체해수 수분육기무구이한(一切咳嗽 嗽分六氣毋拘以寒)
여닫기
각혈농혈(咯血膿血)
여닫기
번위(翻胃)[부구토오열오격(附嘔吐五噎五膈)]
여닫기
토혈(吐血)
여닫기
구혈(嘔血)
여닫기
타혈(唾血)
여닫기
토혈후허열흉중비구조(吐血後虛熱胷中痞口燥)
여닫기
혈한(血汗)
여닫기
비뉵(鼻衄)
여닫기
구뉵(久衄)
여닫기
대뉵(大衄)
여닫기
육멸(衄衊)
여닫기
고독(蠱毒)
여닫기
권5(卷五)
여닫기
두풍(頭風)
여닫기
두풍백설(頭風白屑)
여닫기
목적란(目赤爛)
여닫기
목적년적(目積年赤)
여닫기
목비혈적맥(目飛血赤脉)
여닫기
목혈관동인(目血灌瞳人)
여닫기
목주자돌출(目珠子突出)
여닫기
백정종창(白睛腫脹)
여닫기
목폭종(目暴腫)
여닫기
목풍종(目風腫)
여닫기
목정동통(目睛疼痛)
여닫기
목삽통(目澁痛)
여닫기
목양급급적통(目痒急及赤痛)
여닫기
오장풍열안(五藏風熱眼)
여닫기
목편시풍견(目偏視風牽)
여닫기
목풍안한(目風眼寒)
여닫기
목적종통(目赤腫痛)
여닫기
목풍누출(目風淚出)
여닫기
단석독상공목(丹石毒上攻目)
여닫기
시기후환목(時氣後患目)
여닫기
목훈(目暈)
여닫기
목혼암(目昏暗)
여닫기
목황황(目䀮䀮)
여닫기
안미골급두통(眼眉骨及頭痛)
여닫기
목치멸(目眵䁾)
여닫기
미목(眯目)
여닫기
침안(鍼眼)
여닫기
위락(熨烙)
여닫기
위락법(熨烙法)
여닫기
이롱(耳聾)
여닫기
비병(鼻病)
여닫기
구병(口病)
여닫기
설순(舌脣)
여닫기
치간출혈(齒間出血)
여닫기
치은선로(齒齗宣露)
여닫기
치우(齒齲)
여닫기
아치동요(牙齒動搖)
여닫기
아치황흑(牙齒黃黑)
여닫기
아치불생(牙齒不生)
여닫기
아치정생(牙齒挺生)
여닫기
개치(揩齒)
여닫기
후중생곡적(喉中生穀賊)
여닫기
인후폐색불통(咽喉閉塞不通)
여닫기
후비(喉痺)
여닫기
마후비(馬喉痺)
여닫기
인후(咽喉)
여닫기
인후종통어성불출(咽喉腫痛語聲不出)
여닫기
인후졸종통(咽喉卒腫痛)
여닫기
인후생옹(咽喉生癰)
여닫기
현옹종(懸癰腫)
여닫기
시인후(尸咽喉)
여닫기
구인(狗咽)
여닫기
인후중여유물방민(咽喉中如有物妨悶)
여닫기
권6(卷六)
여닫기
장풍(腸風)
여닫기
제리론(諸痢論)
여닫기
설사리(泄瀉痢)
여닫기
열리(熱痢)
여닫기
냉열리(冷熱痢)
여닫기
감리(疳痢)
여닫기
기리(氣痢)
여닫기
휴식리(休息痢)
여닫기
고리(蠱痢)
여닫기
≪향약제생집성방≫ 서문
여닫기
≪향약제생집성방≫ 발문
여닫기
역주 경민편
여닫기
역주 경민편 책정보
여닫기
경민편
여닫기
중간 경민편 서(重刊 警民編 序)
여닫기
[김정국(金正國)의 발문]
여닫기
제1 군상(君上)
여닫기
제2 부모(父母)
여닫기
제3 부처(夫妻)
여닫기
제4 형제 자매(兄弟姊妹)
여닫기
제5 족친(族親)
여닫기
제6 인리(鄰里)
여닫기
제7 투구(鬪歐)
여닫기
제8 근업(勤業)
여닫기
제9 저적(儲積)
여닫기
제10 사위(詐僞)
여닫기
제11 범간(犯姦)
여닫기
제12 도적(盜賊)
여닫기
제13 살인(殺人)
여닫기
제14 노주(奴主)
여닫기
역주 이륜행실도
여닫기
역주 이륜행실도 책정보
여닫기
이륜행실도
