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제1

  • 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 〈示惟正上人〉
메뉴닫기 메뉴열기

〈示惟正上人〉


20ㄴ

五祖演和尙이 示衆云호 釋迦彌勒이 猶是他奴ㅣ라니 他 是阿誰오

五祖演 和尙 주001)
오조연화상:
당나라 승려. 기주의 오조산에 있던 법연선사를 가리킨다.
이 衆人 뵈야 주002)
뵈야:
보게하여. 뵈-[使見]+아.
닐오 주003)
닐오:
이르되. 니-[云]+오.
釋迦 주004)
석가:
불교의 개조. 원래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지만 여기서는 부처님을 가리킨다.
彌勒 주005)
미륵:
도솔천에 살며 56억 7천만 년 후에 미륵불로 나타나 중생을 건진다는 보살.
이 오히려  주006)
:
남의.
이라 니  주007)
:
남은.
누구 주008)
누구:
누구인고. 누[誰]+구(물음토씨 ‘고’의 수의 변이형).

오조연 화상이 여러 사람을 보게 하여 이르되, ‘석가와 미륵이 오히려 남의 종이라 하니 남은 누구인고?’

直下悟徹야 道得諦當면 可以超脫分叚生死

21ㄱ

리니

바 주009)
바:
바로.
아라 주010)
아라:
알아.
맛히 주011)
맛히:
마땅히.
니면 어루 주012)
어루:
가히.
分段 生死 주013)
분단생사:
육도에 윤회하는 범부의 나고 죽는 일을 이르는 말(범부는 각자의 업인에 따라 신체의 크고 작음과 목숨의 길고 짧음이 구별되어 있어서 ‘분단’이라고 본다.).
여희리니 주014)
여희리니:
여읠 것이니.

바로 알아 마땅히 이르면 가히 분단생사를 여읠 것이니,

更進竿頭闊步야 了大丈夫事業리라

다시 댓그테 주015)
댓그테:
대끝에.
어윈 주016)
어윈:
큰. 넓은. 어위-[闊]+ㄴ.
거르믈 주017)
거르믈:
걸음을.
나 주018)
나:
나아가.
드듸여 주019)
드듸여:
디디어야. 드듸- +어+.
大丈夫의 이 리라 주020)
리라:
마칠 것이다.

다시 대끝에 큰 걸음을 나아 디디어야 대장부의 일을 마칠 것이다.

惟正上座 能悟徹也

21ㄴ

아 未아

惟正 上座 能히 아란다 주021)
아란다:
알았느냐. 알- +아+ㄴ다. ‘-ㄴ다’는 2인칭 물음법 씨끝.
몰란다 주022)
몰란다:
몰랐느냐. 모- +아+ㄴ다.

유정상좌는 능히 알았느냐, 몰랐느냐,

否則急宜惺惺야 下眞實工夫야 如法參究야 以大悟로 爲入門호리라

아라 주023)
아라:
알았거든. 알- +아.
리 주024)
리:
빨리.
惺惺히 주025)
성성히:
또렷이.
야 眞實 工夫 야 法다 주026)
법다:
법답게. 법대로.
參究

22ㄱ

야
주027)
참구야:
참구하여. ‘참구’는 참선하여 진리를 탐구함을 이른다.
주028)
키:
크게.
아로로 주029)
아로로:
앎으로.
門에 드로 주030)
드로:
듦을. 들-[入]+옴+.
사모리라 주031)
사모리다:
삼으리라. 삼을 것이다. 삼-[爲]+오+리+라.
≪參究 씨라 주032)
씨라:
찾는 것이다. -[尋]+++ㅣ+라.

못 알았거든 빨리 성성히(또렷이) 하여, 진실 공부를 하여, 법답게 참구하여 크게 앎으로 문에 듦을 삼을 것이다《참구는 찾는 것이다.》.

所謂參究者 當疑釋迦彌勒이 是佛이시거시니 因甚야 猶是他奴ㅣ어뇨 必竟앤 他是阿誰어뇨호리니

닐온 주033)
닐온:
이른바.
參究호 반기 釋迦 彌勒이 이 부톄시거시니 주034)
부톄시거시니:
부처이시거니.
엇던 주035)
엇던 :
어떤 것을.

