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간이방언해 제7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 역주 구급간이방 제7
  • 5. 아재복중곡(兒在腹中哭)
메뉴닫기 메뉴열기

5. 아재복중곡(兒在腹中哭)


兒在腹中哭
兒在腹中哭用多年空屋下鼠穴中土 여러  뷘 지븻 쥐굼긧  一塊令孕婦噙之卽止

아기  안해셔 우 
아기  안해셔 울어든 주001)
울어든:
울-[哭]+-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울거든. 동사 ‘울-’의 어간 말음 ㄹ 아래에서 어미의 두음 ㄱ이 탈락하였다.
여러 주002)
:
해[年].
주003)
뷘:
뷔-[空]+-ㄴ(관형사형 어미). 텅 빈.
지븻 주004)
지븻:
집[家]+-읫(처소 관형격 조사). 집엣. 집에 있는.

구급간이방언해 권7:18ㄴ

굼긧 주005)
굼긧:
구무[穴]+-읫(처소 관형격 조사). 구멍엣. 중세 국어에서 명사 ‘구무’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형태가 특수한 형태로 교체된다. 즉, 모음의 조사가 붙으면 ‘구무’의 끝모음 ㅜ가 탈락하고, 기원을 알 수 없는 ㄱ이 첨가되어 ‘구무’는 ‘’의 형태로 교체된다. 그리하여 ‘굼기, 굼긔, 굼글, 굼그로 …’와 같은 형태로 곡용한다. 다만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이러한 교체가 일어나지 않고 ‘구무와’에서처럼 ‘구무’의 형태를 유지한다. 즉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는 ‘구무’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격조사(‘-와’ 제외) 앞에서는 ‘’으로 교체되었다. 이와 같은 교체를 보이는 명사에는 ‘나모/, 녀느/, 불무/’ 등이 있다.
주006)
:
흙[土].
무저글 주007)
무저글:
무적[塊]+-을(목적격 조사). 무더기를.
그 아기  겨집으로 머구머시면 주008)
머구머시면:
머굼-[唅]+-어(연결 어미)+이시-[완료의 보조 용언)+-면(종속적 연결 어미). 머금어 있으면. 완료의 보조 용언 ‘이시-’는 여기서처럼 ‘이’가 탈락한 ‘시-’만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즉재 그츠리라

아기가 배 안에서 우는 병
아기가 배 안에서 울거든 여러 해 비어 있던 집의 쥐구멍에 있는 흙 한 무더기를 그 아기 밴 여자에게 머금게 하고 있으면 즉시 그칠 것이다.

川黃連煎汁令母呷之

쳔련 주009)
쳔련:
중국의 사천성(四川省)에서 나는 황련의 하나. 황련은 다년생 초본인 깽깽이풀의 뿌리줄기로 고산지대 나무 그늘에서 자생한다. 약초로 재배되기도 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황련’ 참조.
달힌 므를 어미 머기라 주010)
머기라:
먹-[服用]+-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먹이라.

천황련을 달인 물을 어미에게 먹여라.

黃連 二錢 生甘草 一錢 濃煎汁令母呷之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련 두 돈과 주011)
:
날것. 생것.
감초 주012)
감초:
한약의 중요한 재료로 널리 쓰이는, 뿌리가 단 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 돈과 디투 주013)
디투:
딭-[濃]+-우(부사 접미사). 짙게. 진하게.
달혀 그 므를 어미 머기라
Ⓒ 편찬 | 성종(조선) 명찬 / 1489년(성종 20)

황련 두 돈과 감초 생것 한 돈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을 어미에게 먹여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5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울어든:울-[哭]+-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울거든. 동사 ‘울-’의 어간 말음 ㄹ 아래에서 어미의 두음 ㄱ이 탈락하였다.
주002)
:해[年].
주003)
뷘:뷔-[空]+-ㄴ(관형사형 어미). 텅 빈.
주004)
지븻:집[家]+-읫(처소 관형격 조사). 집엣. 집에 있는.
주005)
굼긧:구무[穴]+-읫(처소 관형격 조사). 구멍엣. 중세 국어에서 명사 ‘구무’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형태가 특수한 형태로 교체된다. 즉, 모음의 조사가 붙으면 ‘구무’의 끝모음 ㅜ가 탈락하고, 기원을 알 수 없는 ㄱ이 첨가되어 ‘구무’는 ‘’의 형태로 교체된다. 그리하여 ‘굼기, 굼긔, 굼글, 굼그로 …’와 같은 형태로 곡용한다. 다만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이러한 교체가 일어나지 않고 ‘구무와’에서처럼 ‘구무’의 형태를 유지한다. 즉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는 ‘구무’로, 모음으로 시작되는 격조사(‘-와’ 제외) 앞에서는 ‘’으로 교체되었다. 이와 같은 교체를 보이는 명사에는 ‘나모/, 녀느/, 불무/’ 등이 있다.
주006)
:흙[土].
주007)
무저글:무적[塊]+-을(목적격 조사). 무더기를.
주008)
머구머시면:머굼-[唅]+-어(연결 어미)+이시-[완료의 보조 용언)+-면(종속적 연결 어미). 머금어 있으면. 완료의 보조 용언 ‘이시-’는 여기서처럼 ‘이’가 탈락한 ‘시-’만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주009)
쳔련:중국의 사천성(四川省)에서 나는 황련의 하나. 황련은 다년생 초본인 깽깽이풀의 뿌리줄기로 고산지대 나무 그늘에서 자생한다. 약초로 재배되기도 한다. 부록의 <용어사전 id="">‘황련’ 참조.
주010)
머기라:먹-[服用]+-이-(사동 접미사)+-라(명령형 어미). 먹이라.
주011)
:날것. 생것.
주012)
감초:한약의 중요한 재료로 널리 쓰이는, 뿌리가 단 풀. 부록 <용어사전 id="">‘’ 참조.
주013)
디투:딭-[濃]+-우(부사 접미사). 짙게. 진하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