여닫기
이륜행실도 서문
여닫기
이륜행실도 목록
여닫기
이륜행실 형제도
여닫기
급수동사(伋壽同死)
여닫기
복식분축(卜式分畜)
여닫기
왕림구제(王琳救弟)
여닫기
허무자예(許武自穢)
여닫기
정균간형(鄭均諫兄)
여닫기
조효취팽(趙孝就烹)
여닫기
목융자과(繆肜自撾)
여닫기
이충축부(李充逐婦)
여닫기
강굉동피(姜肱同被)
여닫기
왕람쟁탐(王覽爭酖)
여닫기
유곤수병(庾袞守病)
여닫기
왕밀역제(王密易弟)
여닫기
채확자사(蔡廓諮事)
여닫기
극살쟁사(棘薩爭死)
여닫기
양씨의양(楊氏義讓)
여닫기
달지속제(達之贖弟)
여닫기
노조책려(盧操策驢)
여닫기
광진반적(光進返籍)
여닫기
두연대형(杜衍待兄)
여닫기
장존포금(張存布錦)
여닫기
언소석적(彦宵析籍)
여닫기
덕규사옥(德珪死獄)
여닫기
도경인경(道卿引頸)
여닫기
곽전분재(郭全分財)
여닫기
사달의감(思達義感)
여닫기
이륜행실 종족도
여닫기
군량척처(君良斥妻)
여닫기
공예서인(公藝書忍)
여닫기
진씨군식(陳氏群食)
여닫기
중엄의장(仲淹義莊)
여닫기
육씨의거(陸氏義居)
여닫기
문사십세(文嗣十世)
여닫기
원백동찬(元伯同㸑)
여닫기
이륜행실 붕우도
여닫기
범장사우(范張死友)
여닫기
누호양려(樓護養呂)
여닫기
장예휼고(張裔恤孤)
여닫기
도종심시(道琮尋尸)
여닫기
오곽상보(吳郭相報)
여닫기
이면환금(李勉還金)
여닫기
서회불부(徐晦不負)
여닫기
사도경탁(査道傾橐)
여닫기
한이경복(韓李更僕)
여닫기
순인맥주(純仁麥舟)
여닫기
후가구의(侯可求醫)
여닫기
이륜행실 사생도
여닫기
운창자핵(云敞自劾)
여닫기
환영분상(桓榮奔喪)
여닫기
견초염빈(牽招歛殯)
여닫기
양시입설(楊時立雪)
여닫기
원정대탑(元定對榻)
여닫기
역주 삼강행실도
여닫기
역주 삼강행실도 책정보
여닫기
역주 삼강행실도
여닫기
삼강행실효자도 주해
여닫기
삼강행실효자도 목록
여닫기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여닫기
민손단의(閔損單衣)
여닫기
자로부미(子路負米)
여닫기
양향액호(楊香搤虎)
여닫기
고어도곡(皐魚道哭)
여닫기
진씨양고(陳氏養姑)
여닫기
강혁거효(江革巨孝)
여닫기
설포쇄소(薛包洒掃)
여닫기
효아포시(孝娥抱屍)
여닫기
황향선침(黃香扇枕)
여닫기
정란각목(丁蘭刻木)
여닫기
동영대전(董永貸錢)
여닫기
곽거매자(郭巨埋子)
여닫기
원각경부(元覺警父)
여닫기
맹희득금(孟熙得金)
여닫기
왕부폐시(王裒廢詩)
여닫기
맹종읍죽(孟宗泣竹)
여닫기
왕상부빙(王祥剖氷)
여닫기
허자매수(許孜埋獸)
여닫기
왕연약어(王延躍魚)
여닫기
반종구부(潘綜救父)
여닫기
검루상분(黔婁嘗糞)
여닫기
숙겸방약(叔謙訪藥)
여닫기
길분대부(吉翂代父)
여닫기
불해봉시(不害捧屍)
여닫기
왕숭지박(王崇止雹)
여닫기
효숙도상(孝肅圖像)
여닫기
노조순모(盧操順母)
여닫기
서적독행(徐積篤行)
여닫기
오이면화(吳二免禍)
여닫기
왕천익수(王薦益壽)
여닫기
유씨효고(劉氏孝姑)
여닫기
누백포호(婁伯捕虎)
여닫기
자강복총(自强伏塚)
여닫기
석진단지(石珎斷指)
여닫기