22ㄴ

야
주036)
인야:
인하여.
오히려  주037)
:
남의.
이어뇨 주038)
이어뇨:
종인고. [奴]+이+거니오. ‘-어-’는 서술격 ‘이’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맨 주039)
맨:
마침내는. 결국에는.
 뉘어뇨 주040)
뉘어뇨:
누구인고. 누[誰]+ㅣ+거니오.
야 疑心호리니 주041)
-호리니:
-할, 것이니. -하리니.

이른바 참구함은 반드시 석가와 미륵이 이 부처이시거니 어떤 것을(으로) 인하여 오히려 남의 종인고? 결국에는 남은 누구인고 하여 의심할 것이니,

疑得盛커든 却提撕他是阿誰야 廻光自看호리라

疑心이 盛커든 주042)
성커든:
성하거든.
  뉘어뇨 호 擧야 光 두르 주043)
두르:
뒤치어.
주044)
제:
자기가. 스스로가. :제(상성). 저+ㅣ(임자자리토).
보리라 주045)
보리라:
볼 것이다.

의심이 성하거든 또 남은 누구인고? 함을 거하여 빛을 뒤치어 자기(스스로)가 볼 것이다.

不要用心大緊이니 緊則動色心야 生病리라

23ㄱ

모 힘 주046)
힘:
힘씀을. 힘-[用心]+움+.
키 時急히 아니디니 주047)
아니디니:
아니할 것이니. 아니할지니. 아니- +오+ 디니.
時急면 色心 주048)
색심:
유형의 물질과 무형의 정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뮈워 주049)
뮈워:
움직이게 하여. 뮈우-[動]+어.
病이 나리라

반드시 힘씀을 크게 시급히 아니할 것이니, 시급하면 색심을 움직이게 하여 병이 날 것이다.

不可大緩이니 緩則忘却話頭야 入昏沈掉擧去也리라

날회야 주050)
날회야:
천천히. 더디게.
호미 외니 주051)
외니:
그르니.
날회야 면 話頭 니저 주052)
니저:
잊어. 닞-[忘]+어.
昏沉 주053)
혼침:
사법의 하나. 또는 백법의 하나. 마음으로 하여금 어둡고 답답하게 하는 정신작용.
雜念 주054)
잡념:
불도 수행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옳지 못한 생각.
괘 들

23ㄴ

리라

크게 천천히 함이 그르니 천천히 하면 화두를 잊어 혼침과 잡념이 들 것이다.

妙ㅣ 在善用其心니

조요미 주055)
요미:
종요로움이.
그  善히 메 잇니 주056)
잇니:
있느니.

종요로움이 그 마음 착하게 씀에 있느니,

發盡正信心야 捨盡一切世閒心고 惺惺密密提撕면

正 信心 주057)
신심:
종교를 믿는 마음이나 믿으며 비는 마음.
  發야 一切 世閒 주058)
세간:
중생이 서로 의탁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
 주059)
:
마음을.
 주060)
:
크게. 다. 매우.
리고 주061)
리고:
버리고. 리-[捨]+고.

24ㄱ

비
주062)
비:
깨닫게. 또랑또랑하게. 소명하게.
隱密히 話頭 잡드러 주063)
잡드러:
붙들어.
면 주064)
면:
하면.

바른 신심을 크게 발하여(내어) 일체 세간의 마음을 크게 버리고 깨닫게 은밀히 화두를 붙들면

於坐中에 最易得力리니

안 中에 주065)
:
가장.
히믈 주066)
히믈:
힘을. 힘[力]+을.
수 주067)
수:
쉽게. 쉬.
得리니 주068)
득리니:
얻을 것이니.

앉은 중에 가장 (큰) 힘을 쉽게 얻을 것이니,

初坐時예 抖擻精神야 放敎身体로 端正이언뎡 不可背曲이니라

처 주069)
처:
처음.
안 주070)
안:
앉을. 앉-[坐]+.
저긔 주071)
저긔:
때에. 적[時]+의(위치자리토).
精神 러 주072)
러:
떨어. 떨쳐.
주073)
펴:
펴서.

24ㄴ

모로 주074)
모로:
몸으로.
端正히 디언 주075)
디언:
할지언정. - +오+ 디언.
주076)
둥:
등[背].
구표미 주077)
구표미:
굽힘이. 구피-[曲]+옴+이.
몯리라 주078)
몯리라:
못할 것이다. 못하리라.

