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목우자수심결언해

  • 역주 목우자수심결언해
  • 목우자수심결언해
  • 4. 먼저 깨닫고 뒤이어 닦으라
메뉴닫기 메뉴열기

4. 먼저 깨닫고 뒤이어 닦으라


목우자수심결언해:11ㄱ

問汝言頓悟漸修兩門이 千聖軌轍也ㅣ라 니

목우자수심결언해:11ㄴ

悟旣頓悟댄 何假漸修ㅣ며 修若漸修댄 何言頓悟ㅣ리오 頓漸二義 更爲宣說야 令絶餘疑케 라
Ⓒ 구결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목우자수심결언해:12ㄱ

무로 주001)
무로:
묻되. 묻기를. 묻-[問]+오(어미). 동사 ‘묻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 어간 말음이 ‘묻-→물-’로 변동하는 ‘ㄷ’불규칙용언. 모음조화에 의거하였다면 ‘무루’형이 15세기 국어 일반형이지만 이 문헌에서는 ‘무로’형이 우세하다.
니논 주002)
니논:
이르는. 말하는. 말하는 바. 니-[言]+(직설법/현재시제)+오(선어말어미)+ㄴ.
頓悟 주003)
돈오(頓悟):
깨달음의 성격을 가리키는 말로 오랜 수행의 단계와 시간을 거치지 않고 신지식의 가르침을 듣자마자 단박에 깨닫는 것. ¶頓悟  모로기 알시오〈1522 법집34ㄴ.〉
漸修 주004)
점수(漸修):
순서에 따른 단계를 거치며 수행하는 것. 서서히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수행법. ¶漸修  졈졈 닷시라〈법집34ㄴ.〉
왓 두 門이 千聖ㅅ 주005)
천성(千聖)ㅅ:
여러 성인(聖人)의. 앞에서 수행자가 성인(聖人)이 되는 데 의지하는 방법[門]이 ‘돈오·점수’ 둘이라 하였으므로, ‘千聖ㅅ法’은 “여러 성인이 의지한 법(法)” 정도로 풀이한다.
주006)
법(法):
크게 나누어 세 가지 뜻이 있음. ① 사물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로, 온갖 일과 모든 물질을 가리킴. ② 교법, 즉 부처님의 가르침. ③ 진리. 여기서는 ③의 뜻.
이라 니 아로미 주007)
아로미:
앎이. 깨달음이. 알-[悟]+옴(명사형)+이(주격조사). ‘믄득 아로미’는 한문 “悟旣頓悟(오기돈오)댄”에서 ‘悟(오)’에 대한 번역.
마 믄득 아닌댄 주008)
아닌댄:
안 것인데. 깨달은 것인데. 구결문 “悟旣頓悟(오기돈오)댄”에서 ‘(旣頓)悟댄’에 대한 번역. 알-[悟]+ㄴ(관형사형)+이(의존명사)+ㄴ댄(어미).
엇뎨 漸修를 브트며 닷고미 漸漸 닷린댄 주009)
닷린댄:
닦을 것인데. 닦아갈 것인데. 구결문 “修若漸修(수약점수)댄”에서 ‘…(漸)修댄’에 대한 번역. 점차 ‘닦는다’[修]는 것은 미확정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닷닌댄’으로 풀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엇뎨 頓悟ㅣ라 니리오 주010)
돈(頓):
법문(法門)을 듣는 즉시 단박에, 또는 빠르게 부처의 경지를 깨닫는 것.
주011)
점(漸):
불과(佛果)를 얻기 위해 점진적으로 차례에 따라 오랫동안 수행하는 것.
괏 두 들 다시 펴 닐어 나 疑心을 긋게 라
Ⓒ 언해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묻기를, “네가 말하는 돈오(頓悟)와 점수(漸修)의 두 문(門)이 여러 성인(聖人)이 〈의지한〉 법(法)이라 하였으니, 앎
(=깨달음)
이 이미 문득 안
(=깨달은)
것인데 어찌 점수
(漸修=점차로 닦음)
에 의지하며, 닦음[修]이 점차로 닦아갈 것인데 어찌 돈오
(頓悟=문득 깨달음)
라고 말하겠는가? 돈
(頓=돈오)
과 점
(漸=점수)
의 두 가지 뜻을 다시 펴 일러
(=설하여)
남은
(=나머지)
의심을 그치게
(=끊게)
하라.”
Ⓒ 역자 | 정우영 / 2009년 12월 20일