은보감오(殷保感烏)
여닫기
삼강행실충신도 주해
여닫기
삼강행실충신도 목록
여닫기
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
여닫기
용방간사(龍逄諫死)
여닫기
난성투사(欒成鬪死)
여닫기
석작순신(石碏純臣)
여닫기
왕촉절두(王蠋絶脰)
여닫기
기신광초(紀信誑楚)
여닫기
소무장절(蘇武杖節)
여닫기
주운절함(朱雲折檻)
여닫기
공승추인(龔勝推印)
여닫기
이업수명(李業授命)
여닫기
혜소위제(嵆紹衛帝)
여닫기
변문충효(卞門忠孝)
여닫기
환이치사(桓彛致死)
여닫기
안원매적(顔袁罵賊)
여닫기
장허사수(張許死守)
여닫기
장흥거사(張興鋸死)
여닫기
수실탈홀(秀實奪笏)
여닫기
연분쾌사(演芬快死)
여닫기
약수효사(若水効死)
여닫기
유겹연생(劉韐捐生)
여닫기
부찰식립(傅察植立)
여닫기
방예서금(邦乂書襟)
여닫기
악비열배(岳飛涅背)
여닫기
윤곡부지(尹穀赴池)
여닫기
천상불굴(天祥不屈)
여닫기
방득여소(榜得茹蔬)
여닫기
화상손혈(和尙噀血)
여닫기
강산장군(絳山葬君)
여닫기
하마자분(蝦䗫自焚)
여닫기
보안전충(普顔全忠)
여닫기
제상충렬(堤上忠烈)
여닫기
비녕돌진(丕寧突陳)
여닫기
정이상소(鄭李上䟽)
여닫기
몽주운명(夢周隕命)
여닫기
길재항절(吉再抗節)
여닫기
원계함진(原桂陷陳)
여닫기
삼강행실열녀도 주해
여닫기
삼강행실열녀도 목록
여닫기
삼강행실열녀도
여닫기
백희체화(伯姬逮火)
여닫기
여종지례(女宗知禮)
여닫기
식처곡부(殖妻哭夫)
여닫기
송녀불개(宋女不改)
여닫기
절녀대사(節女代死)
여닫기
고행할비(高行割鼻)
여닫기
목강무자(穆姜撫子)
여닫기
정의문사(貞義刎死)
여닫기
예종매탁(禮宗罵卓)
여닫기
원강해곡(媛姜解梏)
여닫기
영녀절이(令女截耳)
여닫기
이씨감연(李氏感燕)
여닫기
최씨견사(崔氏見射)
여닫기
숙영단발(淑英斷髮)
여닫기
위씨참지(魏氏斬指)
여닫기
이씨부해(李氏負骸)
여닫기
조씨액여(趙氏縊輿)
여닫기
서씨매사(徐氏罵死)
여닫기
이씨액옥(李氏縊獄)
여닫기
옹씨동사(雍氏同死)
여닫기
정부청풍(貞婦淸風)
여닫기
양씨피살(梁氏被殺)
여닫기
명수구관(明秀具棺)
여닫기
의부와빙(義婦臥氷)
여닫기
동씨피면(童氏皮面)
여닫기
왕씨경사(王氏經死)
여닫기
주씨구욕(朱氏懼辱)
여닫기
취가취팽(翠哥就烹)
여닫기
영녀정절(甯女貞節)
여닫기
미처담초(彌妻啖草)
여닫기
최씨분매(崔氏奮罵)
여닫기
열부입강(烈婦入江)
여닫기
임씨단족(林氏斷足)
여닫기
김씨박호(金氏搏虎)
여닫기
김씨동폄(金氏同窆)
여닫기
역주 정속언해
여닫기
역주 정속언해 책정보
여닫기
정속언해
여닫기
1. 어버이께 효도함
여닫기
2. 형제를 사랑하여 사귐
여닫기
3. 아내와 화목함
여닫기
4. 자손 가르침
여닫기
5. 친척들과 화목함
여닫기
6. 외가·처가 친척과 사귐
여닫기
7. 이웃과 마을 사람을 긍휼히 여김
여닫기
8. 벗을 삼가 사귀어라
여닫기
9. 종들을 대접하면서 부림
여닫기
10. 상사와 제사를 정중히 모심
여닫기
11. 무덤을 소중히 보살핌
여닫기
12. 부정한 귀신에게 이바지 말라