처음 앉을 적에 정신을 떨어 펴서 몸으로 단정히 할지언정 등을 굽힘이(굽히지) 못할 것이다.

頭腦 卓竪고 眼皮 不動야 平常히 開眼호리니

머리 구즈기 주079)
구즈기:
우뚝이. 높이.
셰오 주080)
셰오:
세우고. 셰-[使立]+고(나열법씨끝). ‘ㅣ’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시우 주081)
시우:
눈시울을.
뮈우디 주082)
뮈우디:
움직이게 하지. 뮈우-[使動]+디.
아니야 주083)
아니야:
아니하여.
平常히 누늘 주084)
누늘:
눈을.
리니 주085)
리니:
뜰 것이니. 뜨리니. -[開]+우+리+니.

머리를 높이 세우고 눈시울을 움직이게 하지 아니하여 평상히 눈을 뜰 것이니

眼睛이 不動면 則身心이 俱靜리니 靜而然後에 定

25ㄱ

이니라

눈# 주086)
:
눈자위가. [眼睛]+ㅣ(임자자리토).
뮈디 주087)
뮈디:
움직이지.
아니면 곧 몸과 괘 다 寂靜 주088)
적정:
번뇌를 떠나 고(苦)를 멸(滅)한 해탈․열반의 경지를 이르는 말.
리니 寂靜 後에 주089)
후에:
후에야. 후+에+.
주090)
정: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흐트러뜨리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이르는 말. 선정(禪定).
이니라

눈자위가 움직이지 아니하면 곧 몸과 마음이 다 적정할 것이니, 적정한 후에야 정이다.

定中에 却要話頭 現前호리니 不可貪定고 而忘話頭ㅣ니

定中에  모로매 주091)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話頭 알 주092)
알:
앞에. 앒+(위치자리토).

25ㄴ

나토오리니 주093)
나토오리니:
나타낼 것이니. 나토-[現]+오+리+니.
定 貪코 話頭 니주미 주094)
니주미:
잊음이. 닞-[忘]+움+이.
몯리니

정 중에 또 모름지기 화두를 앞에 나타낼 것이니 정을 탐하고 화두 잊음이(잊지) 못할 것이니,

忘則落空야 反被定迷야 無有是處리라

니즈면 주095)
니즈면:
잊으면.
주096)
공: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디여 주097)
디여:
떨어져. 디-[落]+어.
도 주098)
도:
도리어.
定의 어리요 주099)
어리요:
어리석음을. 어리-[迷]+옴+.
니버 주100)
니버:
입어. 닙-[被]+어.
올 주101)
올:
옳은. 올-[是]+ㄴ.
고디 주102)
고디:
곳이.
업스리라 주103)
업스리라:
없을 것이다.

잊으면 공에 떨어져 도리어 정의 어리석음을 입어 옳은 곳이 없을 것이다.

定中에 得力이 易니 却要惺惺不昧호리라

26ㄱ

定中에 힘 어두미 주104)
어두미:
얻음이. 얻-[得]+움+이.
쉬니 주105)
쉬니:
쉬우니.
 모 비 주106)
비:
밝게. 또랑또랑하게.
야 아티 주107)
아티:
아질아질하지. 혼미하지. 아-[昧]+디.
아니호리라

정 중에 힘 얻음이 쉬우니 또 반드시 밝게 하여 아질아질하지 아니할 것이다.

忽有一切好惡境界現時어든 都不要管他ㅣ니라

믄득 一切 됴며 주108)
됴며:
좋으며.
구즌 주109)
구즌:
궂은. 궂-[惡]+은.
境界 現 주110)
현:
나타날. 현- +  .
저기 주111)
저기:
적이. 때가. 적[時]+이(임자자리토).
잇거든 주112)
잇거든:
있거든. 있으면.
다 모 뎌 주113)
뎌를:
저를. 저것을. 뎌[他]+를.
가졧디 주114)
가졧디:
가지지. 가졌지.
마로리라 주115)
마로리라:
말 것이다.

문득 일체 좋으며 궂은 경계 나타날 때가 있거든 다 반드시 저것을 가지지 말 것이다.