목우자수심결언해:11ㄴ

答頓悟者 凡夫ㅣ 迷時예 四大로 爲身코 妄想으로 爲心야 不知自性이 是眞法身인 며 不知自己靈知ㅣ 是眞佛也 야 心外예 覔佛야 波波浪走타가 忽被善知識의 指示入路야 一念廻光야 見自本性니 而此性地ㅣ 元無煩惱야 無漏智性이 本自具足야 即與諸佛와 分毫도 不殊 故云頓悟也ㅣ라
Ⓒ 구결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목우자수심결언해:12ㄱ

對答호 頓悟 凡夫 주012)
범부(凡夫):
성자(聖者)의 반대말. 깨닫지 못한 어두운 중생.
ㅣ 모

목우자수심결언해:12ㄴ

주013)
:
때에. 구결문 “迷時(미시)예”에서 ‘時예’에 대한 번역. ‘’는 ‘[時]+의(처소부사격조사)’의 통합으로서 이때 ‘’의 말음 ‘ㅡ’는 탈락한다. 무정체언(無情體言) ‘’는 처격조사로 ‘의’만 통합되는 특이 처격어이고, 초성 ‘ㅴ’는 대체로 /pk/와 같은 어두자음군으로 알려져 있다.
四大 주014)
사대(四大):
물질을 구성하는 땅[地]·물[水]·불[火]·바람[風]의 4가지 요소. 몸의 단단한 형체는 땅[地]에, 피와 같이 흐르는 액체는 물[水]에, 따뜻한 기운은 불[火]에, 숨결은 바람[風]에 속한다.
로 몸 삼고 妄想 주015)
망상(妄想):
허망한 생각. 미혹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생각. 진리에 어긋나는 분별심.
으로  사마 自性 주016)
자성(自性):
고유한 성질. 본체. 본성. 자기 존재성. 그 자체에 정해진 본질. 저마다 본래 갖추고 있는 진실한 성질. 진실하고 불변하는 본성. 존재의 본래적인 실체.
이 이 眞實ㅅ 法身 주017)
법신(法身):
부처의 삼신(三身)의 하나. 불법(佛法)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로서,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가리킴. 어떤 형체를 가진 몸이 아니라, 영원불변의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인  아디 몯며 自己 靈知 주018)
영지(靈知):
신령스런 앎[=지혜]. 이 앎은 우리들 본바탕 마음이 원래부터 갖추고 있는 앎[知]. ‘자성’이 마음의 체(體)를 가리킨다면, ‘영지’는 마음의 용(用)을 말함.
ㅣ 이 眞實ㅅ 부톈  아디 몯야 心外 주019)
심외(心外):
생각지도 않음. 또는 그런 일.
예 부텨 얻녀 주020)
얻녀:
찾아. 구결문 ‘覔佛(멱불)야’에서 ‘覔(멱)…야’에 대한 번역. 얻-[覔]+니[行]+어(어미). ‘니’[行]는 점차 선행 어근의 행위를 계속함을 나타내게 됨으로써, 여기 ‘얻니-’는 찾아다니는 행위를 계속함을 나타낸다.
쇽졀업시 주021)
쇽졀업시:
속절없이. “어쩔 도리 없이” 정도의 뜻.
니다가 忽然 善知識 주022)
선지식(善知識):
본래는 불·보살을 가리키다가 선종(禪宗)이 전개되면서 화두(話頭)를 타파한 도인으로, 그 후에는 “올바른 도리와 이치를 가르쳐주는 사람”으로 일반화하였다.
의 드롤 길 쵸 니버  念에 주023)
광(光):
빛. 여기서는 “온전한 정신, 맑은 정신” 정도의 의미.
 두르혀 제 本性 주024)
본성(本性):
본래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덕성(德性).
 보니 이 주025)
성(性):
어떤 것의 본체(本體)를 이루는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것. 어떤 사물의 특징을 규정하는 것. 선천적인 것은 성(性)이고, 후천적인 것은 수(修)라고 한다.
이 本來 煩惱 주026)
번뇌(煩惱):
보리(菩提)의 반대. 망념(妄念)이라고도 함.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어지럽히는 정신작용의 총칭.
ㅣ 업서 주027)
누(漏):
마음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 번뇌가 유정의 감관으로부터 새어 나옴, 또는 번뇌로 인해 마음이 흐트러진다든가 인간이 생사에 떨어짐을 일컫는 말.
업슨 智性이 本來 제 자 주028)
자:
갖추어져. 구결문 “智性(지성)이 本自具足(본자구족)야”에서 ‘具足야’에 대한 번역. -[具]+아(어미). ¶具足戒  戒니〈월석8:57ㄱ〉. 具  구〈신유,상8ㄴ〉. 具 촐 구〈석천34ㄴ.〉
곧 諸佛와 分毫도 주029)
분호(分毫)도:
털끝만큼도. 추호(秋毫)도.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름.
다디 아니 닐오 頓悟ㅣ라
Ⓒ 언해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대답하길, “돈오(頓悟)는 범부가 알지 못한
(=미혹한)
때에 사대
(四大=땅·물·불·바람)
로 몸을 삼고 망상(妄想)으로 마음을 삼아 자성(自性) 이것이 진실한 법신(法身)인 줄을 알지 못하며, 자기의 영지
(靈知=신령한 지혜)
이것이 진실한 부처[佛]인 줄을 알지 못하여 마음[心] 밖에서 부처를 찾아 속절없이 다니다가 홀연히 선지식(善知識)의 〈부처로〉 들어가는 길 가르침을 입어
(=받고)
한 생각[念]에 빛[光]을 돌이켜 자기의 본성(本性)을 보니, 이 성
(性=본성)
은 본래 번뇌(煩惱)가 없어 누(漏) 없는 지성
(智性=지혜의 성품)
이 본래 스스로 갖추어져 〈있어서〉 곧 여러 부처와 털끝[分毫]만큼도 다르지 아니하므로, 〈이를〉 돈오(頓悟)라고 이른다.”
Ⓒ 역자 | 정우영 / 2009년 12월 20일