여닫기
13. 농사짓기를 힘쓰라
여닫기
14. 밭 소출을 거둠
여닫기
15. 검박함을 숭상함
여닫기
16. 노여운 일을 참음
여닫기
17. 굶주린 사람을 도와줌
여닫기
18. 좋은 일을 많이 함
여닫기
역주 여사서언해
여닫기
역주 여사서언해 책정보
여닫기
여사서언해
여닫기
범례(凡例)
여닫기
여사서 목록(女四書目錄)
여닫기
신종황제어제 여계 서(神宗皇帝御製女誡序)
여닫기
어제 여사서 서
여닫기
조태고 여계(曹大家女誡)
여닫기
여계 원서(女誡原序)
여닫기
여사서 제1권-여계(女誡)
여닫기
제1 비약(卑弱)
여닫기
제2 부부(夫媍)
여닫기
제3 경순(敬順)
여닫기
제4 부행(婦行)
여닫기
제5 전심(專心)
여닫기
제6 곡종(曲從)
여닫기
제7 화숙매(和叔妹)
여닫기
송약소여논어(宋若昭女論語)
여닫기
당서 열전(唐書列傳)
여닫기
여논어 서전(女論語序傳)
여닫기
여사서 제2권-여논어(女論語)
여닫기
제1 입신장(立身章)
여닫기
제2 학작장(學作章)
여닫기
제3 학예장(學禮章)
여닫기
제4 조기장(早起章)
여닫기
제5 사부모장(事父母章)
여닫기
제6 사구고장(事舅姑章)
여닫기
제7 사부장(事夫章)
여닫기
제8 훈남여장(訓男女章)
여닫기
제9 영가장(營家章)
여닫기
제10 대객장(待客章)
여닫기
제11 화유장(和柔章)
여닫기
제12 수절장(守節章)
여닫기
여사서 제3권 – 내훈(內訓)
여닫기
어제 서(御製序)
여닫기
제1 덕성장(德性章)
여닫기
제2 수신장(修身章)
여닫기
제3 신언장(愼言章)
여닫기
제4 근행장(謹行章)
여닫기
제5 근려장(勤勵章)
여닫기
제6 절검장(節儉章)
여닫기
제7 경계장(警戒章)
여닫기
제8 적선장(積善章)
여닫기
제9 천선장(遷善章)
여닫기
제10 숭성훈장(崇聖訓章)
여닫기
제11 경현범장(景賢範章)
여닫기
제12 사부모장(事父母章)
여닫기
제13 사군장(事君章)
여닫기
제14 사구고장(事舅姑章)
여닫기
제15 봉제사장(奉祭祀章)
여닫기
제16 모의장(母儀章)
여닫기
제17 목친장(睦親章)
여닫기
제18 자유장(慈幼章)
여닫기
제19 체하장(逮下章)
여닫기
제20 대외척장(待外戚章)
여닫기
여사서 제4권-여범첩록(女範捷錄)
여닫기
제1 통론편(統論篇)
여닫기
제2 후덕편(后德篇)
여닫기
제3 모의편(母儀篇)
여닫기
제4 효행편(孝行篇)
여닫기
제5 정렬편(貞烈篇)
여닫기
제6 충의편(忠義篇)
여닫기
제7 자애편(慈愛篇)
여닫기
제8 병례편(秉禮篇)
여닫기
제9 지혜편(智慧篇)
여닫기
제10 근검편(勤儉篇)
여닫기
제11 재덕편(才德篇)
여닫기
역주 여소학언해
여닫기
역주 여소학언해 책정보
여닫기
여소학언해(女小學諺解)
여닫기
여소학 제사(題辭)
여닫기
여소학 목록(目錄)
여닫기
여소학 제1권
여닫기
제1편. 인륜 차례를 말한 글
여닫기
제2편. 가르치는 법을 마련한 글
여닫기
제3편. 남녀를 분별하여 밝힌 글
여닫기
제4-상편. 여덕을 말한 글
여닫기
1) 몸가짐을 지키는 법
여닫기
2) 부모 섬기는 법
여닫기