話頭ㅣ 分曉면 倏忽애 境

26ㄴ

界自淸리라

話頭ㅣ 分明면 아니한더데 주116)
아니한더데:
잠깐. 잠시. 오래지 않아. 아니한덛- +에.
境界 自然히 리라 주117)
리라:
맑을 것이다. 맑으리라.

화두가 분명하면 오래지 않아 경계가 자연히 맑을 것이다.

起定之時예 緩緩動身야 護持定力호리니

定에 起 주118)
:
때에. [時]+의(위치자리토).
기 주119)
기:
천천히. 자늑자늑히.
모 주120)
모:
몸을.
뮈워 주121)
뮈워:
움직이게 하여. 뮈우-[動]+어.
定力 주122)
정력:
오력의 하나. 선정이 지니고 있는 악을 물리치는 힘.
護持 주123)
호지:
보호하여 부지함.
호리니

정에서 일어날 때에 천천히 몸을 움직이게 하여 정력을 호지할 것이니,

於動用中에 保持得話

27ㄱ

頭야 有疑 提撕면 不用力야도 緜緜綿密密야 無有閒斷時옌

닐뮈여 주124)
닐뮈여:
움직이어. 닐뮈-[動]+어.
니논 주125)
니논:
행동하는. 니++오+ㄴ.
中에 話頭 便安히 디녀 주126)
디녀:
지녀.
疑心 잡들면 주127)
잡들면:
붙들면.
힘디 주128)
힘디:
힘쓰지.
아니야도 니취며 주129)
니취며:
잇대며. 잇따르며. 니취-[綿綿]+며.
隱密야 그처딘 주130)
그처딘:
끊어진.
주131)
:
적이. 때. 때가. [時]+∅(임자자리토).
업슨 주132)
업슨:
없는.
주133)
:
때에는. [時]+의(위치자리토)+ㄴ.

움직이어 행동하는 중에 화두를 편안히 지녀 의심을 붙들면 힘쓰지 아니하여도 잇대며 은밀하여 끊어진 적이 없는 때에는

工夫ㅣ 漸漸成片야 得如

27ㄴ

澄秋野水ㅣ 湛湛淸淸야 縱有風動야도 並是淸波ㅣ리라

工夫ㅣ 漸漸  무저기 주134)
무저기:
무더기. 무적[片]+이.
외야 주135)
외야:
되어.
 주136)
:
맑은. -[澄]+.
햇 주137)
햇:
가을 들판의.
므리 주138)
므리:
물이. 믈[水]+이.
며 고미 주139)
고미:
맑음과. -[淸]+옴+이(견줌자리토).
야 주140)
야:
같아서.
비록 미 주141)
미:
바람이.
뮈여도 주142)
뮈여도:
움직여도.
다 이  믌겨리리라 주143)
믌겨리리라:
물결일 것이다. 물결이리라. 믌결[波]+이+리+라.

공부가 점점 한 무더기 되어 맑은 가을 들판의 물이 맑으며 맑음과 같아서 비록 바람이 움직여도 다 이 맑은 물결일 것이다.

到如是時얀 大悟ㅣ 近矣

28ㄱ

리니 却不得將心야 待悟ㅣ니라

이러 주144)
이러:
이러한.
주145)
:
때에.
니르러 주146)
니르러:
이르러서는. 니를-[到]+어.
키 아로미 갓가리니 주147)
갓가리니:
가까울 것이니. 가까우리니. 갓-[近]++이+∅+니.
  가져 주148)
가져:
가지어.
아로 기들우미 몯리라

이러한 때에 이르러서는 크게 앎이 가까울 것이니, 또 마음을 가지어 앎을 기다리지 못할 것이다.

不要求人穿鑿며 不要思量卜度며 不要求解會곡 但提話頭야 看

28ㄴ

호리라

모 게 주149)
게:
남에게. - +게.
穿鑿 주150)
천착:
파고들어 알려고 하거나 연구함.
求티 주151)
구티:
구하지.
말며 모 혜아리며 주152)
혜아리며:
헤아리며.
저즈리디 주153)
저즈리디:
점쳐 헤아리지. 점쳐 짐작하지. 저즈리-[卜度]+디.
말며 모 아로 求티 말옥 주154)
말옥:
말고. 말-[不]+곡. ‘ㄹ’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받침의 ‘ㄱ’은 어찌말을 만드는 씨끝이나 토씨 및 어찌씨에 붙어 그 표현을 세게 하는 말.
오직 話頭 擧야 보리라≪穿鑿 욀씨라 주155)
욀씨라:
오비는 것이다.