목우자수심결언해:12ㄱ

漸修者 雖悟本性이 與佛無殊나 無始習氣 難卒頓除故로 依悟而修야 漸熏功成야 長養聖胎야 久久成聖릴 故云漸修也ㅣ라 比如孩子ㅣ 初生之日에 諸根이 具足호미 與他無異컨마 然其力이 未充야 頗經歲月야 方始成人니라
Ⓒ 구결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목우자수심결언해:12ㄴ

漸修 주030)
점수(漸修):
깨달은 후에 점차로 닦음. 일반적으로는 점진적으로 수학하는 것. 순서에 따른 단계를 거치며 수행하는 것. 서서히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수행법.
 비록 本性 주031)
본성(本性):
본래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성품.
이 부텨와 다디 아니  아나 無始 주032)
무시(無始):
처음 시작한 곳을 시작을 알 수 없는 과거. ¶無始 비르숨 업슬씨라〈월석11:42ㄱ.〉
習氣 주033)
습기(習氣):
익혀온 버릇, 익혀온 습성. 갖가지 번뇌의 결과로써 훈습된 여기(餘氣). 업(業)을 지은 결과로써 습관이 된 버릇이나 어떤 성벽(性癖) 등을 가리킴.
 믄득 다 더루미 주034)
더루미:
더는 것이. 제거하는 것이. 덜-[除]+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어려운 젼로 아로 브터 닷가 漸漸 熏修 주035)
훈수(熏修):
영향을 받아 수행함. 훈(熏)은 향이 배어드는 것처럼 어떤 것이 다른 것으로 그 성질을 바꾸는 것. 수(修)는 수행을 말함. 지눌은 “거울을 털어서 점점 빛나 밝아지는 것과 같다”[修如拂鏡 漸瑩漸明(수여불경 점형점명)]고 비유하였다.
야 주036)
공(功):
애써서 들이는 정성과 힘. 부처의 가르침대로 행하고 마음을 닦아 얻은 힘.
이러 주037)
이러:
이루어져. 일-[成]+어(어미). ¶내히 이러 바래 가니〈용가2.〉
聖人ㅅ 주038)
성인(聖人)ㅅ:
불·보살의. 중생 제도를 위하여 출현한 성자(聖者)의.
주039)
태(胎):
어미의 태 안. 여기 ‘聖人ㅅ胎’는 “성인(聖人)으로 발전할 근거가 되는 토대”를 비유적으로 이른 말.
길어 주040)
길어:
길러. 습관 따위를 몸에 익게 하여.
오라 주041)
오라:
오래 되어야. 오랜 기간이 되어야만. 구결문 “久久成聖(구구성성)릴”에서 ‘久久’에 대한 번역.
聖人이 욀 닐온 漸修ㅣ라 가비건댄 아 주042)
아:
아이[孩子]. 아이가. 구결문 “比如孩子(비여해자)ㅣ”에서 ‘孩子(해자)ㅣ’에 대한 번역. 아·[兒]+Ø(무형의 주격조사). ‘아’의 기본 성조가 ‘0-1’(평성-거성)이고, ‘’가 ㅣ하향이중모음이므로 주격조사(거성) ‘ㅣ’가 결합해도 ‘ㅣ’가 드러나지 않고 성조에도 변동이 없다.
주043)
:
갓. 이제 막. 처음. 방금. 구결문 “初生之日(초생지일)에”에서 ‘初’에 대한 번역.
난 나래 諸根 주044)
제근(諸根):
모든 기관. 불교에서 근(根)은 감각기관을 말하는데, 눈·귀·코·입·몸·생각 등을 가리킨다.
조미 주045)
조미:
갖추어짐이. -[具]+옴(명사형)+이(주격조사). ¶集一切 功德은 萬德이 圓히 조미오 淸淨三昧 죠고맛 드틀도 셔디 아니호미오〈월석18:69ㄱ.〉
과 다디 아니컨마 그러나