여소학 제2권
여닫기
제4-하편. 여자의 덕을 말한 글
여닫기
1) 시부모 섬기는 법
여닫기
2) 남편 섬기는 법
여닫기
3) 자식 기르는 법
여닫기
4) 형제간의 우애하는 말
여닫기
5) 일가에 화목하는 말
여닫기
6) 어른 섬기는 법
여닫기
7) 남에게 접대하는 말
여닫기
8) 세간사는 말
여닫기
제5-상편. 여자 예절을 말한 글
여닫기
1) 비녀하는 예절
여닫기
여소학 제3권
여닫기
제5-중편. 여자 예절을 말한 글
여닫기
1) 혼례
여닫기
2) 상례
여닫기
역주 효경언해
여닫기
역주 효경언해 책정보
여닫기
효경언해
여닫기
경(經) 1장
여닫기
(고문 제1장) 개종명의(開宗明義)
여닫기
(고문 제2장) 천자(天子)
여닫기
(고문 제3장) 제후(諸侯)
여닫기
(고문 제4장) 경대부(卿大夫)
여닫기
(고문 제5장) 선비[士]
여닫기
(고문 제6장) 서인(庶人)
여닫기
(고문 제7장) 효평(孝平)
여닫기
전(傳) 14장
여닫기
제1장(고문 제16장) 광지덕(廣至德)
여닫기
제2장(고문 제15장) 광요도(廣要道)
여닫기
제3장(고문 제8장) 삼재(三才)
여닫기
제4장(고문 제9장) 효치(孝治)
여닫기
제5장(고문 제10장) 성치(聖治)
여닫기
제6장(고문 제11장) 부모생적(父母生績)
여닫기
제7장(고문 제13장) 기효행(紀孝行)
여닫기
제8장(고문 제14장) 오형(五刑)
여닫기
제9장(고문 제21장) 사군(事君)
여닫기
제10장(고문 제17장) 응감(應感)
여닫기
제11장(고문 제18장) 광양명(廣揚名)
여닫기
제12장(고문 제19장) 규문(閨門)
여닫기
제13장(고문 제20장) 간쟁(諫諍)
여닫기
제14장(고문 제22장) 상친(喪親)
여닫기
〈붙임Ⅰ〉 효경대의 서(序)
여닫기
〈붙임Ⅱ〉효경대의 서관 근지(謹識)
여닫기
〈붙임Ⅲ〉 효경대의 발(跋)
여닫기
〈붙임 Ⅳ〉고문효경 서(序)
여닫기
〈붙임Ⅴ〉고문효경(古文孝經)
여닫기
제1장 개종명의(開宗明義)
여닫기
제2장 천자(天子)
여닫기
제3장 제후(諸侯)
여닫기
제4장 경대부(卿大夫)
여닫기
제5장 선비[士]
여닫기
제6장 서인(庶人)
여닫기
제7장 효평(孝平)
여닫기
제8장 삼재(三才)
여닫기
제9장 효치(孝治)
여닫기
제10장 성치(聖治)
여닫기
제11장 부모생적(父母生績)
여닫기
제12장 효우열(孝優劣)
여닫기
제13장 기효행(紀孝行)
여닫기
제14장 오형(五刑)
여닫기
제15장 광요도(廣要道)
여닫기
제16장 광지덕(廣至德)
여닫기
제17장 응감(應感)
여닫기
제18장 광양명(廣揚名)
여닫기
제19장 규문(閨門)
여닫기
제20장 간쟁(諫諍)
여닫기
제21장 사군(事君)
여닫기
제22장 상친(喪親)
여닫기
역주 여훈언해
여닫기
역주 여훈언해 책정보
여닫기
여훈언해(女訓諺解)
여닫기
여훈언해(女訓諺解) 상(上)
여닫기
어제여훈 서(御製女訓序)(명나라 세종)
여닫기
여훈 서(女訓序)(명나라 예종)
여닫기
여훈 서(女訓序)(명나라 장성자인황태후)
여닫기
여훈 목록(女訓目錄)
여닫기
여훈(女訓)
