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구급방언해 상

  • 역주 구급방언해
  • 역주 구급방언해 상
  • 12. 골경(十二骨鯁)
메뉴닫기 메뉴열기

12. 골경(十二骨鯁)


骨鯁第十二
醫方集成
治骨鯁入喉 縮砂 甘草各等分

상47ㄱ

右爲末緜裹少許噙之旋旋嚥津久之隨痰出

ᄲᅨ 모긔 거닐 주001)
거닐:
걸- + -ㄴ + 이 + -ㄹ. 걸린 것을.
고툐ᄃᆡ 縮슉砂상와 甘감草초ᇢᄅᆞᆯ 等드ᇰ分분ᄒᆞ야 細솅末마ᇙᄒᆞ야 소오ᄆᆡ 져기 ᄢᅳ려 머구머 주002)
머구머:
머굼- + -어. 머금어.
젹젹 춤 ᄉᆞᆷᄭᅵ면 오라면 痰땀 조차 나ᄂᆞ니라

뼈가 목에 걸린 것을 고치되 축사와 감초를 양을 같게 하여 가늘게 갈고 솜에 조금 싸 머금어 조금씩 침 삼키면 오래 되면 담이 따라 나온다.

又方
野紵根洗淨不以多少搗爛如泥每用龍眼大如被雞骨所傷以雞羹化下如被魚骨所傷以魚羹汁化下

ᄯᅩ 모싯 불휘ᄅᆞᆯ 조히 시서 디호ᄃᆡ 니균 ᄒᆞᆰᄀᆞ티 ᄒᆞ야 龍료ᇰ眼ᅌᅡᆫ만 ᄒᆞ니ᄅᆞᆯ ᄃᆞᆯ긔 ᄲᅧ에 傷샤ᇰ커든 ᄃᆞᆰ湯타ᇰㅅ 즈브로 ᄂᆞ리오고 고깃 ᄲᅧ에 傷샤ᇰ커든 生ᄉᆡᇰ鮮션湯타ᇰㅅ 즈브로 ᄂᆞ리오라 주003)
ᄂᆞ리오라:
ᄂᆞ리- + -오-[사동 접미사] + -라. 내려가게 하라.

또 모시 뿌리를 깨끗이 씻어 찧되 진흙같이 하여 용안만 한 것을, 닭 뼈에 다치거든 닭탕의 즙으로 내려가게 하고, 고기 뼈에 다치거든 생선탕의 즙으로 내려가게 하라.

상47ㄴ

經驗良方
治骨硬不下先嚼白茯苓一錢重次以白礬湯嚥下

ᄲᅨ 거러 ᄂᆞ리디 아닌ᄂᆞ닐 주004)
아닌ᄂᆞ닐:
아니ᄒᆞ- + -ᄂᆞ- + -ㄴ + 이 + -ㄹ. 않는 것을.
고툐ᄃᆡ 몬져 白ᄈᆡᆨ茯뽁苓려ᇰ 주005)
백복령(白茯苓):
부록 참조.
ᄒᆞᆫ 돈ᄋᆞᆯ 십고 버거 白ᄈᆡᆨ礬뻔湯타ᇰ 주006)
백반탕(白礬湯):
부록 참조.
으로 ᄂᆞ리오라

뼈가 걸려 내려가지 않는 것을 고치되 먼저 백복령 한 돈을 씹고, 다음으로 백반탕으로 내려가게 하라.

又方
治魚骨用白膠香細細呑下

ᄯᅩ 믌고깃 ᄲᅧ 걸우닐 주007)
걸우닐:
걸- + -우- + -ㄴ. 걸린.
고툐ᄃᆡ 白ᄈᆡᆨ膠교ᇢ香햐ᇰ 주008)
백교향(白膠香):
부록 참조.
을 젹젹 ᄉᆞᆷᄭᅧ ᄂᆞ리오라

또 물고기 뼈 걸린 것을 고치되 백교향을 조금씩 삼켜 내려가게 하라.

又方
皂角少許吹入鼻

ᄯᅩ 皂쪼ᇢ角각을 져기 곳굼긔 부러 녀흐라

또 조각을 조금 콧구멍에 불어 넣으라.