목우자수심결언해:13ㄱ

그 히미 充實티 몯야 歲月 주046)
해:
많이. 하[多]+이(부사 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 ‘하-’가 형태상의 변화 없이 통사 범주를 부사로 바꾸어 쓰는 ‘하’가 있는데, 이를 영접사 파생(零接辭派生)이라 한다. ‘하’는 “매우” 정도의 의미. ¶내 모미 하 커 수물 꿈기 업서〈월석2:51ㄱ.〉
디내야 주047)
디내야:
지내야만. ‘’는 단독과 강조의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었다.
비르서 사 외니라
Ⓒ 언해 | 신미 / 1467년(세조 13) 월 일

점수(漸修)는 비록 본성
(本性=본래의 성품)
이 부처와 다르지 아니한 것을 아나
(=깨달았으나)
, 시작을 알 수 없는 〈과거로부터〉 익혀온 버릇
[=습기(習氣)]
을 문득
(=갑자기)
더는 것이
(=없애는 것이)
어려운 까닭으로, 앎
(=깨달음)
에 의지해 닦아 점점 훈수(熏修)하여 공(功)이 이루어져서 성인(聖人)의 태
(胎=모태)
를 길러 오래 되어야만 성인(聖人)이 될 것이므로 이른바 점수(漸修)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비유하자면 아이가 갓 태어난 날에 모든 근
(根=기관)
이 갖추어짐은 남과 다르지 아니하건마는, 그러나 그 힘은 충실치 못하여 세월을 많이 지내야만 비로소 사람[成人]이 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9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로:묻되. 묻기를. 묻-[問]+오(어미). 동사 ‘묻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연결될 때 어간 말음이 ‘묻-→물-’로 변동하는 ‘ㄷ’불규칙용언. 모음조화에 의거하였다면 ‘무루’형이 15세기 국어 일반형이지만 이 문헌에서는 ‘무로’형이 우세하다.
주002)
니논:이르는. 말하는. 말하는 바. 니-[言]+(직설법/현재시제)+오(선어말어미)+ㄴ.
주003)
돈오(頓悟):깨달음의 성격을 가리키는 말로 오랜 수행의 단계와 시간을 거치지 않고 신지식의 가르침을 듣자마자 단박에 깨닫는 것. ¶頓悟  모로기 알시오〈1522 법집34ㄴ.〉
주004)
점수(漸修):순서에 따른 단계를 거치며 수행하는 것. 서서히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수행법. ¶漸修  졈졈 닷시라〈법집34ㄴ.〉
주005)
천성(千聖)ㅅ:여러 성인(聖人)의. 앞에서 수행자가 성인(聖人)이 되는 데 의지하는 방법[門]이 ‘돈오·점수’ 둘이라 하였으므로, ‘千聖ㅅ法’은 “여러 성인이 의지한 법(法)” 정도로 풀이한다.
주006)
법(法):크게 나누어 세 가지 뜻이 있음. ① 사물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로, 온갖 일과 모든 물질을 가리킴. ② 교법, 즉 부처님의 가르침. ③ 진리. 여기서는 ③의 뜻.
주007)
아로미:앎이. 깨달음이. 알-[悟]+옴(명사형)+이(주격조사). ‘믄득 아로미’는 한문 “悟旣頓悟(오기돈오)댄”에서 ‘悟(오)’에 대한 번역.
주008)
아닌댄:안 것인데. 깨달은 것인데. 구결문 “悟旣頓悟(오기돈오)댄”에서 ‘(旣頓)悟댄’에 대한 번역. 알-[悟]+ㄴ(관형사형)+이(의존명사)+ㄴ댄(어미).
주009)
