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3
  • [운허]13. 4과(科)에서 여래장을 보이다 ②
  • 13-4. 십팔계(十八界)가 곧 여래장
  •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6. 의법계 2-1
메뉴닫기 메뉴열기

13-4. 십팔계가 곧 여래장○6. 의법계 2-1


능엄경언해 권3:56ㄴ

二. 辯界無實 三○一. 依根辯
〔경문〕

능엄경언해 권3:57ㄱ

阿難아 若因意야 生인댄 於汝意中에 必有所思야 發明汝意니 若無前法면 意ㅣ 無所生리라 離緣면 無形커니 識을 將何用이리오

〔경문〕

능엄경언해 권3:57ㄱ

阿難아 다가 들 因야 딘댄 네  中에 반기 호미 주001)
호미:
생각하는 것이.
이셔 네 들 發明니 다가 알 주002)
알:
앞에 있는. 앞의.
法이 업스면 디   주003)
 :
날 곳이.
업스리라 緣을 여희면 얼구리 주004)
얼구리:
모습이.
업거니 識을  어듸 주005)
어듸:
어디.
리오 주006)
리오:
쓰겠는가?

〔경문〕 아난아, 만일 뜻을 인하여 난다면, 네 뜻 가운데 반드시 생각하는 바가 있어〈야〉 네 뜻을 발명하는 것이니, 만일 앞의 법이 없으면, 뜻이 〈생겨〉날 곳이 없을 것이다. ‘연’을 여의면 〈의근의〉 모습이 없으니, ‘식’을 장차 어디 쓰겠는가?(=식이 무슨 작용을 하겠는가?)

〔주해〕 意識은 發於所思고 意根은 生於法塵니 二者ㅣ 皆屬前境니 離此면 則根이 無形며 識이 無用 是必因境이니 則計根에셔 生者ㅣ 妄也ㅣ라

〔주해〕

능엄경언해 권3:57ㄴ

意識 호매 주007)
호매:
생각함에.
나고 意根 法塵에 나니 둘히 주008)
둘히:
둘이.
다 알 境에 屬니 이 여희면 根이 얼구리 업스며 識이 주009)
:
쓸. 「-[用]+오/우ㅭ」.
 업슬 이 반기 境을 因니 根애셔 주010)
-애셔:
-에서.
나다 혜요미 주011)
혜요미:
헤아림이. 생각함이.
妄이라

〔주해〕 의식은 생각함에〈서〉 나고, 의근은 법진 주012)
법진:
육진의 하나. 온갖 법으로서 의근의 대경이 되어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는 것.
에(서) 나니, 둘이 다 앞의 ‘경’에 속하니, 이것을 여의면 ‘근’이 모습이 없으며, ‘식’이 쓸 데가 없으므로, 이는 반드시 ‘경’ 주013)
경:
대상.
을 인하니, ‘근’에서 난다고 헤아리는 것은 〈허〉망〈한 것〉이다.

〔경문〕 又汝識心과 與諸思量과 兼了別性이 爲同가 爲異아 同意면 卽意어니 云何所生이며 異意면 不同 應無所識려니 若無所識면 云何意生이라 며 若有所識면 云何識意라 리오 唯同與異예 二性이 無成니 界ㅣ 云何立리오

〔경문〕  네 識心과 모 思量과  논 주014)
논:
가리는.
性이 가지가 주015)
가지가:
한가지이냐?
다녀 주016)
다녀:
다른 것이냐?
과 가지면 곧

능엄경언해 권3:58ㄱ

디어니
주017)
디어니:
뜻이니.
엇뎨 난 며 주018)
며:
곳이며.
과 다면 주019)
다면:
다르면.
 가지 아닐 반기 아 주020)
아:
알.
고디 업스려니 주021)
업스려니:
없어야 할 것이로다.
다가 아 고디 업스면 엇뎨 데셔 주022)
데셔:
뜻에서.
나다 며 다가 아 고디 이시면 엇뎨 識意라 리오 【다가 과 달오 주023)
달오:
다르되.
주024)
제:
스스로가.
아 고디 이딘댄 주025)
이딘댄:
있을진댄. 있다면.
엇뎨 데셔 아다 주026)
아다:
안다.
리오】
가지와 달오매 두 性이 이루미 업스니 界 엇뎨 셔리오 주027)
셔리오:
서겠느냐? 성립되겠느냐?