又方
口念鸕鶿鸕鶿立愈

ᄯᅩ 이베 鸕롱鶿ᄍᆞᆼ 鸕롱鶿ᄍᆞᆼ ᄒᆞ야 念념ᄒᆞ면 즉재 됻ᄂᆞ니라 鸕롱鶿ᄍᆞᆼᄂᆞᆫ 가마오디라

또 입으로 ‘노자, 노자’ 하고 염하면 즉시 좋아진다. (노자는 가마우지다.)

상48ㄱ

朱氏集驗方
治食鯉魚骨硬貫衆不以多少濃煎汁一盞半分三服幷進連服三劑

鯉링魚ᅌᅥᆼ 주009)
이어(鯉魚):
부록 참조.
ᄲᅧ 걸우닐 고툐ᄃᆡ 貫관衆쥬ᇰ 주010)
관중(貫衆):
부록 참조.
을 두터이 글혀 즈블 ᄒᆞᆫ 잔 半반ᄋᆞᆯ 세 服뽁애 ᄂᆞᆫ화 다 머구ᄃᆡ 닛우 세 劑쪵ᄅᆞᆯ 머그라

잉어 뼈 걸린 것을 고치되 관중을 진하게 끓여 즙 한 잔 반을 세 복으로 나누어 다 먹되 연이어 세 제(劑)를 먹으라.

又方
巧匠取喉鉤將繭剪如錢大用物搥四面令軟以油潤之仍中通一竅先穿上鉤線次穿數珠三五枚令兒正坐開口漸添引數珠挨之到喉覺至繫鉤處乃以向下一推其鉤自下而脫

상48ㄴ

卽向上急出之見蠶錢向下裹定鉤線鬚而出並無所損

ᄯᅩ 工고ᇰ巧교ᇢᄒᆞᆫ 匠쨔ᇰㅅᅀᅵᆫ이 아ᄒᆡ 모ᄀᆡ 건 낙ᄉᆞᆯ 아ᅀᅩᄃᆡ 고티ᄅᆞᆯ 돈ᄀᆞ티 ᄇᆞ리고 네 面면을 ᄯᅮ드려 보ᄃᆞ랍게 ᄒᆞ고 기르므로 저지고 주011)
저지고:
젖- + -이-[사동 접미사] + -고. 적시고.
가온ᄃᆡ ᄒᆞᆫ 구무 들워 주012)
들워:
듧- + -어. 뚫어. * 초기 문헌에서는 ‘들ᄫᅥ’로 표기되었다.
몬져 낛긴헤 주013)
낛긴헤:
낛 + 긴ㅎ + -에. 낚시끈에, 낚시줄에.
ᄢᅦ오 주014)
ᄢᅦ오:
ᄢᅦ- + -고. 꿰고.
버거 念념珠즁 주015)
염주(念珠):
부록 참조.
세다ᄉᆞᆺ 나ᄎᆞᆯ ᄢᅦ오 아ᄒᆡ로 바ᄅᆞ 아ᇇ고 입 버리게 주016)
버리게:
벌- + -이-[사동 접미사] + -게. 벌리게.
코 졈졈 念념珠즁를 더 미러 모ᄀᆡ 다ᄃᆞᆮ게 ᄒᆞ야 낛 ᄆᆡ욘 ᄃᆡ 니른가 식브거늘 아래로 ᄒᆞᆫ 번 미니 그 낙시 제 ᄂᆞ려 버서디거늘 즉재 우흐로 時씽急급히 내오 고티ᄅᆞᆯ 보니 아래로 낙줄와 낛미느를 ᄢᅳ러 나 귿 헌 ᄃᆡ 업더라

또 재주있는 장인이 아이 목에 걸린 낚시 바늘을 없애는데, 고치를 돈같이 베고, 네 면을 두드려 보드랍게 하여 기름으로 적시고 가운데 구멍 하나를 뚫어 먼저 낚시줄에 꿰고, 다음으로 염주 세다섯 낱을 꿰고, 아이를 바로 앉아 입 벌리게 하고, 조금씩 염주를 더 밀어 목에 닿게 하여 낚시 바늘 걸린 데 이르른가 싶거든 아래로 한 번 미니, 그 낚시 바늘이 저절로 내려 벗어지거든 즉시 위로 급히 꺼내고 고치를 보니 아래로 낚시줄과 낚시 미늘을 싸고 나와 끝이 헌 데 없더라.

