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상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상
  • 13. 탈양음축(十三脫陽陰縮)
메뉴닫기 메뉴열기

13. 탈양음축(十三脫陽陰縮)


상54ㄱ

脫陽陰縮第十三
經驗良方
其證或因大吐大瀉之後四肢逆冷元氣不接不醒人事或傷寒新瘥誤與婦人交其證小腹緊痛外腎搐縮面黑氣喘冷汗自出亦是脫陽證湏臾不救先用葱白數莖炒令熱熨臍下次用 附子一枚重十錢許剉作八片白朮 乾薑各半兩木香一分已上四味各硏細水二椀煎至八分椀去滓放

상54ㄴ

冷灌服湏臾又進一服合滓倂服

그 證지ᇰ이 시혹 하 吐통커나 하 즈칀 後ᅘᅮᇢ에 四ᄉᆞᆼ肢징 ᄎᆞ고 元ᅌᅯᆫ氣킝 주001)
원기(元氣):
부록 참조.
닛디 아니ᄒᆞ야 人ᅀᅵᆫ事ᄊᆞᆼᄅᆞᆯ ᄎᆞ리디 몯ᄒᆞ거나 시혹 傷샤ᇰ寒ᅘᅡᆫ 주002)
상한(傷寒):
부록 참조.
이 ᄀᆞᆺ 됴커든 그르 겨집과 사괴면 그 證지ᇰ이 ᄇᆡᆺ기슬기 주003)
ᄇᆡᆺ기슬기:
ᄇᆡ + ㅅ + 기슭 + -이. 뱃기슭이.
ᄀᆞ자ᇰ 알ᄑᆞ고 外ᅌᅬᆼ腎씬이 움치들오 ᄂᆞ치 검고 氣킝分분이 헐헐ᄒᆞ고 ᄎᆞᆫ ᄯᆞ미 흐르ᄂᆞ니 ᄯᅩ 이 脫똬ᇙ陽야ᇰㅅ證지ᇰ이니 아니한 ᄉᆞᅀᅵ예 救구ᇢ티 몯ᄒᆞᄂᆞ니 몬져 파 두ᅀᅥ 줄기ᄅᆞᆯ 봇가 덥게 ᄒᆞ야 ᄇᆡᆺ복 아래ᄅᆞᆯ 熨ᅙᅮᇙᄒᆞ고 버거 附뿡子ᄌᆞᆼ ᄒᆞᆫ 낫 므긔 열 돈 남ᄌᆞᆺᄒᆞ닐 사ᄒᆞ라 여듧 片편 ᄆᆡᇰᄀᆞᆯ오 白ᄈᆡᆨ朮뜌ᇙ와 乾간薑가ᇰᄋᆞᆯ 各각 半반 兩량과 木목香햐ᇰ 주004)
목향(木香):
부록 참조.
ᄒᆞᆫ 分분과 네 가짓 마ᄉᆞᆯ 各각別벼ᇙ히 ᄀᆞ라 細솅末마ᇙᄒᆞ야 믈 두 보ᅀᆞ로 글혀 여상55ㄱ듧 分분에 니르거든 滓ᄌᆡᆼ 앗고 ᄎᆡ와 주005)
ᄎᆡ와:
ᄎᆡ오- + -아. 차게 하여.
브ᅀᅳ라 이ᅀᅳᆨ고 ᄯᅩ ᄒᆞᆫ 服뽁ᄋᆞᆯ 머기고 滓ᄌᆡᆼ 조쳐 다 머기라

그 증상이 혹시 크게 토하거나 크게 설사한 후에 사지가 차고 원기가 이어지지 않아 정신을 차리지 못하거나, 혹은 상한이 처음 좋아서 여자와 잘못 사귀면, 그 증상이, 뱃기슭이 매우 아프고 외신이 움츠러들고 얼굴이 검고 기운이 헐헐하고 식은땀이 흐르니 또 이 탈양증이라. 잠깐 사이에 구하지 못하니, 먼저 파 두어 줄기를 볶아 뜨겁게 하여 배꼽 아래를 다리고 다음으로 부자 한 낱 무게 열 돈 남짓한 것을 썰어 여덟 편 만들고, 백출과 건강 각 반 냥과 목향 한 푼과 이 네 가지 맛을 각별히 갈아 가늘게 가루 내어 물 두 보시기로 끓여 8푼에 이르거든 찌꺼기는 없애고 차게 하여 부으라. 이윽고 또 한 복을 먹이고 찌꺼기와 함께 다 먹이라.