닷린댄:닦을 것인데. 닦아갈 것인데. 구결문 “修若漸修(수약점수)댄”에서 ‘…(漸)修댄’에 대한 번역. 점차 ‘닦는다’[修]는 것은 미확정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닷닌댄’으로 풀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주010)
돈(頓):법문(法門)을 듣는 즉시 단박에, 또는 빠르게 부처의 경지를 깨닫는 것.
주011)
점(漸):불과(佛果)를 얻기 위해 점진적으로 차례에 따라 오랫동안 수행하는 것.
주012)
범부(凡夫):성자(聖者)의 반대말. 깨닫지 못한 어두운 중생.
주013)
:때에. 구결문 “迷時(미시)예”에서 ‘時예’에 대한 번역. ‘’는 ‘[時]+의(처소부사격조사)’의 통합으로서 이때 ‘’의 말음 ‘ㅡ’는 탈락한다. 무정체언(無情體言) ‘’는 처격조사로 ‘의’만 통합되는 특이 처격어이고, 초성 ‘ㅴ’는 대체로 /pk/와 같은 어두자음군으로 알려져 있다.
주014)
사대(四大):물질을 구성하는 땅[地]·물[水]·불[火]·바람[風]의 4가지 요소. 몸의 단단한 형체는 땅[地]에, 피와 같이 흐르는 액체는 물[水]에, 따뜻한 기운은 불[火]에, 숨결은 바람[風]에 속한다.
주015)
망상(妄想):허망한 생각. 미혹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생각. 진리에 어긋나는 분별심.
주016)
자성(自性):고유한 성질. 본체. 본성. 자기 존재성. 그 자체에 정해진 본질. 저마다 본래 갖추고 있는 진실한 성질. 진실하고 불변하는 본성. 존재의 본래적인 실체.
주017)
법신(法身):부처의 삼신(三身)의 하나. 불법(佛法)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로서,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가리킴. 어떤 형체를 가진 몸이 아니라, 영원불변의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주018)
영지(靈知):신령스런 앎[=지혜]. 이 앎은 우리들 본바탕 마음이 원래부터 갖추고 있는 앎[知]. ‘자성’이 마음의 체(體)를 가리킨다면, ‘영지’는 마음의 용(用)을 말함.
주019)
심외(心外):생각지도 않음. 또는 그런 일.
주020)
얻녀:찾아. 구결문 ‘覔佛(멱불)야’에서 ‘覔(멱)…야’에 대한 번역. 얻-[覔]+니[行]+어(어미). ‘니’[行]는 점차 선행 어근의 행위를 계속함을 나타내게 됨으로써, 여기 ‘얻니-’는 찾아다니는 행위를 계속함을 나타낸다.
주021)
쇽졀업시:속절없이. “어쩔 도리 없이” 정도의 뜻.
주022)
선지식(善知識):본래는 불·보살을 가리키다가 선종(禪宗)이 전개되면서 화두(話頭)를 타파한 도인으로, 그 후에는 “올바른 도리와 이치를 가르쳐주는 사람”으로 일반화하였다.
주023)
광(光):빛. 여기서는 “온전한 정신, 맑은 정신” 정도의 의미.
주024)
본성(本性):본래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덕성(德性).
주025)
성(性):어떤 것의 본체(本體)를 이루는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것. 어떤 사물의 특징을 규정하는 것. 선천적인 것은 성(性)이고, 후천적인 것은 수(修)라고 한다.
주026)
번뇌(煩惱):보리(菩提)의 반대. 망념(妄念)이라고도 함. 몸과 마음을 괴롭히고 어지럽히는 정신작용의 총칭.
주027)