聖惠方
治食魚骨鯁以魚網燒灰細硏水調

상49ㄱ

服一錢又方以魚網䨱頭立下

믌고기 먹다가 ᄲᅧ 걸우닐 고툐ᄃᆡ 고깃 그므를 ᄉᆞ라 ᄀᆞᄂᆞ리 ᄀᆞ라 ᄒᆞᆫ 돈ᄋᆞᆯ 므레 프러 머그라 ᄯᅩ 고깃 그므를 머리예 두프면 즉재 ᄂᆞ리ᄂᆞ니라

물고기 먹다가 뼈 걸린 것을 고치되 고기 그물을 살라 가늘게 갈아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 또 고기 그물을 머리에 덮으면 즉시 내려간다.

又方
含水獺骨立出或爪亦得

ᄯᅩ 水ᄉᆔᆼ獺타ᇙ의 ᄲᅧ를 머구머시면 즉재 나ᄂᆞ니 시혹 밠톱도 ᄯᅩ ᄒᆞ리라

또 수달의 뼈를 머금고 있으면 즉시 나오니, 혹은 발톱을 머금어도 또 된다.

又方
以牛筋水浸細擘以線繫如彈子大持線端呑之入喉至哽處徐徐引之鯁着筋卽出

ᄯᅩ ᄉᆈ 히믈 므레 ᄃᆞᆷ가 ᄀᆞᄂᆞ리 ᄧᆡ야 실로 ᄆᆡ요ᄃᆡ 彈딴子ᄌᆞᆼ만 케 ᄒᆞ야 싨그틀 잡고 ᄉᆞᆷᄭᅧ 모ᄀᆡ 드려 ᄲᅧ 건 ᄃᆡ 니르거든 ᄌᆞᄂᆞᆨᄌᆞᄂᆞ기 ᄃᆞᆼᄀᆡ면 ᄲᅧ 히메 바상49ㄴ켜 즉재 나ᄂᆞ니라

또 소 힘줄을 물에 담가 가늘게 찢어 실로 매되 탄자만하게 하여 실끝을 잡고 삼켜 목에 들게 하여 뼈 걸린 데 이르거든 천천히 당기면 뼈가 힘줄에 박혀 즉시 나온다.

又方
以虎糞或狼糞燒灰細硏以水調一錢服之

ᄯᅩ 버믜 ᄯᅩᆼ이나 시혹 일희 ᄯᅩᆼ이나 ᄌᆡ ᄉᆞ라 ᄀᆞᄂᆞ리 ᄀᆞ라 ᄒᆞᆫ 돈ᄋᆞᆯ 므레 프러 머그라

또 범의 똥이나 혹은 이리 똥을 재 되게 살라 가늘게 갈아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

又方
以虎骨或狸骨擣細羅爲散以水調一錢服之

ᄯᅩ 버믜 ᄲᅨ나 시혹 ᄉᆞᆯ긔 ᄲᅨ나 디허 ᄀᆞᄂᆞ리 주017)
처:
츠- + -어. 쳐.
ᄒᆞᆫ 돈ᄋᆞᆯ 므레 프러 머그라

또 범의 뼈나 혹은 삵의 뼈를 찧어 가늘게 쳐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

又方
以硇砂半錢口中咀嚼嚥之立下

ᄯᅩ 硇{뇨/ㅱ}砂상 半반 돈ᄋᆞᆯ 이베 시버 ᄉᆞᆷᄭᅵ면 즉재 ᄂᆞ리ᄂᆞ니라

또 요사 반 돈을 입에 씹어 삼키면 즉시 내려간다.