如無前藥用桂枝二兩用好酒二升煎至一升候溫分作二服灌之

ᄒᆞ다가 알ᄑᆡᆺ 藥약이 업거든 桂ᄀᆒᆼ枝징 주006)
계지(桂枝):
부록 참조.
두 兩랴ᇰᄋᆞᆯ 됴ᄒᆞᆫ 술 두 되로 글혀 ᄒᆞᆫ 되예 니르거든 ᄃᆞ시 ᄒᆞ야 두 服뽁애 ᄂᆞᆫ화 브ᅀᅳ라

만약 앞의 약이 없거든 계지 두 냥을 좋은 술 두 되로 끓여 한 되에 이르거든 따뜻이 하여 두 복으로 나누어 부으라.

又無桂枝用葱白連鬚三七莖細剉沙盆內硏細用酒五升煮至二升分作三服灌之陽氣卽回先用炒塩熨臍下氣海勿令氣冷

ᄯᅩ 桂ᄀᆒᆼ枝징 업거든 파ᄒᆞᆯ 불휘 조쳐 세닐굽 줄기ᄅᆞᆯ 상55ㄴᄀᆞᄂᆞ리 사ᄒᆞ라 沙상盆뽄에 ᄀᆞᄂᆞ리 ᄀᆞ라 술 닷 되로 글혀 두 되예 니르거든 세 服뽁애 ᄂᆞᆫ화 브ᅀᅳ면 陽야ᇰ氣킝 즉재 도라오ᄂᆞ니 몬져 봇ᄀᆞᆫ 소고ᄆᆞ로 臍쪵下ᅘᅡᆼ와 氣킝海ᄒᆡᆼᄅᆞᆯ 熨ᅙᅮᇙᄒᆞ야 氣킝分분이 ᄎᆞ디 아니케 홀디니라

또 계지 없거든 파를 뿌리와 함께 스무한 줄기를 가늘게 썰어 사기 그릇에 가늘게 갈아 술 닷 되로 끓여 두 되에 이르거든 세 복으로 나누어 부으면 양기가 즉시 돌아오니, 먼저 볶은 소금으로 배꼽 아래와 기해를 다리고 기운이 차지 않게 할 것이다.

又無葱白用生薑二七寸亦好依前法服

ᄯᅩ 파 업거든 生ᄉᆡᇰ薑가ᇰ 두닐굽 寸촌도 ᄯᅩ 됴ᄒᆞ니 알ᄑᆡᆺ 法법을 브터 머기라

또 파 없거든 생강 열네 촌도 또 좋으니 앞의 법을 따라 먹이라.

聖惠方
治風入腹攻五藏拘急不得轉側陰縮手足厥冷腹中㽱痛宜服赤芍藥散赤芍藥一兩川烏頭三兩炮製去皮臍桂心 甘草

상56ㄱ

炙微赤剉防風去蘆頭芎窮各一兩右擣麤羅爲散每服三錢以水一中盞入生薑半分棗二枚煎至六分去滓不計時候稍熱服

ᄇᆞᄅᆞ미 ᄇᆡ예 드러 五ᅌᅩᆼ藏짜ᇰᄋᆞᆯ 보차 ᄇᆞᆯ라 움즈기디 몯고 陰ᅙᅳᆷ이 움처 들오 손발 ᄎᆞ고 ᄇᆡ 안히 알ᄑᆞ거든 赤쳑芍쟉藥약散산 주007)
적작약산(赤芍藥散):
부록 참조.
을 머골디니 赤쳑芍쟉藥약 주008)
적작약(赤芍藥):
부록 참조.
ᄒᆞᆫ 兩랴ᇰ과 川ᄌᆑᆫ烏ᅙᅩᆼ頭뚜ᇢ 주009)
천오두(川烏頭):
부록 참조.
세 兩랴ᇰ을 炮뽀ᇢᄒᆞ야 갓과 ᄇᆡᆺ보ᄀᆞᆯ 앗고 桂ᄀᆒᆼ心심과 甘감草초ᇢᄅᆞᆯ 구어 져기 븕게 ᄒᆞ야 사ᄒᆞᆯ오 防파ᇰ風봉 주010)
방풍(防風):
부록 참조.
을 머리 버히고 芎구ᇰ窮꾸ᇰ 주011)
궁궁(芎窮):
부록 참조.
과 各각 ᄒᆞᆫ 兩랴ᇰ을 디허 麤총케 처 散산 ᄆᆡᇰᄀᆞ라 ᄒᆞᆫ 服뽁애 세 돈곰 ᄒᆞ야 믈 ᄒᆞᆫ 中듀ᇰㅅ잔으로 生ᄉᆡᇰ薑가ᇰ 半반 分분과 大상56ㄴ땡棗초ᇢ 두 나ᄎᆞᆯ 드려 글효ᄃᆡ 六륙分분에 니르거든 滓ᄌᆡᆼ 앗고 時씽節져ᇙ 혜디 말오 져기 덥게 ᄒᆞ야 머기라

