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6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6
  • 약왕보살본사품 제23
  • 7. 경을 수지하는 공덕 [2] 약왕보살본사품을 들은 공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7. 경을 수지하는 공덕 [2] 약왕보살본사품을 들은 공덕 3



〔본문〕

법화경언해 권6:175ㄱ

외야 貪欲의 보차미 아니 외며  瞋恚 주001)
진에:
노여워하고 증오하는 것.
愚癡 주002)
우치:
진리에 대한 무지.
보차미 주003)
보차미:
보챔이.
아니 외며  憍慢 嫉妬 여러 가짓 의 보차미 아니 외야

〔본문〕 다시 탐욕의 보챔이 아니 되며 또 진에, 우치의 보챔이 아니 되며 또 교만 질투 여러 가지 때[垢]의 보챔이 아니 되어,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貪嗔癡 주004)
탐진치:
3독. 탐욕과 분노와 무지.
 根本 煩惱ㅣ오 주005)
-ㅣ오:
-이고.
憍嫉 주006)
교질:
스스로 뽐내고 시샘함.
햇  【제 性을 더러일 주007)
더러일:
더럽히므로.
라】
조 煩惱ㅣ니 隨煩惱 주008)
수번뇌: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 貪瞋癡 됴티 몯 根을 니니 瞋恚纏은  니 일후미 忿이오 안해 怨歎을  일후미 恨이오 한 모딘 이 숨겨 촐 주009)
촐:
감추므로.
일후미 覆ㅣ오 더러우며 놀라 두

법화경언해 권6:175ㄴ

릴 일후미 熱惱ㅣ오  榮華 깃디 주010)
깃디:
기뻐하지. -[喜].
아니 일후미 嫉이오 資生 주011)
자생:
생활에 도움이 됨.
홀 꺼세 더러이 앗교 기피 머글 일후미 慳이오  소교 주012)
소교:
속임을.
爲야 안해 다  먹고 밧긔 各別  나톨 일후미 誑이오 미 正直디 몯야 알며 行호미 邪曲 일후미 諂이오 지 주013)
지:
지은.
罪예 제 붓그리디 아니호려  일후미 慚이오 지 罪예 미 븟그리디 아니콰뎌 주014)
아니콰뎌:
아니하게 하고자.
 일후미 愧오  사오나온 게 내 더우라 너겨 미 노피 들이게  일후미 慢이오 得디 몯 거슬 得호라  씨 일후미 增上慢이오 實로 德 업수 제 모미 德 이슈라 주015)
이슈라:
있노라. 이시-[有]+오/우+라.
너길 일후미 邪慢 주016)
사만:
덕이 없는데도 스스로 덕이 있다고 우쭐하는 것.
이오 매 더러운  머거 榮華로이 기류믈 미더  큰  일후미 憍ㅣ오 여러 됴 品에

법화경언해 권6:176ㄱ

브즈러니 닷고 즐기디 아니코 여러 모딘 法에 미 마곰 업슬 일후미 放逸이오 여러 尊重과  福田 주017)
복전:
복덕을 생산하는 밭이란 뜻으로 부처님이나 스님 또는 3보를 가리킴.
에 미 恭敬 아니 일후미 傲ㅣ오 〈傲  업시울 씨라 주018)
업시울 씨라:
업신여기는 것이다.
〉 매 더러운  머거 제 德 나토려 야 거즛 擧動 나톨 일후미 矯ㅣ라 〈矯 거츨 씨라 주019)
거츨 씨라:
거친 것이다. 허망한 것이다.
根本 煩惱 주020)
근본 번뇌:
번뇌 가운데 근본되는 번뇌.
 조차 날 隨煩惱ㅣ라】
마 安養애 나면 브튼 히 조 業이며 모 사미 善人일  보차미 업스리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탐진치는 근본이 번뇌이고 ‘교’나 ‘질’ 등의 때는【제 본성을 더럽히므로 때이다.】 그에 따르는 번뇌이니, 【따르는 번뇌(=수번뇌)는 탐진치가 좋지 못한 ‘근’을 이르니, 진에전은 모습의 본성을 이르므로, 이름이 ‘분’이고, 안에 원한과 탄식을 맺어 있으므로 이름이 ‘한’이고, 많은 모진 일을 숨겨 감추고 있으므로 이름이 ‘복’이고, 더러우며 놀라 두려워하므로 이름이 열뇌이고, 남의 영화를 기뻐하지 아니하므로 이름이 ‘질’이고, 자생할 것에 더러이 아낌을 깊이 품으므로 이름이 ‘간’이고, 남 속임을 위하여 안으로 다른 꾀 먹고 밖으로 별도의 모습을 나타내므로 이름이 ‘광’이고, 마음이 정직하지 못하여 알며 행함이 사곡하므로 이름이 ‘첨’이고, 지은 죄에 스스로가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려 하므로 이름이 ‘참’이고, 지은 죄에 남이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게 하고자 하므로 이름이 ‘괴’이고, 남의 악한 것에서 내가 더하노라 여겨 마음이 높이 들리게 하므로 이름이 ‘만’이고, 얻지 못한 것을 얻었노라 하므로 이름이 ‘증상만’이고, 실로 덕이 없되 제 몸이 덕이 있노라 여기므로 이름이 ‘사만’이고, 마음에 더러운 뜻을 머금어 영화로이 칭찬함을 믿어 모습이 큰 양하므로 이름이 ‘교’이고, 여러 좋은 품에 부지런히 닦음을 즐기지 아니하고 여러 악한 법에 마음이 막힘이 없으므로 이름이 방일이고, 여러 존중과 또 복전에 〈대하여〉 마음이 공경하지 아니하므로 이름이 ‘오’이고 〈‘오’는 남을 업신여기는 것이다.〉 마음에 더러운 뜻 머금어 스스로 덕을 나타내려 하여 거짓 거동을 나타내므로 이름이 ‘교’이다. 〈‘교’는 거짓된 것이다.〉 근본 번뇌를 좇아 나므로 수번뇌이다.】 이미 안양에 나면 의지한 땅이 깨끗한 업이며, 모인 사람이 선인이므로 때(=번뇌)가 괴롭힘이 없으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3년 6월 5일

주석
주001)
진에:노여워하고 증오하는 것.
주002)
우치:진리에 대한 무지.
주003)
보차미:보챔이.
주004)
탐진치:3독. 탐욕과 분노와 무지.
주005)
-ㅣ오:-이고.
주006)
교질:스스로 뽐내고 시샘함.
주007)
더러일:더럽히므로.
주008)
수번뇌: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주009)
촐:감추므로.
주010)
깃디:기뻐하지. -[喜].
주011)
자생:생활에 도움이 됨.
주012)
소교:속임을.
주013)
지:지은.
주014)
아니콰뎌:아니하게 하고자.
주015)
이슈라:있노라. 이시-[有]+오/우+라.
주016)
사만:덕이 없는데도 스스로 덕이 있다고 우쭐하는 것.
주017)
복전:복덕을 생산하는 밭이란 뜻으로 부처님이나 스님 또는 3보를 가리킴.
주018)
업시울 씨라:업신여기는 것이다.
주019)
거츨 씨라:거친 것이다. 허망한 것이다.
주020)
근본 번뇌:번뇌 가운데 근본되는 번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