又方
治誤呑鉤若線猶在手中者莫引之但急以珠璫若薏苡子輩穿貫

상50ㄱ

着線稍稍令推至鉤處小小引之則出

ᄯᅩ 낙ᄉᆞᆯ 그르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ᄒᆞ다가 긴히 소내 잇ᄂᆞ닌 ᄃᆞᇰᄀᆡ디 말오 ᄲᆞᆯ리 구스리나 율믜나 긴헤 ᄢᅦ어 졈졈 미러 낙새 다ᄃᆞᆮ게 ᄒᆞ고 젹젹 ᄃᆞᇰᄀᆡ면 나ᄂᆞ니라

또 낚시 바늘을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만약 끈이 손에 있는 것은 당기지 말고 빨리 구슬이나 율무를 끈에 꿰어 조금씩 밀어 낚시 바늘에 닿게 하고 조금씩 당기면 나온다.

又方
以琥珀珠着線貫之推令前入至鉤又復推以索引出矣或水精珠亦佳無珠諸堅實物磨令滑作孔用之

ᄯᅩ 琥홍珀ᄑᆡᆨ 주018)
호박(琥珀):
부록 참조.
구스를 긴헤 ᄢᅦ여 미러 낙새 다ᄃᆞᆮ게 ᄒᆞ고 ᄯᅩ 미러 혀면 주019)
혀면:
혀- + -면. 끌면.
나ᄂᆞ니라 시혹 水ᄉᆔᆼ精져ᇰ 주020)
수정(水精):
부록 참조.
도 ᄯᅩ 됴ᄒᆞ니 구슬 업거든 구든 거슬 ᄀᆞ라 ᄆᆡᆺᄆᆡᆺ게 ᄒᆞ야 구무 들워 ᄡᅳ라

또 호박 구슬을 끈에 꿰어 밀어 낚시 바늘에 닿게 하고 또 밀어 끌면 나온다. 혹은 수정도 또 좋으니, 구슬 없거든 굳은 것을 갈아 밋밋하게 하여 구멍 뚫어 쓰라.

又方
治誤呑針以上

상50ㄴ

好磁石如小彈子大含之卽出

ᄯᅩ 바ᄂᆞᆯ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됴ᄒᆞᆫ 指징南남石쎡 주021)
지남석(指南石):
부록 참조.
이 져근 彈딴子ᄌᆞᆼ만 ᄒᆞ닐 머구머시면 즉재 나ᄂᆞ니라

또 바늘 삼킨 것을 고치되 좋은 자석 작은 탄자만한 것을 머금고 있으면 즉시 나온다.

經驗秘方
治誤呑錢百部根四兩酒一升浸一宿溫作二服

돈 그르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百ᄇᆡᆨ部뽕根ᄀᆞᆫ 주022)
백부근(百部根):
부록 참조.
넉 랴ᇰᄋᆞᆯ 술 ᄒᆞᆫ 되예 ᄒᆞᄅᆞᆺ바ᄆᆞᆯ ᄃᆞᆷ가 ᄃᆞ시 ᄒᆞ야 두 버네 머그라

돈을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백부근 넉 냥을 술 한 되에 하룻밤을 담가 따뜻이 하여 두 번에 먹으라.

又方
服淸蜜二盞

ᄯᅩ 淸쳐ᇰ蜜미ᇙ 두 잔ᄋᆞᆯ 머그라

또 청밀 두 잔을 먹으라.

又方
濃煎艾湯一二盞飮之

ᄯᅩ ᄡᅮ글 두터이 글혀 ᄒᆞᆫ두 자ᄂᆞᆯ 머그라

또 쑥을 진하게 끓여 한두 잔을 먹으라.

又方
治誤呑針釘鉤子魚骨雜物多食肥羊脂肉及諸肉必

상51ㄱ

自裹出

ᄯᅩ 바ᄂᆞᆯ와 몯과 낛과 고깃 ᄲᅧ와 雜짭거슬 그르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진 羊야ᇰᄋᆡ 기름과 고기와 여러 가짓 고기ᄅᆞᆯ 만히 머그면 절로 ᄢᅳ려 나ᄂᆞ니라

또 바늘, 못, 낚시 바늘, 고기 뼈 등 잡것을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살진 양의 기름과 고기 등 여러 가지 고기를 많이 먹으면 절로 싸여 나온다.