바람이 배에 들어 오장을 괴롭혀 굳어 움직이지 못하고 음(陰)이 움츠러들고 손발 차고 배 안이 아프거든 적작약산을 먹을 것이니, 적작약 한 냥과 천오두 세 냥을 포(炮)하여 껍질과 배꼽을 없애고, 계심과 감초를 구워 조금 붉게 하여 썰고, 방풍을 머리 베어 내고, 궁궁과 각 한 냥씩을 찧어 거칠게 쳐 가루약 만들어, 한 복에 세 돈씩 하여 물 중잔 한 잔으로 생강 반 푼과 대추 두 낱을 들여 끓이되 6푼에 이르거든 찌꺼기 없애고, 시절을 헤아리지 말고 조금 뜨겁게 하여 먹이라.

聖濟緫錄
治陰疝腫縮疼痛 狼毒炙二兩防葵附子炮裂去皮臍各一兩右擣羅爲末鍊蜜丸如梧桐子大每服十丸溫酒下空心日午臨臥服

陰ᅙᅳᆷ疝산 주012)
음산(陰疝):
부록 참조.
ᄒᆞ야 븟고 움처 알ᄑᆞ닐 고툐ᄃᆡ 狼라ᇰ毒독 주013)
낭독(狼毒):
부록 참조.
구우니 두 兩랴ᇰ과 防파ᇰ葵ᄁᆔᆼ 주014)
방규(防葵):
부록 참조.
봇고니와 附뿡子ᄌᆞᆼᄅᆞᆯ 구어 것과 ᄇᆡᆺ복 아ᅀᅩ니 各각 ᄒᆞᆫ 兩랴ᇰᄋᆞᆯ 디허 처 細솅末마ᇙᄒᆞ야 鍊련혼 ᄢᅮᆯ로 丸ᅘᅪᆫᄋᆞᆯ 梧ᅌᅩᆼ桐통子ᄌᆞᆼ 주015)
오동자(梧桐子):
부록 참조.
만 ᄆᆡᇰᄀᆞ라 ᄒᆞᆫ 服뽁 열 丸ᅘᅪᆫ곰 ᄃᆞ상57ㄱᄉᆞᆫ 수레 ᄂᆞ리오ᄃᆡ 空코ᇰ心심과 낫과 누을 제와 머그라

음산에 걸려 붓고 움츠러 아픈 사람을 고치되, 낭독 구운 것 두 냥과 방규 볶은 것과 부자를 구워 껍질과 배꼽 없앤 것 각 한 냥을 찧어 쳐 가늘게 갈아 곤[煉한] 꿀로 환을 오동자만하게 만들어 한 복에 열 환씩 따뜻한 술로 내리되 공복과 낮, 누울 때에 먹으라.

又方
雞趐左右俱用不限多少燒灰右細硏爲散每服二錢匕溫酒調下不拘時

ᄯᅩ ᄃᆞᆯᄀᆡ ᄂᆞ래ᄅᆞᆯ 두 녀글 다 ᄡᅮᄃᆡ 주016)
ᄡᅮᄃᆡ:
ᄡᅳ- + -우- + -ᄃᆡ. 쓰되.
하며 져구믈 限ᅌᆞᆫ티 말오 ᄌᆡ ᄉᆞ라 ᄀᆞᄂᆞ리 ᄀᆞ라 ᄒᆞᆫ 服뽁애 두 돈곰 ᄃᆞᄉᆞᆫ 수레 프러 ᄂᆞ리오ᄃᆡ 時씽刻큭에 븓들이디 말라

또 닭의 날개를 두 쪽을 다 쓰되, 많고 적음을 제한하지 말고 재 살라 가늘게 갈아, 한 복에 두 돈씩 따뜻한 술에 풀어 내리되 시각에 구애받지 말라.