여닫기
제1. 규훈(閨訓)
여닫기
제2. 수덕(脩德)
여닫기
제3. 수명(受命)
여닫기
제4. 부부(夫婦)
여닫기
여훈언해(女訓諺解) 하(下)
여닫기
여훈(女訓)
여닫기
제5. 효구고(孝舅姑)
여닫기
제6. 경부(敬夫)
여닫기
제7. 애첩(愛妾)
여닫기
제8. 자유(慈幼)
여닫기
제9. 임자(姙子)
여닫기
제10. 교자(敎子)
여닫기
제11. 신정(愼靜)
여닫기
제12. 절검(節儉)
여닫기
여훈 후서(女訓 後序)
여닫기
여훈(女訓)(원문)(原文)
여닫기
御製女訓序
여닫기
女訓序
여닫기
女訓序
여닫기
女訓目錄
여닫기
女訓
여닫기
閨訓第一
여닫기
脩德第二
여닫기
受命第三
여닫기
夫婦第四
여닫기
孝舅姑第五
여닫기
敬夫第六
여닫기
愛妾第七
여닫기
慈幼第八
여닫기
姙子第九
여닫기
敎子第十
여닫기
愼靜第十一
여닫기
節儉第十二
여닫기
女訓後序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국역 향약제생집성방
+
책정보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권5(卷五)
안미골급두통(眼眉骨及頭痛)
안미골급두통(眼眉骨及頭痛
눈썹뼈와 머리의 통증
)
≪성제(聖濟)
성제총록(聖濟總錄)
≫. 간장(肝臟)에 풍(風)이 들어서 가슴에 담음(痰飮)이 생겨서, 머리·눈[頭目]에 통증이 있으며, 점차 예장(翳障)이 생기는 증상을 치료한다.
독활(獨活)[
노두를 제거한 것 2냥
], 선복화(旋復花)[
흙을 제거한 것 반 냥
], 견우자(牽牛子)[
살짝 볶은 것 반 냥
], 천남성(天南星)[
구운 것 반 냥
], 고본(藁本)[
반 냥
], 천마(天麻)[
2냥
], 궁궁(芎藭)[
2냥
], 세신(細辛)[
반 냥
], 국화(菊花)[
1냥
].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어 생강즙에 넣고 끓여서, 풀[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환(丸)을 만든다. 매번 20환을 형개탕(荊芥湯)과 함께 식후에 복용한다.
주 265)
이상의 처방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안미골급두통(眼眉骨及頭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번역문>
聖濟. 治肝藏受風, 胷膈痰飮, 頭目俱痛, 漸生翳障.
獨活[
去芦頭, 二兩
], 旋復花[
去土, 半兩
], 牽牛子[
微炒, 半兩
], 天南星[
炮, 半兩
], 藁本[
半兩
], 天麻[
二兩
], 芎藭[
二兩
], 細辛[
半兩
], 菊花[
一兩
].
右爲細末, 生薑汁煮, 糊丸, 如桐子大. 每服二十丸, 荊芥湯下, 食後服.
원문>
주265)
이상의 처방은 ≪성제총록(聖濟總錄)≫ 권108 〈안목문(眼目門) 안미골급두통(眼眉骨及頭痛)〉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