又方
木炭爲細末每服一錢冷水調下頓服自然裹於大便中出

ᄯᅩ 숫글 주023)
숫글:
수ᇧ + -을. 숯을.
細솅末마ᇙᄒᆞ야 ᄒᆞᆫ 돈ᄋᆞᆯ ᄎᆞᆫ므레 프러 다 머그면 自ᄍᆞᆼ然ᅀᅧᆫ히 大땡便뼌에 ᄢᅳ려 나ᄂᆞ니라

또 숯을 가늘게 갈아 한 돈을 찬물에 풀어 다 먹으면 자연히 대변에 싸여 나온다.

衛生易簡方
治一切骨鯁用朴硝噙化

一ᅙᅵᇙ切촁ㅅ ᄲᅧ 걸우닐 고툐ᄃᆡ 朴팍硝쇼ᇢᄅᆞᆯ 머구머 노기라

일체의 뼈 걸린 것을 고치되 박초를 머금어 녹이라.

又方
用雞蘇朴硝等分如彈子大仰臥噙化三五丸卽愈

상51ㄴ

ᄯᅩ 雞곙蘇송 주024)
계소(雞蘇):
부록 참조.
와 朴팍硝쇼ᇢᄅᆞᆯ 等드ᇰ分분ᄒᆞ야 彈딴子ᄌᆞᆼ만 ᄒᆞ닐 졋바누어 주025)
졋바누어:
졋바누- + -어. 자빠져 누워, 반듯이 누워.
세 다ᄉᆞᆺ 버늘 머구머 노기면 즉재 됻ᄂᆞ니라

또 계소와 박초를 양을 같게 하여 탄자만한 것을, 반듯이 누워 세 다섯 번을 머금어 녹이면 즉시 좋아진다.

壽域神方
治諸骨鯁用不蛀皂角一片槌碎作四截銚內炒令焦黑酸米醋一盞澆之用碗覆一茶久取出放溫漱嚥下

여러 가짓 ᄲᅧ 걸우닐 고툐ᄃᆡ 벌에 먹디 아니ᄒᆞᆫ 皂쪼ᇢ角각 ᄒᆞᆫ 편을 ᄯᅮ드려 네헤 그처 새용 안해 봇가 검게 ᄒᆞ고 싄 초 ᄒᆞᆫ 잔ᄋᆞᆯ 븟고 보ᅀᆞ로 두퍼 ᄒᆞᆫ 차 다릴 ᄉᆞᅀᅵ만 커든 내야 ᄃᆞ시 ᄒᆞ야 야ᇰ지ᄒᆞ야 ᄉᆞᆷᄭᅵ라

여러 가지 뼈 걸린 것을 고치되 벌레 먹지 않은 조각 한 편을 두드려 넷으로 끊어 병 안에서 볶아 검게 하고, 신 식초 한 잔을 붓고 보시기로 덮어 차를 한번 달이는 사이쯤 되거든 내어 따뜻이 해서 양치하여 삼키라.

又方
用覆盆子根取淨洗釅醋瓦

상52ㄱ

礶煎濃汁用紙盖礶口留一孔令患人開口置孔熏一二時久骨自下

ᄯᅩ 覆폭盆뽄子ᄌᆞᆼ 주026)
복분자(覆盆子):
부록 참조.
ㅅ 불휘ᄅᆞᆯ 조히 시서 초로 딜湯타ᇰ礶관 주027)
탕관(湯礶):
부록 참조.
에 즙이 두텁게 글히고 죠ᄒᆡ로 湯타ᇰ礶관 이블 막고 ᄒᆞᆫ 굼글 두어 病뼈ᇰᄒᆞᆫ 사ᄅᆞᄆᆞ로 입 버려 굼긔 다혀 ᄒᆞᆫ두 時씽刻큭을 쐬면 ᄲᅨ 저 나ᄂᆞ니라

또 복분자 뿌리를 깨끗이 씻어 식초로 질탕관에 즙이 진하게 끓이고, 종이로 탕관 입을 막고 구멍을 하나 두어, 병난 사람을 입 벌려 구멍에 닿게 하여 한두 시간을 쐬면 뼈가 저절로 나온다.