누(漏):마음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 번뇌가 유정의 감관으로부터 새어 나옴, 또는 번뇌로 인해 마음이 흐트러진다든가 인간이 생사에 떨어짐을 일컫는 말.
주028)
자:갖추어져. 구결문 “智性(지성)이 本自具足(본자구족)야”에서 ‘具足야’에 대한 번역. -[具]+아(어미). ¶具足戒  戒니〈월석8:57ㄱ〉. 具  구〈신유,상8ㄴ〉. 具 촐 구〈석천34ㄴ.〉
주029)
분호(分毫)도:털끝만큼도. 추호(秋毫)도.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름.
주030)
점수(漸修):깨달은 후에 점차로 닦음. 일반적으로는 점진적으로 수학하는 것. 순서에 따른 단계를 거치며 수행하는 것. 서서히 높은 단계로 나아가는 수행법.
주031)
본성(本性):본래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질이나 성품.
주032)
무시(無始):처음 시작한 곳을 시작을 알 수 없는 과거. ¶無始 비르숨 업슬씨라〈월석11:42ㄱ.〉
주033)
습기(習氣):익혀온 버릇, 익혀온 습성. 갖가지 번뇌의 결과로써 훈습된 여기(餘氣). 업(業)을 지은 결과로써 습관이 된 버릇이나 어떤 성벽(性癖) 등을 가리킴.
주034)
더루미:더는 것이. 제거하는 것이. 덜-[除]+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35)
훈수(熏修):영향을 받아 수행함. 훈(熏)은 향이 배어드는 것처럼 어떤 것이 다른 것으로 그 성질을 바꾸는 것. 수(修)는 수행을 말함. 지눌은 “거울을 털어서 점점 빛나 밝아지는 것과 같다”[修如拂鏡 漸瑩漸明(수여불경 점형점명)]고 비유하였다.
주036)
공(功):애써서 들이는 정성과 힘. 부처의 가르침대로 행하고 마음을 닦아 얻은 힘.
주037)
이러:이루어져. 일-[成]+어(어미). ¶내히 이러 바래 가니〈용가2.〉
주038)
성인(聖人)ㅅ:불·보살의. 중생 제도를 위하여 출현한 성자(聖者)의.
주039)
태(胎):어미의 태 안. 여기 ‘聖人ㅅ胎’는 “성인(聖人)으로 발전할 근거가 되는 토대”를 비유적으로 이른 말.
주040)
길어:길러. 습관 따위를 몸에 익게 하여.
주041)
오라:오래 되어야. 오랜 기간이 되어야만. 구결문 “久久成聖(구구성성)릴”에서 ‘久久’에 대한 번역.
주042)
아:아이[孩子]. 아이가. 구결문 “比如孩子(비여해자)ㅣ”에서 ‘孩子(해자)ㅣ’에 대한 번역. 아·[兒]+Ø(무형의 주격조사). ‘아’의 기본 성조가 ‘0-1’(평성-거성)이고, ‘’가 ㅣ하향이중모음이므로 주격조사(거성) ‘ㅣ’가 결합해도 ‘ㅣ’가 드러나지 않고 성조에도 변동이 없다.
주043)
:갓. 이제 막. 처음. 방금. 구결문 “初生之日(초생지일)에”에서 ‘初’에 대한 번역.
주044)
제근(諸根):모든 기관. 불교에서 근(根)은 감각기관을 말하는데, 눈·귀·코·입·몸·생각 등을 가리킨다.
주045)
조미:갖추어짐이. -[具]+옴(명사형)+이(주격조사). ¶集一切 功德은 萬德이 圓히 조미오 淸淨三昧 죠고맛 드틀도 셔디 아니호미오〈월석18:69ㄱ.〉
주046)
해:많이. 하[多]+이(부사 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 ‘하-’가 형태상의 변화 없이 통사 범주를 부사로 바꾸어 쓰는 ‘하’가 있는데, 이를 영접사 파생(零接辭派生)이라 한다. ‘하’는 “매우” 정도의 의미. ¶내 모미 하 커 수물 꿈기 업서〈월석2:51ㄱ.〉
주047)
디내야:지내야만. ‘’는 단독과 강조의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