반드시 남에게 천착히 구하지 말며, 반드시 헤아리며 점쳐 짐작하지 말며 반드시 앎을 구하지 말고, 오직 화두를 거하여 볼 것이다《천착은 오비는 것이다.》.

若其他公案애 有疑커나 及經典上애 有疑어든 盡攝歸來他是阿誰上야 看

29ㄱ

호리라

다가 그 다 주156)
다:
다른. 다-[他]+ㄴ.
公案애 疑心이 잇거나 주157)
잇거나:
있거나. 잇-[有]+거나.
經典 주158)
경전:
부처가 설한 교법을 적은 책.
에 疑心이 잇거든 다 뫼화 주159)
뫼화:
모아서. 뫼호-[攝]+아.
뎌 이 뉘어뇨 주160)
뉘어뇨:
누구인고. 누구이냐. 누[誰]+ㅣ+거니오. .서술격 ‘ㅣ’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호매 가져다가 보리라

만약 그 다른 공안에 의심이 있거나, 또 경전에 의심이 있거든 다 모아서 ‘저것은 이 누구인고’ 함에 가져다가 볼 것이다.

衆疑逼發야 築著磕著야 㘞地一聲에 正眼이 開明면

29ㄴ

한 疑心이 다와다 주161)
다와다:
몹시. 다왇-[逼]+아.
發야 맛라 주162)
맛라:
맞닥쳐. 맛- + 아.
화논 주163)
화논:
화!하는.
소리예 주164)
소리예:
소리에.
正 누니 주165)
누니:
눈이. 눈[眼]+이.
여러 주166)
여러:
열려. 열-[開]+어.
면 주167)
면:
밝으면. -[明]+면.

많은 의심이 몹시 나서 맞닥쳐 ‘화!’ 하는 한 소리에 바른 눈이 열려 밝으면

便能下得到家語와 投機語와 箭鋒相柱語야 識得差別機緣야 前來所有一切疑碍ㅣ 氷消無餘리라

30ㄱ

곧 能히 지븨 주168)
지븨:
집에. 집[家]+의(위치자리토).
니르론 주169)
니르론:
이르런. 니를-[到]+오+ㄴ.
말와 주170)
말와:
말과. 말[語]+과. ‘ㄹ’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機緣 주171)
기연:
부처의 교화를 받을 인연과 그 교화를 받아들일 중생의 자질.
마 주172)
마:
맞은.
말와 삸그티 주173)
삸그티:
화살 끝이.
서르 주174)
서르:
서로.
맛 주175)
맛:
맞닥치듯한.
마 닐어 주176)
닐어:
일러. 니- +어.
여러 가짓 주177)
가짓:
가지의.
機緣 아라 아 주178)
아:
전에. 일찍이.
잇던 一切 疑心과 마 주179)
마:
막은. 막-[碍]+.
히 주180)
히:
땅이. ㅎ[地]+이.
어름 주181)
어름:
얼음.
消야 나 거시 주182)
거시:
것이.
업스리라

곧 능히 집에 이르런 말과 기연에 맞은 말과 화살 끝이 서로 맞닥치듯한 말을 일러, 여러 가지의 기연을 알아서 전에 있던 일체의 의심과 막은 땅이 얼음 사라지듯(녹듯) 하여 남은 것이 없을 것이다.

法法을 圓通야 得升堂已고도 切忌小了ㅣ어다

法法 圓滿히 通達 주183)
통달:
도에 깊이 통하는 것. 꿰뚫고 지나가는 것.
야

30ㄴ

升堂 주184)
승당:
‘승당입실(升堂入室:마루에 올라 방에 들다.)’의 준말로 ‘모든일에 순서가 있음’과 ‘학문이 점점 깊어짐’을 비유한 말.
고도 모 져기 주185)
져기:
적이.(다소, 얼마간, 조금, 약간)
아로 주186)
아로:
앎을.
마디어다 주187)
마디어다:
말지어다. 말 것이다. 말-[忌]+오+ 디어다.

법을 원만히 통달하여 승당하고도 반드시 적이 앎을 말지어다.