又方
用餳糖再熬化丸如雞子黃大微嚼猛嚥呑之不下再作大丸呑妙

ᄯᅩ 여슬 두 번 ᄉᆞ라 ᄃᆞᆯᄀᆡ앐 누른 것만 케 비븨여 자ᇝ간 시버 ᄆᆡ이 ᄉᆞᆷᄭᅭᄃᆡ ᄂᆞ리디 아니커든 다시 ᄒᆞ라 크게 비븨여 머구미 됴ᄒᆞ니라

또 엿을 두 번 살라 달걀 노른자만하게 빚어 잠깐 씹어 아주 삼키되 내려가지 아니하거든 다시 하라. 크게 빚어 먹음이 좋다.

又方
以魚骨安於頭上立

상52ㄴ


ᄯᅩ 믌고깃 ᄲᅧᄅᆞᆯ 머리예 연ᄌᆞ면 즉재 됻ᄂᆞ니라

또 물고기 뼈를 머리에 얹으면 즉시 좋아진다.

又方
仍取所餘骨左右手反復擲背後立出

ᄯᅩ 나ᄆᆞᆫ ᄲᅧ를 두 녁 소ᄂᆞ로 서르 드ᇰ 뒤헤 더디면 즉재 나ᄂᆞ니라

또 남은 뼈를 두 쪽 손으로 서로 등 뒤에 던지면 즉시 나온다.

又方
解衣帶眼看下部不下卽出

ᄯᅩ 옷 밧고 미틀 보면 ᄂᆞ리디 아니ᄒᆞ면 즉자히 나ᄂᆞ니라

또 옷을 벗고 밑을 보면, 내려가지 않으면 즉시 나온다.

又方
取鯉魚鱗皮燒灰作末以水調服卽出不出再作

ᄯᅩ 鯉링魚ᅌᅥᆼㅅ 비늘와 가ᄎᆞᆯ ᄉᆞ라 細솅末마ᇙᄒᆞ야 므레 프러 머그면 즉재 나ᄂᆞ니 나디 아니커든 다시 ᄒᆞ라

또 잉어 비늘과 껍질을 살라 가늘게 갈아 물에 풀어 먹으면 즉시 나오니, 나오지 않거든 다시 하라.

又方
用象牙爲末水調一錢服亦治魚刺

ᄯᅩ 象쌰ᇰ牙ᅌᅡᆼ 주028)
상아(象牙):
부록 참조.
ᄅᆞᆯ 細솅末마ᇙᄒᆞ야 ᄒᆞᆫ 돈상53ㄱᄋᆞᆯ 므레 프러 머그라 ᄯᅩ 고깃ᄲᅧ ᄣᅵᆯ인 ᄃᆡ 고티ᄂᆞ니라

또 상아를 가늘게 갈아 한 돈을 물에 풀어 먹으라. 또 고기뼈 찔린 데도 고친다.

又方
用鸕鶿骨爲末湯調服之得呑其嗉最效

ᄯᅩ 鸕롱鶿ᄍᆞᆼ ᄲᅧ를 細솅末마ᇙᄒᆞ야 더운 므레 프러 머그라 그 부릴 어더 머그면 ᄆᆞᆺ 됴ᄒᆞ니라

또 노자 뼈를 가늘게 갈아 더운물에 풀어 먹으라. 그 부리를 얻어 먹으면 제일 좋다.

又方
治誤呑錢用慈菰搗半爛呑之移時其錢卽化一用濃煎艾汁亦可冬葵根煮汁亦可

ᄯᅩ 그르 돈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慈ᄍᆞᆼ菰공 주029)
자고(慈菰):
부록 참조.
ᄅᆞᆯ 디허 半반만 닉거든 ᄉᆞᆷᄭᅵ라 時씽刻큭이 올ᄆᆞ면 그 돈이 즉재 녹ᄂᆞ니라 ᄯᅩ ᄡᅮ글 두터이 글횬 汁집도 ᄯᅩ ᄒᆞ리라 冬도ᇰ葵ᄁᆔᆼ 주030)
동규(冬葵):
부록 참조.
根ᄀᆞᆫ 글휸 汁집도 ᄯᅩ ᄒᆞ리라

또 돈을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자고를 찧어 반쯤 익거든 삼키라. 시각이 바뀌면 그 돈이 즉시 녹는다. 또 쑥을 진하게 끓인 즙도 또 될 것이다. 동규근 끓인 즙도 또 될 것이다.

