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운허]14. 칠대(七大)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 14. 칠대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14. 칠대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18


능엄경언해 권3:86ㄴ

五. 空大 四○一. 標本
〔경문〕 阿難아 空性이 無形야 因色야 顯發니 如室羅城이 去河遙處에 諸刹利種과 及婆羅門과 毗舍와 首陀와 兼頗羅墮와 旃陀羅等이 新立安居야 鑿井求水 저긔 出土一尺면 於中에 則有一尺虛空고 如是乃至出土一丈면 中閒애 還得一丈虛空야 虛空의 淺深이 隨出의 多少니 此空은 爲當因土야 所出아 因鑿야 所有아 無因히 自生가

〔경문〕

능엄경언해 권3:87ㄱ

阿難아 空 性이 얼굴 주001)
얼굴:
모습.
업서 色 因야 나타나니 주002)
나타나니:
나타나는 것이니.
室羅城이 河 버로미 주003)
버로미:
벌어짐이. 「버-+오/우+ㅁ+이」.
해 주004)
해:
땅에. 곳에.
모 주005)
모:
모든. 여러.
刹利種과 婆羅門과 毗舍와 首陀와  頗羅墮와 旃陀羅 等이 便安히 사  주006)
사 :
살 곳을.
 새로 셰여 주007)
셰여:
세워. 「셰-」.
우믈 주008)
파:
파서. 「-+아」.
믈 求 제

능엄경언해 권3:87ㄴ

주009)
기:
흙이. 「」.
자히 주010)
자히:
자[尺]가.
나면 그 中에  잣 虛空이 잇고 이티 기  丈 나매 니를면 주011)
니를면:
이르면. 「니를-」[至].
中間애   丈ㅅ 虛空 得야 虛空의 녀트며 주012)
녀트며:
옅으며. 「녙」.
기푸미 주013)
기푸미:
깊음이. 「깊-+오/우+ㅁ+이」.
나 하며 져고 좃니 이 空 반기  因야 난 것과 포 주014)
포:
팜을. 「-+오/우ㅁ+」.
因야 잇 것가 주015)
것가:
것인가? 「-가」 물음법.
因 업시 제 난 것가

〔경문〕 아난아, ‘공’의 성은 모습이 없어서 ‘색’을 인하여 나타나는 것이니, 실라〈벌〉성이 강 벌어짐이 〈강에서〉 먼 곳에 〈있는〉 여러 찰리종 주016)
찰리종:
인도 민족의 네 성(姓)의 하나. 전쟁에 종사하거나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종족.
과 바라문과 비사 주017)
비사:
네 성의 하나. 상공업을 하는 평민계급.
수타 주018)
수타:
네 성의 하나. 가장 천한 직업에 종사함.
파라타 주019)
파라타:
바라문 육성 중 하나.
전타라 주020)
전타라:
인도의 천민. 백정·옥졸 등에 종사함.
등이 편안히 살 곳을 새로 세워 우물을 파고 물을 구할제, 이 한 자가 나〈오〉면 그 가운데 한 자의 허공이 있고(=생기고), 이와 같이 흙이 한 ‘장’ 주021)
장:
길이의 단위. 「열 자」.
〈쯤〉 남에 이르면 중간에 또 한 ‘장’의 허공을 얻어, 허공의 옅으며 깊음이 〈흙이〉 나는 것이 많고 적음을 따르니, 이 ‘공’은 반드시 흙을 인하여 난 것이냐 파는 것을 인하여 있는 것이냐, ‘인’이 없이 스스로 〈생겨〉난 것이냐?

〔주해〕 鑿土得空이 所謂因色야 顯發也ㅣ라 西天엣 貴賤이 族이 分四姓니 如此方앳 四民니라 刹帝利 王族也ㅣ오 婆羅門은 淨志也ㅣ오 毘舍 商賈也ㅣ오요 首陀 農夫也ㅣ니 是謂四姓이라 頗羅墮 利根也ㅣ오 旃陀羅

능엄경언해 권3:88ㄱ

 魁膾也ㅣ니 此ㅣ 又智愚之族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3:88ㄱ

주022)
파:
파(서). 「-+아/어」.
空 得호미 니샨 주023)
니샨:
이르신(바).
色 因야 나타나미라 西天 주024)
-엣:
-에, 있는. -의.
貴賤이 族이 네 姓에 分니 이 方앳 네 百姓이 니라 주025)
-이 니라:
-이 같은 것이다.
【百姓 그위실리와 주026)
그위실리와:
벼슬하는 사람과.
녀름지리와 주027)
녀름지리와:
농사지을 사람과.
바지 주028)
바지:
대장장이.
바지왜라 주029)
바지왜라:
장사아치이다.
刹帝利 王 族이오 婆羅門 디 조니오 毗舍 니오 首陀 녀름짓 주030)
녀름짓:
농사짓는.
사미니 닐온 주031)
닐온:
이른바.
네 姓이라 頗羅墮 난 주032)
난:
날카로운. 「나-」[銳].
根이오 旃陀羅 魁膾니 【魁 爲頭 주033)
위두:
으뜸감.
씨라 주034)
-씨라:
하는 것이다.
이  智와 愚왓 族이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흙을 파서 ‘공’을 얻는 것은, 이르신바 ‘색’을 인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인도의 귀천은 〈종〉족이 네 성에 나뉘니, 이 〈지〉방의 네 백성과 같은 것이다. 【네 백성은 벼슬하는 이와 농사짓는 사람과 대장장이와 장사아치이다.】 찰제리는 왕의 〈종〉족이고, 바라문은 뜻이 깨끗한 사람이고, 비사는 장사하는 사람이고, 수타는 농사짓는 사람이니, 이것이 이른바 네 〈가지〉 성이다. 파라타는 날카로운 ‘근’이고, 전타라는 괴회이니 【‘괴’는 으뜸가는 것이다.】 이것은 또 슬기로움과 어리석음의 〈종〉족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얼굴:모습.
주002)
나타나니:나타나는 것이니.
주003)
버로미:벌어짐이. 「버-+오/우+ㅁ+이」.
주004)
해:땅에. 곳에.
주005)
모:모든. 여러.
주006)
사 :살 곳을.
주007)
셰여:세워. 「셰-」.
주008)
파:파서. 「-+아」.
주009)
기:흙이. 「」.
주010)
자히:자[尺]가.
주011)
니를면:이르면. 「니를-」[至].
주012)
녀트며:옅으며. 「녙」.
주013)
기푸미:깊음이. 「깊-+오/우+ㅁ+이」.
주014)
포:팜을. 「-+오/우ㅁ+」.
주015)
것가:것인가? 「-가」 물음법.
주016)
찰리종:인도 민족의 네 성(姓)의 하나. 전쟁에 종사하거나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종족.
주017)
비사:네 성의 하나. 상공업을 하는 평민계급.
주018)
수타:네 성의 하나. 가장 천한 직업에 종사함.
주019)
파라타:바라문 육성 중 하나.
주020)
전타라:인도의 천민. 백정·옥졸 등에 종사함.
주021)
장:길이의 단위. 「열 자」.
주022)
파:파(서). 「-+아/어」.
주023)
니샨:이르신(바).
주024)
-엣:-에, 있는. -의.
주025)
-이 니라:-이 같은 것이다.
주026)
그위실리와:벼슬하는 사람과.
주027)
녀름지리와:농사지을 사람과.
주028)
바지:대장장이.
주029)
바지왜라:장사아치이다.
주030)
녀름짓:농사짓는.
주031)
닐온:이른바.
주032)
난:날카로운. 「나-」[銳].
주033)
위두:으뜸감.
주034)
-씨라: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