更來라 指汝의 進步入室야 了徹大事케호리라

다시 오라 주188)
오라:
오라. 오-[來]+라(시킴법씨끝).
너의 나 주189)
나:
나아가.
거러 주190)
거러:
걸어. 걷-[步]+어.
室에 드롤 주191)
드롤:
들. 들어갈. 들-[入]+오+ㄹ.
이 주192)
이를:
일을.
쳐 주193)
쳐:
가리켜. 치-[指]+어.
大事 주194)
대사: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의 준말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일. 수행과 관련된 일.
 주195)
:
꿰뚫어. 사뭇.
알에 주196)
알에:
알게. 알- +게. ‘ㄹ’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호리라≪升堂 入室 堂애 올아 주197)
올아:
올라. 오-[升]+아.
室에 들씨니 주198)
들씨니:
드는 것이니. 들어가는 것이니. 들-[入]+()++ㅣ+니.
道理 아논 주199)
아논:
아는.
次第라≫

다시 오라. 네가 나아가 걸어 방에 들 일을 가리켜 대사를 사뭇 알게 할 것이다《승당 입실은 당에 올라 실에 드는 것이니, 도리 아는 차례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조연화상:당나라 승려. 기주의 오조산에 있던 법연선사를 가리킨다.
주002)
뵈야:보게하여. 뵈-[使見]+아.
주003)
닐오:이르되. 니-[云]+오.
주004)
석가:불교의 개조. 원래 석가는 종족의 이름이지만 여기서는 부처님을 가리킨다.
주005)
미륵:도솔천에 살며 56억 7천만 년 후에 미륵불로 나타나 중생을 건진다는 보살.
주006)
:남의.
주007)
:남은.
주008)
누구:누구인고. 누[誰]+구(물음토씨 ‘고’의 수의 변이형).
주009)
바:바로.
주010)
아라:알아.
주011)
맛히:마땅히.
주012)
어루:가히.
주013)
분단생사:육도에 윤회하는 범부의 나고 죽는 일을 이르는 말(범부는 각자의 업인에 따라 신체의 크고 작음과 목숨의 길고 짧음이 구별되어 있어서 ‘분단’이라고 본다.).
주014)
여희리니:여읠 것이니.
주015)
댓그테:대끝에.
주016)
어윈:큰. 넓은. 어위-[闊]+ㄴ.
주017)
거르믈:걸음을.
주018)
나:나아가.
주019)
드듸여:디디어야. 드듸- +어+.
주020)
리라:마칠 것이다.
주021)
아란다:알았느냐. 알- +아+ㄴ다. ‘-ㄴ다’는 2인칭 물음법 씨끝.
주022)
몰란다:몰랐느냐. 모- +아+ㄴ다.
주023)
아라:알았거든. 알- +아.
주024)
리:빨리.
주025)
성성히:또렷이.
주026)
법다:법답게. 법대로.
주027)
참구야:참구하여. ‘참구’는 참선하여 진리를 탐구함을 이른다.
주028)
키:크게.
주029)
아로로:앎으로.
주030)
드로:듦을. 들-[入]+옴+.
주031)
사모리다:삼으리라. 삼을 것이다. 삼-[爲]+오+리+라.
주032)
씨라:찾는 것이다. -[尋]+++ㅣ+라.
주033)
닐온:이른바.
주034)
부톄시거시니:부처이시거니.
주035)
엇던 :어떤 것을.
주036)
인야:인하여.
주037)
:남의.
주038)
이어뇨:종인고. [奴]+이+거니오. ‘-어-’는 서술격 ‘이’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주039)
맨:마침내는. 결국에는.
주040)
뉘어뇨:누구인고. 누[誰]+ㅣ+거니오.
주041)
-호리니:-할, 것이니. -하리니.
주042)
성커든:성하거든.
주043)
두르:뒤치어.
주044)
제:자기가. 스스로가. :제(상성). 저+ㅣ(임자자리토).
주045)
보리라:볼 것이다.
주046)
힘:힘씀을. 힘-[用心]+움+.
주047)
아니디니:아니할 것이니. 아니할지니. 아니- +오+ 디니.
주048)
색심:유형의 물질과 무형의 정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049)
뮈워:움직이게 하여. 뮈우-[動]+어.
주050)
날회야:천천히. 더디게.
주051)
외니:그르니.