又方
治誤呑金銀釵環以

상53ㄴ

水銀半兩服之再服卽出

ᄯᅩ 金금銀ᅌᅳᆫ 곳 골회 그르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水ᄉᆔᆼ銀ᅌᅳᆫ 주031)
수은(水銀):
부록 참조.
半반 兩랴ᇰ을 머그라 다시 머그면 즉재 나ᄂᆞ니라

또 금은 비녀·고리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수은 반 냥을 먹으라. 다시 먹으면 즉시 나온다.

又方
治小兒誤呑針用磁石如棗核大磨令光鑽作竅絲穿令含針自出

ᄯᅩ 아ᄒᆡ 그르 바ᄂᆞᆯ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指징南남石쎡이 大땡棗조ᇢㅅ ᄌᆞᅀᆞ만 ᄒᆞ닐 ᄀᆞ라 빗나게 ᄒᆞ고 구무 들워 실로 ᄢᅦ여 머굼게 ᄒᆞ면 바ᄂᆞ리 제 나ᄂᆞ니라

또 아이가 바늘을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자석을 대추씨만한 것을 갈아 빛나게 하고 구멍 뚫어 실로 꿰어 머금게 하면 바늘이 저절로 나온다.

又方
治誤呑鐶燒鵝翎數根末白湯調服妙

ᄯᅩ 그르 골회 ᄉᆞᆷᄭᅵ닐 고툐ᄃᆡ 거유 ᄂᆞ랫짓 두ᅀᅥ흘 ᄉᆞ라 細솅末마ᇙᄒᆞ야 다ᇰ쉿므레 프러 머구미 됴ᄒᆞ니라

또 고리 잘못 삼킨 것을 고치되 거위 날갯깃 두엇을 살라 가늘게 갈아 끓인 물에 풀어 먹음이 좋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닐:걸- + -ㄴ + 이 + -ㄹ. 걸린 것을.
주002)
머구머:머굼- + -어. 머금어.
주003)
ᄂᆞ리오라:ᄂᆞ리- + -오-[사동 접미사] + -라. 내려가게 하라.
주004)
아닌ᄂᆞ닐:아니ᄒᆞ- + -ᄂᆞ- + -ㄴ + 이 + -ㄹ. 않는 것을.
주005)
백복령(白茯苓):부록 참조.
주006)
백반탕(白礬湯):부록 참조.
주007)
걸우닐:걸- + -우- + -ㄴ. 걸린.
주008)
백교향(白膠香):부록 참조.
주009)
이어(鯉魚):부록 참조.
주010)
관중(貫衆):부록 참조.
주011)
저지고:젖- + -이-[사동 접미사] + -고. 적시고.
주012)
들워:듧- + -어. 뚫어. * 초기 문헌에서는 ‘들ᄫᅥ’로 표기되었다.
주013)
낛긴헤:낛 + 긴ㅎ + -에. 낚시끈에, 낚시줄에.
주014)
ᄢᅦ오:ᄢᅦ- + -고. 꿰고.
주015)
염주(念珠):부록 참조.
주016)
버리게:벌- + -이-[사동 접미사] + -게. 벌리게.
주017)
처:츠- + -어. 쳐.
주018)
호박(琥珀):부록 참조.
주019)
혀면:혀- + -면. 끌면.
주020)
수정(水精):부록 참조.
주021)
지남석(指南石):부록 참조.
주022)
백부근(百部根):부록 참조.
주023)
숫글:수ᇧ + -을. 숯을.
주024)
계소(雞蘇):부록 참조.
주025)
졋바누어:졋바누- + -어. 자빠져 누워, 반듯이 누워.
주026)
복분자(覆盆子):부록 참조.
주027)
탕관(湯礶):부록 참조.
주028)
상아(象牙):부록 참조.
주029)
자고(慈菰):부록 참조.
주030)
동규(冬葵):부록 참조.
주031)
수은(水銀):부록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