〔경문〕 또 너의 식심 주028)
식심:
의식 작용의 본체.
과 모든 생각함과 또 분별하는 성이 한가지이냐, 다른 것이냐? 뜻과 한가지이면 곧 뜻이니(=뜻일 것이니), 어찌 난 곳이〈라 하〉며, 뜻과 다르면 한가지가 아니므로 응당 알 바가(=‘식’이) 없어야 할 것이로다. 만일, 알 곳이 없으면 어찌 뜻에서 났다고 하며, 만일 아는 바가 있으면 어찌 식의라 하겠느냐? 【만일 뜻과 다르되 스스로가 아는 바가 있다면 어찌 뜻에서 안다〈고〉 하겠느냐?】 한가지(=같음)와 다름〈의〉 두 성이 이룸이 없으니, ‘계’가 어찌 성립되겠느냐?

〔주해〕 又辯根識이 混濫야 不成因界也시니라 識心 義識也ㅣ오 思量別了 意根也ㅣ라 同면 則無復能所고 異면 則不能有識리라 二ㅣ 旣混濫야 已無自性 則界ㅣ 無所立矣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 根 주029)
-과 -괘:
-과 -이.
섯거 因界 이디 주030)
이디:
되지. 이루지.
몯호 주031)
몯호:
못함을.
시니라

능엄경언해 권3:58ㄴ

心 意識이오 주032)
-이오:
-이고.
思量 別了와 주033)
-과 -와:
-과 -은(는).
意根이라 가지면 다시 能所ㅣ 업고 다면 能히 識이 잇디 몯리라 둘히 마 섯거 마 제 性이 업슬 界   업스리로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또 ‘근’과 ‘식’이 섞이어 인계를 이루지 못함을 가리신 것이다. 식심은 의식이고, 사량 주034)
사량:
제칠식인 의근의 작용.
별료 주035)
별료:
요별. 이것과 저것을 구별해서 앎.
는 의근이라서 한가지면 다시 능소가 없고, 다르면 능히 식이 있지 못할 것이다. 둘이 이미 섞이어 이미 스스로의 성이 없으므로 ‘계’가 설 곳이 없을 것이로다.
Ⓒ 역자 | 김영배 / 1996년 9월 22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호미:생각하는 것이.
주002)
알:앞에 있는. 앞의.
주003)
 :날 곳이.
주004)
얼구리:모습이.
주005)
어듸:어디.
주006)
리오:쓰겠는가?
주007)
호매:생각함에.
주008)
둘히:둘이.
주009)
:쓸. 「-[用]+오/우ㅭ」.
주010)
-애셔:-에서.
주011)
혜요미:헤아림이. 생각함이.
주012)
법진:육진의 하나. 온갖 법으로서 의근의 대경이 되어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는 것.
주013)
경:대상.
주014)
논:가리는.
주015)
가지가:한가지이냐?
주016)
다녀:다른 것이냐?
주017)
디어니:뜻이니.
주018)
며:곳이며.
주019)
다면:다르면.
주020)
아:알.
주021)
업스려니:없어야 할 것이로다.
주022)
데셔:뜻에서.
주023)
달오:다르되.
주024)
제:스스로가.
주025)
이딘댄:있을진댄. 있다면.
주026)
아다:안다.
주027)
셔리오:서겠느냐? 성립되겠느냐?
주028)
식심:의식 작용의 본체.
주029)
-과 -괘:-과 -이.
주030)
이디:되지. 이루지.
주031)
몯호:못함을.
주032)
-이오:-이고.
주033)
-과 -와:-과 -은(는).
주034)
사량:제칠식인 의근의 작용.
주035)
별료:요별. 이것과 저것을 구별해서 앎.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