주052)
니저:잊어. 닞-[忘]+어.
주053)
혼침:사법의 하나. 또는 백법의 하나. 마음으로 하여금 어둡고 답답하게 하는 정신작용.
주054)
잡념:불도 수행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옳지 못한 생각.
주055)
요미:종요로움이.
주056)
잇니:있느니.
주057)
신심:종교를 믿는 마음이나 믿으며 비는 마음.
주058)
세간:중생이 서로 의탁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
주059)
:마음을.
주060)
:크게. 다. 매우.
주061)
리고:버리고. 리-[捨]+고.
주062)
비:깨닫게. 또랑또랑하게. 소명하게.
주063)
잡드러:붙들어.
주064)
면:하면.
주065)
:가장.
주066)
히믈:힘을. 힘[力]+을.
주067)
수:쉽게. 쉬.
주068)
득리니:얻을 것이니.
주069)
처:처음.
주070)
안:앉을. 앉-[坐]+.
주071)
저긔:때에. 적[時]+의(위치자리토).
주072)
러:떨어. 떨쳐.
주073)
펴:펴서.
주074)
모로:몸으로.
주075)
디언:할지언정. - +오+ 디언.
주076)
둥:등[背].
주077)
구표미:굽힘이. 구피-[曲]+옴+이.
주078)
몯리라:못할 것이다. 못하리라.
주079)
구즈기:우뚝이. 높이.
주080)
셰오:세우고. 셰-[使立]+고(나열법씨끝). ‘ㅣ’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주081)
시우:눈시울을.
주082)
뮈우디:움직이게 하지. 뮈우-[使動]+디.
주083)
아니야:아니하여.
주084)
누늘:눈을.
주085)
리니:뜰 것이니. 뜨리니. -[開]+우+리+니.
주086)
:눈자위가. [眼睛]+ㅣ(임자자리토).
주087)
뮈디:움직이지.
주088)
적정:번뇌를 떠나 고(苦)를 멸(滅)한 해탈․열반의 경지를 이르는 말.
주089)
후에:후에야. 후+에+.
주090)
정: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흐트러뜨리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이르는 말. 선정(禪定).
주091)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주092)
알:앞에. 앒+(위치자리토).
주093)
나토오리니:나타낼 것이니. 나토-[現]+오+리+니.
주094)
니주미:잊음이. 닞-[忘]+움+이.
주095)
니즈면:잊으면.
주096)
공: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주097)
디여:떨어져. 디-[落]+어.
주098)
도:도리어.
주099)
어리요:어리석음을. 어리-[迷]+옴+.
주100)
니버:입어. 닙-[被]+어.
주101)
올:옳은. 올-[是]+ㄴ.
주102)
고디:곳이.
주103)
업스리라:없을 것이다.
주104)
어두미:얻음이. 얻-[得]+움+이.
주105)
쉬니:쉬우니.
주106)
비:밝게. 또랑또랑하게.
주107)
아티:아질아질하지. 혼미하지. 아-[昧]+디.
주108)
됴며:좋으며.
주109)
구즌:궂은. 궂-[惡]+은.
주110)
현:나타날. 현- +  .
주111)
저기:적이. 때가. 적[時]+이(임자자리토).
주112)
잇거든:있거든. 있으면.
주113)
뎌를:저를. 저것을. 뎌[他]+를.
주114)
가졧디:가지지. 가졌지.
주115)
마로리라:말 것이다.
주116)
아니한더데:잠깐. 잠시. 오래지 않아. 아니한덛- +에.
주117)
리라:맑을 것이다. 맑으리라.
주118)
:때에. [時]+의(위치자리토).
주119)
기:천천히. 자늑자늑히.
주120)
모:몸을.
주121)
뮈워:움직이게 하여. 뮈우-[動]+어.
주122)
정력:오력의 하나. 선정이 지니고 있는 악을 물리치는 힘.
주123)
호지:보호하여 부지함.
주124)
닐뮈여:움직이어. 닐뮈-[動]+어.
주125)
니논:행동하는. 니++오+ㄴ.
주126)
디녀:지녀.
주127)
잡들면:붙들면.
주128)
힘디:힘쓰지.