又方
黃蓮去鬚熟艾杏人去皮尖別硏各半兩右擣硏羅爲末鍊蜜丸如梧桐子大每服二十丸塩湯下空心服

ᄯᅩ 黃ᅘᅪᇰ蓮련 주017)
황련(黃蓮):
부록 참조.
을 거웃 앗고 니근 ᄡᅮ글 브레 ᄧᅬ오 杏ᅘᆡᇰ仁ᅀᅵᆫ을 것과 부리ᄅᆞᆯ 앗고 各각別벼ᇙ상57ㄴ히 ᄀᆞ라 各각 半반 兩랴ᇰᄋᆞᆯ 디허 ᄀᆞ라 처 細솅末마ᇙᄒᆞ야 鍊련ᄒᆞᆫ ᄢᅮᆯ로 梧ᅌᅩᆼ桐토ᇰ子ᄌᆞᆼ만 게 丸ᅘᅪᆫ ᄆᆡᇰᄀᆞ라 ᄒᆞᆫ 服뽁애 스믈 丸ᅘᅪᆫ곰 塩염湯타ᇰ 주018)
염탕(塩湯):
부록 참조.
ᄋᆞ로 空코ᇰ心심에 머그라

또 황련을 수염 없애고 익은 쑥을 불에 쬐어 행인을 껍질과 부리를 없애고 각각 갈아 각 반 냥을 찧어 갈아 쳐서 가늘게 가루 내어 곤[煉한] 꿀로 오동자만하게 환을 만들어 한 복에 스무 환씩 염탕으로 공복에 먹으라.

又方
硇砂木香各半兩棟實去核炒茴香子京三稜炮各一兩右五味擣羅爲末煉蜜丸如梧桐子大每服二十丸空心酒下

ᄯᅩ 硇{뇨/ㅱ}砂상ᄅᆞᆯ ᄀᆞᆯ오 木목香햐ᇰᄋᆞᆯ 各각 半반 兩랴ᇰ과 棟도ᇰ實씨ᇙ을 ᄌᆞᅀᆞ 아ᅀᅡ 봇고 茴ᅘᅬᆼ香햐ᇰ ᄡᅵ를 봇고 京겨ᇰ三삼稜르ᇰ을 炮뽀ᇢᄒᆞ야 各각 ᄒᆞᆫ 兩랴ᇰᄋᆞᆯ 디허 처 細솅末마ᇙᄒᆞ야 鍊련혼 ᄢᅮᆯ로 梧ᅌᅩᆼ桐토ᇰ子ᄌᆞᆼ만케 丸ᅘᅪᆫ ᄆᆡᇰᄀᆞ라 ᄒᆞᆫ 服뽁애 스믈 丸ᅘᅪᆫ곰 空코ᇰ心심에 술로 머

상58ㄱ

그라

또 요사를 갈고 목향을 각 반 냥, 동실을 씨 없애 볶고, 회향씨를 볶고, 경삼릉을 포(炮)하여 각 한 냥을 찧어 쳐 가늘게 갈아 연한 꿀로 오동자만하게 환을 만들어 한 복에 스무 환씩 공복에 술로 먹으라.

又方
槐子炒一兩擣羅爲末煉蜜丸如梧桐子大每服二十丸溫酒下空心服

ᄯᅩ 槐ᅘᅬᆼ子ᄌᆞᆼ 주019)
괴자(槐子):
부록 참조.
ᄅᆞᆯ 보ᄭᅡ ᄒᆞᆫ 兩랴ᇰᄋᆞᆯ 디허 처 細솅末마ᇙᄒᆞ야 煉련혼 ᄢᅮᆯ로 梧ᅌᅩᆼ桐통子ᄌᆞᆼ만 케 丸ᅘᅪᆫ ᄆᆡᇰᄀᆞ라 ᄒᆞᆫ 服뽁애 스믈 丸ᅘᅪᆫ곰 ᄃᆞᄉᆞᆫ 술로 空코ᇰ心심에 머그라

또 괴자를 볶아 한 냥을 찧어 쳐 가늘게 갈아 연(煉)한 꿀로 오동자만하게 환을 만들어 한 복에 스무 환씩 따뜻한 술로 공복에 먹으라.

又方
萵苣切半斤皂莢剉碎三挺蜀椒去目及閉口者炒出汗一兩右少用水煮令相得不可太稀乘熱用布三兩重裹熨腫處冷卽易頻熨自消

ᄯᅩ 부루 사ᄒᆞ로니 半반 斤근과 皂쪼ᇢ莢겹 사ᄒᆞ라 ᄯᅮ드려 세 挺텨ᇰ과 川ᄌᆑᆫ椒죠ᇢ 주020)
천초(川椒):
부록 참조.
눈과 입 마ᄀᆞ닐 앗고 상58ㄴ봇가 ᄯᆞᆷ 내요니 ᄒᆞᆫ 兩랴ᇰᄋᆞᆯ 므를 져고매 ᄒᆞ야 글혀 서르 맛게 ᄒᆞ고 너무 젹게 마롤디니 더운 저긔 뵈로 두ᅀᅥ ᄇᆞᆯ ᄢᅳ려 브ᅀᅳᆫ ᄃᆡ 熨ᅙᅮᇙ호ᄃᆡ ᄎᆞ거든 ᄀᆞᆯ라 ᄌᆞ조 熨ᅙᅮᇙᄒᆞ면 절로 ᄂᆞᆺᄂᆞ니라

또 상추 썬 것 반 근과 조협 썰어서 두드린 것 세 정과, 천초를 눈과 입 막은 것 없애고 볶아 땀 낸 것 한 냥을 물을 조금 하여 끓여 서로 알맞게 하고, 너무 적게 하지 말 것이니, 뜨거울 때에 베로 두어 번 싸서 부은 데 다리되 차거든 갈라. 자주 다리면 절로 낫는다.

又方
雄黃甘草各一兩 礬石硏二兩右擣硏爲末每用藥一兩熱湯五升通手洗腫處良久再煖洗

ᄯᅩ 雄ᅘᅮᇰ黃ᅘᅪᇰᄋᆞᆯ ᄀᆞᆯ오 甘감草초ᇢ 各각 ᄒᆞᆫ 兩랴ᇰ과 白ᄈᆡᆨ礬뻔 ᄀᆞ라 두 兩랴ᇰ과 ᄀᆞ라 細솅末마ᇙᄒᆞ야 藥약 ᄒᆞᆫ 兩랴ᇰᄋᆞᆯ 더운믈 닷 되예 글혀 브ᅀᅳᆫ ᄃᆡ 시수ᄃᆡ 良랴ᇰ久고ᇢ커든 다시 데여 시스라

또 웅황을 갈고 감초 각 한 냥과 백반 간 것 두 냥을 갈아 가늘게 가루 내어 약 한 냥을 더운물 닷 되에 끓여 부은 데 씻되 오래 되거든 다시 데워 씻으라.

又方
車前子不拘多少擣羅爲末湯調塗腫處

ᄯᅩ 車챵前쪈子

상59ㄱ

ᄌᆞᆼ
주021)
차전자(車前子):
부록 참조.
ᄅᆞᆯ 디허 細솅末마ᇙᄒᆞ야 더운 므레 프러 브ᅀᅳᆫ ᄃᆡ ᄇᆞᄅᆞ라

또 차전자를 찧어 가늘게 갈아 더운물에 풀어 부은 데 바르라.

又方
蔓菁根不拘多少剉碎擣羅爲散溫水調塗腫處或以絹帛傅之以差爲度

ᄯᅩ 댓무ᅀᅮᆺ 불휘ᄅᆞᆯ 사ᄒᆞ라 ᄯᅮ드려 디허 처 ᄃᆞᄉᆞᆫ 므레 프러 브ᅀᅩᆫ ᄃᆡ ᄇᆞᄅᆞ라 시혹 기브로 브툐ᄃᆡ 됴ᄒᆞᆯ ᄀᆞ자ᇰ ᄒᆞ라

또 무 뿌리를 썰어서 두드리고 찧어 쳐서 따뜻한 물에 풀어 부은 데 바르라. 혹은 헝겊으로 붙이되 좋을 때까지 하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원기(元氣):부록 참조.
주002)
상한(傷寒):부록 참조.
주003)
ᄇᆡᆺ기슬기:ᄇᆡ + ㅅ + 기슭 + -이. 뱃기슭이.
주004)
목향(木香):부록 참조.
주005)
ᄎᆡ와:ᄎᆡ오- + -아. 차게 하여.
주006)
계지(桂枝):부록 참조.
주007)
적작약산(赤芍藥散):부록 참조.
주008)
적작약(赤芍藥):부록 참조.
주009)
천오두(川烏頭):부록 참조.
주010)
방풍(防風):부록 참조.
주011)
궁궁(芎窮):부록 참조.
주012)
음산(陰疝):부록 참조.
주013)
낭독(狼毒):부록 참조.
주014)
방규(防葵):부록 참조.
주015)
오동자(梧桐子):부록 참조.
주016)
ᄡᅮᄃᆡ:ᄡᅳ- + -우- + -ᄃᆡ. 쓰되.
주017)
황련(黃蓮):부록 참조.
주018)
염탕(塩湯):부록 참조.
주019)
괴자(槐子):부록 참조.
주020)
천초(川椒):부록 참조.
주021)
차전자(車前子):부록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