주129)
니취며:잇대며. 잇따르며. 니취-[綿綿]+며.
주130)
그처딘:끊어진.
주131)
:적이. 때. 때가. [時]+∅(임자자리토).
주132)
업슨:없는.
주133)
:때에는. [時]+의(위치자리토)+ㄴ.
주134)
무저기:무더기. 무적[片]+이.
주135)
외야:되어.
주136)
:맑은. -[澄]+.
주137)
햇:가을 들판의.
주138)
므리:물이. 믈[水]+이.
주139)
고미:맑음과. -[淸]+옴+이(견줌자리토).
주140)
야:같아서.
주141)
미:바람이.
주142)
뮈여도:움직여도.
주143)
믌겨리리라:물결일 것이다. 물결이리라. 믌결[波]+이+리+라.
주144)
이러:이러한.
주145)
:때에.
주146)
니르러:이르러서는. 니를-[到]+어.
주147)
갓가리니:가까울 것이니. 가까우리니. 갓-[近]++이+∅+니.
주148)
가져:가지어.
주149)
게:남에게. - +게.
주150)
천착:파고들어 알려고 하거나 연구함.
주151)
구티:구하지.
주152)
혜아리며:헤아리며.
주153)
저즈리디:점쳐 헤아리지. 점쳐 짐작하지. 저즈리-[卜度]+디.
주154)
말옥:말고. 말-[不]+곡. ‘ㄹ’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받침의 ‘ㄱ’은 어찌말을 만드는 씨끝이나 토씨 및 어찌씨에 붙어 그 표현을 세게 하는 말.
주155)
욀씨라:오비는 것이다.
주156)
다:다른. 다-[他]+ㄴ.
주157)
잇거나:있거나. 잇-[有]+거나.
주158)
경전:부처가 설한 교법을 적은 책.
주159)
뫼화:모아서. 뫼호-[攝]+아.
주160)
뉘어뇨:누구인고. 누구이냐. 누[誰]+ㅣ+거니오. .서술격 ‘ㅣ’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주161)
다와다:몹시. 다왇-[逼]+아.
주162)
맛라:맞닥쳐. 맛- + 아.
주163)
화논:화!하는.
주164)
소리예:소리에.
주165)
누니:눈이. 눈[眼]+이.
주166)
여러:열려. 열-[開]+어.
주167)
면:밝으면. -[明]+면.
주168)
지븨:집에. 집[家]+의(위치자리토).
주169)
니르론:이르런. 니를-[到]+오+ㄴ.
주170)
말와:말과. 말[語]+과. ‘ㄹ’ 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주171)
기연:부처의 교화를 받을 인연과 그 교화를 받아들일 중생의 자질.
주172)
마:맞은.
주173)
삸그티:화살 끝이.
주174)
서르:서로.
주175)
맛:맞닥치듯한.
주176)
닐어:일러. 니- +어.
주177)
가짓:가지의.
주178)
아:전에. 일찍이.
주179)
마:막은. 막-[碍]+.
주180)
히:땅이. ㅎ[地]+이.
주181)
어름:얼음.
주182)
거시:것이.
주183)
통달:도에 깊이 통하는 것. 꿰뚫고 지나가는 것.
주184)
승당:‘승당입실(升堂入室:마루에 올라 방에 들다.)’의 준말로 ‘모든일에 순서가 있음’과 ‘학문이 점점 깊어짐’을 비유한 말.
주185)
져기:적이.(다소, 얼마간, 조금, 약간)
주186)
아로:앎을.
주187)
마디어다:말지어다. 말 것이다. 말-[忌]+오+ 디어다.
주188)
오라:오라. 오-[來]+라(시킴법씨끝).
주189)
나:나아가.
주190)
거러:걸어. 걷-[步]+어.
주191)
드롤:들. 들어갈. 들-[入]+오+ㄹ.
주192)
이를:일을.
주193)
쳐:가리켜. 치-[指]+어.
주194)
대사: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의 준말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일. 수행과 관련된 일.
주195)
:꿰뚫어. 사뭇.
주196)
알에:알게. 알- +게. ‘ㄹ’다음에서 ㄱ탈락 또는 약화 표기.
주197)
올아:올라. 오-[升]+아.
주198)
들씨니:드는 것이니. 들어가는 것이니. 들-[入]+()++ㅣ+니.
주199)
아논:아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